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30A - Lid - Google Patents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30A
KR20180131430A KR1020180060287A KR20180060287A KR20180131430A KR 20180131430 A KR20180131430 A KR 20180131430A KR 1020180060287 A KR1020180060287 A KR 1020180060287A KR 20180060287 A KR20180060287 A KR 20180060287A KR 20180131430 A KR20180131430 A KR 2018013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toilet bowl
toile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5675B1 (en
Inventor
도모히코 사카구치
사토시 시타우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lid of a toilet to accommodate filth,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toilet only by raising a front portion of a toilet seat i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The lid (8) comprises: a lid body (80) blocking an upper opening of the toilet (2); and a grip (81) protruding upwards from the lid body (80). The grip (81) is placed between a central portion and a front margin of the lid body (80),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82) gripped by one hand.

Description

덮개{LID}Cover {LID}

본 발명은 포터블 변기의 변좌의 아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of a toilet bowl for a dirt receptacle which is detachably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특허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5-12902 호)에는, 변좌의 아래에, 오물을 수용하는 변기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변기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 (JP-A-2015-12902) discloses a portable toilet seat in which a toilet bowl for accommodating dirt is detachably mounted under a toilet seat.

변기통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호형상의 손잡이와, 상단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The toilet bowl is provided with a circular-shaped handle rotatably mounted and a lid closing the opening at the upper end.

덮개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손가락을 통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덮개는, 예를 들면, 손잡이의 구멍에 손가락이 통과되고, 손등이 측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오르내림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a handle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finger passes is provided in the hand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lid is raised or lowered by one hand, for example, a finger is passed through the hole of the handle and the back of the hand is directed to the side.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포터블 변기에서는, 변좌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려, 변좌의 앞부분과 변기통과의 사이에 형성된 좁은 스페이스에서, 변기통에 대해서 덮개를 부착분리하는 것은 어렵다.However, in the portable toil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lift up the front portion of the toilet seat slightly, and to attach and detach the lid against the toilet bowl at a narrow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bowl.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5-12902 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5-12902

본 발명은, 변기통의 상방의 변좌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변기통에의 부착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덮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d for a toilet bowl for a dirt receptacle, which is capable of attaching / detaching to / from a toilet bowl only by slightly rai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oilet seat above the toilet bowl.

본 발명에 관한 일 태양의 덮개는, 포터블 변기의 변좌의 하방에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변기통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이다. 일 태양의 덮개는,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구비한다.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를 구비한다.A li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detachably mounted on the toilet bowl to close an upper opening of a toilet bowl of a dirt receptacle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The lid of the sun cover includes a lid body that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and a grip protruding upward from the lid body. The grip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leading edge,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gripped by one han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좌면 시트를 절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좌면 시트로 변좌를 덮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트레이와 변기통과 변좌와 좌면 시트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변기통을,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을, 덮개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주요부를, 덮개와 손잡이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내용물을 버리는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손잡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덮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에 대하여 덮개를 장착과 분리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에 변기통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에 장착된 변기통의 손잡이에 손을 거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변좌를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며, 도 18b는 도 18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팔걸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 본체로부터 팔걸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팔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팔걸이의 보지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보지부 고정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seat surface sheet is fold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covered with a seat surface shee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tray, a toilet bowl, a toilet seat and a seat surface sheet omitte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toilet bowl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clos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id omitte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lid and a handle omitted.
8 is a sid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contents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arded.
Figs.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e of rotating a handl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lid is mounted and separated with respect to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mounted on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hand is put on a handle of a toilet bowl attached to a tra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A is a bottom view showing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8A.
19 is a side view showing an armrest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is separated from a toilet bowl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A and 22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portion of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A to 23C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포터블 변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변좌의 하방에, 오물(사람이 배설한 소변과 변 중 적어도 하나)받이용의 변기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oilet where a toilet bowl for receiving dust (at least one of urine and sides disposed of a person) is detachably mounted below the toilet seat.

(1) 포터블 변기의 개요(1) Overview of Portable Toilet

도 1 및 도 2에는,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a portable toilet 1 of an embodiment is shown.

포터블 변기(1)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2)과, 변기통(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레이(3)와, 변기통(2) 및 트레이(3)가 수납되는 변기 본체(4)와, 변기 본체(4)를 지지하는 다리(5)와, 변기 본체(4)에 지지되는 등받이(6) 및 팔걸이(7)를 구비한다. 변기통(2)은 덮개(8)와 손잡이(9)(도 4 참조)를 구비한다. 포터블 변기(1)는 추가로 변기 본체(4)에 장착되는 변좌(10)와 좌면 시트(11)를 구비한다.The portable toilet 1 includes a toilet bowl 2 for receiving dirt, a tray 3 on which the toilet bowl 2 is detachably mounted, a toilet bowl body 4 in which the toilet bowl 2 and the tray 3 are housed, Legs 5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body 4 and a backrest 6 and an armrest 7 which are supported by the toilet bowl body 4. The toilet bowl (2) has a lid (8) and a handle (9) (see Fig. 4). The portable toilet 1 further comprises a toilet seat 10 and a seat surface sheet 11 to be mounted on the toilet bowl body 4. [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서, 등받이(6)에 대하여 변기통(2)이 위치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이며,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방향이 우측이며, 화살표(Z)로 나타내는 방향이 상방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state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side on which the toilet baskets 2 ar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6 is forward and the opposite side is rear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ll be described. In each drawi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X is forward,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 is the right side, and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Z is upward.

(2) 포터블 변기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2)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portable toilet bowl

(2-1) 변기 본체(2-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4)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다. 변기 본체(4)는, 예를 들면 목제이다. 변기 본체(4)는 전방판(40), 후방판(41), 좌우 한쌍의 측판(42), 및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를 갖는다. 전방판(40)과 후방판(41)과 좌우 한쌍의 측판(42)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oilet bowl main body 4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plan view. The toilet bowl main body 4 is made of, for example, wood. The toilet bowl main body 4 has a front plate 40, a rear plate 41,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42,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members 43. The front plate 40, the rear plate 41,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42 are integrally formed into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plan view.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의 각각은, 예를 들면 사각봉형상이다.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는, 전방판(40)의 우측 단부와 후방판(41)의 우측 단부의 사이와, 전방판(40)의 좌측 단부와 후방판(41)의 좌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걸쳐져 있다.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는 트레이(3)의 높이분 만큼 좌우 한쌍의 측판(42)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Each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members 43 is, for example, a square bar. The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members 43 are disposed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front plate 40 and the right end of the rear plate 41 and between the left end of the front plate 40 and the left end of the rear plate 41 Respectively.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43 are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42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tray 3.

전방판(40)의 상면의 좌우의 단부와,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의 상면은 면일이다. 전방판(40)의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의 오목부(400)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판(40)과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가 트레이(3)를 지지하는 트레이받이(44)이다. 트레이(3)는 트레이받이(4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4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members 43 are face-to-face.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40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concave portion 400 having a shape of a circular arc convex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 front plate 4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43 are tray receivers 44 for supporting the tray 3. The tray 3 is detachable from the tray receiver 44.

좌우 한쌍의 측판(42)의 각각은, 그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지지판(60)을 포함한다.Each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42 includes a support plate 6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rear end thereof.

(2-2) 좌면 시트(2-2) Seat seating sheet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 시트(11)는, 그 후단부가, 변기 본체(4)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좌면 시트(11)는 2겹으로 접을 수 있는 시트이다. 좌면 시트(11)는 변좌(10) 위에 탑재되는 도복(倒伏) 자세(도 2 참조)와, 변기 본체(4)의 후단부의 상방으로 2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기립하는 기립 자세(도 1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복 자세로 했을 때의 좌면 시트(11)의 상면은 좌면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좌면 시트(11)는 표면 전체가 쿠션으로 덮여 있다. 좌면 시트(11)는 2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변기 본체(4)의 후방에서 도복하는 제 2 도복 자세에서 추가로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rear end portion of the seat surface sheet 11 is rotatably mounted on a rear end portion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As shown in Fig. The seating surface sheet 11 is a two-fold foldable sheet. The seat surface sheet 11 has a standing posture (see Fig. 2) mounted on the toilet seat 10 and a standing posture (see Fig. 1) standing up in a state of folding in two layers abov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Respective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urface sheet 11 when it is in the resting position is usable as a seat surface. The entire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sheet 11 is covered with a cushion. The seat back sheet 11 is further rotatable in a second wrapping position in which it is folded in two folds and covers the rear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

좌면 시트(11)의 전방 부분에는, 밴드(110)가 마련되어 있다. 이용자는 밴드(110)를 잡는 것에 의해 좌면 시트(11)의 자세를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On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sheet 11, a band 110 is provided. The user can simply switch the posture of the seat surface sheet 11 by holding the band 110. [

(2-3) 등받이(2-3) Backrest

등받이(6)는 한쌍의 지지판(6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한다. 등받이(6)는, 그 표면 전체가 쿠션(61)으로 덮여 있다.The back 6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60.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back 6 is covered with a cushion 61.

