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502A -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 Google Patents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502A
KR20180135502A KR1020170072909A KR20170072909A KR20180135502A KR 20180135502 A KR20180135502 A KR 20180135502A KR 1020170072909 A KR1020170072909 A KR 1020170072909A KR 20170072909 A KR20170072909 A KR 20170072909A KR 20180135502 A KR20180135502 A KR 2018013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chine
laser beam
unit
main body
dangerou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0188B1 (en
Inventor
서명국
윤복중
이길수
임훈
신희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188B1/en
Publication of KR2018013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comprising: a sensor unit dispos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ry to detect an object or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ry; and a dangerous area display unit dispos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ry and displaying a dangerous zone patter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ry. The dangerous zone display unit comprises: a laser beam generation unit to irradiate a laser beam for displaying the dangerous zone pattern to the ground surface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ry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 mounting unit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ry to adjust a tilting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warns a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ry of the presence within a dangerous zone of the construction machinery and thus an accident is able to be prevented.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기계가 작업 또는 주행 시에 건설기계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하고 위험을 경고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nger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an object or a person approaching the periphery of a construction machine during operation or running, .

건설기계는 도로, 공항, 단지 조성 등과 같이 큰 규모의 토목 건축 공사 등과 같이 소음이나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작업 현상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에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지게차, 덤프트럭 등과 같은 대형 차량들이 많이 사용된다. Construction machines are used in work phenomena where noise and dust are generated a lot, such as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uch as road, airport, complex construction. Construction machines used in these work sites are heavily used for large vehicles such as bulldozers, excavators, loaders, forklifts, and dump trucks.

건설기계 중 굴삭기의 경우에는 360도로 회전 가능한 상부체 및 상부체와 결합되며 굴삭기의 주행을 위한 하부체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부체에는 굴삭기의 작업을 위한 붐(boom), 암(arm), 버킷(bucket)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부체의 선회 반경은 다른 건설기계들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운전자가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쉽다. 즉, 굴삭기의 작업 영역 내에서 다른 작업자가 작업하거나 다른 건설기계 장비 등과 같은 사물이 위치되더라도 굴삭기의 운전자는 이를 쉽게 알아채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좌우로 선회하거나 후진 또는 전진 주행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다. In the case of an excavator of a construction machine, it is combined with an upper body and an upper body rotatable 360 degrees, and a lower body for traveling of the excavator is coupled. At this time,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boom, an arm, a bucket, and the like for working the excavator, so that the turning radius of the upper body is much larger than that of other construction machines. Therefore, . That is, even if another worker is working in the work area of the excavator, or objects such as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equipment are located, the driver of the excavator can not easily recognize it, and there is a risk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due to sudden turning to the left or right, have.

이에 따라, 굴삭기는 굴삭기 안전수칙에 따라 작업영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 선회 동작을 금지하며, 굴삭기 주변에 다른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제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굴삭기와 보행자 간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굴사기의 후면에는 "위험,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와 같은 경고문을 부착한다. Accordingly, the excavator shall prohibit the turning operation when there is a person in the work area in accordance with the excavator safety regulations, and shall take measures to prevent other workers or pedestrians from entering the excavator. Also,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distance between the excavator and the pedestrian, a warning such as "danger, approach in the working radius"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oyster.

한편, 굴삭기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장치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굴삭기 운전실 내에 마련된 모니터를 보고 굴삭기 주변에 사람 또는 사물의 존재를 파악하고, 사람 또는 사물이 존재하였을 경우에는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On the other hand, a video device such as a camera is mounted on an excavator to see the presence of a person or object around the excavator when the driver views the monitor provided in the excavator cab, and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when a person or object exists.

근래에는, 굴삭기에 어라운드뷰(Around-View)와 같은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를 부착하여 굴삭기의 사각지대를 포함한 주변 영상 정보를 파악한다. In recent years, a peripheral monitoring apparatus such as an Around-View is attached to an excavator to grasp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 blind spot of an excavator.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굴삭기 주변의 보행자나 다른 작업자들을 위한 것이 아니고 굴삭기의 운전자를 위한 것이다. 만약, 굴삭기의 운전자가 작업 현장의 외부 소음 또는 별도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굴삭기 주변의 보행자나 다른 작업자들을 파악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보행자가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However, these devices are not for pedestrians or other workers around the excavator, but for the driver of the excavator. If the driver of the excavator can not identify pedestrians or other workers around the excavator due to external noise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re is a risk that safety accidents such as pedestrian injuries may occur.

또한, 굴삭기의 운전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굴삭기 주변의 보행자나 다른 작업자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지만, 굴삭기 주변의 보행자나 다른 작업자 들은 굴삭기가 무슨 작업 상태 중인지 육안으로는 식별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excavator can grasp pedestrians or other workers around the excavator in advance through a separate device, but pedestrians and other workers around the excavator have difficulties in visually identifying what the excavator is doing.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6421호 (발명의 명칭: 중장비의 작업구역 표시장치, 공개일: 2008.12.26.)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76421 (entitled " , Publication date: December 26,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기계의 주변에 있는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건설기계의 주변 지면에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여 위험영역 내에 있음을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nger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warning a worker or a pedestrian around a construction machine to indicate a dangerous area pattern on a periphery of a construction machin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기계의 작업 상태에 따라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달리하여 건설기계의 작업 상태를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nger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promptly informing a worker or a pedestrian around a construction machine of a working state of a construction machine by chang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기계의 작업 주변에 있는 사물 또는 사람을 인지하고, 상황에 따라 작동 또는 경고 모드를 달리하여 불필요한 경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ject or person around a work of a construction machine and preventing an unnecessary warning by changing an operation or warning mo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설기계에 마련되어 상기 건설기계 주변의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건설기계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물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에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 지면으로 상기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생성유닛; 및 상기 건설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건설기계에 대한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objects or people around a construction machine, And a danger zon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wherein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displays a hazard zone pattern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erein the dangerous zone display unit comprises: a laser beam generating unit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for displaying the dangerous area pattern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 mounting unit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for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은, 상기 장착유닛과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반사부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A light source modul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laser beam; A ref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light source module and reflecting a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And a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for adjusting a tilt of the reflection member.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상기 건설기계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장착 프레임;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건설기계에 대한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기울기 또는 틸팅 각도를 조정하는 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unit comprising: a mounting frame for positioning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on one sid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a frame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for adjusting a tilt or a tilting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

