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239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239A
KR20180132239A KR1020170068848A KR20170068848A KR20180132239A KR 20180132239 A KR20180132239 A KR 20180132239A KR 1020170068848 A KR1020170068848 A KR 1020170068848A KR 20170068848 A KR20170068848 A KR 20170068848A KR 20180132239 A KR20180132239 A KR 2018013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pace
housing
flow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129B1 (ko
Inventor
용석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to KR102017006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2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6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slots arranged in cylinder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 연결된 피스톤공간과 배치공간을 가지며 단면적이 변화하는 하우징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 및 상기 피스톤공간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와 접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공간은 상기 피스톤 일측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 및 상기 피스톤 타측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피스톤공간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동공간과 상기 제2 유동공간은 상기 하우징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완충기는 내부에 점성을 갖는 작동유체가 수용되어 작동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충격 완화 후 탄성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작동로드와 연결된 피스톤이 원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이후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기(1)는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작동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2), 하우징(2)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피스톤(3) 및 피스톤(3)과 연결되어 하우징(2)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4), 하우징(2)에 위치하고 작동로드(4)가 하우징(2) 외부로 인출되도록 피스톤(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를 포함한다. 충격이 가해진 작동로드(4)는 하우징(2)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3)이 작동유체에 압력을 받아 작동로드(4)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한편, 하우징(2)은 피스톤(3)이 내부에 배치된 내측튜브(21) 및 내측튜브(21)를 감싸는 외측튜브(22)를 포함한다. 내측튜브(21)와 외측튜브(22) 사이에는 하우징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 일측면과 연결된 제1 피스톤공간(31)은 내측튜브(21)에 형성된 복수의 오리피스 홀(21a)을 통해 하우징 유로(23)와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3) 타측면과 연결된 제2 피스톤공간(32)은 내측튜브(21)에 형성된 리턴 홀(21b)을 통해 하우징 유로(23)와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3)이 내측튜브(21) 타측에 위치하고 작동로드(4)가 하우징(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작동로드(4)에 충격이 가해지면 작동로드(4)와 피스톤(3)은 내측튜브(21)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 피스톤공간(31)에 수용된 작동유체는 피스톤(3)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오리피스 홀(21a)을 통해 하우징 유로(23)로 유입된 후 리턴 홀(21b)을 통해 제2 피스톤공간(32)으로 유입된다. 오리피스 홀(21a)들의 간격 및 지름에 따라 작동유체의 유량이 제어되고, 오리피스 홀(21a)을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유량에 따라 완충력이 제어된다.
하우징(2)이 내측튜브(21)와 외측튜브(22)를 포함하므로 완충기(1)의 외부 둘레 지름이 커지게 되었으며, 외측튜브(22) 내부에 내측튜브(21)가 배치되면서 완충 용량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피스톤(3)의 외부 둘레 지름이 내측튜브(21)의 내부 둘레 지름에 맞춰야 하므로 피스톤(3)의 단면적이 제한적이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877613호 (2008.12.3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10305호 (2003.03.31.)