(2-4) 변기통(2-4) Toilet seat

변기통(2)은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의 하방[즉, 트레이(3)]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은 바닥벽(200)과 둘레벽(201)을 갖는 변기통 본체(20)와,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탑재되는 덮개(8)를 구비한다. 변기통(2)은 추가로, 둘레벽(20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활(arch)형상의 손잡이(9)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9)는 원호형상이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은 추가로, 둘레벽(201)의 전단부의 상단에 마련된 주둥이(21)와, 둘레벽(201)의 후단부에 마련된 핸들(22)과, 핸들(2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둘레벽(201)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된 덮개받이(23)를 구비한다. 핸들(22)은 상하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봉형상이다.The toilet bowl 2 is mounted below the toilet seat 10 of the portable toilet 1 (i.e., the tray 3). 4 and 5, the toilet bowl 2 includes a toilet bowl main body 20 having a bottom wall 200 and a peripheral wall 201, a lid 8 (see FIG. 8)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 The toilet bowl (2) further includes an arch-shaped handle (9)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Further, the handle 9 may have an arc shape. 6 and 7, the toilet bowl 2 further includes a spout 2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a handle 2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And a lid receptacle 23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handle 22. [ The handle 22 is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덮개(8)는 둘레벽(201)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자세(도 4 참조)와, 둘레벽(201)의 상단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도 8 참조)로 전환 가능하다. 폐쇄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부딪치는 자세이다. 개방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며, 덮개(8)의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진 자세이다. 덮개(8)의 후단부의 하면과 덮개받이(23)의 상면 중 적어도 한쪽은,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서로 멀어져 위치하며, 또한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서로 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다.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을 때, 주둥이(21)는 덮개(8)에 의해 폐색되며,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주둥이(21)는 개방된다.The cover 8 is switchable between a closed posture (see FIG. 4) for clos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peripheral wall 201 and an open posture (see FIG. 8) for open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peripheral wall 201. The closing posture is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lid 8 is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and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lid 8 hit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 The opening posture is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lid 8 hit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and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lid 8 is away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id 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is located away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lid 8 is in the closed posture, It is an inclined sloping surface to contact. When the lid 8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id 21 is closed by the lid 8 and the lid 21 is opened when the lid 8 is in the open position.

(2-4-1) 변기통 본체(2-4-1) Toilet bowl main body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200)의 상면은 원형상이다. 바닥벽(200)은 원판형상이다. 바닥벽(2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두께)는 일정하다. 둘레벽(201)은 바닥벽(200)의 외주연과 연속하고 있다. 둘레벽(201)의 하단부로부터, 바닥벽(200)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환상의 다리(202)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200 is circular. The bottom wall 200 has a disc shape. The length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200 is constant. The peripheral wall (201)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200). A substantially circular-shaped leg 202 projects downward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wall 200 from the low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201)은, 내주면의 평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의 상부 부분(203)과, 내주면의 평단면형상이 원형상의 하부 부분(204)을 갖는다. 상부 부분(203)은, 상측의 부분만큼 내경이 커지도록, 내주면이 경사져 있다. 하부 부분(204)은, 상측의 부분만큼 내경이 커지도록, 내주면이 경사져 있다. 둘레벽(201)은 두께가 일정하며, 외주면의 형상이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peripheral wall 201 has an upper portion 203 having an elliptical planar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circular lower portion 204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203 is inclin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20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lin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by the upper portion. The peripheral wall 201 has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둘레벽(201)은 상부 부분(203)의 상연으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05)와, 플랜지(205)의 외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외통(206)을 포함한다. 플랜지(205)의 상면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이다. 상부 부분(203)은, 그 전단부에, 주둥이(21)에 연속하도록 전방측으로 불룩한 팽출부(207)를 갖는다.The peripheral wall 201 includes a flange 205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upper portion 203 and an outer tube 206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lange 205.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05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The upper portion 203 has, at its front end portion, a bulge portion 207 that bulges forwar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spigot 21.

플랜지(205)는, 상부 부분(203)의 상연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에서 보아 타원의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05)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외주연과 내주연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좁아진 전단부가 주둥이(21)의 가장자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205)의 전단부에 있어서, 내주연은, 외주연보다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외주연과 내주연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있다. 주둥이(21)는 하류측(전방측)만큼 유로 면적이 좁아져 있다.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dge of the upper portion 203, the flange 205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annular shape in plan view. The front end of the flange 205 protrudes forward so a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and the narrowed front end portion is the edge of the spigot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ange 205, the inner periphery protrudes more forward than the outer periphery, whereby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is narrowed. The spout 21 has a narrower flow path area on the downstream side (front side).

플랜지(205)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 외주연이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을 이루며, 내주연과의 사이가 좁아져 있으며, 좁아진 부분으로부터, 덮개받이(23)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덮개받이(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본체부(230)와, 본체부(230)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통(206)과 연속한 하편(231)을 포함한다.At the rear end of the flange 205,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205 has an arcuate shape convex forward, and the gap between the flange 205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lange 205 is narrowed, and the lid receptacle 23 protrudes rearward from the narrowed portion. 6 and 7, the cover 23 includes a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230 which is obliquely inclined rearwardly and extends downward, a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ortion 230, (206) and a continuous lower piece (231).

덮개받이(23)의 상면[본체부(230)의 상면]은, 후방측의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즉, 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덮개받이(23)의 상면은 플랜지(205)의 상면보다 일단 낮게 위치하며, 또한 플랜지(205)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체부(230)의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본체부(230)의 상면의 그 이외의 부분보다 일단 낮게 마련된 하단부(232)가 마련되어 있다. 하단부(232)는 플랜지(205)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다. 하단부(23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상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3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30) i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hat is, obliquely rearward and inclined downward) to be positioned below the rear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05 and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05. A lower end portion 232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low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30. [ The lower end 232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05. The lower end 232 is approximately semicircular in plan view.

덮개받이(23)의 본체부(230)로부터, 봉형상의 핸들(22)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22)은 후방으로 개구된 평단면 U자 형상이다. 핸들(22)의 바닥 부분은 폐색되어 있다.A bar-shaped handle 2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main body 230 of the lid receptacle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22 is a U-shaped flat section opened rear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handle 22 is closed.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206)의 좌우의 단부에는, 손잡이(9)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24)과, 외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25)와, 외측방으로 돌출된 전후 한쌍의 볼록형상의 스토퍼(26)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변기통 본체(20)는 둘레벽(20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25)를 갖는다. 변기통 본체(20)는 둘레벽(20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된 스토퍼(26)를 갖는다.9A and 9B,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cylinder 206, there are provided a mounting hole 24 for mounting the knob 9, a latching part 25 projecting to the outside chamber, A pair of front and rear protruding stoppers 26 are provided. In other words,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has the engaging portion 25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has a stopper (26)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201).

(2-4-2) 손잡이(2-4-2) Handle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9)는 활형상의 장척 본체부(90)와, 손가락(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장척 본체부(90)로부터 방사방향(radial directions)으로 돌출되는 리브(91)를 구비한다. 손잡이(9)는 추가로, 장척 본체부(90)의 장척방향(lengthwise direction)의 양단부로부터 방사방향의 역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회전축(92)을 구비한다. 여기서, 방사방향이란, 2개의 회전축(92)의 중간의 점으로부터, 손잡이(9)의 각 부분을 향하는 복수의 방향을 의미한다. 손잡이(9)는 수지 성형품이다. 이하, 장척 본체부(90)는 간략히 "본체부(90)"라고 한다. 또한, 본체부(90)는 원호형상이어도 좋고, 이 원호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직경이 일정한 원호로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6 and 10, the handle 9 has an elongated main body portion 90 in an arcuate shape, and an elongated main body portion 90 extending from the elongated main body portion 9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ribs 91 protruding in radial directions. The knob 9 further has a pair of rotary shafts 92 projecting radially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9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Here, the radial direction means a plurality of directions from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two rotary shafts 92 to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handle 9. The handle 9 is a resin molded product. Hereinafter, the elongated body portion 90 is simply referred to as "body portion 90 ". Further, the main body 90 may have an arc shape, and the arc is not limited to an arc having a constant diameter over a long direction.

본체부(90)는 본체부(90)의 장척방향의 중앙 부분을 구성하는 파지부(93)와, 본체부(90)의 장척방향의 양단 부분을 구성하는 한쌍의 장착부(94)와, 파지부(93)와 한쌍의 장착부(94)의 사이의 본체부(90)의 부분을 구성하는 한쌍의 중간부(95)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portion 90 includes a grip portion 93 constituting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90, a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constituting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90, And a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constitut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90 between the support portion 93 and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변기통 본체(20)의 상방에 위치하며, 손잡이(9)가 기립한 제 1 자세와, 파지부(93)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부의 측방에 위치하며, 손잡이(9)가 도복한 제 2 자세(도 4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자세는 파지부(93)가 덮개받이(23)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이다.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주둥이(2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3 자세로의 회전도 가능하다.The handle 9 is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93 located above the toilet body 20 and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handle 9 is raised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grip portion 93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dy 20 And is rotatable between a second posture (see Fig. 4) in which the knob 9 overlap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osture is an attitude in which the grip portion 93 is located behind the lid receptacle 23. The handle 9 can be rotated to the third posture in which the grip portion 93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pout 21. [

본체부(90)의 폭방향의 길이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일정하다. 여기서, 폭방향은 본체부(90)의 장척방향과 방사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본체부(90)의 폭방향의 길이는 제 2 자세일 때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90)의 길이이다. 본체부(90)의 방사방향의 길이(즉, 두께)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일정하다.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90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stant over the long direction. Here, the width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90 and the radial direction.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90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9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the second posture is taken. The length (i.e., thicknes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90 is constant over a long direction.

