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621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621A
KR20180133621A KR1020170070660A KR20170070660A KR20180133621A KR 20180133621 A KR20180133621 A KR 20180133621A KR 1020170070660 A KR1020170070660 A KR 1020170070660A KR 20170070660 A KR20170070660 A KR 20170070660A KR 20180133621 A KR20180133621 A KR 2018013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shopping
input
vehic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1376B1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376B1/en
Publication of KR2018013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B60K2350/1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shopping order in a vehicle and an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hopping order in a vehicle linked to a shopp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step of activating any one of a first order controller and a second order controller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a step of analyzing an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s sens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n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when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is identifi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shopping in a safer vehicle.

Description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hopping order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쇼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쇼핑 주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정차 상태 및 주행 상태에서 차량 내 쇼핑 주문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vehicle shop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hicle shopping order which enables a shopping order in a vehicle in a stop state and a traveling state by dynamicall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hopping order adaptively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ntrol technology, various devices which are operated by a mechanical method in an automobile are driven by an electric method for reasons such as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safety of operation, and automobile systems are gradually advanced and advanced It is going.

특히, 최근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차량이 출시되고 있으며, 무선 통신 기능이 장착된 차량은 텔레매틱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In particular, recently,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has been released, and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o a driver in conjunction with a telematics server.

스마트폰의 보급과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상품을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activation of online shopping, many people can order various products using smart phones.

하지만, 차량 주행 중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법적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며, 운전자는 주행 중 스마트폰을 이용해 쇼핑 주문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prohibited legally for safety reasons, and the driver can not place shopping order using the smartphone while driving.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쇼핑 주문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hicle shopping order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쇼핑 주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정차 상태 및 주행 상태에서 차량 내 쇼핑 주문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ynamicall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hopping order adaptively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에서의 주문 입력 오류를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가능한 하는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 order entry error in a vehicle and notifying the driver of the erro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은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in-vehicle shopping order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쇼핑 서버와 연동되는 차량에서의 쇼핑 주문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제1 주문 제어기 및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주문 제어기 및 상기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식별되면, 상기 주문 명령을 상기 쇼핑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pping order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activating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or not, Analyzing an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an input signal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s sensed and if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is identified,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어 통신망을 통해 쇼핑 서버와 연동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는 차량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정차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주행 상태 확인부와 상기 주행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쇼핑 주문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주문 제어기 및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주제어기와 상기 제1 주문 제어기 및 상기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식별하는 제어 리뷰 처리기와 상기 주문 명령이 정상 식별되면, 상기 주문 명령을 상기 쇼핑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working with the shopp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running stat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a stopping state based on vehicle state information, A main controller for activating any one of a first order controller and a second order controller for inputting a shopping order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the checking of the driving state check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A control review processor for analyzing an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identifying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when the signal is detected, and transmitting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when the order command is normally identified A transcei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한 쇼핑 주문 제어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any one of the above shopping control methods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can be understood and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차량 내 쇼핑 주문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in-vehicle shopping order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쇼핑 주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정차 상태뿐만 아니라 주행 상태에서도 차량 내 쇼핑 주문이 가능한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pping ord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a vehicle, which can dynamicall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hopping order adaptively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문 입력 오류를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주문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n order error by detecting an order entry error of a driver and informing the driver thereof.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리뷰 처리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류 입력 검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류 입력 검출부의 오류 검출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버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hopping order control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review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rror input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rror detection type of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7 illustrate a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hopp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내 쇼핑 주문 제어 시스템(10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문 제어 시스템’이라 명함)은 차량(10), 쇼핑 서버(20), 온라인 쇼핑 회사(30), 쇼핑 데이터베이스(Shopping Database, 40), 무선망(50), 인터넷망(60), 스마트폰(70) 및 댁내 컴퓨터(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 in-vehicle shopping order control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rder control system'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cludes a vehicle 10, a shopping server 20, an online shopping company 30, A shopping database 40, a wireless network 50, an Internet network 60, a smart phone 70, and a home computer 80.