상기 반사부재 구동부 또는 상기 프레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면에 대한 상기 건설기계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틸팅시키거나, 상기 건설기계의 기울기 또는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이 틸팅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반사부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사부재의 각도,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ram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relative to the ground to tilt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the angle of rotation,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flecting member may be changed by controlling the reflecting membe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angle at which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is tilted.

상기 프레임 구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을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해 방출시키는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rame driving part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방출구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복개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or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산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so that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is scatter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방출구의 위치는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 지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위험영역패턴의 위치, 범위 또는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range, or size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to be display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상기 방출구는, 상기 방출구의 부위에 따라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height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는, 건설기계 주변의 사람에게 건설기계의 위험지역 내에 존재함을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warning a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to exist in a dangerous area of the construction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는, 건설기계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에 따라 위험영역패턴의 형태 및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건설기계 주변에 있는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건설기계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warning by chang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according to the running or work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는,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리지 않더라도 센서부가 작업자 또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지면에 위험영역패턴이 표시되기 때문에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즉각적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angerous area pattern on the ground by sensing the operator or the pedestrian, even if the driver of the construction machine does not inform the operator or the pedestria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danger, The operator or the pedestrian can immediately sense the danger.

더욱이,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건설기계 주변의 지면에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기 때문에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작업 현장의 소음 등의 환경 영향에 관계없이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visually perceptible hazardous area pattern on the groun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by using a laser bea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orker or a pedestria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environment You can warn of the danger regardless of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는, 수평 기준면에 대해 건설기계 또는 위험경고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또는 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보상함으로써 건설기계 또는 위험경고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또는 각도에 무관하게 건설기계를 중심으로 일정한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표시된 위험영역패턴으로 인해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상해를 당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danger warn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d compensates for the inclined state or angl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danger warn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so that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danger warning device Sinc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certain dangerous area pattern centered on a construction mach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an operator or a pedestrian is injured due to a dangerous area pattern that is displayed incorrec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의 안전거리 및 센서부의 인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위험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위험영역 표시부의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위험영역 표시부의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정지 및 작업 중일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우측으로 선회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좌측으로 선회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후진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isk warn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distance of a danger warning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and a recognition area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shown i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ser beam generating unit of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according to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body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of the dangerous zone display unit according to Fig. 3;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stopped and in opera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turned to the right.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turns to the left.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reversed.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100, 이하 '위험경고장치' 라 함)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anger warn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의 안전거리 및 센서부의 인지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위험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위험영역 표시부의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위험영역 표시부의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정지 및 작업 중일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우측으로 선회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좌측으로 선회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는 도 2에 도시한 건설기계가 후진할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danger warning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afety distance of a danger warning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ngerous area display unit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ser beam generating unit of the dangerous zone display unit according to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stopped and in opera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turned to the righ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ngerous area pattern displayed on the ground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shown in FIG. 2 is reversed. FIG.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100)는 건설기계(1)에 마련되어 건설기계(1) 주변의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110) 및 건설기계(1)에 마련되며, 센서부(110)에 의해 사물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건설기계(1) 주변에 위험영역패턴(122)를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9, a danger w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provided in a construction machine 1 and sensing objects or people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a danger zone display unit 120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displaying a danger zone pattern 122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when a sensor or a pers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hav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110)는 건설기계(1)의 측면 또는 후면에 마련되어 건설기계(1)의 주변의 장비 등의 사물 또는 보행자, 작업자 등의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비전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물이나 사람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 및 종류의 센서라도 센서부(110)로 사용될 수 있다. 1 and 2, the sensor unit 110 is provided on the side or rear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detects whether there is a person such as equipment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a person such as a pedestrian or a worker .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ny one of a laser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vision sensor. However, the sensor unit 110 may be any type and / Type sensor can be used as the sensor unit 110 as well.

한편, 센서부(110)는 건설기계(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건설기계(1)에 마련되는 센서부(110)의 개수에 따라 센서부(110)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 즉, 센서인지영역(112)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1 in at least one manner. The range that the sensor unit 110 can detect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sensor units 110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at is, the range of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can be changed.

