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30A - Lid - Google Patents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1430A KR20180131430A KR1020180060287A KR20180060287A KR20180131430A KR 20180131430 A KR20180131430 A KR 20180131430A KR 1020180060287 A KR1020180060287 A KR 1020180060287A KR 20180060287 A KR20180060287 A KR 20180060287A KR 20180131430 A KR20180131430 A KR 201801314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main body
- toilet bowl
- toilet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터블 변기의 변좌의 아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of a toilet bowl for a dirt receptacle which is detachably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특허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5-12902 호)에는, 변좌의 아래에, 오물을 수용하는 변기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변기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 (JP-A-2015-12902) discloses a portable toilet seat in which a toilet bowl for accommodating dirt is detachably mounted under a toilet seat.
변기통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호형상의 손잡이와, 상단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The toilet bowl is provided with a circular-shaped handle rotatably mounted and a lid closing the opening at the upper end.
덮개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손가락을 통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덮개는, 예를 들면, 손잡이의 구멍에 손가락이 통과되고, 손등이 측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오르내림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a handle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finger passes is provided in the hand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lid is raised or lowered by one hand, for example, a finger is passed through the hole of the handle and the back of the hand is directed to the side.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포터블 변기에서는, 변좌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려, 변좌의 앞부분과 변기통과의 사이에 형성된 좁은 스페이스에서, 변기통에 대해서 덮개를 부착분리하는 것은 어렵다.However, in the portable toilet described in
본 발명은, 변기통의 상방의 변좌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변기통에의 부착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덮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d for a toilet bowl for a dirt receptacle, which is capable of attaching / detaching to / from a toilet bowl only by slightly rai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oilet seat above the toilet bowl.
본 발명에 관한 일 태양의 덮개는, 포터블 변기의 변좌의 하방에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변기통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이다. 일 태양의 덮개는,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구비한다.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를 구비한다.A li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detachably mounted on the toilet bowl to close an upper opening of a toilet bowl of a dirt receptacle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The lid of the sun cover includes a lid body that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and a grip protruding upward from the lid body. The grip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leading edge,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gripped by one han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좌면 시트를 절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좌면 시트로 변좌를 덮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를, 트레이와 변기통과 변좌와 좌면 시트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변기통을,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을, 덮개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주요부를, 덮개와 손잡이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내용물을 버리는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손잡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의 덮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통에 대하여 덮개를 장착과 분리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에 변기통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트레이에 장착된 변기통의 손잡이에 손을 거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변좌를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며, 도 18b는 도 18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팔걸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변기 본체로부터 팔걸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팔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팔걸이의 보지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보지부 고정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seat surface sheet is fold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covered with a seat surface shee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tray, a toilet bowl, a toilet seat and a seat surface sheet omitte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toilet bowl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clos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id omitte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lid and a handle omitted.
8 is a sid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contents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arded.
Figs.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e of rotating a handle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of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lid is mounted and separated with respect to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mounted on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hand is put on a handle of a toilet bowl attached to a tra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A is a bottom view showing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8A.
19 is a side view showing an armrest of a portabl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is separated from a toilet bowl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A and 22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portion of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A to 23C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mber.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포터블 변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변좌의 하방에, 오물(사람이 배설한 소변과 변 중 적어도 하나)받이용의 변기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oilet where a toilet bowl for receiving dust (at least one of urine and sides disposed of a person) is detachably mounted below the toilet seat.
(1) 포터블 변기의 개요(1) Overview of Portable Toilet
도 1 및 도 2에는,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a
포터블 변기(1)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2)과, 변기통(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레이(3)와, 변기통(2) 및 트레이(3)가 수납되는 변기 본체(4)와, 변기 본체(4)를 지지하는 다리(5)와, 변기 본체(4)에 지지되는 등받이(6) 및 팔걸이(7)를 구비한다. 변기통(2)은 덮개(8)와 손잡이(9)(도 4 참조)를 구비한다. 포터블 변기(1)는 추가로 변기 본체(4)에 장착되는 변좌(10)와 좌면 시트(11)를 구비한다.The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서, 등받이(6)에 대하여 변기통(2)이 위치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이며,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방향이 우측이며, 화살표(Z)로 나타내는 방향이 상방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state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side on which the
