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38A - 풍력발전기 설치선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 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38A
KR20180134538A KR1020170072382A KR20170072382A KR20180134538A KR 20180134538 A KR20180134538 A KR 20180134538A KR 1020170072382 A KR1020170072382 A KR 1020170072382A KR 20170072382 A KR20170072382 A KR 20170072382A KR 20180134538 A KR20180134538 A KR 2018013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line
wire
winch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329B1 (ko
Inventor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2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63B35/4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with adjustable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708/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발전기 설치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선에 설치되는 풀리, 일단이 모선과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풀리에 걸리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하여, 상기 윈치가 작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모선이 상기 작업선의 레그 사이로 진입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과 작업선으로 이루어지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서 모선과 작업선이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비용 증가와 화석연료의 소모로 인한 연소가스에 의해 환경 오염을 초래함으로써 친환경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 중에서 풍력에너지를 사용하는 풍력발전기는 포스트(post) 상단에 장착되는 풍력터빈을 풍력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직접 전기를 생성하거나 풍력터빈의 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대한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 및 수직형으로 분류되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블레이드(Blade)와 허브(Hub)로 구성된 회전자,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증속 장치(Gearbox),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Generator)로 구성된다.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풍속이 강하면서 풍향의 변화가 적을수록 높아진다. 해상에서는 바람의 유동을 저하시키는 지형 등에 따른 영향이 적으므로, 해상풍의 평균풍속이 지상풍의 풍속보다 높고 해상풍의 풍량 또한 지상풍의 풍량보다 풍부하다. 특히, 내륙에서 먼 곳의 해상풍일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므로 풍력발전에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주로, 육상보다는 해상에 설치된다.
또한,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소음 및 미관 등의 제약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나,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현재 대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기도 하며, 이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운반한 다음, 선박에 구비된 타워 컨트롤 데릭(Tower control derrick) 등을 이용하여 그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선박은 동력을 스스로 발생하여 항해하는 자항선으로서, 육지에서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의 설치에 필요한 설비들을 싣고 해상으로 나가 해저에 레그를 내려 선체를 고정하고 풍력발전기 설치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설치 도중 육지로 돌아왔다가 자시 해상으로 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풍력발전기의 설치에 필요한 모든 설비를 한번에 싣고 나가야 하며, 동력을 스스로 발생하여 항해하는 선박이기 때문에 해상에서 오랜 작업 시 유지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선이 작업선의 레그 사이로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작업선에 설치되는 풀리, 일단이 모선과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풀리에 걸리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윈치가 작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모선이 상기 작업선의 레그 사이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윈치는 상기 작업선의 상부에, 상기 풀리는 상기 작업선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작업선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모선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리,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윈치는 각각 두 개 이상씩 구비되며, 상기 모선의 진입 방향과 상기 작업선의 센터라인(CL)이 상시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윈치가 상기 와이어를 감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모선의 선미가 상기 작업선의 센터라인(CL)까지 진입하면 상기 레그를 들어올려 상기 작업선을 상기 모선에 싣고, 상기 모선의 밸러스트수를 방출하여 상기 모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모선의 선미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레그와 상기 선미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레그와 접촉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모선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레그가 접촉 시 상기 가이드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모선이 일정 위치까지 진입 시 상기 모선의 추가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선의 선미부의 데크에는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상기 모선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 1 롤러가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모선의 선미부 데크에는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상기 모선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패드가 마련되어, 상기 모선이 진입 시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모선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선의 선미부의 측면에는 상기 작업선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롤러가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업선에 설치된 윈치와 모선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윈치를 구동시켜 와이어를 감아 모선을 레그 사이로 안정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윈치는 작업선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선의 후방에는 풀리가 설치되며, 와이어는 윈치로부터 풀리를 지나 작업선의 하부로 연장되어 모선과 연결됨으로써 풀리에 의해 힘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모선의 선미 부분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 시 모선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레그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모선 및 레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미 부분의 데크에 제 1 롤러 또는 슬라이딩 패드가 구비되고, 측면에 제 2 롤러가 구비되어 무선이 작업선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무선 및 작업선의 손상을 줄이고, 모선의 부드러운 진입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모선과 작업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 풀리, 와이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과 작업선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선(200)이 작업선(100)을 싣고 해상에 나가 작업선(100)은 해저에 레그(101)를 내려 설치되고, 모선(200)은 작업선(100)과 분리되어 육지와 작업선을 오가며 풍력발전기의 설치에 필요한 설비들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모선과 작업선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선(200)과 작업선(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 풀리, 와이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풀리(110), 와이어(120) 및 윈치(130)를 포함한다.
