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819A -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819A
KR20180131819A KR1020170068407A KR20170068407A KR20180131819A KR 20180131819 A KR20180131819 A KR 20180131819A KR 1020170068407 A KR1020170068407 A KR 1020170068407A KR 20170068407 A KR20170068407 A KR 20170068407A KR 20180131819 A KR20180131819 A KR 2018013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rogram
mode
client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817B1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102017006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 과정, 그리고 이후 디바이스에 업 로딩하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있어서의 과정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대상인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디바이스 상에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무선환경 상에서 손쉽게 등록 및 변경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선환경 상에서 변경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이 적용된 디바이스를 동작 제어하여 변경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테스트 할 수 있어서 보다 빠르게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근래 개발되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더 효과적으로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완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PROGRAM DEVELOPMENT OF DEVICE}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 과정, 그리고 이후 디바이스에 업 로딩하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있어서의 과정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무선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대상인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디바이스 상에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한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비행기, 인공위성, 로봇(robot) 등은 기계 장치이지만 이를 제어하는 것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모듈(module)들의 집합체인 소프트웨어이기도 하다. 오히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의 기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부분은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처리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해지고,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따라 디바이스 동작의 효율성이 결정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볼 때 디바이스의 개발에 있어서 프로그램 개발은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들은 정해진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설계됨으로써, 먼저 이러한 프로그램 언어의 지식이 있어야 그 설계가 가능하며, 또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전문적인 기술을 갖고 있어야 올바른 프로그램의 설계가 가능하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 직관적이지 않고 고도로 숙련된 프로그래머가 아니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술어 논리(predicate logic)에 기초한 논리 언어(logic language)를 한치의 오류나 버그(bug) 없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화 하는 것은 고도로 숙련된 프로그래머에게도 쉽지 않은 일일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본 출원인은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 편집 방법과 함께 이미지 기반의 직관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박스 기반 코드 변환 장치 및 방법" 을 제안한 바 있다.
근래에는 특정 운영체재에서 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 Software Development Kit)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SDK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사용하여 특정한 소프트웨어 꾸러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하드웨어 플랫폼, 컴퓨터 시스템, 게임기, 운영 체제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개발 도구의 집합으로,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운영체제 및 플랫폼 등을 지원하는 SDK를 이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단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디버깅, 코딩)하고 디바이스에 반영할 컴파일러로 변환 후, 디바이스에 업 로드하여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반영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후 디바이스에 업 로드하여 변경된 코딩된 프로그램을 반영한 후, 디바이스를 동작시켜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작업된 프로그램의 변경된 코드를 무선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디바이스의 프로그래밍 과정이 가능하도록 한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무선네트워크 접속 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수단,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수단을 포함하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은 상기 서버수단에서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설계 및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밍 제작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서버수단은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관리 및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의 접속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관리하는 프로그램제어수단, 프로그래밍대상인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은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 중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래밍 제작수단은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수단과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를 위한 무선네트워크 접속프로세스, 서버수단의 제어정보 설정 및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프로세스,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동작제어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수단, 동작 상태를 초기화화기 위한 리플래시(reflash) 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수단은 상기 와이파이(WIFI)를 무선 네트워크로 제공하며 와이파이(WIFI)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스테이션 모드(STA mode)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이 접속되는 허브모드(AP mode)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수단의 접속제어정보는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의 무선네트워크 정보와,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 주소, MAC주소를 포함하는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정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것을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에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팅이 이루어지면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를 설정하고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과정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서버 동작이 시작되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요청이 있는 가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확인하여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지를 화인하고 기존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접속을 승인하고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가 아닌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올바른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클라이언트 접속승인과정과,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부터의 요청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된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위한 제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요청 수행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읽어 접속했던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함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여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네트워크의 식별정보를 대비하여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성공모드로 판단하고,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실패 또는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접속실패모드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성공모드로 판단된 경우에는 멀티캐스트 도메인 네임 시스템(mDNS) 서비스를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실패모드인 경우에는 접속제어정보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접속실패모드인 경우에는 허브모드(A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 상에서 허브모드(AP모드)를 설정하며,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 상에서의 허브모드(AP 모드)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disable'시키도록 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무선환경 상에서 손쉽게 등록 및 변경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선환경 상에서 변경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이 적용된 디바이스를 동작 제어하여 변경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테스트 할 수 있어서 보다 빠르게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완료할 수 있다.