일 예로, 온라인 쇼핑 회사(30)는 온라인으로 주문을 받는 각종 식/음료 배달 회사-예를 들면, 피자 회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an online shopping company 30 may include various food / beverage delivery companies - such as a pizza company - that receive orders on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무선 통신 수단이 장착되어 무선망을 통해 쇼핑 서버(20)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수단은 텔레매틱스 통신 수단, LTE(Long Term Evolution)과 같은 이동 통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locked with the shopping server 20 through a wireless network equipp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include telematics communication means, mobil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10), 스마트폰(70) 및 댁내 컴퓨터(80) 등을 통해 이루어진 쇼핑 주문 내역에 관한 정보, 쇼핑 가능한 상품 리스트 및 재고량에 대한 정보, 주문 명령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 정보, 쇼핑 히스토리 패턴에 관한 정보 등은 쇼핑 데이터베이스(40)에 유지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shopping order history made through the vehicle 10, the smart phone 70, and the home computer 80, information on the shopable product list and the inventory amount, inp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mmand, And the like can be held in the shopping database 40. [

온라인 쇼핑 회사(30)는 실시간 주문 내역에 따라 쇼핑 데이터베이스(40)에 기록된 쇼핑 가능한 상품 리스트 및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e online shopping company 30 can update information on the list of shopable goods and the inventory amount recorded in the shopping database 40 according to the real time order details.

또한, 쇼핑 서버(20)는 차량(10)으로부터 주문 명령이 수신되면, 차량(10)에 의해 요청된 주문 명령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예로, 쇼핑 서버(20)는 주문 명령에 상응하는 상품이 실제 주문 가능한지 여부를 쇼핑 데이터베이스(40)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결정 결과, 주문 가능하면, 쇼핑 서버(2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소정 주문 요청 메시지를 해당 온라인 쇼핑 회사(3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결정 결과, 주문이 불가한 경우, 쇼핑 서버(2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이 불가함으로 알리는 소정 피드백 메시지를 차량(1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pping server 20 can verify the order command requested by the vehicle 10 when an order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10. [ As an example, the shopping server 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commodity corresponding to an order command can be actually ordered by referring to the shopping database 40. [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possible, the shopping server 20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order request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online shopping company 3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rder can not b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hopping server 2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feedback message to the vehicle 10 informing that the order for the product is not available.

상기한 실시 예와 같이, 쇼핑 서버(20)와 온라인 쇼핑 회사(30)는 인터넷망(60)을 통해 쇼핑 데이터페이스(40)를 공유함으로써, 주문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hopping server 20 and the online shopping company 30 share the shopping data face 40 via the Internet network 60 to thereby prevent an order error from occurring in advance .

차량(10)은 무선망(50) 및 인터넷망(60)을 통해 쇼핑 데이터베이스(40)에 접속하여 쇼핑 히스토리 패턴에 관한 정보 및 쇼핑 가능한 상품 리스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할 수 있다. 차량(10)은 쇼핑 주문을 위한 운전자의 입력 패턴-예를 들면, 버튼 입력 패턴일 수 있음-을 식별하고, 식별된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쇼핑 데이터베이스(40)를 참조하여 식별할 수 있다.The vehicle 10 can acces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and the information on the list of shopable goods by accessing the shopping database 4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50 and the Internet network 60. [ The vehicle 10 can identify the driver's input pattern for a shopping order (e.g., it can be a button input pattern) and identify the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nput pattern by referring to the shopping database 40 have.

