KR20180136575A -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575A
KR20180136575A KR1020187036273A KR20187036273A KR20180136575A KR 20180136575 A KR20180136575 A KR 20180136575A KR 1020187036273 A KR1020187036273 A KR 1020187036273A KR 20187036273 A KR20187036273 A KR 20187036273A KR 20180136575 A KR20180136575 A KR 2018013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acrylic resin
layer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치하라
히데키 하야시
다카유키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57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및 활제 0.01∼0.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 입경 10∼300 nm의 고무 탄성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 25∼45 중량%인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이 광학 필름에 방현층을 형성하여 방현성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편광판 또는 방현성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An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0.01 to 0.09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where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0 nm,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25 to 45 wt%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An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on the optical film to form a flicker-resistant film. The optical film or the antireflection film may be bonded to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to form a polarizing plate or a polarizing plate.

Description

광학 필름, 방현성 필름 및 편광판{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광학 필름, 이 광학 필름에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성 필름, 및 이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필름이 편광 필름에 적층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which is preferably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film in which an antiglare layer is formed in the optical film, and a polarizing film, To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를 중심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은 통상,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유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내장된다. 이러한 편광판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전통적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는 내습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편광판은, 고온조건하 및 고습열 조건하에서 편광도나 색상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BACKGROUND ART [0002] A polarizing plate is widely used mainly in constituent member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usually flows in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is incorporat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Traditionally,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s been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such a polarizing plate. However, triacetylcellulose has insufficient resistance to humidity and humidity, and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triacetylcellulose film as a protective film sometimes has deteriorated performance such as polarization and color under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conditions.

그래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대체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투명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JP2007-25008-A에는,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를 40 ㎛ 이하로 하고, 그 양면에 박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양면의 열가소성 수지층은 사용전에 박리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P2007-41563-A에는, 아크릴계 수지 필름/폴리에틸렌이민층/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의 삼층 구조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측에서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편광판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P2007-52404-A에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층/금속염층/보호 필름의 순으로 형성하여 편광판으로 하는 것, 및 그 보호 필름을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P2009-25762-A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활제를 0.1∼1.5 중량부 배합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2009-163216-A에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방현성 필름을 적층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그 방현성 필름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필름의 내충격성이나 제막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기재도 있다. Therefore, as a protective film replacing triacetyl cellulose, use of an acryl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has been studied. For example, in JP2007-25008-A, a thermoplastic resin layer capable of being peeled off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rylic resin layer with a thickness of 40 占 퐉 or less,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s on both surfaces are peeled off before use, . In JP 2007-41563-A, a protective film made of a three-layer structure of an acrylic resin film / polyethylene imine layer /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is bonded to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o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side, . JP2007-52404-A discloses that a polarizing plate is formed on one side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in the order of an adhesive layer / a metal salt layer / a protective film, and that the protective film is composed of an acrylic resin . JP2009-25762-A discloses that 0.1 to 1.5 parts by weight of a lubricant composed of a metal salt is blend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a resin component mainly composed of an acrylic resin as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ing plate. Further, JP2009-163216-A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which is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with a light-scattering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to be disposed on the visual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at the acrylic resin constituting the antifogging film preferably contains acrylic rubber particles from the viewpoint of impact resistance and film formability of the film.

아크릴계 수지를,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을 비롯한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즉, 광학용에 한하지 않고 필름은 일반적으로, 제조후, 원주형의 코어에 감겨 롤형으로 보관되는 결과, 필름 표면의 슬립성이 나쁘면, 소정 기간 보관후에, 예컨대 감은 상태로 조여져 버려 롤형 필름의 최표면에 움푹 패임 등이 관찰되는 감겨 조여짐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감겨 조여짐이 생기면, 그 움푹 패임 등이 결함이 되어 버려, 광학 필름에 적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When an acrylic resin is used as an optical film including a protective film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That is, the film is not limited to optical use but is generally wound around a columnar core after production and stored in a roll form. As a result, if the slip property of the film surface is poor, the film is tightened in a wound state after being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re is a case where a phenomenon called a wound tightening, in which a depression is observed on the outermost surface, is generated. If such a winding tightening occurs, the dents and the like become defective,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pply the film to an optical film.

그래서,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JP2009-25762-A에서는, 활제를 금속염에 특정한 후,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활제를 0.1∼1.5 중량부 배합하고 있다. 또한, JP2004-151573-A에는, 노르보넨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미립자를 0.01∼1.0 중량부 및 활제를 0.01∼1.0 중량부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각각 0.1∼0.8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필름화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높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P2004-151573-A에 개시되는 처방은, 무기 미립자에 의해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활제에 의해 슬립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며,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서도, 이 문헌에 개시되는 것 같은 무기 미립자와 활제를 배합하여,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Thus, in JP2009-25762-A mentioned above, 0.1 to 1.5 parts by weight of a lubricant composed of the metal salt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after specifying the lubricant to the metal sal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lip property of the film surface have. In JP2004-151573-A, 0.01 to 1.0 part by weight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0.01 to 1.0 part by weight of the lubricant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resin represented by the norbornene resi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re each blended in a proportion of 0.1 to 0.8 parts by weight to increase the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The prescription disclosed in JP2004-151573-A is to form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film by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to further increase the slip property by the lubricant,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acrylic resin,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the lubricant So as to increase the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그러나,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에 활제를 존재시켜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높이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거나, 활제가 필름으로부터 블리드아웃되어 표면에 흰 분말형의 것이 부유하게 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에 무기 미립자를 존재시킴으로써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무기 미립자가 제조 장치 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그것에 기인하여, 장치의 막힘 또는 공정 오염에 의해 생산성을 저하시킬 우려도 있다.However, when the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is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the lubricant in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lowered, or the lubricant may bleed out from the film and the white powder may float on the surface There is a case where a problem occurs. Further, when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by the presence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accumulated in the production apparatu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ilm.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clogging of the apparatus or process contamination.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여, 거기에 고무 탄성체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필름의 내충격성이나 제막성을 향상시키고, 롤형으로 했을 때 감겨 조여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 광학 필름에 자외선 흡수능도 부여하여,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들 광학 필름에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목적은, 이들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역시 롤형으로 했을 때 감겨 조여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m which is mainly composed of an acrylic resin and which is blended with rubber elastomer particles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and film formability of the film, It is on.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lm which is also preferably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ing film by imparting ultraviolet absorbing ability to the optical film.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shielding film in which an antiglare layer is formed on these optical films.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se optical films or retardation films are bonded to a polarizing film as a protective film so that the optical films or the retardation film are hardly tightened when they are rolled.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여, 거기에 고무 탄성체 입자가 소정량 배합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활제를 소량 배합함으로써, 필름으로 했을 때의 슬립성이 개선되고, 따라서 감겨 조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when a small amount of an activator is mixed with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blended with an acrylic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slip property when formed into a film is improved, And the bleed-out of the lubricant can be suppress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것을 포함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1]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및 활제 0.01∼0.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와 평균 입경 10∼300 nm의 고무 탄성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 25∼45 중량%인 광학 필름. [1] An optical film comprising a resinous active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0.01 to 0.09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where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0 nm And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25 to 45% by weight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2] 활제가 스테아린산계 화합물인 [1]에 기재된 광학 필름. [2]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1], wherein the lubricant is a stearic acid compound.

[3] 수지 활제 조성물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광학 필름의 파장 380 nm에서의 투과율이 25%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 [3]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ultraviolet absorber is contained in the resin binder composit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film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25% or less.

[4]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표면에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필름. [4]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antiglar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5] 방현층은, 투명 수지 100 중량부 및 평균 입경 0.5∼5 ㎛이고 상기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0.2인 미립자 3∼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고, 헤이즈가 5∼50%인 [4]에 기재된 방현성 필름. [5] The antiglare layer is formed of a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transparent resin and 3 to 30 parts by weight of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to 5 μm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the transparent resin of 0.02 to 0.2, And the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4].

[6]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접합되어 있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판. [6]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7]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방현층과는 반대측에서 접합되어 있는 [4] 또는 [5]에 기재된 방현성 필름을 포함하는 방현성 편광판. [7]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resin and a polarizing film lamin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ntiglare layer to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4] or [5].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에, 소정의 평균 입경을 갖는 고무 탄성체 입자를 소정량 배합하고 활제를 소량 배합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슬립성이 좋아진다. 그 때문에, 필름을 롤형으로 했을 때, 감겨 조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 및 활제와 함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여 자외선 흡수능을 부여하면,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들 광학 필름 또는 그 표면에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성 필름은,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고, 이들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필름을 상기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진 편광판도 마찬가지로, 감겨 조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amount of rubber elastic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average particle size is mixed with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a small amount of the lubricant is added, the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is improved. Therefore, when the film is made into a roll type, the film is hardly tightened, and the productivity is excellent. When a transparent acrylic resin is blended with an ultraviolet absorber together with rubber elastomer particles and a lubricant to give an ultraviolet absorbing ability, it is further preferable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ing film. These optical films or the light-shielding films having the antiglare layer formed thereon are useful as protective films for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s, and polarizing plates formed by bonding these optical films or the light-shielding films to the polarizing films are also wound Tightness is hardly generated, and the productivit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효과로서,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필름 표면에 약간 요철이 형성되어,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개선하기 때문에, 활제의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고, 활제의 블리드아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Further, as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added to the acrylic resin, whereby the surface of the film is slightly irregularly formed to improve the slipperiness of the surface of the film, so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lubricant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bleed-out of the lubricant.

(광학 필름)(Optical film)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및 활제 0.01∼0.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 입경이 10∼300 nm인 고무 탄성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 25∼45 중량%이다.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esinous active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0.01 to 0.09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where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a rubber elastomer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0 nm And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25 to 45% by weight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아크릴계 수지는, 통상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산알킬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을 2종 이상 이용한 공중합체여도 좋고, 메타크릴산알킬 50 중량% 이상과 메타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 50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메타크릴산알킬로는 통상, 그 알킬기의 탄소수가 1∼4인 것이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acrylic resin is usually a polymer mainly comprising alkyl methacrylate. Specifically, it may be a homopolymer of alkyl methacrylate or a copolymer using two or more alkyl methacrylates, or even a copolymer of not less than 50% by weight of alkyl methacrylate and not more than 50% by weight of monomers other than alkyl methacrylate good. As the alkyl methacrylate, the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is usually used, and among these,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y used.

또한, 메타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는, 분자 내에 1개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단작용 단량체여도 좋고,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다작용 단량체여도 좋지만, 특히 단작용 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예로는, 아크릴산메틸이나 아크릴산에틸과 같은 아크릴산알킬, 스티렌이나 알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성분으로서 아크릴산알킬을 이용하는 경우, 그 알킬기는 통상, 탄소수 1∼8 정도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단량체 조성은, 단량체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메타크릴산알킬이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하이다. The monomers other than alkyl methacrylate may be monofunctional monomers having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molecule or multifunctional monomers having two or mor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Monofunctional monomers are preferably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 acrylates such as methyl acrylate and ethyl acrylate, styrene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alkyl styrene, and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When alkyl acrylate is used as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the alkyl group usually has about 1 to 8 carbon atoms.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acrylic resin is preferably not less than 70% by weight,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80%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s, 99% by weight or less.

이 아크릴계 수지는, 글루탈이미드 유도체, 글루타르산 무수물 유도체, 락톤고리 구조 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루탈이미드 유도체, 글루타르산 무수물 유도체 또는 락톤 고리 구조와 같은 환형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광학 필름으로서 충분한 기계 강도 및 내습열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메타크릴산알킬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이거나,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이 단량체 조성의 예컨대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그것과, 실질적으로 아크릴산알킬,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만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resin does not have a glutarimide derivative, a glutaric acid anhydride derivative, a lactone ring structure or the like. An acrylic resin having a cyclic structure such as a glutarimide derivative, a glutaric acid anhydride derivative or a lactone ring structure tends to have difficulty in obtaining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and moist heat resistance as an optical film. In other words, the acrylic resin is a polymer in which the monomer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only alkyl methacrylate, or alkyl methacrylate accounts for 7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9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sition, Is a copolymer of only monomers selected from alkyl acrylates, styrene monomers and unsaturated nitriles.

