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45Y1 -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 Google Patents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45Y1
KR200487545Y1 KR2020170004430U KR20170004430U KR200487545Y1 KR 200487545 Y1 KR200487545 Y1 KR 200487545Y1 KR 2020170004430 U KR2020170004430 U KR 2020170004430U KR 20170004430 U KR20170004430 U KR 20170004430U KR 200487545 Y1 KR200487545 Y1 KR 200487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seat
toilet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원모
Original Assignee
정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모 filed Critical 정원모
Priority to KR2020170004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4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기존 좌변기시트에 유아용 좌대를 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기시트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구성된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가 개시된다. Disclosed is a left-hand and child seat for infants and children, which is constructed so that an existing seat on a toilet seat can be detachably assembled and assembled, and a left-hand seat is stably installed vertically and rotatably so that a child can see a bowl in a stable posture.

Description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본 고안은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좌변기시트에 유아용 좌대를 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기시트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구성된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for a child-infant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for a child who is able to freely attach and detach a child seat in a conventional seat on a toilet seat, To a child-resistant seat for a child.

일반적으로 좌변기(坐便器)는 걸터 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를 일컫는 것으로 '양변기'라고도 한다.Generally, a toilet seat (坐 器 器) is a flush toilet seat that seated on the floor to see the toilet is called 'toilet' is also called.

이러한 좌변기는 주로 어린이나 어른을 위한 것으로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다. 이에 유아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기 좌대의 크기가 커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유아가 사용할 경우 변기 좌대 내측의 구멍으로 엉덩이가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고려하여 대개는 유아를 위한 전용 변기를 별도로 준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Such a toilet seat is mainly for children or adults, and its size is standardiz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toilet seat was too large to be used when the infant wanted to use i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when the baby was used, the butt was pulled into the hole in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Therefore, it was common to prepare a separate toilet for infant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8-0011460호에는 유아용 좌대시트가 추가된 일체형의 좌변기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1460 discloses a single-seat left-hand seat having a seat for a child added thereto.

하지만, 종래의 좌변기시트는 변기 좌대에 유아용 좌대시트가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 좌대에서 유아용 좌대시트를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 좌변기에 설치된 변기 좌대에 유아용 좌대시트만을 추가로 설치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변기에서 기존 변기 좌대를 제거한 다음 유아용 좌대가 일체로 된 좌변기시트를 교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유아가 성장하여 유아용 좌대시트가 필요없을 때에도, 좌변기에서 유아용 좌대가 일체로 된 좌변기시트를 제거한 다음 기존 변기 좌대를 별도로 교체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has a problem that the infant sea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seat because the infant seat is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Therefore, since it is a structure in which only an infant seat can not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installed in the existing toilet seat,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existing toilet seat in the toilet seat and replace the toilet seat integrated with the baby se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when a child restraint seat is not needed, the left toilet seat with the child restraint is removed from the toilet seat and the existing toilet seat is separately installed.

