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777A -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777A
KR20180134777A KR1020180066966A KR20180066966A KR20180134777A KR 20180134777 A KR20180134777 A KR 20180134777A KR 1020180066966 A KR1020180066966 A KR 1020180066966A KR 20180066966 A KR20180066966 A KR 20180066966A KR 20180134777 A KR20180134777 A KR 2018013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dip switch
state
communication device
machi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819B1 (ko
Inventor
곽창석
Original Assignee
예술불꽃화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술불꽃화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술불꽃화랑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악소스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음악 스코어 또는 조명 신호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조명 스코어에 동기하여, 각 플레임 머신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콘솔 컴퓨터, 상기 콘솔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각 플레임 머신에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점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점화기 및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연료 밸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FLAME MACHINE CONTROL SYSTEM FOR PERFORMANCE}
본 발명은 공연 현장 상황에 따라 플레임 머신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공연 연출이 가능한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산업은 공연을 매개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음악 및 무용 등의 대형 이벤트 산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연 산업에서 무대와 안무 등의 연출이 필요한 곳에 다양한 특수 효과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특수 효과 장비에는 불꽃(폭죽)이나 실제 불 등의 연출을 위한 화염 발사 장치, 레이저, 스트로브 조명, 자외선 조명 등이 조명 효과를 제공하는 조명 장치, 드라이아이스, 액화질소, 가열된 기름 등에 의한 안개나 연기 등을 포함하는 연무 발생 장치, 불 분사 장치나 워터 커튼 조작 장치 등을 포함한다.
특수 효과 장비들 중에서 화염 발사 장치는 공연장의 크기에 따라 수십 개~수백 개의 화염 발사 장치가 공연장 곳곳에 설치되는데, 각 화염 발사 장치를 제어하는 콘솔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대규모 공연장에서 콘솔 컴퓨터와 N개의 화염 발사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면, 불꽃이나 불 연출의 자유도가 떨어지며, 각 장치들을 유선으로 일일이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 준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콘솔 컴퓨터는 최소의 지연 시간으로 N개의 화염 발사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야 연출자 의도에 맞게 불기둥 또는 불꽃 공연이 시간 오차 없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기능의 상용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콘솔 컴퓨터와 N 개의 화염 발사 장치에 적용할 경우, 유선 통신에 비해 통신 지연 시간이 대폭 늘어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콘솔 컴퓨터와 다수의 화염 발사 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809153 호(발명의 명칭: 대규모 멀티미디어 불꽃 공연의 통합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솔 컴퓨터 또는 N개의 플레임 머신이 공연 현장 상황에 따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원화된 연료 탱크와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여 안정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악소스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음악 스코어 또는 조명 신호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조명 스코어에 동기하여, 각 플레임 머신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콘솔 컴퓨터, 상기 콘솔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각 플레임 머신에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점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점화기 및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연료 밸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콘솔 컴퓨터 또는 N개의 플레임 머신이 공연 현장 상황에 따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플레임 머신을 연결하여 공연 연출을 진행할 수 있어 연출 자유도가 높아지고, 공연 준비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를 메인 연료 탱크와 보조 연료 탱크로 분리하여 화염 발사 중에도 연료를 보충하여 지속적으로 장비를 운영할 수 있고, 소비 연료 감소로 연출 시간이 연장될 수 있으며, 연료 밸브의 오작동으로 인한 화염 분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레임 머신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레임 머신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레임 머신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레임 머신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은, 콘솔 컴퓨터(100), 마스터 통신 장치(200) 및 N개의 플레임 머신(300)을 포함한다.