풀리(110)는 작업선(1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풀리(110)는 작업선(10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20)는 와이어(120)는 일단이 모선(200)과 연결되며, 일부가 풀리(110)에 걸려 풀리(110)에 의해 와이어(12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윈치(130)는 와이어(1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와이어(120)를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에에서 윈치(130)는 작업선(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120)는 작업선(100) 상부의 윈치(130)로부터 작업선(100) 후방의 풀리(110)를 지나 작업선(100)의 하부에서 모선(2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윈치(130)가 작동하여 와이어(120)를 감으면 와이어(120)와 연결된 모선(200)이 작업선(100)의 레그(101) 사이로 진입한다.
여기서, 모선(200)은 모선(200)의 추진력으로 레그(101) 사이로 진입하되, 윈치(130), 풀리(110) 및 와이어(120)는 모선(200)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선(200)이 레그(101)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리(110)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선(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윈치(130)만 두어 와이어(120)를 직접적으로 당길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선(100)의 후방에 풀리(110)를 설치하고 와이어(120)가 풀리(110)를 지나게 함으로써 풀리(110)에 의해 힘이 분산되어 윈치(130)가 적은 힘으로도 와이어(120)를 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선(100)의 후방에 와이어(120)가 설치됨으로써 와이어(120)의 방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풀리(110), 와이어(120) 및 윈치(130)는 각각 두 개 이상씩 구비되며, 모선(200)의 진입 방향과 작업선(100)의 센터라인(CL)이 상시 수직이 되도록 윈치(130)가 와이어(120)를 감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라인(CL)은 모선(20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레그 사이의 중심 선이다.
파도가 없는 고인 물에서는 복수의 윈치(130)가 동일한 속도로 와이어(120)를 감으면 배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바다에서 작업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경우에는 파도에 의해 모선(200)이 흔들리거나 원치 않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윈치(130)가 와이어(120)를 감는 양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모선(200)이 레그(101)와 충돌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윈치(130), 풀리(110) 및 와이어(120)가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안정적으로 진입하도록 안내하지만, 작업 해역의 파도 또는 기상 상황에 따라 모선(200)이 흔들려 모선(200)과 레그(101)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선(200)의 선미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 시 레그(101)와 선미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이드(210)는 가이드 부재(212)와 완충 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2)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 롤러 또는 베어링 등이 적용되어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 시 레그(101)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2)가 레그(101)와 접촉한 상태로 모선(200)이 진입 시 가이드 부재(212)가 회전하며 모선(200)의 진입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214)는 가이드 부재(212)와 모선(200)을 연결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212)와 레그(101)가 충돌 시 가이드 부재(2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선체 및 레그(101)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214)로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 부재(214)는 유압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이드 부재(212)가 레그(101)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모선(200) 선미부의 데크에는 작업선(100)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모선(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모선(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롤러(220)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선(200)의 선미부 데크에는 작업선(100)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모선(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패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패드(미도시)는 모선(200)이 작업선(100) 하부로 진입 시 작업선(100)의 저면과 맞닿아 모선(200)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하면서 