(2) 포터블 변기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2)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portable toilet bowl
(2-1) 변기 본체(2-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4)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다. 변기 본체(4)는, 예를 들면 목제이다. 변기 본체(4)는 전방판(40), 후방판(41), 좌우 한쌍의 측판(42), 및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를 갖는다. 전방판(40)과 후방판(41)과 좌우 한쌍의 측판(42)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oilet bowl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의 각각은, 예를 들면 사각봉형상이다.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는, 전방판(40)의 우측 단부와 후방판(41)의 우측 단부의 사이와, 전방판(40)의 좌측 단부와 후방판(41)의 좌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걸쳐져 있다.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는 트레이(3)의 높이분 만큼 좌우 한쌍의 측판(42)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Each of the pair of right and
전방판(40)의 상면의 좌우의 단부와,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의 상면은 면일이다. 전방판(40)의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의 오목부(400)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판(40)과 좌우 한쌍의 지지 부재(43)가 트레이(3)를 지지하는 트레이받이(44)이다. 트레이(3)는 트레이받이(4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좌우 한쌍의 측판(42)의 각각은, 그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지지판(60)을 포함한다.Each of the pair of left and
(2-2) 좌면 시트(2-2) Seat seating sheet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 시트(11)는, 그 후단부가, 변기 본체(4)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좌면 시트(11)는 2겹으로 접을 수 있는 시트이다. 좌면 시트(11)는 변좌(10) 위에 탑재되는 도복(倒伏) 자세(도 2 참조)와, 변기 본체(4)의 후단부의 상방으로 2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기립하는 기립 자세(도 1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복 자세로 했을 때의 좌면 시트(11)의 상면은 좌면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좌면 시트(11)는 표면 전체가 쿠션으로 덮여 있다. 좌면 시트(11)는 2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변기 본체(4)의 후방에서 도복하는 제 2 도복 자세에서 추가로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rear end portion of the
좌면 시트(11)의 전방 부분에는, 밴드(110)가 마련되어 있다. 이용자는 밴드(110)를 잡는 것에 의해 좌면 시트(11)의 자세를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On the front portion of the
(2-3) 등받이(2-3) Backrest
등받이(6)는 한쌍의 지지판(6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한다. 등받이(6)는, 그 표면 전체가 쿠션(61)으로 덮여 있다.The
(2-4) 변기통(2-4) Toilet seat
변기통(2)은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의 하방[즉, 트레이(3)]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은 바닥벽(200)과 둘레벽(201)을 갖는 변기통 본체(20)와,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탑재되는 덮개(8)를 구비한다. 변기통(2)은 추가로, 둘레벽(20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활(arch)형상의 손잡이(9)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9)는 원호형상이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은 추가로, 둘레벽(201)의 전단부의 상단에 마련된 주둥이(21)와, 둘레벽(201)의 후단부에 마련된 핸들(22)과, 핸들(2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둘레벽(201)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된 덮개받이(23)를 구비한다. 핸들(22)은 상하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봉형상이다.The
덮개(8)는 둘레벽(201)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자세(도 4 참조)와, 둘레벽(201)의 상단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도 8 참조)로 전환 가능하다. 폐쇄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부딪치는 자세이다. 개방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며, 덮개(8)의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진 자세이다. 덮개(8)의 후단부의 하면과 덮개받이(23)의 상면 중 적어도 한쪽은,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서로 멀어져 위치하며, 또한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서로 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다.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을 때, 주둥이(21)는 덮개(8)에 의해 폐색되며,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주둥이(21)는 개방된다.The
(2-4-1) 변기통 본체(2-4-1) Toilet bowl main body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200)의 상면은 원형상이다. 바닥벽(200)은 원판형상이다. 바닥벽(2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두께)는 일정하다. 둘레벽(201)은 바닥벽(200)의 외주연과 연속하고 있다. 둘레벽(201)의 하단부로부터, 바닥벽(200)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환상의 다리(202)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201)은, 내주면의 평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의 상부 부분(203)과, 내주면의 평단면형상이 원형상의 하부 부분(204)을 갖는다. 상부 부분(203)은, 상측의 부분만큼 내경이 커지도록, 내주면이 경사져 있다. 하부 부분(204)은, 상측의 부분만큼 내경이 커지도록, 내주면이 경사져 있다. 둘레벽(201)은 두께가 일정하며, 외주면의 형상이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둘레벽(201)은 상부 부분(203)의 상연으로부터 직경 외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05)와, 플랜지(205)의 외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외통(206)을 포함한다. 플랜지(205)의 상면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이다. 상부 부분(203)은, 그 전단부에, 주둥이(21)에 연속하도록 전방측으로 불룩한 팽출부(207)를 갖는다.The
플랜지(205)는, 상부 부분(203)의 상연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에서 보아 타원의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05)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외주연과 내주연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좁아진 전단부가 주둥이(21)의 가장자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205)의 전단부에 있어서, 내주연은, 외주연보다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외주연과 내주연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있다. 주둥이(21)는 하류측(전방측)만큼 유로 면적이 좁아져 있다.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dge of the
플랜지(205)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 외주연이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을 이루며, 내주연과의 사이가 좁아져 있으며, 좁아진 부분으로부터, 덮개받이(23)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덮개받이(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본체부(230)와, 본체부(230)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통(206)과 연속한 하편(231)을 포함한다.At the rear end of the
덮개받이(23)의 상면[본체부(230)의 상면]은, 후방측의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즉, 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덮개받이(23)의 상면은 플랜지(205)의 상면보다 일단 낮게 위치하며, 또한 플랜지(205)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체부(230)의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본체부(230)의 상면의 그 이외의 부분보다 일단 낮게 마련된 하단부(232)가 마련되어 있다. 하단부(232)는 플랜지(205)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다. 하단부(23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상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3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30) i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hat is, obliquely rearward and inclined downward) to be positioned below the rear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덮개받이(23)의 본체부(230)로부터, 봉형상의 핸들(22)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22)은 후방으로 개구된 평단면 U자 형상이다. 핸들(22)의 바닥 부분은 폐색되어 있다.A bar-shaped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206)의 좌우의 단부에는, 손잡이(9)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24)과, 외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25)와, 외측방으로 돌출된 전후 한쌍의 볼록형상의 스토퍼(26)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변기통 본체(20)는 둘레벽(20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25)를 갖는다. 변기통 본체(20)는 둘레벽(20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된 스토퍼(26)를 갖는다.9A and 9B,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2-4-2) 손잡이(2-4-2) Handle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9)는 활형상의 장척 본체부(90)와, 손가락(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장척 본체부(90)로부터 방사방향(radial directions)으로 돌출되는 리브(91)를 구비한다. 손잡이(9)는 추가로, 장척 본체부(90)의 장척방향(lengthwise direction)의 양단부로부터 방사방향의 역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회전축(92)을 구비한다. 여기서, 방사방향이란, 2개의 회전축(92)의 중간의 점으로부터, 손잡이(9)의 각 부분을 향하는 복수의 방향을 의미한다. 손잡이(9)는 수지 성형품이다. 이하, 장척 본체부(90)는 간략히 "본체부(90)"라고 한다. 또한, 본체부(90)는 원호형상이어도 좋고, 이 원호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직경이 일정한 원호로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6 and 10, the