콘솔 컴퓨터(100)는 음악소스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음악 스코어 또는 조명 신호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조명 스코어에 동기하여 각 플레임 머신(3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이러한 콘솔 컴퓨터(100)는 연출자가 연출 효과를 사전에 디자인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연출 편집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콘솔 컴퓨터(100)는 음악 스코어 또는 조명 스코어 외에도 스크립트 작성기, 큐신호 해석기 등의 장비들과의 동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솔 컴퓨터(100)는 무선 송수신 상태, 전기 연결 상태, 연료량 등을 체크하여 플레임 머신(300)과의 통신 모드나 연료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통신 장치(200)는 콘솔 컴퓨터(100)와 접속되고,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각 플레임 머신(300)에 전송한다. 마스터 통신 장치(200)는 야기우다 안테나,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다이폴 안테나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플레임 머신(300)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 및 화염 유닛(320)을 포함한다. 이때,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마스터 통신 장치(200)에서 전송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화염 유닛(320)은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따라 화염 발사 동작을 수행한다.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와 화염 유닛(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대일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에 복수 개의 화염 유닛(320)이 결합되는 일대다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공연 현장 환경이나 화염 유닛(320)의 종류에 따라 일대일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 N개가 설치되지만, 일대다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 M(M<N)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시 유연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밸브 개폐 방식을 사용하는 화염 유닛(32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화염 모양을 가지는 화염 유닛(320)이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임 머신(300)은 최소 1개에서 최대 N개까지 서로 다른 종류의 화염 유닛(32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유닛(320)은 가압부(321), 메인 연료 탱크(322), 보조 연료 탱크(323), 연료 밸브(325) 및 점화기(326)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연료 탱크(322)에는 연료가 저장되고, 가압부(321)는 메인 연료 탱크(322)의 전단에 결합되어 메인 연료 탱크(322)에 질소가스를 공급한다. 가압부(321)는 질소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보조 연료 탱크(323)는 메인 연료 탱크(322)의 후단에 결합되며, 메인 연료 탱크(322)에서 전달되는 연료를 연료 밸브(325)로 공급한다. 이때, 연료 밸브(325)는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따라 동시에 동작하는 마스터 밸브(325a)와 서브 밸브(325b)를 포함하는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325)이다. 연료 밸브 구동 신호는 연료 밸브(325)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연료 밸브는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포함된 개방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 시간 종료 이후 연료 밸브를 잠그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3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밸브(325a)와 슬레이브 밸브(325b)가 직렬로 연결된 형태이고, 마스터 밸브(325a)와 슬레이브 밸브(325b)에 연료 밸브 구동 신호가 동시에 전달된다.
플레임 머신(300)은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의해 연료 밸브가 개방되어 화염이 분출되어야 하는데 화염이 분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의해 연료 밸브가 폐쇄되어 화염 분출이 정지되어야 하는데 화염이 계속 분출되는 경우에 연료 밸브의 오작동으로 인해 연출 의도에 맞지 않게 공연이 지속될 수 없거나 화재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연료 밸브가 폐쇄되지 않아 화염이 계속 분출되는 오작동의 경우, 공연 흐름이 중단되는 사고 외에도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325) 는 마스터 밸브(325a)와 슬레이브 밸브(325b)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연료 밸브의 폐쇄 오작동 가능성이 1/2 감소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료 탱크(323)는 N개의 플레임 머신에 대하여 연료를 각각 공급하는 N개의 연료 공급관(324)을 포함한다. 보조 연료 탱크(323)는 메인 연료 탱크(322)와 1대1로 연결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1개의 메인 연료 탱크(322)에 1개 이상의 보조 연료 탱크(323)가 연결되어 경제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점화기(326)는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점화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화염을 발생되도록 한다.
가압부(321)를 통해 메인 연료 탱크(322)의 상부에 전달된 압력이 연료를 메인 연료 탱크(322)의 내부에서 가압하고, 가압된 연료가 메인 연료 탱크(322)의 하부로 전달되고, 고압 호스를 이용하여 보조 연료 탱크(323)로 전달된다.
이렇게 가압된 연료가 보조 연료 탱크(323)에 공급되고, 연료 밸브(325)를 거쳐 분사 노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분출된다. 이때, 연료 분출과 동시에 점화기(326)가 작동되어 분출되는 고압의 연료에 불이 붙게 된다.