손잡이(9)의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본체부(90)의 형상은 변기통(2)의 상단부의 후반부(덮개받이(23)를 포함한 부분)의 외형형상을 따른 활형상이다.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90 when viewed from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handle 9 is a bow shap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rear half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oilet bowl 2 (portion including the lid receptacle 23).

리브(91)를 구성하는 돌조편(910)은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93) 중 장척방향의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도 돌조편(910)이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돌조편(910)은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며, 파지부(93)의 장척방향의 중앙부로부터와, 한쌍의 장착부(94)로부터는 돌출되어 있지 않다. 파지부(93)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과,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은 이어져 있으며, 돌출 선단면이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protrusion 910 constituting the rib 91 protrudes from each of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stone block 910 protrudes from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grip portion 93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tone plate 910 protrudes from each of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nd does not protrude from the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93 and from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A stone plate 910 protruding from the gripping portion 93 and a stone plate 910 protru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re continuous and have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파지부(93)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과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은, 손잡이(9)의 폭방향의 위치(예를 들면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의 상하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 각 돌조편(910)은, 파지부(93) 및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의, 상단보다 약간 하방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리브(91)는, 활형상의 본체부(90) 중, 장척방향과 방사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The protrusion 910 protruding from the gripping portion 93 and the protrusion 910 protru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re positioned at a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nob 9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hen the first position is in the second position) are equal to each other. Each knob 910 protrudes from a portion slightly below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grip portion 93 and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when the knob 9 is in the second posture. In other words, the rib 91 protrudes from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90 that is away from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파지부(93)에 있어서의 방사방향과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본체부(90)의 다른 부분(한쌍의 중간부(95) 및 한쌍의 장착부(94))보다 방사방향으로 크게 만곡된 오목 곡면이다. 본체부(90)는 변기통 본체(20)의 상단부를 따른 형상이다. 파지부(93)의 방사방향과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덮개받이(23)를 피하도록, 오목 곡면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93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is a concave surface that is curved largely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main body 90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nd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to be. The body portion 90 has a shape alo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oilet body main body 20. The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93 is provided as a concave surface so as to avoid the lid receptacle 23.

한쌍의 회전축(92)은 전후 방향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한쌍의 회전축(9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회전축(92)의 각각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손잡이(9)는, 한쌍의 회전축(92)이 변기통 본체(20)의 한쌍의 장착 구멍(24)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변기통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pair of rotary shafts 92 have the same position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pair of rotary shafts 92 protrude in a direction to come close to each other.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shafts 92 has a substantially columnar shape. The handle 9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ilet body main body 20 by a pair of rotary shafts 92 inserted into a pair of mounting holes 24 of the toilet body 20. [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장착부(94)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장착부(94)의 각각)은 방사방향의 역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96)를 갖는다.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직사각형 판형상이다.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회전축(92)과 일체이다. 각 걸림부(96)는 대응하는 회전축(92)보다 상기 장척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며, 회전축(92)과 일체이다. 각 걸림부(96)는 각 회전축(92)보다 좌우 방향으로 짧다.As shown in Figs. 6 and 9, at least one of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in this embodiment) has a locking portion 96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latching portions 96 is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Each of the pair of latching portions 96 is integral with the pair of rotary shafts 92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engaging portion 96 is located on th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rotary shaft 92 and is integral with the rotary shaft 92.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96 is short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the respective rotary shafts 92.

걸림부(96)는, 손잡이(9)가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하는 동안에, 걸림부(25)에 부딪친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손잡이(9)가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하는 동안에,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손잡이(9)는,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할 때에, 그 회전 속도가 억제되어, 트레이(3)에 세게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걸림부(96)는,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가까워졌을 때에,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치면서 타고 넘어간다.The engagement portion 96 strikes the engagement portion 25 while the knob 9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Specifically, each of the pair of latching portions 96 strikes the corresponding latching portion 25 while the knob 9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Thereby, when the knob 9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knob 9 is suppressed, and the collision against the tray 3 is suppresse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knob 9 is brought close to the second posture, each engaging portion 96 rides over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25.

각 걸림부(96)는,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일단 멈추어도 좋다. 이 경우, 손잡이(9)를 손으로 가압하여 더욱 제 2 자세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각 걸림부(96)가 대응하는 걸림부(25)를 타고 넘는다.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96 may stop rotating once it hits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25. In this case, by pushing the handle 9 by hand and further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sture, the respective engaging portions 96 ride over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s 25.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에, 걸림부(96)는, 스토퍼(26)의 하면에 부딪친다. 상세하게는,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한쌍의 스토퍼(26) 중 전방측의 스토퍼(26)에 아래로부터 부딪친다. 이에 의해, 제 2 자세에 있을 때의 손잡이(9)의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 손잡이(9)가 제 3 자세에 있을 때에는,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후방측의 스토퍼(26)에 아래로부터 부딪치고,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 이에 의해, 제 3 자세에 있을 때의 손잡이(9)의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When the knob 9 is in the second posture, the engaging portion 96 strikes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26. Specifically, when the knob 9 is in the second posture, each of the pair of latching portions 96 strikes the stopper 26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stoppers 26 from below. Thereb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knob 9 when in the second posture is determined. When the knob 9 is in the third posture, each of the pair of hooking portions 96 hits the stopper 26 on the rear side from below, and the vertical position is determined. Thereb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knob 9 when in the third posture is determined.

(2-4-3) 덮개(2-4-3) Cover

덮개(8)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기통(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에 탑재되고,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의 전체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80)와, 덮개 본체(8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81)을 구비한다. 덮개(8)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다.The cover 8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toilet bowl 2 so as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2. 4 and 5, the lid 8 is mounted on the flange 205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and includes a lid body 80 for closing the entire top opening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And a grip 81 projecting upward from the lid body 80. The lid 8 is, for example, a resin molded product.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조부(82)를 갖는다. 그립(81)은 추가로,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83)를 갖는다. 그립(81)은 추가로,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를 갖는다.The grip 81 has a protruding portion 82 loca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80 and the leading edge. The grip 81 further has a second projection 83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id body 80. The grip 81 further has a third projectio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돌조부(82)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돌조부(82)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돌조부(82)는, 손등이 위를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좌우로 손가락으로 잡는 것에 의해, 파지 가능하다. 환언하면,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며,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82)를 구비한다.The projecting portion 82 is a projection that mak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jecting portion 82 is not provided with a hole penetra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rojecting portion 82 can be grasped by gripping the left and right fingers with one hand with the back of the hand facing upward. In other words, the grip 81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80 and the leading edge,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82 gripped by one hand.

제 2 돌조부(83)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제 2 돌조부(83)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85)을 포함한다. 구멍(85)은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구멍(85)은 제 2 돌조부(83)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위치한다. 제 2 돌조부(83)는, 손등이 측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구멍(85)에 손가락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파지 가능하다.The second projection 83 is a projection that mak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projection 83 includes a hole 85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hole 85 has such a size that the finger can be inserted. The hole 85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83. The second projection 83 can be grasped by passing a finger through the hole 85 with one hand with the back of the hand facing the side.

제 3 돌조부(84)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제 3 돌조부(84)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과 이어져 있다.The third projecting portion 84 is a projection that mak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ird protrusions 84 are not provided with holes penetra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third protrusion 84 is connected to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와 제 3 돌조부(84)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다. 돌조부(82)의 상면과, 제 2 돌조부(83)의 상면과, 제 3 돌조부(84)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The protrusions 82, the second protrusions 83, and the third protrusions 84 extend in a straight lin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82,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8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84 are continuous in an arc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덮개 본체(80)는, 변기통(2)[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판형상의 바닥벽(86)과, 바닥벽(86)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87)과, 둘레벽(87)의 상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88)를 갖는다.The lid body 80 includes a plate-like bottom wall 86 for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2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and a peripheral wall 87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86 And a flange 88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8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닥벽(86)과 둘레벽(87)의 외형형상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바닥벽(86)과 둘레벽(87)의 각각은 주둥이(21)를 폐색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 플랜지(8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와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대략 동일하다.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wall 86 and the peripheral wall 87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Each of the bottom wall 86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87 has a portion projecting forward to close the spout 21. The flange 88 is substantially identical in shape to the flange 205 of the toilet baskets body 20 in plan view.

