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019A -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019A
KR20180121019A KR1020170055154A KR20170055154A KR20180121019A KR 20180121019 A KR20180121019 A KR 20180121019A KR 1020170055154 A KR1020170055154 A KR 1020170055154A KR 20170055154 A KR20170055154 A KR 20170055154A KR 20180121019 A KR20180121019 A KR 2018012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relay
comparison
comparis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규
이수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5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019A/ko
Publication of KR2018012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2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는,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제1 전류를 측정하고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제2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보정부와,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비교부와,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urrent transformer for protecting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통에서의 변전은 변전소의 변압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변압기는 변류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계전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과정에서의 오류는 계전기의 오동작을 유발하며, 계전기의 오동작은 계통 단절 또는 정전을 유발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5175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변압기 계통보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변류기를 효율적으로 감시하여 계전기의 오동작 빈도를 줄이고 계통 단절 또는 정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는,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상기 제1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상기 제2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상기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보정부;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계전기와 상기 제2 계전기 중 하나는 전류차동 계전기(differential relay)이고 다른 하나는 교류과전류 계전기(AC over current rela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정부는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에 상기 제1 변류기의 결선방식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결선방식에 대응되는 제3 보정값을 더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는 상기 변압기 1차측에 대응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변압기 2차측 전류에 따라 제3 전류를 생성하여 제3계전기로 전달하는 제3 변류기의 상기 제3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2차측 전류에 따라 제4 전류를 생성하여 제4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4 변류기의 상기 제4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3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3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2 보정값을 상기 제3 전류에 적용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2 보정값이 적용된 제3 전류와 상기 제4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2 비교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는 비교값과 제2 비교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3 비교값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비교값, 제2 비교값 및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은,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상기 제1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상기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상기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단계;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은, 변압기 계통보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변류기를 효율적으로 감시하여 계전기의 오동작 빈도를 줄이고 계통 단절 또는 정전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변전소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변전소의 변압기, 계전기, 변류기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100)는, 측정부(110), 보정부(120), 비교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TR) 1차측(P)에는 제1, 제2 변류기(CT1, CT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변류기(CT1)는 1차측(P)의 전류와 소정의 변류비의 곱에 대응되는 제1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1 전류를 제1 계전기(87P)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변류기(CT2)는 1차측(P)의 전류와 소정의 변류비의 곱에 대응되는 제2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전류를 제2 계전기(51P)로 전달할 수 있다.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TR) 2차측(S)에는 제3, 제4 변류기(CT3, CT4)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변류기(CT3)는 2차측(S)의 전류와 소정의 변류비의 곱에 대응되는 제3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3 전류를 제3 계전기(87S)로 전달할 수 있다. 제4 변류기(CT4)는 2차측(S)의 전류와 소정의 변류비의 곱에 대응되는 제4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4 전류를 제4 계전기(51S)로 전달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제1, 제2, 제3, 제4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110)는 제1, 제2, 제3, 제4 전류를 검출한 제1, 제2, 제3, 제4 전류검출부(101, 102, 103, 104)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계전기(87P)의 종류와 제2 계전기(51P)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 제1 변류기(CT1)의 변류비와 제2 변류기(CT2)의 변류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3 계전기(87S)의 종류와 제4 계전기(51S)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 제3 변류기(CT3)의 변류비와 제4 변류기(CT4)의 변류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120)는 제1 변류기(CT1)의 변류비 또는 제2 변류기(CT2)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1 보정값을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3 변류기(CT3)의 변류비 또는 제4 변류기(CT4)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2 보정값을 제3 전류 또는 제4 전류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제2 보정값은 제1, 제2, 제3, 제4 전류의 계수(coefficient)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정부(120)는 제1 변류기(CT1)의 결선방식 또는 제2 변류기(CT2)의 결선방식에 대응되는 제3 보정값을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에 적용하고 제3 전류 또는 제4 전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류기(CT1)가 Y 결선방식에 따라 1차측(P)에 결선되고 제2 변류기(CT2)가 △ 결선방식에 따라 1차측(P)에 결선될 경우, 상기 제3 보정값은 3의 제곱근이거나 1/3의 제곱근일 수 있다.