본 발명은 완충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유로의 단면적 변화로 작동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고 피스톤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는 연결된 피스톤공간과 배치공간을 가지며 단면적이 변화하는 하우징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 및 상기 피스톤공간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와 접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공간은 상기 피스톤 일측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 및 상기 피스톤 타측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피스톤공간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동공간과 상기 제2 유동공간은 상기 하우징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유로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단면적이 변하지 않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어 있고 단면적이 변화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유로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피스톤의 길이는 상기 제2 유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완충기는 제1 유동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스톤 일측 사이에 배치된 탄성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은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 가이드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배치공간을 관통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에는 상기 피스톤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피스톤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외부 둘레와 상기 관통홀의 둘레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단턱이 상기 피스톤에서 떨어지면 작동유체는 상기 틈새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의 일측면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과 피스톤의 타측면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이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 유로를 통해 연결되므로 종래의 내측튜브를 생략할 수 있다. 내측튜브 생략으로 하우징의 외부 둘레 지름을 축소할 수 있으며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의 외부 둘레에 유로를 형성할 경우 제1 유동공간에서 제2 유동공간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량을 고려하여 피스톤이 기설정된 길이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 유동공간의 작동유체가 제2 유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유로가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므로 피스톤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피스톤 길이 최소화로 피스톤과 하우징의 동심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의 길이를 최소화하므로 피스톤과 하우징의 내부 둘레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스톤이 이동할 때 하우징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스톤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가 피스톤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면 피스톤 외부 둘레를 선반으로 가공 후 밀링머신으로 옮겨 유로를 형성해야 하나, 유로를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 형성하므로 밀링머신으로 하우징 내부 둘레(배치공간, 피스톤공간) 가공 후 내부 둘레에 유로를 바로 가공할 수 있어 유로를 피스톤에 형성하는 것보다 가공이 쉬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을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작동로드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도 6의 작동로드에 충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종래의 완충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100)는 하우징(110), 작동로드(120) 및 피스톤(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기(100)는 하우징(110)의 나사를 이용하여 설치 대상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는 관통되어 서로 연결된 주입홀(111), 피스톤공간(112) 및 배치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홀(111)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주입홀(111)을 통해 피스톤공간(112)으로 작동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주입홀(111)에는 작동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캡(111a)이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공간(112)은 주입홀(111)과 배치공간(11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공간(112)의 지름은 배치공간(113)의 지름보다 작다. 이에 피스톤공간(112)과 배치공간(113) 사이에는 작동로드 커버 단턱(113a)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공간(112)의 둘레에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 유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을 원주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 상태에서 하우징 유로(114)를 보면 하우징 유로(114)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공간(112)과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 유로(114)는 피스톤공간(112) 타측 둘레에 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배치공간(113)과 근접한 제1 유로(114a) 및 제1 유로(114a)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2 유로(114b)를 포함한다.
제1 유로(114a)는 단면적 변화가 없으며, 제2 유로(114b)는 제1 유로(114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줄어든다. 제2 유로(114b)의 길이는 제1 유로(114a)의 길이보다 길다.
한편, 주입홀(111)과 피스톤공간(112) 사이에는 피스톤공간(112)의 지름보다 작은 고정공간(115)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공간(113)에는 일측이 작동로드 커버 단턱(113a)에 접한 작동로드 커버(160), 작동로드실(170), 와셔(180), 범퍼 스토퍼(190) 등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로드 커버(160)와 작동로드실(170)은 중첩되어 있고, 작동로드 커버(160)의 일측면은 피스톤공간(112)과 연결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홈(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홈(161)은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공간(112)의 유체는 절개홈(161)을 통해 작동로드 커버(160)의 어큐뮬레이터(162)로 유입될 수 있다.
범퍼 스토퍼(190)는 배치공간(113)의 끝에 위치하여 배치공간(113) 둘레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배치공간(113)의 둘레와 작동로드 커버(160) 및 범퍼 스토퍼(190)의 외부 둘레와 배치공간(113) 내부 둘레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밀부재(170a)가 결합되어 있다.
작동로드(120)는 일측이 범퍼 스토퍼(190), 와셔(180), 작동로드실(170), 작동로드 커버(160)를 관통하여 피스톤공간(112)에 위치하며 타측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충격이 가해진 작동로드(120)는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로드(120)는 범퍼 스토퍼(190), 와셔(180), 작동로드실(170), 작동로드 커버(160)와 중첩되는 제1 부분(121) 및 제1 부분(121)과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공간(112)에 위치한 제2 부분(12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1)과 범퍼 스토퍼(190)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기밀부재(170b)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121)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부분(122)은 지름을 달리하여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부분(122)의 지름이 제1 부분(121)의 지름보다 작아 제2 부분(122)과 제1 부분(121) 사이에는 지름 차이로 피스톤 단턱(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분(122)의 기설정된 부분에는 가이드 단턱(124)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부분(122)의 끝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30)은 피스톤공간(112)에 배치되어 외부 둘레가 피스톤공간(112) 둘레와 접해 있다. 피스톤(130)을 기준으로 피스톤공간(112)은 피스톤(130) 일측면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112a), 피스톤(130)의 타측면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112b)으로 구획된다. 피스톤(130)은 작동로드(120)가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할 때 제2 유동공간(112b)에서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유동공간(112b)에 피스톤(130)이 위치할 때 피스톤(130)의 타측면은 작동로드 커버(160)의 일측면과 접할 수 있다. 작동로드(120)가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할 때 피스톤 단턱(123)은 피스톤(130) 타측면과 접할 수 있다.