덮개(8)는 플랜지(88)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조작부(89)를 구비한다. 조작부(89)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덮개받이(23)와 대략 동일하다. 조작부(89)는 판체이다(도 6 참조). 조작부(89)의 상면은 플랜지(88)의 상면보다 일단 낮게 평행하게 위치한다.The lid 8 has an operating portion 89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lange 88. The shape of the operation portion 89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id receptacle 23 in plan view. The operating portion 89 is a plate (see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89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88 at a lower level.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을 때, 바닥벽(86)과 둘레벽(87)이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에 끼워져 이 상단 개구를 폐색하고, 플랜지(88)가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의 상면에 부딪친다. 이 때, 덮개(8)의 조작부(89)는 변기통(2)의 덮개받이(23)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져 위치한다. 환언하면, 폐쇄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부딪치는 자세이다.The bottom wall 86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87 are fit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dy 20 to close the upper opening and the flange 88 is inserted into the toilet main body 20 when the lid 8 is in the closed posture, The flange 205 of FIG. At this time, the operating portion 89 of the lid 8 is located away from the lid receptacle 23 of the toilet bowl 2 upward. In other words, the closing posture is a position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lid 8 is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and the forward part of the lid 8 hit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덮개(8)의 조작부(89)는 변기통(2)의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고, 바닥벽(86) 및 둘레벽(87)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로부터 멀어져 이 상단 개구를 개방한다. 이 때, 플랜지(8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로부터 멀어져 위치한다. 환언하면, 개방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고,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진 자세이다.When the lid 8 is in the open position, the operating portion 89 of the lid 8 hit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of the toilet bowl 2, and the bottom wall 86 and the peripheral wall 87, Away from the top opening of the body 20 to open this top opening. At this time, the flange 88 is located away from the flange 205 of the toilet baskets body 20. The rear end of the lid 8 hit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receptacle 23 and th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end of the lid 8 is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01 .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부(82)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돌조부(83)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조부(82)와 제 3 돌조부(84)의 각각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며, 제 2 돌조부(83)는, 구멍(85)보다 하방의 부분이,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다.As shown in Fig. 11, the protruding portion 82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86. As shown in Fig. The second projection 83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86. The third projection 84 project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86.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 82 and the third protruding portion 84 is hollow and open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80. The portion of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below the opening 85 is a portion And is ope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80.

돌조부(82)는 바닥벽(86)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조부(82)는, 둘레벽(87)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위치한다. 제 2 돌조부(83)는 바닥벽(86)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바닥벽(86)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둘레벽(87)의 후단부와 이어져 있다.The protrusion 82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wall 86. The projection 82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peripheral wall 87 with a gap there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83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wall 86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third projection 84 project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wall 86. The third projection 84 extends to the rea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7.

덮개(8)의 그립(81)은 플랜지(88)의 후단부와 조작부(8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 4 돌조부(8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4 돌조부(890)는 제 3 돌조부(84)와 이어져 있다. 그립(81)은 덮개(8)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위치한다. 제 4 돌조부(890)의 상면에는, 덮개(8)의 개폐 조작 시에 엄지 손가락이 올라가는 함몰부(891)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립(81)의 후단부의 상면에는, 엄지 손가락이 올라가는 함몰부(891)가 마련되어 있다. 제 4 돌조부(890)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이며,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다. 돌조부(82, 83, 84, 890)를 포함하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된 중공이다.The grip 81 of the lid 8 further includes a rear projection of the flange 88 and a fourth projection 890 protruding upward from the operation portion 89. The fourth protrusion 890 is connected to the third protrusion 84. The grip 81 is loca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lid 8.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projection 890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891 in which the thumb is raised when the lid 8 is opened and closed.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grip 81 is provided with a depressed portion 891 on which the thumb is raised. The fourth protruding portion 890 is hollow, which protrudes upward and opens downward, and is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80. The grip 81 including the protrusions 82, 83, 84, and 890 is hollow that opens toward the bottom of the cover body 80.

제 3 돌조부(84)와 제 4 돌조부(890)의 경계 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堰)(840)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립(81)의 후단부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840)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8)를 전방측의 부분만큼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한 자세로 했을 때, 제 3 돌조부(84)의 이면(하면)으로부터 조작부(89)의 이면(하면)으로 오수가 전달되어 흐르는 것을 보(84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A weir 840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hird protrusion 84 and the fourth protrusion 890. In other words, a beam 840 projecting downward is provid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grip 81. The wastewater is transferred from the rea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third ridge portion 84 to the rea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89 when the lid 8 is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upward by the portion on the front side Can be prevented by the beam 840.

덮개(8)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등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덮개(8)의 전단 부분의 돌조부(82)를 잡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트레이(3)에 장착된 변기통(2)에 대하여, 덮개(8)를 착탈할 때에, 트레이(3) 상의 변좌(10)의 전단부를 약간 위로 들어올리기만 하여도 되므로, 덮개(8)의 착탈의 조작을 하기 쉽다.As shown in Fig. 12, the lid 8 can hold the protruding portion 82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id 8 with one hand with the back of the hand facing upward. The front end of the toilet seat 10 on the tray 3 may be lifted up only slightly when the lid 8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oilet bowl 2 mounted on the tray 3, It is easy to carry out the detachment operation.

(2-5) 트레이(2-5) Tray

트레이(3)는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 아래에 배치되며, 변기통(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3)는 변기통(2)이 삽입되는 오목부(30)와, 오목부(30)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평면에서 보아 환상의 오수받이(31)와, 오수받이(31)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둘레벽(32)을 구비한다. 트레이(3)는 추가로 둘레벽(32)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변좌받이(33)와, 변좌받이(33)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 2 둘레벽(34)과, 제 2 둘레벽(34)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천장면부(35)를 구비한다. 트레이(3)는 추가로 천장면부(35)의 외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외측 프레임(36)과, 트레이(3)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전방 및 상방으로 개방된 오목단부(37)를 갖는다. 오목단부(37)는 변좌받이(33)의 전연에 연속하고 있다.The tray 3 is disposed under the toilet seat 10 of the portable toilet 1, and the toilet bowl 2 is detachably mounted. 13 and 14, the tray 3 includes a recess 30 into which the toilet basin 2 is inserted and an annular septum 31 seen from a plane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recess 30, And a circumferential wall 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stewater receiver 31. The tray 3 further has an annular seating seat 33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3 projecting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seat 33 34 and a ceiling surface portion 35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The tray 3 further has an outer frame 3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iling face portion 35 and a concave end 37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y 3 and open frontward and upward . The concave end portion (37) is continuous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locator seat (33).

오목부(30)는 변기통(2)의 외형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30)는 변기통 본체(20)가 삽입되는 본체부(300)와, 핸들(22)이 삽입되는 확장부(301)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오목부(30)는 변기통(2)의 본체 부분(변기통 본체(20))이 수용되는 본체부(300)와, 변기통(2)의 핸들(22)이 수용되는 확장부(301)를 포함한다. 확장부(301)는 본체부(300)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체부(300)와 확장부(301)는 연통되어 있다. 오목부(30)에는, 변기통 본체(20) 중, 외통(206)보다 하방의 부분 전체가 수용된다. 변기통 본체(20) 중, 플랜지(205)와 외통(206)은 오목부(3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The concave portion (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oilet bowl (2). The concave portion 30 includes a body portion 300 into which the toilet body 20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ortion 301 into which the handle 22 is inserted. In other words, the concave portion 30 has a body portion 300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toilet bowl 2 (the toilet bowl body 20) is accommodated, an extension portion 301 in which the handle 22 of the toilet bowl 2 is received, . The extension portion 301 is located behind the main body portion 300. The body portion 300 and the extension portion 301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recessed portion 30, the entire portion below the outer cylinder 206 of the toilet body main body 20 is accommodated. The flange 205 and the outer cylinder 206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20 are disposed above the recess 30.

확장부(301)의 상하 길이는 핸들(22)의 상하 길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본체부(300)에 비하여 짧다. 본체부(300)와 확장부(301)는 각각 바닥면을 갖는다. 확장부(301)의 바닥면은 본체부(300)의 바닥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받은 오수가 본체부(300)에 흘러내리도록 경사져 있다.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extension portion 301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handle 22 and are shorter than the body portion 300. The body portion 300 and the extension portion 301 each have a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301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and is inclined so that the received wastewater flows down to the main body 300.

오목부(30)와 오수받이(31)의 경계 부분으로부터는, 오목부(30)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른 환상의 보(38)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트레이(3)는 오목부(30)의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장자리를 따른 환상의 보(38)를 추가로 구비한다.An annular beam 38 is projected upwar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recess 30 and the wastepaper 31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recess 30. In other words, the tray 3 project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recess 30, and further has an annular beam 38 along the edge.

오수받이(31)는, 그 외주연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코너부(310)를 갖는다. 오수받이(31)의 상면은, 복수의 코너부(310)가 오수받이(31)의 상면의 복수의 코너부(310)를 제외한 어느 부분보다 낮아지도록, 전체가 경사져 있다. 복수의 코너부(310)는, 오수받이(31)의 외주연 중, 복수의 코너부(310)를 제외한 어느 부분보다 오목부(30)로부터 보다 멀어져 있다.The wastewater receiver (31)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positioned at a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basket 31 is entirely inclin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is lower than any portion except for the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paper 31. [ The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are further away from the recess 30 than any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ste receptacle 31 except for the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수받이(31)의 상면의 외형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며, 복수의 코너부(310)는 4개의 코너부(310)이다. 오수받이(31)는, 확장부(301)의 후방의 부분에, 오수받이(31)의 다른 부분보다 일단 높게 마련된 지지부(311)를 갖고 있다. 환언하면, 오수받이(3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310)의 사이의 부분에, 오수받이(31)의 다른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변기통(2)의 손잡이(9)를 지지하는 지지부(311)를 갖는다. 지지부(311)는 오목부(30)의 후방에 위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receptacle 31 has an outer shape of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are four corner portions 310. The wastewater receiver 31 has a support portion 311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301 at a position high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wastewater receiver 31. In other words, the wastebasket (31) is located above the other portion of the wastewater receiver (31) at a portion between the two corner portions (3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311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portion 311. The supporting portion 311 is located behind the concave portion 30.