이러한 센서인지영역(112)은 센서부(110)가 건설기계(1)의 주변에 있는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최대영역 또는 거리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센서부(110)는 건설기계(1)를 기준으로 센서인지영역(112) 내에 사물이나 사람이 위치하면 인지할 수 있고, 센서인지영역(112) 바깥에 사물이나 사람이 위치할 경우에는 인지할 수 없다. 즉, 센서인지영역(112)의 바깥에 위치한 사물이나 사람이 센서인지영역(112) 내로 들어오기 전까지는 인지가 불가능할 수 있다.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indicates the maximum area or distance at which the sensor unit 110 can sense an object or a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n other words, the sensor unit 110 can recognize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located in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bas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located outside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 That is, it may be impossible to recognize the object or person located outside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until the sensor or the person enters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또한, 센서인지영역(112)은 건설기계(1)의 주행, 좌/우 선회, 후진 또는 전진 등에 따라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도 있고, 센서부(110)가 장착된 각도 등에 따라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부(110) 자체의 감도를 조정하여 센서인지영역(112)을 조절할 수도 있고, 센서부(110)를 제어하는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센서부(110)의 각도를 조정하여 감지 범위 또는 크기가 조정될 수도 있다.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may be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raveling, left / right turn, backward movement, or forward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may be fixed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the sensor unit 110 is mounted. For example,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10 itself, and the angle of the sensor unit 110 may be adjusted by a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nsing range or size may be adjust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위험영역 표시부(120)는 건설기계(1)의 측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센서부(110)에 의해 건설기계(1) 주변에 사물 또는 사람이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감지된 결과에 따라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에 위험영역패턴(122)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위험영역 표시부(120)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위험영역패턴(122)을 건설기계(1) 주변의 지면에 표시할 수 있다.1 to 5,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or rea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11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pproaching object is approaching,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can be display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ccording to the sensed result. That is,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can display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visually recognizable on the groun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영역 표시부(120)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 및 장착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and a mounting unit 220.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은 센서부(110)가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했을 경우에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으로 위험영역패턴(122)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은 후술할 장착유닛(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212), 본체(212)의 내부에 마련되어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216), 광원 모듈(216)과 대향되도록 본체(212)의 내부에 마련되어 광원 모듈(216)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18) 및 반사부재(218)의 기울기를 조정하거나 반사부재 구동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displays a dangerous area pattern 122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when the sensor unit 110 detects a thing or a person The laser beam can be irradiated. Accordingly,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ncludes a main body 212 rotatably coupled to a mounting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a light source module 216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2 to generate a laser beam, A reflection member 218 and a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217 which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2 so as to face the reflection member 216 and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reflection member 218 and the reflection member 218 that reflect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16, .

본체(212)는 레이저 생성유닛(210)의 케이스(case)를 의미할 수 있다. 본체(212)는 스틸(steel), 플라스틱(plastic)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2)는 위험경고 표시부(120)를 장착하고자 하는 건설기계(1)의 크기 또는 작업 반경 등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의 사각 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12 may refer to a case of the laser generating unit 210. The body 21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plastic,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ain body 212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according to the size or the operation radius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o which the danger warning display unit 120 is to be mounted, or may be formed into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hollow rectangular column, . ≪ / RTI >

여기서, 본체(212)의 타단부 즉, 광원 모듈(216)과 대향하는 단부는 광원 모듈(216)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L)을 본체(212)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방출하여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12, that is, the end opposite to the light source module 216, emits the laser beam L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16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2 to the outside, To the surrounding ground surface.

이에 따라, 본체(212) 에는 레이저빔(L)이 통과하는 방출구(2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212)에 마련되는 방출구(213)를 통해서 본체(212)의 내부에서 발생된 레이저빔(L)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5에는 방출구(213)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방출구(213)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방출구(213)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복개부재(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복개부재가 방출구(213)를 차례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레이저빔(L)은 방출구(213)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복개부재를 투과하여 지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복개부재의 두께 또는 곡률반경을 달리하거나 굴절능 또는 굴절률 등에 따른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지면에 표시되는 레이저빔(L)의 투과 강도, 조사거리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광원 모듈(216)에서 파장 또는 색깔이 다른 2종류 이상의 레이저빔이 생성되고 복개부재를 각 레이저빔만 통과할 수 있는 2가지 재질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투과되는 레이저빔에 따라 지면에 표시된 표시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메시지를 가지는 위험경고를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ain body 212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13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L passes. The laser beam L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212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3 provided in the main body 212. 3 and 5 illustrate that the discharge port 213 is formed in an open 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the discharge port 213 is not opened, but the discharge port 213 having the open form is formed with a transparent member (not show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ischarge member opens the discharge port 213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form. When the laser beam L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beam L can be displayed on the ground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member formed on the discharge port 213.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transmission intensity, the irradiation distance, and the like of the laser beam L displayed on the ground by selecting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r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logging member or the refractive index or refractive index.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types of laser beam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or colors are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216 and two or more materials capable of passing only the respective laser beams are formed, Danger warning with various forms or messages can be made by changing the displayed indication.

한편, 방출구(213)는 본체(212)의 상부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레이저빔(L)을 보다 멀리 조사하기 위해서 방출구(213)를 본체(212)의 중단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방출구(213)는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반경에 따라 본체(212)의 상단부에 형성되거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본체(212)의 반경 방향의 좌측에 형성되거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213)는 본체(212)의 일측 또는 타측 즉,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ort 213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order to irradiate the laser beam L farther, a discharge port 213 may be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body 212. [ The discharge port 21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12 or at the lower end according to the radius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to be display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2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2, that is,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출구(213)의 위치 또는 형성 각도 등에 따라서 방출구(213)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L)의 조사 각도가 달라짐으로써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방출구(213)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L)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작을 경우에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과 먼 위치에 위험영역패턴(122a)이 표시될 수 있고, 방출구(213)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L)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클 경우에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과 가까운 위치에 위험영역패턴(122b)가 표시될 수 있다.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aser beam L emitted from the discharge port 213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the forming angle of the discharge port 213 as shown in FIG. The location may also vary. For example,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aser beam L emitted from the discharge port 213 and the paper surface is small,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a may be display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The danger zone pattern 122b may be display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when the angle between the laser beam L emit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3 and the ground surface is large.

또한, 방출구(213)의 모든 부위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대신 방출구(213)의 부위에 따라서 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지면에 표시되는 레이저빔의 형태를 다르게 하여 건설기계(1)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특별한 메시지를 가지는 위험경고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stead of forming all the portions of the discharge port 213 at the same height,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213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213,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aser beam displayed on the ground is different, It is also possible to give a warning to a nearby worker or pedestrian with a special message.

이와 같이, 본체(212)에 형성되는 방출구(213)의 위치, 각도, 높이 등에 따라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호의 길이 또는 범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r the range of the arc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angle, height, etc. of the discharge port 213 formed in the main body 212.

