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35A -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35A
KR20180131335A KR1020170152149A KR20170152149A KR20180131335A KR 20180131335 A KR20180131335 A KR 20180131335A KR 1020170152149 A KR1020170152149 A KR 1020170152149A KR 20170152149 A KR20170152149 A KR 20170152149A KR 20180131335 A KR20180131335 A KR 2018013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transmission
base station
data
bs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2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137B1/ko
Priority to PCT/KR2018/002750 priority patent/WO2018164499A1/ko
Priority to US16/349,259 priority patent/US10986530B2/en
Priority to CN201880004237.3A priority patent/CN109937587B/zh
Publication of KR2018013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 또는 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uplicate transmit buffer status trigger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 또는 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NR을 위한 레이어2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Short BSR and Truncated BSR MAC control elem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ong BSR MAC control elem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A 기반 데이터 중복 전송을 위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무선 베어러 구성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셀그룹 구성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NR (New Radio)
3GPP에서는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NR으로 표기)에 대한 스타디를 승인했다. NR은 flow 기반 QoS를 제공하기 위해 PDCP 상위에 새로운 AS 서브레이어(The main services and functions of a new AS sublayer include:
- 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ata radio bearer;
- 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The new user plane protocol layer is applicable for connections to the NextGen Core. A single protocol entity of the new user plane protocol layer is configured for each individual PDU session.)를 제공한다.
도 1은 NR을 위한 레이어2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단일 기지국 기반 중복 전송
NR은 CA(Carrier Aggreg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단일 기지국에 의한 CA 기반으로 복수의 무선경로/무선링크/셀/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 의한 CA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경로/무선링크/셀을 통해 중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플레인 RRC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무선 경로/무선링크/셀/캐리어를 통해 중복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무선 경로/무선링크/셀/캐리어(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무선경로, 무선링크, 셀, 캐리어 중 하나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다른 용어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를 통해 중복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버퍼 상태 리포팅 프로시져 (Buffer state reporting procedure)
종래 LTE 기술에서 버퍼 상태 리포팅 프로시져는 서빙 eNB에게 MAC 엔티티에 연계된 업링크(UL) 버퍼들에서 전송을 위한 이용가능한 데이터량(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시져로 3GPP 36.321 5.4.5절에 기술되어 있다. RRC는 세 개의 타이머 (periodicBSR -Timer, retxBSR-Timer and logicalChannelSR - ProhibitTimer)를 구성함으로써 그리고 각각의 논리채널에 대해 논리채널그룹에 논리채널을 할당하는 시그널링을 통해 BSR 리포팅을 제어한다.
버퍼 상태 리포트(BSR: Buffer State Report)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트리거되어야 한다.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전송을 위하여 하나의 논리채널그룹(LCG: Logical Channel Group)에 속한 하나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해(available)진다. 그리고 그 데이터가 임의의 논리채널그룹에 속하고 이미 이용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논리채널들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하나의 논리채널에 속하거나, 또는 하나의 논리채널그룹에 속하는 논리채널들 중의 임의의 것에 대해 아무 데이터도 가용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의 버퍼상태리포트를 “Regular BSR”이라고 한다.( UL data, for a logical channel which belongs to a LCG, becomes available for transmission in the RLC entity or in the PDCP entity (the definition of what data shall be considered as available for transmission is specified in [3] and [4] respectively) and either the data belongs to a logical channel with higher priority than the priorities of the logical channels which belong to any LCG and for which data is already available for transmission, or there is no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for any of the logical channels which belong to a LCG, in which case the BSR is referred below to as "Regular BSR)
- 업링크 자원이 할당되고 패딩비트의 수가 버퍼상태리포트 MAC control element에 그 서브헤더를 더한 크기와 같거나 클 때 버퍼상태리포트를 “Padding BSR”이라고 한다.
-재전송BSR타이머(retxBSR-Timer)가 만료되고 UE가 LCG에 속한 논리채널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전송을 위한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의 버퍼상태리포트도 “Regular BSR”이라고 한다.
- 주기적BSR타이머(periodicBSR-Timer)가 만료되는 경우의 버퍼상태리포트를 “Periodic BSR”이라고 한다.
Regular BSR 그리고 Periodic BSR에 대해, BSR이 전송되는 TTI(전송유닛)에 만약 하나 이상의 LCG이 전송을 위한 가용한 데이터를 가진다면, Long BSR을 리포트 한다(if more than one LCG has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in the TTI where the BSR is transmitted: report Long BSR). 그렇지 않으면 Short BSR을 리포트한다.
만약 Padding BSR에 대해, 패딩 비트의 수가 Short BSR에 그 서브헤더를 더한 크기와 같거나 크지만 Long BSR에 그 서브헤더를 더한 크기보다 작다면: 만약 BSR이 전송되는 TTI에 하나 이상의 LCG이 전송을 위한 가용한 데이터를 가진다면, 전송을 위한 가용한 데이터를 가진 가장 높은 우선순위 논리 채널을 가진 LCG의 Truncated BSR을 리포트 한다(if the number of padding bits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hort BSR plus its subheader but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ng BSR plus its subheader: if more than one LCG has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in the TTI where the BSR is transmitted: report Truncated BSR of the LCG with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with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그렇지 않으면 Short BSR을 리포트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Padding 비트의 수가 Long BSR에 그 서브헤더를 더한 크기와 같거나 크다면 Long BSR을 리포트한다.