또한, 차량(10)은 쇼핑 히스토리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주문에 대한 재확인 절차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차량(10)은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쇼핑 주문에 대한 오류 발생률(False alarm rate)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는 후술할 도면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10)에서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쇼핑 서버(20)가 쇼핑 데이터베이스(40)를 참조하여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confirmation procedure for the driver's order is necessary based on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information. That is, the vehicle 10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false alarm rate on the shopping order by performing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Here,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Although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in the vehicle 10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hopping server 20 refers to the shopping database 40 to perform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

차량(10)은 입력 패턴에 상응하는 주문 명령이 정상적으로 식별되고,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에 따라 해당 주문에 대한 운전자 재확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주문 명령을 쇼핑 서버(20)로 전송하여 해당 주문에 대한 승인을 획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is normally identified and the driver revalidation procedure for the order is not required according to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the vehicle 10 transmits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20 And obtain approval for the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hopping order control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주문 제어 장치(200)는 주제어기(210), 주행 상태 확인부(230), 제1 주문 제어기(240), 제2 주문 제어기(240) 및 제어 리뷰 처리기(Control Review Processor, 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shopping order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210, a driving state checking unit 230, a first order controller 240, a second order controller 240, and a control review processor Processor, 260).

쇼핑 주문 제어 장치(200)는 차량 내부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장착된 각종 전자 제어 기기들로부터 각종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상태 정보는 주행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주행 상태 정보-예를 들면, 속도 정보, 시동 정보, 변속 기어 상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200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obtain various vehicle status information from vario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traveling sta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traveling, for example, speed information, startup information, transmission gear state information,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주제어기(210)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nd input / output of 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200.

송수신기(220)는 제어 리뷰 처리기(26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무선 구간에 전송할 신호를 변조하여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메시지를 제어 리뷰 처리기(260)에 전달하는 모뎀 또는(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ceiver 220 modulat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through an antenna, modulat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demodulat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outputs the demodulated message to a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and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or the like.

주행 상태 확인부(230)는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정차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The running state checking unit 230 can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a stopped state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tate information.

제1 주문 제어기(24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각종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수단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은 스티어링 휠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주행 중 운전자가 쉽게 조작이 가능한 차량 내 특정 위치-예를 들면, 기어 레버, 센터페시아 등을 포함함-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input means that do not include a display. Here,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button. For example, the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applied to a specific position in the vehicle, such as a gear lever, a center pace, etc., Can be mounted.

제2 주문 제어기(250)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각종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주문 제어기(250)는 챠량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may comprise various input means including a touch display. As an example,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may be implemented in a car audio AV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주제어기(210)는 주행 상태 확인부(230)에 의해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주문 제어기(240)를 통해 운전자의 쇼핑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210 can control the driver to order the shopping through 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when the driving state checking unit 230 confirm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주제어기(210)는 주행 상태 확인부(230)에 의해 해당 차량이 정차 중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주문 제어기(250)를 통해 운전자의 쇼핑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210 can control the driver to order the shopping through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by the driving state checking unit 230. [

다른 일 예로, 주제어기(210)는 주행 상태 확인부(230)에 의해 해당 차량이 정차 중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주문 제어기(240) 및 제2 주문 제어기(2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쇼핑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f the main controller 2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by the driving condition check unit 230, the main controller 210 may use either 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or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So that the driver's shopping order is performed.

제어 리뷰 제어기(260)는 제1 주문 제어기(240) 또는 제2 주문 제어기(250)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쇼핑 주문을 위한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입력 패턴이 정상적인 입력 패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리뷰 제어기(260)는 입력 패턴이 정상이면, 해당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 review controller 26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or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to analyze the input pattern for the shopping order of the driver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pattern is a normal input pattern. If the input pattern is normal, the control review controller 260 can identify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또한, 제어 리뷰 제어기(260)는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통해 식별된 주문 명령에 대한 운전자 재확인 절차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review controller 260 may determine whether a driver revalidation procedure for the order command identified through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is necessary.

판단 결과, 운전자 재확인 절차가 필요하면, 제어 리뷰 제어기(260)는 해당 주문 명령에 대한 운전자 재확인이 필요함을 알리는 소정 제어 신호를 주제어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제어기(210)는 차량에 구비된 소정 출력 수단을 통해 소정 재확인 요청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 수단은 스피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river revalidation procedure is required, the control review controller 260 may transmit to the main controller 210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driver revalidation for the corresponding order command is required. The main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output of a predetermined reaffirmation request guidance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output means provided in the vehicle. In one example, the output mean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peaker, a display.