비교부(130)는 제1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1 비교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보정값이 적용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2 비교값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제1 비교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비교부(130)는 제1 변류기(CT1)와 제2 변류기(CT2)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2 비교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비교부(130)는 제3 변류기(CT3)와 제4 변류기(CT4)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부(130)는 복수의 변류기에 대한 상태를 함께 진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변류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계전기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비교부(130)는 제1 비교값과 제2 비교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3 비교값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제3 비교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비교부(130)는 제1, 제2, 제3, 제4 변류기(CT1, CT2, CT3, CT4)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부(130)는 다수의 변류기에 대한 상태를 함께 진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변류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계전기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1, 제2,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140)는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로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변압기 계통보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변류기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는 변전소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변전소의 변압기, 계전기, 변류기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압기(TR) 1차측(P)의 3상 선로는 제1, 제2 변류기(CT1, CT2)와 제1 차단기(52P)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변압기(TR) 2차측(S)의 3상 선로는 제3, 제4 변류기(CT3, CT4)와 제2 차단기(52S)와 자동전압조정기(AVR)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4 변류기(CT1, CT4)는 각각 3상의 제1, 제4 전류를 전류차동계전기(87)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변류기(CT2)는 3상의 제2 전류를 제1 교류과전류 계전기(51P)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3 변류기(CT3)는 3상의 제3 전류를 제2 교류과전류 계전기(51S)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3상의 제1, 제2, 제3, 제4 전류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전류검출부(101, 102, 103, 104)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4 변류기(CT4)의 2차측(S)에 대한 결선방식은 제3 변류기(CT3)의 2차측(S)에 대한 결선방식에 대한 결선방식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3 전류 또는 제4 전류에는 결선방식에 기초한 제3 보정값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100a)는, 제1 측정부(111), 제2 측정부(112), 변류비 보정부(121), 결선 보정부(122), 메모리(125), 측정값 비교부(131), 기준 범위 비교부(132), 디스플레이부(141), 통신부(142), 입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부(111)는 제1 및 제2 변류기(CT1, CT2)의 제1 및 제2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측정부(112)는 제3 및 제4 변류기(CT3, CT4)의 제3 및 제4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변류비 보정부(121)는 제1 변류기(CT1)의 변류비 또는 제2 변류기(CT2)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1 보정값을 제1 전류에 적용하고 제3 변류기(CT3)의 변류비 또는 제4 변류기(CT4)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2 보정값을 제3 전류에 적용할 수 있다.
결선 보정부(122)는 변압기의 결선방식에 대응되는 제3 보정값을 제1 비교값 또는 제2 비교값에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125)는 제1, 제2, 제3 보정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준 범위 및 기준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25)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정값 비교부(131)는 제1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여 제1 비교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제2 보정값이 적용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를 비교하여 제2 비교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제3 보정값이 적용된 제1 비교값과 제2 비교값을 비교하여 제3 비교값을 계산할 수 있다.