또한, 본체(212)의 내주면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2)의 내주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울퉁불퉁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태, 엠보싱 형태 또는 요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본체(212)의 내부에 마련된 광원 모듈(216)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L)이 본체(212)의 내부에서 산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212)의 내부에서 레이저빔(L)이 산란됨에 따라 본체(212) 자체가 경보기처럼 반짝거리게 되어, 레이저빔을 지면에 표시하지 않고 본체(212) 자체가 반짝거리는 작동에 의해 작업자 또는 보행자 등에게 시각적인 경고를 줄 수 있다. 이 때, 레이저빔이 산란되어 반짝거리는 것이 본체(212)의 외면에서도 충분히 보이도록 본체(212)를 레이저빔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12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A,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212 is not formed as a flat surface, but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ugged protrusions are formed, an embossed shape, or a concavo-convex shape. The laser beam L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16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2 can be scattered in the main body 212. [ In other words, as the laser beam L is scattered in the main body 212, the main body 212 itself shines like an alarm, so that the main body 212 itself does not display the laser beam on the ground, Or pedestrians can give a visual warning. At this time, the main body 2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can be transmitted so that the laser beam is scattered and is also visible eve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2.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2)의 내부에서 산란되는 레이저빔(L)의 일부는 방출구(213)를 통해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에 조사되어 위험영역패턴(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5 (b), a part of the laser beam L scattered in the main body 212 is irradiated to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3, The pattern 122 may be formed.

도 4를 참조하면, 광원 모듈(216)은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빔(L)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원 모듈(216)은 레이저빔(L)을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되는 레이저빔(L)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light source module 216 may form a laser beam L for forming a hazard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light source module 216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laser beam L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laser beam L is generated.

또한, 광원 모듈(216)은 생성되는 레이저빔의 생성 빈도 또는 지속 시간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 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개의 레이저빔을 생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레이저빔의 개수에 따라 광원 모듈(216)도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light source module 216 may control the generation frequency or duration of the generated laser beam.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plurality of laser beams having various colors or frequencie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 modules 216 is also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ser beams.

반사부재(218)는 일종의 거울(mirror)로, 광원 모듈(216)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L)을 반사시키거나 굴절시킬 수 있다. 광원 모듈(216) 및 반사부재(218)는 본체(2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체(212)의 내부에 마련된 광원 모듈(216)과 대향되는 위치 즉, 광원 모듈(216)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reflecting member 218 is a kind of mirror and can reflect or refract the laser beam L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16. [ The light source module 216 and the reflecting member 218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2.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module 216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source module 216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2, that is, at a position facing the light source module 216.

반사부재(218)의 각도에 따라 레이저빔(L)의 반사 각도가 달라지면서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범위 또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재(218)의 각도는 후술할 반사부재 구동부(217)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손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참고로, 반사부재(218)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뿐만 아니라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사부재(218)의 형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ange or position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may be varied with the angle of reflection of the laser beam L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 Here, the angle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may be adjusted by a reflecting member driving unit 2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manually adjusted by an operator. For reference, the reflecting member 218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nd the like, and may be formed not only in a plane but also in the form of a concave curved surface or a convex curved surface. However, the shape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is not limited thereto.

반사부재 구동부(217)는 반사부재(218)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반사부재(21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 구동부(217)는 모터(motor) 등과 같은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217 can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ion member 218 or rotate the reflection member 218. [ The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217 may be a member capable of generating a driving force such as a motor.

반사부재 구동부(217)는 일단부가 반사부재(218)와 결합되어 광원 모듈(216)을 바라보는 반사부재(218)의 각도(도 4의 α 참조)를 조절할 수도 있고, 반사부재(218)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반사부재 구동부(217)에 의해 조정되는 반사부재(218)의 기울기에 따라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범위, 거리 또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may control the angle of the reflective member 218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reflective member 218 and looking at the light source module 216, It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range, distance, or position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varies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adjusted by the reflecting member driving unit 217.

또한,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중에 반사부재(218)가 회전함으로써,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은 반사부재(218)가 회전하는 범위 또는 각도 만큼 연속적인 선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eflecting member 218 rotates while reflecting the laser beam,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 line by the range or angle in which the reflecting member 218 rotates.

또한, 반사부재 구동부(217)는 반사부재(218)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반사부재(218)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은 원 또는 원호 형태가 아니라 불규칙적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may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ive member 218 while rotating the reflective member 218. In this case,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is not a circular or arcuate shape, Can be displayed.

참고로, 반사부재 구동부(217)는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반사부재(218)의 각도 또는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범위 등을 조절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217 can control the angle, the rotation direction, the rotation speed, the rotation range, and the like of the reflection member 218 by being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를 참조하면, 지면에서부터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반사부재(218) 사이의 거리를 h, 광원 모듈(216)에서 생성되어 반사부재(218)에 입사되는 레이저빔(L)과 반사부재(218) 사이의 각도를 α라고 할 때, 위험영역패턴(122)의 표시 거리 또는 범위 d는 [수학식 1]와 같이 표현된다.4, a distance h from the ground to the reflecting member 218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s h, and a distance between the laser beam L that is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216 and enters the reflecting member 218, The display distance or the range d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1) "

[수학식 1]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편, [수학식 1]로부터 레이저빔(L)과 반사부재(218) 사이의 각도(α)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Between the laser beam L and the reflective member 218 can be obtained from the equation (1), which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참고로 β는 광원 모듈(216)에서 생성되어 반사부재(218)에 도달하는 레이저빔(L)과 반사부재(218)에 의해 반사되어 지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빔(L)과의 각도를 의미한다. Β refers to the angle between the laser beam L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module 216 and reaching the reflecting member 218 and the laser beam L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ember 218 and irradiated to the ground surface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레이저빔 생성유닛(210)과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과의 거리(d)를 산출하고, 상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216)에서 생성되어 반사부재(218)에 입사되는 레이저빔(L)과 반사부재(218) 사이의 각도(α)를 산출할 수 있다. 3, the distance d between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and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paper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angle alpha between the laser beam L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216 and incident on the reflecting member 218 and the reflecting member 218. [

제어부(130)는 [수학식 1] 및[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 값에 따라, 반사부재(218)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면에 표시되는 위치에 위험영역패턴(122)의 범위 또는 거리 등을 조절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angle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according to the value calculated by the equations (1) and (2) so that the range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or the distance And so on.

