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105A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105A
KR20180136105A KR1020170074641A KR20170074641A KR20180136105A KR 20180136105 A KR20180136105 A KR 20180136105A KR 1020170074641 A KR1020170074641 A KR 1020170074641A KR 20170074641 A KR20170074641 A KR 20170074641A KR 20180136105 A KR20180136105 A KR 2018013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unit
lock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7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105A/ko
Priority to US15/943,587 priority patent/US20180363229A1/en
Priority to CN201810612594.XA priority patent/CN109082858A/zh
Publication of KR2018013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글라스를 구비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커버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한 전자식 개폐방식 또는 수동 잠금 해제 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THEREOF}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별도의 손잡이 또는 핸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주어 문을 개폐하기 때문에 도어 개폐가 불편하고, 도어를 잡아당기는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해 손잡이 또는 핸들의 파손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461388호(2014.11. 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어 개방 버튼을 단순히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도어 잠금 유닛의 록킹 해제 및 도어 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글라스를 구비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커버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한 전자식 개폐방식 또는 수동 잠금 해제 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도어 걸림부; 상기 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걸림부를 록킹시키는 도어 잠금 유닛; 및 상기 도어 걸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된 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유닛의 동작 제어 이벤트 또는 상기 줄 부재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이 상기 도어 걸림부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볼트홀과 스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내부 프레임; 및 상기 볼트홀에 대응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외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볼트홀에 끼워진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 및 상기 볼트 고정부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에 배치된 도어 개방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은,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의 내측부 중심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버튼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은, 상기 버튼 연장부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된 개방 버튼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스템 관통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는, 상기 버튼 연장부의 끝단에 접촉하는 컨택트 스위치;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세탁기의 제어 유닛에 도어의 록킹 해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 및 상기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따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고,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기준으로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일측에 도어 힌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전자식 개폐방식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수동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 잠금 유닛을 구비한 커버;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시 압축되어서, 탄성력을 저장하는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 결합되는 도어 걸림부와, 상기 도어 걸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스템 관통홀을 갖는 도어 내부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의 지지기반이 되는 도어 외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커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스템 관통홀에 끼워진 푸셔 스템 조립체; 및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에 도어 힌지를 구비하고, 타측에 도어 잠금 유닛을 구비한 커버와,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 결합되는 도어 걸림부를 구비하고, 도어 내부 프레임 및 도어 외부 프레임으로 합체된 도어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은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시 압축되어서, 탄성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서는 전자식 개폐방식의 잠금 해제 또는 수동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스템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신장되거나, 상기 커버와의 접촉시 압축되는 푸셔 스템 조립체; 및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하는 쿠션; 상기 쿠션이 설치된 중공형의 스템; 및 상기 스템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쿠션은, 천연 고무 재질, 합성 고무 재질, 우레탄 재질, 실리콘 재질,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은, 상기 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가 탑재된 잠금 장치 케이싱;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의 외부로 표출되고, 수동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를 동작시키는 수동 레버; 및 상기 수동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 레버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줄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줄 부재는, 상기 줄 부재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줄 안착부에 분리 또는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 안착부가 상기 커버의 하부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 삽입홀의 주변으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은, 상기 걸림부 삽입홀에 대응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에 형성된 걸림부 투입구; 및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전선의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소켓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에 따르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개방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도어 잠금 유닛의 록킹 해제 및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개폐방식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록킹 해제시 돌출되는 도어 개방 유닛에 의하여, 도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의 탄성력 및 도어 개스킷의 탄성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 또는 제어 유닛의 고장시, 수동으로 도어 잠금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쿠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템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가이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와 도어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0)의 폐쇄시 도어(200)는 커버(300) 쪽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도어(200)의 개방시, 도어(200)는 커버(30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역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쿠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템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가이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는 도어(200)에 마련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도어(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도어(200)는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으로 합체된 조립물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전자식 장치이다. 즉, 도어 개방 버튼(210)이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것만으로도, 도어(20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예컨대, 도어 개폐 장치는 푸셔 스템 조립체(2520)를 포함한 도어 개방 유닛(250)의 탄성력 및 도 4의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력(예: 벤딩 포스)의 합력을 이용하여 도어(200)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스킷(450)은 도어 글라스(28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도어(200)의 폐쇄시 벤딩되어 벤딩 포스와 같은 탄성력을 도어 글라스(280)를 통해 도어(200)에 작용시킬 수 있다.