또한, 종래의 좌변기시트는 유아들이 발이 지면과 닿지 않고 체형에 맞지 않아, 유아들의 용변시 낙상하거나 용변시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엇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has a problem that the infant does not fit his or her feet and does not fit his / her body shape, so that the infant feels discomfort when the infant falls down or feels discomfort.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 좌변기시트에 유아용 좌대를 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기시트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한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for a child who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in a conventional seat on a toilet seat,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ant seat.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 본체에 고정구을 통해 변기 좌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변기 좌대의 후단에는 중앙부분에 힌지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에는 회동축이 끼움 결합되어 회동축의 양단부가 힌지관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에는 고무링이 끼워지는 환형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중앙 부분이 분리되어 제1회동축 및 제2회동축으로 구성되되, 제1회동축의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제2회동축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에 끼움된 고무링이 수용되는 회동지지홈이 형성되고 회동지지홈 내에 수용된 고무링의 마찰에 의해 상기 변기 좌대를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 하부에 설치되며 고정부재를 통해 좌변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변기 좌대의 상측에는 중앙의 개구영역이 변기 좌대에 비해 작은 유아용 좌대가 설치되고, 상기 유아용 좌대는 후단 양측에 상기 힌지관과 회동지지부 사이의 회동축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고리부의 상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해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 조립식으로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유아용 좌대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변기 커버가 구성되고, 상기 변기 커버는 커버회동구에 의해 상기 회동축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커버회동구는 상기 변기 커버의 후단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과 회동지지부 사이의 회동축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 끼움될 수 있도록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서 회동될 때 걸림 없이 회동될 수 있도록 환형의 회동안내홈이 형성되는 고정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hinge pip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with a hinge pip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inge pipe, And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are projected to the side of the hinge pipe. At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an annular fix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a rubber ring is fitted. The pivot shaft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Wherein the first coaxial shaft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at an end thereof and the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so as to be assembled together, Both ends of the pivoting shaft are fitted and coupled to form a pivoting support groove for receiving the rubber ring fitted into the fixation groove and the friction of the rubber ring housed in the pivoting support groove And a fixed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the body of the left-hand side body through a fixing member, wherein a central op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seat, And a pivotal hook portion that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pivotal shaft between the hinge tube and the pivotal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child pivotal barrel, Wherein the toilet cover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hild restraint, and the toilet cover is rotatable on the rotation shaft by the cover rotation opening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rear end of the toilet cover, The hinge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ipe by a rotation shaft between the hinge pipe and the hinge support. The hinge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ipe. And a stationary ring portion in which an annular pivoting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ivot ring portion can be pivotally rotated without being pinched when the pivot ring portion is pivoted in the pivot shaft.

여기서 상기 회동축에는 고정홈의 내측으로 스토퍼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부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가 수용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된 하부스토퍼면과 0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90 내지 110도 부분에 형성된 상부스토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회동축상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돌기에 상부스토퍼면에 지지되면서, 변기 커버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좌대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회동축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돌기가 상부스토퍼면에서 가이드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스토퍼돌기가 하부스토퍼면에서 지지되면서, 좌변기 시트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rotary shaft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The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orizontal axis of the rotary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on the rotary shaft longitudinal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left-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portion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is received and guided by the guide groove, The lower stopper surface formed at the 0-degree portion and the upper stopper surface formed at the 90-degree to 110-degree portion when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0 degrees, when the horizontal lin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rotary shaft is 0 Wherein the toilet seat is seated in the body of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cover is seated on the baby seat, The toilet seat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stopper surface by the stopper protrusion, and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main body and the toilet seat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baby seat The stopper projection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on the upper stopper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stopper projection is supported on the lower stopper surface so that the toilet seat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

그리고 상기 유아용 좌대는 중앙 부분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후단에는 유아의 엉덩이 골이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골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전단부에는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엉덩이안착홈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소변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아용 좌대의 양측에는 안전손잡이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 rest of the child restraint is formed in a center portion of the child rest so that the buttock of the infant is seated and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ild restraint. And a cover portion for preventing urine from splashing is formed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uttock receiving groove. The cover portion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buttock receiving groove, And a guide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for guiding urine downward, and a safety hand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ild seat.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는 기존 좌변기시트에 유아용 좌대를 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기시트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for a child-friendly seat for left and right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 conventional seat for a child by assembling a seat for a child, and the seat can be stably mounted vertically and rotatab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가 좌변기 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변기 좌대가 고정구를 통해 좌변기 본체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회동축에 결합되는 회동 고리부 및 커버회동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작동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유아용 좌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t for a chil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fant seat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at a seat for a child seat and a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seat main body,
FIG. 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toilet seat is coupled to a toilet body through a fasten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rotation claw portion and a cover claw coupling to the rotation shaf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infant seat for a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 and 8 are operation diagrams of Fig. 6;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child restraint in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는 좌변기 본체(10)에 고정구(200)을 통해 변기 좌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시트(100)에 유아용 좌대(300)가 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기시트(100)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seat for a child-friendl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seat (100) on which a toilet seat (200) is rotatably mounted to a left seat body (10) And the left-hand seat (100) is provided so as to be stably rotatable up and down, so that the infant can be seen in a stable posture.

