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43A -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43A
KR20180132343A KR1020170069155A KR20170069155A KR20180132343A KR 20180132343 A KR20180132343 A KR 20180132343A KR 1020170069155 A KR1020170069155 A KR 1020170069155A KR 20170069155 A KR20170069155 A KR 20170069155A KR 20180132343 A KR20180132343 A KR 2018013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control
moving object
position informa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6775B1 (en
Inventor
사영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스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씨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7006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75B1/en
Publication of KR2018013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a surveillance system having a moving object tracking function.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a surveillance system that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n arbitrary object to surveillance equipment of a corresponding area and finds the arbitrary object at a time when the arbitrary object is moved out of a surveillance area and into another surveillance area in the surveillance equipment in charge of a certain area. The control board includes a first control module provided in a first monitoring device and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nitoring device,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second monitoring device and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second monitoring device,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Description

이동 물체 추적 기능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제어보드{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0001]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발명은 이동 물체 추적 기능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제어보드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a surveillance system having a moving object tracking function,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구역을 담당하는 감시장비에서, 임의 물체가 감시 구역을 벗어나 다른 감시 구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임의 물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해당 구역의 감시장비에 전달하여 단번에 임의 물체를 찾아냄으로써, 감시 공백 없이 감시를 이어가는 감시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제어보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in a surveillance equipment in charge of a certain area, when an arbitrary object goes out of the surveillance area and flows into another surveillance area,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surveillance equipment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a surveillance system that keeps monitoring without surveillance.

등록특허 제10-1645681호(2016년07월29일)와 같이,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광역 또는 근거리 감시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고, 저장된 영상에서 임의 물체를 추적하는 것은 시스템 별로 저장된 영상을 찾아서 확인 할 수밖에 없다.Most of the wide-area or near-field surveillance systems currently in operation are operated independently, as in the case of Registration No. 10-1645681 (July 29, 2016), and tracking of arbitrary objects in the stored images can be performed on a system- I can not help but find it.

이러한 감시 시스템들은 실시간 감시가 요구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임의 물체를 추적할 때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스템 간 연동이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연동하여 이동 물체를 추적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임의 물체를 추적하지 못하거나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hese surveillance systems can not track arbitrary objects because they do not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or have no function to track moving objects when they are out of the monitoring range when tracking an arbitrary object in a system requiring real-time monitoring. Or missed.

따라서 감시 운용자가 수동적으로 이동 일정 구역을 감시 및 관측하고 있는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구역에 임의 이동 물체 발견 시, 이를 감시 및 이동 경로를 수동으로 추적한다. 이에 임의 추정 물체가 감시 지역을 벗어나 다른 감시 사이트의 감시 구역으로 들어갔을 경우, 유선이나 기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임의 물체에 대한 감시 정보를 다른 사이트에 전달하여 추적을 이어간다.Therefore, in a surveillance system in which a surveillance operator manually monitors and observes a moving area, when a moving object is detected in the surveillance area, the surveillance and movement path are manually tracked. If the arbitrary estimated object moves out of the surveillance area and enters the surveillance area of another surveillance site, surveillance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object is transmitted to another site using a wired line or other communication device to continue the tracking.

이 때 임의 물체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은 사이트에서는 임의 물체를 찾는데, 원거리 감시 장비의 경우 추적 물체가 5Km이상의 경우 감시 모니터 화각이 0.5도 정도 되기 때문에 임의 물체를 찾고 추적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remote monitoring equipment, if the tracking object is more than 5 km, the monitoring monitor angle is about 0.5 degrees,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find and track the random object .

또한 유선 통신으로 찾는다는 것은 무리가 따르고 감시 공백이 많이 발생하여 연속적인 감시를 이어 갈 수 없었다. 실제로 이와 같이 임의 물체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감시공백이 많고 임의 물체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곤 했다.In addition, it was impossible to carry out continuous surveillance because it was accompanied by crowds and lots of surveillance. In fact, it took a lot of time to find a random object in such a way that there were many surveillance spaces and missed random objects frequent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제1제어모듈이 제1감시장비에서 이동 물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정보전송수단을 통해 제2감시장비 측의 제2감시모듈로 전송함으로써, 이동 물체가 제1감시장비의 감시 구역을 벗어나 제2감시장비의 감시 구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감시 공백 없이 감시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제어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module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first monitoring device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o the second monitoring module on the side of the second monitoring device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And to provide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capable of continuing the surveillance without any monitoring space when the surveillance area of the second surveillance equipment is taken off.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제1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제1감시장비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제어모듈, 그리고 제2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제2감시장비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제어모듈, 그리고 제1제어모듈의 위치정보를 제2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을 포함한다.A first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and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또한 제2제어모듈은 제1제어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제어명령을 비교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제2감시장비의 구동제어부가 제2감시장비의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제어보드.Also, the second control module compares and generates control command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drive control unit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drives the motor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by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Intelligent control board.