즉, 도어(200)가 개방될 수 있는 언록킹 상태에서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 돌기부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벤딩 포스에 대응한 탄성력으로 도어(200)를 밀어낼 수 있다. 이때,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력의 작용 방향과 도어 개방 유닛(250)의 탄성력의 작용 방향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도어(200)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250), 도어 잠금 유닛(330) 및 도어 힌지(360)와, 도 5에 도시된 도어 걸림부(260), 개방 버튼 회로부(2100), 도어 개방 버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커버(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도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커버(3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200)의 재질에 비해 구조적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200)에 장착된다. 즉,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이거나, 또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서 커버(300)를 향하여 돌출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이런 도어 걸림부(260)는 앞서 언급한 도 3 또는 도 4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대한 결합(예: 록킹)되는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분리(예: 언록킹)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탄성력 및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는 제어 유닛(810)의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도어 걸림부(260)를 언록킹시키거나, 후술 되는 수동 잠금 해제에 의해 도어 걸림부(260)를 언록킹시킬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커버(300)에 구비된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도어 걸림부(260)에 결합시,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 잠금 유닛(330)은 세탁기(10) 내부의 제어 유닛(810)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의 세부 구성은 상기 도어 걸림부(260)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한 래치(latch)와,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를 갖는 전자기계식 잠금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식 동력 장치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 잠금 유닛(330)은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된 제어 유닛(810)의 동작 제어 이벤트(예: 도어 언록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걸림부(26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200)에 설치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와 함께 회전하여 커버(300)에 접촉한다. 이런 경우, 도어 개방 유닛(250)의 스프링(2550)이 압축되고, 그 결과 탄성력이 스프링(2550)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스프링(25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후술되는 가이드 구조물(2510)과, 가이드 구조물(2510)에 의해 가이드되는 푸셔 스템 조립체(2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신장 또는 축소, 즉 신축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시키기 위한 푸셔(push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은 상기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 지지대 또는 간격 유지구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어(200)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0)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의 힘을 도어(200)에 가하기 전까지,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 걸림부(260)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200)에 설치된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상기 커버(30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볼트홀(231)과 스템 관통홀(233)을 가지고 있다. 스템 관통홀(233)은 도어 걸림부(260)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프레임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측면에는 보호 유리(204)가 결합되어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도어 개방 유닛(250)의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볼트홀(231)에 대응하는 볼트(미표기)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상기 볼트홀(231)에 끼워진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241)를 갖는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볼트 고정부(241)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배치된 도어 개방 버튼(210)을 포함한다.
도어 개방 버튼(210)의 외측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 유리(204)의 일측의 홀(미표기)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이런 도어 개방 버튼(210)은 그의 내측부 중심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일체형 축부재인 버튼 연장부(211)를 포함한다.