(고무 탄성체 입자)(Rubber elastomer particles)

아크릴계 수지에 배합되어,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무 탄성체 입자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을 포함하는 입자이다. The rubber-like elastom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are particles containing a layer exhibiting rubber elasticity.

이 고무 탄성체 입자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만으로 이루어진 입자여도 좋고,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과 함께 다른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여도 좋다. 고무 탄성체로는, 예컨대, 올레핀계 탄성 중합체, 디엔계 탄성 중합체, 스티렌-디엔계 탄성 공중합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필름의 표면 경도, 내광성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may be particles composed only of layers exhibiting rubber elasticity, or may be particles of a multi-layer structure having other layers together with the layer exhibiting rubber elasticity. Examples of the rubber elastomer include an olefin elastomer, a diene elastomer, a styrene-diene elastomer copolymer, and an acrylic elastomer. Among them, an acrylic elastomer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surface hardness, light fastness and transparency of the optical film.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는, 아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아크릴산알킬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아크릴산알킬 50 중량% 이상과 그 이외의 단량체 50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아크릴산알킬로는 통상, 그 알킬기의 탄소수가 4∼8인 것이 이용된다.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그 예로는, 메타크릴산메틸이나 메타크릴산에틸과 같은 메타크릴산알킬, 스티렌이나 알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등의 단작용 단량체, 또한, (메트)아크릴산알릴이나 (메트)아크릴산메타릴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케닐에스테르, 말레산디알릴과 같은 이염기산의 디알케닐에스테르,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콜류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 등의 다작용 단량체를 들 수 있다. The acrylic elastomer can be composed of a polymer mainly composed of an alkyl acrylate. This may be a homopolymer of alkyl acrylate or a copolymer of 50 wt% or more of alkyl acrylate and 50 wt% or less of other monomers. As the alkyl acrylate, usually, the 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is used. When a monomer other than alkyl acrylate is copolymerize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 methacrylate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and ethyl methacrylate, styrene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alkyl styrene,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Unsaturated nitrile and the lik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llyl (meth) acrylate and methallyl (meth) acrylate; dialkyl esters of dibasic acid such as maleic acid diallyl; alkylene glycol di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esters of glycols such as meth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탄성체 입자는,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탄성체의 외측에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갖는 2층 구조의 것이나, 아크릴계 탄성체의 내측에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더 갖는 3층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탄성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구성하는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에서의 단량체 조성의 예는, 앞서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 든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의 단량체 조성의 예와 동일하고,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단량체 조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체 입자는, 예컨대 JPS55-27576-B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containing an acrylic elastomer are preferably particles of a multilayer structure having a layer of an acrylic elastomer. Specifically, there is a two-layer structure having a hard polymer layer mainly composed of alkyl methacrylate on the outer side of the acrylic elastic body, and a three-layer structure having a rigid polymer layer mainly composed of alkyl methacrylate on the inner side of the acrylic elastic body Layer structure. Examples of the monomer composition in the polymer mainly composed of alkyl methacrylate constituting the hard polymer layer formed o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acrylic elastic body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crylic polymer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s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nomer composition. In particular, a monomer composition mainly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y used. The acrylic rubber elastomer particles having such a multi-layer structur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JPS55-27576-B.

본 발명에서는,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 그 중에 포함되는 고무 탄성체층의 평균 입경이 10∼300 nm인 것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에 접합했을 때,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고무 탄성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0 nm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250 nm 이하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rubber elastomer layers contained therein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0 nm.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protective film which is difficult to peel off from the adhesive layer when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using an adhesiv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preferably 50 n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50 nm or less.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무 탄성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즉, 이러한 고무 탄성체 입자를 아크릴계 수지에 혼합하여 필름화하고, 그 단면을 산화루테늄의 수용액으로 염색하면, 고무 탄성체층만이 착색되어 거의 원 형상으로 관찰되고, 모층의 아크릴계 수지는 염색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와 같이 하여 염색된 필름 단면으로부터, 미크로톰 등을 이용하여 박편을 조제하여, 이것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그리고, 무작위로 100개의 염색된 고무 탄성체 입자를 추출하여 각각의 입자경을 산출한 후, 그 수평균치를 평균 입경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고무 탄성체의 평균 입경은 수평균 입경이 된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containing the acrylic elastomer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when such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mixed with an acrylic resin and made into a film and the cross section thereof is dy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ruthenium oxide, only the rubber elastomer layer is colored and observed in a nearly circular shape, and the acrylic resin in the parent layer is not dyed. Thus, from the cross-section of the thus-dyed film, a flake is prepared using a microtome or the like, and the flake i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hen, 100 dyed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randomly extracted to calculate the respective particle diameters, and the number average value is taken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Since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by such a metho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elastic body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이고, 그 안에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를 감싸고 있는 고무 탄성체 입자를 이용한 경우, 그것을 모체의 아크릴계 수지에 혼합하면, 고무 탄성체 입자의 최외층이 모체의 아크릴계 수지와 혼화한다. 그 때문에, 그 단면을 산화루테늄으로 염색하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그 고무 탄성체 입자가, 최외층을 제거한 상태의 입자로서 관찰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층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이고, 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인 2층 구조의 고무 탄성체 입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내층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부분이 염색되어 단층 구조의 입자로서 관찰되고, 또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이고, 중간층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이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인 3층 구조의 고무 탄성체 입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최내층의 입자 중심 부분이 염색되지 않고, 중간층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부분만이 염색된 2층 구조의 입자로서 관찰되게 된다. When the outermost layer is a hard polymer mainly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surrounding the acrylic elastomer are used, when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mixed with the acrylic resin of the matrix, the outermost layer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the acrylic polymer It is miscible with resin. Therefore, when the cross section is dyed with ruthenium oxide and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observed as particles with the outermost layer remov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using a rubber elastomer particle having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layer is an acrylic elastomer and the outer layer is a hard polymer mainly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the acrylic elastomer portion of the inner layer is dyed, And the innermost layer is a hard polymer mainly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the middle layer is an acrylic elastomer, and the outermost layer is a hard polymer mainly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The particle center portion of the innermost layer is not dyed and only the acrylic elastom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observed as a dyed two-layer structure particle.

이러한 고무 탄성체 입자는, 전술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투명한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25∼45 중량%의 비율로 배합된다. 고무 탄성체 입자를 이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필름에 대한 제막성을 높이고,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내충격성을 높이고, 나아가 필름 표면에 약간의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슬립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현된다. Such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compounded in a proportion of 25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the total amount of the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By blending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n this ratio, the film-forming property to the film is enhance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obtained optical film is enhanced, and furthermore, the surface of the film is slightly irregularly formed.

(활제)(Lubricant)

본 발명에서는, 이상 설명한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가 소정량 배합되어 이루어진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소량의 활제를 배합하여 수지 활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다음에 광학 필름에 제막한다. 이를 위해 이용하는 활제는, 아크릴계 수지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된다.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화합물의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스테아린산계 화합물이 활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ous active material composition is prepared by adding a small amount of a lubricant to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prepared by mix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ubber elastomer particles with the above-mentioned acrylic resin, and then the optical film is formed. The lubricant used for this purpose may be one having a function of improving the slipperiness of the acrylic resin film surface.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such a function include a stearic acid compound, an acrylic compound and an ester compound. Among th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earic acid-based compound is preferably used as a lubricant.

활제가 되는 스테아린산계 화합물의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자체 외에, 스테아린산메틸이나 스테아린산에틸,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스테아린산에스테르; 스테아린산아미드; 스테아린산나트륨이나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리튬,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같은 스테아린산금속염;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나트륨,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아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칼슘,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리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같은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그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스테아린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Examples of the stearic acid-based compound to be a lubricant include stearic acid esters such as methyl stearate, ethyl stearate and monoglyceride stearate in addition to stearic acid itself; Stearamide; Stearic acid metal salts such as sodium stearate, calcium stearate, zinc stearate, lithium stearate, and magnesium stearate; Hydroxystearic acid such as 12-hydroxystearic acid, sodium 12-hydroxystearate, zinc 12-hydroxystearate, calcium 12-hydroxystearate, lithium 12-hydroxystearate and magnesium 12- And the like. Among them, stearic acid is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활제의 배합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아크릴계 수지 및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09 중량부의 범위로 한다. 활제의 보다 바람직한 배합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중량부 이상, 또한 0.07 중량부 이하이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한 활제의 배합량이 0.01 중량부를 하회하면, 충분한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얻을 수 없고, 감겨 조여짐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그 배합량이 0.09 중량부를 넘으면, 활제가 필름으로부터 블리드아웃되거나,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lubricant is set in the range of 0.01 to 0.09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total of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A more preferable blending amount of the lubricant is 0.0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07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lubricant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sufficient slipperiness of the film surface can not be obtained and winding tightness tends to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blending amount exceeds 0.09 parts by weight, the lubricant may bleed out from the film or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deteriorated.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 및 활제가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조성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그 제조 방법은 임의이다. 예컨대, 우선 고무 탄성체 입자를 제조하고, 그것의 존재하에 아크릴계 수지의 원료가 되는 단량체를 중합시키고, 모체의 아크릴계 수지를 생성시켜,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하고, 여기에 활제를 소정량 첨가하는 방법, 고무 탄성체 입자와 아크릴계 수지를 혼합하여 소정 조성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하고, 여기에 활제를 소정량 첨가하여 용융 혼련 등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resinous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rubber-based elastomer particles and the lubricant are blended with the acrylic resin may be fin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is arbitrary. For example, first,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produced, and then the monomer as a raw material of the acrylic resin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to form an acrylic resin of the matrix to obtain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rubber elastomer particles. A method of mixing rubber elastomer particles and an acrylic resin to prepare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composition, ad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n activator thereto, and mixing the resultant by melt kneading or the like.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absorber)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활제가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여, 필름으로 했을 때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것이, 그 필름을 편광판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의 주요 용도로서 의도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이 접합된 액정 패널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는 바, 액정 셀에 밀봉되어 있는 액정 물질은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는 태양광을 비롯한 외광이, 또한 배면측에는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이 각각 비치고, 모두 자외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에 자외선 흡수능을 부여하는 것은, 액정 셀 내의 액정 물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The resinous resin composition to which the lubricant is blended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and having an ultraviolet absorbing ability when the film is used as a polarizer. That 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intended as a main applic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as a main component. The liquid crystal material sealed in the liquid crystal cell is deteriorated by ultraviolet rays There are many cases. Since external light including sunlight is reflected on the vie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light from the backlight is reflected on the back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both ultraviolet rays are contain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imparting ultraviolet absorption capability to the polarizer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liquid crystal material in the liquid crystal cell .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함으로써, 편광 필름에 이 보호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편광판이 배치된 액정 셀 내의 액정 물질을 보호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은,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제의 하나이다. The ultraviolet absorber is a compound which absorbs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Whe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an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by blending an ultraviolet absorber. Similarly, an effect of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material in the liquid crystal cel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can also be obtain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known ones such as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acrylonitril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like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2-yl) phenol] 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4-di-tert-butyl-6- (5-chlorobenzotriazol- 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and the like. Among them,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is preferable, and for example,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 ) Phenol] is one of the preferred ultraviolet absorbers.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광학 필름의 파장 370 nm 이하에서의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파장 380 nm에서의 투과율이, 25% 이하, 나아가 15% 이하, 특히 7% 이하가 되도록,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투과율이 여기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하도록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결정하면 되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아크릴계 수지 및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 정도, 특히 0.5∼2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상기 투과율을 만족하도록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자외선 흡수제를 미리 아크릴계 수지 중에 배합하여 펠렛화해 두고, 이것을 용융 압출 등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하는 방법, 용융 압출 성형시에 직접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어느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can be selected within a range that the transmittance at the wavelength of 370 nm or less of the optical film i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5% or less, further preferably 2% or less. It is also preferable to blend the ultraviolet absorber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film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25% or less, more preferably 15% or less, particularly 7% or less. The blending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film satisfies the conditions shown here. Specifically, the blending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0.1 to 2.5 w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total of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Preferably about 0.5 to 2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ing agent is preferably determined so as to satisfy the transmittance. Examples of the method of incorporating an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a method of blending an ultraviolet absorber into an acrylic resin and pelletizing it in advance and molding the resultant into a film by melt extrusion or the like, a method of directly adding an ultraviolet absorber during melt extrusion molding, and the like , Any method can be used.