본체부(90)는 본체부(90)의 장척방향의 중앙 부분을 구성하는 파지부(93)와, 본체부(90)의 장척방향의 양단 부분을 구성하는 한쌍의 장착부(94)와, 파지부(93)와 한쌍의 장착부(94)의 사이의 본체부(90)의 부분을 구성하는 한쌍의 중간부(95)를 포함한다.The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변기통 본체(20)의 상방에 위치하며, 손잡이(9)가 기립한 제 1 자세와, 파지부(93)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부의 측방에 위치하며, 손잡이(9)가 도복한 제 2 자세(도 4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자세는 파지부(93)가 덮개받이(23)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이다.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주둥이(2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3 자세로의 회전도 가능하다.The
본체부(90)의 폭방향의 길이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일정하다. 여기서, 폭방향은 본체부(90)의 장척방향과 방사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본체부(90)의 폭방향의 길이는 제 2 자세일 때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90)의 길이이다. 본체부(90)의 방사방향의 길이(즉, 두께)는 장척방향에 걸쳐서 일정하다.The length of the
손잡이(9)의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본체부(90)의 형상은 변기통(2)의 상단부의 후반부(덮개받이(23)를 포함한 부분)의 외형형상을 따른 활형상이다.The shape of the
리브(91)를 구성하는 돌조편(910)은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93) 중 장척방향의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도 돌조편(910)이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돌조편(910)은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며, 파지부(93)의 장척방향의 중앙부로부터와, 한쌍의 장착부(94)로부터는 돌출되어 있지 않다. 파지부(93)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과,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은 이어져 있으며, 돌출 선단면이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파지부(93)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과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돌조편(910)은, 손잡이(9)의 폭방향의 위치(예를 들면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의 상하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 각 돌조편(910)은, 파지부(93) 및 한쌍의 중간부(95)의 각각의, 상단보다 약간 하방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리브(91)는, 활형상의 본체부(90) 중, 장척방향과 방사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The
파지부(93)에 있어서의 방사방향과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본체부(90)의 다른 부분(한쌍의 중간부(95) 및 한쌍의 장착부(94))보다 방사방향으로 크게 만곡된 오목 곡면이다. 본체부(90)는 변기통 본체(20)의 상단부를 따른 형상이다. 파지부(93)의 방사방향과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덮개받이(23)를 피하도록, 오목 곡면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surface of the
한쌍의 회전축(92)은 전후 방향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한쌍의 회전축(9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회전축(92)의 각각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손잡이(9)는, 한쌍의 회전축(92)이 변기통 본체(20)의 한쌍의 장착 구멍(24)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변기통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pair of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장착부(94)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장착부(94)의 각각)은 방사방향의 역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96)를 갖는다.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직사각형 판형상이다.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회전축(92)과 일체이다. 각 걸림부(96)는 대응하는 회전축(92)보다 상기 장척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며, 회전축(92)과 일체이다. 각 걸림부(96)는 각 회전축(92)보다 좌우 방향으로 짧다.As shown in Figs. 6 and 9, at least one of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94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걸림부(96)는, 손잡이(9)가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하는 동안에, 걸림부(25)에 부딪친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손잡이(9)가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하는 동안에,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손잡이(9)는,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회전할 때에, 그 회전 속도가 억제되어, 트레이(3)에 세게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걸림부(96)는,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가까워졌을 때에,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치면서 타고 넘어간다.The
각 걸림부(96)는, 대응하는 걸림부(25)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일단 멈추어도 좋다. 이 경우, 손잡이(9)를 손으로 가압하여 더욱 제 2 자세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각 걸림부(96)가 대응하는 걸림부(25)를 타고 넘는다.Each of the engaging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에, 걸림부(96)는, 스토퍼(26)의 하면에 부딪친다. 상세하게는, 손잡이(9)가 제 2 자세에 있을 때,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한쌍의 스토퍼(26) 중 전방측의 스토퍼(26)에 아래로부터 부딪친다. 이에 의해, 제 2 자세에 있을 때의 손잡이(9)의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 손잡이(9)가 제 3 자세에 있을 때에는, 한쌍의 걸림부(96)의 각각은 후방측의 스토퍼(26)에 아래로부터 부딪치고,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 이에 의해, 제 3 자세에 있을 때의 손잡이(9)의 상하 위치가 정해진다.When the
(2-4-3) 덮개(2-4-3) Cover
덮개(8)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기통(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에 탑재되고,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의 전체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80)와, 덮개 본체(8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81)을 구비한다. 덮개(8)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다.The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조부(82)를 갖는다. 그립(81)은 추가로,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83)를 갖는다. 그립(81)은 추가로,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를 갖는다.The
돌조부(82)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돌조부(82)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돌조부(82)는, 손등이 위를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좌우로 손가락으로 잡는 것에 의해, 파지 가능하다. 환언하면,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며,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82)를 구비한다.The projecting
제 2 돌조부(83)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제 2 돌조부(83)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85)을 포함한다. 구멍(85)은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구멍(85)은 제 2 돌조부(83)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위치한다. 제 2 돌조부(83)는, 손등이 측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구멍(85)에 손가락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파지 가능하다.The
제 3 돌조부(84)는 전후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돌기이다. 제 3 돌조부(84)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과 이어져 있다.The third projecting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와 제 3 돌조부(84)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다. 돌조부(82)의 상면과, 제 2 돌조부(83)의 상면과, 제 3 돌조부(84)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The
덮개 본체(80)는, 변기통(2)[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판형상의 바닥벽(86)과, 바닥벽(86)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87)과, 둘레벽(87)의 상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88)를 갖는다.The