하나의 MAC PDU(Protocol Data Unit)는 많아야 하나의 MAC BSR control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BSR이 전송을 위한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면 모든 트리거된 BSR은 취소된다.
MAC 엔티티는 하나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내에 많아야 하나의 Regular/Periodic BSR을 전송해야 한다.
하나의 TTI내에 전송되는 모든 BSRs은 항상 이 TTI에 대해 모든 MAC PDUs가 만들어진 후의 버퍼 상태를 나타낸다. 각각의 논리채널그룹은 많아야 TTI당 하나의 버퍼 상태 값을 리포트해야 한다. 그리고 이 값은 이 논리채널 그룹에 대한 버퍼상태를 리포트하는 모든 BSRs들내에 리포트되어야 한다.
이용가능한 데이터량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data volume)
MAC계층의 버퍼상태리포팅 목적으로 단말은 RLC 계층 내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량으로써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TS36.322 4.5절)
- 아직 RLC 데이터 PDU내에 포함되지 않은 RLC SDUs, 또는 세그멘트
- 재전송을 위해 펜딩된(pending) RLC 데이터 PDUs(RLC AM)
MAC계층의 버퍼상태리포팅 목적으로 단말은 PDCP 계층 내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량으로써 PDCP control PDUs와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TS36.323 4.5절)
하위 계층으로 PDU가 제출되지 않은 SDU에 대해
-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은 SDU가 있다면 SDU 자체
- PDCP에 의해 처리된 SDU가 있다면 PDU
PDCP 상태 리포트에 의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이 표시된 SDUs를 제외하고, 하위계층에 의해 확인받지 못한 해당 PDUs의 전달을 위한 첫번째 SDU로부터 시작해서PDCP 재설정이전에 하위 계층으로 PDU가 단지 제출된 해당 PDU에 대한 SDU에 대해
-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은 SDU가 있다면 SDU 자체
- PDCP에 의해 처리된 SDU가 있다면 PDU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LTE 기술에서 Regular BSR, Periodic BSR 또는 Padding BSR을통해 단말의 버퍼 상태를 보고했다. 만약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온된 경우, 단말이 short BSR프로시져를 통해 버퍼 상태를 리포트한다면 기지국이 해당 단말의 실제 전송해야 할 버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업링크 자원을 과소 할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LTE 기술에서 버퍼 상태 프로시져는 중복 전송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만약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온된 경우, 단말이 short BSR프로시져를 통해 버퍼 상태를 리포트한다면 기지국이 해당 단말의 실제 전송해야 할 버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업링크 자원을 과소 할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5G 이동통신/NR) 단말뿐만 아니라 임의의 무선액세스(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기지국은 LTE/E-UTRAN의 eNodeB, LTE 기지국을 나타낼 수도 있고, CU(Central Unit)과 DU(Distribute unit)이 분리된 5G 무선망에서 NR Node, gNB, gNB-CU, gNB-DU, 또는 CU와 DU가 하나의 논리적인 개체로 구현된 gNodeB, NR 기지국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기지국으로 표기하나 전술한 모든 개체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도2, 도3은 종래 LTE 기술에서 제공되는 BSR 포맷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온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전송유닛( TTI)에 하나의 BSR을 두 개의 서로 다른 셀/ 캐리어를 통해 각각 보내는 방법
종래 기술에서 MAC 엔티티는 하나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내에 많아야 하나의 Regular/Periodic BSR을 전송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TTI로 표기하나 NR에서 정의되는 전송유닛(예를 들어,슬롯,미니슬롯 등 임의의 물리계층 전송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베어러가 구성될 때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상태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베어러가 구성될 때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MAC CE 또는 PDCP Control PDU)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될 때, BSR이 트리거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베어러가 구성될 때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MAC CE 또는 PDCP Control PDU)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될 때, 기존 BSR 트리거 기준에 따라 BSR이 트리거 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은 서로 다른 논리채널그룹에 포함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만약 서로 다른 논리채널 그룹에 포함된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 각각에 대해 Regular BSR 또는 Periodic BSR이 트리거 될 때, BSR이 전송되는 TTI에 만약 하나 이상의 LCG이 전송을 위한 가용한 데이터를 가진다면, Long BSR을 리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각각의 논리채널이 서로 다른 논리채널그룹에 포함된 경우 해당하는 각각의 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를 포함한 BSR을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를 포함한 BSR은 하나의 TTI에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각각의 논리채널에 연계된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각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상에 각각의 SR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상에 해당 BSR을 전송할 수 있도록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베어러가 구성될 때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MAC CE 또는 PDCP Control PDU)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될 때 SR을 수신한 기지국은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상에 해당 BSR을 전송할 수 있도록 업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상에 해당 BSR을 전송할 수 있도록 SR을 트리거할 수 있다. 