일 예로, 현재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인 경우, 출력 수단은 스피커이고,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상태인 경우,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the outputting means is a speaker, and when the current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the outputting means may be a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만약, 식별된 주문 명령에 대한 운전자 재확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어 리뷰 제어기(260)는 식별된 주문 명령을 송수신기(220)를 통해 쇼핑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If a driver revalidation procedure for the identified order command is not required, the control review controller 260 may send the identified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20 via the transceiver 220. [

제어 리뷰 처리기(260)는 제1 주문 제어기(240)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제2 주문 제어기(250)로부터 수신되는 클릭 신호에 기반하여 의심스러운 입력 패턴을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주제어기(210)에 전달할 수 있다. 주제어기(210)는 제어 리뷰 처리기(260)의 입력 패턴 식별 결과에 따라 소정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입력 패턴-즉, 운전자의 오류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 패턴이 정상이 아님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 또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identifies a suspicious input pattern based on the butto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or the click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210). When an input pattern that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i.e., an error input of the driver,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input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the main controller 210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Or a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일 예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입력 패턴은 버튼 반복 입력, 버튼 홀딩 시간, 클릭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an input pattern tha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formation on button repeat input, button holding time, click rate, and the like.

오류 입력 검출에 대한 예는 후술할 도 5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An example of the error input detec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리뷰 처리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review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리뷰 처리기(260)는 오류 입력 검출부(261), 제어 패턴 분석부(262), 결정부(263) 및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may include an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a control pattern analyzing unit 262, a determining unit 263, and a feedback message generating unit 264.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제1 주문 제어기(240) 및 제2 주문 제어기(250)로부터 운전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오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receives an input signal of the driver from the first order controller 240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250 and can detect an error input from the received input signal.

여기서, 오류 입력은 버튼 반복 입력 감지, 버튼 홀딩 시간 감지, 클릭 속도 감지 등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위 시간 동안의 버튼 입력 반복 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버튼 홀딩 시간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클릭 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오류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error input can be detected through button repeat input detection, button holding time detection, click speed detec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button input repetition times in a unit time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button holding time exceeds a reference value, or the click speed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determines that an error input has occurred .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오류 입력이 검출되면, 오류 입력이 검출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264)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264)는 운전자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 또는(및)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경고 알람 또는(및) 경고 메시지는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및) AVN 디스플레이(3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된 경고 알람 또는(및) 경고 메시지에 따라, 운전자는 주문 입력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When an error input is detected,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an error input has been detected to the feedback message generating unit 264. [ At this time, the feedback message generator 264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or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of the driver is wrong. Here, the generated warning alarm and / or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or AVN display 340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utputted warning alarm or (and) warning message, the driver can perform the order input again.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오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해당 입력 신호를 제어 패턴 분석부(262)에 전달할 수 있다.If an error input is not detected,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can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pattern analyzing unit 262. [

제어 패턴 분석부(262)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패턴은 다양한 펄스 폭 및 레벨을 가지는 펄스 신호들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control pattern analyzing unit 262 can analyze the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input patte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pulse signals having various pulse widths and levels.

일 예로, 제어 패턴 분석부(262)는 버튼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버튼 입력 패턴 식별부(262-1)과 클릭 패턴을 분석하는 클릭 패턴 식별부(262-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pattern analyzing unit 262 may include a button input pattern identifying unit 262-1 for analyzing a button input pattern and a click pattern identifying unit 262-2 for analyzing a click pattern.

일 예로, 제어 패턴 분석부(262)는 입력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 입력 신호의 펄스 폭 등에 기반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어느 주문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입력 신호인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릭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의 펄스 폭은 버튼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의 펄스 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클릭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은 버튼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pattern analyzer 262 can determine which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an order controller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voltage or current of the input signal, the pulse width of the input signal,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ulse width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click may be smaller than the pulse width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input. As another example,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click may be low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input.

