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43A -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 Google Patents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243A
KR20180134243A KR1020170071873A KR20170071873A KR20180134243A KR 20180134243 A KR20180134243 A KR 20180134243A KR 1020170071873 A KR1020170071873 A KR 1020170071873A KR 20170071873 A KR20170071873 A KR 20170071873A KR 20180134243 A KR20180134243 A KR 2018013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switch
power
alarm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8104B9 (en
KR101988104B1 (en
Inventor
소치재
Original Assignee
소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치재 filed Critical 소치재
Priority to KR102017007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104B1/en
Publication of KR2018013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04B1/en
Publication of KR10198810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0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4Wheel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for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enables a user to move for a long period of time using a wheelchair by charging and using a discharged electric condenser if necessary. To this end, the charger for an electric wheelchair comprises: a motor (10) composed of a motor rotor and a motor stator to convert electric energy into rotary energy; and a power generator (100) connected to a motor shaft forming the motor rotor to convert the rotary energy of the motor into electric energy.

Description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0002]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0003]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전장치를 2개조 구비하고, 동시에 구동장치로서 모터 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축전장치중에서 어느 한개의 축전장치가 방전되면 다른 축전장치로 전환하여 그 축전장치를 사용함과 동시에 모터 발전기로부터 운행중 발전을 하여 방전 축전장치를 충전시키도록함으로서 필요시에 방전된 축전장치를 충전하여 사용토록함으로서 휠체어를 이용한 장시간 이동이 가능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fil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wheelchair filling apparatus having two power storage devices and a motor generator as a driving device, and when one of the two power storage devices is discharged, The power storage device is used and power is generated from the motor generator during operation to charge the discharge electric storage device so that the discharged electric storage device is charged and used when necessary so that the electric wheelchair can be moved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wheelchair. And a charging device.

일반적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휠체어는 신체 장애자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통상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팔에 장애가 있거나 노약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 currently used wheelchair is a mechanism for allowing a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with inconvenience to move more easily to move, and a manual type wheelchair in which a user normally rotates a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a seat Although it is widely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rm is obstructed or an elderly person is hardly available without help of another person.

따라서 최근에는 차체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이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방식의 휠체어(전동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motor-driven wheelchair (electric wheelchai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wheel is driven by a driv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body, so that a user can operate the lever with ease without requiring a direct force.

근래에는 대체에너지 개발 및 환경오염 방지의 목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장애인용 특수 자동차 역시 전기자동차로서의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long with this trend, special cars for the disabled are also being converted as electric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 구성도이다.1 is a general electric wheelchair configuration diagram.

종래의 전동휠체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이루는 구동 파트(11)와 상부를 이루는 탑승 파트(12)가 고정적으로 마련된다.1, a conventional electric wheel chair 10 is fixedly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11 constituting a lower part and a boarding part 12 constituting an upper part thereof.

