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28A -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28A
KR20180132328A KR1020170069113A KR20170069113A KR20180132328A KR 20180132328 A KR20180132328 A KR 20180132328A KR 1020170069113 A KR1020170069113 A KR 1020170069113A KR 20170069113 A KR20170069113 A KR 20170069113A KR 20180132328 A KR20180132328 A KR 2018013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rrent
power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이우상
이정구
김근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6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328A/ko
Publication of KR2018013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는,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최대전류 크기와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inner fault of multi-channel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배전계통에 연계된 가스절연 배전기기는 내부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아크열에 의한 팽창과 전기적/기계적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가스절연 배전기기의 외함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육안으로 외함이 변형된 가스절연 배전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배전계통에서의 가스절연 배전기기는 환경가스인 SF6 사용제한에 따라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로 교체되고 있다. 이러한 배전기기는 몰딩에 의해 내부고장에 따른 외함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관리자는 이러한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배전기기에 내부고장이 발생하면 변전소의 차단기 Lock-Out에 따라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이때 관리자는 전력공급 중단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로순시 등을 수행하고 별다른 고장 원인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 강송을 수행하여 고장복수를 시도할 수 있다. 내부고장이 발생한 배전기기에 대한 강송은 큰 고장전류로 인해 해당 배전기기의 폭발이나 타 배전기기에 대한 열화 가속화와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2480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관리자의 육안에 의존하지 않고도 다회로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할 수 있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는,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상기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는,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상기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내부고장 판단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차이전류 크기와 제1 기준전류 크기의 차이값에 기초한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차이전류 크기와 제2 기준전류 크기의 차이값에 기초한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는, 기준전류 크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가 상기 기준전류 크기보다 클 경우에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는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원격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육안에 의존하지 않고도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나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원격 관리자의 강송에 따른 해당 배전기기의 폭발이나 타 배전기기에 대한 열화 가속화와 같은 심각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의 위상에 대한 정보 없이 각 채널 전류의 크기를 통해서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을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고장 판단 장치(100)는 입력부(110), 처리부(120), 저장부(125),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전기기는 개폐기, 차단기 또는 변압기일 수 있다.
입력부(110)는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처리부(120)는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전기기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므로, 상기 최대전류는 유입되는 전류이다. 즉, 상기 처리부(120)는 각 채널 전류의 위상에 대한 정보 없이도 상기 최대전류를 식별함으로써 각 채널 전류의 유입/유출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120)는 각 채널 전류 중 상기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전류는 유출되는 복수의 전류 각각의 크기의 총 합이다.
배전기기에서의 총 유출 전류 크기 또는 총 유입 전류 크기는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부(120)는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고장 판단 장치(100)는 관리자의 육안에 의존하지 않고도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부(120)는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가 기준전류(IREF) 크기보다 클 경우에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25)는 상기 기준전류 크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전류 크기는 배전기기의 내부고장에 따라 발생하는 지락고장전류보다 작고 전류 감지 과정에서의 오차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락고장전류와 상기 오차는 배전기기의 종류, 사용이력, 사용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저장부(125)는 배전기기의 종류, 사용이력, 사용환경 등에 따라 다른 기준전류 크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130)는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내부고장 정보를 관리자가 읽을 수 있는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로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130)는 서로 다른 복수의 방식으로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원격 전송에서의 통신 실패나 오류의 발생이나 디스플레이 구성의 결함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류(I1)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에 유입되고, 제2 전류(I2),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4개의 센서(15a, 15b, 15c, 15d)는 각각은 제1 전류(I1), 제2 전류(I2),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 각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개의 센서(15a, 15b, 15c, 15d)는 계기용 변류기를 통해 전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샘플링 회로를 통해 샘플링 주기마다 전류를 샘플링하고, 소정의 주기동안 샘플링된 다수의 샘플링값들의 실효값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감지 과정에서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에 내부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1 전류(I1)의 크기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따라 제2 전류(I2)의 크기와 제3 전류(I3)의 크기와 제4 전류(I4)의 크기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류(I1)는 최대전류이다.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에 내부고장이 발생한 경우, 지락고장전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로 유입되지만 정상채널로 유출되지 않고 접지회로를 통해 대지로 바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지락고장전류가 상기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의하면, 제2 전류(I2)의 크기와 제3 전류(I3)의 크기와 제4 전류(I4)의 크기의 합은 제1 전류(I1)의 크기보다 유출된 지락고장전류만큼 작다.
따라서, 내부고장 판단 장치는 제2 전류(I2)의 크기와 제3 전류(I3)의 크기와 제4 전류(I4)의 크기의 합을 제1 전류(I1)의 크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은,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의 내부고장과 지중 배전기기(20)의 내부고장을 모두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활용하여 배전선로의 전류, 전압 등을 계측하는 기능과 배전계통 고장 발생시 배전기기의 원격 개방/투입을 통해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송전(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내부고장 판단 장치(100)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의 각 채널 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 크기의 정보와 지중 배전기기(20)의 각 채널 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전류의 정보들로부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10)의 내부고장 정보와 지중 배전기기(20)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내부고장 정보들을 DAS(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10)와,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1)와,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 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2)와, 최대전류 크기와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와, 차이전류 크기와 기준전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140)와, 차이전류 크기가 기준전류 크기보다 클 경우에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전기기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와 지중 배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진된 입력부(110), 처리부(120), 저장부(125) 및 출력부(130)는 아래와 같은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와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5)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
15: 제1 센서
20: 지중 배전기기
25: 제2 센서
30: DAS
100: 내부고장 판단 장치
110: 입력부
120: 처리부
125: 저장부
130: 출력부