오수받이(31) 중, 지지부(311)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에 있어서, 오수받이(31)의 상면은 오목부(30)로부터 멀어진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4개의 코너부(310)는, 오수받이(31)의 상면 중, 다른 부분보다 오목부(30)로부터의 거리를 멀리한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낮다.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receptacle 3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portion of the waste receptacle 31 remote from the recess 30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aste receptacle 31 except for the support portion 311. [ Four corner portions 310 are lower than other portion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basket 31 because they are located farther from the recess 30 than other portions.

둘레벽(32)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사각형이란,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것을 의미하며, 엄밀한 의미에서의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둘레벽(32)은 오수받이(31)의 상면으로부터 변좌받이(33)의 상면으로의 오수의 이동을 방지한다. 둘레벽(32)은, 보(38)와의 사이에, 제 2 자세 또는 제 3 자세로 한 손잡이(9)가 들어가도록, 보(38)로부터 멀어져 있다.The peripheral wall 32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plan view. In this specification, a rectangle means that the entire shape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and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in a strict sense. The circumferential wall 32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waste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receptacle 3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ator bearing 33. The peripheral wall 32 is spaced apart from the beam 38 so that one knob 9 is insert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32 and the beam 38 in the second or third posture.

변좌받이(33)는, 둘레벽(32)의 상단 중, 그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변좌받이(3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이다. 변좌받이(33)는, 그 후단부에 후방으로 확장된 확장부(330)를 포함한다.The locator bearing 33 protrudes outward from a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32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The seat cover 33 is substantially U-shaped in plan view. The float receiver (33)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330) extending rearward at the rear end thereof.

제 2 둘레벽(34)은, 변좌받이(33)의 외주연 중,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둘레벽(34)은, 변좌받이(33)의 전단부의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내측의 부분만큼,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protrudes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cus seat 33 excluding the central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is lowered by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ator seat 33.

천장면부(35)는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 천장면부(350)와, 제 2 둘레벽(34)의 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천장면부(351)를 포함한다.The ceiling surface portion 35 includes a rear ceiling surface portion 350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and a front ceiling surface portion 34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351).

후방 천장면부(350)는, 확장부(330)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방 천장면부(351)는, 오목단부(37)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제 2 둘레벽(34)의 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방 천장면부(351)는,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이며, 전방측의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rear ceiling surface portion 350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pansion portion 330. [ The front ceiling surface portion 351 is obliquely project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cave end portion 37 forward. The front ceiling surface portion 351 has an arc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and is located below the front side portion.

외측 프레임(36)은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우 한쌍의 전방 프레임(361)을 포함한다.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은, 좌우의 후방 천장면부(350)의 후연과 좌우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전방 프레임(361)은,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좌우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측의 전방 프레임(361)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좌측 단부가 위치하며, 좌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측의 전방 프레임(361)과 제 2 둘레벽(34)의 좌측 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우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우측의 전방 프레임(361)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우측 단부가 위치하고, 우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우측의 전방 프레임(361)과 제 2 둘레벽(34)의 우측 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가 위치하며, 좌우의 후방 프레임(360)과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The outer frame 36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36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frames 361. The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360 protrude downward in an L-shape as seen from a plane from the rear edge and the lateral edge of the left and right rear ceiling surface portions 350. The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frames 361 protrude downward from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front ceiling surface portions 351 in a straight line as seen in a plan view. A left end portion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rear frame 360 and the left front frame 361 and the left rear frame 360 and the left front frame 361, The left end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is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when viewed in plan. The right end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34 is positioned between the right rear frame 360 and the right front frame 361 and the right rear frame 360 and the right front frame 361, The right end of the peripheral wall 34 is continuous in a straight line when viewed in plan. A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360. A rear end portion of the left rear frame 360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4 are straight, .

오목단부(37)는, 둘레벽(32)의 전연과, 그 좌우에 위치하는 변좌받이(33)의 전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후방벽(370)과, 후방벽(37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벽(371)을 포함한다. 후방벽(370)의 상단은 정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이며, 변좌받이(33)의 상면과 동일한 상하 위치이다. 바닥벽(371)은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이다. 바닥벽(371)은 좌우의 단부의 상면이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상면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각각은 바닥벽(371)의 상면과 연속하도록 만곡된 원호면(352)을 포함하고 있다.The concave end portion 37 includes a front wall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a rear wall 37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float bearing 33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wall, And includes an extended bottom wall 371.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370 is straight and has the same upper and lower positions as the upper face of the locator seat 33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bottom wall 371 has an arc shap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top wall of the bottom wall 371 is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ront ceiling surfaces 351.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ont ceiling portions 351 includes an arc surface 352 curved to be continuou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371.

오목단부(3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변좌(10)의 구멍(100)보다 외측까지 확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cessed end portion 37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le 100 of the toilet seat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트레이(3)는, 변기 본체(4)의 트레이받이(44)(도 3 참조) 위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변기 본체(4)에 장착된다. 트레이(3)는, 변좌받이(33)의 좌우의 단부가, 좌우의 지지 부재(43) 상에 탑재되고, 오목단부(37)가, 전방판(40)의 오목부(400) 상에 탑재된다. 트레이(3)는 변기 본체(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The tray 3 is mounted on the toilet bowl main body 4 by being mounted on the tray receiver 44 (see Fig. 3)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float bearing 33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43 and the concave end portion 37 is mounted on the concave portion 400 of the front plate 40 do. The tray (3) is detachable from the toilet bowl main body (4).

트레이(3)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이 오목부(30)에 장착된다. 변기통(2)의 제 2 자세의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지지부(311) 상에 탑재되고, 한쌍의 중간부(95) 및 한쌍의 장착부(94)의 각각과, 오수받이(31)의 상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한쌍의 중간부(95)로부터 돌출되는 리브(91)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둘레벽(32)의 일부(둘레벽(32) 중 후방측의 코너부(310)의 상방의 부분)의 사이에는, 손가락 끝을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용자는, 이 공간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고, 손잡이(9)의 리브(91)(돌조편(910))에 손가락 끝을 거는 것에 의해, 손잡이(9)를 간단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In the tray 3, as shown in Fig. 15, the toilet bowl 2 is attached to the recess 30. The grip 9 of the second posture of the toilet bowl 2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grip portion 93 is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311 and each of the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nd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1 and the upper surface. A rib 91 protruding from a pair of intermediate portions 95 and a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32 at a position opposed thereto (a portion above the corner portion 310 on the rear side among the peripheral walls 32) A space into which a fingertip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knob 9 by inserting the fingertip into this space and putting the fingertip on the rib 91 of the knob 9 (the knob 910).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30)에 변기통(2)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외통(206)은, 그 하단이 오수받이(31)의 상면에 부딪친다. 보(38)는 변기통(2)의 변기통 본체(20)의 상부 부분(203)의 상단부와 외통(206)의 사이에 들어간다.16, when the toilet bowl 2 is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30,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206 bumps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water receptacle 31. As shown in Fig. The beam 38 enters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203 of the toilet body 20 of the toilet bowl 2 and the outer cylinder 206.

또한, 트레이(3)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0)가 장착된다. 변좌(10)는 트레이(3)의 변좌받이(33)에 의해 지지되고, 이 때, 변좌(10)의 전단부의 하방에는, 트레이(3)의 오목단부(37)가 위치한다. 변좌(10)는, 오목단부(37)와 변좌(10)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는 것에 의해, 변좌(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단부(37)는 변좌(10)의 구멍(100)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좌(10)는, 변좌(10)의 전단부 중, 구멍(100)의 전방이 오염되기 쉬운 부분이 아닌, 구멍(100)보다 좌우 방향 외측의 부분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toilet seat 10 is mounted on the tray 3. Fig. The toilet seat 10 is supported by the seat receiving portion 33 of the tray 3 and the concave end portion 37 of the tray 3 is positioned below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oilet seat 10 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oilet seat 10 can be lifted by inserting a finger between the recessed end portion 37 and the toilet seat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 end portion 37 extends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opening 100 of the toilet seat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toilet seat 10 can lift a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oilet seat 10 outside the hole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a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front of the hole 100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2-6) 변좌(2-6)

도 1,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00)을 중앙부에 갖는다. 변좌(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101)가 마련되어 있다. 변좌(10)는 복수의 스페이서(101)를 개재하고 변좌받이(33)에 탑재된다.As shown in Figs. 1, 18A and 18B, the toilet seat 10 has a hole 100 passing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ts central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10, a plurality of spacers 101 are provided. The toilet seat 10 is mounted on the locator seat 33 with a plurality of spacers 101 interposed therebetween.