그리고, 장애인용 특수 차량은 대개의 경우 일반 자동변속기 차량에 장애인용 보조장치를 장착하여 장애인이 손수 운전하는 장애인 자가 운전용 차량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손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리프트(lift), 이동 보조기(hoist) 등이 장착된 장애인 탑승용 특장 차량의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또한, 장애인 자가 운전용 차량은 장애 부위에 따라 특수 장치를 설치하여 일반인처럼 운전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양발이 부자유스러운 사람은 엑셀과 브레이크를 손으로만 조작할 수 있도록 레버 형식으로 만드는 식으로, 장애가 있는 부분을 이용하여 작동하여야 하는 차량 시스템을 장애가 없는 부위로 옮겨 작동할 수 있도록 필요한 보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가능케 한다.In addition, the special vehicle for the disabled generally includes a driving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who is handicapped by a disabled person and a wheelchair lift which enables a disabled person with a wheelchair to easily ride with a general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 And a hovering platform (hoist). In addition, a disabled person's driving vehicle is designed to be able to operate like a normal person by installing a special device according to the obstacle area. If you have a pair of feet, you can use a lever type so that you can manipulate the excel and brakes only by hand. You can install the necessary auxiliary equipment to move the vehicle system that needs to operate with the obstacle part to the area without obstacle. Thereby enabling the disabled to drive the vehicle.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용 전기자동차는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 등을 위해, 전기자동차의 메인 배터리에서 해당전기자동차에 안착된 전동휠체어의 배터리로 충전하여 전동휠체어에 주기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케 하는 방식이나, 이러한 방식은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장거리 이동을 저해하고, 아울러 배터리 용량을 수시로 확인하여야하며, 이로 인하여 방전을 항상ㅎ 염려하는 마음을 갖게되어 불안정한 심리로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battery, the electric vehicle for the disabled is charged with the battery of the electric wheelchair that is seated in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main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o enable the periodic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wheelchair, The movement distance is limited and the long distance movement is obstructed and the battery capacity must be checked from time to time. As a resul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to unstable psychology since the discharge is always worri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은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92041호(발명의 명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시스템), 한국특허공개 제10-2001-0059122호(발명의 명칭: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상태 검출 방법), 한국특허공개 제10-2000-0025249호(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92041 (Title of the Invention: Battery System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0059122 (Title: Battery Charging State Detection Method of Electric Vehicle), Korea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0-0025249 (entitled "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축전장치를 2개조 구비하고, 동시에 구동장치로서 모터 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축전장치 중에서 어느 한개의 축전장치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동하고 그 한개의 축전장치가 방전되면 다른 축전장치로 전환하여 그 축전장치를 사용함과 동시에 모터 발전기로부터 운행중 발전을 하여 방전된 축전장치를 충전시키도록함으로서 휠체어를 이용한 장시간 이동이 가능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two sets of power storage devices and simultaneously having a motor generator as a driv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being driven for a long time by using a wheelchair by charging the discharged power storage device while generating power during operation from a motor gener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모터 회전자와 모터 고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회전자를 이루는 모터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동력발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발전기는, 상기 모터와 동력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자기장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차단판 본체와 상기 차단판 본체를 상기 모터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는 상기 모터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 축과 함께 회전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발전기 회전자와; 상기 차단판의 외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에어 갭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발전기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다수의 권선 코일과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1 축전장치와;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다수의 권선 코일과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2 축전장치와; 상기 제 1 축전장치와 제 2 축전장치로부터 전기를 측정하여 방전된 축전장치가 발전기로부터 충전중인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축전장치가 충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which includes a motor including a motor rotor and a motor stator for converting electric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a power generator connected to a motor shaft constituting the motor rotor and converting rotational energy of the motor into electric energy ≪ / RTI > The power generator includes a ring-shaped shield plate body installed between the motor and the power generator to prevent an adverse effect caus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otor, and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for fixing the shield plate body to the motor. A plate; A generator rotor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plat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to form a magnetic field; A generator stator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shield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pposed to each other with an air gap between the generator rotors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power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nding coils constituting the generator stator to store electric energy; A second power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nding coils constituting the generator stator to store electric energy; A controller for measuring electricity from the first power storage device and the second power storage device to confirm whether the discharged power storage device is being charged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torage device is not being charged.

또한, 상기 발전기 회전자는, 상기 차단판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회전판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외 측에 설치되는 외측 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회전판 및 외측 회전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Further, the generator rotor may include an inner rotat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shield plate and the generator rotor, and an outer rotating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enerator rotor,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are included.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by itself;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that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to display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when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 alarm for switching the relay switch and for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guid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the first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arm unit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so that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전장치를 2개조 구비하고, 동시에 구동장치로서 모터 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축전장치 중에서 어느 한개의 축전장치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동하고 그 한개의 축전장치가 방전되면 다른 축전장치로 전환하여 그 축전장치를 사용함과 동시에 모터 발전기로부터 운행중 발전을 하여 방전된 축전장치를 충전시키도록함으로서 휠체어를 이용한 장시간 이동이 가능토록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two power storage devices and simultaneously having a motor generator as a drive device, wherein one of the two power storage devices drives the device, The power storage device is switched to anothe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is generated from the motor generator during operation to charge the discharged power storage device, thereby enabling long-time movement using the wheelchair.

