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013A -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013A
KR20180133013A KR1020170069016A KR20170069016A KR20180133013A KR 20180133013 A KR20180133013 A KR 20180133013A KR 1020170069016 A KR1020170069016 A KR 1020170069016A KR 20170069016 A KR20170069016 A KR 20170069016A KR 20180133013 A KR20180133013 A KR 2018013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leaning
cleaning liquid
main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240B1 (ko
Inventor
신동진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신동진
김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김학규 filed Critical 신동진
Priority to KR102017006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4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ultras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10Equipment for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화 흡입기 내부에 액상이 충진되는 카트리지를 자동 세척 가능한 휴대용 기화 흡입기 및 이를 위한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화유닛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분출하고 다시 외부로 유출하는 과정을 통해 카트리지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Automatic Washing Device and Portable Vaporizing And Inhal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기화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기화 흡입기 내부에 액상이 충진되는 카트리지를 자동 세척 가능한 휴대용 기화 흡입기 및 이를 위한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기호품이기는 하나 인체에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함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연가들의 경우, 사회생활의 다양성과 대인관계 때문에 습관적으로 피워오던 기호성 담배를 끊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과제 중의 하나다. 특히 담배는 각종 발암 유발물질인 니코틴, 타르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후두암 및 혈관 수축에 의한 버거씨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 및 사망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특히 주변 사람들에게는 간접흡연에 의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금연운동이 사회적으로 널리 전개되고 있어, 많은 흡연가들이 이에 동참하고 있으나, 그 중동성과 습관성 때문에 쉽사리 끊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연담배나 전자담배 등과 같은 보조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담배 역시 최근 들어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어, 니코틴 성분 대신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나 천연유래 성분의 약액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기화 흡입기가 개발되고 있다.
기화 흡입기는 사용자가 직접 흡입기 본체에 마련된 스위치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흡입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류센서가 흡입력을 감지하면, 에어로졸 생성부에 설치된 발열히터나 초음파 진동자, 고주파 진동자 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약액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의 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화 흡입기 내부에 수용되고 있는 약액은 한약재나 천연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후에 찌꺼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기화 흡입기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약액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 내부에는 발생된 찌꺼기들이 더욱 많이 쌓이게 되어 에어로졸 생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찌꺼기 등의 유해성 물질로 인한 유해성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화 흡입기를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화 흡입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화 흡입기의 내부에 구성된 약액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수시로 교체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기화 흡입기를 분리형으로 구성됨에 따른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실 및 고장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039837호 (등록일자 2011.06.01) 등록특허 제10-1488782호 (등록일자 2015.01.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기화 흡입기 내부에 액상이 충진되는 카트리지를 자동 세척 가능한 휴대용 기화 흡입기 및 이를 위한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특징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액상의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화유닛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분출하고 다시 외부로 유출하는 과정을 통해 카트리지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공간이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유닛은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공급하는 제 1 유입관과, 상기 제 1 유입관의 끝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분출시키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과,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연결되어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을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약제 찌꺼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 1 배출관과, 본체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상기 제 1 유입관 및 제 1 배출관을 외부 노출시켜 자동 세척 장치와의 연결 결합을 제공하는 연결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노즐은 전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분사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의 특징은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하고 있는 속이 빈 통의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이 수용된 수용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배출관을 통해 수용유닛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로 유출시키는 제 1 펌핑부와, 상기 수용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유입관을 통해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수용유닛 내로 유입시키는 제 2 펌핑부와, 상기 제 1 펌핑부 및 제 2 펌핑부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해 결합 연결되는 연결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속이 