바닥벽(86)과 둘레벽(87)의 외형형상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바닥벽(86)과 둘레벽(87)의 각각은 주둥이(21)를 폐색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 플랜지(8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와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대략 동일하다.The outer shape of the
덮개(8)는 플랜지(88)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조작부(89)를 구비한다. 조작부(89)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덮개받이(23)와 대략 동일하다. 조작부(89)는 판체이다(도 6 참조). 조작부(89)의 상면은 플랜지(88)의 상면보다 일단 낮게 평행하게 위치한다.The
덮개(8)가 폐쇄 자세에 있을 때, 바닥벽(86)과 둘레벽(87)이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에 끼워져 이 상단 개구를 폐색하고, 플랜지(88)가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의 상면에 부딪친다. 이 때, 덮개(8)의 조작부(89)는 변기통(2)의 덮개받이(23)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져 위치한다. 환언하면, 폐쇄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에 부딪치는 자세이다.The
덮개(8)가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덮개(8)의 조작부(89)는 변기통(2)의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고, 바닥벽(86) 및 둘레벽(87)은 변기통 본체(20)의 상단 개구로부터 멀어져 이 상단 개구를 개방한다. 이 때, 플랜지(88)는 변기통 본체(20)의 플랜지(205)로부터 멀어져 위치한다. 환언하면, 개방 자세는, 덮개(8)의 후단부가 덮개받이(23)의 상면에 부딪치고, 덮개(8)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의 부분이 둘레벽(20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진 자세이다.When the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부(82)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돌조부(83)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조부(82)와 제 3 돌조부(84)의 각각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며, 제 2 돌조부(83)는, 구멍(85)보다 하방의 부분이,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다.As shown in Fig. 11, the protruding
돌조부(82)는 바닥벽(86)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조부(82)는, 둘레벽(87)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위치한다. 제 2 돌조부(83)는 바닥벽(86)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바닥벽(86)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돌조부(84)는 둘레벽(87)의 후단부와 이어져 있다.The
덮개(8)의 그립(81)은 플랜지(88)의 후단부와 조작부(8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 4 돌조부(8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4 돌조부(890)는 제 3 돌조부(84)와 이어져 있다. 그립(81)은 덮개(8)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위치한다. 제 4 돌조부(890)의 상면에는, 덮개(8)의 개폐 조작 시에 엄지 손가락이 올라가는 함몰부(891)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립(81)의 후단부의 상면에는, 엄지 손가락이 올라가는 함몰부(891)가 마련되어 있다. 제 4 돌조부(890)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이며,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중공이다. 돌조부(82, 83, 84, 890)를 포함하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된 중공이다.The
제 3 돌조부(84)와 제 4 돌조부(890)의 경계 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堰)(840)가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립(81)의 후단부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840)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8)를 전방측의 부분만큼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한 자세로 했을 때, 제 3 돌조부(84)의 이면(하면)으로부터 조작부(89)의 이면(하면)으로 오수가 전달되어 흐르는 것을 보(84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A
덮개(8)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등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의 한 손으로, 덮개(8)의 전단 부분의 돌조부(82)를 잡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트레이(3)에 장착된 변기통(2)에 대하여, 덮개(8)를 착탈할 때에, 트레이(3) 상의 변좌(10)의 전단부를 약간 위로 들어올리기만 하여도 되므로, 덮개(8)의 착탈의 조작을 하기 쉽다.As shown in Fig. 12, the
(2-5) 트레이(2-5) Tray
트레이(3)는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 아래에 배치되며, 변기통(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3)는 변기통(2)이 삽입되는 오목부(30)와, 오목부(30)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평면에서 보아 환상의 오수받이(31)와, 오수받이(31)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둘레벽(32)을 구비한다. 트레이(3)는 추가로 둘레벽(32)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변좌받이(33)와, 변좌받이(33)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 2 둘레벽(34)과, 제 2 둘레벽(34)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천장면부(35)를 구비한다. 트레이(3)는 추가로 천장면부(35)의 외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외측 프레임(36)과, 트레이(3)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전방 및 상방으로 개방된 오목단부(37)를 갖는다. 오목단부(37)는 변좌받이(33)의 전연에 연속하고 있다.The
오목부(30)는 변기통(2)의 외형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30)는 변기통 본체(20)가 삽입되는 본체부(300)와, 핸들(22)이 삽입되는 확장부(301)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오목부(30)는 변기통(2)의 본체 부분(변기통 본체(20))이 수용되는 본체부(300)와, 변기통(2)의 핸들(22)이 수용되는 확장부(301)를 포함한다. 확장부(301)는 본체부(300)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체부(300)와 확장부(301)는 연통되어 있다. 오목부(30)에는, 변기통 본체(20) 중, 외통(206)보다 하방의 부분 전체가 수용된다. 변기통 본체(20) 중, 플랜지(205)와 외통(206)은 오목부(3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The concave portion (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oilet bowl (2). The
확장부(301)의 상하 길이는 핸들(22)의 상하 길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본체부(300)에 비하여 짧다. 본체부(300)와 확장부(301)는 각각 바닥면을 갖는다. 확장부(301)의 바닥면은 본체부(300)의 바닥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받은 오수가 본체부(300)에 흘러내리도록 경사져 있다.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오목부(30)와 오수받이(31)의 경계 부분으로부터는, 오목부(30)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른 환상의 보(38)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트레이(3)는 오목부(30)의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장자리를 따른 환상의 보(38)를 추가로 구비한다.An
오수받이(31)는, 그 외주연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코너부(310)를 갖는다. 오수받이(31)의 상면은, 복수의 코너부(310)가 오수받이(31)의 상면의 복수의 코너부(310)를 제외한 어느 부분보다 낮아지도록, 전체가 경사져 있다. 복수의 코너부(310)는, 오수받이(31)의 외주연 중, 복수의 코너부(310)를 제외한 어느 부분보다 오목부(30)로부터 보다 멀어져 있다.The wastewater receiver (31)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310) positioned at a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수받이(31)의 상면의 외형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며, 복수의 코너부(310)는 4개의 코너부(310)이다. 오수받이(31)는, 확장부(301)의 후방의 부분에, 오수받이(31)의 다른 부분보다 일단 높게 마련된 지지부(311)를 갖고 있다. 환언하면, 오수받이(3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310)의 사이의 부분에, 오수받이(31)의 다른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변기통(2)의 손잡이(9)를 지지하는 지지부(311)를 갖는다. 지지부(311)는 오목부(30)의 후방에 위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오수받이(31) 중, 지지부(311)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에 있어서, 오수받이(31)의 상면은 오목부(30)로부터 멀어진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4개의 코너부(310)는, 오수받이(31)의 상면 중, 다른 부분보다 오목부(30)로부터의 거리를 멀리한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낮다.The upper surface of the
둘레벽(32)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사각형이란,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것을 의미하며, 엄밀한 의미에서의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둘레벽(32)은 오수받이(31)의 상면으로부터 변좌받이(33)의 상면으로의 오수의 이동을 방지한다. 둘레벽(32)은, 보(38)와의 사이에, 제 2 자세 또는 제 3 자세로 한 손잡이(9)가 들어가도록, 보(38)로부터 멀어져 있다.The
변좌받이(33)는, 둘레벽(32)의 상단 중, 그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변좌받이(3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이다. 변좌받이(33)는, 그 후단부에 후방으로 확장된 확장부(330)를 포함한다.The