도 1은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및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typical electric wheelchair.
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charging and alarm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circui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장치 구성도.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및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charging and alarm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circui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축 동력발전기(1)는, 크게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10)와,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동력발전기(100)로 구성된다.2 to 4, a motor shaft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motor 10 for converting electric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a power generator (not shown) for converting rotation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100).

먼저, 상기 모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모터 하우징(11)과, 모터 고정자(12) 및 모터 회전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motor 10 includes a motor housing 11, a motor stator 12, and a motor rotor 13.

상기 모터 하우징(11)은 모터(10)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모터 고정자(12)를 감싸 보호하고, 상기 모터회전자(13)가 정중앙에 오도록 하여 에어 갭(AIR GAP)이 편심되지 않도록 한다.The motor housing 11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motor 10 and covers and protects the motor stator 12 so that the motor rotor 13 is in the center so that the air gap is not eccentric do.

상기 모터 고정자(MOTOR STATOR)(12)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자속이 통하기 쉬운 철심(12a)과 전자석을 만들기 위하여 권선 코일(COIL WINDING)(1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터 회전자(MOTOR ROTOR)(13)는 상기 모터 고정자(12)의 내 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고정자(12)에서 받은 전기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바꾸기 위한 영구자석(19)과 모터 축(SHAFT)(15)으로 이루어진다.The motor stator 12 is for forming an electric field and comprises an iron core 12a to which a magnetic flux passes and a coil winding 12b for making an electromagnet. The motor rotor 1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tor stator 12 and includes a permanent magnet 19 for converting electric energy received from the motor stator 12 into rotational energy, And a motor shaft (SHAFT) 15.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축(15)은 상기 모터 하우징(11)에 구비된 베어링(14)에 의해 항상 똑바른 위치를 유지하고 고속으로 안전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축(15)은 상기 모터 고정자(12)의 전기력과 상기 모터 회전자(13)의 영구자석(19)에 의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tor shaft 15 is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 straight position by the bearings 14 provided in the motor housing 11 and to safely rotate at high speed. Accordingly, the motor shaft 15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ctric force of the motor stator 12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19 of the motor rotor 13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모터 고정자(12)의 권선 코일(12)과 연결되는 리드 선(16)에 전원을 연결하면, 상기 권선 코일(12)에서 발생하는 전기력과 상기 모터 회전자(13)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모터축(15)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 회전자(13)의 회전력은 모터 축(15)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 회전기기로 전달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power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16 connected to the winding coil 12 of the motor stator 12,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in the winding coil 12 and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of the motor rotor 13 So that the motor shaft 15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rotor 13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rotating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motor shaft 15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한편, 상기 모터(10)의 모터 축(15)에 연결된 동력발전기(100)는, 상기 모터 축(15)의 회전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The power generator 100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15 of the motor 10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shaft 15 into electric energy.

상기 동력발전기(100)는, 크게 차단판(110), 발전기 회전자(120), 발전기 고정자(130)로 이루어진다.The power generator 100 includes a shield plate 110, a generator rotor 120, and a generator stator 130.

상기 차단판(110)은 상기 모터(10)의 외주 면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발전기(100)를 모터(10)의 일 측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모터(10)와 동력발전기(100) 사이에 설치되어 자기장의 흐름을 차단하여 자기장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한다.The shield plate 11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10 so as to fix the power generator 100 to one side of the motor 1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motor 10 and the power generator 100 Thereby preventing the magnetic field from being adversely affected by the magnetic field.

상기 차단판(110)은 상기 모터(10)의 측면보다 큰 크기의 원형 차단 본체(1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본체(111)의 가운데에는 상기 모터 축(15)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 본체(111)에는 상기 차단판(110)을 모터(10)의 외주 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편(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110)은 상기 고정편(113)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상기 모터(10)의 외주 면에 고정할 수 있다.The blocking plate 110 includes a circular blocking body 111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tor 10. An opening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t-off main body 111 so that the motor shaft 15 passes through the cut-off main body 111.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113 for fixing the blocking plate 1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10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blocking body 111. Therefore, the blocking plate 110 can be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10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o the fastening piece 113.