해당 SR은 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해당 SR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각각의 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를 포함한 BSR은 하나의 TTI에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각각의 논리채널에 연계된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해당 버퍼상태리포트에 포함되는 PDCP 엔티티의 가용 데이터량은 각각의 논리채널그룹의 버퍼크기에 각각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포함하여 이와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뒤에서 후술한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대한 BSR 재전송 타이머를 지시하는 방법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이 BSR을 기지국으로 리포팅할 때 기지국은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그랜트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BSR을 포함한 MAC PDU가 손실되면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신뢰성 있는 저지연 전송이 곤란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해당 무선베어러 전용(또는 무선베어러 별) RetxBSR-Timer 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해당 무선베어러 전용(또는 무선베어러 별) RetxBSR-Timer 를 기존 재전송 BSR 타이머 값(sf320, sf640, sf1280, sf2560, sf5120,sf10240)이 아닌 또는 특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해당 재전송BSR타이머(retxBSR-Timer)가 만료되면 BSR을 트리거(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타이머들(periodicBSR-Timer, retxBSR-Timer) 무선베어러 별 또는 논리채널 별 또는 논리채널그룹별로 구성될 때, 각각의 무선베어러별/논리채널별/논리채널그룹별 타이머에 대해 또는 각각의 무선베어러별/논리채널별/논리채널그룹별 타이머들 간, 또는 각각의 무선베어러별/논리채널별/논리채널그룹별 타이머와 단말 특정하게(단말에 공통으로 구성되는) 타이머 간에는 배수관계를 가져야 한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버퍼상태 리포팅을 트리거
일 예로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은 같은 논리채널그룹에 포함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은 서로 다른 논리채널그룹에 포함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종래 LTE 기술에 따르면 만약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질 때, 해당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이 이미 이용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논리채널들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하나의 논리채널에 속하거나, 또는 하나의 논리채널그룹에 속하는 논리채널들 중의 임의의 것에 대해 아무 데이터도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만, Regular BSR이 트리거된다.
이 경우,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업링크 데이터가 계속 발생하더라도 버퍼상태리포트를 기지국으로 신속하게 보내지 않아 신뢰성 있는 저지연 전송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은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Regular BSR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말에 사전 구성되거나, 기지국에 의한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PeriodicBSR-Timer를 특정 값(예를 들어 0)으로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해당 무선베어러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Regular BSR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해당 무선베어러 전용(또는 무선베어러 별) PeriodicBSR-Timer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해당 무선베어러(또는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Regular BSR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은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특정한 임계값을 지시하여 가용한 업링크 데이터가 해당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또는 크면) Regular BSR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지국은 해당 무선베어러 또는 논리채널에 대한 임계값을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면 패딩 BSR (또는 중복 전송 BSR ) 전송을 우선하여 전송
종래 LTE 기술에서 논리채널우선순위 프로시져는 다음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고려했다.( For the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the MAC entity shall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relative priority in decreasing order)
- MAC control element for C-RNTI or data from UL-CCCH;
- MAC control element for DPR;
- MAC control element for SPS confirmation;
- MAC control element for BSR, with exception of BSR included for padding;
- MAC control element for PHR, Extended PHR, or Dual Connectivity PHR;
- MAC control element for Sidelink BSR, with exception of Sidelink BSR included for padding;
- data from any Logical Channel, except data from UL-CCCH;
- MAC control element for Recommended bit rate query;
- MAC control element for BSR included for padding;
- MAC control element for Sidelink BSR included for padding.