아울러 위치정보는 이동 물체의 좌표 값과 마운트의 회전각도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제어모듈은 좌표 값 및 회전각도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a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and a rotation angle of the moun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process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rotation angle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나아가 이동 물체의 좌표 값은 경위도 좌표 값이고, 제1 및 제2제어모듈은 이동 물체의 좌표 값을 UTM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is a longitudinal degree coordinate valu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further include a coordinat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into the UTM coordinate value.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이동 물체(표적)가 일정 구역(제1감시구역)을 담당하는 제1감시장비의 감시구역을 벗어나 제2감시장비의 감시 구역(제2감시구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제1제어모듈이 제1감시장비에서 산출된 이동 물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정보전송수단을 통해 제2감시장비 측의 제2제어모듈로 전송함으로써, 제2감시장비가 움직여 단번에 이동 물체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감시 공백이 없는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감시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When the moving object (target) approaches the monitoring area (second monitoring area)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beyond the monitoring area of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responsible for a certain area (first monitoring area), the first control module 1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calculated by the monitoring equipm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on the side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so that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moves and tracks the moving object at onc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mmediate and continuous monitoring without surveillance blank.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감시장비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and FIG. 3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monitoring equipment. FIG.
4 is a data flow diagram of the system.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일정 구역을 담당하는 감시장비에서, 임의 물체가 감시 구역을 벗어나 다른 감시 구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임의 물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해당 구역의 감시장비에 전달하여 단번에 임의 물체를 찾아냄으로써, 감시 공백 없이 감시를 이어가는 감시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제어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apparatus for a certain area, in which, when an arbitrary object is moved out of a surveillance area and is introduced into another surveillance area,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arbitrary object is transmitted to surveillance equipment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a surveillance system that continues surveillance without spa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물체 추적 기능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제어보드(이하 본 장치(B))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pparatus B ") for a surveillance system having a moving object tra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장치가 구비된 본 시스템(S)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감시장비(S1)(S2)에 관한 세부 구성도이며, 도 3은 감시장비(S1)(S2)에 구비되는 본 장치(B)의 일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장치(B)를 구비한 본 시스템(S)의 데이터 흐름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ystem S equipped with the present apparatus.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nitoring equipment S1 and S2. FIG. 4 is a data flow diagram of the present system S including the present apparatus B, and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S)은 제1감시장비(S1), 제2감시장비(S2) 및 본 장치(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ystem S includes a first monitoring equipment S1, a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and the present apparatus B.

각 구성 별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부가하는 정도의 실시는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irst, the first and second surveillance equipment S1 and S2 are basically configured to be basically the same. However, if necessary,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or added. Which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는 관측기(1), 마운트(2) 및 컨트롤보드(3)를 포함한다.1 to 3,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1 and S2 include an observer 1, a mount 2, and a control board 3. [

보다 구체적으로, 관측기(1)는 이동 물체(O)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임의 물체(이동 물체(O))를 감시하는 저/고배율 카메라(11), 야간 등과 같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물체(O)를 감시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2), 레이저를 통해 이동 물체(O)와 감시장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13) 및. 감시장비의 현재 위치를 수집하는 GPS센서(14)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bserver 1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 moving object O and includes a low / high magnification camera 11 for monitoring a moving arbitrary object (moving object O) as shown in FIG. 2, An infrared camera 12 for monitoring the moving object O in a state in which the field of view is not secured such as at night, a distance meter 13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O and the surveillance equipment through the laser, and the like. And a GPS sensor 14 for collec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rveillance equipment.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2)는 관측기(1)가 결합되고 관측기(1)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모터(M)를 구비한 구성으로,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관측기(1)가 결합되는 팬틸트(22)와, 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관측기(1)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방위축기어(23)와, 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관측기(1)를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틸트축기어(2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mount 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bserver 1 is coupled and a motor M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otating the observer 1, As can be ascertained, there are a fan tilt 22 to which the observer 1 is coupled, a shaftshaft gear 23 which is driven by the motor M to horizontally rotate the observer 1, And a tilt shaft gear 24 driven to rotate the observer 1 vertically.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보드(3)는 관측기(1) 및 마운트(2)에 전반적인 제어 및 이동 물체(O)에 관한 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특히 마운트(2)의 모터(M)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와 이동 물체(O)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정보수집부를 구비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trol board 3 is configured to take overall control of the observer 1 and the mount 2 and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object O, A driving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tor M of the vehicle 2 and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O. [

이러한 컨트롤보드(3)는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기(1)에 대한 제어 및 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관측기보드(31)와 마운트(2)에 대한 제어 및 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팬틸트보드(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정보수집부와 구동제어부는 관측기보드(31)와 팬틸트보드(32) 각각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he control board 3 is provided with an observer board 31 for controll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observer 1 and a fan (not shown) for controll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mount 2, And the tilt board 3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the drive control unit are implemented in the observer board 31 and the pan tilt board 32, respectively.

또한 구동제어부와 함께 컨트롤보드(3)는 관측기(1) 및 마운트(2)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공급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는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기로 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ntrol board 3 together with the driv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driving the observer 1 and the mount 2, .