빈 통의 형상의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 내부로 덮이는 제 2 본체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제 2 본체에서 제 1 본체가 분리 가능하여, 분리 시에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탱크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유닛은 세정액이 수용되고 하단부로 연결된 제 2 배출관으로 수용된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연결된 제 2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액을 유입시켜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탱크로 배출하는 필터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및 필터탱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탱크는 수용유닛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슬롯은 일정각도를 갖는 "L" 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눌러지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력에 의해 고정힌지로 고정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고정각도로 이동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위치되고, 지지대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과 결합되는 제 2 배출관과 연결된 제 1 삽입핀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상기 제 1 핀과 이웃하여 위치되고, 지지대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과 결합되는 제 2 유입관과 연결된 제 2 삽입핀과,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력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대가 유지되도록 삽입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지지대로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용 기화 흡입기 내부에 액상이 충진되는 카트리지를 자동 세척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후 발생되는 찌꺼기를 손쉽게 세정할 수 있음에 따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기화 흡입기의 내부를 늘 깨끗이 세척할 수 있어 오랜 시간 기화 흡입기를 사용할 수 있어 기화 흡입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카트리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기화 흡입기로 구성 가능하여, 분리로 인해 발생되는 부품의 분실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휴대형 기화 흡입기에서 분사노즐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를 별도의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휴대용 기화 흡입기의 자동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는 속이 빈 통의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액상의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120)와, 상기 카트리지(1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화유닛(130)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120) 내부로 분출하고 다시 외부로 유출하는 과정을 통해 카트리지(120)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때, 기화유닛(1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공급유닛(미도시)이 추가되며, 전원 공급유닛은 일반적인 건전지나 리튬이온전지, 또는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중공의 원통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직육면체 등의 다각면체 형태, 담배 파이프와 같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단부에는 본체(110)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가 입으로 흡입하는 노즐의 기능을 하는 마우스피스가 설치된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흡입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연성의 실리콘 수지 또는 규소와 산소 또는 유기물이 서로 혼합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20)의 내부 공간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며, 세척유닛에서 세정액이 유입되는 위치는 카트리지(120)의 단면적이 가장 넓은 일측에 위치되고, 세척유닛에서 세정액이 유출되는 위치는 카트리지(120)의 단면적이 가장 좁은 타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트리지(120)에 유입되는 세정액이 카트리지(120)의 벽면 전체에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카트리지(120) 내부의 찌꺼기(불순물)(140)를 최대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120) 내에 수용되는 약제는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절패모, 행인, 오미자, 길경, 자완, 백작약, 대추, 건강, 과루인, 금은화, 박하, 홍화,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기화유닛(13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카트리지(120) 내에 수용된 액상이나 겔(gel)상 또는 고형체의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상기 기화유닛(130)은 예를 들어 상기 약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키거나, 초음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 방식으로 약제를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닛은 카트리지(12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120) 내부로 공급하는 제 1 유입관(152a)과, 상기 제 1 유입관(152a)의 끝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120) 내부로 분출시키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155)과, 카트리지(120)의 타측면에 연결되어 카트리지(120)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을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약제 찌꺼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 1 배출관(152b)과, 본체(110)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151)을 통해 상기 제 1 유입관(152a) 및 제 1 배출관(152b)을 외부 노출시켜 자동 세척 장치(200)와의 연결 결합을 제공하는 연결노즐(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노즐은 축구공이나 농구공에 바람구멍을 막고 있는 고무마개의 원리를 갖는 차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유입관(152a)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카트리지(120)의 단면적이 가장 넓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출관(152b)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카트리지(120)의 단면적이 가장 좁은 타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55)은 전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분사공(155a)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분사공(155a)은 5ㅀ~50ㅀ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하나의 일 방향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155)에 형성된 회전 분사공이 5ㅀ~50ㅀ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일 방향으로 구성됨에 따라, 카트리지(120) 내부로 세척액이 유입될 때, 