이에 따라, 임의의 논리채널로부터의 데이터보다 패딩에 포함되는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가 낮았다.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질 때,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업링크 데이터가 계속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BSR을 보내기 위해 패딩에 포함되는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더 높게 고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패딩에 포함되는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임의의 논리채널로부터의 데이터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패딩에 포함되는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전술한 임의의 우선순위 순서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Padding BSR이 포함되는 경우, 추가적인 Padding BSR을 포함하지 않고 MAC PDU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Padding BSR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종래의 LTE와 동일하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추가적인 Padding BSR을 포함하여 MAC PDU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질 때,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가용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BSR을 정의할 수 있다.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더 높게 고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해당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임의의 논리채널로부터의 데이터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해당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전술한 임의의 우선순위 순서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해당 BSR을 위한 MAC CE의 우선순위를 전술한 MAC control element for BSR, with exception of BSR included for padding와 같거나 더 높은 우선순위로 정할 수 있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대해 하나의 논리채널에 대해서만 버퍼상태를 리포팅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이 BSR을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면 기지국은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그랜트를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 해당 논리채널에 연계된 상호 배타적인 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따라서 해당 무선베어러에 속한 각각의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에 대해 각각의 버퍼 상태를 리포팅하지 않고 둘 중 하나의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상태만을 수신해도 이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논리채널그룹에 하나의 무선베어러만 포함되는 경우 또는 해당 논리채널그룹에 중복 전송이 구성/활성화/시작된 무선베어러만 포함되는 경우 논리채널그룹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개별 무선 링크/셀/캐리어 상에서 손실된 RLC 패킷이 있는 경우 각각의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상태가 달라질 수 있지만, 둘 중 하나의 전송만 성공하면 되고 이러한 확률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예로 단말은 해당 베어러 중 하나의 논리채널(또는 제 1 논리채널 또는 디폴트 논리채널 또는 PCell을 포함하는 논리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상태만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해당 베어러 중 하나의 논리채널(또는 제 1 논리채널 또는 디폴트 논리채널 또는 PCell을 포함하는 논리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가용 데이터만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해당 베어러 중 상기 논리채널이 아닌 다른 논리채널(또는 제 2 논리채널 또는 PCell을 포함하지 않는 논리채널 또는 제 2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가용 데이터를 BSR 트리거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해당 베어러 중 상기 논리채널이 아닌 다른 논리채널(또는 제 2 논리채널 또는 PCell을 포함하지 않는 논리채널 또는 제 2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서는 RLC 엔티티가 이를 MAC 엔티티로 지시하지 않도록 하거나 지시된 가용데이터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지시정보(예를 들어 LCID 또는 인덱스 값 또는 구분 값 등)를 통해 duplicate BSR인지를 구분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BSR을 Single BSR을 사용하여 단일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버퍼상태 리포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에 대해 트리거된 BSR을 유지 또는 다음 업링크 그랜트에 전송
종래 LTE 기술에서 하나의 BSR이 전송을 위한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면 모든 트리거된 BSR은 취소된다. 하지만 논리채널그룹이 증가하게 되면 이에 대한 BSR 취소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Single BSR 또는 Truncated BSR을 통해 하나의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BSR만 전송되는 경우, 나머지 논리채널그룹의 BSR을 기지국이 확인하기 어려워 단말과 기지국 간에 단말 버퍼 상태에 대한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그 결과 기지국이 업링크 자원 할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논리채널그룹이 특정한 수보다 적은 경우, 하나의 BSR이 전송을 위한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면 모든 트리거된 BSR은 취소될 수 있다. 전술한 특정한 수는 단말에 사전 구성(또는 고정)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논리채널그룹이 특정한 수보다 큰 경우 하나의 BSR이 전송을 위한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더라도 전송된 BSR을 제외한 나머지(또는 전송된 BSR을 제외한 트리거된 특정 BSR)는 유지될 수 있다. 이후(다음 TTI에 또는 특정 수 이내의 TTI에) 업링크 그랜트가 수신되면 해당 BSR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복 전송이 구성된 무선베어러 또는 기지국의 L2 시그널링에 의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중복 전송이 시작/활성화된 무선베어러에 대해 해당 무선 베어러의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에 대해서는 하나의 BSR이 전송을 위한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더라도 전송된 BSR을 제외한 나머지(또는 전송된 BSR을 제외한 해당 무선 베어러의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이 포함되어 트리거된 특정 BSR)는 유지될 수 있다. 이후(다음 TTI에 또는 특정 수 이내의 TTI에) 업링크 그랜트가 수신되면 해당 BSR이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CA 환경에서 PDCP 패킷 중복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R/LTE에서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NR 셀과 하나 이상의 LTE 셀이 LTE 기지국을 통해 제공되어 CA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NR 셀과 하나 이상의 LTE 셀이 NR 기지국에 제공되어 CA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NR 셀이 NR 기지국에 제공되어 CA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LTE 셀이 LTE 기지국에 제공되어 CA를 적용하는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NR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NR셀을 통해 CA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시나리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NR 기지국은 단말에 하나 이상의 NR 셀을 통해 CA를 구성할 수 있다.
NR 기지국은 PDCP 중복 (전송) 기능을 사용하여 CA에 대한 데이터 중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의 PDCP 개체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무선 셀을 통해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SN를 가진 PDCP PDUs(또는 PDCP SDUs)를 복사하여/중복하여 하위 계층으로 제출한다.
단말의 PDCP 개체는 하나 이상의 무선 셀을 통해 수신한 PDCP PDUs(또는 PDCP SDUs)를 수신한다. 일 예로 PDCP 개체는 먼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중복된 데이터를 버릴(discard)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중복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버리는 기능은 PDCP엔티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에서 두 개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PDCP SN를 가진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PDCP SN를 기반으로 중복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또는 검출해 버리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이러한 동작을 지시/처리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의 PDCP 개체는 하나 이상의 무선 셀을 통해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SN를 가진 PDCP PDUs(또는 PDCP SDUs)를 복사하여/중복하여 하위 계층으로 제출한다.
