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08A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708A
KR20180133708A KR1020170070909A KR20170070909A KR20180133708A KR 20180133708 A KR20180133708 A KR 20180133708A KR 1020170070909 A KR1020170070909 A KR 1020170070909A KR 20170070909 A KR20170070909 A KR 20170070909A KR 20180133708 A KR20180133708 A KR 2018013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type ice
ice maker
mak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176B1 (ko
Inventor
박명진
심상구
김성진
김도한
홍영훈
김성욱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및 상기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을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ROTATION OF AUGER OF AUGER TYPE 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거식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오거식 제빙기에는 스크류 형상의 오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오거식 제빙기에서의 오거의 회전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에서 형성된 얼음이 오거식 제빙기에서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오거의 회전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에서 외부로 배출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오거는 베어링 등에 의해서 회전지지되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오거는 구동모터 등을 포함하는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에 의해서 회전한다.
한편, 오거의 회전에 의한 얼음의 이송시, 오거에는 얼음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축방향힘이 작용한다. 종래에는,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베어링 등이 오거에 작용하는 이러한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제대로 회전지지하지 못하여서, 베어링 등이 파손되었다.
또한, 오거에 작용하는 전술한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제대로 회전지지하기 위해서는, 베어링 등의 크기가 커져야만 하기 때문에, 오거식 제빙기의 크기도 커져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뿐만 아니라,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서도 오거를 회전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및 상기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을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오거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서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얼음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을 회전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은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외륜부재와, 상기 외륜부재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디스크부재와, 상기 고정디스크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거의 양측은 각각 상기 내륜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상기 제1연결구멍과 상기 회전디스크부재에 형성된 제2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거와 상기 내륜부재 및 회전디스크부재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압입에 의해서 상기 제1,2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연결구멍의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부재와 회전디스크부재는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은 상기 외륜부재와 내륜부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고정디스크부재와 회전디스크부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부재의 외경은 상기 복수개의 제2볼부재의 중심이 이루는 가상원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베어링 아래의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베어링에 응결된 응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응결수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며 얼음이 형성되는 유동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유동공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또는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뿐만 아니라,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서도 오거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평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레이디얼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6은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종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평단면도이고, 도3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레이디얼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6은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IM)의 오거 회전지지장치(100)의 일실시예가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IM)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오거(AG)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오거(AG)는, 예컨대 스크류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오거(AG)의 회전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얼음(I)이 오거식 제빙기(IM)로부터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거(AG)는 유동공간(SF)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와 유동공간(SF) 사이에는 유동로(PW)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유입구(IW)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IW)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유동공간(SF)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예컨대 오거식 제빙기(IM)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정수기에 구비되며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나,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이외에, 물공급원은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동공간(SF)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동공간(SF)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구(IW)를 통해 오거식 제빙기(IM)의 유동공간(SF)에 공급된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유동공간(SF)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동공간(SR)에는 냉매, 예컨대 빙점 이하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유동공간(SF)을 유동하는 물,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F)에는 얼음(I)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거(AG)가 회전하면, 유동공간(SF)에 형성된 얼음(I)이 오거(AG)에 의해서 분리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에는 외부와 연결되도록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배출공간(SO)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오거(AG)의 회전에 의해서,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이송된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간(S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공간(SO)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얼음(I)은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유동하는 물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기는 하나, 유동공간(SF)에 얼음(I)이 형성되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거(AG)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유동하면서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는 배출공간(SO)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냉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IW)를 통해 유동공간(SF)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수탱크의 물이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냉각되어 냉수로 된 후 냉수탱크로 되돌아가 냉수로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냉수탱크와 오거식 제빙기(IM)를 순환하면서 냉수로 될 수도 있다. 또한,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오거식 제빙기(IM)에 공급하여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보다 빠르게 얼음(I)을 만들 수도 있다.