세척액의 유입과 동시에 기울어진 각도로 기반으로 와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120) 벽면에 부착된 찌꺼기들(140)은 발생되는 와류를 가지는 세척액의 유속에 의해 손쉽게 안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는 카트리지(120) 벽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최대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세정액은 과산화수소가 주성분인 겔제, 첩부제, 페이스트제 등의 치아미백 세정액이나, 단백분해효소나 음성전하를 띠는 염 등이 들어 있는 소프트렌즈 세정액이나,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하드렌즈 세정액 및 식염수 등 인체에 무해한 세정액을 이용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기화 흡입기를 별도의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자동 세척 장치(200)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20)을 형성하고 있는 속이 빈 통의 형상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액(300)이 수용된 수용유닛(230)과, 상기 수용유닛(2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배출관(250a)을 통해 수용유닛(230)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300)을 삽입홀(220)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로 유출시키는 제 1 펌핑부(240a)와, 상기 수용유닛(2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유입관(250b)을 통해 삽입홀(220)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수용유닛(230) 내로 유입시키는 제 2 펌핑부(240b)와, 상기 제 1 펌핑부(240a) 및 제 2 펌핑부(240b)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세정액(300)을 상기 본체(210)의 삽입홀(220)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해 결합 연결되는 연결슬롯(2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2 펌핑부(240a)(240b)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공급유닛(미도시)이 추가되며, 전원 공급유닛은 외부 소스전원인 220V 60Hz를 입력받아 직류로 바꾸어 주는 직류전원공급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건전지나 리튬이온전지, 또는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300)은 과산화수소가 주성분인 겔제, 첩부제, 페이스트제 등의 치아미백 세정액이나, 단백분해효소나 음성전하를 띠는 염 등이 들어 있는 소프트렌즈 세정액이나,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하드렌즈 세정액 및 식염수 등 인체에 무해한 세정액을 이용한다.
상기 본체(210)는 중공의 원통, 구, 삼각뿔 및 육면체 등의 다각면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210)의 일면에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20)이 형성되고, 본체(210)를 제 1 본체(210a)와, 상기 제 1 본체(210a) 내부로 덮이는 제 2 본체(210b)를 각각 구성하여, 제 2 본체(210b)에서 제 1 본체(210a)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후 수용유닛(230) 내의 수용탱크(231)를 분리할 때, 상기 수용탱크(231)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체(210)의 일면에 자동 세척 장치의 전원 온/오프(on/off) 및 구동을 위한 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스위치에 따른 전원/구동 상태 및 세척 상태(세척중/세척완료/세척정도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홀(220)에 삽입되는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의 방위가 언제나 일정한 방위를 가질 수 있도록 위치 고정부(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의 표면과 삽입홀(220) 내부 표면에 서로 대응되는 양각과 음각을 구성하여 삽입홀(220)에 휴대용 기화 흡입기가 삽입될 때, 일정한 방위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삽입홀(220) 및 휴대용 기화기(100)의 형태를 대응되는 비대칭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위치 고정부 없이도 일정한 방위로만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유닛(230)은 세정액(300)이 수용되고 하단부로 연결된 제 2 배출관(250a)으로 수용된 세정액(300)을 배출시키는 수용탱크(231)와, 상기 수용탱크(231)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연결된 제 2 유입관(250b)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액(300)을 유입시켜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탱크(231)로 배출하는 필터탱크(232)와, 상기 수용탱크(231) 및 필터탱크(23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탱크(232)에서 배출되는 세정액(300)의 오염물질(140)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2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탱크(232)는 하부 중심부에 세정액(300)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34)이 형성되고, 외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기울어져 모이는 중앙이 오목한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탱크(232)는 수용유닛(23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필터부(233)의 세척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2 펌핑부(240a)(240b)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세정액(300)을 제 2 배출관(250a) 또는 제 2 유입관(250b)으로 이송시키는 펌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1, 2 펌핑부(240a)(240b)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공지기술에 해당됨에 따라,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슬롯(260)은 일정각도를 갖는 "L" 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20)에 삽입되며 눌러지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삽입력에 의해 고정힌지(263)로 고정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고정각도로 이동되는 지지대(261)와, 상기 지지대(261)의 일측에 위치되고, 지지대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1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153)과 결합되는 제 2 배출관(250a)과 연결된 제 1 삽입핀(262a)과, 상기 지지대(261)의 일측에 상기 제 1 핀(262a)과 이웃하여 위치되고, 지지대(261)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1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153)과 결합되는 제 2 유입관(250b)과 연결된 제 2 삽입핀(262b)과,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삽입력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대(261)가 유지되도록 삽입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지지대(261)로 전달하는 탄성부재(26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세척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4 는 휴대용 기화 흡입기의 자동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가 자동 세척 장치(200)에 형성된 삽입홀(220)에 삽입되면, 삽입력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대(261)의 이동을 통해 연결슬롯(260)의 제 1, 2 삽입핀(262a)(262b)이 휴대형 기화 흡입기(100)의 일면에 형성된 연결노즐(153)과 연결 결합된다.