상기한 구성 및 특징을 갖는 제1감시장비(S1) 및 제2감시장비(S2)는 감시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에 해당하고,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후술하는 본 장치(B)가 2개의 감시장비(S1)(S2)를 연동시켜 이동 물체(O)에 대한 추적을 진행한다는 것에 있다.The first surveillance equipment S1 and the second surveillance equipment S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correspond to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urveillance syste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apparatus B, (S1) and (S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racking of the moving object (O) is performed.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흐름도이기 때문에, 도 4에 표시된 도면참조부호가 그 구성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해당 구성의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참조부호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icularly, Fig. 4 is a dat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description of the sign.)

이하 지능형 제어보드인 본 장치(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aratus B as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will be give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B)는 제1감시장비(S1)에 구비되어 제1감시장비(S1)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제어모듈(100), 그리고 제2감시장비(S2)에 구비되어 제2감시장비(S2)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제어모듈(200), 그리고 제1제어모듈(100)의 위치정보를 제2제어모듈(200)로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300)을 포함한다.1 to 4, the apparatus B includes a first control module 100 provided in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S1 to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S1, A second control module 200 provided in the first monitoring module S2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nitoring module S2 and a second control module 200 provided in the second monitoring module S2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300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는 기능상의 구분을 위해, 제1제어모듈(100)과 제2제어모듈(200)을 분리하여 설명하나, 하나의 단일 구성체에 제1제어모듈(100)과 제2제어모듈(200)이 탑재되는 실시를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are separately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functional distinc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are connected to one single structure, It should not be excluded.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장치(B)는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과 이 두 모듈(100)(200)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정보전송수단(300)을 통해, 제1감시장비(S1)와 제2감시장비(S2)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 물체(O)가 제1감시장비(S1)가 담당하는 제1감시구역을 벗어나 제2감시장비(S2)가 담당하는 제2감시구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제1감시장비(S1)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제2감시장비(S2)에서 이동 물체(O)를 추적하여, 감시 공백 없이 감시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apparatus B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by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300 for providing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and the two modules 100 and 200, The first surveillance equipment S1 and the second surveillance equipment S2 interlock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ving object O moves out of the first surveillance area occupied by the first surveillance equipment S1, The moving object O is tracked from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S1 so that surveillance can be continued without any monitoring space .

보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B)는 제2제어모듈(200)이 제1제어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제2감시장비(S2)의 구동제어부가 제2감시장비(S2)의 모터(M)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pparatus B generates a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 Drives the motor (M)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이러한 특징을 보다 구체적을 설명하면, 제1제어모듈(100)은 제1감시장비(S1)의 컨트롤보드(3)로부터 제1감시구역 내의 이동 물체(O)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정보전송수단(300)을 통해 제2제어모듈(200)로 전송하여, 이동 물체(O)가 제1감시구역을 벗어나 제2감시구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제2제어모듈(200)이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명령을 제2감시장비(S2)의 컨트롤보드(3)로 전송하여, 구동제어부가 제2감시장비(S2)의 모터(M)를 구동시켜 관측기(1)가 결합된 마운트(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감시구역으로 유입된 이동 물체(O)에 대한 추적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n the moving object O in the first monitoring area from the control board 3 of the first monitoring equipment S1, When the moving object O is moved to the second monitoring area out of the first monitoring area by transmitting one positional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30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board 3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so that th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M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Is driven to rotate the mount 2 to which the observer 1 is coupled so that the tracking of the moving object O flowing into the second monitoring zone can proceed.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장치(B)는 이동 물체(O)가 제1감시구역에서 제2감시구역을 이동할 때, 즉각적으로 제2감시장비(S2)가 이동 물체(O)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공백을 최소화한다.In this way, the apparatus B can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oving object O moves through the second monitoring zone in the first monitoring zone, the second monitoring device S2 immediately monitors the moving object O Thereby minimizing surveillance gaps.

이하 본 장치에 관한 보다 세부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more detailed features and addi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이 획득하는 위치정보는 이동 물체(O)의 좌표 값과 마운트(2)의 회전 각도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상기한 좌표 값 및 회전 각도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include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O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 2, The module (100) 200 processes the coordinate values and the rotation angle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상기 설명에서,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의 정보수집부는 이동 물체(O)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고 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거리측정기(13)와 GPS센서(14)를 활용하여 이동 물체(O)의 좌표 값(위치)을 획득하고, 상기한 팬틸트(22)로부터 마운트(2)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1 and S2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O.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3 and the GPS sensor 14 to acquire the coordinate valu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O and acquire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 2 from the pan tilt 22.

또한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상기한 좌표 값 및 회전 각도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한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처리'라 함은 감시장비의 위치 값, 감시장비와 이동 물체(O) 간의 거리, 모터(M)의 회전각 등 위치정보를 종합하하는 것을 물론, 제2감시장비(S2)로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화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generate control commands by processing the coordinate values and the rotation angles. Here, 'processing' refers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O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 but also the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세부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장비위치산출파트(110), 거리산출파트(120), 방위산출파트(130), 틸트산출파트(140), 좌표변환파트(150), 회전계산파트(160)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파트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4,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include a machine position calculating part 110, a distance calculating part 120, a bearing calculating part 130, a tilt calculating part 140, A coordinate transformation part 150, and a rotation calculation part 160. [0040] Each part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programmed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제1제어모듈(100)의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그 구성이 동일하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대동소이하므로, 제1제어모듈(100)의 구성을 통해 제2제어모듈(200)의 구성을 충분히 쉽게 유추할 수 있다.)(Although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is shown in FIG. 4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have the same or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각 파트 별로, 장비위치산출파트(110)는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의 위치 값을 산출하는 파트로, 정보수집부가 상기한 GPS센서(14)를 통해 획득한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의 위치 값을 획득한다.The device position calculating part 110 calculates the position value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devices S1 and S2 for each part. The information collecting part calculates the position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devices S1 and S2,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1 (S2).