한편, 위험영역 표시부(120)의 장착유닛(220)은 위험영역 표시부(120)를건설기계(1)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은 장착유닛(220)에 대해 회전 또는 틸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unit 220 of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is a part for mounting and fixing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to the construction machine 1. [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may be mounted to be rotated or tilted relative to the mounting unit 220.

이러한 장착유닛(220)은 건설기계(1) 에 장착 및 고정되는 장착 프레임(222) 및 장착 프레임(222)에 마련되어 건설기계(1) 또는 장착 프레임(222)에 대한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프레임 구동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This mounting unit 22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frame 222 and the mounting frame 222 mounted and fix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is provided to the laser beam producing unit 210 for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the mounting frame 222. [ And a frame driving unit 224 for adjusting the slope of the frame.

구체적으로, 장착유닛(220)의 장착 프레임(222)은 일면이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됨으로써 건설기계(1) 에 장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frame 222 of the mounting unit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n one side, and can be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1 by forming a coupling hole at one end.

도면에는 장착유닛(220) 및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을 포함한 위험영역 표시부(120)가 건설기계(1)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설기계(1)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만약, 위험영역 표시부(120)를 건설기계(1)의 상단부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착 프레임(222)의 하측 단부에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장착 프레임(222)의 형태는 장착 프레임(222)이 장착되는 건설기계(1)의 해당 부위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hazardous area display unit 120 including the mounting unit 220 and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In order to mount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on the upper end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upling hole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222. For reference, the shape of the mounting frame 222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n which the mounting frame 222 is mounted.

한편, 장착 프레임(222)에는 프레임 구동부(224)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구동부(224)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2개가 장착 프레임(222)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 구동부(224) 사이에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본체(212)가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은 프레임 구동부(224)에 결합되고 프레임 구동부(224)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딩(tilting) 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frame driving unit 224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222. At this time, the frame driving unit 224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222 with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ain body 212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frame driving units 224 so as to be rotatable or tilting.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driving unit 224 and may b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frame driving unit 224. [

또한, 장착유닛(220)의 프레임 구동부(224)는 장착 프레임(222) 및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본체(212)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구동부(224)는 상술한 반사부재 구동부(217)와 동일한 모터(motor)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동부(224)와 본체(212)가 축 결합되고, 축을 중심으로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키는 프레임 구동부(224)는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frame driving portion 224 of the moun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over the mounting frame 222 and the main body 212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 The frame driving unit 224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motor as 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frame driving unit 224 and the main body 212 are axially coupled, and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can b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around the axis. At this time, the frame driving unit 224 for tilting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to the left or right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프레임 구동부(224)에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틸팅 각도 또는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6)는 프레임 구동부(224)의 케이싱(미도시)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레이저빔 생성유닛(210)과 접촉하는 일면에 음각의 홈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26)는 원호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구동부(224)에 결합되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하단부 쪽에는 가이드부(226)에 삽입되는 가이드핀(미도시)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driving unit 224 may include a guide unit 226 for limiting the tilting angle or rang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The guide part 226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casing (not shown) of the frame driving part 224 or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f a concave shape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As shown in Fig. 3, the guide portion 226 preferably has an arc shape. A guide pi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26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coupled to the frame driving portion 224. [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험영역 표시부(120)는 수평 유지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유지 유닛은 건설기계(1)가 수평한 지면에 위치하지 않고 경사진 지면에 있거나 울퉁불퉁한 지면에 있더라도 위험영역 표시부(120)가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수평 상태 또는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경사센서(미도시) 및 경사센서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평 구동부에 의해서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후에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에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lthough not shown,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holding unit (not shown). The horizontal holding unit keeps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always in a horizontal state even i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not located on a horizontal ground and is on a sloping ground or a rough ground. To this end, a horizontal driving unit (not shown) for keeping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ation by the inclination sensor (not shown) and the inclin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horizontal state or the inclination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Not show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generates a laser beam after the horizontal driving part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한편,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10) 및 위험영역 표시부(120)의 반사부재 구동부(217) 및 프레임 구동부(224)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 또는 지면에 대한 건설기계(1)의 기울기 등에 따라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위치, 범위 또는 크기 등이 변하도록 반사부재 구동부(217) 및 프레임 구동부(22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평 유지 유닛의 경사센서와 연동하고 수평 구동부를 제어하여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수평한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sensor unit 110 and 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and the frame driving unit 224 of the dangerous area display unit 120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the range, or the size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traveling or work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the inclin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relative to the ground, 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and the frame driving unit 224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to operate only in a horizontal state by interlocking with the tilt sensor of the horizontal holding unit and controlling the horizontal driving unit.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 에 마련된 센서부(110)로부터 건설기계(1) 주변의 사물 또는 사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감지 결과를 전송받거나, 건설기계(1)에 마련되는 경사센서(미도시)로부터 레이저빔 생성유닛(210) 또는 장착유닛(220)의 경사 각도 등에 대한 감지 결과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의해 건설기계(1)의 주변에 사물 또는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을 제어하여 건설기계(1) 주변의 지면에 위험영역패턴(122)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jects or objects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from the sensor unit 110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or the mounting unit 220 from the inclination sensor (not shown).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unit 110 that there is an object or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laser beam generation unit 210 to generate a ground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경사센서(미도시)로부터 전송 받은 건설기계(1)의 기울기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30)가 광원 모듈(216)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l)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18)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반사부재 구동부(217)를 작동시키거나, 장착 프레임(222)과 결합되어 건설기계(1)에 대한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프레임 구동부(224)를 작동시키거나,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평 유지 유닛의 수평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30)는 지면에 대한 건설기계(1)의 기울기에 따라 프레임 구동부(224)를 제어하여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틸팅시키고, 레이저빔 생성유닛(210)이 틸팅되는 각도에 따라 반사부재 구동부(217)를 제어하여 건설기계(1)의 주변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표시 영역 또는 범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lting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received from the tilting sensor (not shown) is detected to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controller 130 reflects the laser beam l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16 Which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 1 by operating the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217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reflecting member 218 to be fixed to the mounting frame 222, The horizontal driving unit of the horizontal holding unit can be operated to operate the driving unit 224 or to keep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n a horizontal stat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rame driving unit 224 in accordance with the til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relative to the ground to tilt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display area or the range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can be changed by controlling the reflective member driving unit 217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display unit 210 is tilted.