피스톤(130)은 제1 유로(114a)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피스톤(130)의 길이는 제2 부분(122)의 길이보다 짧다.
피스톤(130)의 내부에는 제2 부분(122)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31)의 지름은 제2 부분(122)의 지금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통홀(131)의 둘레와 제2 부분(122) 둘레 사이에 틈새(131g)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단턱(124)은 피스톤의 관통홀(131)에 위치하며, 관통홀(131)은 지름이 다른 제1 홀(131a) 및 제2 홀(131b)을 포함한다. 제1 홀(131a)은 제2 유동공간(112b)과 연결되어 있고 제2 홀(131b)은 제1 유동공간(112a)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유동공간(112b)의 작동유체는 제1 홀(131a)을 통해 제2 홀(131b)로 유입될 수 있다. 피스톤(130)의 타측면이 피스톤 단턱(123)과 접할 때 제1 홀(131a)과 제2 유동공간(112b)의 연결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100)는 탄성 가이드(140) 및 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140)는 피스톤공간(112)에 배치되어 피스톤(130)의 일측면과 접한다. 탄성 가이드(140)는 제2 부분(122)이 내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몸체(141), 가이드 몸체(141) 일측에 형성되어 걸림홈(125)에 삽입된 고정편(142) 및 가이드 몸체(141) 타측에 형성되어 피스톤(130) 일측면과 접하는 플랜지(143)를 포함한다.
걸림홈(125)에 삽입 고정된 고정편(142)에 의해 작동로드(120)가 움직일 때 탄성 가이드(140)는 작동로드(1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작동로드(120)와 고정편(142)의 결합으로 피스톤(130)의 타측면이 피스톤 단턱(123)과 접할 때 탄성 피스톤(130)의 일측면은 탄성 가이드(140)와 떨어질 수 있다.
피스톤(130)의 일측면과 접하는 탄성 가이드(140)에는 중앙에서 플랜지(143) 방향으로 유로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홀(145)은 탄성 가이드(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유로홀(145)은 제2 홀(131b)과 제1 유동공간(112a)을 연결한다. 이에 제2 홀(131b)의 작동유체는 유로홀(145)을 통해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유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이 고정공간(115)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은 가이드 몸체(141) 외부 둘레를 감싸면서 플랜지(143)와 접한다. 탄성부재(150)는 탄성 가이드(140)가 피스톤(130)의 일측면과 가이드 단턱(124)에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30)의 타측면은 작동로드 커버(160)와 접하고 작동로드(120)의 타측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작동로드(120) 때문에 피스톤(130)이 제2 유동공간(112b)에서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150)는 압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완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여 작동로드(120)가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가이드(140)는 피스톤(130)과 가이드 단턱(124)과 접해 있고 피스톤(130)은 작동로드 커버(160)와 접해 있으며 작동로드(120)의 타측 일부분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유동공간(112a)은 유로홀(145)을 통해 제2 홀(131b)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스톤 단턱(123)은 피스톤(130)의 타측면과 떨어져 있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충격이 가해진 작동로드(120)는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하며, 작동로드(120) 이동 시 가이드 단턱(124)이 탄성 가이드(140)를 가압하게 되어 탄성 가이드(140)는 피스톤(130)과 떨어지고 피스톤 단턱(123)은 피스톤(130)의 타측면과 접하면서 제1 홀(131a)은 폐쇄한다. 이때 피스톤(130)의 일측면은 제1 유동공간(112a)에 저장된 작동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유동공간(112a)의 작동유체는 탄성 가이드(140)와 피스톤(130) 사이를 통해 관통홀(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피스톤 단턱(123)이 제1 홀(131a)을 폐쇄하고 있어 관통홀(131)의 작동유체는 제2 유동공간(112b)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피스톤(130)의 이동으로 탄성부재(150)는 압축된다.