오거(AG)는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DR)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DR)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DR)는, 예컨대 체인(CH)과 구동모터(MD)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CH)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거(AG)에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SP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MD)에는 제2스프라켓(SP2)이 구비되어 체인(CH)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D)가 구동되면, 체인(CH)이 제1스프라켓(SP1)과 제2스프라켓(SP2) 사이에서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오거(AG)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구동부(DR)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에 연결되어 오거(AG)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구동모터(MD)와, 오거(AG)와 구동모터(MD)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오거식 제빙기(IM)에는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드레인구(DW)가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DW)에는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DW)의 개폐밸브는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유동공간(SF)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열려서, 유동공간(SF)의 물이 드레인구(DW)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IM)의 오거 회전지지장치(100)는 레이디얼 베어링(200)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디얼 베어링(200)은 오거(AG)의 양측을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이디얼 베어링(200)이 오거(AG)의 양측을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
레이디얼 베어링(200)은 오거(AG)의 자중 등과 같이 오거(AG)의 반경방향으로 오거(AG)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레이디얼 베어링(200)은 외륜부재(210)와 내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륜부재(210)는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외륜부재(210)가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고정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외륜부재(210)에는 회전가이드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외륜부재(210)의 회전가이드구멍(211)에는 내륜부재(2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외륜부재(210)는, 예컨대 링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외륜부재(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회전가이드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내륜부재(220)는 외륜부재(210)의 회전가이드구멍(2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내륜부재(220)에는 제1연결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내륜부재(220)의 제1연결구멍(221)에는 오거(AG)의 양측이 각각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는 양측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연결된,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오거(AG)의 양측은 각각 압입에 의해서 내륜부재(220)의 제1연결구멍(221)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오거(AG)의 양측이 내륜부재(220)의 제1연결구멍(221)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쐐기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내륜부재(220)는, 예컨대 링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내륜부재(2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륜부재(210)의 회전가이드구멍(2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연결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레이디얼 베어링(200)은 복수개의 제1볼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볼부재(230)는 외륜부재(210)와 내륜부재(2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륜부재(220)가 외륜부재(210)의 회전가이드구멍(211)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00)은 오거(AG)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을 회전지지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00)은 오거(AG)의 축방향으로 오거(AG)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스러스트 베어링(300)에 의해서, 오거(AG)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를 회전지지하기 때문에, 오거 회전지장치(1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오거식 제빙기(IM)의 크기도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트 베어링(300)은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을 회전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오거(AG)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스러스트 베어링(300)이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300)과 레이디얼 베어링(200)에 의해서 회전지지되고, 얼음(I)의 이송방향 측의 오거(AG)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200)에 의해서만 회전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스러스트 베어링(300)에 의해서 회전지지되는 오거(AG)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오거(AG)의 어떠한 부분도 회전지지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00)은 고정디스크부재(310)와 회전디스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디스크부재(310)는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디스크부재(310)가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고정디스크부재(310)에는 삽입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디스크부재(310)의 삽입구멍(311)에는 오거(AG)의 부분, 예컨대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디스크부재(310)는 링형상의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정디스크부재(3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식 제빙기(IM)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디스크부재(320)는 고정디스크부재(3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디스크부재(320)에는 제2연결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디스크부재(320)의 제2연결구멍(321)에는 오거(AG)의 부분, 예컨대 얼음(I) 이송방향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이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오거(AG)의 부분은, 예컨대 압입에 의해서 회전디스크부재(320)의 제2연결구멍(321)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오거(AG)의 부분이 회전디스크부재(320)의 제2연결구멍(321)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쐐기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디스크부재(320)는, 예컨대 링형상의 디스크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디스크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정디스크부재(310)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연결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스러스트 베어링(300)은 복수개의 제2볼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볼부재(330)는 고정디스크부재(310)와 회전디스크부재(3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회전디스크부재(320)가 고정디스크부재(310)를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의 제1연결구멍(221)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회전디스크부재(320)의 제2연결구멍(321)에 끼워맞춤으로, 예컨대 압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AG)와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 및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회전디스크부재(32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200)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이 함께 일체로, 오거(AG)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과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회전디스크부재(320)의 