먼저, 상기 변기 좌대(100)의 후단에는 중앙부분에 힌지관(1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변기 좌대(100)는 좌변기 본체(1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성인이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좌변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분에 개구영역(120)이 형성된다.First, a hinge pipe 110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oilet seat 10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toilet seat 100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10 so as to be used by an adult. The toilet seat 1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10 and has an opening area 12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힌지관(110)에는 회동축(130)이 끼움 결합되어 회동축(130)의 양단부가 힌지관(110)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변기 좌대(100)는 힌지관(110)에 회동축(130)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축(130)의 양단부가 고정구(200)를 통해 좌변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좌변기 본체(10)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hinge pipe 110 is coupled with the pivot shaft 130 so that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130 protrude laterally from the hinge pipe 110. In other words, the toilet seat 100 is coupled to the left toilet body 10 through the fastener 200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30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shaft 130 is fitted to the hinge tube 110, And is vertically rotatable in the main body 10.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130)의 양단부에는 고무링(R)이 끼워지는 환형의 고정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130)은 중앙 부분이 분리되어 제1회동축(130-1) 및 제2회동축(130-2)으로 구성되되, 제1회동축(130-1)의 단부에는 끼움돌기(132)가 형성되고 제2회동축(130-2)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132)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33)이 형성되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nnular fixing grooves 13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30, and the rotating shaft 130 has a center portion The first rotating shaft 130-1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130-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tting protrusion 1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130-1, And an insertion groove 133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32 is fitted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130-2 so as to be assembled together.

그리고, 상기 고정구(200)는 상기 변기 좌대(100)를 좌변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축(130)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131)에 끼움된 고무링(R)이 수용되는 회동지지홈(211)이 형성되고 회동지지홈(211) 내에 수용된 고무링(R)의 마찰에 의해 상기 변기 좌대(100)를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210)와, 상기 회동지지부(210) 하부에 설치되며 고정부재(221)를 통해 좌변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결합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00)는 바람직하게 좌우 한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부의 회동지지홈(211)은 회동축(130)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원통홈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21)는 고정결합부(220)에 결합되어 고정구(200)을 좌변기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볼트(B)와 너트(N)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볼트(B)의 머리가 고정구결합부(220)에 삽입되고, 너트(N)는 좌변기 본체(10)에 형성된 구멍(11)을 통과한 볼트(B)의 나선부에 결합되어 고정구(200)를 좌변기 본체(10)에 고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너트(N)로는 나비너트가 바람직하다.The fixture 200 is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toilet seat 100 on the toilet seat body 10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rotation shaft 130 are fitted and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31, And the rotation of the rubber ring R is stopped by the rotation of the rubber ring R received in the rotation support groove 211 so as to stably support the toilet seat 100 in the up- And a fixed coupling part 220 installed below the pivotal support part 210 and fixed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through a fixing member 221. [ Here, the fixture 2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rotation support groove 211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has a cylindrical groove shap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130 is inserted and rotatable. The fixing member 221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220 and fixes the fixing member 200 to the left side body 10. The fixing member 22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bolt B and a nut N. In this case, the head of the bolt B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nut N is coupled to the spiral portion of the bolt B which passes through the hole 11 formed in the left- 200) to the left-hand side body (10). Here, the nut (N) is preferably a butterfly nu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기 좌대(100)는 고정구(200)를 통해 좌변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좌변기 본체(10)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변기 좌대(100)가 회동지지부(210)에서 회동될 때, 상기 회동축(130)의 양단에 결합된 고무링(R)이 회동지지홈(211) 내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회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기 좌대(100)가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해진다. 특히, 좌변기 본체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회동지지홈(211) 내에서 고무링(R)의 마찰되면서 변기 좌대(100)의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변기 좌대(100)가 좌변기 본체(10)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거나 변기 좌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toilet seat 100 is coupled to the left-side body 10 through the fastener 200 and is vertically rotatable in the left-side body 10. Here, when the toilet seat 100 is rotated by the pivot support portion 210, the rubber ring 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130 is closely contacted in the pivot support groove 211, So that the toilet seat 100 can be stably rotated up and down. Particularly when the body of the toilet seat is moved downward, the rubber ring R rubs in the rotation support groove 211 and is gradual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toilet seat 10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by colliding with the main body 10 or breakage of the toilet seat 100.