기지국의 PDCP 개체는 하나 이상의 무선 셀을 통해 수신한 PDCP PDUs(또는 PDCP SDUs)를 수신한다. 일 예로 PDCP 개체는 먼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중복된 데이터를 버릴(discard)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중복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버리는 기능은 PDCP엔티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에서 두 개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PDCP SN를 가진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PDCP SN를 기반으로 중복된 데이터를 검출 할 수 있다(또는 검출해 버리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이러한 동작을 지시/처리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의 경우 새로운 AS 서브레이어를 통해 연결된 PDCP계층에서 중복 데이터 전송이 처리될 수 있다. 반면 RRC 메시지는 새로운 AS 서브레이어를 통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단일 기지국이 PDCP의 중복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CA 기반으로 단말과 중복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은 CA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NR 셀을 통해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하나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중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단말 내 하나의 MAC 엔티티를 이용하여 CA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링크/셀/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말 내에서 하나의 MAC 엔티티을 통해 데이터 중복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하나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RLC 엔티티와 하나 이상의 논리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AC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셀/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중복 전송 기능이 구성될 때 하나의 무선베어러에 속한 각각의 논리채널은 하나 이상의 상호 배타적인 셀/캐리어와 연계/연결/매핑되어야 한다.
즉 서로 다른 셀/캐리어를 통해 PDCP에서 중복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 하나의 무선 베어러가 두 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중복전송을 지원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두 개 이상의 RLC 엔티티를 통해 중복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기본/디폴트 RLC 엔티티와 추가 RLC 엔티티로 구분
기지국은 단말에 중복 전송을 위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기본/디폴트 RLC 엔티티와 추가 RLC 엔티티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기본/디폴트 RLC 엔티티를 제 1 RLC 엔티티로 중복 전송을 위해 추가되는 RLC 엔티티를 제 2 RLC 엔티티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베어러에 대해 구성된 제 1 RLC 엔티티와 구분되는 제 2 RLC 엔티티 등 임의의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용 데이터(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또는 데이터 볼륨(data volume) 산출/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버퍼 상태 리포팅 절차는 서빙 기지국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단말의 업링크(UL) 버퍼들에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 또는 데이터 볼륨(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용 데이터" 또는 "전송가능 데이터량"으로 표기한다. 이는 데이터 볼륨으로 대체될 수 있다.)에 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MAC 버퍼 상태 리포팅을 위해 단말은 RLC 계층 내에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서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 RLC SDUs, 또는 세그멘트(RLC SDUs, or segments thereof, that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an RLC data PDU)
- RLC 데이터 PDU 또는 부분(RLC data PDUs, or portions thereof, that are pending for retransmission (RLC AM).RLC data PDUs, or portions thereof, that are pending for initial transmission)
종래 LTE에서 MAC 버퍼 상태 리포팅 목적으로 단말은 PDCP 계층 내에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서 PDCP control PDUs와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아무 PDU도 하위 계층으로 제출되지 않은 SDU에 대해(For SDUs for which no PDU has been submitted to lower layers)
- SDU 자체, 만약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the SDU itself, if the SDU has not yet been processed by PDCP), 또는
- PDCP에 의해 SDU가 처리되었다면 PDU(the PDU if the SDU has been processed by PDCP)
- PDCP control PDUs
이에 더해 RLC AM 상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 만약 PDCP 엔티티가 재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했다면, 단말은 다음을 PDCP 계층에서 전송을 위한 이용 가능한 데이터양으로 고려해야 한다.
PDCP 상태 리포트에 의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이 지시된 SDUs를 제외하고, PDCP 재설정이전에 하위 계층으로 PDU가 단지 제출된 해당 PDU에 대한 SDU에 대해, 하위계층에 의해 확인받지 못한 해당 PDUs의 전달을 위한 첫번째 SDU로부터 시작해서
- SDU, 만약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
- PDCP에 의해 처리되었던 PDU(the PDU once it has been processed by PDCP.)