(수지 조성물의 임의 성분)(Optional component of the resin composition)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 및 활제가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 혹은 자외선 흡수제가 더 배합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rubber-based elastomer particles and the lubricant are blended with the acrylic resin or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fluorescent whitener, a dispersant, a heat stabilizer, a light stabilizer, an infrared absorbent, an antistatic agent, And the like.

적외선 흡수제는, 파장 800 nm 이상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화합물이다. 예컨대, 니트로소 화합물, 그 금속 착염, 시아닌계 화합물, 스쿠아릴륨계 화합물, 티올니켈 착염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트리아릴메탄계 화합물, 이모늄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아미노 화합물, 아미늄염계 화합물, 카본블랙, 산화인듐주석, 산화안티몬주석, 주기율표의 4A족, 5A족 또는 6A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 탄화물 또는 붕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적외선 흡수제는, 적외선(파장 약 800∼1100 nm의 범위의 광) 전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적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광학 필름의 파장 800 nm 이상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The infrared absorbing agent is a compound that absorbs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800 nm or more. Examples of the compound include a nitroso compound, a metal complex salt thereof, a cyanine compound, a squarylium compound, a thiol nickel complex salt compound, a phthalocyanine compound, a naphthalocyanine compound, a triarylmethane compound, an iminium compound, a diimonium compound, Carbons, indium tin oxides, antimony tin oxides, oxides, carbides or borides of metals belonging to the 4A group, 5A group or 6A group of the periodic table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se infrared absorbing agents are preferably selected so as to be able to absorb infrared rays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about 800 to about 1100 nm), and two or more kinds of infrared absorbing ag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infrared absorb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at the wavelength of 800 nm or more of the optical film is 10% or less.

(광학 필름에 관한 그 밖의 설명)(Other Explanation of Optical Film)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그 유리 전이 온도 Tg가 80∼12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조성물은, 필름으로 성형했을 때의 표면의 경도가 높은 것, 구체적으로는 JIS K 5600-5-4: 1999 「도료 일반 시험 방법-제5부: 도막의 기계적 성질-제4절: 스크래치 경도(연필법)」에 준하여 하중 500 g에서 측정되는 연필 경도가 H 또는 그것보다 딱딱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ithin a range of 80 to 120 캜. This composition is also characterized by having a high hardness of the surface when molded into a film, more specifically, JIS K 5600-5-4: 1999 " General Test Methods for Paint " - Part 5: Mechanical Properties of Coating Film - Hardness (pencil method) ", the pencil hardness measured at a load of 500 g is preferably H or harder than that.

또한 이 조성물은, 광학 필름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JIS K 7171: 2008 「플라스틱-굽힘 특성을 구하는 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굽힘 탄성률이 150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굽힘 탄성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MPa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Pa 이하이다. 이 굽힘 탄성률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의 아크릴계 수지나 고무 탄성체 입자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변동하며, 예컨대,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굽힘 탄성률은 작아진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알킬의 단독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보다, 메타크릴산알킬과 아크릴산알킬 등과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편이, 일반적으로 굽힘 탄성률은 작아진다. 한편,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 상기 3층 구조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를 이용하는 것보다, 상기 2층 구조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를 이용하는 편이, 일반적으로 굽힘 탄성률은 작아지고, 단층 구조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를 이용하는 편이, 굽힘 탄성률은 한층 더 작아진다. 또한 고무 탄성체 입자 중, 탄성체의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또는 탄성체의 양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굽힘 탄성률은 작아진다. 따라서, 아크릴계 수지나 고무 탄성체 입자의 종류나 양을 상기 소정의 범위에서 조정하여, 굽힘 탄성률이 1500 MPa 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the flexibility of the optical film, the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flexural modulus of not more than 1500 MPa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71: 2008 " Method for obtaining plastic-bending properties ". The flexural modulus is more preferably 1300 MPa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1200 MPa or less. This bending elastic modulu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the acrylic resin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or the amou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For example, as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ncreases, the flexural modulus generally decreases. 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homopolymer of an alkyl methacrylate is used as the acrylic resin, a copolymer of an alkyl methacrylate and an alkyl acrylate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but the bending elastic modulus generally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of the above-mentioned two-layer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of the above three-layer structure as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the bending elastic modulus generally becomes smaller, When used, the flexural modulus of elasticity is further reduced. Further, in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the small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lastic body or the larger the amount of the elastic body, the lower the bending elastic modulus generally becomes. Therefore, the type and amount of the acrylic resin or rubber elastomer particles may be adjusted within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bending elastic modulus becomes 1500 MPa or less.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를 소정량 배합하고, 활제를 소량 더 배합한 수지 활제 조성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가 더 배합되어 형성되지만, 이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을 하나의 층으로 하는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을 다층 구성으로 하는 경우, 상기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 이외에 존재할 수 있는 층은, 그 조성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예컨대,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조성물의 층이어도 좋고, 함유량이나 평균 입경이 본 발명에 규정하는 범위밖인 고무 탄성체 입자와 아크릴계 수지의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이어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2층 또는 3층 구성이며, 예컨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의 층/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조성물의 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성이나,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의 층/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조성물의 층/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의 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다층 구성의 광학 필름을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편광판으로 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을, 편광 필름에 대한 접합면으로 하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d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ubber elastomer particles to an acrylic resin and forming a resinous active material compositi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a lubricant is further blended, and further preferably an ultraviolet absorber is further blended.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layer formed of the active agent composition is a single layer. In the case where the optical film has a multilayer structur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layer that may be present in the layer other than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ous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example, the layer may be an acrylic resin containing no rubber elastomer particles or a composition thereof , Or a layer formed of a composition of rubber elastic particles and an acrylic resin having a content or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utside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resinous resin composition layer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 layer of an acrylic resin containing no rubber elastomer particles or a layer of the composition, or a two- A three-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layer of a resinous active agent composition / an acrylic resin containing no rubber elastic particles or a layer of the composition / a layer of the resinous active agent composition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tical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s bonded to a polarizing film to form a polarizing plate,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activating composition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onding surface to the polarizing film.

또한, 광학 필름을 다층 구성으로 하는 경우, 고무 탄성체 입자나 상기 첨가제의 각 층에서의 함유량을 서로 다르게 해도 좋다.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층을 사이에 두고, 자외선 흡수제 및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보다 높아지도록 해도 좋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색조를 악화시키지 않고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장기 사용시의 편광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optical film has a multilayer structure,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nd the additive in each lay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layer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and / or an infrared absorb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layer not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and an infrared absorber are stacked may be employed.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layer made of the resinous resin composition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higher tha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layer made of acrylic resin or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no rubber elastomer particles, , Ultraviolet rays can be efficiently blocked without deteriorating the color ton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degree of polarization during long-term use.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상기에서 설명한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가 소정량 배합되고, 활제가 소량 더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 혹은 자외선 흡수제가 더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을 제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광학 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통상 5∼200 ㎛ 정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forming a resin liner composi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blended with the above-mentioned acrylic resin, a small amount of liner is further blended, or a resinous liner composition further blended with an ultraviolet absorber. When this optical film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its thickness can be arbitrarily selected within a range of usually about 5 to 200 mu m. The thickness thereof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150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占 퐉 or less.

제막에는, 지금까지 설명한 수지 활제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2개의 금속제 롤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로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 경우, 금속제 롤은, 경면 롤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을 다층 구성으로 제조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을, 다른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조성물과 함께, 다층 공압출하여 제막하면 된다. A method of melt-extruding the resin-activator composition described so far and sandwiched between two metal rolls is preferably used for the film formation. In this case, the metal roll is preferably a mirror-surface roll, and thus an optical film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can be obtained. In the case of producing the optical film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resin-bound active matrix resin composition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multilayer co-extrusion with other acrylic resin or composition thereof.

(광학 필름에 임의로 부가할 수 있는 기능)(A function that can be arbitrarily added to the optical film)

광학 필름에는, 액정 모듈의 조립 공정도에서의 표면의 스크래치 방지의 관점에서, 하드코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편광판을 형성하는 경우, 대전 방지 기능은, 상기 광학 필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부여할 수 있는 것 외에, 점착제층 등 이 광학 필름이 내장된 편광판의 다른 부분에 부여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에 대한 표면 처리로는, 그 밖에 반사 방지 처리나 방오 처리 등도 들 수 있다. 나아가, 시인성 향상, 외광의 비침 방지, 프리즘 시트와 컬러 필터의 간섭에 의한 므와레 저감 등의 관점에서, 방현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방현 처리를 실시하여 방현성 필름으로 하는 형태에 관해서는, 항을 바꾸어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그 밖의 기능층에 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The optical film can be subjected to a hard coat treatment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iquid crystal modul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such as antistatic treatment. However,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formed by using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ing film, the antistatic function can be imparted by subjecting the optical film to surface treatment, Or may be imparted to other portions of the built-in polarizing plate.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for the optical film include an antireflection treatment and an antifouling treatment. Further, the antiglare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from the viewpoints of improvement in visibility, prevention of external light exposure, reduction in light and light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prism sheet and the color filter,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form in which the anti-glare treatment is carried out to make the film a diaphragm,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y changing the terms, and the other functional layers will be described here in order.

(하드코트층) (Hard coat layer)

하드코트층은, 광학 필름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지며, 표면의 스크래치 방지 등의 목적으로 형성된다. 하드코트층은, JIS K 5600-5-4: 1999 「도료 일반 시험 방법-제5부: 도막의 기계적 성질-제4절: 스크래치 경도(연필법)」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하드코트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유리판 상에 놓고 측정함)에서, 2H 또는 그것보다 딱딱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열이나 광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유기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유기 하드코트 재료나, 이산화규소 등의 무기 하드코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양호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및 다작용 아크릴레이트계 하드코트 재료가 바람직하다. The hard coat layer ha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surface hardness of the optical film and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r the like. The hard coat layer is subjected to a pencil hardness test specified in JIS K 5600-5-4: 1999 "General Test Methods for Paint- Part 5: Mechanical Properties of Coating Film- Section 4: Scratch Hardness (Pencil Method) Is measured by placing the formed optical film on a glass plate), it is preferable to show 2H or a harder value thereof. The material for forming such a hard coat layer is generally cured by heat or light. For example, organic hard coat materials such as organic silicon type, melamine type, epoxy type, acrylic type, and urethane acrylate type, and inorganic hard coat materials such as silicon dioxide can be used. Of these, urethane acrylate-based and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hard coat material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good adhesion to the acrylic resin film of the substrate and excellent productivity.

하드코트층은, 필요에 따라, 굴절률의 조정, 굽힘 탄성률의 향상, 체적 수축률의 안정화, 나아가 내열성, 대전 방지성, 방현성 등의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각종 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The hard coat layer may contain various fillers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improving the flexural elastic modulus, stabilizing the volume shrinkage ratio, and further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tistatic property, light resistance and the like. The hard coat layer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n antistatic agent, a leveling agent, and an antifoaming agent.

(대전 방지층)(Antistatic layer)

대전 방지층은, 필름의 표면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는 등의 목적으로 형성된다. 대전 방지층의 형성에는, 예컨대, 도전성 물질(대전 방지제)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하드코트 재료에 대전 방지제를 공존시켜 둠으로써, 대전 방지성의 하드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antistatic layer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surface of the film and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static electricity. The antistatic layer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tistatic agent). For example, an antistatic hard coat layer can be formed by allowing an antistatic agent to coexist in the hard coat material used for forming the above-mentioned hard coat layer.