모선(200)의 데크와 작업선(100)의 저면이 접촉 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모선(20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선(200)의 선미부의 측면에는 작업선(100)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롤러(2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롤러(230)는 모선(200)의 높이 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가 적용될 수도 있고, 여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볼 베어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로써,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하면서 모선(200)의 측면과 작업선(100)이 접촉 시 가로 방향 마찰을 최소화하여 모선(20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그(101)를 들어올려 작업선(100)을 모선(200)에 싣는 경우 세로 방향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업선(100)의 리프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레그(101)와 모선(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선(200)이 일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모선(200)의 추가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40)는 레그(101)와 모선(200)의 선미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모선(200)의 집입에 따라 서로 체결되는 돌기와 걸쇠일 수도 있고, 선미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 시 레그(101)에 걸려 더 이상의 진입을 제한할 수도 있다. 스토퍼(140)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선(200)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모선(200)의 진입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선(100)의 하부에는 작업선(100)과 모선(20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미도시)은 모선(200)의 진입 방향을 따라 센터라인(CL) 부근에서 모선 진입부의 반대편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홈(미도시)에 작업선(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모선(200)이 진입함으로써 모선(200)이 완전히 진입하면 결합홈(미도시)에 의해 모선(200)과 작업선(100)이 결합되어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작업선과 모선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선(200)의 선미 부분에 와이어(120)를 연결한 후, 윈치(130)로 와이어(120)를 감으면 모선(200)의 진입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모선(200)은 자체의 추진력으로 레그(101) 사이로 진입 하되, 와이어(120)와 윈치(130)에 의해 모선(200)의 진입 방향이 안내된다(도 3 참조).
또한, 작업선(100)의 후방에는 풀리(110)가 구비되어 와이어(120)는 윈치(130)로부터 풀리(110)를 거쳐 모선(200)까지 연결되는데, 풀리(110)가 구비됨에 따라 윈치(130)는 풀리(11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은 힘으로 모선(200)을 당길 수 있다. 또한, 풀리(110)가 구비됨에 따라 와이어(120)의 방향을 정렬하기 용이하다(도 4 참조).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진입하기 시작할 때, 모선(200)의 선미 부분과 레그(101)가 충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200)의 선미에 구비된 가이드(210)에 의해 모선(200)의 선체 대신 가이드 부재(212)가 레그(101)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가이드 부재(212)와 레그(101)의 충돌 시 가이드 부재(212)에 전해진 충격은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 부재(214)에서 흡수되어 레그(101)와 모선(2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이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선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모선이 센터라인(CL)까지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모선(200)의 선미가 작업선(100)의 센터라인(CL)까지 진입하면 작업선(100)의 레그(101)를 들어올린다.
즉, 모선(200)이 센터라인에 도달한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은 작업선(100)은 레그(101)를 들어올려 상대적으로 점점 하강하는 동시에 모선(200)은 작업선(100) 하부로 점점 더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선(100)이 어느 정도 하강하고, 모선(200)의 일부가 레그(101) 사이로 진입한 상태에서 작업선(100)과 모선(200)의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롤러(220) 및 제 2 롤러(230)에 의해 마찰이 저감되고 모선(20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선과 작업선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선(100)이 레그(101)를 들어올려 작업선(100)의 저면와 모선(200)의 데크가 맞닿은 상태에서 작업선(100)의 레그(101)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면 레그(101)가 지반에서 분리되고, 작업선(100)이 모선(200)에 완전히 실릴 수 있다.