만약 PDCP 엔티티에서 중복 전송을 제공한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또는 조합하여 단말 내에서 가용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단일 기지국에서 CA 기반으로 복수 셀을 통해 PDCP 중복 전송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개의 기지국(dual connectivity) 기반 복수 셀을 통해 PDCP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 전송 베어러가 활성화 되는 경우 가용 데이터로 PDCP 데이터량의 중복 (배수)만큼 지시
기지국은 단말에 중복 전송을 위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하나의 PDCP 엔티티 그리고 연계된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BSR 트리거링과 버퍼 크기 계산을 위해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데이터 볼륨)를 지시할 때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을 위한 조건(condition/threshold)이 구성되었고, 중복 전송 조건을 만족하면(또는 중복 전송 조건 파라메터가 중복 전송 임계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두 배를 지시한다. (만약 n 개의 논리 채널을 통해 n 개의 무선 경로를 통해 중복 전송하는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n배를 지시한다. )
다른 예로 만약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베어러 지시정보가 구성되었고,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두 배를 지시한다. 일 예를 들어 전술한 L2 시그널링은 RLC 계층(또는 제1RLC 엔티티)에서 control PDU를 정의/재사용 하여 중복전송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L2 시그널링은 PDCP 계층(또는 PDCP 엔티티)에서 control PDU를 정의/재사용 하여 중복전송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L2 시그널링은 MAC계층(또는 MCG MAC 엔티티)에서 control PDU를 정의/재사용 하여 또는 (새로운 LCID를 가지는) MAC Control element를 통해 중복전송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해당 MAC Control element는 중복전송을 활성화할 무선 베어러 식별정보 또는 논리채널에 대한 논리채널 식별정보, 해당 무선베어러 또는 논리채널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과 같이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서 CA 기반으로 하나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경우, 전술한 조건에서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두 배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무 PDU도 하위 계층으로 제출되지 않은 SDU에 대해(For SDUs for which no PDU has been submitted to lower layers)
- SDU 자체, 만약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the SDU itself, if the SDU has not yet been processed by PDCP)로 산출된 PDCP 가용 데이터의 두 배
- PDCP에 의해 SDU가 처리되었다면 PDU(the PDU if the SDU has been processed by PDCP) 가용 데이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PDCP 가용 데이터를 MAC 엔티티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PDCP에 의해 PDCP PDU가 중복/copy되는 경우 PDCP PDUs는 이미 두 배의 데이터량이 산출된 상태이므로, SDU 데이터량은 두 배를 하지만, PDU 데이터량은 그대로 해서 단말 MAC 엔티티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무 PDU도 하위 계층으로 제출되지 않은 SDU에 대해(For SDUs for which no PDU has been submitted to lower layers)
- SDU 자체, 만약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the SDU itself, if the SDU has not yet been processed by PDCP)로 산출된 PDCP 가용 데이터의 두 배
- PDCP에 의해 SDU가 처리되고 있는 중이며 아직 PDCP 중복/카피가 되지 않았다면 그 SDU(또는 PDU)에 의해 산출된 PDCP 가용 데이터의 두 배
- PDCP에 의해 SDU가 처리되었다면 PDU(the PDU if the SDU has been processed by PDCP 또는 PDCP에 의해 SDU가 처리되었으며 중복/카피가 되었다면) PDU 가용 데이터
- PDCP control PDU 가용 데이터/데이터 볼륨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PDCP 가용 데이터를 MAC 엔티티로 지시할 수 있다. 이는 PDCP duplicate 기능이 PDCP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PDCP에 의해 PDCP PDU가 중복/copy되는 경우 PDCP PDUs는 이미 두 배의 데이터량이 산출된 상태이므로, PDCP PDU가 중복/copy되기 전까지는 SDU 데이터량의 두 배를 하지만, PDU 데이터량은 그대로 해서 단말 MAC 엔티티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두 개의 기지국에서 DC 기반으로 두 개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경우, 전술한 조건에서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각각의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가용 데이터량을 지시할 수 있다.
중복 전송 베어러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가용 데이터로 기존 PDCP 데이터량 지시
기지국은 단말에 중복 전송을 위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하나의 PDCP 엔티티 그리고 연계된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BSR 트리거링과 버퍼 크기 계산을 위해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데이터 볼륨)를 지시할 때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을 위한 조건(condition/threshold)이 구성되었지만, 중복 전송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또는 중복 전송 조건 파라메터가 중복 전송 임계값 보다 작으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지시한다. 다른 예로 만약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베어러 지시정보가 구성되었고,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또는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또는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해제/비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량을 지시한다.
다른 예로 도 4와 같이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서 CA 기반으로 하나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경우, 전술한 조건에서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가용 데이터량를 지시할 수 있다.
중복 전송 베어러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 2 RLC 엔티티의 가용 데이터 지시
일 예를 들어 도 4과 같이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서 CA 기반으로 하나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경우, 중복 전송 베어러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 2 RLC 엔티티의 가용 데이터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베어러 지시정보가 구성되었고,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제2 RLC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가용 데이터를 지시한다. 다른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을 위한 조건(condition/threshold)이 구성되었고, 중복 전송 조건을 만족하면(또는 중복 전송 조건 파라메터가 중복 전송 임계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단말의 제 2 RLC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제 2 RLC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가용 데이터를 지시한다.
다른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을 위한 조건(condition/threshold)이 구성되었지만, 중복 전송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또는 중복 전송 조건 파라메터가 중복 전송 임계값 보다 작으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단말의 제2 RLC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를 0으로 지시한다.(또는 지시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만약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베어러 지시정보가 구성되었고,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또는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또는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해제/비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단말(단말의 제2 RLC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를 0으로 지시한다. (또는 지시하지 않는다.)