도어 개방 버튼(210)의 외곽 부위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버튼홀 테두리 내측 부위 사이에는 회오리 형태의 탄성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도어(200)의 외측에서 손가락으로 누르는 바와 같이, 도어(200)의 개방을 위한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다. 이때, 회오리 형태의 탄성체가 탄성 범위 내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 버튼(210) 및 버튼 연장부(211)는 누름 조작시 전진될 수 있고, 손가락을 도어 개방 버튼(210)으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원래 상태로 복원(예: 후진)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버튼 연장부(211)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개방 버튼 회로부(2100)를 포함한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상기 스템 관통홀(233)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예: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 설치 위치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는 회로 하우징(2110)을 구비한다. 회로 하우징(2110)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서 회로 하우징(2110)에 설치된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개방 버튼(210), 버튼 연장부(211) 및 컨택트 스위치(2130)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세탁기(10)의 제어 유닛(810)에 도어의 록킹 해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컨택트 스위치(2130)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에 실장되고, 버튼 연장부(211)의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와 제어 유닛(8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2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2140)은 앞서 언급한 디스플레이(202)의 회로(미표기)를 경유하여 제어 유닛(81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어 개방 유닛(2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의 가이드 구조물(2510)은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가이드 구조물(2510)은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가이드 구조물(2510)은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의 전진(예: 신장) 또는 후진(예: 축소)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가이드 구조물(2510)은 스템(2540)의 외부로 스프링(2550)이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게 스프링(2550)을 구속 또는 보호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의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가이드 구조물(2510)에 결합되어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스템 관통홀(233)에 끼워질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커버(300)와의 접촉시 압축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폐쇄에 따라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가이드 구조물(2510)의 내부에서 지지 및 가이드되고, 스프링(2550)의 압축에 따라 저장된 탄성력을 커버(300)에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의 개방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관통홀(233)을 통해서 상기 커버(300)를 향하여 신장될 수 있다. 이런 푸셔 스템 조립체(250)는 가이드 구조물(2510)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고, 저장된 탄성력을 커버(300)에 작용한다.
커버(300)는 벽체에 지지된 세탁기(10)의 고정형 구성품이다. 반면 도어(200)는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품이다.
따라서,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 걸림부(260)와 도어 잠금 유닛(330)간 록킹 해제에 따른 도어(200)의 개방 가능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550)이 이완 또는 신장됨에 따른 탄성력의 반작용(예: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을 따라 도어(200)와 함께 이동(F)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버(300)에 접촉하는 쿠션(2530)을 포함한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스템(254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템(25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255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쿠션(2530)은 커버(300)와의 접촉시 충격을 감쇄시키고, 접촉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여, 세탁기(10)의 작동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쿠션(2530)은 천연 고무 재질, 합성 고무 재질, 우레탄 재질, 실리콘 재질,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전면이 팽출된 반구형의 접촉부(2531)를 갖는다. 접촉부(2531)는 디스크 형상의 본체에서 반구형 부위가 팽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충격을 흡수 또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목적 하에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쿠션(2530)은 접촉부(253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접촉부의 후면의 중심에서 돌출된 쿠션 연장축부(2532)를 갖는다.
또한, 쿠션(2530)은 접촉부(2531)의 반대쪽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쿠션 연장축부(2532)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도 7의 스템(2540)의 설치홀(2541)의 테두리에 걸려 고정되는 쿠션 고정부(25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쿠션 고정부(2533)는 쐐기 단면 형상(wedge section shap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설치홀(2541)도 쿠션 고정부(2533)의 쐐기 경사면에 대응한 접시 구멍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쿠션 고정부(2533)의 외주면에는 쿠션 고정부(25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간극부(25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쿠션(2530)이 스템(2540)에 결합될 때, 쿠션 고정부(2533)는 용이하게 스템(2540)의 설치홀(2541)을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2530)은 중공형의 스템(2540)에 설치, 예컨대 스템(2540)의 쿠션 삽입부(2542)에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템(2540)은 설치홀(2541)을 기준으로 상기 스템(2540)의 일측에 형성된 쿠션 삽입부(25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쿠션 삽입부(2542)는 상기 쿠션(253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돌기(2543)를 구비한다.
지지돌기(2543) 사이의 공간은 쿠션(2530)의 변형을 허용하는 수단으로서, 충격 감쇄 및 소음 저감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중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템(2540)은 쿠션 삽입부(2542)로부터 스템(25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홀(2541)을 기준으로 상기 스템(2540)의 타측에 배치된 중공형의 스프링 삽입부(2544)를 포함한다. 스프링 삽입부(2544)의 내부 공간에는 도 5의 스프링(2550)이 삽입된다.