그리고, 상기 변기 좌대(100)의 상측에는 중앙의 개구영역(310)이 변기 좌대에 비해 작은 유아용 좌대(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설치된 변기 좌대(100)에 유아용 좌대(300)가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유아용 좌대(300)는 후단 양측에 상기 힌지관(110)과 회동지지부(210) 사이의 회동축(130)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리부(32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고리부(320)의 상부에는 개방부(321)가 형성되어 개방부(321)를 통해 회동 고리부(320)가 회동축(130)에 조립식으로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아용 좌대(300)는 개방부(321)가 형성된 회동 고리부(320)를 통해 선택적으로 회동축(13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기존 변기 좌대(100)에 유아용 좌대(300)를 선택적으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n infant seat (300) having a center opening area (310) smaller than a toilet sea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se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seat (300) is moun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n the existing installed basin (100). To this end, the infant seat (300) includes the hinge pipe A pivotal hook 3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ivotal support portion 210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al shaft 130. An opening portion 32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ivotal hook 320, And the pivotal hook 320 is assembled to the pivot shaft 130 through the pivot 321. Therefore, since the child restraint 3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rotary shaft 130 through the pivotal hook 320 formed with the opening 32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ild rest seat 30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nd removed in the child restraint 100.

그리고, 상기 유아용 좌대(300)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변기 커버(4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기 커버(400)는 후술하는 커버회동구(500)를 통해 회동축(130)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아용 좌대(300)의 개구영역(3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toilet cover 400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hild rest seat 300 is formed. The toilet cover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30 via a cover door 50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rea 310 of the child seat 300 .