중복 전송 베어러에 대해서도 가용 데이터로 PDCP 데이터량을 그대로 지시(MAC에서 해당 베어러에 연계된 논리채널에 각각 포함하여 버퍼크기를 산출)
기지국은 단말에 중복 전송을 위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하나의 PDCP 엔티티 그리고 연계된 두 개의 RL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기지국은 단말에 중복 전송을 구성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특정 베어러에 대해 업링크 버퍼량을 산출할 때 이를 감안하여 대략적인 업링크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전송 베어러를 위한 지시정보를 구성하더라도 PDCP 가용데이터량을 그대로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MAC에서 버퍼상태 리포팅을 수행할 때, 해당하는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버퍼상태 크기를 산출하는 데 있어 중복 전송 활성화 여부를 고려하여 해당 무선 베어러의 버퍼 상태 크기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중복 전송을 위한 조건(condition/threshold)이 구성되었고, 중복 전송 조건을 만족하면(또는 중복 전송 조건 파라메터가 중복 전송 임계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또는 물리 계층에 의해 중복 전송 조건에 도달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지시한다. MAC은 버퍼 상태 리포팅에 해당하는 PDCP 엔티티의 가용데이터를 두 배 하여 버퍼 상태를 산출한다.
다른 예로 만약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베어러 지시정보가 구성되었고, 기지국에 의해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L2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지시한다. MAC은 버퍼 상태 리포팅에 해당하는 PDCP 엔티티의 가용데이터를 두 배 하여 버퍼 상태를 산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과 같이 단말이 단일 기지국에서 CA 기반으로 하나의 MAC 엔티티를 사용하여 PDCP 중복 전송을 제공하는 경우, 단말(단말의 PDCP 엔티티)은 MAC 엔티티로 전송을 위한 가용 데이터로 PDCP 엔티티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량을 지시할 수 있다. MAC은 버퍼 상태 리포팅에 해당하는 PDCP 엔티티의 가용데이터를 두 배하여 버퍼 상태를 산출한다.
일 예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에 대해 각각 PDCP 엔티티의 가용데이터를 포함한다. 단말은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각각의 논리채널에 PDCP 엔티티의 가용데이터를 포함하는 버퍼크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PDCP 데이터 볼륨을 MAC으로 지시하여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절차에 대해 더구체적으로 설명한다.전술한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구성하는 RRC 구성 파라메터를 먼저 설명한다.
RRC 연결을 수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무선베어러를 설정/수정/해제하거나, SCell과 셀그룹을 추가/수정/해제하기 위해,사용되는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는 마스터셀그룹구성 정보, 세커더리셀그룹구성정보, 무선베어러 구성정보, 전용된 NAS 구성정보(dedeicatedInfoNAS), 측정구성 정보, 기타 구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무선 베어러 구성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셀그룹 구성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무선 베어러 구성정보는 SRB(시그널링 무선베어러) 구성정보(e.g. srb-ToAddModList), DRB(데이터 무선베어러) 구성정보(e.g. drb-ToAddModList), 시큐리티 구성정보(e.g. securityConfig)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RB 구성정보(e.g. srb-ToAddMod), DRB 구성정보(e.g. drb-ToAddMod)는 PDCP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LTE에서는 무선베어러 유형 정보를 통해 해당 무선 베어러에 구성되는 PDCP 엔티티와 이에 연계되는 RLC 엔티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NR은 SCG split bearer 도입 등으로LTE에 비해 더 많은 무선베어러 유형을 정의되었고 이에 따라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절차 등이 더 복잡하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선 베어러 구성정보 내에 상위 계층 구성(예를 들어 PDCP, SDAP를 포함하는 베어러 구성)과 하위 계층 구성(예를 들어 RLC, MAC을 포함하는 MCG/SCG 구성)을 구분하여RRC 시그널링 정보를설계할 수 있다.
셀그룹구성정보는마스터셀그룹(마스터노드)구성정보 또는세컨더리셀그룹(세컨더리노드)구성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의 셀그룹에 대한 구성 파라메터를 셀그룹구성 정보요소(CellGroupConfig IE)를 통해 단말로 지시한다. 셀그룹구성정보는 셀그룹식별자를 통해 MCG와 SCG을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셀그룹식별자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MCG를 나타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SCG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셀그룹구성정보는 MCG와 SCG 구분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셀그룹구성정보는 논리채널 구성정보(e.g. logicalChannel-ToAddModList), MAC 셀그룹 구성정보(e.g. mac-CellGroupConfig), RLF 타이머 구성정보(e.g. rlf-TimersAndConstants), PCell구성정보 (e.g. pCellConfig), SCell 구성정보 (e.g. sCellToAddModList)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RRC 시그널링 정보를 설계하는 경우,상위 계층 구성정보인 무선베어러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PDCP 엔티티와 하위 계층 구성정보인 셀그룹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RLC 엔티티간에 매핑/연계 정보를 지시해 주어야 한다.