제 2 둘레벽(34)은, 변좌받이(33)의 외주연 중,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둘레벽(34)은, 변좌받이(33)의 전단부의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내측의 부분만큼,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second
천장면부(35)는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 천장면부(350)와, 제 2 둘레벽(34)의 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천장면부(351)를 포함한다.The
후방 천장면부(350)는, 확장부(330)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방 천장면부(351)는, 오목단부(37)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제 2 둘레벽(34)의 전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비스듬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방 천장면부(351)는,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이며, 전방측의 부분만큼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rear
외측 프레임(36)은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우 한쌍의 전방 프레임(361)을 포함한다.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은, 좌우의 후방 천장면부(350)의 후연과 좌우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전방 프레임(361)은,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좌우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측의 전방 프레임(361)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좌측 단부가 위치하며, 좌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좌측의 전방 프레임(361)과 제 2 둘레벽(34)의 좌측 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우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우측의 전방 프레임(361)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우측 단부가 위치하고, 우측의 후방 프레임(360)과 우측의 전방 프레임(361)과 제 2 둘레벽(34)의 우측 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후방 프레임(360)의 사이에는,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가 위치하며, 좌우의 후방 프레임(360)과 제 2 둘레벽(34)의 후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The
오목단부(37)는, 둘레벽(32)의 전연과, 그 좌우에 위치하는 변좌받이(33)의 전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후방벽(370)과, 후방벽(37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벽(371)을 포함한다. 후방벽(370)의 상단은 정면에서 보아 일직선형상이며, 변좌받이(33)의 상면과 동일한 상하 위치이다. 바닥벽(371)은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이다. 바닥벽(371)은 좌우의 단부의 상면이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상면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좌우 전방 천장면부(351)의 각각은 바닥벽(371)의 상면과 연속하도록 만곡된 원호면(352)을 포함하고 있다.The
오목단부(3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변좌(10)의 구멍(100)보다 외측까지 확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cessed
트레이(3)는, 변기 본체(4)의 트레이받이(44)(도 3 참조) 위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변기 본체(4)에 장착된다. 트레이(3)는, 변좌받이(33)의 좌우의 단부가, 좌우의 지지 부재(43) 상에 탑재되고, 오목단부(37)가, 전방판(40)의 오목부(400) 상에 탑재된다. 트레이(3)는 변기 본체(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The
트레이(3)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통(2)이 오목부(30)에 장착된다. 변기통(2)의 제 2 자세의 손잡이(9)는, 파지부(93)가 지지부(311) 상에 탑재되고, 한쌍의 중간부(95) 및 한쌍의 장착부(94)의 각각과, 오수받이(31)의 상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한쌍의 중간부(95)로부터 돌출되는 리브(91)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둘레벽(32)의 일부(둘레벽(32) 중 후방측의 코너부(310)의 상방의 부분)의 사이에는, 손가락 끝을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용자는, 이 공간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고, 손잡이(9)의 리브(91)(돌조편(910))에 손가락 끝을 거는 것에 의해, 손잡이(9)를 간단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In the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30)에 변기통(2)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외통(206)은, 그 하단이 오수받이(31)의 상면에 부딪친다. 보(38)는 변기통(2)의 변기통 본체(20)의 상부 부분(203)의 상단부와 외통(206)의 사이에 들어간다.16, when the
또한, 트레이(3)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0)가 장착된다. 변좌(10)는 트레이(3)의 변좌받이(33)에 의해 지지되고, 이 때, 변좌(10)의 전단부의 하방에는, 트레이(3)의 오목단부(37)가 위치한다. 변좌(10)는, 오목단부(37)와 변좌(10)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는 것에 의해, 변좌(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단부(37)는 변좌(10)의 구멍(100)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좌(10)는, 변좌(10)의 전단부 중, 구멍(100)의 전방이 오염되기 쉬운 부분이 아닌, 구멍(100)보다 좌우 방향 외측의 부분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2-6) 변좌(2-6)
도 1,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00)을 중앙부에 갖는다. 변좌(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101)가 마련되어 있다. 변좌(10)는 복수의 스페이서(101)를 개재하고 변좌받이(33)에 탑재된다.As shown in Figs. 1, 18A and 18B, the
변좌(10)는, 구멍(100)보다 전방측의 부분의 하면에, 오수의 전방으로의 튐을 억제하는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를 착탈 가능하게 갖는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좌(10)의 하면 중, 구멍(100)의 전연 부분에 장착된다.The
변좌(10)는 표면(상면 및 하면)이 쿠션재로 덮여 있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수지 성형품이다.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장착판(103)과, 장착판(103)의 후방측의 주연 부분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조부(104)를 포함한다. 돌조부(104)는,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이며, 장착판(103)의 길이방향(원호의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져 있다.The surface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변좌(10)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로부터 나오는 오수를 받을 수 있고, 이 오수가 변좌(10)의 전방으로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수 흐름 방지 부재(102)는, 변좌(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변좌(10)로부터 분리하여 오염물을 없앨 수 있어, 청소하기 쉽다.The wastewater
(2-7) 팔걸이(2-7) Armrest
포터블 변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멀어진 한쌍의 팔걸이(7)를 갖고 있다. 각 팔걸이(7)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고정된 대좌부(62)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쌍의 팔걸이(7)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각 대좌부(62)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판(60)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대좌부(62)는 지지판(60)의 외측방의 면(이하, 외측면)에 장착되는 기대 플레이트(63)와, 지지판(60)에 있어서 기대 플레이트(63)의 반대측의 면(이하, 내측면)에 장착되는 백 플레이트(64)를 구비하고 있다. 각 대좌부(62)는 한쌍의 지지판(60)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0, each
기대 플레이트(63)는,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635)이 마련된 외측 고정판부(631)와, 외측 고정판부(631)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지지판(60)의 내측면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편(634)을 구비하고 있으며, 횡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고정판부(631)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연직면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면(632)과, 메인 면(632)으로부터 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돌출된 회전축(633)을 갖고 있다. 외측 고정판부(631)는, 지지판(60)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면(632)은 연직면을 따른 상태가 된다. 회전축(63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팔걸이(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백 플레이트(64)는 기대 플레이트(63)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다. 백 플레이트(64)는 지지판(60)의 내측면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백 플레이트(64)는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이 마련된 내측 고정판부(641)와, 내측 고정판부(641)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지지판(60)의 외측면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편(642)을 구비하고, 횡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고정판부(641)는 지지판(60)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64)의 돌출편(642)은 기대 플레이트(63)의 돌출편(634)과 지지판(60)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대좌부(62)는, 백 플레이트(64)를 지지판(60)의 내측면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기대 플레이트(63)를 지지판(60)의 외측면측으로부터 끼우고, 기대 플레이트(63)와 백 플레이트(64)를 고착구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장착된다. 백 플레이트(64)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의 고착구 삽통 구멍이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64)에 대한 기대 플레이트(63)의 장착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다. 지지판(60)에는, 고착구 삽통 구멍(635)에 대응하는 개소에, 고착구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The