그리고, 상기 변기 커버(400)는 커버회동구(500)에 의해 상기 회동축(130)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회동구(500)는 상기 변기 커버(400)의 후단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편(510)과, 상기 고정편(510)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110)과 회동지지부(210) 사이의 회동축(130)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공(521)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회동 고리부(320)가 회동축(130)에 끼움될 수 있도록 투입부(522)가 형성되고 내부에 회동 고리부(320)가 회동축(130)에서 회동될 때 걸림없이 회동될 수 있도록 환형의 회동안내홈(523)이 형성된 고정링부(520)로 구성된다. The toilet cover 4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30 by the cover rotary shaft 500. More specifically, the cover groove 500 includes a fixing piece 510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toilet cover 400 is fixedly coupled, a fixing member 510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510, A pivot hole 521 is formed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 support shaft 210 between the pivot support portions 210. The pivot support pivot portion 3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210, And a stationary ring 520 having an annular pivoting guide groove 523 formed therein so that the pivot ring 320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pinched when the pivot ring 320 is rotated by the pivot shaft 13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용 좌대(300)의 회동 고리부(320)는 변기 커버의 커버회동구(500)와 회동축(130) 상에 동일한 위치에 결합되어 회동축(130)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회동 고리부(320)는 고정링부의 투입부(522)를 통해 투입되어 회동축(130)에 결합되고, 회동축(130)에 결합된 회동 고리부(320)는 고정링부(520)의 내부에 형성된 회동안내홈(523)을 따라 고정링부(320)의 내에서 상하 자유롭게 회동된다. 따라서, 변기 커버의 커버회동구(500)와 유아용 좌대의 회동 고리부(320)는 회동축(130) 상에 동일한 위치에 결합되고 서로 간섭없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을 조립할 때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회동 고리부(320)가 커버회동구(500)의 내부로 위치되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게 구성된다는 장점이 있다.5, the pivotal hook 320 of the child restraint 300 is coupl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cover pivotal opening 500 of the toilet bowl cover and the pivot 130, And is vertically rotatable on the rotary shaft (130). That is, the pivotal hook 320 is inserted through the input part 522 of the fixed ring part and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130, and the pivotal hook 320 coupled to the pivot shaft 130 is coupled to the fixed ring part 520, And is vertically and freely rotatable within the stationary ring portion 320 along the rotation guide groove 523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ationary ring portion 320. [ Therefore, since the cover pivoting opening 500 of the toilet cover and the pivoting hook 320 of the baby seat are coupled to the same position on the pivot shaft 130 and are rotatable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the pivotal hook 320 is positioned inside the cover pivotal shaft 500 and is not expos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is made beautiful.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변기 좌대(100) 및 변기 커버(400)가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좌변기 본체(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ilet seat 100 and the toilet seat cover 400 are rotated upward, the toilet seat 100 is kept vertically erected in the toilet seat main body 10.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130)에는 고정홈(131)의 내측으로 스토퍼돌기(135)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135)는 상기 변기 좌대(100)가 좌변기 본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130)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A)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부(520)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135)가 수용 가이드되는 가이드홈(525)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525)은 상기 변기 커버(400)가 유아용 좌대(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130)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A)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된 하부스토퍼면(525a)과 0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90 내지 110도 부분에 형성된 상부스토퍼면(525b)의 사이에 형성된다.6, stopper protrusions 135 protrude from the rotating shaft 130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s 131. The stopper protrusions 135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toilet seat 100, When the horizontal line A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rotary shaft is 0 degre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on the vertical plane of the rotary shaft 130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toilet seat main body 10, A guide groove 525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portion 520 to receive the stopper protrusion 135. The guide groove 525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toilet cover 400 is seated on the child seat 300 When the horizontal line A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rotary shaft is 0 degre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on the vertical axis of the rotary shaft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stopper surface 525a formed at the 0- And the upper stopper surface 525b formed in the 90 to 110 degree portion whe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좌대(100)가 좌변기 본체(10)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400)가 유아용 좌대(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커버(400)가 회동축(130)상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돌기(135)에 상부스토퍼면(525b)에 지지되면서, 변기 커버(400)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좌대(100)가 좌변기 본체(10)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400)가 유아용 좌대(300)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좌대(100)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회동축(130)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돌기(135)가 상부스토퍼면(525b)에서 가이드홈(525)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스토퍼돌기(135)가 하부스토퍼면(525a)에서 지지되면서, 변기 좌대(100)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변기 좌대(100) 및 변기 커버(400)가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좌변기 본체(10)에서 뒤쪽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좌변기 본체(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좌변기시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7, when the toilet seat 100 is seated in the toilet seat body 10 and the toilet seat cover 400 is seated on the baby seat 300, When the cover 400 is rotated upward on the rotating shaft 130, the toilet cover 400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topper protrusion 135 on the upper stopper surface 525b. 8, when the toilet seat 100 is seated in the toilet seat body 10 and the toilet seat cover 400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baby seat 300, the toilet seat 100 The stopper projection 135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525 from the upper stopper surface 525b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30 and the stopper projection 135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525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stopper surface 525a, the toilet seat 100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Therefore, when the toilet seat 100 and the toilet cover 400 are rotated upward,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in the toilet seat main body 10 without further turning backward from the toilet seat main body 10 ,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eat of the toilet seat can be used conveniently.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용 좌대(300)는 중앙 부분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안착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안착홈(330)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영역(310)이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안착홈(330)의 후단에는 유아의 엉덩이 골이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골수용부(3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변을 보기 위해 유아가 유아용 좌대(300)에 착석하였을 때, 유아의 엉덩이가 엉덩이안착홈(330) 및 엉덩이골수용부(340)에 인체공학적으로 밀착되어, 편안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9, the infant seat 300 is formed with a hip seating groove 330 for receiving the hip of the infant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enter portion of the hip seating groove 330 is formed with an opening area And a hip bone marrow harvesting portion 34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ttock receiving groove 330 so that the hip bone marrow of the infant is seated and accommodated. 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fant seats on the infant seat 300 for viewing the toilet, the infant's hips are ergonom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ip seating groove 330 and the hip bone marrow filling portion 340, .

또한, 상기 엉덩이안착홈(330)의 전단부에는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3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350)는 엉덩이안착홈(33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 캡부(351) 및 상기 캡부(351)의 하측에 마련되어 소변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5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아가 유아용 좌대(300)에서 착석한 상태에서 소변을 보더라도, 소변이 캡부(351) 내부로 수용된 다음 가이드판(352)을 따라 좌변기 본체(10) 내부로 흘러 들어가,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cover portion 350 for preventing urine from splashing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ip seating groove 330. 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35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buttocking groove 330 and is formed with a cap portion 351 recessed therein, and a guide plate 351 provided below the cap portion 351 to guide the urine downward 352).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infant seats in the infant seat 300, the urine flows into the left side body 10 along the guide plate 352 accommodated in the cap portion 351 and flows into the left side body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revented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of the left side of the toilet.