이어, 제 1, 2 펌핑부(240a)(240b)의 구동을 통해, 수용유닛(230)의 수용탱크(231)에 수용된 세정액(300)이 제 2 배출관(250a)으로 이동되어 제 1 삽입핀(262a)을 통해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는 자동 세척 장치(200)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액(300)을 세척유닛의 제 1 유입관(152a)으로 이동되어 카트리지(12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 1 유입관(152a)에서 공급되는 세정액(300)은 카트리지(120) 내부로 공급되기 전에 분사노즐(155)을 거쳐 다수의 분사공(155a)을 통해 카트리지(120) 내부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155)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공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분사공(155a)으로 구성됨에 따라, 카트리지(120) 내부로 분출되는 세정액(300)은 기울어진 각도로 기반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분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120) 벽면에 부착된 찌꺼기(불순물)(140)들은 발생되는 와류를 가지는 세척액의 유속에 의해 손쉽게 안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카트리지(120)의 안쪽으로 밀려나가는 찌꺼기(불순물)(140)는 카트리지(120)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300)과 함께 제 1 배출관(152b)으로 이동되어 연결노즐(153)과 연결 결합된 제 2 핀(262b)을 거쳐 자동 세척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카트리지(120) 내부에 유입된 세정액이 제 1 배출관(152b)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 1 펌핑부(240a) 및 제 2 펌핑부(2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 구동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자동 세척 장치(200)는 휴대용 기화 흡입기(100)로부터 유입되는 찌꺼기(140)가 합쳐진 세정액(300)을 제 2 유입관(250b)으로 이동되어 수용유닛(230)의 필터탱크(232)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필터탱크(232) 내부로 유입된 찌꺼기가 합쳐진 세정액(300)은 필터부(233)를 거치면서 세정액(300)에 포함된 찌꺼기(불순물)(140)가 제거된 후 수용탱크(231)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화유닛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분출하고 다시 외부로 유출하는 과정을 통해 카트리지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공간이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공급하는 제 1 유입관과,
    상기 제 1 유입관의 끝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을 카트리지 내부로 분출시키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과,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연결되어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을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약제 찌꺼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 1 배출관과,
    본체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상기 제 1 유입관 및 제 1 배출관을 외부 노출시켜 자동 세척 장치와의 연결 결합을 제공하는 연결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전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분사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6.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세정액이 수용된 수용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배출관을 통해 수용유닛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로 유출시키는 제 1 펌핑부와,
    상기 수용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유입관을 통해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에서 유입되는 세정액을 수용유닛 내로 유입시키는 제 2 펌핑부와,
    상기 제 1 펌핑부 및 제 2 펌핑부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된 휴대형 기화 흡입기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해 결합 연결되는 연결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속이 빈 통의 형상의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 내부로 덮이는 제 2 본체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제 2 본체에서 제 1 본체가 분리 가능하여, 분리 시에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탱크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세정액이 수용되고 하단부로 연결된 제 2 배출관으로 수용된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연결된 제 2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액을 유입시켜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탱크로 배출하는 필터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및 필터탱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는 수용유닛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슬롯은
    일정각도를 갖는 "L" 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눌러지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력에 의해 고정힌지로 고정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고정각도로 이동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위치되고, 지지대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과 결합되는 제 2 배출관과 연결된 제 1 삽입핀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상기 제 1 핀과 이웃하여 위치되고, 지지대의 이동으로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내부 세척을 위한 연결노즐과 결합되는 제 2 유입관과 연결된 제 2 삽입핀과,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삽입력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대가 유지되도록 삽입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지지대로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자동 세척 장치.