피스톤(130)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제1 유동공간(112a)의 작동유체는 하우징 유로(114)를 통해 피스톤(130)과 작동로드 커버(160) 사이 즉, 제2 유동공간(112b)으로 이동한다. 이때 작동유체의 이동 유량에 비례하여 피스톤(130)은 피스톤공간(112) 일측으로 이동하고 작동로드(120)는 하우징(110) 내부로 점진적으로 유입되면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도 6의 c)을 참고하면, 하우징 유로(114)의 제2 유로(114b)의 단면적이 제1 유로(114a)에서 멀어질수록 협소해지므로 피스톤(130)이 제1 유로(114a)를 벗어나 제2 유로(114b)와 중첩될수록 작동유체의 유량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피스톤(130)이 제1 유로(114a)를 벗어나 제2 유로(114b)와 중첩될수록 이동 속도는 줄어든다. 따라서 작동로드(120) 또한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할수록 큰 압력을 받으면서 속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아울러 제2 유동공간(112b)으로 유입된 작동유체 중 일 부부는 절개홈(161)을 통해 작동로드 커버(16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d)를 참고하면, 피스톤(130)의 이동으로 탄성부재(150)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작동로드(120)에 가해지는 충격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50)는 팽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작동로드(120)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탄성부재(150)가 작동로드(120)에 가해진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면 피스톤(130)이 제2 유로(114b)를 벗어나 탄성부재(150)는 압축되어 있고 탄성 가이드(140)와 피스톤(130)은 떨어져 있고 피스톤 단턱(123)은 피스톤(130)과 접해있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작동로드(120)에 가해지는 충격이 해제되면 압축된 탄성부재(150)는 팽창하고 탄성 가이드(140)는 피스톤(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스톤(130)과 접한다. 이때 피스톤(130)의 타측면은 제2 유동공간(112b)의 작동유체에 의해 압력을 받는 동시에 탄성 가이드(140) 이동으로 작동로드(120) 또한 이동하게 되어 피스톤 단턱(123)은 피스톤(130)과 떨어진 상태가 되어 제1 홀(131a)은 제2 유동공간(112b)과 연결된 상태가 된다. 피스톤(130)의 타측면은 제2 유동공간(112b)의 작동유체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게 된다.
도 7의 c)를 참고하면, 피스톤(130)에 의해 압력을 받은 제2 유동공간(112b)의 작동유체는 틈새(131g) 및 유로홀(145)을 따라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공간(112b)의 작동유체는 제1 유로(114a) 및 제2 유로(114b)를 통해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유동공간(112b)에서 제1 유동공간(112a)으로 이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량에 비례하여 피스톤(130)이 작동로드 커버(160) 방향으로 이동하고 작동로드(120)는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피스톤(130)이 작동로드 커버(160)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피스톤(130)과 중첩되는 제2 유로(114b)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작동유체의 유량이 증가한다. 이에 피스톤(130)의 이동과 작동로드(120)의 인출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작동로드(120)는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고하면, 피스톤(130)이 작동로드 커버(160)와 접하면 작동로드(120)는 하우징(110) 외부로 더 노출되지 않으며 탄성부재(150)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130)의 일측면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112a)과 피스톤(130)의 타측면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112b)이 하우징(110)의 내부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 유로(114)를 통해 연결되므로 종래의 내측튜브를 생략할 수 있다. 내측튜브 생략으로 하우징(110)의 외부 둘레 지름을 축소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30)의 외부 둘레에 유로를 형성할 경우 제1 유동공간(112a)에서 제2 유동공간(112b)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량을 고려하여 피스톤(130)이 기설정된 길이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 유동공간(112a)의 작동유체가 제2 유동공간(112b)으로 이동하는 유로가 하우징(110)의 내부 둘레에 형성하므로 피스톤(13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피스톤(13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피스톤(130)과 하우징(110)의 동심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피스톤(130)의 길이를 최소화하므로 피스톤(130)과 하우징(110)의 내부 둘레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스톤(130)이 이동할 때 하우징(1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스톤(130)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로가 피스톤(130)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면 피스톤(130) 외경을 선반으로 가공 후 밀링머신으로 옮겨 유로를 형성해야 하나, 유로가 하우징(11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므로 밀링머신으로 하우징(110) 내경(배치공간, 피스톤공간) 가공 후 내경에 바로 유로를 가공할 수 있어 유로를 피스톤에 형성하는 것보다 가공이 쉬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완충기 110: 하우징
111: 주입홀 111a: 캡
112: 피스톤공간 112a: 제1 유동공간
112b: 제2 유동공간 113: 배치공간
113a: 작동로드 커버 단턱 114: 하우징 유로
114a: 제1 유로 114b: 제2 유로
115: 고정공간 120: 작동로드
121: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23: 피스톤 단턱 124: 가이드 단턱
125: 걸림홈 130: 피스톤
131: 관통홀 131a: 제1 홀
131b: 제2 홀 131g: 틈새
140: 탄성 가이드 141: 가이드 몸체
142: 고정편 143: 플랜지
145: 유로홀 150: 탄성부재
160: 작동로드 커버 161: 절개홈
162: 어큐뮬레이터 170: 작동로드실
170a, 170b: 기밀부재 180: 와셔
190: 범퍼 스토퍼

Claims (7)

  1. 연결된 피스톤공간과 배치공간을 가지며 단면적이 변화하는 하우징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 및
    상기 피스톤공간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와 접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공간은 상기 피스톤 일측과 연결된 제1 유동공간 및 상기 피스톤 타측과 연결된 제2 유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피스톤공간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동공간과 상기 제2 유동공간은 상기 하우징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완충기.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 유로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단면적이 변하지 않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어 있고 단면적이 변화하는 제2 유로
    를 포함하는
    완충기.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유로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완충기.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유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피스톤의 길이는 상기 제2 유로의 길이보다 짧은 완충기.