즉, 제어부(130)는 레이저빔 생성유닛(210) 및 장착유닛(220)과 연동되어 지면에 입사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위치, 각도, 굵기 등을 가변 시킬 수 있으며, 건설기계(1)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 또는 지면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지면에 입사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위치, 각도, 굵기 등을 가변 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can change the position, angle, thickness, etc.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incident on the ground by interlocking with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0 and the mounting unit 220, The angle, th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 122 incident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unning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or the inclination to the ground.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하면, 건설기계(1)가 정지한 상태에서 굴삭, 파지 등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험영역패턴(122)이 건설기계(1)의 둘레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건설기계(1)가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 중일 경우에는 사물이나 사람이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더라도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험영역패턴(122)이 건설기계(1)의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의 전체 영역 죽, 건설기계(1)의 둘레를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건설기계(1)가 정지 중일 경우에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은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in the case where an operation such as digging, gripping, etc. is performed while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stopped,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 In other words, in case that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stopped while it is in operation, the danger area pattern 122 is set to the safety distan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so as to recognize that the object or the person is dangerous in any direction, The entire area of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o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can be display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For reference,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stopped,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such as a square.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건설기계(1)의 상부체가 우측 방향으로 선회 중인 상태이면 위험영역패턴(122)은 건설기계(1) 주변 지면에 표시된 우측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에 해당되는 지면에만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8을 참조하면, 건설기계(1)의 상부체가 좌측 방향으로 선회 중인 상태이면 위험영역패턴(122)은 건설기계(1)의 좌측 지면에 표시된 좌측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에 해당되는 지면에만 표시될 수 있다. 7, when the upper bod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turning in the rightward direction,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is detected at the right safety distance 2 o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 / RTI > 8, if the upper par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in the leftward pivoting state,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is detected by the left safety distance 2 o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2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112). ≪ / RTI >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기계(1)의 상부체가 우측으로 선회하는 경우 즉, 건설기계(1)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정도 회전하는 경우, 건설기계(1)의 상부체의 좌측 부분은 우측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의 상부체 우측 부분의 지면에 표시되는 센서인지영역(112) 또는 안전거리(2)가 좌측 부분의 지면에 표시되는 센서인지영역(112) 또는 안전거리(2) 보다 더 크기 표시되도록 하거나, 센서인지영역(112) 또는 안전거리(2)에 해당하는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이 좌측 부분보다 우측 부분에서 크기 또는 굵기가 더 크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의 상부체 선회 방향에 맞게 건설기계(1)의 상부체를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 부분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센서인지영역(112) 또는 안전거리(2)에 해당되는 지면에만 위험영역패턴(122)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7, when the upper bod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urns to the right, that is,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rotates about 18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upper bod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e left part is relatively less dangerous than the right part.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or the safety distance 2 displayed on the ground of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displayed on the ground of the left part, The danger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or the safety distance 2 is displayed in a larger size or larger in the right portion than in the left portion, . 7 and 8,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upper bod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may be displayed only o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or the safety distance 2. [

더욱이, 도 9를 참조하면, 건설기계(1)가 후진 중인 경우, 위험영역패턴(122)은 건설기계(1)의 후방 지면에 표시된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에 해당되는 지면에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건설기계(1)의 후방 지면에 표시되는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의 크기 또는 범위는 건설기계(1)의 전방 지면 또는 측방 지면에 표시되는 안전거리(2) 또는 센서인지영역(11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 쪽에 사물 또는 사람이 있는 경우와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에 대해 약 45도 되는 지점에 사물 또는 사람이 있는 경우를 비교하면, 후진 방향 쪽에 위치된 사물 또는 사람이 약 45도 지점에 위치된 사물 또는 사람보다 더 빨리 건설기계(1)와 부딪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 지면에 표시되는 안전거리(2) 및 센서인지영역(112)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표시되도록 하거나,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폭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9,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corresponds to the safety distance 2 o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indi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t can only be displayed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size or the range of the safety distance 2 or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display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not limited to the safety distance 2 displayed on the front or sid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bject or a person o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when there is an object or a person on a position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Because the object or person will encounter the construction machine 1 faster than the object or person located at about 45 degrees. Thi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the safety distance 2 and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displayed o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relatively larger or to display the dangerous area pattern 112 display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t may be desirable to have the width of the light source 122 displayed to be larger.