KR1020170069016A 2017-06-02 2017-06-02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KR10198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16A KR101986240B1 (ko) 2017-06-02 2017-06-02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16A KR101986240B1 (ko) 2017-06-02 2017-06-02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13A true KR20180133013A (ko) 2018-12-13
KR101986240B1 KR101986240B1 (ko) 2019-09-30

Family

ID=6467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16A KR101986240B1 (ko) 2017-06-02 2017-06-02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6267A (zh) * 2021-12-07 2022-03-08 胡子全 一种呼吸科用雾化给药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899A (ja) * 1996-11-28 1998-06-16 Nikkiso Co Ltd 医療用回路洗浄装置及び医療用回路洗浄方法
JP2007535352A (ja) * 2004-05-03 2007-12-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医療用液体を投与する噴霧器
JP2009213618A (ja) * 2008-03-10 2009-09-24 Canon Inc 非吐出液カートリッジ及び液剤吐出装置
JP2010012066A (ja) * 2008-07-04 2010-01-21 Canon Inc 薬剤吐出装置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100080308A (ko) * 2008-12-31 2010-07-08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KR101039837B1 (ko) 2010-11-23 2011-06-09 주식회사 에바코 기화흡입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기화흡입용 혼합 조성물
KR101488782B1 (ko) 2013-04-18 2015-02-04 김성국 호흡을 이용한 능동형 약물 투입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899A (ja) * 1996-11-28 1998-06-16 Nikkiso Co Ltd 医療用回路洗浄装置及び医療用回路洗浄方法
JP2007535352A (ja) * 2004-05-03 2007-12-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医療用液体を投与する噴霧器
JP2009213618A (ja) * 2008-03-10 2009-09-24 Canon Inc 非吐出液カートリッジ及び液剤吐出装置
JP2010012066A (ja) * 2008-07-04 2010-01-21 Canon Inc 薬剤吐出装置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100080308A (ko) * 2008-12-31 2010-07-08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KR101039837B1 (ko) 2010-11-23 2011-06-09 주식회사 에바코 기화흡입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기화흡입용 혼합 조성물
KR101488782B1 (ko) 2013-04-18 2015-02-04 김성국 호흡을 이용한 능동형 약물 투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6267A (zh) * 2021-12-07 2022-03-08 胡子全 一种呼吸科用雾化给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40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6317A1 (en) Nebulizer device
US8757170B2 (en) Waterless electronic hookah machine
US8910625B2 (en) Inhalation device for use in aerosol therapy
CA2562581C (en) Electronic atomization cigarette
KR101820847B1 (ko) 교체시기 및 잔량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JP2006212203A (ja) 吸入装置、及び液剤吐出カートリッジ
CN117918569A (zh) 不加热不燃烧吸烟制品
ES2824259T3 (es) Dispositivo nebulizador
KR20140083983A (ko) 휴대용 전자 증기 발생 장치 및 방법
CN102665808B (zh) 气雾吸入器
ES2833107T3 (es) Un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medicamento nasal
CN101262900B (zh) 液体制剂喷射装置
WO1997004826A1 (fr) Dispositif de dosage de medicament en poudre
KR20110002996U (ko) 캡이 구비된 전자 담배
KR20180133013A (ko) 휴대형 기화 흡입기 및 그의 자동 세척 장치
EP4031216A1 (en) Ultrasonic mist inhaler
US20180304031A1 (en) Modified nebulizer,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harmaceutical products to an individual
KR20160001725U (ko)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전자담배
JP7480337B2 (ja) 超音波ミスト吸入器
JPH1133116A (ja) 粉末薬剤マルチドーズ投与デバイス
JPH08206206A (ja) ポータブル吸入器用コンプレッサ装置
JP2023506328A (ja) 超音波ミスト吸入器
KR101541750B1 (ko) 기화식 흡입 장치
RU2815646C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портативный ингалятор
WO2011083742A1 (ja) 薄板部材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