변좌(10)는, 구멍(100)보다 전방측의 부분의 하면에, 오수의 전방으로의 튐을 억제하는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를 착탈 가능하게 갖는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좌(10)의 하면 중, 구멍(100)의 전연 부분에 장착된다.The toilet seat 10 has a sewage flow prevention member 102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a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hole 100 to suppress the wastewater from leaking forwar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wage flow prevention member 102 is mounted on the leading edge portion of the hole 100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seat 10. [

변좌(10)는 표면(상면 및 하면)이 쿠션재로 덮여 있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수지 성형품이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장착판(103)과, 장착판(103)의 후방측의 주연 부분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조부(104)를 포함한다. 돌조부(104)는,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이며, 장착판(103)의 길이방향(원호의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져 있다.The surface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10 is cover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he wastewater flow preventing member 102 is a resin molded product. The sewage flow prevention member 102 includes an arcuate mounting plate 103 in a plan view and a protruding portion 104 protruding downward from a peripheral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103. The projection 104 is circular in plan view and spans the entire length of the mounting plate 1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rc).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변좌(10)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로부터 나오는 오수를 받을 수 있고, 이 오수가 변좌(10)의 전방으로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변좌(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변좌(10)로부터 분리하여 오염물을 없앨 수 있어, 청소하기 쉽다.The wastewater flow preventing member 102 can receive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user who sits at the toilet seat 10 and sees the toilet seat 10 and can prevent the wastewater from splashing to the front of the toilet seat 10. [ Further, since the wastewater flow preventing member 102 can be detached from the toilet seat 10, the waste water flow preventing member 102 can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seat 10 to remove contaminants, which makes cleaning easier.

(2-7) 팔걸이(2-7) Armrest

포터블 변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멀어진 한쌍의 팔걸이(7)를 갖고 있다. 각 팔걸이(7)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고정된 대좌부(62)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쌍의 팔걸이(7)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oilet 1 has a pair of armrests 7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19, each armrest 7 is supported by a pedestal portion 62 fixed to a support plate 60 of the toilet bowl body 4 and is rotatably mounted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The pair of armrests 7 are independently rotatable.

각 대좌부(62)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판(60)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대좌부(62)는 지지판(60)의 외측방의 면(이하, 외측면)에 장착되는 기대 플레이트(63)와, 지지판(60)에 있어서 기대 플레이트(63)의 반대측의 면(이하, 내측면)에 장착되는 백 플레이트(64)를 구비하고 있다. 각 대좌부(62)는 한쌍의 지지판(60)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0, each pedestal portion 62 is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edestal portion 62 includes a base plate 63 mounted on a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er side surface), a base plate 6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se plate 63 And a back plate 64 mounted on the back plate 64. Each pedestal portion 62 is mounted on each of a pair of support plates 60.

기대 플레이트(63)는,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635)이 마련된 외측 고정판부(631)와, 외측 고정판부(631)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지지판(60)의 내측면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편(634)을 구비하고 있으며, 횡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고정판부(631)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연직면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면(632)과, 메인 면(632)으로부터 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돌출된 회전축(633)을 갖고 있다. 외측 고정판부(631)는, 지지판(60)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면(632)은 연직면을 따른 상태가 된다. 회전축(63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팔걸이(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base plate 63 has an outer fixed plate portion 63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 insertion holes 635 and an inner fixed plate portion 631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outer fixed plate portion 631, And a pair of protruding pieces 634 protruding inwardly (in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 The outer fixed plate portion 631 has a main surface 632 made of a vertical surface orthogona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rotary shaft 633 protruding out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main surface 632. The outer fixing plate portion 631 is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0 so that the main surface 632 is in a state of being along the vertical surface. The rotating shaft 633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armrest 7 is rotatably mounted.

백 플레이트(64)는 기대 플레이트(63)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다. 백 플레이트(64)는 지지판(60)의 내측면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백 플레이트(64)는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이 마련된 내측 고정판부(641)와, 내측 고정판부(641)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지지판(60)의 외측면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편(642)을 구비하고, 횡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고정판부(641)는 지지판(60)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64)의 돌출편(642)은 기대 플레이트(63)의 돌출편(634)과 지지판(60)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back plate 64 is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base plate 63. The back plate (64) is moun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0). The back plate 64 includes an inner fixed plate portion 64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 insertion holes and an outer fixed plate portion 641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inner fixed plate portion 641 to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0 And a pair of protruding pieces 642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642. The protruding pieces 642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 in cross section. The inner fixing plate portion 641 is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0. The projecting pieces 642 of the back plate 64 are disposed between the projecting pieces 634 of the base plate 63 and the support plate 60. [

대좌부(62)는, 백 플레이트(64)를 지지판(60)의 내측면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기대 플레이트(63)를 지지판(60)의 외측면측으로부터 끼우고, 기대 플레이트(63)와 백 플레이트(64)를 고착구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장착된다. 백 플레이트(64)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이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64)에 대한 기대 플레이트(63)의 장착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다. 지지판(60)에는, 고착구 삽통 구멍(635)에 대응하는 개소에, 고착구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The pedestal portion 62 is formed by fitting the base plate 63 from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0 while the back plate 64 is sandwich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0, And the back plate 64 is fastened with a fastener. The back plate 6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 through-hole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ough not particularly show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63 with respect to the back plate 64 can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6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ixing hole is inser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through hole (635).

팔걸이(7)는 대좌부(62)의 회전축(633)에 지지되어 있다. 팔걸이(7)에는 축 구멍부(7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축 구멍부(711)에 회전축(633)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63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빠짐 방지 부재(65)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팔걸이(7)가 회전축(633)에 장착된다. 팔걸이(7)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와, 해제 조작부[슬라이드 레버(72)]와, 연동부(73)와, 보지부(74)를 구비하고 있다.The armrest 7 is supported on the rotary shaft 633 of the pedestal portion 62. The arm rest 7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portion 711 and the stopper member 65 is fixed to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633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shaft 633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portion 711 The armrest 7 is mounted on the rotary shaft 633. [ 21, the armrest 7 is provided with an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 release operating portion (slide lever 72), an interlocking portion 73, and a holding portion 74. [

팔걸이 본체부(71)는 팔걸이(7)의 주체이다. 팔걸이 본체부(71)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동부(73)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712)와, 하우징부(712)의 상면에 고정되는 팔 거치부(713)와, 엔드 캡부(714)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팔걸이 본체부(71)는 연동부(73)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부(712)를 갖는다. 엔드 캡부(714)는, 하우징부(712)에 연동부(73)가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부(712)의 선단측의 개구부(712a)에 장착된다.The armrest main body 71 is the main body of the armrest 7.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ncludes a housing portion 712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accommodates the interlocking portion 73 therein, an arm fixing portion 713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712, And a cap portion 714. In other words,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has a tubular housing portion 712 for housing the interlocking portion 73. The end cap portion 714 is attached to the opening 712a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housing portion 712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 portion 73 is housed in the housing portion 712. [

팔걸이 본체부(71)는 대좌부(62)의 회전축(633)에 장착된다. 팔걸이 본체부(71)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제 1 자세와, 제 1 자세로부터 회전한 위치인 제 2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환언하면, 팔걸이 본체부(71)는, 변기 본체(4)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자세의 위치와 제 1 자세의 위치로부터 회전한 제 2 자세의 위치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자세는 제 1 자세로부터 팔걸이 본체부(71)가 상방으로 회전한 위치에 있는 자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자세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른(여기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 자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팔걸이 본체부(71)는 제 1 자세와 제 2 자세가 이루는 각이 90°이며, 제 1 자세의 위치로부터 제 2 자세의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팔걸이 본체부(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자세의 위치 또는 제 2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 대좌부(62)에 보지된다.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633 of the pedestal portion 62. As shown in Fig. 19,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second posture, which is a position rotated from the first posture. In other words,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inclined relative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4 in the first postur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 the second posture rotated from the first posture And thus is rotatably mounted about the extended rotation axis 633. [ The second pos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osture in which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rotated upward from the first postur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along the up-down direction (here, parallel to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rest main body 71 has an angle formed by the first posture and the second posture of 90 degrees, and is rotatabl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tur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ture. As described later,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held by the pedestal portion 62 when it is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ture or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ture.

해제 조작부는, 대좌부(62)에 보지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를, 해제하는 부재이다. 해제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보지부(74)에 의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72)이다. 슬라이드 레버(72)가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 보지부(74)에 의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가 해제된다.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란, 팔걸이 본체부(71)가 제 1 자세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 하방의 영역을 말한다.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is a member for releasing the holding stat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held by the pedestal portion 62. [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is operat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can release the holding stat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by the holding portion 74 by the user's operation.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lide lever 72 which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When the slide lever 7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the holding stat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by the holding portion 74 is released. The slide lever 72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Here, the "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refers to a region below the center in the up-down direction when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in the first posture.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본 실시형태에서는 팔 거치부(713)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의 중앙부(721)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의 중앙부(72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721)」란, 예를 들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3등분했을 때의 중앙 부분의 영역을 말한다.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중앙부(721)에 있어서, 하우징부(71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서 또한 제 1 자세에 있어서의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버(72)는 연동부(73)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부(73)는, 슬라이드 레버(7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The slide lever 72 is dis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the rotation shaft 6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More specifically, the slide lever 7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ip end of the arm rest portion 713 (in this embodiment, the tip end of the arm rest portion 713)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the rotation shaft 633 In the center portion 721 of the main body 711. In other words,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tip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the rotation shaft 633 in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More specifically,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721 between the tip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the rotation shaft 633 in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The " center portion 721 " as used herein refers to, for example, a central region whe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The slide lever 7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712 at the central portion 721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In other words,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the rotation shaft 633 in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below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n the first posture . The slide lever 72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portion 73. The interlocking portion (73)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lever (72).