또한, 제어부(130)에 의해 건설기계(1)의 후진이 감지되었을 경우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 지면에 표시되는 안전거리(2) 및 센서인지영역(112)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의 후진 방향에 대한 센서인지영역(112) 및 안전거리(2) 또는 위험경고패턴(122)을 타원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는 위험경고패턴(122)이 타원 모양으로 표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 또는 모양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When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30, the safety distance 2 and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displayed o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can be set to be larger hav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sensor recognition area 112 and the safety distance 2 or the danger warning pattern 122 in the shape of an ellipse with respect to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 9, the danger warning pattern 122 is shown as an elliptic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layed in other shapes or shapes.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설기계(1)가 전방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건설기계(1)의 운전자의 시야가 건설기계(1)의 주행방향과 같으므로 건설기계(1)의 전방에 위험영역패턴(122)을 표시할 필요가 없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travels forward, the driver's vis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the same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the pattern 1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참고로, 도 7 내지 도 9에는 건설기계(1)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에 해당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이 지면에 표시되었지만, 건설기계(1)가 주행 또는 작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건설기계(1)의 복합적인 작업에 모두 해당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이 지면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거나, 중복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설기계(1)가 후진 또는 상부체 우측 선회 작업을 수행할 경우 건설기계(1)의 우측 부분 지면과 건설기계(1)의 후방 부분 지면에 모두 위험영역패턴(122)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지면에 표시되는 위험영역패턴(122)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기계(1)의 작업 상태 및 주행 상태에 따라 복수개로 표시될 수 있다. 7 to 9,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or work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displayed on the ground. However,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performs complex operations or operations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corresponding to all the complex operations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ground or may be displayed as redundant. For example, when the construction machine 1 performs a backward or upside right turning operation, a dangerous area pattern 122 is displayed on both the right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 That is, the number of the hazardous area patterns 122 displayed on the ground is not limited, and may be indicated by a plurality of operation states and running states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as described above.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100)는 알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40)는 센서부(110) 및 제어부(130)와 연동되어, 건설기계(1) 주변에 있는 사물 또는 사람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고, 건설기계(1)의 운전자에게도 건설기계(1)의 주변으로 사람 또는 사물이 접근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즉, 상술한 위험영역패턴(122)이 건설기계(1)의 주변으로 접근하거나 위치된 사물(장비) 또는 작업자나 보행자 등의 사람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한 '1차 위험경고' 였다면, 알림부(140)는 건설기계(1) 주변의 사물(장비) 또는 작업자 및 보행자뿐만 아니라 건설기계(1)의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리기 위한 '2차 위험경고'라고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anger warn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40. The notification unit 140 may interfere with the sensor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to notify a danger to an object or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and to inform the driver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 To the vicinity of a person or object. That is, if the above-described dangerous area pattern 122 is a 'primary danger warning' for notifying a danger to a person such as a worker or a pedestrian who is approaching or located near the construction machine 1, 14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anger warning" f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of the danger as well as the objects (equipment) or workers and pedestrians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이와 같은 알림부(140)는 건설기계(1)의 외부에 마련되거나 건설기계의 운전실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건설기계(1)가 작업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알림음(청각신호) 또는 알림등(시각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알림부(140)는 센서부(110)에 의해 건설기계(1) 주변 지면에 표시된 위험영역패턴(122)을 지나 처서 안전거리(2) 이내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업자 또는 보행자나 건설기계(1)의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nstruction machine 1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he notification unit 14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audible signal) (Visual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14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0 when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that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1 is approaching within the safety distance 2, And informs the operator or the driver of the pedestrian or the construction machine 1 of the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100)는 센서부(110)로부터 건설기계(1)의 안전거리(2) 이내로 사물 또는 사람이 접근한 것이 연속적으로 감지되거나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건설기계(1)의 작업 또는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알림부(140)가 작동되고 난 후에도, 센서부(110)에 의해 지면에 표시된 위험영역패턴(122)을 사람 또는 사물이 지나쳐서 안전거리(2) 이내에 접근된 것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로 감지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근거로 건설기계(10의 작업은 물론이고 시동 자체를 강제로 정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anger war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object or a person approaching within a safety distance 2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from the sensor unit 110 is continuously sensed,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 may be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 In other words, even after the notification unit 140 is activated, if it is continuously detected that the dangerous area pattern 122 displayed on the ground by the sensor unit 110 is within the safety distance 2 due to a person or object passing over it, The sens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Then, the control unit 130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forcibly stopping the starting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10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signal.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100)는, 건설기계 주변의 사람에게 건설기계의 위험지역 내에 존재함을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described above, the danger warning device 100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warning a perso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to exist in a dangerous area of the construction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100)는, 건설기계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에 따라 위험영역패턴의 형태 및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건설기계 주변에 있는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건설기계의 주행 또는 작업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100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warning by chang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dangerous area pattern according to the traveling or work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Can inform the running or opera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100)는,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리지 않더라도 센서부가 작업자 또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지면에 위험영역패턴이 표시되기 때문에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즉각적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100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anger zone pattern on the ground by sensing the operator or pedestrian of the sensor unit even if the driver of the construction machine does not inform the operator or pedestria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danger Workers or pedestrians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can immediately sense the danger.

더욱이,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100)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건설기계 주변의 지면에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기 때문에 건설기계 주변의 작업자 및 보행자에게 작업 현장의 소음 등의 환경 영향에 관계없이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danger warning device 100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dangerous area pattern on the groun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by using the laser beam,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orkers and pedestrians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with environmental effects Regardless of the risk.