다음, 거리산출파트(120)는 이동 물체(O)와 제1 또는 제2감시장비(S2) 간의 거리 값을 산출하는 파트로, 정보수집부가 상기한 거리측정기(13)를 통해 획득한 제1감시장비(S1)와 이동 물체(O) 간의 거리 또는 제2감시장비(S2)와 이동 물체(O) 간의 거리를 획득한다.Next, the distance calculating part 120 calculate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moving object O and the first or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and the information collecting part calculate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moving object O and the first or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ing equipment S1 and the moving object O 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and the moving object O is obtained.

다음, 방위산출파트(130)는 모터(M)의 수평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파트로, 정보수집부가 상기한 방위축기어(23)의 회전각을 검출함으로써 획득한 모터(M)의 수평 회전각도, 즉 방위각을 획득한다.Next, the azimuth calculation part 130 calculates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 The information collection part detects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 which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zimuth gear 23, , That is, the azimuth angle.

다음, 틸트산출파트(44)는 모터(M)의 수직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파트로, 정보수집부가 상기한 틸트축기어(24)의 회전각을 검출함으로써 획득한 모터(M)의 수직 회전각도, 즉 고저각을 획득한다.Next, the tilt calculating part 44 calculates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 The information collecting part calculates the tilt angle of the motor M, which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ilt shaft gear 24, That is, the elevation angle.

상기한 각 파트(110)(120)(130)(140)를 통해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장비위치산출파트(110)에서 산출된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의 위치 값과 거리산출파트(120)에서 산출된 각 감시장비와 이동 물체(O) 간의 거리를 통해 평면 좌표 상에서 이동 물체(O)의 위치를 특정하게 되고, 방위산출파트(130)와 틸트산출파트(140)를 통해 각 감시장비(S1)(S2)가 향하고 있는 방위각 및 고저각을 특정하여 이동 물체(O)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여, 이동 물체(O)에 대한 추적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devices 110 and 120 through the parts 110, 120, 130 and 140, S1) S2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monitoring equipment and the moving object O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part 120,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O is specified on the plane coordinates, and the orientation calculating part And the tilt calculating part 140 to identify the exact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O by specifying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 that each monitoring equipment S1 and S2 are heading to track the moving object O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proceeding.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감시장비(S1)(S2)의 정보수집부가 획득한 이동 물체(O)의 좌표 값은 경위도 좌표 값이고, 이에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이 이동 물체(O)의 좌표 값을 UTM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좌표변환파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rdinate values of the moving object O acquir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surveillance equipment S1 and S2 a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values and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200 may further include a coordinate conversion part 150 for converting coordinate values of the moving object O into UTM coordinate values.

구체적으로, 장비위치산출파트(110)와 거리산출파트(120)는 GPS센서(14)와 거리측정기(13)를 기반으로 하는 바, 장비위치산출파트(110)와 거리산출파트(120)에서 획득된 이동 물체(O)의 좌표 값은 경위도 좌표 값인데, 경위도 좌표 값을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 위치정보 계산이 복잡하고 난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UTM좌표 값으로 변환해줄 필요성이 있다.Specifically, the equipment position calculating part 110 and the distance calculating part 120 are based on the GPS sensor 14 and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13, and are located in the equipment calculating part 110 and the distance calculating part 120 The coordinate value of the obtained moving object (O) is the coordinate of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f the latitude coordinate value is used as it is, it is necessary to convert it into the UTM coordinate value because the calcul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장치(B)는 좌표변환파트(150)를 구비하여 이동 물체(O)의 좌표 값을 UTM 좌표계의 값으로 변환하여 계산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기준 규격(UTM)에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aratus (B) includes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part 150 to conver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O into the value of the UTM coordinate system so as to facilitate the calculation convenience and to apply it to the reference standard .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B)의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인코더(170) 및 디코더(1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인코더(170) 및 디코더(180)는 상기한 각 파트(110)(120)(130)(140)(150)들의 데이터 변환에 직접적으로 기여, 즉 상기 각 파트(110)(120)(130)(140)(150)들을 실제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4,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of the apparatus B may further include an encoder 170 and a decoder 180, and the encoder 170 And decoder 180 directly contribute to the data conversion of each part 110, 120, 130, 140 and 150 described above, that is, each part 110, 120, 130, Lt; RTI ID = 0.0 > 150 < / RTI >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은 팬틸트(22) 회전데이터를 계산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회전계산파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회전계산파트(160)에서 계산된 팬틸트(22) 회전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을 통해 제1 또는 제2감시장비(S2)가 제어되어 제1 또는 제2감시구역으로 유입된 이동 물체(O)를 향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4,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2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calculation part 160 for calculating the rotation data of the pan tilt 22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The first or second monitoring equipment S2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rotation data of the pan tilt 22 calculated by the rotation calculating part 160 and is moved to the first or second monitoring area The object O can be rotated.