연동부(73)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연동부(73)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의 단부에 슬라이드 레버(72)가 연결되며, 회전축(633)측의 단부(기단부)에, 보지부(74)를 동작시키는 작동부(731)가 형성되어 있다.The interlocking portion 73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s shown in Fig. The interlocking portion 73 has a slide lever 72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dist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a retaining portion 74 is provided on an end An operating portion 731 is formed.

작동부(731)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보지부(7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동부(731)의 선단부면에는, 작동면(732)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면(732)은,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만큼, 좌우 방향 중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작동면(732)에는, 보지부(74)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작동부(731)에는, 코일 스프링(733)으로 이루어지는 부세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동부(73)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에 부세되어 있다.The operating portion 731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to thereby move the holding portion 7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operating surface 732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731. [ The operation surface 732 is inclin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toilet seat main body 4 side (insid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On the operation surface 732, the holding portion 74 is disposed in a contacted state. The actuating portion 731 is provided with a taxe consisting of a coil spring 733. As a result, the interlocking portion 73 is biased to the dist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보지부(74)는 연동부(73)에 의해 동작된다. 보지부(74)는, 팔걸이 본체부(71)가 제 1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대하여 팔걸이 본체부(71)를 보지한다. 보지부(74)는 작동부(731)의 작동면(732)에 접촉하는 압압면(742)을 갖는 보지부 본체(741)와, 로크 핀(743)과, 축부(74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744)에는, 코일 스프링(745)으로 이루어지는 부세체가 동심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보지부(74)는, 부세체에 의해,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로크 핀(743)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가압된다.The holding portion 74 is operated by the interlocking portion 73. The holding section 74 holds the armrest main body section 71 against the support plate 60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when the armrest main body section 71 is in the first attitude position. The retaining portion 74 has a retaining portion main body 741 having a pressing surface 742 contacting the operation surface 732 of the actuating portion 731, a lock pin 743 and a shaft portion 744 . On the shaft portion 744, a buoy body made of a coil spring 745 is mounted concentrically. The retaining portion 74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auxiliary body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4 side (the inn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reby, the lock pin 743 is pressed toward the toilet bowl main body 4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압압면(742)은 작동면(732)에 대하여 평행하게 경사진다. 압압면(742)은,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731)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만큼,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압압면(742)은 작동면(732)에 면형상으로 접촉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조작하여, 작동부(731)가 보지부 본체(741)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본체(741)가 코일 스프링(745)을 가압하여 되돌리면서(압축시키면서),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놓으면, 도 2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45)으로 가압되어,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이동한다. 연동부(73)는 보지부 본체(741) 및 코일 스프링(733)으로 가압되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The pressure surface 742 is inclined in parallel to the working surface 732. As shown in Figs. 22A and 22B, the pressing surface 742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4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by the operating portion 731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The middle room). The pressing surface 742 contacts the working surface 732 in a planar mann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slide lever 72 to move the operation portion 731 to the pawl portion main body 741 side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s shown in Fig. 22B, The retainer main body 741 move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4 (the outsid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pressing the coil spring 745 backward (compressing). 22A, the holding portion main body 741 is pressed by the coil spring 745 so that the holding portion main body 741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interlocking portion 73 is pressed by the holding portion main body 741 and the coil spring 733 to move toward the distal end sid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로크 핀(743)은 보지부 본체(741)로부터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크 핀(743)은 대좌부(62)의 기대 플레이트(63)에 마련된 구멍(636)으로 진입·후퇴 가능하다. 로크 핀(743)은,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이동하면, 팔걸이 본체부(7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로크 핀(743)은, 기대 플레이트(63)의 구멍(636)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한다. 환언하면, 로크 핀(743)은, 변기 본체(4) 측에 마련된 구멍(636)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한다. 연동부(73)는 해제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해 로크 핀(743)을 동작시킨다.The lock pin 743 protrudes from the retainer main body 741 toward the toilet bowl main body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ock pin 743 is capable of entering and retracting into the hole 636 provided in the base plate 63 of the pedestal portion 62. The lock pin 74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when the retaining portion main body 741 moves toward the toilet bowl main body 4 side (inn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ock pin 743 enters the hole 636 of the base plate 63 to thereby hold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gainst the toilet bowl body 4. [ In other words, the lock pin 743 enters the hole 636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thereby holding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gainst the toilet bowl main body 4. The interlocking portion 73 operates the lock pin 743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한편, 로크 핀(743)은,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하면, 팔걸이 본체부(71)의 내측면보다 후퇴하여, 기대 플레이트(63)의 구멍(636)으로부터 빠진다. 환언하면, 로크 핀(743)은, 해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연동부(73)로 가압되어 후퇴하고, 구멍(636)으로부터 빠진다. 이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22B, when the retaining portion main body 741 is mov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4 (outsid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ock pin 743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insid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nd is withdrawn from the hole 636 of the base plate 63.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lock pin 743 is pushed and retracted by the interlocking portion 73 by the operation of the disengagement operating portion, and the lock pin 743 is disengaged from the hole 636. In this state,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can rotate around the rotation shaft 633. [

팔걸이(7)는, 제 1 자세에 있을 때와, 제 2 자세에 있을 때는 양쪽에서,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대하여 팔걸이 본체부(71)가 보지된다. 환언하면, 보지부(74)는, 제 2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 가능하다. 즉, 기대 플레이트(63)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633)으로부터 로크 핀(743)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며 또한 회전축(633)을 중심으로 한 가상원 상에 있어서, 회전축(633)에 대하여 상방으로 나열된 위치와, 전방으로 나열된 위치에 각각 구멍(636)이 형성되어 있다.The armrest 7 is held in the armrest main body 71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60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4 both when the armrest 7 is in the first posture and when it is in the second posture.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holding portion 74 is in the second posture,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can be held against the toilet bowl main body 4. That is, as shown in Fig. 20, in the imaginary circle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633,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633 to the lock pin 743 is set to be a radius, Holes 636 are formed at positions alig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633 and at positions aligned forward, respectively.

팔걸이(7)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고정 부재(75)를 갖고 있다.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보지부(74)가 후퇴하여 로크 핀(743)이 구멍(636)으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보지부(74)를 고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로크 핀(743)을 구멍(636)으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에 대하여 고정한다.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보지부(74)의 축부(744)를 보지 가능한 고정 구멍(751)을 갖고 있으며,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armrest 7 has a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75 as shown in Fig.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75 can fix the holding portion 74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74 is retracted and the lock pin 743 is removed from the hole 636. [ In other words,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75 fixes the lock pin 743 with respect to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n a state where the lock pin 743 is removed from the hole 636.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75 has a fixing hole 751 for holding the shaft portion 744 of the holding portion 74 and is slid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

축부(744)는, 보지부(74)(로크 핀(743))가 후퇴하면,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축부(744)에는, 잘록한 부분(746)이 형성되어 있다. 잘록한 부분(746)은,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74)(로크 핀(743))가 후퇴한 상태에 있어서, 축부(744) 중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The shaft portion 744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s shown in Fig. 23A when the holding portion 74 (lock pin 743) is retracted. A constricted portion 746 is formed in the shaft portion 744. The constricted portion 746 is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of the shaft portion 744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portion 74 (lock pin 743) is retracted, as shown in Fig. .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회전축(633)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보지부(74)가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하여,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축부(744)의 잘록한 부분(746)이 돌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지부 고정 부재(75)를 회전축(633)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구멍(751)의 외주부가 축부(744)의 잘록한 부분(746)으로 인입되어, 후퇴 상태의 보지부(74)(로크 핀(743))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23B, when the user moves the slide lever 72 to the rotating shaft 633 side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the holding portion 7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main body 4, And the constricted portion 746 of the shaft portion 744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when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75 is moved to the rotating shaft 633 side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as shown in Fig. 23C,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drawn into the constricted portion 746 of the shaft portion 744 to fix the retracted retaining portion 74 (lock pin 743). In this state, the armrest main body portion 71 is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shaft 633. [

(3) 변형예(3) Modifications

이어서,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portable toilet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포터블 변기(1) 중, 덮개(8)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구조여도 좋다.The rest of the portable toilet 1 excluding the lid 8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ther structures may be used.

그립(81)은 돌조부(82)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는 연결되지 않고,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해도 좋다.The grip 81 may be composed only of the protruding portion 82 or may be composed of only the protruding portion 82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 The protruding portion 82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ut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상세하게는 둘레벽(87)의 후단 부분)으로부터 멀어져 위치해도 좋다.The third projection 84 may be located away from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specifically,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87).

돌조부(82)는 덮개 본체(80)의 전연(상세하게는 둘레벽(87)의 전단 부분)에 연결되어도 좋다.The protruding portion 82 may be connected to the leading edge of the lid body 80 (specifically,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87).