제2연결구멍(321)의 내경은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의 제1연결구멍(221)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이디얼 베어링(200)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이 함께 오거(AG)의 부분을 회전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오거(AG)에 추가의 단차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레이디얼 베어링(200)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을 포함하는 오거 회전지지장치(10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와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회전디스크부재(320)는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레이디얼 베어링(200)과 스러스트 베어링(300)을 포함하는 오거 회전지지장치(10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을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200)의 내륜부재(220)의 외경(D1)은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복수개의 제2볼부재(330)의 중심이 이루는 가상원의 직경(D2)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기 위해서,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제2볼부재(330)가 레이디얼 베어링(200) 방향으로 레이디얼 베어링(200)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서, 레이디얼 베어링(20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디얼 베어링(200)이나 스러스트 베어링(300) 아래의 오거식 제빙기(IM)에는 응결수 배출구멍(H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이디얼 베어링(200)이나 스러스트 베어링(300)에 응결된 응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결수에 의해서 레이디얼 베어링(200)이나 스러스트 베어링(300)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어 레이디얼 베어링(200)이나 스러스트 베어링(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를 사용하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뿐만 아니라,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서도 오거를 회전지지할 수 있으며,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고, 오거식 제빙기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200 : 레이디얼 베어링
210 : 외륜부재 211 : 회전가이드구멍
220 : 내륜부재 221 : 제1연결구멍
230 : 제1볼부재 300 : 스러스트 베어링
310 : 고정디스크부재 311 : 삽입구멍
320 : 회전디스크부재 321 : 제2연결구멍
330 : 제2볼부재 IM : 오거식 제빙기
I : 얼음 AG : 오거
SF : 유동공간 PW : 유동로
SO : 배출공간 SR : 냉매유동공간
DR : 회전구동부 CH : 체인
SP1 : 제1스프라켓 SP2 : 제2스프라켓
MD : 구동모터 IW : 유입구
DW : 드레인구 D1 : 외경
D2 : 직경 HD : 응결수 배출구멍

Claims (14)

  1.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에 작용하는 반경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을 각
    각 회전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및
    상기 오거에 작용하는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상기 오거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을 회전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을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오거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서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얼음의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을 회전지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은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외륜부재와, 상기 외륜부재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디스크부재와, 상기 고정디스크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부재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의 양측은 각각 상기 내륜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상기 제1연결구멍과 상기 회전디스크부재에 형성된 제2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거와 상기 내륜부재 및 회전디스크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압입에 의해서 상기 제1,2연결구멍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구멍의 내경은 동일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부재와 회전디스크부재는 접촉하는 오거 회전지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은 상기 외륜부재와 내륜부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고정디스크부재와 회전디스크부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볼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부재의 외경은 상기 복수개의 제2볼부재의 중심이 이루는 가상원의 직경 이상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베어링 아래의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베어링에 응결된 응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응결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며 얼음이 형성되는 유동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유동공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또는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KR1020170070909A 2017-06-07 2017-06-07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KR10253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09A KR102537176B1 (ko) 2017-06-07 2017-06-07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09A KR102537176B1 (ko) 2017-06-07 2017-06-07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08A true KR20180133708A (ko) 2018-12-17
KR102537176B1 KR102537176B1 (ko) 2023-05-26

Family

ID=6500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09A KR102537176B1 (ko) 2017-06-07 2017-06-07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020A (ja) * 1981-07-24 1983-02-07 Sanyo Electric Co Ltd オ−ガ−式製氷機の軸受構造
JPH02568U (ko) * 1988-06-15 1990-01-05
JPH0571543A (ja) * 1991-02-28 1993-03-23 Kokusai Electric Co Ltd 潤滑剤の送入装置
JPH0527578U (ja) * 1991-09-21 1993-04-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020A (ja) * 1981-07-24 1983-02-07 Sanyo Electric Co Ltd オ−ガ−式製氷機の軸受構造
JPH02568U (ko) * 1988-06-15 1990-01-05
JPH0571543A (ja) * 1991-02-28 1993-03-23 Kokusai Electric Co Ltd 潤滑剤の送入装置
JPH0527578U (ja) * 1991-09-21 1993-04-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7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984B2 (en) Multistage pump
EP2735463B1 (en) Planetary gear device
US6485182B2 (en) Sleeve bearing with bypass cooling
KR101436767B1 (ko) 전동기의 냉각 매체 배출 구조 및 전동기
JP3742436B2 (ja) 製氷機および熱交換器
JP2008095999A (ja) ドラム式製氷機の製氷ドラム
EP0769631A1 (fr) Roulement avec drainage dynamique alimenté en lubrifiant
KR20190096531A (ko) 개선된 압축구조를 갖는 오거식 제빙기
US20160053873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80133708A (ko)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회전지지장치
JP2012202507A (ja) 軸受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KR101552613B1 (ko) 드럼 제빙기의 냉동유 회수장치
KR102544432B1 (ko) 제빙기
WO2015055831A1 (fr) Motopompe centrifuge pour circuit primaire de petits ou moyens réacteurs modulaires nucléaires
JP5492259B2 (ja) オーガ式製氷機
KR102535914B1 (ko) 오거식 제빙기
WO2012135254A1 (en) Bearing lubrication passage
JP2004522109A5 (ko)
KR101858571B1 (ko) 롤 그라인더용 유정압식 스핀들장치
JP4003247B2 (ja) 給油手段付転がり軸受装置
NO180600B (no) Innretning for selvstendig transport av smöring til et lager
JP5253924B2 (ja) オーガ式製氷機
KR200233562Y1 (ko) 제빙기용 드럼의 조인트 구조
KR100513219B1 (ko) 슬러리 아이스 제빙기
JP2004360807A (ja) デファレンシャ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