이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120)는, 상기 차단판(110)을 관통하는 모터 축(15)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 축(15)이 관통하는 원판 형상의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은 상기 내측 회전판(121)에 형성된 스페이서(123)에 의해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 개의 영구자석(125)이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구자석(125)은 사다리꼴을 갖고 방사방향으로 설치된다.The generator rotor 120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15 passing through the shield plate 1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15. The generator rotor 120 rotates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15, And an outer rotary plate 122.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acer 123 formed on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25 have. For example, the permanent magnets 125 have a trapezoidal shape and are installed radially.

그리고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 사이에는 원판 형상의 발전기 고정자(130)가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 고정자(130)는, 상기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에어 갭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 링 형상의 고정 봉체(131)와, 상기 고정 봉체(131)의 중앙 개구부(132)에 설치된 다수의 권선 코일(13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권선 코일(135)은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에 부착된 다수 개의 영구자석(125)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A disk-shaped generator stato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1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enerator stator 130 includes a ring-shaped fixing member 13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122 so as to form air gaps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135 provided in the central opening 132. [ The plurality of winding coils 135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25 attached to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122.

한편, 상기 발전기 고정자(130)는 상기한 차단판(1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단판(110)에는 상기 고정 봉체(131)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 봉(11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봉체(131)에는 상기 고정 봉(114)에 대응하도록 체결 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상기 체결 공(134)을 관통시켜 상기 고정 봉(114)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하여 상기 발전기 고정자(130)를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generator stator 130 is fixed to the blocking plate 110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fixing rods 114 for fixing the fixing rods 1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locking plate 110.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134) i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131) to correspond to the fixing rod (114). Therefore,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or a bolt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34 and fastened to a thread formed on the fixing rod 114 to fix the generator stator 130.

따라서 상기 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 축(15)이 회전하면, 상기 모터 축(15)과 연결되어 있는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이 상기 모터 축(15)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내측 회전판(121)과 외측 회전판(122)에 사이에는 상기 발전기 고정자(130)가 일정한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측 및 외측 회전판(121)(122)에 부착된 다수 개의 영구자석(125)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이 상기 고정 봉체(131)에 설치된 다수의 권선 코일(135)에 기전력을 유도하게 된다.When the motor shaft 15 rotates b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10, the inner rotary plate 121 and the outer rotary plate 122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15 are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15 Rotate together. At this time, since the generator stato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otating plate 121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122 with a constant air gap therebetween, the number of the stator 130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rotating plates 121,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permanent magnets 125 induces an electromotive force in the plurality of winding coils 135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131.

그리고 상기 권선 코일(135)에서 유도된 전기는 권선 코일(135)과 연결되어 있는 축전장치(200a, 200b)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축전장치(200a, 200b)의 전단에는 상기 동력발전기(100)에서 발생하는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기 위한 AC-DC변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축전장치(200)의 후단에는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기 위한 DC-AC변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derived from the winding coil 135 is stored in the power storage devices 200a and 200b connected to the winding coil 135. [ At this time, an A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100 into DC electricity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ower storage devices 200a and 200b, A DC-AC converter for converting into AC electricity can be installed.

즉, 본 발명은 상기 축전장치(200a, 200b)를 2개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바, 하나의 축전장치(200a)가 11.7V 이하가 되어 방전으로 판단되면 다른 제 2 축전장치(200b)를 연결하며, 이때 방전된 제 1 축전장치(200a)는 발전기(1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충전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power storage devices 200a and 200b, and when one power storage device 200a is determined to be discharged to 11.7 V or less, the other second power storage device 200b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discharged first power storage device 200a is automatically charged by the generator 100. [