근래 개발되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더 효과적으로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서버수단에서 이루어는 프로그램 시작점 설정 및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서버수단에서 클라이언트접속 관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환경 상에서 실시간으로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설정 등록 및 변경 할 수 있도록 함을 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구성은,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등록 및 동작제어를 위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의 무선네트워크통신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동작 설정, 제어 및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관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은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수단과, 무선 통신 접속된 프로그램등록제어수단을 통해 디바이스의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의 무선 통신 접속 승인을 위한 클라이언트통신 관리수단,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실시간 변경하는 디바이스의 프로그램등록수단,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및 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을 다음의 도 1 내지 도 6에 실시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사용자가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에 접속하여 디바이스(300)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설계 및 등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수단,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접속수단을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300)의 제어프로그램(이하 디바이스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을 등록 및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관리 및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접속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20)을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300)의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관리하는 프로그램제어수단(220), 프로그래밍대상인 디바이스(300)가 접속되는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30)을 포함하는 서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실시 예는 스마트폰, PC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제작, 등록 및 등록된 프로그램이 적용된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 제어하여 변경된 프로그램 코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 디바이스(300)가 연결되며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은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Table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통신수단과, 프로그래밍 대상인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작성, 등록 및 동작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은,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와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를 위한 무선네트워크 접속프로세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제어정보 설정 및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프로세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를 통해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동작제어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버 수단을 포함한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통신접속을 위한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30),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 요청에 따라서 무선접속관리정보의 설정,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 변경, 디바이스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제어수단(220)을 포함하는 서버수단과,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수단(240),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초기화하기 위한 리플래시(reflash) 수단(240)과 전원공급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은 무선 네트워크접속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통신수단(211)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 요청에 따라서 무선통신수단(211)을 통한 접속을 승인 관리하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관리수단(212)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211)은 와이파이(WIFI)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스테이션 모드(STA mode)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이 접속되는 허브모드(AP mode)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관리수단(212)은 접속제어정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이전 클라이언트 접속정보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마루단(100)의 접속 승인여부를 제어 관리하며 접속정보를 상기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 관리하는 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정보저장수단은 접속제어정보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수단이다.
상기 접속제어정보는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포함하는 접속해야할 무선 네트워크 정보와,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 주소, MAC주소를 포함하는 현재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제어정보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제어수단(220)은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실행될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등록, 변경하기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디바이스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접속정보저장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제어정보 요청에 따라서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접속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설정프로세스,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정보 요청에 따라서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주소 및 MAC주소 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제공프로세스, 그리고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에 대한 재시작 설정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통신수단(230)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시리얼통신모듈(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로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서버수단은 와이파이 스테이션모드(STA mode), AP mode)를 지원하며 UART 브릿지를 지원하는 ESP12(8286) 칩으로 제어수단(MSU)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240)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여 그 동작(on/off, blink) 및 동작의 조합으로 무선 네트워크 접속상태, 클라이언트 접속상태, 동작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플래시 수단(250)은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접속제어정보 를 초기화(재설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버튼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제어정보의 재설정동작은 부팅동작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제어수단(2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수단(260)은,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구성에 따라서 정해진 동작 전원(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서버수단에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행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부팅이 이루어지면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를 설정하고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읽어 접속했던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하고 무선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되면 호스트이름과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허브모드(AP모드)를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과정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서버 동작이 시작되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요청이 있는 가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확인하여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지를 확인하고 기존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접속을 승인하고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가 아닌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Auth 코트)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올바른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클라이언트 접속승인과정과,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부터의 요청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된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Config mode),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제어모드(Tran-uart mode)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요청 수행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는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된 접속제어정보를 접속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제공하는 접속제어정보 제공과정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접속제어정보를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접속제어정보설정과정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모듈재시작 요청에 따라서 서버수단 재시작을 수행하는 모듈재시작설정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제어정보제공과정은 접속제어정보 설정위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제어정보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의 제공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정보 요청에 따라서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주소 및 MAC주소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제어정보설정과정은 상기 접속제어정보제공과정을 통해 제공받은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포함하는 접속제어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는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디바이스(300)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제어모드는 디바이스(300)로부터 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부터의 정보를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부팅이 이루어지면 리플래시 수단(250)의 입력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설정된 기준 시간(예 : 20초)이상 그 입력이 이루어지면 접속정보저장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초기화하여 기본 값을 설정하는 접속제어정보 재설정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읽어 접속했던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여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네트워크의 식별정보(SSID)와 접속저장수단에 저장된 식별정보(SSID)와 비교하여 접속성공모드 또는 접속실패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성공모드는 멀티캐스트 도메인 네임 시스템(mDNS)(ZeroConf) 서비스를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지고, 접속실패모드는 허브모드(AP 모드)만을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실시 예는 와이파이 네트워킹이 지원되는 서버수단을 구성하여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에서 서버수단을 통해 디바이스(300)의 제어프로그램을 와이파이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 등록, 변경 할 수 있도록 한다.