또한, 상기 유아용 좌대(300)의 양측에는 안전손잡이(360)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아가 유아용 좌대(300)를 사용할 때, 발이 바닥에 닿지 않더라도 유아용 좌대의 양측에 마련된 안전손잡이(360)를 파지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변을 보거나 청소를 할 때에도 상기 안전손잡이(360)가 장착된 유아용 좌대(30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좁은 화장실을 구비한 가정에서 불편함 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afety handles 36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ild restraint 300. Therefore, even when the infant does not touch the floor when the infant seat 300 is used, it is possible to safely use the left side lid since the infant can see the infant in a state holding the safety handle 3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fant seat, Even when viewing or cleaning, the child rest seat 300 on which the safety handle 360 is mounted can be vertically rotated to be vertically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without inconvenience in a home having a small rest room.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can afford it will know.

10: 좌변기 본체 100: 변기 좌대
200: 고정구 300: 유아용 좌대
400: 변기 커버 500: 커버회동구
10: toilet body 100: toilet seat
200: fixture 300: baby seat
400: toilet cover 500: cover ring

Claims (3)

좌변기 본체에 고정구을 통해 변기 좌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변기 좌대의 후단에는 중앙부분에 힌지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에는 회동축이 끼움 결합되어 회동축의 양단부가 힌지관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에는 고무링이 끼워지는 환형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중앙 부분이 분리되어 제1회동축 및 제2회동축으로 구성되되, 제1회동축의 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제2회동축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에 끼움된 고무링이 수용되는 회동지지홈이 형성되고 회동지지홈 내에 수용된 고무링의 마찰에 의해 상기 변기 좌대를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 하부에 설치되며 고정부재를 통해 좌변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변기 좌대의 상측에는 중앙의 개구영역이 변기 좌대에 비해 작은 유아용 좌대가 설치되고, 상기 유아용 좌대는 후단 양측에 상기 힌지관과 회동지지부 사이의 회동축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고리부의 상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해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 조립식으로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유아용 좌대의 상면을 커버링하는 변기 커버가 구성되고,
상기 변기 커버는 커버회동구에 의해 상기 회동축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커버회동구는 상기 변기 커버의 후단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과 회동지지부 사이의 회동축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 끼움될 수 있도록 투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회동 고리부가 회동축에서 회동될 때 걸림 없이 회동될 수 있도록 환형의 회동안내홈이 형성되는 고정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A toilet seat for a toilet seat in which a toilet seat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a fastener on a toilet seat body,
A hinge pipe is integral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Wherein the hinge pipe is formed such that a pivot shaft is fitted and coupled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pivot shaft project laterally of the hinge pipe, both end portions of the pivot shaft are formed with annular fixing grooves into which a rubber ring is fitted, Wherein the first rotation axis is formed with a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at an end of the first rotation axis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rotation axis to fit the fitting protrus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xture has a pivoting support groove in which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are fitted to each other to receive a rubber ring inserted into the fixation groove and the fixture is stably supported by the rubber ring accommodated in the pivoting support groove And a fixed coupl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pivotal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the body of the left-hand side body via a fixing member,
And an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is provided with an infant seat having a center opening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toilet seat. The infant sea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with a rotation shaft between the hinge tube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And an opening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ivotal annular portion so that the pivotal annular portion is fitted and fitted to the pivotal shaft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 toilet cover for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child rest,
Wherein the toilet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by a cover rotary shaft, the cover rotary shaft has a fixing piece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toilet cover is fixedly engaged, A pivot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between the pivot support portions. A lower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so that the pivot ring can be inserted into the pivot shaft. And a fixing ring portion in which an annular tilting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tilting guide groov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는 고정홈의 내측으로 스토퍼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부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가 수용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축 종단면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축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평선을 0도로 했을 때, 0도 부분에 형성된 하부스토퍼면과 0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90 내지 110도 부분에 형성된 상부스토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회동축상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돌기에 상부스토퍼면에 지지되면서, 변기 커버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안착되고, 상기 변기 커버가 유아용 좌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좌대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회동축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돌기가 상부스토퍼면에서 가이드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스토퍼돌기가 하부스토퍼면에서 지지되면서, 좌변기 시트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rotary shaft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and the stopper protrusion has a horizontal lin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rotary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on the rotary shaft longitudinal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seated in the left- 0 < / RTI > is formed at the 0-degree portion,
Wherein the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portion,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rotary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cover is seated on the child seat,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topper surface formed at the 0 degree portion and the upper stopper surface formed at the 90 to 110 degree portion when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0 degree,
When the toilet cov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body and the toilet cover is seated on the child seat, when the toilet cover is rotated upward on the rotary shaft, the toilet cover is supported vertically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
When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body of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cover is vertically erected on the child seat, when the toilet seat is rotated upward, the stopper projection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on the upper stopper surface And the stopper projection is supported by the lower stopper surface, so that the left-hand seat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좌대는 중앙 부분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후단에는 유아의 엉덩이 골이 안착 수용되도록 엉덩이골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안착홈의 전단부에는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엉덩이안착홈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소변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아용 좌대의 양측에는 안전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ck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hild rest so that the hip of the infant is seated and accommodated,
An opening region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hip seat,
A hip bon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ip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hip bone of the infant is seated and accommodated,
A cover portion for preventing urine from splashing is formed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uttock receiving groove, the cov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uttock receiving groove and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side the cap portion and below the cap portion, And a guide plate
Wherein a safety handl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ild restraint.
KR2020170004430U 2017-08-22 2017-08-22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KR2004875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30U KR200487545Y1 (en) 2017-08-22 2017-08-22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30U KR200487545Y1 (en) 2017-08-22 2017-08-22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45Y1 true KR200487545Y1 (en) 2018-11-21