결정부(263)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쇼핑 명령 데이터베이스(320)를 참조하여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쇼핑 명령 데이터베이스(320)는 특정 입력 패턴에 매칭하여 정의된 주문 명령에 관한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63 can identify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nput pattern by referring to the shopping command database 320. [ Here, the shopping command database 320 may hold information on an order command defined by matching a specific input pattern.

결정부(263)는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 입력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264)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264)는 운전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메시지가 스피커 또는(및) AVN 디스플레이(3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63 may transmit to the feedback message generator 264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river input when there is no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At this time, the feedback message generator 264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message requesting the driver to re-input and control the message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or the AVN display 340.

결정부(263)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존재하면, 쇼핑 히스토리 패턴 데이터베이스(330)를 참조하여 해당 주문 명령에 대해 운전자 재확인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정부(263)는 쇼핑 히스토리 패턴 데이터베이스(330)에 유지된 도미넌트 아이겐벡터(dominant eigenvector)를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운전자 재확인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미넌트 아이겐벡터는 시간 및 거리에 각각 대응하는 시간 축 도미넌트 아이겐벡터(a dominant eigenvector of time axis)와 거리 축 도미넌트 아이겐벡터(a dominant eigenvector of distance axi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는 차량으로부터 특정 목적지-예를 들면, 운전자의 집일 수 있음-에서의 거리일 수 있다. The determining unit 263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driver's re-confirmation is required for the order command by referring to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database 330 if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nput pattern exists. For example, the determining unit 263 can determine whether a driver's re-confirmation is necessary by comparing a dominant eigenvector held in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database 33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Here, the dominant eigenvectors may include a dominant eigenvector of time axis and a dominant eigenvector of distance axi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ime and distance. Here, the distance may be a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a particular destination - for example, it may be the driver's house.

결정부(263)는 현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GPS 수신기(3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63 can acquire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310 provided in the vehicle.

결정부(263)는 운전자의 재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해당 주문 명령을 쇼핑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63 can transmit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20 when the driver does not need to reconfir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류 입력 검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rror input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류 입력 검출부의 오류 검출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rror detection type of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제1 검출부(401), 제2 검출부(402) 및 제3 검출부(4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may include a first detecting unit 401, a second detecting unit 402, and a third detecting unit 403.

제1 검출부(401)는 도 5의 도면 번호 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적 밴드 패스 필터링(Adaptive Band-pass filtering)을 통해 반복적인 버튼 입력에 따른 오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적 밴드 패스 필터링은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예를 들면, 2 내지 3초- 동안 밴드 패스 필터의 대역폭을 유지하고,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필터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5, the first detection unit 401 can detect occurrence of an error due to repetitive button input through adaptive band-pass filtering. Here, the adaptive band pass filtering is a method of maintaining the bandwidth of the band pass filter for a predetermined time (e.g., 2 to 3 seconds) when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and reducing the bandwidth of the filter when the time passes .

제2 검출부(402)는 도 5의 도면 번호 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패스 필터링을 통해 버튼 홀딩 시간이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이를 통해, 오버타임 홀딩(Overtime Holding)에 따른 오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ion unit 402 determines whether the button hold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rough band pass filtering as shown at reference numeral 520 in FIG. 5, and thereby, an error due to over time holding Can be detected.

제3 검출부(403)는 도 5의 도면 번호 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패스 필터링을 통해 비정상적인 속도의 클릭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3 검출부(403)는 과도한 클릭 속도에 따른 오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The third detection unit 403 can detect an abnormal speed click through band-pass filtering,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530 in FIG. That is, the third detection unit 403 can detect occurrence of an error corresponding to an excessive click speed.

오류 입력 검출부(261)는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2초일 수 있음-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밴드 패스 필터링 동작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261 may deactivate the bandpass filtering operation if the input sig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2 seconds.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6 to 7 illustrate a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주문 위치로부터 소정 목적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주문한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통계가 행렬의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S601). 여기서, 쇼핑 통계는 상기한 도 1의 쇼핑 데이터베이스(40)에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shopping statistics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a matrix, as shown in FIG. 61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rdering location to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and the ordered time information (S601). Here, the shopping statistics can be maintained in the shopping database 40 of FIG. 1 described above.