그리고, 제 1 축전장치(200a)에 14.9V 에서 15.1V까지 충전되면 발전기에 의한 충전은 멈추게 되며 제 2 축전장치(200b)가 방전되면 제 1 축전장치(200a)를 연결하여 휠체어를 구동하면서 동시에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서 발전을 하여 제 2 축전장치(200b)를 충전시킨다.When the first power storage device 200a is charged from 14.9V to 15.1V, charging by the generator stops, and when the second power storage device 200b is discharged, the first power storage device 200a is connected to drive the wheelchair Power is generated by the driven motor to charge the second power storage device 200b.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시에 장거리를 운행하게 되더라도 축전장치가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안심하여 여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continuously repeated, even if the vehicle travels a long distance at the time of using the wheelchai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한편, 두개의 축전장치중에서 하나의 축전장치가 방전되어 다른 축전장치로 교체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방전 축전장치의 충전여부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 경보음을 통해 에러상황을 빨리 치유토록 유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of the two power storage devices is discharged and the motor is driven by replacing with another power storage device, if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harging of the discharge storage device and charging is not being performed, Induce to heal quickly.

즉, 하나의 충전장치가 방전된 상태에서 다른 충전장치의 전원으로 모터를 가동하는 동중에 동시에 방전된 충전장치를 충전시켜야 하나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장거리 운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That is, when one charging device is discharged, the charging devic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motor is running with the power of the other charging device must be charged, but if the charg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long distance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방전된 축전장치의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연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여 빠른 시간내에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scharged electric storage device is not properly charged, the alarm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hrough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do.

한편, 에러상황이 발생하면 경보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에러상황을 경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power supply unit 111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1110. The automatic alarm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The relay switch RY1, the second relay switch RY2, the third relay switch RY3,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e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the alarm control unit 1120, .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to switch the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third relay switch so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to induce an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It plays a role.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are switched,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continuously maintained to switch the alarm state It plays a role to sustain.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element for operation 1131, an alarm piece 1132 for connecting an alarm signal operation control unit,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Means 1133a, a gap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As shown in Fig.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rel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connecti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breaker 1131.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Thereby induc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has a bar magnet shape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magnet holding The circuit breaker 1133 is pushed to push the circuit breaker 1131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ly turned off state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S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first relay swit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lay switch is in the close position and the first relay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State And then maintains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iron piec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iron wire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ler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alarm signal is outputt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keep the circuit in a disconnected state while the third relay switch is in operation, The operating wir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blinded, so that the off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during the third relay switch n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1134a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separated more naturally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pacing agent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spacing agent is not present,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pacers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pacing agent is provid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Pole and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ing agent is wrapped to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he strength of the S-pole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maintenance of the separation state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s are provid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when magnetic coup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agnetically coupl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practice,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if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fall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1131 is maintained,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ng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to the power supp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matic operation switch 1135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in a state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ff, The signal output control unit turns off the iron wire for power connec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is stopped so that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and the alarm signal is display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operated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by returning the power to the alarm signal control unit 1140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40.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if the alarm factor is not solved,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outputs a warning sound to guide the user to solve the alarm factor.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power supply is returned again and the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alarm signal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alarm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needed by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signal is no longer appli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turn off the alarm signal .

10: 모터
11: 모터 하우징
12: 모터 고정자
13: 회전자
100: 동력발전기
110: 차단판
120: 발전기 회전자
130: 발전기 고정자
200a, 200b: 충전장치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10: Motor
11: Motor housing
12: Motor stator
13: Rotor
100: Power generator
110:
120: generator rotor
130: generator stator
200a, 200b: Charging device
1000: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Claims (3)