팔걸이(7)는 대좌부(62)의 회전축(633)에 지지되어 있다. 팔걸이(7)에는 축 구멍부(7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축 구멍부(711)에 회전축(633)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63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빠짐 방지 부재(65)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팔걸이(7)가 회전축(633)에 장착된다. 팔걸이(7)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와, 해제 조작부[슬라이드 레버(72)]와, 연동부(73)와, 보지부(74)를 구비하고 있다.The
팔걸이 본체부(71)는 팔걸이(7)의 주체이다. 팔걸이 본체부(71)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동부(73)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712)와, 하우징부(712)의 상면에 고정되는 팔 거치부(713)와, 엔드 캡부(714)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팔걸이 본체부(71)는 연동부(73)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부(712)를 갖는다. 엔드 캡부(714)는, 하우징부(712)에 연동부(73)가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부(712)의 선단측의 개구부(712a)에 장착된다.The armrest
팔걸이 본체부(71)는 대좌부(62)의 회전축(633)에 장착된다. 팔걸이 본체부(71)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제 1 자세와, 제 1 자세로부터 회전한 위치인 제 2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환언하면, 팔걸이 본체부(71)는, 변기 본체(4)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자세의 위치와 제 1 자세의 위치로부터 회전한 제 2 자세의 위치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자세는 제 1 자세로부터 팔걸이 본체부(71)가 상방으로 회전한 위치에 있는 자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자세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른(여기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 자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팔걸이 본체부(71)는 제 1 자세와 제 2 자세가 이루는 각이 90°이며, 제 1 자세의 위치로부터 제 2 자세의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팔걸이 본체부(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자세의 위치 또는 제 2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 대좌부(62)에 보지된다.The armrest
해제 조작부는, 대좌부(62)에 보지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를, 해제하는 부재이다. 해제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보지부(74)에 의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72)이다. 슬라이드 레버(72)가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 보지부(74)에 의한 팔걸이 본체부(71)의 보지 상태가 해제된다.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란, 팔걸이 본체부(71)가 제 1 자세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 하방의 영역을 말한다.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is a member for releasing the holding state of the armrest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본 실시형태에서는 팔 거치부(713)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의 중앙부(721)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의 중앙부(72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721)」란, 예를 들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3등분했을 때의 중앙 부분의 영역을 말한다. 슬라이드 레버(72)는, 팔걸이 본체부(71)의 중앙부(721)에 있어서, 하우징부(71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해제 조작부는, 팔걸이 본체부(71)에 있어서 팔걸이 본체부(71)의 선단과 회전축(633)의 사이에서 또한 제 1 자세에 있어서의 팔걸이 본체부(7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버(72)는 연동부(73)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부(73)는, 슬라이드 레버(7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The
연동부(73)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연동부(73)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의 단부에 슬라이드 레버(72)가 연결되며, 회전축(633)측의 단부(기단부)에, 보지부(74)를 동작시키는 작동부(731)가 형성되어 있다.The interlocking
작동부(731)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보지부(7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동부(731)의 선단부면에는, 작동면(732)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면(732)은,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만큼, 좌우 방향 중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작동면(732)에는, 보지부(74)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작동부(731)에는, 코일 스프링(733)으로 이루어지는 부세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동부(73)는,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에 부세되어 있다.The operating
보지부(74)는 연동부(73)에 의해 동작된다. 보지부(74)는, 팔걸이 본체부(71)가 제 1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대하여 팔걸이 본체부(71)를 보지한다. 보지부(74)는 작동부(731)의 작동면(732)에 접촉하는 압압면(742)을 갖는 보지부 본체(741)와, 로크 핀(743)과, 축부(74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744)에는, 코일 스프링(745)으로 이루어지는 부세체가 동심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보지부(74)는, 부세체에 의해,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로크 핀(743)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가압된다.The holding
압압면(742)은 작동면(732)에 대하여 평행하게 경사진다. 압압면(742)은,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731)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만큼,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압압면(742)은 작동면(732)에 면형상으로 접촉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조작하여, 작동부(731)가 보지부 본체(741)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본체(741)가 코일 스프링(745)을 가압하여 되돌리면서(압축시키면서),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놓으면, 도 2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45)으로 가압되어,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이동한다. 연동부(73)는 보지부 본체(741) 및 코일 스프링(733)으로 가압되어, 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The
로크 핀(743)은 보지부 본체(741)로부터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크 핀(743)은 대좌부(62)의 기대 플레이트(63)에 마련된 구멍(636)으로 진입·후퇴 가능하다. 로크 핀(743)은,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측(좌우 방향 중 내측방)으로 이동하면, 팔걸이 본체부(7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로크 핀(743)은, 기대 플레이트(63)의 구멍(636)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한다. 환언하면, 로크 핀(743)은, 변기 본체(4) 측에 마련된 구멍(636)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한다. 연동부(73)는 해제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해 로크 핀(743)을 동작시킨다.The
한편, 로크 핀(743)은,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본체(741)가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하면, 팔걸이 본체부(71)의 내측면보다 후퇴하여, 기대 플레이트(63)의 구멍(636)으로부터 빠진다. 환언하면, 로크 핀(743)은, 해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연동부(73)로 가압되어 후퇴하고, 구멍(636)으로부터 빠진다. 이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22B, when the retaining portion
팔걸이(7)는, 제 1 자세에 있을 때와, 제 2 자세에 있을 때는 양쪽에서, 변기 본체(4)의 지지판(60)에 대하여 팔걸이 본체부(71)가 보지된다. 환언하면, 보지부(74)는, 제 2 자세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팔걸이 본체부(71)를 변기 본체(4)에 대하여 보지 가능하다. 즉, 기대 플레이트(63)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633)으로부터 로크 핀(743)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며 또한 회전축(633)을 중심으로 한 가상원 상에 있어서, 회전축(633)에 대하여 상방으로 나열된 위치와, 전방으로 나열된 위치에 각각 구멍(636)이 형성되어 있다.The