a. 디바이스프로그램장치의 프로그램 시작점 설정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프로그램 시작점의 설정은 부팅이 이루어질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프로그램관리장치(200)의 하드웨어적인 프로그램 시작점 설정이며 다음에서 설명할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에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수단의 부팅이 이루어지면 서버수단에서는 리플래시 수단(250)의 입력이 있는 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접속정보저장수단을 초기화하고 기본 값을 재설정하기 위해 선택되는 리플래시 수단(250)으로 부터의 입력을 확인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래시 수단(250)의 입력을 확인하고 그 입력이 있을 때 설정된 시간(20초) 동안 그 입력이 유지되는 가를 확인한 후 그 입력이 유지된 경우에만 접속정보저장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초기화하고 재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는 실수로 리플래시 수단(250)이 눌려졌을 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버튼이 눌려져야 사용자의 의도로 리플래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판단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속정보저장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초기화하고 재설정하는 과정의 시작이 요구되면 서버수단에서는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의 접속제어정보를 지워 초기화하고 기본 값으로 재설정한다.
이때 서버수단에서는 표시수단(240)을 통해 접속정보저장수단을 지울 때의 그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b. 네트워크 접속관리
서버수단은 부팅이 이루어진 후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를 설정하고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확인하여 접속했던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식별정보(SSID)를 확인하여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SSID와 동일한 가를 판단하여 기 접속했었던 네트워크를 판단하여 접속성공을 판단하게 된다.
접속했었던 네트워크에 접속이 성공되면 STA 모드를 'enable' 시키고 mDNS 서비스를 설정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수단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접속한 호스트이름과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AP 모드(SoftAP)를 'enable' 시킨다.
이와 같은 STA 모드 상에서의 AP 모드(SoftAP)는 정해진 시간(5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disable'시켜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 즉, 서버수단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킨다.
이때 서버수단에서는 AP 모드(SoftAP)가 실행되는 5분 동안 표시수단(240)의 발광다이오드를 일정한 시간단위(예 2초)로 블링크(blink) 시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에 접속은 이루어졌지만 접속된 네트워크 SSID가 접속정보저장수단(212b)에 저장된 SSID가 아닌 경우, 즉 접속했던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는 접속했었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저장된 네트워크 SSID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재접속을 시도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SSID로 재접속을 시도하며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성공모드 과정을 진행하고, 접속을 실패할 경우에는 접속실패모드 과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및 재접속 시도를 일정한 횟수(3회) 이상 시도한 후 접속실패로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실패모드는 STA 모드를 'disable' 설정하고, AP 모드를 'enable' 시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표시수단(240)의 발광다이오드를 일정한 시간단위(2초)로 블링크 시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서버수단에서 이루어는 프로그램 시작점 설정 및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c. 클라이언트 접속관리 및 클라이언트 요청모드
이후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기다리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요청한 클라이언트가 기존의 클라이언트인지 새로운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새로운 클라이언트이면 인증정보(Auth 코트)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에 요청하여 클라이언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확인과정에서 올바른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승인하고, 올바른 인증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승인하지 않고 세션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이 승인되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 모드에 따라서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에 설치된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에 접속 및 상기와 같은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제어모드를 요청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클라이언트접속 관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은 인터넷 또는 앱스토어, 구글스토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제공공간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가 요청되면, 프로그램제어수단(220)에서는 접속정보저장수단(212b)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제공 또는 접속정보저장수단(212b)의 접속제어정보를 재설정 및 모듈재시작을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요청하여 확인하거나 이들 정보를 수정해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정보인 네트워크접속상태 정보, 네트워크 IP주소, MAC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모듈 재시작모드를 요청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를 재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프로그래밍 모드의 실행과정은 디바이스(300) 내의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프로그램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프로그래밍 제어에 따라서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서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프로그램을 작성 또는 변경하여 디바이스(300)에 전송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래밍을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램 정보요청이 있는 경우 디바이스(300)로부터 프로그램정보를 읽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로부터 읽어 들인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게 되는 바,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프로그램 내에 해당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이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이용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직접 수정하여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작성 완료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등록 요청할 수 있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디바이스프로그램 등록이 요청되면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맷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디바이스(300)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여 프로그래밍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프로그래밍을 완료하고 완료된 상태에서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하여 디바이스프로그램이 올바르게 등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손쉽게 등록,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6)