(반사 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반사 방지층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층이며, 광학 필름의 표면(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직접, 또는 하드코트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은, 파장 430∼700 nm의 광에 대한 입사각 5°에서의 반사율이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파장 550 nm의 광에 대한 동일한 입사각에서의 반사율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reflection layer is a layer for prevent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and is formed directly on the surface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tical film, or through another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The optical film on which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preferably has a reflectance of 2% or less at an incident angle of 5 DEG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30 to 700 nm. Particularly, the reflectance at a same incident angle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550 nm is 1% desirable.

반사 방지층의 두께는, 0.01∼1 ㎛ 정도로 할 수 있지만, 0.02∼0.5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그것이 형성되는 층(광학 필름이나 하드코트층 등)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 구체적으로는 1.30∼1.45의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진 것,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박막의 저굴절률층과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박막의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것 등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about 0.01 to 1 mu m, more preferably 0.02 to 0.5 mu m. The antireflection layer is composed of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ayer (optical film or hard coat layer or the like) on which it is formed, specifically, a refractive index of 1.30 to 1.45, A plurality of thin film high refractive index layers made of an inorganic compound alternately stacked, or the like.

상기 저굴절률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굴절률이 작은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refractive index is small.

예컨대,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 수지 중에 콜로이달 실리카와 같은 무기 미립자를 분산시킨 하이브리드 재료,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는 졸-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저굴절률층은, 중합이 끝난 폴리머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전구체가 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상태로 도포하고, 그 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재료는, 방오성을 부여하기 위해, 분자 내에 불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an ultraviolet ray-curable acrylic resin, a hybrid material in which inorganic fine particles such as colloidal silica are dispersed in a resin, and a sol-gel material containing an alkoxysilane.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polymer after polymerization, o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monomer or oligomer to be a precursor, and then polymerizing and curing it. Further, each of the materials preferably contains a compound having a fluorine atom in the molecule in order to impart antifouling property.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졸-겔 재료로는,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분자 내에 불소 원자를 갖는 졸-겔 재료의 전형적인 예를 들면,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콕시실란이 있다.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콕시실란은, 예컨대, 식:As the sol-gel material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those having fluorine atoms in the molecule are preferably used. A typical example of a sol-gel material having fluorine atoms in the molecule is polyfluoroalkylalkoxysilane. The polyfluoroalkylalkoxysilane is, for example,

CF3(CF2)nCH2CH2Si(OR)3 CF 3 (CF 2 ) n CH 2 CH 2 Si (OR) 3

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여기서, R은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12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식 중의 n이 2∼6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 Wherein R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12. Among them, a compound in which n is 2 to 6 in the above formula is preferable.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콕시실란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fluoroalkylalkoxysilane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3-trifluoropropyltrimethoxysilane,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3,3-trifluoropropyltriethoxysilane,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trimethoxysilane,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triethoxysilane,

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3,3,4,4,5,5,6,6,7,7,8,8,9,9,10,10,10-heptadecafluorodecyl trimethoxysilane,

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 3,3,4,4,5,5,6,6,7,7,8,8,9,9,10,10,10-heptadecafluorodecyl triethoxysilane and the like.

저굴절률층은, 열경화성 불소 함유 화합물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불소 함유 화합물의 경화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화물은, 그 동마찰 계수가 0.03∼0.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12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불소 함유 화합물로는, 폴리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예컨대, 상기 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 외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들 수 있다.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fluorine-containing compound or an ionizing radiation-curabl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The cured product preferably has a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in the range of 0.03 to 0.15, and preferably has a contact angle to water in the range of 90 to 120 degrees. Examples of the curabl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include polyfluoroalkyl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s (for example, 3,3,4,4,5,5,6,6,7,7,8,8,9,9,10,10, 10-heptadecafluorodecyltriethoxysilane, etc.), and fluorine-containing polymers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불소 함유 모노머와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또는 불소 함유 모노머와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하고, 이어서 중합체 중의 작용기에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부가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The fluorine-containing poly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n be prepared by copolymerizing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with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r by copolymerizing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with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and then polymerizing th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then adding the compound.

여기서 이용하는 불소 함유 모노머로는, 예컨대, 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과 같은 플루오로올레핀류, 그 밖에, (메트)아크릴산의 부분 또는 완전 불소화알킬에스테르 유도체류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fluorine-containing monomer to be used herein include fluoroolefins such as fluoroethylene, vinylidene fluoride, 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and perfluoro-2,2-dimethyl-1,3-dioxol And other partially or completely fluorinated alkyl ester derivatives of (meth) acrylic acid, and fully or partially fluorinated vinyl ethers.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가교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나 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알릴아크릴레이트나 알릴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케닐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술폰산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r a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monomers having a glycidyl group such as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such as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 such as hydroxyalkyl acrylate and hydroxyalkyl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an alkenyl group such as allyl acrylate or allyl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an amino group; And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내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불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화합물 미립자가 알콜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졸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용하는 무기 화합물 미립자는, 반사 방지성의 관점에서, 굴절률이 작은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화합물 미립자는, 공극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특히 실리카의 중공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중공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5∼200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10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입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구해지는 수평균 입경이다.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include a sol in which inorganic compound fine particles such as silica, alumina, titania, zirconia, magnesium fluoride, etc. are dispersed in an alcohol solvent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res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antireflection property,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to be used for this purpose preferably have a smaller refractive index. These inorganic compound fine particles may have voids, and hollow fine particles of silica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ollow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2000 nm, more preferably 20 to 10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referred to herein is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deter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방오층)(Stratum corneum)

방오층은, 발수성, 발유성, 내한성, 방오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 방오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는,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이다.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로는, 플루오로카본, 퍼플루오로실란, 이들의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오층의 형성 방법은,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서, 증착이나 스퍼터링을 대표예로 하는 물리적 기상 성장법, 화학적 기상 성장법, 습식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오층의 평균 두께는, 통상 1∼50 nm 정도, 바람직하게는 3∼35 nm이다. The antifouling layer is formed to impart water repellency, oil repellency, cold resistance, antifouling property and the like. A preferred material for forming the antifouling layer is a fluorine-containing organic compound. Examples of the fluorine-containing organic compound include fluorocarbon, perfluorosilane, and polymer compounds thereof. The method of forming the antifouling layer may be physical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wet coating or the like, in which vapor deposition and sputtering are typical examples, depending on the material to be form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ntifouling layer is usually about 1 to 50 nm, preferably 3 to 35 nm.

(방현성 필름)(Repellent film)

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탄성체 입자가 소정량 배합되고, 활제가 소량 더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혹은 자외선 흡수제가 더 배합된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그 표면에 방현층을 형성하여 방현성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즉, 방현성 필름은, 광학 필름과 그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표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으로 이루어진다. 방현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층이고,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하드코트 재료로 형성된다.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blended with an acrylic resin and a resin activator compositi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a lubricant is further blended, or a resinous active composition in which an ultraviolet absorber is further blended is formed, So that it can be made into a flammable film. That is, the antireflection film is composed of an optical film and an antiglare layer having a fine surface relief shap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he antiglare layer is a layer having a fine concavo-convex shape on its surface, and is preferably formed of the aforementioned hard coat material.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막을 형성하여, 그 미립자에 기초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는 도막을 형성한 후, 표면에 요철 형상이 부여된 롤에 압박하여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엠보스법이라고도 불림)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광학 필름 표면에, 경화성의 투명 수지에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가 배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The antiglare layer having fine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may be formed by forming a coating film containing organic fine particles or inorganic fin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o form irregularities based on the fine particles or 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film containing organic fine particles or inorganic fine particles Or a method in which a concavo-convex shape is transferred onto a roll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thereof (also referred to as an embossing method), or the like. Examples of the method for forming the coating film include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mprising a composition in which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blended with a curable transparent resin on the surface of an optical film.

(미립자)(Fine particles)

방현층을 형성하기 위해 미립자를 배합하는 경우, 그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5∼5 ㎛이고,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0.2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 및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이 범위에 있는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헤이즈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동적 광산란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메이커로부터 입수한 값을 그대로 이용했다. 이 평균 입경은 중량 평균 입경이 된다. When fine particles are blended to form the antiglare layer, the fine particles preferabl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to 5 mu m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the transparent resin of 0.02 to 0.2. By using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the transparent resin 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velop haz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obtained by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or the lik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was directly used as the value obtained from the manufactur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방현층을 형성하기 위한 무기 미립자로는,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카올린, 탈크, 운모,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미립자로는, 일반적으로 수지 입자가 이용되며, 예컨대, 가교 폴리아크릴산 입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이미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silica, colloidal silica, alumina, alumina sol, aluminosilicate, alumina-silica composite oxide, kaolin, talc, mica,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organic fine particles, resin particles are generally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particles, methyl methacrylate / styrene copolymer resin particles, crosslinked polystyrene particles, crosslinked polymethyl methacrylate particles, silicone resin particles, And the like.

(방현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투명 수지)(A transparent resin used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무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투명 수지는, 고경도(하드코트)로 이루어진 재료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 수지로는,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생산성이나 얻어지는 피막의 경도 등의 관점에서, 광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경화성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다작용 아크릴레이트가 이용된다. 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디- 또는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의 트리- 또는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분자 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아크릴레이트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 다작용 아크릴레이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resin for dispersing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or the organic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hard coat). As such a transparent resin, a photo-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n electron beam-curable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but a photo-curable resin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productivity and hardness of the resulting film. As the photo-curing resin, a polyfunctional acrylate is generally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di- or tri-acrylate of trimethylolpropane, tri- or tetra-acrylate of pentaerythritol,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which is the reaction product of an acrylate having at least one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with a diisocyanate . These polyfunctional acrylat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necessary.

또한,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폴리머의 혼합물을 광경화성 수지로 할 수도 있다. 이 광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및/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 및/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폴리올로부터, 분자 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1개 갖는 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를 조제하여, 이것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앞서 게재한 광경화성 수지 자체도 되는 것이다. 그 제조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산 및/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각각 1종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고,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도 마찬가지로, 각각 1종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Also, a mixture of a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a polyol (meth) acrylate, and a (meth) acrylic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may be used as a photo-curable resin. The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constituting the photo-curable resin is prepared by using,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and / or (meth) acrylic acid ester, polyol and diisocyanate. Specifically, a hydroxy (meth) acrylate having at least one hydroxyl group in a molecule is prepared from (meth) acrylic acid and / or a (meth) acrylic acid ester and a polyol and reacted with a diisocyanate to obtain a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 Rate can be produced. The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produced in this manner is also the photocurable resin itself which has been previously disclosed. In the production thereof, the (meth) acrylic acid and / or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ay be used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the polyol and the diisocyanate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하나의 원료가 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메트)아크릴산의 쇄형 또는 환형 알킬에스테르일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The (meth) acrylic acid ester which is one raw material of th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may be a chain or cyclic alkyl ester of (meth) acrylic aci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 (meth) acrylates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And cycloalkyl (meth) acrylates such as cyclohexyl (meth) acrylate.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또 하나의 원료가 되는 폴리올은, 분자 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히드록시피발산의 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 시클로헥산디메틸올, 1,4-시클로헥산디올, 스피로글리콜,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3-메틸펜탄-1,3,5-트리올,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오스류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ol which is another raw material of th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hydroxyl groups in the molecule. Examples thereof include aliphatic diol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1,3-propanedi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3-butanediol, Nonanediol, 1,10-decanediol, 2,2,4-trimethyl-1,3-pentanediol, 3-methyl-1,5-pentanediol, neopentyl glycol esters of hydroxypivalic acid, cyclohexanedimethylol , Hydrogenated bisphenol A, ethylene oxide adduct bisphenol A, propylene oxide adduct bisphenol A, trimethylol ethane, trimethylol propane, glycerin, 3-methylpentane-1,6-hexanediol, 1,4-cyclohexanediol, spiroglycol, tricyclodecane dimethylol, hydrogenated bisphenol A, 1,3,5-triol, pentaerythritol, dipentaerythritol, tripentaerythritol, glucose and the like.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또 다른 하나의 원료가 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 내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토기(-NCO)를 갖는 화합물이며,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각종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중 방향환을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핵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The diisocyanate which is another raw material of th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is a compound having two isocyanato groups (-NCO) in the molecule and various aromatic, aliphatic or alicyclic diisocyanates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include tetrameth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2,4-tolylene diisocyanate, 4,4'-diphenyl diisocyanate, 1,5-naphthalene diisocyanate, 3,3 ' -Dimethyl-4,4'-diphenyl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a nuclear hydrogen addition product of a diisocyanate having an aromatic ring therebetween. .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즉,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그 구체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polyol (meth) acrylate constituting the photocurable resin together with th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is a (meth) acrylate of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hydroxyl groups in the molecule (that is, a polyol).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polyol (meth) acrylat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olyol (meth) acrylate preferably includes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 or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또한, 이들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광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폴리머는, 하나의 구성 단위 중에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알킬기를 갖는 것이다. 예컨대,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머나,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h) acrylic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constituting the photocurable resin together with thes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s and polyol (meth) acrylates is a polymer having two hydroxyl groups in one constituent unit Or more. For example, a polymer containing 2,3-dihydroxypropyl (meth) acrylate as a constitutional unit or a polymer containing 2,3-dihydroxypropyl (meth) 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 As a constituent unit, and the like.