추가로, 본 발명에서, 정보전송수단(300)은 제1제어모듈(100)의 위치정보를 제2제어모듈(2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및 제2제어모듈(100)(200)에 각각 구비된 통신모듈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3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100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100 And a network constructed by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 상기한 실시들을 기본 제1실시예로 함)에 따른 모터(M)의 구동제어수단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a drive control means of the motor 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being the basic first embodimen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장치의 마운트(2)는 모터(M)를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은 모터(M)의 보다 안정적인 제어를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 2 of the presen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motor M,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lude drive control means for more stable control of the motor M.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제어수단은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M10),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모듈(M1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M20), 모터(M)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모듈(M20)로 전송하는 상태감지모듈(M30) 및,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비상전원모듈(M40)을 포함한다.5, the drive control means includes a power supply module M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M, a control module M1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ule M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M A state detection module M30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motor M and transmitting the state to the control module M20 and an emergency power module M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M20 at all times.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구동제어수단은 전원공급모듈(M10)을 통해 모터(M)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태감지모듈(M30)을 통해 모터(M)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며, 비상전원모듈(M40)을 통해 갑작스럽게 전원이 끊기는 등의 비상시에도 제어모듈(M20)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e control means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stably supplies power to the motor M through the power supply module M10 and continuously senses the state of the motor M through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The control module M2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module M so that the control module M20 can be normally driven even in an emergency such as sudden power- So that they can cope appropriately.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상기한 구동제어수단의 각 모듈 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Hereinafter,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r each module of the drive control means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고하면, 전원공급모듈(M10)은 AC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필터부(M11),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DC 중간전원을 생성하는 정류부(M12), 전원의 온/오프 시에 중간전원에 포함되는 순간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필터부(M13) 및, 중간전원을 변환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변환부(M14)를 포함한다.5,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first filter M11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AC input power, a rectifier M12 for rectifying the noise-removed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intermediate power, A second filter unit M13 for removing instantaneous nois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nd off, and a conversion unit M14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generate a power supply.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1필터부(M11)는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1차로 제거하는 제1필터링회로(M111),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2차로 제거하는 제2필터링회로(M112) 및, 제1필터링회로(M111)를 거친 입력전원을 증폭하여 제2필터링회로(M112)로 인가하는 증폭회로(M113)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filter unit M11 includes a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for first removing the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a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for removing the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secondarily, 1 filtering circuit M111 and applying the amplified input power to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3.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제1필터링회로(M111)는 증폭용 npn 제1트랜지스터(Q101), 양단이 제1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1) 및, 제1트랜지스터(Q101)의 콜렉터에 연결된 인덕터(L101)와 캐패시터들(C102)(C103)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includes an npn first transistor Q101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1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nd an inductor L101 and capacitors C102 and C103 connected to the collectors of the transistors Q101 and Q101.

또한, 제2필터링회로(M112)는 증폭용 npn 제2트랜지스터(Q102), 제2트랜지스터(Q10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4),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 완충용 인덕터(L102)를 포함한다. 특히 필터용 캐패시터(C104)는 제2트랜지스터(Q10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는 필터용 캐패시터(C104)와 완충용 인덕터(L10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완충용 인덕터(L102)는 후술하는 증폭회로(M113)의 제4트랜지스터(Q104)의 에미터에 연결된다.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includes an npn second transistor Q102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01, a buffering inductor L102, . In particular, the filter capacitor C10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01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lter capacitor C104 and the buffering inductor L102, (L102) is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fourth transistor (Q104) of the amplifying circuit (M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증폭회로(M113)는 다단으로 연결된 pnp 제3트랜지스터(Q103)와 npn 제4트랜지스터(Q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단 연결은 제3트랜지스터(Q103)의 콜렉터와 제4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mplifying circuit M113 includes a pnp third transistor Q103 and an npn fourth transistor Q104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This multi-stage connection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the collector of the third transistor Q103 and the base of the fourth transistor Q104 to each other.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M11)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제1필터링회로(M111)에서, 제1트랜지스터(Q103)가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101)을 통해 입력전원(예: AC 상용전원)을 인가받으면 턴-온(Turn-On) 되어 입력전원을 증폭시키고, 이 때 제1트랜지스터(Q101)의 콜렉터에 연결된 인덕터(L101)와 캐패시터(C102)(C103)들이 증폭된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며, 추가로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101)가 에미터 측으로 흐르는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트랜지스터(Q101)로 재입력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first filter unit M11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the first transistor Q103 is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source The inductor L101 and the capacitors C102 and C103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re ampl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capacitor C101 removes the noise of the current flowing to the emitter side and re-inputs the noise to the first transistor Q101.