스프링(2550)은 스템(2540)의 내부에서 설치홀(2541)의 테두리 부위에 접촉한다. 또한, 스템(2540)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스프링(2550)의 끝단은 하기의 가이드 구조물(2510)의 스프링 지지부(2511)에 지지된다. 그 결과, 스프링(2550)은 압축 또는 이완하면서 스템(2540)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스템(2540)은 스프링 삽입부(2544)의 외주면에서 지름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2545)를 포함한다.
걸림돌기(2545)는 가이드 구조물(2510)의 가이드 몸체(2512)에 체결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쐐기 형상을 갖는다. 걸림돌기(2545)의 쐐기 형상에 의해서, 스템(2540)이 용이하게 가이드 몸체(2512)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구조물(2510)은 스템 관통홀(233)의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도 11과 같이 스프링(2550)의 끝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프링 지지부(2511)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2511)는 스프링(2550)의 장착 위치이면서, 스프링(2550)의 탄성력을 도어(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가이드 구조물(2510)은 스프링 지지부(2511)의 외곽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템(2540)이 끼워지는 중공형의 가이드 몸체(2512)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구조물(2510)은 스템(2540)의 걸림돌기(254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2512)의 벽에 형성되어서 스템(25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2513)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구조물(2510)은 가이드 슬릿(2513)과 가이드 몸체(2512)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정지부(2514)를 포함한다.
스템(2540)은 가이드 슬릿(2513), 정지부(2514) 및 걸림돌기(2545)에 의해서 가이드 구조물(2510)에서 허용하는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이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조물(2510)은 가이드 몸체(2512)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25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미끄럼 돌기부(2515)를 포함한다.
미끄럼 돌기부(2515)는 스템(2540)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저감시켜서, 스템(2540)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한다. 즉, 미끄럼 돌기부(2515)는 가이드 몸체(2512)와 스템(254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킨다. 그 결과 스템(2540)은 습동에 의해 가이드 몸체(2512)의 내부에서 쉽게 고착되지 않게 되고, 스템(2540)의 오작동은 최소화될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도어(200)를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런 경우, 도어(200)는 커버(300) 쪽으로 근접되고,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되어 록킹되고, 그 결과 도어(200)가 폐쇄된다.
이럴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200)와 함께 푸셔 스템 조립체(2520)도 이동된 상태가 되고,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될 수 있다. 계속된 도어(200)의 회전, 즉 사용자가 도어(200)를 더 가압하여 커버(300) 쪽으로 밀착시킴에 따라서,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은 후진하고, 스프링(2550)은 스템(2540)의 후진에 의해 압축되어서, 도어 폐쇄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방 버튼(210)을 누른다.
이런 경우, 도 2에 도시된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에 대한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은 해제된다.
이때,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는 것과 같이, 도어 개방 유닛(250)의 스프링(2550)의 길이가 신장된다.
또한, 커버(300) 및 그와 결합된 세탁기(10)의 구성품은 벽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2550)의 신장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그대신, 스프링(2550)의 탄성력은 스템(2540) 및 쿠션(2530)을 통해 커버(30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 반발력(예: 푸시력)은 가이드 구조물(2510)을 통해 도어(200) 쪽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도어(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역회전을 하게 된다.
즉, 스프링(2550)의 이완 또는 신장시의 탄성력의 반작용으로 인해서, 도어(200)의 도어 개방 유닛(250)인 가이드 구조물(2510) 및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와 함께 이동(F)되어서 도 12와 같은 도어 개방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하, 도어 개폐 장치의 수동 잠금 해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와 도어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3 또는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 잠금 유닛(330)은 잠금 장치 케이싱(337), 수동 레버(333) 및 줄 부재(335)를 포함한다.