이때, 화염 유닛(320)은 필요에 따라 연료 공급 부위에 다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조절 밸브를 적절히 배치하여 다양한 불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화염 유닛(320)은 비바람에 의한 녹 방지 및 경량화를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고, 본체와 바닥 부위를 따로 분리할 수 있도록 외관을 디자인하여 하부 받침용과 상부 거치형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임 머신(300)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의 외장화, 화염 유닛(320)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로 제작될 수 있고, 부품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수월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1 딥스위치(312),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딥스위치(323), 입력단자(314) 및 출력 단자(315)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1 상태(‘0’)로 설정된 경우, 콘솔 컴퓨터(100)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입력 단자(314)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콘솔 컴퓨터(100)는 디지털 멀티플렉싱 (DMX) 출력 단자를 통해 복수 개의 채널로 화염 발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2 상태(‘1’)로 설정된 경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한편,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의 제 2 딥스위치(313)가 제 1 상태(‘0’)로 설정된 경우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모드로 설정되고, 제 2 딥스위치(313)가 제 2 상태(‘1’)로 설정된 경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 또는 출력 단자(315)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도 6a를 참고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1 상태(‘0’)로 설정되고, 제 2 딥스위치(313)가 제 2 상태(‘1’)로 설정된 경우, 콘솔 컴퓨터(100)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입력 단자(314)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 또는 출력 단자(315)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제 1 모드, 즉 유선입력 무선중계 모드로 설정된다.
제1 모드는 콘솔 컴퓨터(100)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의 플레임 머신(300)은 콘솔 컴퓨터(100)와 유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다음 플레임 머신(300)부터는 콘솔 컴퓨터(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모드는 콘솔 컴퓨터와 첫 번째로 연결되는 플레임 머신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 무선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2 상태(‘1’)로 설정되고, 제 2 딥스위치(313)가 제1 상태(‘0’)로 설정된 경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제 2 모드, 즉 유선 입력 모드로 설정된다.
제2 모드는 무선 송수신 상태가 원활할 경우 콘솔 컴퓨터(100)와 N개의 플레임 머신(300)간에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거리에 제약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2 상태(‘1’)로 설정되고, 제 2 딥스위치(313)가 제2 상태(‘1’)로 설정된 경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311) 또는 출력 단자(315)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제 3 모드, 즉 무선입력 유선 중계 모드로 설정된다.
제3 모드는 공연장의 크기나 무선 송수신 상태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첫 번째 플레임 머신부터 M번째 플레임 머신까지 무선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M+1번째 플레임 머신의 무선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M 번째 플레임 머신과 M+1번째 플레임 머신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d를 참고하면, 제 1 딥스위치(312)가 제 1 상태(‘0’)로 설정되고, 제 2 딥스위치(313)가 제1 상태(‘0’)로 설정된 경우, 콘솔 컴퓨터(100)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입력 단자(314)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제 4 모드, 즉 유선 입력 모드로 설정된다.
제4 모드는 콘솔 컴퓨터(100)와 N개의 플레임 머신(300)이 모두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로서, 공연장이 소규모이거나 무선 송수신 불가능 지역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통신 장치(100)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는 기존의 433MHz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고, 447.925MHz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마스터 통신 장치(100)와 N개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310) 간의 점대다중점 무선 통신 시 N개(예를 들어, 256개)의 채널을 지원할 수 있고, 433MHz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 사용시 3mW 이하의 실효복사 전력이 447.925MHz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 사용시 10mW 이하가 되어 송출 전력 측면에서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은 무선 송수신 상태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야외 공연이나 대규모 이벤트 진행시 다양한 무선 주파수 대역이 혼재되어 있거나 무선 전송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유선입력/무선입력, 유선 중계/무선 중계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딥 스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콘솔 컴퓨터 200 : 마스터 통신 장치
300 : 플레임 머신 310 : 슬레이브 통신 장치
320 : 화염 유닛

Claims (6)

  1.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악소스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음악 스코어 또는 조명 신호에 대한 전자 데이터가 기록된 조명 스코어에 동기하여, 각 플레임 머신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콘솔 컴퓨터,