이 후, 제1필터링회로(M111)를 거쳐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이 증폭회로(M113)의 제3 및 제4트랜지스터(Q103)(Q104)를 거치면서 증폭되어 제2필터링회로(M112)의 제2트랜지스터(Q102) 측으로 입력되고, 이 후 제2트랜지스터(Q102)는 입력된 입력전원을 재 증폭하고, 이 때 제2필터링회로(M112)의 필터용 캐패시터(C101)는 노이즈 제거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는 출력 측의 전원 역류 방지를, 완충용 인덕터(L102)는 정류부(M12)로 전송되는 입력전원의 저장을 통한 완충(Delay)을 제공한다.Thereafter, the input power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via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is ampl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Q103 and Q104 of the amplifying circuit M113, The second transistor Q102 re-amplifies the inputted input power. At this time, the filter capacitor C101 of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performs noise rejection, The prevention diode D101 serves to prevent power backflow on the output side and the buffering inductor L102 provides buffering by storing input power transmitted to the rectifying part M12.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정류부(M12)는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DC 중간전원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AC-DC 정류에 관한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바 있으며, 이에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을 충분히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정류부(M1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rectifying unit M12,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s configured to rectify the noise-canceled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intermediate power source. The technique for AC-DC rectification is well know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with sufficient reference to the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ion of the rectifying section M12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제2필터부(M13)는 전원의 온 시에 중간전원을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회로(M131), 전원의 오프 시에 중간전원을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회로(M132) 및, 제1 및 제2전원공급회로(M131)(M13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중간전원의 노이즈를 그라운드로 소멸시키는 제3필터링회로(M133)를 포함한다.The second filter unit M13,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for supply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converting unit M14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for supplying intermediate power to the converting unit M14 and a noise of an intermediate pow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ircuits M131, And a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for canceling the third filtering circuit.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원공급회로(M131)는 pnp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2)와 바이어스 저항(R110)(R111)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7),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에미터에 연결된 캐패시터(C109) 및,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5)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includes a pnp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 further rectifying diode D102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 bias resistor R110 A capacitor C109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nd an output diode D105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다음으로, 제2전원공급회로(M132)는 npn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3)와 바이어스 저항(R112)(R113)(R114)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8),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6)를 포함한다.Next,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includes an additional rectifying diode D103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npn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bias resistors R112 and R113, And an output diode D106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R114, the bias capacitor C108,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다음으로, 제3필터링회로(M133)는 npn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 및,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저항(R116)을 포함한다.Next,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includes an npn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a resistor R116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M13)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전원 온 시, 즉 변환부(M14)를 통해 모터(M)에 공급전원을 공급할 때에는 제1전원공급회로(M131)가 동작하여 변환부(M14)로 중간전원을 전달하고, 전원 오프 시, 즉 변환부(M14)를 통해 모터(M)에 공급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제2전원공급회로(M132)가 동작하여 변환부(M14)로 중간전원을 전달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cond filter unit M13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M through the converting unit M14,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is operated when the power is off, that is,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M via the conversion unit M14 And transfers the intermediate power to the converter M14.

특히 제2필터부(M13)는 전원의 온/오프가 전환되는 순간에 의미를 갖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원의 온 되는 순간에는, 저장캐패시터(C105)가 완충되기 전까지 제3필터링회로(M133)가 구동되어버리면 중간전원에 노이즈가 유입되는데, 이 때 제1전원공급회로(M131)의 저장캐패시터(C105)에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2)와 바이어스 저항(R110)(R111)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7)에 의해 분배되는 바이어스 전압이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에미터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가 차단 상태를 유지하고,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가 동작하여 중간전원을 제3필터링회로(M133)로 전달하고, 제3필터링회로(M133)는 유입되는 또는 발생한 노이즈를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에미터 측 그라운드를 통해 소멸시킨 후 변환부(M14)로 공급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filter unit M13 has a meaning at the momen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 off.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third filter unit M13 is turned on until the storage capacitor C105 is fully charged. The bias rectifier diode R101 and the bias rectifier diode R101 and the bias resistor R111 and the bias resistor R1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torage capacitor C105 of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at this time, Since the bias voltage distributed by the capacitor C107 is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maintains the cut-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operates,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forwards the power to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and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destroys the inputted or generated noise through the emitter side ground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supplies it to the converting unit M14 .

또한 전원이 오프 되는 순간에는 저장캐패시터(C105)에 충전된 전압으로는 제2스위칭회로(M132)를 구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는 오프되고, 저장캐패시터(C105)가 방전되는 동안 제1스위칭회로(M131)가 구동되어 중간전원을 제3필터링회로(M133)로 전달하고, 제3필터링회로(M133)는 유입되는 또는 발생한 노이즈를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에미터 측 그라운드를 통해 소멸시킨 후 변환부(M14)로 공급한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is turned off and the storage capacitor C105 is turned off because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M132 can not be driven by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105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first switching circuit M131 is driven to transfer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and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supplies the input or generated noise to the emitter side ground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supplies it to the converting unit M14.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변환부(M14)는 스위칭회로(M141), 저장회로(M142), 비교회로(M143) 및 제어회로(M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어회로(M144)가 공급전원의 위상과 기준 전압이, 동위상인 경우 PWM 제어를 수행하고, 위상차가 있는 경우 PFM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converting section M14,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M141, a storing circuit M142, a comparing circuit M143 and a control circuit M144, (M144) performs PWM control when the phase of the supplied power and the reference voltage are in phase, and performs PFM control when there is a phase difference.