이상, 예시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의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광학 필름과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표면의 스크래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By using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on to the optical film is improved, the mechanical strength is improved, and a retardation film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can be obtained.

(광중합 개시제)(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이러한 광경화성 수지는, 광중합 개시제와 조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된다. 광중합 개시제에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에테르계, 아민계, 포스핀옥사이드계 등, 각종의 것이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 분류되는 화합물의 예를 들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별칭 벤질디메틸케탈),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등이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 분류되는 화합물의 예를 들면, 벤조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이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 분류되는 화합물의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등이 있다. 아민계 광중합 개시제로 분류되는 화합물의 예를 들면,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별칭 미힐러 케톤) 등이 있다. 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의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있다. 그 밖에, 크산톤계 화합물이나 티옥산톤계 화합물 등도, 광중합 개시제로서 알려져 있다. Such a photocurable resin become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n combination with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various ones such as acetophenone, benzophenone, benzoin ether, amine, and phosphine oxide. Examples of the compound classified as an 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aka benzyldimethyl ketal), 2,2-diethoxyacetophenone, 1- (4- ), 2-methyl-2-morpholino-1- (4-methylthiophenyl) propan-1-one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compound classified as a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phenone, 4-chlorobenzophenone, 4,4'-dimethoxybenzophenone, and the like. Examples of compounds classified as benzoin ethe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ompound classified as an ami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N, N, N ', N'-tetramethyl-4,4'-diaminobenzophenone (alias Michler's ketone). Examples of the phosphine oxid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In addition, xanton-based compounds and thioxanthone-based compounds are also known a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시판되고 있다. 대표적인 시판품의 예를 상품명으로 들면, 스위스의 치바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가큐어 907" 및 "일가큐어 184", 독일의 BASF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루시린 TPO" 등이 있다. Thes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Examples of typical commercial products include "ILVACURE 907" and "ILVACURE 184" sold by Chiba of Switzerland, and "Lucillin TPO" sold by BASF of Germany.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그 밖의 성분)(Other components incorporated 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용매가 첨가된다. 이 경우는, 예컨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임의의 유기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2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To the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a solvent is added if necessary. In this case, for example, any organic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such as ethyl acetate or butyl acetate can be used. Of course, two or more kinds of organic solvents may be mixed and used.

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함유해도 좋고, 예컨대,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실리콘계의 레벨링제에는, 반응성 실리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등이 있다. 실리콘계 레벨링제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반응성 실리콘 및 실록산계의 레벨링제이다. 반응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레벨링제를 이용하면, 하드코트층 표면에 슬립성이 부여되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실록산계의 레벨링제를 이용하면, 막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leveling agent, for example, a fluorine-based or silicone-based leveling agent. Silicone leveling agents include reactive silicones, polydimethylsiloxanes,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s, and polymethylalkylsiloxanes. Among silicone leveling agents, preferred are leveling agents based on reactive silicones and siloxanes. When a leveling agent composed of reactive silicon is used, slip property is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and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can be sus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a leveling agent based on siloxane is used, film formability can be improved.

(방현층의 형성)(Formation of an antiglare layer)

방현층의 형성에 상기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이상 설명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무기 또는 유기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후, 이 수지 조성물을 광학 필름 상에 도포하고 광을 조사함으로써, 투명 수지 중에 미립자가 분산된 하드코트층(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photocurable resin is used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inorganic or organic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described above, the resin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optical film, A hard coat layer (antiglare layer) in which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transparent resin can be formed.

한편, 엠보스법에 의해 미세 표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금형의 형상을 광학 필름 상에 형성된 수지층에 전사하면 된다. 엠보스법에 의해 미세 표면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요철 형상이 전사되는 수지층은, 무기 또는 유기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함유하지 않아도 좋다. 엠보스법에 의한 요철 형상의 전사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UV 엠보스법이 채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ming the antiglare layer having the fine surface relief shape by the embossing method, the shape of the mold may be transferred to the resin layer formed on the optical film by using the mold having the fine unevenness. In the case of forming the fine surface relief shape by the embossing method, the resin layer to which the relief shape is transferred may or may not contain inorganic or organic fine particles. The transfer of the convexo-concave shape by the embossing method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UV embossing method using an ultraviolet curing resin.

UV 엠보스법에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을 금형의 요철면에 압박하면서 경화시킴으로써, 금형의 요철면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에 전사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 상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공하고, 도공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금형의 요철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광학 필름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다음으로, 경화후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금형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금형의 형상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전사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대신, 광중합 개시제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자외선보다 파장이 긴 가시광으로 경화가 가능한 가시광 경화성 수지를 이용해도 좋다. In the UV embossing method,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n optical film, and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cured while pressing the uneven surface of the mold to transfer the uneven surface of the mold to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Specifically, an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is coated on an optical film, the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i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optical film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coated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is in contact with the uneven surface of the mold, The optical film having the ultraviolet-curing resin layer formed thereon is peeled from the mold, and the shape of the mold is transferred to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The kind of ultraviolet ray-curabl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kinds of the above-mentioned ultraviolet ray-curable resins can be used. In place of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resin, a visible light hardening resin that can be cured to visible light having a longer wavelength than ultraviolet ray may be us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방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 ㎛ 이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방현층의 두께가 2 ㎛를 하회하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어 표면이 손상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30 ㎛보다 두꺼워지면, 균열되기 쉬워지거나, 방현층의 경화 수축에 의해 방현성 필름이 말려서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2 mu m or more and 30 mu m or less, preferably 3 mu 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 mu m or less. If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is less than 2 占 퐉, sufficient hardness can not be obtained and the surface tends to be damaged. When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is thicker than 30 占 퐉, cracks tend to occur,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drying.

방현성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현층에 의해 헤이즈가 부여된다. 방현성 필름의 헤이즈값은, 5∼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이 5%를 하회하면, 충분한 방현 성능을 얻을 수 없어, 화면에 외광의 비침이 생기기 쉬워진다. 한편, 그 헤이즈값이 50%를 상회하는 영역에서는, 외광이 비치는 것은 저감할 수 있지만, 흑표시의 화면의 선명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헤이즈값은, 전광선 투과율에 대한 확산 투과율의 비율이며, JIS K 7136: 2000 「플라스틱-투명 재료의 헤이즈를 구하는 방법」에 준하여 측정된다. As described above, haze is imparted to the antireflection film by the antiglare layer. The haze value of the repellent film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50%. When the haze value is less than 5%, sufficient antiglare performance can not be obtained and external light is likely to be seen on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where the haze value exceeds 50%, the shining of the external light can be reduced, but the sharpness of the screen of black display is lowered. The haze value is a ratio of the diffusion transmittance to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7136: 2000 " Method for determining haze of plastic-transparent material ".

(편광판 및 방현성 편광판)(Polarizer and Polarizer Polarizer)

이상 설명한 수지 활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광학 필름, 혹은 그 표면에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성 필름은,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에 접합하여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방현성 필름을 편광 필름에 접합하는 경우는, 그 방현층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편광 필름에 접합된다.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필름을 접합하고,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는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접합할 수도 있다. 이하, 단순히 「광학 필름」이라고 할 때에는, 방현성 필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The optical film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resinous active composition or the light-shielding film having the antiglar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may be bonded to a polarizing film as a protective film to form a polarizing plate. When the anti-glare film is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it is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nti-glare film. The optical film or the light-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made of another resin may be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Hereinafter, when it is simply referred to as an " optical film "

(편광 필름)(Polarizing film)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켜, 소정의 편광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일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러한 편광 필름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요오드계 편광 필름과,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유기 염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염료계 편광 필름이 있다. The polarizing film may be one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o as to obtain predetermin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s the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Such a polarizing film includes an iodine-based polarizing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a dye-based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organ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이나,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modified with aldehydes,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may be used.

편광판은 통상,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수분을 조정하는 조습 공정,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붕산 처리후,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遊離) 붕산 등을 씻어 내는 세정 공정, 및 이들 공정이 실시되어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일축 연신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The polarizing plate usually comprises a moisture conditioning step of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 step of dy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to adsorb the dichroic dye A step of treat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 cleaning step of washing off free boric acid or the like attached to the surface after boric acid treatment, and these steps A step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일축 연신은, 염색전에 행해도 좋고, 염색중에 행해도 좋고, 염색후의 붕산 처리중에 행해도 좋다. 이들 복수의 단계로 일축 연신해도 좋다. 일축 연신은,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행해도 좋고, 열 롤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또한, 대기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로 팽윤시킨 상태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4∼8배 정도이다. 연신과 염색이 실시된 폴리비닐알콜계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약 1∼50 ㎛ 정도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35 ㎛ 정도이다.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during dyeing, or during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O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a plurality of such steps. The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tween rolls different in circumferential speed, or may be performed using a heat roll. In addition, dry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the atmosphere, or wet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swollen with a solven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usually about 4 to 8 times.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subjected to stretching and dyeing can be, for example, about 1 to 50 mu m, preferably about 10 to 35 mu m.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접합)(Bonding of polarizing film and optical film)