모터 회전자와 모터 고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모터(10)와, 상기 모터회전자를 이루는 모터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동력발전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발전기(100)는,
상기 모터와 동력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자기장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차단판 본체와 상기 차단판 본체를 상기 모터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차단판(110)과;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는 상기 모터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 축과 함께 회전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발전기 회전자(120)와;
상기 차단판의 외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에어 갭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발전기 고정자(130)와;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다수의 권선 코일과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1 축전장치(200a)와;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다수의 권선 코일과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2 축전장치(200b)와;
상기 제 1 축전장치와 제 2 축전장치로부터 전기를 측정하여 방전된 축전장치가 발전기로부터 충전중인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축전장치가 충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
A motor 10 including a motor rotor and a motor stator for converting electric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a power genera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constituting the motor rotor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motor to electric energy 100);
The power generator (100)
A shield plate 110 installed between the motor and the power generator and having a ring-shaped shield plate body for preventing adverse effects due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otor, and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for fixing the shield plate main body to the motor, ;
A generator rotor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plat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to form a magnetic field;
A generator stator 130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blocking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acing the generator rotors with an air gap therebetween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power storage device (200a)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constituting the generator stator and storing electric energy;
A second power storage device (200b)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constituting the generator stator and storing electric energy;
A controller (300) for measuring electricity from the first power storage device and the second power storage device to confirm whether the discharged power storage device is being charged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torage device is not being char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회전자는, 상기 차단판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회전판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외 측에 설치되는 외측 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회전판 및 외측 회전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or rotor includes an inner rotat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shield plate and the generator rotor and an outer rotating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enerator rotor,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rotating plate and the outer rotating plate And a magnet for driving the wheelch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충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that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to display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when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 alarm for switching the relay switch and for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guid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the first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arm unit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Further comprising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to stop outputting an alarm signal.
KR1020170071873A 2017-06-08 2017-06-08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KR101988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873A KR101988104B1 (en) 2017-06-08 2017-06-08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873A KR101988104B1 (en) 2017-06-08 2017-06-08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43A true KR20180134243A (en) 2018-12-18
KR101988104B1 KR101988104B1 (en) 2019-06-11
KR101988104B9 KR101988104B9 (en) 2023-05-11

Family

ID=6495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873A KR101988104B1 (en) 2017-06-08 2017-06-08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1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800A (en) * 1999-06-30 2001-01-19 Harness Syst Tech Res Ltd On-vehicle battery monitor device
KR20110119369A (en) * 2010-04-27 2011-11-02 박진 Motor-shaft rotatory powered generator
KR20120063313A (en) * 2010-12-07 2012-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for electric automobile and method thereof
KR101706543B1 (en) * 2016-09-08 2017-02-1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Battery char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800A (en) * 1999-06-30 2001-01-19 Harness Syst Tech Res Ltd On-vehicle battery monitor device
KR20110119369A (en) * 2010-04-27 2011-11-02 박진 Motor-shaft rotatory powered generator
KR20120063313A (en) * 2010-12-07 2012-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for electric automobile and method thereof
KR101706543B1 (en) * 2016-09-08 2017-02-1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Battery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104B9 (en) 2023-05-11
KR101988104B1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0460T3 (en) Braking device and electric drive for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them
AU654029B2 (en) Small vehicle, in particular wheelchair, with folding chair frame
US8474793B2 (en) Lifting system
CN103946036A (en) Castor control system
US20090077737A1 (en) Rail-mounted patient or person lift
US7607963B2 (en) Control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vehicle door
JP5048667B2 (en) Actuator assembly and bed
CN102892698B (en) Braking device of lifter, lifter and method for controlled stop of lifter
KR101438075B1 (en) Low Speed Braking Apparatus for Escalator
JPS60230325A (en) Device for driving breaker
CN108861902A (en) The failure of current device of elevator
CN107207199A (en) Deliverance apparatus and elevator
CN104583632A (en) Brake
US20160297242A1 (en) Control of rollers mounted on a movable part
CN107108158A (en) Deliverance apparatus and elevator
KR20130037184A (en) Method and device for braking track-bound vehicles driven by induction motors
CN110336491A (en) Cut off self-lock electric system
KR101988104B1 (en) Charger for Electric wheelchairs
KR101102361B1 (en) Motor drived and manually drived wheelchair
EP0733577B1 (en) Emergency drive unit for an elevator machinery
KR101856420B1 (en) Express train operating system
JP2003155868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KR20000013168A (en) Device for adding closing force for elevator do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469462A1 (en) Braking apparatus for a patient support
CN209626160U (en) The operating mechanism and outdo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of outdo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