(4) 덮개의 특징과 효과(4) Features and effects of cover

상술한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포터블 변기(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의 덮개(8)는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As is clear from the portable toilet 1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modifications thereof, the lid 8 of the first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제 1 태양의 덮개(8)는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의 하방에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기통(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8)이다. 제 1 태양의 덮개(8)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80)와, 덮개 본체(8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81)을 구비한다.That is, the lid 8 of the first embodimen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toilet bowl 2 so as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2 of the dirt receptacle mounted below the toilet seat 10 of the portable toilet 1 (8). The lid 8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lid body 80 that closes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oilet bowl 2 and a grip 81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lid body 80.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마련된 돌조부(82)를 구비한다.The grip 81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80 and the leading edge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82 which is grasped by one hand.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의 전측에 위치하는 돌조부(82)를 한 손으로 파지해서, 변기통(2)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태양의 덮개(8)에서는, 포터블 변기(1)에 장착된 변기통(2)의 상방에 있는 변좌(10)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변기통(2)에 대해서 덮개(8)를 착탈할 수 있다.In the lid 8 of the firs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rotruding portion 8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d body 80 is grasped with one hand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oilet bowl 2. Therefore, in the lid 8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front part of the toilet seat 10 located above the toilet bowl 2 mounted on the portable toilet 1 is lifted a little, 8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또한, 제 2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lid 8 of the second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8 of the first aspect.

즉, 제 2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83)를 더 구비한다. 제 2 돌조부(83)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85)을 포함한다.That is, in the lid 8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grip 81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id body 80. The second projection 83 includes a hole 85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2 태양의 덮개(8)에서는, 제 2 돌조부(83)의 구멍(85)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부착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덮개(8)의 중앙부를 파지한 조작도 가능하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lid 8 of the second aspect,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finger through the hole 85 of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and by hold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lid 8 Operation is also possible.

또한, 제 3 태양의 덮개(8)는, 제 2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lid 8 of the third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8 of the second aspect.

즉, 제 3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84)를 더 구비한다. 돌조부(82)아 제 2 돌조부(83)와 제 3 돌조부(84)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다.That is, in the lid 8 of the third embodiment, the grip 81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ding portion 84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The protruding portion 82,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83 and the third protruding portion 84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3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8)의 후단부를 파지한 조작도 가능하고, 또한 돌조부(82, 83, 84)가 일직선형상에 이어져 있는 것에 의해, 덮개 본체(80)의 강도의 향상이 보다 도모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d 8 of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be operated by holding the rear end of the lid 8, and the protruding portions 82, 83, 84 are connected to a straight line, The strength of the lid body 80 is further improved.

또한, 제 4 태양의 덮개(8)는, 제 3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lid 8 of the fourth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8 of the third aspect.

즉, 제 4 태양의 덮개(8)에서는,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에 이어져 있다.That is, in the lid 8 of the fourth aspect, the third projection 84 extends to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4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의 후연까지 제 3 돌조부(84)에 의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lid 8 of the fourth aspect, the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84 to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80. [

또한, 제 5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lid 8 of the fifth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8 of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즉, 제 5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 중공이다.That is, in the lid 8 of the fifth aspect, the grip 81 is hollow, opening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80. [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5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변기통(2)에의 착탈의 작업이 쉽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lid 8 of the fifth embodiment, the weight of the grip 81 is reduced, and the opera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grip 81 to the toilet bowl 2 is easy.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8 of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즉,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바닥벽(86)과, 바닥벽(86)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87)과, 둘레벽(87)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88)를 구비한다. 돌조부(82)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at is, in 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the lid body 80 includes a bottom wall 86 for clos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oilet bowl 2, a peripheral wall 86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86, And a flange 88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8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rojecting portion 82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86.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는, 1개의 평탄한 판형상인 경우에 비해,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두께를 억제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착탈의 작업이 쉽다.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가 1개의 평탄한 판형상인 경우에 비해, 돌조부(82)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8)의 상방에 필요한, 돌조부(82)를 파지하는 손을 넣기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변좌(10)의 앞부분을 들어올리는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변좌(10)와 변기통(2)의 사이로 덮개(8)를 전방으로부터 집어넣어서 변기통(2)에 덮개(8)를 장착할 때에, 둘레벽(87)의 전단부를 변기통(2)의 전연에 부딪치는 것으로, 변기통(2)에의 덮개(8)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the lid body 80 is easier to secure the strength, can be made thinner and lighter in weight,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one flat plate typ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In 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82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d body 80 has a single flat plate shape. As a result, in 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the space for inserting the hand h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82, which is necessary above the lid 8, can be reduced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toilet seat 10 is lifted The elevation height can be suppressed. In the lid 8 of the sixth aspect, when the lid 8 is inserted into the toilet bowl 2 from the front by inserting the lid 8 between the toilet seat 10 and the toilet bowl 2, the peripheral wall 87 The lid 8 can be easi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wl 2 by bumping against the leading edge of the toilet bowl 2. [

이상,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ppropriate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포터블 변기
2: 변기통
8: 덮개
80: 덮개 본체
81: 그립
82: 돌조부
83: 제 2 돌조부
84: 제 3 돌조부
85: 구멍
86: 바닥벽
87: 둘레벽
88: 플랜지
10: 변좌
1: portable toilet bowl
2: Toilet seat
8: Cover
80: lid body
81: Grip
82: Stone budding
83: 2nd stone jug
84: Third stones
85: hole
86: bottom wall
87: circumferential wall
88: Flange
10: toilet seat

Claims (6)

포터블 변기의 변좌의 하방에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변기통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A lid detachably mounted on a toilet bowl to close an upper opening of a toilet bowl for use with a dirt receptacle to be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A cover body clos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oilet bowl,
And a grip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body,
The grip
And a protru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leading edge and which is held by one hand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돌조부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hole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돌조부와 상기 제 2 돌조부와 상기 제 3 돌조부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p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ding portion located between a center portion and a rear edge of the lid body,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the third protruding portio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돌조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후연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third protrusion extends to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grip is a hollow opening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cov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는,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돌조부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id body includes a bottom wall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a peripheral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and a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in the peripheral direction In add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cover.
KR1020180060287A 2017-05-30 2018-05-28 Lid KR1020056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6837A JP6960597B2 (en) 2017-05-30 2017-05-30 lid
JPJP-P-2017-106837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30A true KR20180131430A (en) 2018-12-10
KR102005675B1 KR102005675B1 (en) 2019-07-30

Family

ID=6454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87A KR102005675B1 (en) 2017-05-30 2018-05-28 Li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0597B2 (en)
KR (1) KR102005675B1 (en)
CN (1) CN108968773A (en)
TW (1) TW20190009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6217A1 (en) 2021-06-21 2022-12-21 Tonyelen Int Srl Portable sanitation k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2901A (en) * 2013-07-03 2015-01-2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2015012902A (en) 2013-07-03 2015-01-2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3883Y2 (en) * 1972-08-31 1976-12-23
JPS5582205U (en) * 1978-11-28 1980-06-06
JP2588694Y2 (en) * 1993-11-30 1999-01-13 本間冬治工業株式会社 Bucket with lid
US5411161A (en) * 1994-08-19 1995-05-02 Fish, Jr.; Milton L. Container having a twist-locking cover
JP3274299B2 (en) * 1994-11-09 2002-04-15 蝶プラ工業株式会社 Trash container
JP3085510U (en) * 2001-10-22 2002-05-10 株式会社リッチェル Bucket receiver for chair-type toilet and chair-type toilet with the same
CN2770526Y (en) * 2004-11-18 2006-04-12 深圳市天锋行实业有限公司 Stewing pot
CN202942013U (en) * 2012-10-26 2013-05-22 浙江辉伦婴童用品有限公司 Infant multifunctional toilet bowl
CN203555533U (en) * 2013-11-14 2014-04-23 徐燕 Pan
US20150182402A1 (en) * 2013-11-19 2015-07-02 Liftseat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and Waste Control
TWM490842U (en) * 2014-05-09 2014-12-01 Univ Chang Gung Science & Technology Improved sanitation potty
CN205251388U (en) * 2015-12-31 2016-05-25 中山市福仕得健身器材有限公司 Toilet seat chair of scalable reg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2901A (en) * 2013-07-03 2015-01-2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2015012902A (en) 2013-07-03 2015-01-2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675B1 (en) 2019-07-30
TW201900092A (en) 2019-01-01
CN108968773A (en) 2018-12-11
JP2018201588A (en) 2018-12-27
JP6960597B2 (en)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628B1 (en) Bucket
US6893040B2 (en) Safety seat anchoring mechanism for stroller
US8714639B2 (en) Infant carrier with handle
KR101991627B1 (en) Bucket
KR102005675B1 (en) Lid
KR20180131431A (en) Portable toilet and armrest
JP5852766B1 (en) Wheelchair and main wheel unit
US20140259338A1 (en) Child's Potty Ring
KR200487545Y1 (en)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KR20140063424A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KR20180131433A (en) Tray
JP2013116199A (en) Toilet bowl apparatus
KR20160076752A (en)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JP5848479B1 (en) wheelchair
WO2023189327A1 (en) Portable toilet
KR20140063421A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JP7521923B2 (en) Chair
KR20100001994A (en) Kart for baby and car seat
KR20080050857A (en) Kart for baby and car seat
JP2005161097A (en) Mounting structure of stool seat and/or stool cover
JP5870229B1 (en) Wheelchair and coupling mechanism
KR20100001967A (en) Kart for baby and car seat
JP6093420B1 (en) child seat
JP2023149844A (en) portable toilet
JP2020065876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