다음으로,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접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접합에는, 일반적으로 접착제가 이용된다. 접착제로는,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아미드계 수지 등을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접착제의 하나는, 무용제형의 접착제이다. 무용제형의 접착제는, 유의량의 용제를 포함하지 않고,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 등)의 조사에 의해 반응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에 의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며, 전형적으로는, 가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반응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용제형 접착제 중에서는, 반응성의 관점에서, 양이온 중합으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화합물로 하는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는, 편광 필름과, 아크릴계 수지 또는 그 밖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Next, a method of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will be described. An adhesive is generally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As the adhesive, an adhesive containing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 cyanoacrylate resin, an acrylamide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One of the adhesives that is preferably used is an adhesive of a solventless formulation. The adhesive for the solventless form includes a curing compound (monomer or oligomer) that does not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solvent but reacts and cures by irradiation with heating or an active energy ray (for example,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 X- ,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y curing the curable compound, and typically comprises a curable compound which undergoes reaction curing by heating or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mong the non-solvent-type adhesives, it is preferable to cure by cationic polymer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reactivity. Particularly,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solventless type having an epoxy compound as a curable compound is composed of a polarizing film and an acrylic resin or other resin film It is preferably used since it has excellent adhesion with an optical film.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에 함유되는 경화성 화합물인 에폭시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후성이나 굴절률 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화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경화성 화합물인 에폭시 화합물은, 통상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다. The epoxy compound which is the curing compound contained in the epoxy adhesive of the solventless formulation is preferably cured by cationic polymerization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epoxy compound which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in view of weatherability and refractive index desirable.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which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include a hydride of an aromatic epoxy compou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and an aliphatic epoxy compound. The epoxy compound, which is a curable compound, usually has two or more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우선,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화물에 관해 설명한다.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화물은,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촉매의 존재하 및 가압하에, 방향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글리시딜에테르화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컨대,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메탄의 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화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작용형의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원료인 비스페놀류를 대표예로 하는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상기와 같이 핵수소 첨가하여, 그 수산기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키면,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화물이 얻어진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화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에테르가 바람직하다. First, the hydride of the aromatic epoxy compound will be described. The hydride of the aromatic epoxy compound is obtained by subjecting a nuclear hydrogenated polyhydroxy compound obtained by subjecting an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 as a raw material of an aromatic epoxy compound to a hydrogenation reaction selectively with respect to an aromatic ring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under pressure, ≪ / RTI > Examples of the aromatic epoxy compound include bisphenol-type epoxy compounds such as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F and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S; Novolak type epoxy resins such as phenol novolak epoxy resin, cresol novolac epoxy resin and hydroxybenzaldehyde phenol novolac epoxy resin; Polyfunctional epoxy resins such as glycidyl ether of tetrahydroxyphenylmethane, glycidyl ether of tetrahydroxybenzophenone, and epoxylated polyvinylphenol. When an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 represented by a bisphenol as a raw material of these materials is subjected to nuclear hydroge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epichlorohydrin is reacted with the hydroxyl group, a hydride of the aromatic epoxy compound is obtained. Among them, glycidyl ether of hydrogenated bisphenol A is preferable as a hydride of an aromatic epoxy compound.

다음으로,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에 관해 설명한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란,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에폭시 화합물을 의미하고,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다」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식 중, m은 2∼5의 정수이다. Next,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will be described. The term " alicyclic epoxy compound " means an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in the molecule and "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the alicyclic ring " . In the formula, m is an integer of 2 to 5.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따라서,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란, 상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가지며, 그것을 포함하여 분자 내에 합계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에서의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한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 될 수 있다.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직쇄형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에폭시시클로펜탄 고리(상기 식에서 m=3인 것)나, 에폭시시클로헥산 고리(상기 식에서 m=4인 것)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은, 접착 강도가 우수한 접착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바람직한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Therefore,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in the molecule and including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otal in the molecule. More specifically, the compound in which one or more hydrogen atoms of the (CH 2 ) m in the above formula are removed from other groups bonded to other chemical structures may be an alicyclic epoxy compound. (CH 2 ) m may be appropriately substituted with a linear alkyl group such as methyl group or ethyl group. Among these alicyclic epoxy compounds, an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cyclopentane ring (wherein m = 3 in the above formula) or an epoxycyclohexane ring (in which m = 4 in the above formula) has an excellent adhesive strength can be obtained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y used.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ferabl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specifically exemplified.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3,4-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3,4-epoxy-6-methylcyclohexanecarboxylate,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Ethylene bis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Bis (3,4-epoxycyclohexylmethyl) adipate,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Bis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adipate,

디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Di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2,3,14,15-디에폭시-7,11,18,21-테트라옥사트리스피로-[5.2.2.5.2.2]헨이코산(이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산스피로-2',6'-디옥산스피로-3",5"-디옥산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으로도 명명할 수 있음), 2,3,14,15-Diepoxy-7,11,18,21-tetraoxatrispyro- [5.2.2.5.2.2] heneic acid (the compound is 3,4-epoxycyclohexane spiro- , 6'-dioxane spiro-3 ", 5" -dioxan spiro-3 "', 4"' - epoxycyclohexane)

3-(3,4-에폭시시클로헥실)-8,9-에폭시-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Epoxy-1,3-epoxycyclohexyl) -8,9-epoxy-1,5-dioxaspiro [5.5] undecane,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4-vinylcyclohexene dioxide,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Bis-2,3-epoxycyclopentyl ether,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 Dicyclopentadiene dioxide and the like.

또한,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방족 다가 알콜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과 같은 지방족 다가 알콜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Further, the aliphatic epoxy compound may be a polyglycidyl ether of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or an alkylene oxide adduct thereof. More specifically, diglycidyl ether of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of 1,6-hexanediol,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triglycidyl ether of trimethylol propane, di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obtained by adding at least one alkylene oxide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to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such as glycidyl ether, diglycidyl ether of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glycerin, Of polyglycidyl ether, and the like.

이상 설명한 에폭시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The above-described epoxy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epoxy compou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 당량은, 통상30∼3000 g/당량, 바람직하게는 50∼1500 g/당량의 범위이다. 에폭시 당량이 30 g/당량을 하회하면, 그 접착제층을 경화시킨 후의 광학 필름의 가요성이 저하되거나, 접착 강도가 저하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에폭시 당량이 3000 g/당량을 넘으면, 에폭시계 접착제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compound contained in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non-solvent type is usually 30 to 3000 g / equivalent, preferably 50 to 1500 g / equivalent. If the epoxy equivalent is less than 30 g / equivalent, the flexibility of the optical film after curing the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or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epoxy equivalent exceeds 3,000 g / equivalent,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epoxy adhesive may deteriorate.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을 양이온 중합시키기 위해, 통상은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켜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이들 모든 타입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해도 되지만, 잠재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켜,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라고도 칭한다.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solventless formulation usually contains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n order to cationically polymerize the epoxy compound.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itiat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visible light, ultraviolet light, X-rays, and electron beams, or by heating to generate a cationic species or Lewis acid to initia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poxy group. Any of these types of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that the potential is imparted. Hereinafter,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generating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such as visible light, ultraviolet ray, X-ray or electron beam to initia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poxy group is also referred to as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면, 상온에서의 접착제 성분의 경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편광 필름의 내열성 혹은 팽창에 의한 변형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여, 광학 필름을 밀착성 좋게 편광 필름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면, 광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계 접착제에 혼합하더라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The use of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enables the curing of the adhesive component at room tempera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ed to consider deformation due to heat resistance or expans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us the optical film can be 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with good adhesion. Further, when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ed, it acts catalytically by light, so that even when mixed with an epoxy adhesive, the storage stability and workability are excellent.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술포늄염은, 3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도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경화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갖는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romatic diazonium salts; Onium salts such as aromatic iodonium salts and aromatic sulfonium salts; Iron-allene complexe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photo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aromatic sulfonium salts ar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have ultraviolet ray absorption properties even in the wavelength region of 300 nm or more, and thus are excellent in curability and can provide cured products having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이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모두 상품명으로, 니혼카야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카야라드 PCI-220" 및 "카야라드 PCI-620", 유니온카바이드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UVI-6990", (주)ADEKA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데카옵토마 SP-150" 및 "아데카옵토마 SP-170", 니뽄소다(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CI-5102", "CIT-1370", "CIT-1682", "CIP-1866S", "CIP-2048S" 및 "CIP-2064S", 미도리카가쿠(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DPI-101", "DPI-102", "DPI-103", "DPI-105", "MPI-103", "MPI-105", "BBI-101", "BBI-102", "BBI-103", "BBI-105", "TPS-101", "TPS-102", "TPS-103", "TPS-105", "MDS-103", "MDS-105", "DTS-102" 및 "DTS-103", 로디어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PI-2074" 등을 들 수 있다. Thes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can be easily obtained as commercial product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Kayarad PCI-220" and "Kayarad PCI-620" sold by Nippon Kayaku Co., Ltd., Union Carbide "Adeka Optoma SP-150" and "Adeka Optoma SP-170" sold by Nippon Soda Co., Ltd. sold by "ADEKA", "CI-5102" DPI-101 "and" DPI-101 ", which are sold by Midori Kagaku Co., Ltd.," CIT-1370 "," CIT-1682 "," CIP-1866S "," CIP- 103, DPI-103, DPI-103, MPI-105, BBI-101, BBI-102, BBI- 103 "," MDS-103 "," MDS-105 "," DTS-102 "and" DTS-103 "," TPS-101 "," TPS-102 " PI-2074 "sold by Rodi < / RTI >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이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ually 0.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ompound.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광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성이 향상되어, 경화물의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는,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 정도이다.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solventless formulation may contain a photosensitizer in addition to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f necessary. The use of a photosensitizer improves the reactivity and improves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Examples of the photosensitizer include a carbonyl compound, an organic sulfur compound, a persulfate, a redox compound, an azo and diazo compound, a halogen compound, a light reducing pigment and the like. When the photosensitizer is blended, the amount thereof is about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ompound.

또한, 가열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켜,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예컨대, 벤질술포늄염, 티오페늄염, 티오라늄염, 벤질암모늄염, 피리디늄염, 히드라지늄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도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예컨대 모두 상품명으로, (주)ADEKA에서 판매하고 있는 "아데카옵톤 CP77" 및 "아데카옵톤 CP66", 니뽄소다(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CI-2639" 및 "CI-2624", 산신카가쿠코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산에이도 SI-60L", "산에이도 SI-80L" 및 "산에이도 SI-100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Examples of th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generates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heating to initia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poxy group include a benzylsulfonium salt, a thiophenium salt, a thioronium salt, a benzylammonium salt, a pyridinium salt, Zirconium salts, carboxylic acid esters, sulfonic acid esters, amine imides, and the like. Thes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ing systems can be easily obtained as commercial products. For example, "ADEKA OPTON CP77" and "ADEKA OPTON CP66" sold by ADEKA Co., Ltd. and Nippon Soda Co., SANEIDO SI-60L "," SANEIDO SI-80L "and" SANEIDO SI-100L "sold by" SANYO KAGAKU KOGYO Co., And the like. Thes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ddition,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는, 옥세탄류나 폴리올류 등, 양이온 중합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해도 좋다.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solventless formulation may further contain a compound that promotes cationic polymerization such as oxetanes and polyols.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접착은, 상기 접착제를 광학 필름 및/또는 편광 필름의 접착면에 도포하여 양자를 접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편광 필름 및/또는 광학 필름에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공하는 방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예컨대, 닥터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코터, 콤마코터, 그라비아코터 등 여러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최적의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소량의 용제를 이용하여 점도 조정을 해도 좋다. 이것을 위해 이용하는 용제는,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에폭시계 접착제를 양호하게 용해하는 것이면 되고, 예컨대, 톨루엔으로 대표되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n epoxy-based adhesive of a solvent-free formulatio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can be adhered b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nd / or the polarizing film and bonding them togeth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f applying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solventless type to the polarizing film and / or the optical film, and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a doctor blade, a wire bar,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nd a gravure coater can be used. Further, since each coating method has an optimal viscosity range, viscosity adjustment may be performed using a small amount of solvent. The solvent used for this purpo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epoxy adhesive well without deteriorating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For example, organic solvents such as hydrocarbons typified by toluene and esters typified by ethyl acetate can be used have.

미경화의 에폭시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 필름에 광학 필름을 접합한 후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가열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광학 필름을 편광 필름 상에 고착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이 이용된다. 구체적인 자외선 광원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블랙라이트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예컨대 자외선의 조사 강도나 조사량은,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충분히 활성화시키고 경화후의 접착제층이나 편광 필름, 광학 필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가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 때의 온도나 시간도,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충분히 활성화시키고 경화후의 접착제층이나 편광 필름, 광학 필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After the optical film is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via the adhesive layer made of the uncured epoxy adhesive, the adhesive layer is cured by irradiating or heating the active energy ray to fix the optical film on the polarizing film. When curing is carried out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y used. Specific ultraviolet light sources include low pressure mercury lamps, medium pressure mercury lamps, high pressure mercury lamps, black light lamps, and metal halide lamps. The irradiation intensity or irradiation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 for example, ultraviolet ray is suitably selected so as to sufficiently activate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not adversely affect the cured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Further, in the case of curing by heating, it can be heated by a generally known method, and the temperature and time at that tim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sufficiently activated and adverse effects on the cured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and optical film And is appropriately selected.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경화후의 에폭시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1∼50 ㎛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또한, 1∼20 ㎛, 나아가 2∼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de of the epoxy-based adhesive after curing as described above can be usually in the range of about 0.1 to 50 mu m, preferably 1 mu m or more.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1 to 20 占 퐉, and moreover, in the range of 2 to 10 占 퐉.