또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 위험경고장치(100)는, 수평 기준면에 대해 건설기계 또는 위험경고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또는 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보상함으로써 건설기계 또는 위험경고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또는 각도에 무관하게 건설기계를 중심으로 일정한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표시된 위험영역패턴으로 인해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상해를 당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achine danger warn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d compensates for the inclined state or angl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danger warn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inclined state or angl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danger war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certain dangerous area patter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irrespectiv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operator or the pedestrian is injured due to the dangerous area pattern that is displayed incorrect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건설기계
2: 안전거리
100: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110: 센서부
112: 센서인지영역
120: 위험영역 표시부
122: 위험영역패턴
130: 제어부
140: 알림부
210: 레이저빔 생성유닛
212: 본체
213: 방출구
216: 광원 모듈
217: 반사부재 구동부
218: 반사부재
220: 장착유닛
222: 장착 프레임
224: 프레임 구동부
1: Construction machinery
2: Safety distance
100: danger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110:
112: sensor recognition area
120: Hazardous area indicator
122: Hazardous area pattern
130:
140:
210: laser beam generating unit
212:
213:
216: Light source module
217:
218: reflective member
220: mounting unit
222: mounting frame
224:

Claims (9)

건설기계에 마련되어 상기 건설기계 주변의 사물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건설기계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물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에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 지면으로 상기 위험영역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생성유닛; 및
상기 건설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건설기계에 대한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for sensing objects or people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A danger zon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configured to display a dangerous area pattern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 RTI >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displays,
A laser beam generating unit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for displaying the dangerous area pattern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nd a mounting unit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for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은,
상기 장착유닛과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의 기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반사부재를 회전시키는 반사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comprises:
A body coupled with the mounting unit;
A light source modul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laser beam;
A ref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light source module and reflecting a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And
And a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for adjusting a tilt of the reflection member or rotating the reflection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상기 건설기계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장착 프레임;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건설기계에 대한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의 기울기 또는 틸팅 각도를 조정하는 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mounting frame for positioning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on one sid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And a frame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for adjusting a tilting or tilting angle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 구동부 또는 상기 프레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면에 대한 상기 건설기계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틸팅시키거나, 상기 건설기계의 기울기 또는 상기 레이저빔 생성유닛이 틸팅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반사부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사부재의 각도,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flection member driving unit or the frame driving unit,
Wherein,
The frame driving unit controls the fram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tilt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to adjust the til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r the refl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ember driving unit to change an angle, a rotation direction, or a rotation speed of the reflection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을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해 방출시키는 방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frame driving part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frame,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n open form or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산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so that a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is scattered inside the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의 위치는 상기 건설기계의 주변 지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위험영역패턴의 위치, 범위 또는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varies depending on a position, a range, or a size of a dangerous area pattern to be display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mach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는, 상기 방출구의 부위에 따라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height according to a location of the discharge port.
KR1020170072909A 2017-06-12 2017-06-12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1970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909A KR101970188B1 (en) 2017-06-12 2017-06-12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909A KR101970188B1 (en) 2017-06-12 2017-06-12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02A true KR20180135502A (en) 2018-12-21
KR101970188B1 KR101970188B1 (en) 2019-08-28

Family

ID=6495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909A KR101970188B1 (en) 2017-06-12 2017-06-12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18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045B1 (en) * 2020-01-22 2020-12-2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KR20210046111A (en)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Construction equipment automatic stop system
KR102248149B1 (en) * 2020-10-28 2021-05-04 최종국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 of heavy equipment
WO2021167923A1 (en) * 2020-02-21 2021-08-2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Lighting floor on sides of material handling vehicle to indicate limited or non-limited area
KR102499400B1 (en) * 2022-09-06 2023-02-13 김영배 Warning light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266B1 (en) 2022-02-15 2024-03-04 건설기계부품연구원 Construction machi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and camer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428A (en) * 1994-07-27 1996-02-16 Shinko Electric Co Ltd Unmanned traveling vehicle
KR20120049978A (en) * 2010-11-10 2012-05-18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for guiding risk area of working vehicle
KR20130004962A (en) * 2011-07-05 2013-01-15 호은성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safe distance
KR101547564B1 (en) *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icating safe distance for forklift
KR20170086968A (en) * 2016-01-19 2017-07-27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Safet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428A (en) * 1994-07-27 1996-02-16 Shinko Electric Co Ltd Unmanned traveling vehicle
KR20120049978A (en) * 2010-11-10 2012-05-18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for guiding risk area of working vehicle
KR20130004962A (en) * 2011-07-05 2013-01-15 호은성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safe distance
KR101547564B1 (en) *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icating safe distance for forklift
KR20170086968A (en) * 2016-01-19 2017-07-27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Safet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11A (en)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Construction equipment automatic stop system
KR102194045B1 (en) * 2020-01-22 2020-12-2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WO2021167923A1 (en) * 2020-02-21 2021-08-2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Lighting floor on sides of material handling vehicle to indicate limited or non-limited area
US11820634B2 (en) 2020-02-21 2023-11-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dify vehicle parameter based 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US11912550B2 (en) 2020-02-21 2024-02-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osition assistance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102248149B1 (en) * 2020-10-28 2021-05-04 최종국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 of heavy equipment
KR102499400B1 (en) * 2022-09-06 2023-02-13 김영배 Warning light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188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5502A (en)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1788689B1 (en) Safet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JP6216097B2 (en) Work machin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JP7058582B2 (en) Work machine
JP7407178B2 (en) excavator
WO2020189578A1 (en) Work machine
WO2020218454A1 (en) Display device, shove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7358070B2 (en) excavator
CN113748247B (en) Safety equipment confirming system for excavator and working site
KR20160130332A (en) Approach monitoring and operation retardation and stop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industry and construction
JP2777534B2 (en) Monitor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20160022020A (en) Approach and shutdown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JP2004343297A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90139512A (en)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JP2006195877A (en) Working machine
KR20210101634A (en)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ing safety system
CN113767202A (en) Excavator
KR101229668B1 (en) Device for guiding risk area of working vehicle
KR101491177B1 (en) Night view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9158258A (en) Monitoring device of construction equipment
KR20140126047A (en) Safety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7234095B2 (en) construction machinery
JP6901710B1 (en) Safety devices and work machines
KR101937583B1 (en) A Device For Guiding Area Of Working Vehicle
KR102578690B1 (en) Blind Spot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