줄 부재(335)는 수동 레버(333)를 잡아 당기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렛대 원리와 같이 작동되는 수동 레버(333)는 줄 부재(335)에 의해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내부 래치(미표기)를 회동시켜서, 앞서 도 2에 도시된 도어 걸림부(260)를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 또는 언록킹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커버(300)는 도어 잠금 유닛(330)의 줄 부재(335)를 고정하기 위한 줄 안착부(3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줄 안착부(309)는 커버(300)의 하부 테두리에서 커버(300)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줄 안착부(309)는 줄 부재(335)를 묶어 고정하거나, 줄 부재(335)의 끝단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는 수단이거나, 줄 부재(335)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줄 안착부(309)는 커버(300)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줄 부재(335)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 고리부 및 줄 끼워맞춤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200)로부터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307)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 삽입홀(307)은 라운드 코너부를 갖는 사각형 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걸림부 삽입홀(307)의 주변으로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을 포함한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의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서, 커버(300)의 배면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줄 부재(335)는 끈, 줄, 스트링, 가요성 재질의 와이어 등과 같이 장력을 수동 레버(333)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줄 부재(335)는 가요성 재질이므로, 진동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본 실시예에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본 실시예에 제공할 수 있다.
잠금 장치 케이싱(337)은 커버(300)의 후면(예: 배면)에 설치되고,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은 수동 레버(333)로부터 작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수동 레버(333)로부터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내부로 연장된 레버 연결 부재(미표기) 에 연결되어 있다.
수동 레버(333)는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외부로 표출되고, 수동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줄 부재(335)의 상단부는 수동 레버(333)에 설치 또는 결합된다.
즉, 줄 부재(335)는 수동 레버(333)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 레버(333)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줄 부재(335)의 상단부는 수동 레버(333)의 사출 제작시 합체되거나, 또는 수동 레버(333)의 제작 이후 묶는 방법, 고정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줄 부재(335)와 커버(300)의 줄 안착부(309)간 결합이나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줄 부재(335)는 그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줄 안착부(309)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부(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커버(300)의 걸림부 삽입홀(307)에 대응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337)에 형성된 걸림부 투입구(331)를 포함한다. 걸림부 투입구(331)도 걸림부 삽입홀(307)에 대응하여 매칭될 수 있도록 라운드 코너부를 갖는 사각형 구멍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 장치 케이싱(337)에는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을 통과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3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유닛(330)은 제어 유닛(810)으로부터 연장된 전선의 커넥터(미표기)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소켓부(334)를 더 포함한다. 소켓부(334)는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저부에 배치되며,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폭방향으로 개구된 소켓 구멍을 갖는다.
만일, 세탁기(10)의 사용 도중 정전 또는 고장으로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경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세탁기(10)로부터 캐비닛(100)을 분해한다.