이상 설명한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합, 혹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합, 또는 이들 양자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above-described solventless form can be suitably used for joining an optical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with a polarizing film or joining an optical film made of a resin film other than an acrylic resin and a polarizing film, .

또한, 광학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합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한 접착제로서, 수계의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한 것, 또는 이것을 물에 분산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수계의 접착제를 이용하면, 접착제층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의 예를 들면, 접착제 성분으로서, 수용성의 가교성 에폭시 수지, 혹은 친수성의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있다. Another preferable adhesive that can be used for bonding the optical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is an aqueous adhesive, that is, an adhesive component dissolved in water, or a dispersion of the adhesive in water. By using an aqueous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ade smaller.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water-soluble crosslinkable epoxy resin or hydrophilic urethane-based resin as an adhesive component.

수용성의 가교성 에폭시 수지로는,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이나 트리에틸렌테트라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의 시판품으로는, 모두 상품명으로, 스미카켐텍스(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미레즈레진 650" 및 "스미레즈레진 675" 등이 있다.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crosslinkable epoxy resin include polyamido polyamine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polyalkylene polyamines such as diethylenetriamine and triethylenetetramine with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epichlorohydrin And a polyamide epoxy resin obtained by the reactio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such polyamide epoxy resins include "Sumirez Resin 650" and "Sumirez Resin 675" sold by Sumika Chemtex Co., Ltd. under the trade names.

접착제 성분으로서 수용성의 가교성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도공성과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의 다른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이나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 외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메틸올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아미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비닐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과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즉,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콜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카르복실기」란, -COOH 및 그의 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When a water-soluble crosslinkable epoxy resin is used as an adhesive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mix other water-soluble resins such as a polyvinyl alcohol resi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atability and the adhesiveness.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contain, in addition to partia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or fu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a modified polyvinyl alcohol such as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methylo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amino group- O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bove all, a saponification product of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its salt, that is,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is preferably used. The term "carboxyl group" as used herein is a concept including -COOH and a salt thereof.

시판되고 있는 바람직한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콜의 예를 들면, 모두 상품명으로,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쿠라레포발 KL-506", "쿠라레포발 KL-318" 및 "쿠라레포발 KL-118", 니뽄고세이카가쿠코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날 T-330" 및 "고세날 T-350", 덴키카가쿠코교(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DR-0415", 니혼사쿠비ㆍ포발(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AF-17", "AT-17" 및 "AP-17" 등이 있다. Examples of preferable commercially available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s include "Kurarupofaru KL-506", "Kurarupofaru KL-318" and "Kurarupofaru KL "DR-0415" sold by Tenkika Kakogyo Co., Ltd., "Kosei T-330" and "Kosei T-350" sold by Nippon Gohsei Kaikakogyo Co., AF-17 "," AT-17 ", and" AP-17 "sold by Sakubi-Poval Co.,

수용성의 가교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의 다른 수용성 수지를 물에 용해하여, 접착제 수용액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성의 가교성 에폭시 수지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2 중량부 정도의 범위의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정도, 나아가 1∼5 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containing a water-soluble crosslinkable epoxy resin can be prepared as an adhesive aqueous solution by dissolving the above-mentioned epoxy resin and other water-soluble resin such as a polyvinyl alcohol resin added as needed in water. In this case, the water-soluble crosslinkable epoxy resin preferably has a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about 0.2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s blended, the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about 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 to about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한편,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적당한 우레탄 수지의 예로서, 아이오노머형의 우레탄 수지,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아이오노머형이란, 골격을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 중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즉 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서, 그 중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이 되기 때문에, 수계의 접착제로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컨대 모두 상품명으로, DIC(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하이도란 AP-20" 및 "하이도란 APX-101H" 등이 있고, 모두 에멀젼의 형태로 입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aqueous adhesive containing a urethane-based resin is used, examples of suitable urethane resins include ionomer-type urethane resins, particularly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s. Here, the ionomer type means that a small amount of an ionic component (i.e., a hydrophilic component) is introduced into the urethane resin constituting the skeleton. The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is a urethane resin having a polyester skelet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an ionic component (hydrophilic component) is introduced. Such an ionomeric urethane resin is preferable as an aqueous adhesive since it emulsifies directly by emulsification in water without using an emulsifier.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polyester-based ionomer type urethane resins include "Hidoran AP-20" and "Hidoran APX-101H" sold by DIC Co. under the trade names, all in the form of emulsion can do.

아이오노머형의 우레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의 가교제를 더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며, 그 예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외에, 이들의 복수 분자가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다가 알콜에 부가한 어덕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3 분자가 각각의 편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부분에서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를 형성한 3작용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3 분자가 각각의 편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부분에서 수화ㆍ탈탄산하여 형성되는 뷰렛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판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예컨대, DIC(주)에서 "하이도란어시스터 C-1"의 상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 등이 있다. When an ionomer type urethane resin is used as an adhesive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blend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 type.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isocyanate groups (-NCO) in the molecul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2,4-tolylene diisocyanate, phenylene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an adduct in which a plurality of these molecules are added to polyhydric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hree diisocyanate molecules each having a part of the isocyanate group at one end thereof Isocyanurate compound in which an isocyanurate ring is formed, and a polyisocyanate-modified product such as a burette compound in which three molecules of diisocyanate are formed by hydration and decarboxylation at the respective one ends of isocyanate groups . Commercially availabl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that can be preferably used include those sold under the trade name "High Doran Aster C-1" by DIC Corporation.

아이오노머형의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점도와 접착성의 관점에서, 그 우레탄 수지의 농도가 10∼70 중량% 정도, 나아가 20 중량% 이상, 또한 50 중량% 이하가 되도록, 수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5∼100 중량부 정도가 되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In the case of using an aqueous adhesive containing an ionomer type urethane resin, from the viewpoint of viscosity and adhesiveness, the concentration of the urethane resin is preferably 10 to 70%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50% by weight, It is preferably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When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compounded, the amount thereof is appropriately selected so that the amount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about 5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resin.

이러한 수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접착은, 상기 접착제를 광학 필름 및/또는 편광 필름의 접착면에 도포하여, 양자를 접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필름 및/또는 광학 필름에 수계의 접착제를, 예컨대, 닥터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코터, 콤마코터, 그라비아코터 등의 도공 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도포면에 또 하나의 필름을 겹쳐 롤 등에 의해 접합하고,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건조는, 예컨대 60∼100℃ 정도의 온도로 행할 수 있다. 접착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건조후, 실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예컨대 30∼50℃ 정도의 온도로 1∼10일간 정도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such an aqueous adhesive is used,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can be bonded to each other b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nd / or the polarizing film and bonding them together. More specifically, after an aqueous adhesive is uniformly applied to the polarizing film and / or the optical film by a coating method such as a doctor blade, a wire bar,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 gravure coater or the like, A method in which the films are overlapped and joined together by a roll or the like, and then dried. The drying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60 to 100 占 폚. It is preferable to cure for about 1 to 10 days at a temperature slightly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30 to 50 占 폚, after drying.

이들 수계의 접착제는, 앞서 설명한 무용제형의 에폭시계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합, 혹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합, 또는 이들 양자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이 적층되는 경우, 및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을 적층하고, 다른 쪽 면에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파장판이나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의 위상차 필름인 경우를 포함, 이하 동일)을 적층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적층되는 필름의 접착에 동일한 접착제가 이용되어도 좋고, 상이한 접착제가 이용되어도 좋지만, 제조 공정의 간략화 및 편광판의 구성 부재의 삭감을 위해서는,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se water-based adhesives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poxy-based adhesive of the above-described non-solvent type, by bonding of an optical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and a polarizing film or bonding of an optical film made of a resin other than an acrylic resin and a polarizing film, Can be preferably used. When an optical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a polarizing film and an optical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and an optical film made of a resin other than an acrylic resin A retardation film such as a viewing angle compensating film,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the same or different adhesives may be used for the adhesion of the film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In order to simplify the process and reduce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adhesive.

편광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및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에서의 편광 필름에 접합되는 측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이들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란,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가하여 방전하여, 전극 사이에 배치된 수지 필름을 활성화하는 처리이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효과는, 전극의 종류, 전극 간격, 전압, 습도, 사용하는 수지 필름의 종류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예컨대, 전극 간격을 1∼5 mm, 이동 속도를 3∼20 m/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후에는, 그 처리면에 상기와 같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편광 필름이 접합된다. In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made of an acrylic resin and the side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in an optical film made of a resin other than an acrylic resin are subjected to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By carrying out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the adhesion between these films and the polarizing film can be increased.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is a treatment for activating a resin film disposed between electrodes by discharging a high voltage between electrodes. The effect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de, the electrode interval, the voltage, the humidity, the kind of the resin film to be use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electrode interval is 1 to 5 mm and the moving speed is about 3 to 20 m / . After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the polarizing film is bonded to the treated surface through the adhesiv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and parts representing the content or amount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 1Example 1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Acrylic resin and acrylic elastomer particles)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틸의 중량비 96/4의 공중합체를, 아크릴계 수지로 했다. 또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이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스티렌 및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이용하여 중합된 연질의 탄성체,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아크릴산에틸을 이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탄성체 입자로서, 중간층인 탄성체까지의 평균 입경이 240 nm인 것을,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로 했다. A copolymer of methyl methacrylate / methyl acrylate in a weight ratio of 96/4 was used as an acrylic resin. The innermost layer is composed of a rigid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with a small amount of allyl methacrylate and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 copolymer of butyl acrylate as a main component and styrene and a small amount of allyl methacrylate 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a hard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soft elastic body and an outermost layer by using a small amount of ethyl acrylate in methyl methacrylate an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40 nm to an elastic body as an intermediate layer, Polymer particles.

(아크릴계 광학 필름의 제작) (Production of acrylic optical film)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상기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가 전자/후자=70/30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는 펠렛을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면서, 그 100부에 대하여 활제인 스테아린산 0.05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수지 활제 조성물의 펠렛으로 했다. 이 펠렛을 65 mmφ의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설정 온도 275℃의 T형 다이를 통해 압출하고, 압출된 필름형 용융 수지의 양면을, 45℃로 온도 설정된 경면을 갖는 2개의 폴리싱 롤 사이에 끼워 넣고 냉각시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필름은, 직경 6 인치(15.2 mm)의 코어에 감았다. The pellets in which the acrylic resin and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were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former / latter = 70/30 were melt-kneaded by a twin-screw extruder while 0.05 part of stearic acid as a lubricant was added to 100 parts of the pellets, Of pellets. The pellets were poured into a single-screw extruder of 65 mmφ, extruded through a T-die having a set temperature of 275 ° C, and both surfaces of the extruded film-like molten resin were sandwiched between two polishing rolls And cooled to prepare an acrylic resin film. The obtained film was wound on a core of 6 inches in diameter (15.2 mm).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a state wound on the core, no tightening was observed even after storage for 3 months, and no bleeding out of the lubricant was observed.

실시예 2 Example 2

스테아린산의 첨가량을 0.05부에서 0.03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An acrylic resin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stearic acid added was changed from 0.05 part to 0.03 part, and wound on a core having a diameter of 6 inches.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a state wound on the core, no tightening was observed even after storage for 3 months, and no bleeding out of the lubricant was observed.