  5. 제2항에서,
    제1 유동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스톤 일측 사이에 배치된 탄성 가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은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는
    완충기.
  6. 제5항에서,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 가이드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
  7. 제1항에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배치공간을 관통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에는 상기 피스톤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피스톤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외부 둘레와 상기 관통홀의 둘레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단턱이 상기 피스톤에서 떨어지면 작동유체는 상기 틈새를 유동할 수 있는
    완충기.
KR1020170068848A 2017-06-02 2017-06-02 완충기 KR10199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48A KR101992129B1 (ko) 2017-06-02 2017-06-02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48A KR101992129B1 (ko) 2017-06-02 2017-06-02 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39A true KR20180132239A (ko) 2018-12-12
KR101992129B1 KR101992129B1 (ko) 2019-06-25

Family

ID=6466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48A KR101992129B1 (ko) 2017-06-02 2017-06-02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05Y1 (ko) 2003-01-24 2003-04-21 용석필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완충기
KR100853510B1 (ko) * 2007-04-30 2008-08-21 용석필 완충기
KR100877613B1 (ko) 2007-07-31 2009-01-14 용석필 완충기
KR101354112B1 (ko) * 2012-08-10 2014-01-24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KR20140116048A (ko) * 2014-09-05 2014-10-01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KR20150015001A (ko) * 2012-06-21 2015-02-0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쌍방향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05Y1 (ko) 2003-01-24 2003-04-21 용석필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완충기
KR100853510B1 (ko) * 2007-04-30 2008-08-21 용석필 완충기
KR100877613B1 (ko) 2007-07-31 2009-01-14 용석필 완충기
KR20150015001A (ko) * 2012-06-21 2015-02-0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쌍방향 완충 장치
KR101354112B1 (ko) * 2012-08-10 2014-01-24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KR20140116048A (ko) * 2014-09-05 2014-10-01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129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874B1 (ko) 실린더 장치
KR200487180Y1 (ko) 유체압 실린더
US20150362083A1 (en) Hard swap shuttle valve
KR101889342B1 (ko) 유체압 실린더
JP2006038224A (ja) 端部位置で減衰緩衝作用を行うガスばね装置
EP3480401A1 (en) Furniture part and damping device thereof
US9796234B2 (en) Shock absorber
KR20180040697A (ko) 댐퍼에서의 개선사항들
KR20180071261A (ko) 유체 제어 밸브
JP2010101336A (ja) スプール弁
CN110050129B (zh) 杆组装体及流体压力装置
KR101992129B1 (ko) 완충기
KR100502470B1 (ko) 완충기
CN109642684B (zh) 阻尼阀和汽缸装置
US10006474B2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WO2013140934A1 (ja) 流体圧シリンダ
JP2007205494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354112B1 (ko) 완충기
KR20020006645A (ko) 유압 실린더 완충 장치
EP2721307A1 (en) Device for damping of a piston inside a cylinder housing
US20180274565A1 (en) Fluid pressure cylinder
JP6534803B2 (ja) 流体制御弁
KR20210021492A (ko) 유체압 기기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
JP6761735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5730058B2 (ja) 流体圧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