Family

ID=6455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30U KR200487545Y1 (en) 2017-08-22 2017-08-22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4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792B1 (en) 2019-11-20 2021-04-20 한미연 Toilet seat cover for infant
KR20220099359A (en) 2021-01-06 2022-07-13 김유석 Toilet system with external urinal
KR20220099357A (en) 2021-01-06 2022-07-13 김유석 Toilet system with auxiliary wastewater discaherge pa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728U (en) * 1997-06-12 1999-01-15 이명섭 Toilet bowl with children's toilet seat
US20160015226A1 (en) * 2014-07-18 2016-01-21 Hoti(Xiamen) Plumbing Inc. Toilet seat cover with an easily assembled and detached child seat
KR20160076752A (en) * 2014-12-23 2016-07-01 한갑수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728U (en) * 1997-06-12 1999-01-15 이명섭 Toilet bowl with children's toilet seat
US20160015226A1 (en) * 2014-07-18 2016-01-21 Hoti(Xiamen) Plumbing Inc. Toilet seat cover with an easily assembled and detached child seat
KR20160076752A (en) * 2014-12-23 2016-07-01 한갑수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792B1 (en) 2019-11-20 2021-04-20 한미연 Toilet seat cover for infant
KR20220099359A (en) 2021-01-06 2022-07-13 김유석 Toilet system with external urinal
KR20220099357A (en) 2021-01-06 2022-07-13 김유석 Toilet system with auxiliary wastewater discaherge pa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545Y1 (en)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for man and child
US6695400B2 (en) Child car seat and baby carriage
US20040124610A1 (en) Safety seat anchoring mechanism for stroller
KR20140063424A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KR20160076752A (en) 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TW201900091A (en) Toilet
KR200381596Y1 (en) A toilet stool for a baby
KR101476701B1 (en) Secondary seat for infant chamber pot
KR20180131430A (en) Lid
KR200373176Y1 (en) a toilet stool support seat for child
KR102618224B1 (en) Link device with locking function for a buffer backrest of a chair
KR20140063421A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JP2832594B2 (en) Baby bath chair
KR200196479Y1 (en) A seat-Cover of toilet-stool for Adult and Child
CN210902301U (en) Children's chair
KR880000849Y1 (en) A attachable or detachable handle
JP7393789B2 (en) auxiliary toilet seat
KR101930629B1 (en) Portable potty
JP2006110189A (en) Chair type portable toilet bowl
JP6994896B2 (en) Optional parts for bathroom chairs Mounting members
KR101257187B1 (en) A potty chair
JP7065380B2 (en) Portable toilets and armrests
KR20180001984U (en) Infant combination both sides flag cover
KR20170035516A (en) Baby bouncer to easy portable
KR970007146Y1 (en) Baby chair combined with a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