수집된 쇼핑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시간 및 거리에 각각 대응하는 도미넌트 아이건벡터가 도면 번호 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S602). 여기서, 도미넌트 아이건벡터는 행렬 반복(Matrix Iteration) 및 정규화 프로세스를 통해 시간 축과 거리 축에 각각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Based on the collected shopping statistical information, a dominant eye key vector corresponding to the time and the distance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drawing 620 (S602). Here, the dominant eye key vector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time axis and the distance axis through a matrix iteration and a normalization process,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쇼핑 주문을 위한 새로운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S603 내지 S604). Referring to FIG. 7, when the vehicle 10 senses a new input signal for a shopping order, it can identify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input signal (S603 to S604).

차량(10)은 식별된 주문 명령에 대응하는 도미넌트 아이건벡터(Dominant Eigenvetor)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해당 주문에 대한 재확인(Reconfirmation)이 필요한지 여부 판단할 수 있다(S605).The vehicle 10 may compare the dominant eye generator vec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order comman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reconfi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rder is necessary (S605).

판단 결과, 재확인이 필요하면, 차량(10)은 운전자에게 해당 주문 명령에 대한 재확인을 요청하는 소정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60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ehicle 10 needs to be reconfirmed, the vehicle 10 may output a predetermined feedback message requesting the driver to re-confirm the order command (S606).

반면, 재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차량(10)은 쇼핑 서버로 해당 주문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607).On the other hand, if the revalidation is not necessary, the vehicle 10 can transmit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S60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버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hopp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쇼핑 서버(20)는 온라인 쇼핑 회사 결정부(801), 주문 내역 생성부(802), 주문 내역 확인부(803) 및 주문 실행부(8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 the shopping server 20 may include an online shopping company determination unit 801, an order detail generation unit 802, an order detail confirmation unit 803, and an order execution unit 804 .

온라인 쇼핑 회사 결정부(801)는 제어 리뷰 처리기(260)로부터 주문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주문 명령에 대해 최적인 온라인 쇼핑 회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명령은 주문 상품 정보뿐만 아니라 주문자(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및) 배달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online shopping company determination unit 801 can determine an optimal online shopping company for the order command when an order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 Here, the order command may include not only the order product information, but also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urchaser (vehicle) or (and) information on the delivery destination.

일 예로, 온라인 쇼핑 회사 결정부(801)는 주문 상품에 관련된 온라인 쇼핑 회사를 선별하고, 배달 목적지와 선별된 온라인 쇼핑 회사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최적의 온라인 쇼핑 회사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온라인 쇼핑 회사 별 평균 배송 소요 시간에 관한 정보, 재고 물량에 관한 정보, 미리 수집된 소비자 만족도 평가 정보 등에 더 기반하여 온라인 쇼핑 회사를 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online shopping company determination unit 801 may select an online shopping company related to an order item and determine an optimal online shopping company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selected online shopping compan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nline shopping company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the online shopping company, the information about the stock quantity, and the collected customer satisfaction evaluation information.

주문 내역 생성부(802)는 주문 명령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예를 들면, 주문 영수증-을 생성할 수 있다.The order history generating unit 802 may generate an order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order order, for example, an order receipt.

주문 내역 확인부(803)는 생성된 주문 내역을 제어 리뷰 처리기(260)로 전송하여 주문 내역에 대한 운전자의 승인을 획득할 수 있다.The order history confirmation unit 803 can send the generated order details to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260 to obtain the approval of the driver for the order details.

운전자의 승인이 완료되면, 주문 실행부(804)는 생성된 주문 내역에 상응하는 주문을 결정된 온라인 쇼핑 회사(2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pproval of the driver is completed, the order execution unit 804 can transmit the order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order details to the determined online shopping company 20.