기준 범위 비교부(132)는 제1, 제2, 제3 비교값 각각을 기준 범위와 주기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제1, 제2,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에 경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류비 보정부(121), 결선 보정부(122), 측정값 비교부(131), 기준 범위 비교부(132)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제2,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경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2)는 제1, 제2,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를 SCADA로 원격 전송하거나 경보 정보를 로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2)는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43)는 메모리(125)에 저장되는 제1, 제2, 제3 보정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3)에 정보가 입력될 경우, 메모리(125)의 저장 정보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43)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100a)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은,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제1 전류를 측정하고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110)와,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단계(S120)와,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S130)와,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AVR: 자동전압조정기
CT1, CT2, CT3, CT4: 제1, 제2, 제3, 제4 변류기
P: 1차측 선로
S: 2차측 선로
TR: 변압기
51P, 51S: 제1, 제2 교류과전류 계전기
52P, 52S: 제1, 제2 차단기
87P, 87S: 제1, 제2 전류차동계전기
100, 100a: 변류기 감시 장치
101, 102, 103, 104: 제1, 제2, 제3, 제4 전류검출부
110: 측정부
111, 112: 제1, 제2 측정부
120: 보정부
121: 변류비 보정부
122: 결선 보정부
125: 메모리
130: 비교부
131: 측정값 비교부
132: 기준 범위 비교부
140: 출력부
141: 디스플레이부
142: 통신부
143: 입력부

Claims (7)

  1.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상기 제1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상기 제2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상기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보정부;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전기와 상기 제2 계전기 중 하나는 전류차동 계전기(differential relay)이고 다른 하나는 교류과전류 계전기(AC over current relay)인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에 상기 제1 변류기의 결선방식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결선방식에 대응되는 제3 보정값을 더 적용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는 상기 변압기 1차측에 대응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변압기 2차측 전류에 따라 제3 전류를 생성하여 제3계전기로 전달하는 제3 변류기의 상기 제3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2차측 전류에 따라 제4 전류를 생성하여 제4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4 변류기의 상기 제4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3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3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제2 보정값을 상기 제3 전류에 적용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2 보정값이 적용된 제3 전류와 상기 제4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2 비교값을 생성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비교값과 제2 비교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3 비교값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비교값, 제2 비교값 및 제3 비교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7. 계통에 연계된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1 전류를 생성하여 제1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1 변류기의 상기 제1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변압기 1차측 또는 2차측 전류에 따라 제2 전류를 생성하여 제2 계전기로 전달하는 제2 변류기의 상기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변류기의 변류비 또는 상기 제2 변류기의 변류비에 기초한 보정값을 상기 제1 전류에 적용하는 단계;
    보정값이 적용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방법.
KR1020170055154A 2017-04-28 2017-04-28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121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54A KR20180121019A (ko) 2017-04-28 2017-04-28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54A KR20180121019A (ko) 2017-04-28 2017-04-28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19A true KR20180121019A (ko) 2018-11-07

Family

ID=6436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154A KR20180121019A (ko) 2017-04-28 2017-04-28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4414A (zh) * 2020-09-09 2020-12-04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电表核心板自适应采样方法、系统及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4414A (zh) * 2020-09-09 2020-12-04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电表核心板自适应采样方法、系统及设备
CN112034414B (zh) * 2020-09-09 2022-08-30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电表核心板自适应采样方法、系统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079B2 (en)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al circuit
US95943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ordinating protection device of smart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WO2018229857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
US10859612B2 (en) Method and testing device for testing wiring of transformers
US20160020601A1 (en) Power bay pro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ortecting power bays
US20210325462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responses to electrical condi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9435835B2 (en) Valid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monitoring systems
CN109494689B (zh) 用于配电系统中的接地故障检测的方法和系统
MX2014010385A (es) Hacer uso de redundancia inherente en un dispositivo electronico inteligente multifuncional.
US10673226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N113169558A (zh) 用于嵌套式微电网的分散式错误数据减轻
Maiola et al. A multi-agent system for protection coordination of radial systems in the presence of distributed generation
KR20200071471A (ko) 메인 변압기의 oltc 보호장치
JP2010161865A (ja) 配電系統の地絡保護システム、配電系統の地絡保護方法、プログラム
CN108462141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区域选择性联锁的方法
KR20180121019A (ko) 변압기 계통보호를 위한 변류기 감시 장치 및 방법
US10916930B2 (en) Electrical power systems
US10797479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ground fault detec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4897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4703A (ko) 이중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력 관리 보호 장치
KR20180132328A (ko) 다회로 배전기기 내부고장 판단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489613B1 (ko) N-접지전압과 n-접지저항 측정기능을 갖는 원격 감전예방 시스템
KR102423868B1 (ko) 스마트 수배전반
JP6833537B2 (ja) 保護継電装置
US20230327424A1 (en)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anomaly detection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