  1. 무선네트워크 접속 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수단,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접속수단을 포함하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을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은 상기 서버수단에서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설계 및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밍 제작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수단은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관리 및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접속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20)을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300)의 디바이스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관리하는 프로그램제어수단(220), 프로그래밍대상인 디바이스(300)가 접속되는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은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 중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래밍 제작수단은 디바이스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수단과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를 위한 무선네트워크 접속프로세스, 서버수단의 제어정보 설정 및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프로세스, 디바이스(300)를 동작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동작제어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4. 무선네트워크의 접속관리 및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설계 및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 수단이 설치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통신접속을 위한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통신접속수단(230),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의 요청에 따라서 무선접속관리정보의 설정, 디바이스프로그램을 실시간 변경, 디바이스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제어수단(220)을 포함하는 서버수단과,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수단(240),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초기화화기 위한 리플래시(reflash) 수단(240)과 전원공급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수단의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관리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통신수단(211)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 요청에 따라서 무선통신수단(211)을 통한 접속을 승인 관리하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관리수단(212)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관리수단(212)은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이전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고 접속 승인여부를 제어 관리하며 접속정보를 상기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 관리하는 접속제어수단과, 접속제어정보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접속정보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통신관리수단(210)은 와이파이(WIFI)를 무선 네트워크로 제공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211)은 와이파이(WIFI)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스테이션 모드(STA mode)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이 접속되는 허브모드(AP mode)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정보는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와,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 주소, MAC주소를 포함하는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8.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제어수단(220)은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따라서 실행될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등록, 변경하기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디바이스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에 따라서 접속정보저장수단의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의 정보 제공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수정 입력된 접속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접속제어정보설정 프로세스,
    접속정보저장수단의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제어정보 및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주소 및 MAC주소를 포함하는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클라이언트 단말수단(100)의 요청에 대한 정보제공 프로세스,
    디바이스프로그램 관리장치(200)에 대한 재시작 설정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0.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통신수단(230)은 시리얼통신모듈(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수단은 와이파이 스테이션모드(STA mode), AP mode)를 지원하며 UART 브릿지를 지원하는 ESP12(8286) 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240)은,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동작(on/off, blink) 및 동작의 조합으로 무선 네트워크 접속상태, 클라이언트 접속상태,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래시 수단(250)은 상기 서버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초기화(재설정)시키기 위한 수단 버튼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제어수단(220)은 접속제어정보의 재설정동작은 부팅동작상태에서만 리플래시 수단(250)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세스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
  15. 부팅이 이루어지면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를 설정하고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과정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서버 동작이 시작되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요청이 있는 가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확인하여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지를 화인하고 기존 접속했던 클라이언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접속을 승인하고 지난 세션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가 아닌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올바른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클라이언트 접속승인과정과,