쇼핑 서버(20)는 주문이 완료되면, 해당 주문 처리 내역에 기반하여 쇼핑 데이터베이스(40)를 갱신할 수 있다.When the order is completed, the shopping server 20 can update the shopping database 40 based on the order processing history.

물론, 온라인 쇼핑 회사(20)도 쇼핑 데이터베이스(40)에 접속하여 상품 별 재고 물량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갱신할 수 있다.Of course, the online shopping company 20 can also access the shopping database 40 and update the information on the stock quantity by product in real tim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6)

통신망을 통해 쇼핑 서버와 연동되는 차량에서의 쇼핑 주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제1 주문 제어기 및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주문 제어기 및 상기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식별되면, 상기 주문 명령을 상기 쇼핑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shopping order in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tivating any one of a first order controller and a second order controller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nalyzing an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an input signal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s sensed; And
And transmitting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if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is identified
/ RTI > The method of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면, 상기 제1 주문 제어기가 활성화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이면 상기 제2 주문 제어기가 활성화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rder controller is activated if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s activated if the vehicle is stationa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문 제어기는 운전자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문 제어기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AVN(Audio Video Navigation)의 터치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상기 운전자의 클릭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rder controller generates the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button input of the driv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n response to the driver's click operation on a touch display of AVN And generate the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오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류 입력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밴드 패스 필터링 통해 검출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an error input based on the input signal, wherein the error input is detected via bandpass filtering on the input signal.
제4항에 있어서,
단위 시간 동안의 버튼 반복 입력 회수, 버튼 홀딩 시간, 클릭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오류 입력이 검출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rror input is detected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a button repeat input count, a button hold time, and a click speed for each unit time with a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오류 입력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that the error input has been detected if the error input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명령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f the order command is not identi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명령에 대응되는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이 실패하면, 상기 주문 명령에 대한 운전자의 재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에 의한 재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주문 명령을 상기 쇼핑 서버로 전송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erforming a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mmand; And
If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fails, outputting a message requesting the driver to re-confirm the order command
And when the reconfirmation procedure by the driver is completed, transmitting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는
상기 주문 명령에 상응하여 미리 산출된 도미넌트 아이건벡터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의 성공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도미넌트 아이건벡터는 시간 축과 거리 축에 대응하여 각각 산출되는, 쇼핑 주문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Where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is determined by comparing a dominant eye key vector calculat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comman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dominant eye key vector is calculated corresponding to a time axis and a distance axis, Order control method.
차량에 탑재되어 통신망을 통해 쇼핑 서버와 연동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정차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주행 상태 확인부;
상기 주행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쇼핑 주문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주문 제어기 및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주제어기;
상기 제1 주문 제어기 및 상기 제2 주문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주문 명령을 식별하는 제어 리뷰 처리기; 및
상기 주문 명령이 정상 식별되면, 상기 주문 명령을 상기 쇼핑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A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interlocked with a shopp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running stat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a stopped state based on vehicle state information;
A main controller for activating any one of a first order controller and a second order controller for inputting a shopping orde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ing of the traveling state checking unit;
And a control review processor for analyzing an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identifying an ord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upon sens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any one of the first order controll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 And
Wherein if the order command is normally identified, th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rder command to the shopping server
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가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상태이면, 상기 제1 주문 제어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차량이 상기 정차 상태이면 상기 제2 주문 제어기를 활성화시키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ctivates the first order controller if the main controller is in the running state and activates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f the vehicle is in the stopped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문 제어기는 운전자의 버튼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주문 제어기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AVN(Audio Video Navigation)의 터치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상기 운전자의 클릭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order controller generates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nput of the driver and the second order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order controller in response to a click operation of the driver on a touch display of AVN (Audio Video Navigation) And generates the input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리뷰 처리기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밴드 패스 필터링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가 오류 입력인지를 검출하는 오류 입력 검출부; 및
상기 오류 입력이 검출되면 소정 경고 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시키는 피드백 메시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An error inpu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n error input through band-pass filtering of the input signal; And
A feedback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when the error input is detected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warning alarm through output means provided in the vehicle,
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입력 검출부는 단위 시간 동안의 버튼 반복 입력 회수, 버튼 홀딩 시간, 클릭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오류 입력을 검출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rror input detecting unit detects the error input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a button repeat input count, a button hold time, and a click speed for each unit time with a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리뷰 처리기는
상기 주문 명령에 대응되는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에 실패하면, 상기 주문 명령에 대한 운전자의 재확인 재확인 절차를 개시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A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procedur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mmand is executed, and when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fails,
The shopping order control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리뷰 처리기는
상기 주문 명령에 상응하여 미리 산출된 도미넌트 아이건벡터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쇼핑 히스토리 패턴 매칭의 성공 여부가 결정하되, 상기 도미넌트 아이건벡터는 행렬 반복(Matrix Iteration) 및 정규화 프로세스를 통해 시간 축과 거리 축에 대응하여 각각 산출되고, 상기 행렬은 주문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주문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수집된 쇼핑 통계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주문 제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review processor
Wherein the dominant eye key vector is determined by successively comparing the dominant eye key vector calculated in advance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shopping history pattern matching is successful, And the distance axis, and wherein the matrix is generated based on shopping statistics collected in advance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rder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nd the ordered time information.
KR1020170070660A 2017-06-07 2017-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KR102401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60A KR102401376B1 (en) 2017-06-07 2017-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60A KR102401376B1 (en) 2017-06-07 2017-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621A true KR20180133621A (en) 2018-12-17
KR102401376B1 KR102401376B1 (en) 2022-05-24