각 회로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스위칭회로(M141)는 중간전원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호 직렬로 연결된 PMOS 스위칭 트랜지스터(M1)와 NMOS 동기정류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circuit M141 switches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and includes a PMOS switching transistor M1 and an NMOS synchronous rectification transistor M2 connected in series.

다음, 저장회로(M142)는 스위칭회로(M141)의 중간전원 스위칭에 의해 공급전원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스위칭회로(M141)의 출력 측에 연결된 인덕터(L103)와 이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1)를 포함한다.Next, the storage circuit M142 serves to store the supply power by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switching of the switching circuit M141, and the inductor L103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witching circuit M141 and the capacitor L103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C111).

다음, 비교회로(M143)는 변환하고자 하는 기준 전압과 공급전원의 전압 및 위상을 비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간전원의 입력단에 연결된 반전 비교기(COM1),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OR게이트(OR1)와 저항(R117), 스위칭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OR게이트(OR1)의 사이에 연결된 딜레이소자(Delay)를 포함한다.The comparison circuit M143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to be converted with the voltage and phase of the power supply. The comparison circuit M143 includes an inverting comparator COM1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A resistor R117 connected to the OR gate OR1 and a delay element Delay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M1 and the OR gate OR1.

다음, 제어회로(M144)는 스위칭회로(M141)를 제어하여 공급전원이 기준 전압에 부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한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 OR게이트(OR1)의 출력단, 그리고 스위칭회로(M141)에 연결된 변조제어소자(MC)를 포함한다.Next, the control circuit M144 controls the switching circuit M141 to make the supply voltage match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circuit M144 controls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the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OR1, And a modulation control element MC connected to the circuit M141.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변환부(M14)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모터(M)의 동작을 위해서는 펄스형 전원(공급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펄스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WM 제어가 활용되는데, 모터(M)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전원 인가를 중단하거나 또는 낮은 전압을 갖는 또는 주기가 긴 전원(이하 저속용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경우 PWM 제어는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환부(M14)는 저속용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PFM 제어로 전환하여 전원 공급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onverter M14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Generally, a pulse-type power supply (power supply) must be suppli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PWM control is used to supply such a pulsed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motor M or when a low-voltage or long-period power supp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speed power supply) The control becomes ine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rter M14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ower supply efficiency by switching to the PFM control when the low-speed power supply is supplied.

이를 위해 변환부(M14)는 저장회로(M142)에 저장된 공급전원의 전압 및 위상과 기준 전압을 비교회로(M143)에서 비교하여 공급전원의 위상과 기준 전압이 동위상인 경우 제어회로(M144)가 PWM 제어를 수행하고, 위상차가 있는 경우(저속형 전원) 제어회로(M144)가 PFM 제어를 수행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converting unit M14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and phas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stored in the storage circuit M142 with the comparing circuit M143. When the phas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is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circuit M144 PWM control is performed, and when there is a phase difference (low speed type power supply), the control circuit M144 performs PFM control to maximize efficiency.

이어서 도 5를 참고하면, 상태감지모듈(M30)은 모터(M)의 회전자 위치를 측정하여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M31) 및, 모터(M)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검출부(M32)를 포함한다.5,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includes a rotation detection section M31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by measuring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M, And a temperature detector M3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검출부(M31)는 모터(M)의 회전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홀 소자(M311)를 포함하고, 온도검출부는 모터(M)의 운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M321)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detecting section M31 includes a hall element M311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M and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and the temperature detecting section detects the rotation of the motor M And a temperature sensor M32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이러한 상태감지모듈(M30)의 구성을 통해, 제어모듈(M20)은 모터(M)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터(M)의 회전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 회전검출부(M31)에서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모듈(M20)이 전원공급모듈(M10)에서 공급되는 공급전원의 펄스폭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모터(M)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모터(M)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온도검출부(M32)에서 모터(M)의 운전 온도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모듈(M20)이 전원공급모듈(M10)에서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긴급 차단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M2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M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state of the motor M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M is to be reduced,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is detected by the rotation detection section M31, and the control module M20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M10 So as to reduce the pulse width of the power supply.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M abnormally rises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motor 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M32 detect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motor M, And controls the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M10 to be urgently cut off.