팔걸이(7)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 고정 부재(75)를 갖고 있다.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보지부(74)가 후퇴하여 로크 핀(743)이 구멍(636)으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보지부(74)를 고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로크 핀(743)을 구멍(636)으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에 대하여 고정한다. 보지부 고정 부재(75)는 보지부(74)의 축부(744)를 보지 가능한 고정 구멍(751)을 갖고 있으며,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축부(744)는, 보지부(74)(로크 핀(743))가 후퇴하면,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축부(744)에는, 잘록한 부분(746)이 형성되어 있다. 잘록한 부분(746)은,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부(74)(로크 핀(743))가 후퇴한 상태에 있어서, 축부(744) 중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The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 레버(72)를 회전축(633)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보지부(74)가 변기 본체(4)와는 반대측(좌우 방향 중 외측방)으로 이동하여, 팔걸이 본체부(71)의 외측면으로부터 축부(744)의 잘록한 부분(746)이 돌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지부 고정 부재(75)를 회전축(633)측(팔걸이 본체부(71)의 길이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구멍(751)의 외주부가 축부(744)의 잘록한 부분(746)으로 인입되어, 후퇴 상태의 보지부(74)(로크 핀(743))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팔걸이 본체부(71)는 회전축(633)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23B, when the user moves the
(3) 변형예(3) Modifications
이어서,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포터블 변기(1) 중, 덮개(8)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구조여도 좋다.The rest of the
그립(81)은 돌조부(82)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돌조부(82)와 제 2 돌조부(83)는 연결되지 않고,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해도 좋다.The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상세하게는 둘레벽(87)의 후단 부분)으로부터 멀어져 위치해도 좋다.The
돌조부(82)는 덮개 본체(80)의 전연(상세하게는 둘레벽(87)의 전단 부분)에 연결되어도 좋다.The protruding
(4) 덮개의 특징과 효과(4) Features and effects of cover
상술한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포터블 변기(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의 덮개(8)는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As is clear from the
즉, 제 1 태양의 덮개(8)는 포터블 변기(1)의 변좌(10)의 하방에 장착되는 오물받이용의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기통(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8)이다. 제 1 태양의 덮개(8)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80)와, 덮개 본체(8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81)을 구비한다.That is, the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마련된 돌조부(82)를 구비한다.The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의 전측에 위치하는 돌조부(82)를 한 손으로 파지해서, 변기통(2)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태양의 덮개(8)에서는, 포터블 변기(1)에 장착된 변기통(2)의 상방에 있는 변좌(10)의 앞부분을 조금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변기통(2)에 대해서 덮개(8)를 착탈할 수 있다.In the
또한, 제 2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즉, 제 2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83)를 더 구비한다. 제 2 돌조부(83)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85)을 포함한다.That is,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2 태양의 덮개(8)에서는, 제 2 돌조부(83)의 구멍(85)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부착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덮개(8)의 중앙부를 파지한 조작도 가능하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또한, 제 3 태양의 덮개(8)는, 제 2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즉, 제 3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84)를 더 구비한다. 돌조부(82)아 제 2 돌조부(83)와 제 3 돌조부(84)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다.That is,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3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8)의 후단부를 파지한 조작도 가능하고, 또한 돌조부(82, 83, 84)가 일직선형상에 이어져 있는 것에 의해, 덮개 본체(80)의 강도의 향상이 보다 도모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또한, 제 4 태양의 덮개(8)는, 제 3 태양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즉, 제 4 태양의 덮개(8)에서는, 제 3 돌조부(84)는 덮개 본체(80)의 후연에 이어져 있다.That is,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4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의 후연까지 제 3 돌조부(84)에 의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또한, 제 5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즉, 제 5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은 덮개 본체(80)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 중공이다.That is,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5 태양의 덮개(8)에서는, 그립(81)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변기통(2)에의 착탈의 작업이 쉽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는, 제 1 태양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덮개(8)의 구성에 부가하여, 하기의 구성을 구비한다.The
즉,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는 변기통(2)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바닥벽(86)과, 바닥벽(86)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87)과, 둘레벽(87)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88)를 구비한다. 돌조부(82)는 바닥벽(8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at is,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는, 1개의 평탄한 판형상인 경우에 비해,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두께를 억제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착탈의 작업이 쉽다.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 본체(80)가 1개의 평탄한 판형상인 경우에 비해, 돌조부(82)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덮개(8)의 상방에 필요한, 돌조부(82)를 파지하는 손을 넣기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변좌(10)의 앞부분을 들어올리는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6 태양의 덮개(8)에서는, 변좌(10)와 변기통(2)의 사이로 덮개(8)를 전방으로부터 집어넣어서 변기통(2)에 덮개(8)를 장착할 때에, 둘레벽(87)의 전단부를 변기통(2)의 전연에 부딪치는 것으로, 변기통(2)에의 덮개(8)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이상,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ppropriate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포터블 변기
2: 변기통
8: 덮개
80: 덮개 본체
81: 그립
82: 돌조부
83: 제 2 돌조부
84: 제 3 돌조부
85: 구멍
86: 바닥벽
87: 둘레벽
88: 플랜지
10: 변좌1: portable toilet bowl
2: Toilet seat
8: Cover
80: lid body
81: Grip
82: Stone budding
83: 2nd stone jug
84: Third stones
85: hole
86: bottom wall
87: circumferential wall
88: Flange
10: toilet seat
Claims (6)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전연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손으로 파지되는 돌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A lid detachably mounted on a toilet bowl to close an upper opening of a toilet bowl for use with a dirt receptacle to be mounted below a toilet seat of a portable toilet,
A cover body clos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oilet bowl,
And a grip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body,
The grip
And a protru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leading edge and which is held by one hand
cover.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2 돌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돌조부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hole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cover.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중앙부와 후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돌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돌조부와 상기 제 2 돌조부와 상기 제 3 돌조부는 일직선형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p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ding portion located between a center portion and a rear edge of the lid body,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the third protruding portio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cover.