모선(200)이 레그(101) 사이로 완전히 진입하고, 작업선(100)이 모선(200)에 완전히 실리면, 모선(200)의 밸러스트수를 방출하여 흘수선을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작업선 101: 레그
110: 풀리 120: 와이어
130: 윈치 140: 스토퍼
200: 모선 210: 가이드
212: 가이드부재 214: 완충부재
220: 제 1 롤러 230: 제 2 롤러

Claims (10)

  1. 작업선에 설치되는 풀리;
    일단이 모선과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풀리에 걸리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
    를 포함하여 상기 윈치가 작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감으면 상기 모선이 상기 작업선의 레그 사이로 진입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작업선의 상부에, 상기 풀리는 상기 작업선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작업선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모선과 연결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윈치는 각각 두 개 이상씩 구비되며, 상기 모선의 진입 방향과 상기 작업선의 센터라인(CL)이 상시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윈치가 상기 와이어를 감는 양을 제어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모선의 선미가 상기 작업선의 센터라인(CL)까지 진입하면 상기 레그를 들어올려 상기 작업선을 상기 모선에 싣고, 상기 모선의 밸러스트수를 방출하여 상기 모선을 상승시키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선미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레그와 상기 선미의 충돌을 방지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선이 상기 레그 사이로 진입 시 상기 레그와 접촉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모선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레그가 접촉 시 상기 가이드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와 상기 모선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모선이 일정 위치까지 진입 시 상기 모선의 추가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선미부의 데크에는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상기 모선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 1 롤러가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선미부 데크에는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상기 모선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패드가 마련되어,
    상기 모선이 진입 시 상기 작업선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모선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선미부의 측면에는 상기 작업선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롤러가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작업선과 상기 모선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0170072382A 2017-06-09 2017-06-09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01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82A KR102016329B1 (ko) 2017-06-09 2017-06-09 풍력발전기 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82A KR102016329B1 (ko) 2017-06-09 2017-06-09 풍력발전기 설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38A true KR20180134538A (ko) 2018-12-19
KR102016329B1 KR102016329B1 (ko) 2019-08-30

Family

ID=6500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82A KR102016329B1 (ko) 2017-06-09 2017-06-09 풍력발전기 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699U (ko) * 1989-07-26 1991-03-18
US5855455A (en) * 1997-07-09 1999-01-05 Ensco International, Inc. Submersible and semi-submersible dry lift carri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carrying a drilling rig and platform
KR20110086898A (ko) * 2010-01-25 2011-08-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롤러식 스케이트 부착형 구명정
KR20150055949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험물 배출 장치
KR20150117786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699U (ko) * 1989-07-26 1991-03-18
US5855455A (en) * 1997-07-09 1999-01-05 Ensco International, Inc. Submersible and semi-submersible dry lift carri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carrying a drilling rig and platform
KR20110086898A (ko) * 2010-01-25 2011-08-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롤러식 스케이트 부착형 구명정
KR20150055949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험물 배출 장치
KR20150117786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329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iawan et al. STC (Spar-Torus Combination): a combined spar-type floating wind turbine and large point absorber floating wave energy converter—promising and challenging
CA2777282C (en) Vessel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hoisting the offshore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Roddier et al. WindFloat: a floating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part I: design basis and qualification process
US20110129334A1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US20110126748A1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GB2560057B (en) Turbine deployment system
CN104948380B (zh) 一种波浪能光伏与海上风机联合发电系统
KR101584560B1 (ko) 풍력발전설비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CN103010417A (zh) 适应于水深100米以下小水线面海上风电浮式基础
CN110182326A (zh) 一种具有减隔振功能的半潜式风力发电机平台
US9739267B2 (en) Wind turbine on a floating support stabilized by a raised anchoring system
WO2013137744A1 (en) Floating wind turbine with wave energy converter
CN107585268A (zh) 张力腿海上浮式风力发电机基础
CN112727688A (zh) 一种基于浮式风机的综合抗波发电装置
KR101588237B1 (ko) 피치모션 제어가 가능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CN103979081B (zh) 深吃水海上浮动式风力机整体安装工作船
KR101360285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474065B1 (ko) 풍력발전기 설치 선박
KR101338358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180134538A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100130665A (ko) 해양 부유 구조물 및 그것의 복합 계류 방법
CN110435839B (zh) 一种漂浮式海上风光储发电系统雷达测风移动平台减摇基础承台
WO2022098246A1 (en) Installing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s
KR102106498B1 (ko)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설치선박 및 설치방법
CN207363816U (zh) 一种带有浮子保护机构的振荡浮子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