Family

ID=6500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660A KR102401376B1 (en) 2017-06-07 2017-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3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25A (en)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스쿨버스 School vehicle commer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540A (en) * 2011-12-26 2013-07-04 국방과학연구소 Multi-antenna transmitter, controlling method of multi-antenna transmitter 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373151B1 (en) * 2012-12-18 2014-03-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tire condition
JP2015158927A (en) * 2007-12-26 2015-09-0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commerce in vehicle
KR20160071092A (en)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panel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8927A (en) * 2007-12-26 2015-09-0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commerce in vehicle
KR20130074540A (en) * 2011-12-26 2013-07-04 국방과학연구소 Multi-antenna transmitter, controlling method of multi-antenna transmitter 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373151B1 (en) * 2012-12-18 2014-03-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tire condition
KR20160071092A (en)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panel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25A (en)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스쿨버스 School vehicle commer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376B1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5288B2 (en) Data analysis device, data analysis method and program
US11743433B2 (en) Event identification and notification via an automation hub
US20210382984A1 (en) Automatic password reset using a security system
RU2623676C2 (en) Information system for vehicles of industrial purpose
US7711462B2 (en) Vehicle help system and method
US8749375B2 (en) Hands-free home automation application
US9820215B2 (en) Method and device to prohibit communications which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by the driver of a vehicle
US20160125425A1 (en) Automatic connected vehicle enrollment
CN110035932B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ccess to a motor vehicle for use by a third party
US20130090781A1 (en) Remotely located database for managing a vehicle fleet
JP7045286B2 (en) Data analysis device, data analysis method and program
EP3264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WO2016109078A1 (en) Vehicle use and performance restrictions based on detected users
US11528325B2 (en) Prioritizing data using rules for transmission over network
CN105138529A (en) Connected vehicle predictive quality
US201602749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vailable an Assistance Suggestion for a User of a Motor Vehicle
KR102190162B1 (en)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IoT DEVICE AND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401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pping Order in a Vehicle
US11687947B2 (en) Automatic connected vehicle enrollment
CN110083371B (en) Vehicle program updating system and method, updating tool and storage medium
US20080272896A1 (en) Objec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JP67698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50066604A1 (en) Fare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11355016B2 (en) Vehicle location system
CN114261338A (en) Vehicl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