특히 이러한 제어모듈(M20)은 긴급 상황을 대비하여 상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구동제어수단은 비상전원모듈(M40)을 통해 갑작스럽게 전원이 끊기는 등의 비상시에도 제어모듈(M20)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the control module M20 is preferably supplied with power at all times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For this purpose, the drive control means controls the control module M20 even in an emergency such as sudden power- ) Can be operated normally so that it can cope with the accident appropriately.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전원모듈(M40)은 제2필터부(M1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2필터부(M13)로부터 중간전원을 인가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비상 시(전원이 차단될 때)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비상전원모듈(M40)은 전압 변환용 저항(R401)(R402),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401)(C402)(C403)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40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filter M13 and receives and stores the intermediate power from the second filter M13. When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s in an emergency state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M40 includes a voltage converting resistors R401 and R402, charging capacitors C401 to C402 and C403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and a discharge Prevention diode D401.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비상전원모듈(M40)은 전압 변환용 저항(R401)(R402)을 통해 앞서 설명한 '노이즈가 제거된 중간전원'을 충전용 캐패시터(C401)(C402)(C403)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제어모듈(M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401)를 통해 캐패시터(C401)(C402)(C403)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tores the above-described 'noise-removed intermediate power supply' through the voltage conversion resistors R401 and R402 in the charging capacitors C401, C402 and C403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M20 even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s C401, C402 and C403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diode D401 at this tim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 본 시스템(감시 시스템)
S1: 제1감시장비 S2: 제2감시장비
1: 관측기 2: 마운트
3: 컨트롤보드
B: 본 장치(지능형 제어보드)
100: 제1제어모듈 200: 제2제어모듈
300: 정보전송수단
O: 이동 물체
S: This system (surveillance system)
S1: 1st monitoring equipment S2: 2nd monitoring equipment
1: Observer 2: Mount
3: Control board
B: This device (intelligent control board)
100: first control module 200: second control module
300: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O: Moving object

Claims (4)

각각, 이동 물체를 촬영하는 관측기, 상기 관측기가 결합되고 모터를 구비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하는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의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정보수집부를 구비한 컨트롤보드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감시장비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구비되는 지능형 제어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1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시장비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제어모듈;
상기 제2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감시장비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제어모듈; 및
상기 제1제어모듈의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2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지능형 제어보드.
And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bserver for photographing a moving object, a mount coupled to the observer and rotatab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included in a monitoring system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nitoring equipment including a control board,
A first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first monitoring device to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monitoring device;
A second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second monitoring device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nitoring devic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And an intelligent control 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모듈은 상기 제1제어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제2감시장비의 구동제어부가 상기 제2감시장비의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제어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trol module generates a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drive control unit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drives the motor of the second monitoring equipment by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 물체의 좌표 값과 상기 마운트의 회전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제어모듈은 상기 좌표 값 및 회전각도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제어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a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and a rotation angle of the mou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process the coordinate values and the rotation angle to generate the control comma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좌표 값은 경위도 좌표 값이고,
상기 제1 및 제2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물체의 좌표 값을 UTM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제어보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oving object is 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valu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further comprise a coordinat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oordinate values of the moving object into UTM coordinate values.
KR1020170069155A 2017-06-02 2017-06-02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KR101956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55A KR101956775B1 (en) 2017-06-02 2017-06-02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55A KR101956775B1 (en) 2017-06-02 2017-06-02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43A true KR20180132343A (en) 2018-12-12
KR101956775B1 KR101956775B1 (en) 2019-06-19

Family

ID=6467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55A KR101956775B1 (en) 2017-06-02 2017-06-02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7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826A (en) * 2007-07-27 2009-0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34575A (en) * 2007-10-04 2009-04-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90044791A (en) * 2007-11-01 2009-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1258031A (en) * 2010-06-09 2011-12-22 Dx Antenna Co Ltd Tracker for monitoring camera
US20150334311A1 (en) * 2014-05-15 2015-11-19 Panhandle Bugeaters, LLC Camera tra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826A (en) * 2007-07-27 2009-0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34575A (en) * 2007-10-04 2009-04-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90044791A (en) * 2007-11-01 2009-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1258031A (en) * 2010-06-09 2011-12-22 Dx Antenna Co Ltd Tracker for monitoring camera
US20150334311A1 (en) * 2014-05-15 2015-11-19 Panhandle Bugeaters, LLC Camera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775B1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0713A1 (en) Intelligent Shading Charging Systems
US10324471B2 (en) Autonomous traveling apparatus
US20060241814A1 (en) Cleaning robot having auto-return function to charging-stand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8011321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tor monitoring
US9666050B2 (en) Forest fire early-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frared thermal imaging technology
CN111845723A (en) Full-automatic parking method and system
CN107979741B (en) Security monitoring method, autonomous action device and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101956775B1 (en) Intelligent control board for monitoring system
CN104822020A (en) Automatic follow focus device based on video target tracking
CN104834312A (en) RFID-based farmland intelligent medicine spaying robot
KR101814513B1 (en) Monitoring system for a member of household
CN113110502A (en) Security patrol robot system applied to smart park
CN204859351U (en) It is automatic with burnt device based on video target following
KR20180002487A (en) Server for jointing ownership of sensor data of a device and its service method
Ahrary et al. A study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for a sewer inspection system
US20200076304A1 (en)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ic vehicle
JP2008301579A (en) Power converter for drive of freezing cycle compressor, and freezer using the same
KR101924000B1 (en) Smart telescope
Yim et al. Low-power image stitching management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UAVs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KR101870576B1 (en) Control system for street light
Sunehra et al.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mobile robot system with obstacle avoidance capability
CN114375676B (en) Self-moving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lf-moving working system
KR20150068824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02486A (en) System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for jointing ownership of sensor data of a module and method therefor
CN114275163B (en) Folding arm module, spray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