    상기 콘솔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플레임 머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각 플레임 머신에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점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점화기 및 상기 수신한 플레임 머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연료 밸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플레임 머신을 포함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밸브는 상기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따라 동시에 동작하는 마스터 밸브와 서브 밸브를 포함하는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밸브 구동 신호는 상기 연료 밸브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밸브는 상기 연료 밸브 구동 신호에 포함된 개방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 시간 종료 이후 연료 밸브를 잠그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임 머신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딥스위치,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제 2 딥스위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1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콘솔 컴퓨터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2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 1 상태로 설정된 경우,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 2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모드로 설정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임 머신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는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1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 2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콘솔 컴퓨터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제 1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2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1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제 2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2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2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제 3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딥스위치가 제 1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딥스위치가 제1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콘솔 컴퓨터 또는 그 밖의 외부 장비와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지 않는 제 4 모드로 설정되는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은
    연료가 저장되는 메인 연료 탱크,
    상기 메인 연료 탱크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연료 탱크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메인 연료 탱크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연료 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를 상기 플레임 머신의 연료 밸브로 공급하는 보조 연료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료 탱크는 N개의 플레임 머신에 대하여 연료를 각각 공급하는 N개의 연료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인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KR1020180066966A 2017-06-09 2018-06-11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KR10209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593 2017-06-09
KR20170072593 201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77A true KR20180134777A (ko) 2018-12-19
KR102094819B1 KR102094819B1 (ko) 2020-03-31

Family

ID=6500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66A KR102094819B1 (ko) 2017-06-09 2018-06-11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084A (ko) * 2019-11-13 2021-05-25 예술불꽃화랑 주식회사 회전식 플레임 머신
KR20220015091A (ko) 2020-07-30 2022-02-08 김태영 자기장 검출 팔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46B1 (ko) * 2012-08-27 2012-11-19 강대현 이벤트 화염 분사 장치
KR20140085749A (ko) * 2012-12-27 2014-07-08 조성환 쇼 운영 방법
KR101637318B1 (ko) * 2015-12-09 2016-07-07 이영주 유무선 겸용 콘솔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통합 인터페이스
KR101809153B1 (ko) 2016-07-06 2017-12-15 주식회사 빅킴 대규모 멀티미디어 불꽃 공연의 통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46B1 (ko) * 2012-08-27 2012-11-19 강대현 이벤트 화염 분사 장치
KR20140085749A (ko) * 2012-12-27 2014-07-08 조성환 쇼 운영 방법
KR101637318B1 (ko) * 2015-12-09 2016-07-07 이영주 유무선 겸용 콘솔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통합 인터페이스
KR101809153B1 (ko) 2016-07-06 2017-12-15 주식회사 빅킴 대규모 멀티미디어 불꽃 공연의 통합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084A (ko) * 2019-11-13 2021-05-25 예술불꽃화랑 주식회사 회전식 플레임 머신
KR20220015091A (ko) 2020-07-30 2022-02-08 김태영 자기장 검출 팔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819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777A (ko) 공연용 플레임 머신 제어 시스템
KR101809153B1 (ko) 대규모 멀티미디어 불꽃 공연의 통합 제어 시스템
CN1756452B (zh) 照明系统的设定方法、设定器及照明系统
US20060032234A1 (en) Combined power main engine start system
WO2006091932A3 (en) Road marker with remotely controllable display
US7798066B1 (en) Motorized pyrotechnic system
US20140238259A1 (en) Fireworks launching system and firework launching method
KR101659545B1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CN110351497A (zh) 一种拼接显示系统
CN101893408A (zh) 一种用于防暴驱散的脉冲水炮车及其控制方法
KR102134077B1 (ko) 연무와 거품에 의한 빛의 난반사를 이용한 드론 공연시스템
US63576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ed illumination of at least one hot air balloon
WO2003058156A3 (en) Smart igniter communications repeater
KR20140085749A (ko) 쇼 운영 방법
KR102187874B1 (ko) 블록체인과 5g 와이파이를 이용한 다기능 다채널 쇼 콘트롤 시그널 분배 송수신 장치
KR102149903B1 (ko)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무선 송수신장치를 결합한 디지털 불꽃 발사장치
KR101095284B1 (ko) 쇼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N106342128B (zh) 固体火箭冲压发动机燃气发生器点火装置
CN212777326U (zh) 一种热气球燃烧器应急喷火系统
KR100823575B1 (ko) 고체 로켓의 추진부 구조
CN206265306U (zh) 一种无人机驱鸟吊舱控制系统
CN201020430Y (zh) 一种雾火喷泉
KR101809157B1 (ko) 대규모 멀티미디어 불꽃 공연 통합 제어 장치
KR101705481B1 (ko) 업소용 가스버너의 제어장치
CN210977704U (zh) 一种弹用发动机点火补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