이런 경우, 도 4의 커버(300)와 프론트 패널(400)의 측면 방향으로 줄 부재(335)가 표출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줄 부재(335)를 아래로 잡아 당김으로써, 수동으로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을 해제하고, 그 결과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어(200)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걸이형 세탁기 100 : 캐비닛
200 : 도어 250 : 도어 개방 유닛
260 : 도어 걸림부 300 : 커버
330 : 도어 잠금 유닛 400 : 프론트 패널
450 : 도어 개스킷 500 : 세제함
600 : 드럼 680 : 스파이더
700 : 터브 800 : 리어 패널

Claims (20)

  1.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글라스를 구비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커버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한 전자식 개폐방식 또는 수동 잠금 해제 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도어 걸림부;
    상기 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걸림부를 록킹시키는 도어 잠금 유닛; 및
    상기 도어 걸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된 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유닛의 동작 제어 이벤트 또는 상기 줄 부재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이 상기 도어 걸림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볼트홀과 스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내부 프레임; 및
    상기 볼트홀에 대응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볼트홀에 끼워진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 및
    상기 볼트 고정부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에 배치된 도어 개방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은,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의 내측부 중심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버튼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은,
    상기 버튼 연장부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된 개방 버튼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스템 관통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는,
    상기 버튼 연장부의 끝단에 접촉하는 컨택트 스위치;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세탁기의 제어 유닛에 도어의 록킹 해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 및
    상기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9.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고,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기준으로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일측에 도어 힌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전자식 개폐방식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수동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 잠금 유닛을 구비한 커버;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시 압축되어서, 탄성력을 저장하는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 결합되는 도어 걸림부와, 상기 도어 걸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스템 관통홀을 갖는 도어 내부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의 지지기반이 되는 도어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커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스템 관통홀에 끼워진 푸셔 스템 조립체; 및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2.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에 도어 힌지를 구비하고, 타측에 도어 잠금 유닛을 구비한 커버와,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 결합되는 도어 걸림부를 구비하고, 도어 내부 프레임 및 도어 외부 프레임으로 합체된 도어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은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시 압축되어서, 탄성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에서는 전자식 개폐방식의 잠금 해제 또는 수동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유닛은,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스템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신장되거나, 상기 커버와의 접촉시 압축되는 푸셔 스템 조립체; 및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스템 조립체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하는 쿠션;
    상기 쿠션이 설치된 중공형의 스템; 및
    상기 스템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천연 고무 재질, 합성 고무 재질, 우레탄 재질, 실리콘 재질,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은,
    상기 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가 탑재된 잠금 장치 케이싱;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의 외부로 표출되고, 수동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를 동작시키는 수동 레버; 및
    상기 수동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 레버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재는,
    상기 줄 부재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줄 안착부에 분리 또는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 안착부가 상기 커버의 하부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 삽입홀의 주변으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은,
    상기 걸림부 삽입홀에 대응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에 형성된 걸림부 투입구; 및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전선의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170074641A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36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41A KR20180136105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US15/943,587 US20180363229A1 (en) 2017-06-14 2018-04-02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thereof
CN201810612594.XA CN109082858A (zh) 2017-06-14 2018-06-14 洗衣机、壁装式洗衣机及其门开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41A KR20180136105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105A true KR20180136105A (ko) 2018-12-24

Family

ID=6465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41A KR20180136105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63229A1 (ko)
KR (1) KR20180136105A (ko)
CN (1) CN109082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3955B (zh) * 2020-11-10 2022-12-02 苏州贝康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人工干预的保温舱及保温舱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98273Y (zh) * 1997-07-12 1998-11-25 海尔集团公司 回弹式洗衣机门
ES2277231T3 (es) * 2004-07-13 2007-07-01 C.R.F. Societa Consortile Per Azioni Aparato electrodomestico, en particular, maquina para lavar y/o secar un dispositivo de enclavamiento/liberacion de la puerta que se puede accionar electricamente.
KR100838566B1 (ko) * 2006-12-20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컨트롤 버튼
KR101467778B1 (ko) * 2008-04-30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1604711B1 (ko) * 2009-02-03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닫힘 방지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CN101725014B (zh) * 2009-10-12 2011-12-14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物处理装置
CN201553908U (zh) * 2009-10-30 2010-08-18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门组件
KR101772971B1 (ko) * 2011-09-26 2017-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N104508197B (zh) * 2012-10-29 2016-11-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操作装置
KR20140073908A (ko) * 2012-12-07 2014-06-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82858A (zh) 2018-12-25
US20180363229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09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09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102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EP3533919B1 (en) Washing machine
US11427951B2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US20180363198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KR2018013608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KR2018013610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3608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및 그의 도어 개폐 방법
KR2018013610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3608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US20180363222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KR2018013610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101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및 그의 도어 개폐 방법
US20180363217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detergent container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front panel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08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109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US20180363218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US20180363219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091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20180136092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KR2018013610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20180363213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60022149A (ko) 세탁기
US20180363221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