    접속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부터의 요청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된 디바이스프로그래밍을 위한 제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요청 수행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접속제어정보를 읽어 접속했던 네트워크에 접속을 설정함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여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네트워크의 식별정보를 대비하여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성공모드로 판단하고,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실패 또는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접속실패모드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성공모드로 판단된 경우에는 멀티캐스트 도메인 네임 시스템(mDNS) 서비스를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실패모드인 경우에는 접속제어정보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접속실패모드인 경우에는 허브모드(A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 상에서 허브모드(AP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 상에서의 허브모드(AP 모드)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disable'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드(STA 모드) 상에서의 허브모드(AP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표시수단(240)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접속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및 재접속 시도를 설정된 횟수 이상 시도한 후 접속실패모드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과정에 있어서, 표시수단(240)을 동작시켜 AP 모드가 실행되고 있음을 알리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 접속과정은 부팅이 이루어지면 리플래시 수단(250)의 입력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설정된 기준 시간이상 그 입력이 이루어지면 접속정보저장수단의 접속제어정보를 초기화하여 기본 값을 설정하는 접속제어정보 재설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요청 수행과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요청 제어모드는 접속제어정보 설정모드,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제어모드(Tran-uart mod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정보설정모드는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요청된 접속제어정보를 접속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제공하는 접속제어정보 제공과정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접속제어정보를 접속정보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접속제어정보설정과정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모듈재시작 요청에 따라서 서버수단 재시작을 수행하는 모듈재시작설정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제어정보제공과정은 접속제어정보 설정위한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접속제어정보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의 제공 및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의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정보 요청에 따라서 네트워크접속상태, 네트워크 IP주소 및 MAC주소를 제공하며, 상기 접속제어정보설정과정은 상기 접속제어정보제공과정을 통해 제공받은 네트워크 식별정보(SSID), 와이파이 비밀번호, 호스트이름, 인증정보(AUTH 코트)를 포함하는 접속제어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프로그래밍모드는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디바이스(300)에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프로그램 등록이 요청되면 디바이스(300)의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맷하는 과정과, 포맷이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디바이스프로그램을 디바이스(300)의 메모리에 저장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정보 설정과정은, 접속정보저장수단을 초기화함에 있어서, 접속정보저장수단을 지울 때의 그 동작 상태를 표시수단(240)에 표시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KR1020170068407A 2017-06-01 2017-06-01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KR10197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07A KR101972817B1 (ko) 2017-06-01 2017-06-01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07A KR101972817B1 (ko) 2017-06-01 2017-06-01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19A true KR20180131819A (ko) 2018-12-11
KR101972817B1 KR101972817B1 (ko) 2019-08-28

Family

ID=6467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407A KR101972817B1 (ko) 2017-06-01 2017-06-01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268A (zh) * 2019-05-22 2021-12-10 欧姆龙株式会社 信息提供系统、服务器以及信息提供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618A (ko) * 2011-01-18 2011-08-31 방인성 클라이언트의 가상 개발 환경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계약 및 개발을 중개하는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방법
KR20150089619A (ko) * 2014-01-28 2015-08-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시간 디버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89747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IoT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618A (ko) * 2011-01-18 2011-08-31 방인성 클라이언트의 가상 개발 환경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계약 및 개발을 중개하는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방법
KR20150089619A (ko) * 2014-01-28 2015-08-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시간 디버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89747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IoT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268A (zh) * 2019-05-22 2021-12-10 欧姆龙株式会社 信息提供系统、服务器以及信息提供方法
CN113785268B (zh) * 2019-05-22 2023-12-15 欧姆龙株式会社 信息提供系统、服务器以及信息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817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930B2 (en) Setting a startup parameter and controlling startup of a mainboard
CN103414741B (zh) 一种远程升级plc的方法和系统
CN104185836B (zh) 用于在系统改变之后验证计算设备的适当操作的方法和系统
KR100764791B1 (ko) 장치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장치관리 스케줄링방법
US9756030B2 (en) Secure cloud based multi-tier provisioning
US9560087B2 (en) Providing machine-to-machine service
CN105653306B (zh) 显示启动设置界面的方法和装置
TWI601068B (zh) 用於接取網路之設備及方法、以及電腦可讀媒體
US10795665B2 (en) Relay device and hot water supply device
CN105589699A (zh) 序列号信息的更新方法、装置及终端
CN112235767A (zh) 一种连接管理方法、设备及介质
KR101972817B1 (ko) 디바이스의 실시간 프로그램 개발 장치와 실시간 프로그래밍 방법
CN117407065A (zh) 网卡预启动控制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7894935A (zh) Ops电脑模块检测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US20060080636A1 (en) Method of building 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 firmware architecture
US200402211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communication-enabl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no user interface and a method of control thereof
CN11378058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2017010602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72501B1 (ko) 사물인터넷을 위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실습 장치 및 그 방법
CN104641305A (zh) 用于账户设置和/或设备安装的系统
CN117472411B (zh) 一种兼容多种升级协议的升级方法
CN109271188A (zh) 一种cpld升级方法及相关装置
CN115277395B (zh) 一种配置方法、配置装置、第一设备及配置系统
US9363307B2 (en) Method of linking to and monitoring machining devices through a cloud service
JP201621860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及びセットアッ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