실시예 3 Example 3

스테아린산의 첨가량을 0.05부에서 0.07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An acrylic resi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stearic acid was changed from 0.05 part to 0.07 part, and wound on a core having a diameter of 6 inches.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a state wound on the core, no tightening was observed even after storage for 3 months, and no bleeding out of the lubricant was observed.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 활제인 스테아린산과 함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을,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부 첨가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활제 조성물의 펠렛을 제작하고, 또한 그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용융 압출법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이 필름은, 파장 380 nm에서 23%의 투과율을 나타냈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In Example 1,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e- 2-yl) phenol]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part based on the total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and otherwise, the pellets of the resinous active composition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 acrylic resin film was produced by the same melt extrusion method as in Example 1 and wound on a core of 6 inches in diameter. This film exhibited a transmittance of 23% at a wavelength of 380 nm.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a state wound on the core, no tightening was observed even after storage for 3 months, and no bleeding out of the lubricant was observed.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4에서,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1.9부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An acrylic resi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blending amount of the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to the total amoun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acrylic elastomer particles was changed to 1.9 parts, Inch wound on the core.

이 필름은, 파장 380 nm에서 0.9%의 투과율을 나타냈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활제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This film exhibited a transmittance of 0.9% at a wavelength of 380 nm.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a state wound on the core, no tightening was observed even after storage for 3 months, and no bleeding out of the lubricant was observed.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스테아린산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에 감겨 조여짐이 관찰되었다. 여기서, 감겨 조여짐이란, 롤형으로 감긴 상태로 조여져 버려 롤형 필름의 최표면에 움푹 패임 등이 생기고 있는 현상이다. An acrylic resi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tearic acid was not added, and wound on a core of 6 inches in diameter. As a result of storing the film for 3 months in the state of being wound on the core, the film was tightened after being stored for 3 months. Here, the winding tighten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rolled film is dented by being tightened in a rolled state.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스테아린산의 첨가량을 0.05부에서 0.1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여,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하면, 감겨 조여짐은 생기지 않지만, 스테아린산의 블리드아웃이 생긴다. An acrylic resin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stearic acid added was changed from 0.05 part to 0.10 part, and wound on a core having a diameter of 6 inches. When the film is stored for 3 months in the wound state in the core in this way, there is no tightening of the wound, but bleeding out of stearic acid occurs.

실시예 6Example 6

(방현층 형성용 도포액의 조제)(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for formation of antiglare layer)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다작용 우레탄화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를 함유하고, 전자/후자의 중량비가 60/40이고, 양자의 합계 농도가 6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되어 있고, 레벨링제가 더 배합되어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했다. 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다작용 우레탄화아크릴레이트를 통합하여 「경화성 아크릴레이트」라고 부른다. 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100부에 대하여, 평균 입경이 2.7 ㎛인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입자를 5부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또한 경화성 아크릴레이트와 수지 입자의 합계 농도가 3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했다. 그 후, 이 액 중의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100부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인 "일가큐어 184"(치바사 제조)를 1부 첨가하여, 방현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했다.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the reaction pro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he former / the latter weight ratio being 60/40, the total concentration of both being 60% , And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hich is dissolved in ethyl acetate so as to contain a leveling agent is prepared. Th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th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constituting the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curable acrylate ". 5 parts of methyl methacrylate / styrene copolymer resin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7 mu m were added to 100 parts of the curable acrylate of the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and dispersed. When the total concentration of the curable acrylate and the resin particles was 30 %. ≪ / RTI > Thereafter, 1 part of "IGACURE 184" (manufactured by Chiba), which i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as added to 100 parts of the curable acrylate in this liquid to prepare 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glare layer.

여기서 이용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제막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킨 수지의 굴절률은 1.53이고, 한편, 상기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입자의 굴절률은 1.49였다. 따라서, 양자의 굴절률차는 0.04였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sin cur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was 1.53, whi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thacrylate / styrene copolymer resin particles was 1.49. 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0.04.

(방현성 필름의 제작)(Fabrication of flame-retardant film)

실시예 1, 4 및 5에서 제작한 각각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상기에서 조제한 방현층 형성용 도포액을 건조후의 도막 두께가 3.4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로 설정된 건조기 내에서 3분간 유지하여 그 도막을 건조시켰다. 건조후, 필름의 도막측으로부터, 강도 20 mW/㎠의 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광을 h선 환산 광량으로 200 mJ/㎠가 되도록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막층을 경화시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성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방현성 필름은, 직경 6 인치의 코어에 감았다.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방현성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한 결과, 어느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경우라도, 헤이즈값은 11.5%였다.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glare layer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each acrylic resin film produced in Examples 1, 4 and 5 so as to have a dry film thickness of 3.4 탆 after drying, and then dried in a dryer set at 60 캜 for 3 minutes And the coated film was dried. After drying, the coating layer of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cured by irradiating light from a high-pressure mercury lamp of intensity 20 mW / cm 2 with a h-line converted light quantity of 200 mJ / cm 2 from the coating film side of the film, Thereby forming a light-shielding film having an antiglare layer having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The obtained antiglare film was wound on a core having a diameter of 6 inches. The haze value of each of the retardation films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As a result, the haze value was 11.5% regardless of which acrylic resin film was used.

이렇게 하여 코어에 감은 상태로 방현성 필름을 3개월간 보관한 결과, 3개월 보관후, 어느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경우라도, 감겨 조여짐은 관찰되지 않고, 또한 스테아린산의 블리드아웃도 관찰되지 않았다. As a result of storage of the light-shielding film in the state of being wound around the core for 3 months, no tightening was observed and any bleeding out of stearic acid was not observed in any acrylic resin film after storage for 3 months.

실시예 7Example 7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폴리비닐알콜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두께 약 30 ㎛의 편광 필름의 한면에, 실시예 6에서 제작한 각각의 방현성 필름을, 그 아크릴계 수지 필름측에서, 편광 필름의 다른 면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각각 위상차가 부여되어 있어도 좋음)을, 각각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면, 액정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방현성 편광판이 얻어진다.On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占 퐉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polyvinyl alcohol, the respective antiglare films produced in Example 6 were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acrylic resin film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When a cellulose film, a norbornene-based resin film or a polypropylene-based resin film (each of which may have a retardation) is bonded via an adhesive agent, a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preferably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obtained.

Claims (7)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및 활제 0.01∼0.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활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 입경 10∼300 nm의 고무 탄성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 25∼45 중량%인 광학 필름.An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0.01 to 0.09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where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rubber elasto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0 nm,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25 to 45 wt% in the acrylic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활제가 스테아린산계 화합물인 광학 필름.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bricant is a stearic acid compou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지 활제 조성물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파장 380 nm에서의 투과율이 25% 이하인 광학 필름.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ultraviolet absorber is contained in the resin binder composition and the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25% or les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표면에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필름.An antireflection film comprising an antiglare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4항에 있어서, 방현층은, 투명 수지 100 중량부 및 평균 입경 0.5∼5 ㎛이고 상기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0.2인 미립자 3∼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고, 헤이즈가 5∼50%인 방현성 필름.The antiglare lay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ntiglare layer is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transparent resin and 3 to 30 parts by weight of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to 5 占 퐉 and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from the transparent resin of 0.02 to 0.2, ~ 50%.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접합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판.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방현층과는 반대측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방현성 필름을 포함하는 방현성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the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claim 4 or 5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ntiglare layer.
KR1020187036273A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KR201801365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0754 2010-06-08
JPJP-P-2010-130754 2010-06-08
JP2011058880A JP2012018383A (en) 2010-06-08 2011-03-17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JP-P-2011-058880 2011-03-17
PCT/JP2011/063093 WO2011155504A1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870A Division KR101931212B1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75A true KR20180136575A (en) 2018-12-24

Family

ID=450981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273A KR20180136575A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20127031981A KR20130108082A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20187004870A KR101931212B1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981A KR20130108082A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20187004870A KR101931212B1 (en) 2010-06-08 2011-06-01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2018383A (en)
KR (3) KR20180136575A (en)
CN (2) CN102933993B (en)
TW (2) TWI652298B (en)
WO (1) WO201115550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43A1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ation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200086231A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3322B2 (en) * 2012-06-08 2018-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14130298A (en) * 2012-12-30 2014-07-10 Tomoegawa Paper Co Ltd Transfer mediu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24814B2 (en) * 2013-04-03 2018-11-2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WO2014200296A1 (en) * 2013-06-12 2014-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tep of controlling polarizer color by uv irradiation
JP6156581B2 (en) * 2014-10-01 2017-07-05 Dic株式会社 Laminated body and optical film or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the same
JP2017032917A (en) * 2015-08-05 2017-02-09 株式会社カネカ Light extraction film for organic el planar light source, and organic el planar light source
WO2017077908A1 (en) * 2015-11-06 2017-05-11 住友化学株式会社 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17088707A (en) * 2015-11-06 2017-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Acrylic resin composition
CN109791236B (en) * 2016-07-15 2022-08-19 依视路国际公司 Polarizing film with specific light filtering agent
KR101964436B1 (en) 2016-09-20 2019-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adhesiveness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960477B1 (en) 2016-09-20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6508234B2 (en) * 2017-03-03 2019-05-08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11108418B (en) * 2017-09-29 2022-05-24 富士胶片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67594B1 (en) 2018-01-24 2021-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KR102257923B1 (en) 2018-01-24 2021-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7452421B2 (en) * 2018-07-31 2024-03-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optical film roll, an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2093294B1 (en) * 2018-09-28 2020-03-2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film
JP7378871B2 (en) * 2018-11-15 2023-11-1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Optical laminates, polarizing plates, and display devices
KR102440277B1 (en) * 2018-11-15 2022-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KR102608213B1 (en) * 2019-01-14 2023-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2019105865A (en) * 2019-04-03 2019-06-2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2023115630A (en) * 2022-02-08 2023-08-21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320B2 (en) * 2001-10-26 2007-10-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nti-glare film, polarizing film, and transmissive display device
JP2003322718A (en) * 2002-04-30 2003-11-14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Base material for protecting film for polarizing plate
JP4827369B2 (en) * 2003-08-28 2011-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CN101156093B (en) * 2005-03-30 2011-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JP2007333901A (en) * 2006-06-13 2007-12-27 Asahi Kasei Corp Optical film
JP5220286B2 (en) 2006-06-1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8076600A (en) * 2006-09-20 2008-04-03 Nippon Zeon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film
JP2009163216A (en) * 2007-12-11 2009-07-23 Sumitomo Chemical Co Ltd Set of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WO2009084909A2 (en) * 2008-01-03 2009-07-09 Lg Chem, Ltd. Optical film, protection film for polarizer, polarizing plate fabricated therefrom,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reof
JP2009175387A (en) 2008-01-24 2009-08-06 Nippon Shokubai Co Ltd Antiglare laminate
JP2009286960A (en) * 2008-05-30 2009-12-10 Mitsubishi Rayon Co Ltd Acrylic resin film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43A1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ation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200086231A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11860340B2 (en) 2019-01-08 2024-01-02 Lg Chem, Ltd.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5504A1 (en) 2011-12-15
KR20130108082A (en) 2013-10-02
CN104749682A (en) 2015-07-01
CN102933993B (en) 2015-04-22
TW201213429A (en) 2012-04-01
TWI652298B (en) 2019-03-01
TW201908401A (en) 2019-03-01
KR20180023016A (en) 2018-03-06
CN104749682B (en) 2017-12-12
JP2012018383A (en) 2012-01-26
KR101931212B1 (en) 2018-12-21
CN102933993A (en)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212B1 (en)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935463B2 (e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it
JP6689339B2 (en) (Meth) 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eth) acrylic resin film using the same
TWI488747B (en) Optical laminates and optical laminates
JP5788646B2 (en)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879081B2 (en) Method for producing acrylic resin film
JP2007293301A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KR20180082631A (en)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50105331A (en) Optical laminat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ing optical laminated body
JP5884264B2 (en) Film with surface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1721192A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such composite polarizing plate
TW201615773A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JP2014160164A (en) Polarizing plate
JP606596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