Claims (6)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상기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제1항에 있어서,
기준전류 크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가 상기 기준전류 크기보다 클 경우에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 채널 전류 중 상기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내부고장 판단 장치; 를 포함하는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시스템.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와, 1개의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복수의 채널로 배전하는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별 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각 채널 전류 중 최대전류를 제외한 나머지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의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최대전류 크기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나머지전류 크기의 차이전류 크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차이전류 크기와 제1 기준전류 크기의 차이값에 기초한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차이전류 크기와 제2 기준전류 크기의 차이값에 기초한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절연 방식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와, 상기 지중 배전기기의 내부고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69113A 2017-06-02 2017-06-02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80132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13A KR20180132328A (ko) 2017-06-02 2017-06-02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13A KR20180132328A (ko) 2017-06-02 2017-06-02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28A true KR20180132328A (ko) 2018-12-12

Family

ID=6467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13A KR20180132328A (ko) 2017-06-02 2017-06-02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4689B (zh) 用于配电系统中的接地故障检测的方法和系统
WO2014027571A1 (ja) デジタル保護リレー、デジタル保護リレー試験装置、およびデジタル保護リレー試験方法
US8680872B2 (en) Identification of false positives in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EP29911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ault location using distributed communication
US9991079B2 (en)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al circuit
US20120182657A1 (en) Rate of change differential protection
CN108462144B (zh) 使用通信网络测试对电状况的响应的方法以及功率分配系统
US9819196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 fault detection in a distributed manner and method thereof
US20160020601A1 (en) Power bay pro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ortecting power bays
MX2014010385A (es) Hacer uso de redundancia inherente en un dispositivo electronico inteligente multifuncional.
US1118775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protection applia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tection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101904813B1 (ko) 스마트 분전반을 이용한 전기 설비 병렬아크 진단 장치 및 방법
US9728955B2 (en) Zone selective interlocking (ZSI) power distribution operating a ZSI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553451B1 (ko) 가스절연개폐기 시스템내 고장 판별 장치 및 가스절연개폐기 시스템내 고장 판별 방법
CN108462141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区域选择性联锁的方法
US10309851B2 (en) Rapid pressure rise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KR101532979B1 (ko) 변전 설비 보호 제어 시스템
KR20180132328A (ko)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611459B1 (ko)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 이상 판단방법
CN108462157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接地故障检测的方法
US10103537B2 (en) Ground fault detection and interrupt system
KR102026644B1 (ko) 상전류 편차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단선위치 검출 장치와 방법
KR20180121019A (ko)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326731B1 (ko)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KR20190056701A (ko) 변전소 고장유형에 따른 적응적 복구절차 제공 장치, 변전소 고장유형에 따른 적응적 고장복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