상기 제 3 돌조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후연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third protrusion extends to the trailing edge of the lid body.
cover.
상기 그립은 상기 덮개 본체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grip is a hollow opening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cover.
상기 덮개 본체는, 상기 변기통의 상기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외주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상단으로부터 둘레방향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돌조부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id body includes a bottom wall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toilet bowl, a peripheral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and a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in the peripheral direction In add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06837A JP6960597B2 (en) | 2017-05-30 | 2017-05-30 | lid |
JPJP-P-2017-106837 | 2017-05-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430A true KR20180131430A (en) | 2018-12-10 |
KR102005675B1 KR102005675B1 (en) | 2019-07-30 |
Family
ID=6454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0287A KR102005675B1 (en) | 2017-05-30 | 2018-05-28 | Li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60597B2 (en) |
KR (1) | KR102005675B1 (en) |
CN (1) | CN108968773A (en) |
TW (1) | TW201900092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100016217A1 (en) | 2021-06-21 | 2022-12-21 | Tonyelen Int Srl | Portable sanitation k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12901A (en) * | 2013-07-03 | 2015-01-22 | アロン化成株式会社 | Portable toilet |
JP2015012902A (en) | 2013-07-03 | 2015-01-22 | アロン化成株式会社 | Portable toile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53883Y2 (en) * | 1972-08-31 | 1976-12-23 | ||
JPS5582205U (en) * | 1978-11-28 | 1980-06-06 | ||
JP2588694Y2 (en) * | 1993-11-30 | 1999-01-13 | 本間冬治工業株式会社 | Bucket with lid |
US5411161A (en) * | 1994-08-19 | 1995-05-02 | Fish, Jr.; Milton L. | Container having a twist-locking cover |
JP3274299B2 (en) * | 1994-11-09 | 2002-04-15 | 蝶プラ工業株式会社 | Trash container |
JP3085510U (en) * | 2001-10-22 | 2002-05-10 | 株式会社リッチェル | Bucket receiver for chair-type toilet and chair-type toilet with the same |
CN2770526Y (en) * | 2004-11-18 | 2006-04-12 | 深圳市天锋行实业有限公司 | Stewing pot |
CN202942013U (en) * | 2012-10-26 | 2013-05-22 | 浙江辉伦婴童用品有限公司 | Infant multifunctional toilet bowl |
CN203555533U (en) * | 2013-11-14 | 2014-04-23 | 徐燕 | Pan |
US20150182402A1 (en) * | 2013-11-19 | 2015-07-02 | Liftseat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and Waste Control |
TWM490842U (en) * | 2014-05-09 | 2014-12-01 | Univ Chang Gung Science & Technology | Improved sanitation potty |
CN205251388U (en) * | 2015-12-31 | 2016-05-25 | 中山市福仕得健身器材有限公司 | Toilet seat chair of scalable regulation |
-
2017
- 2017-05-30 JP JP2017106837A patent/JP6960597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5-28 KR KR1020180060287A patent/KR10200567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05-28 TW TW107118066A patent/TW201900092A/en unknown
- 2018-05-30 CN CN201810538535.2A patent/CN10896877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12901A (en) * | 2013-07-03 | 2015-01-22 | アロン化成株式会社 | Portable toilet |
JP2015012902A (en) | 2013-07-03 | 2015-01-22 | アロン化成株式会社 | Portable toi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5675B1 (en) | 2019-07-30 |
TW201900092A (en) | 2019-01-01 |
CN108968773A (en) | 2018-12-11 |
JP2018201588A (en) | 2018-12-27 |
JP6960597B2 (en) | 2021-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1628B1 (en) | Bucket | |
US6893040B2 (en) | Safety seat anchoring mechanism for stroller | |
US8714639B2 (en) | Infant carrier with handle | |
KR101991627B1 (en) | Bucket | |
KR102005675B1 (en) | Lid | |
KR20180131431A (en) | Portable toilet and armrest | |
JP5852766B1 (en) | Wheelchair and main wheel unit | |
US20140259338A1 (en) | Child's Potty Ring | |
KR200487545Y1 (en) |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 |
KR20140063424A (en) | A toilet stool for infant | |
KR20180131433A (en) | Tray | |
JP2013116199A (en) | Toilet bowl apparatus | |
KR20160076752A (en) |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 |
JP5848479B1 (en) | wheelchair | |
WO2023189327A1 (en) | Portable toilet | |
KR20140063421A (en) | A toilet stool for infant | |
JP7521923B2 (en) | Chair | |
KR20100001994A (en) | Kart for baby and car seat | |
KR20080050857A (en) | Kart for baby and car seat | |
JP2005161097A (en) | Mounting structure of stool seat and/or stool cover | |
JP5870229B1 (en) | Wheelchair and coupling mechanism | |
KR20100001967A (en) | Kart for baby and car seat | |
JP6093420B1 (en) | child seat | |
JP2023149844A (en) | portable toilet | |
JP2020065876A (en) |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