일 예로 CA 기반 중복전송이 구성되는 경우,무선베어러 구성정보에포함되는 PDCP 엔티티에 대한 PDCP 구성 정보에 연계/매핑되는 추가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이는 CA 기반 중복전송이 구성되지 않았을 경우, 무선베어러 구성정보에포함되는 PDCP 엔티티에 대한 PDCP 구성 정보에 연계/매핑되는 기본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구분되는 정보를 나타낸다.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반 중복전송에서 하나의 무선베어러는 각각의 중첩되지 않는 셀에 연계되는 두 개의 논리채널과 각 논리채널에 연계되는 두 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구성된다.따라서 해당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논리채널식별자(logicalchannelIdentity)를 사용하여 연계/매핑될 수 있다.이에 더해 PDCP 구성정보는 중복전송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A 기반 중복전송이 구성되는 경우, 셀그룹구성정보에포함되는 논리채널구성정보(LCH-Config)는 해당하는 논리채널에 연계/매핑되는 RLC 엔티티의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RLC-config)를 포함할 수 있다.이에 더해 논리채널구성정보(LCH-Config)는해당 논리채널에 연계되는 무선베어러 식별정보,해당 논리채널에 허용되는 Cell 정보(allowedCells)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을 종합하면,단말은 PDCP 엔티티의 가용 데이터(데이터 볼륨)를 연계된 RLC 엔티티의 수, PDCP 중복전송 구성 및 활성화 여부,그리고 CA 기반 PDCP 중복 전송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예를들어단말(또는 단말의 PDCP 엔티티)는 PDCP 가용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송신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연계되었다면 (또는 하나의 논리채널에 연계되었다면, 또는 하나의 RLC 엔티티만 연계되어 구성되었다면),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송신 PDCP 엔티티가 두 개의 RLC 엔티티에 연계되었다면 (또는 두 개의 논리채널에 연계되었다면),
>>만약 PDCP 중복전송(pdcpDuplication)이 구성되고 활성화되었다면
>>>만약 중복전송을 위한 서로다른 논리채널이 동일한 MAC 엔티티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 각각에 대해 해당 MAC 엔티티로 데이터 볼륨을 지시한다.(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의 두 배를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또는 단말은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 식별정보, 데이터 볼륨을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해당 MAC 엔티티로 데이터 볼륨을 지시한다. 이 때 단말은 연계된 두 개의 논리채널 각각에 대해 해당 데이터 볼룸을 포함한 BSR 버퍼 크기를 산출한다.)
>>>그렇지 않고 중복전송을 위한 서로다른 논리채널이 서로다른 MAC 엔티티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MCG MAC 엔티티와 SCG MAC 엔티티(both the MCG MAC entity and the SCG MAC entity)로 지시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PDCP 중복전송(pdcpDuplication)이 구성되었지만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만약 중복전송을 위한 서로다른 논리채널이 동일한 MAC 엔티티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MCG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하나의 논리채널에 대해 해당 MAC 엔티티로 데이터 볼륨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고 중복전송을 위한 서로다른 논리채널이 서로다른 MAC 엔티티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다른 예로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MCG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그렇지 않다면
>>> 만약 두 개의 연계된 RLC 엔티티 내에 초기 전송을 위해 펜딩된 전체 PDCP 데이터 볼륨과 RLC 데이터 볼륨이 업링크데이터분리임계값(ul-DataSplitThreshold)보다 적으면(또는 만약 PDCP 데이터 볼륨이 업링크데이터분리임계값(ul-DataSplitThreshold)보다 적으면)
>>>>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해당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업링크경로로구성된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연계된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연계된 RLC 엔티티에 연계된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또는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연계된 논리채널을 포함하는 MAC 엔티티로 지시한다) 그리고 단말은 다른 MAC 엔티티로 데이터 볼륨을 0으로 지시한다.
>>>그렇지 않다면
>>>> 단말은 데이터 볼륨을 MCG MAC 엔티티와 SCG MAC 엔티티(both the MCG MAC entity and the SCG MAC entity)로 지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이 특정 베어러에 대해 단일 기지국에 의한 CA를 통해 중복전송이 구성 또는 활성화/시작되었을 때 단말의 버퍼 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지국이 업링크 자원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 또는 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 또는 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차세대 이동통신망(NR)에서 단일 기지국 기반의 패킷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버퍼 상태 트리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CA 기반 특정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구성되거나 해당 베어러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이 시작 또는 활성화된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 리포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152149A 2017-03-10 2017-11-15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 KR20180131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11A KR102065137B1 (ko) 2017-03-10 2018-03-07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8/002750 WO2018164499A1 (ko) 2017-03-10 2018-03-08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16/349,259 US10986530B2 (en) 2017-03-10 2018-03-08 Buffer state repor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201880004237.3A CN109937587B (zh) 2017-03-10 2018-03-08 缓冲区状态报告传输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074 2017-05-31
KR20170068074 201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35A true KR20180131335A (ko) 2018-12-10

Family

ID=6467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149A KR20180131335A (ko) 2017-03-10 2017-11-15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3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6530B2 (en) Buffer state repor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Rao et al. Packet duplication for URLLC in 5G: Architectural enhancements and performance analysis
US10986535B2 (en) Switching between packet duplication operating modes
JP7341135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73672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mall cell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56248B1 (ko) 스몰셀 환경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0681B1 (ko)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기지국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0530B1 (ko) 제어 메시지 중복수신 방법 및 장치
US10616871B2 (en) Uplink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65137B1 (ko)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1020016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24008979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KR20180081446A (ko) 데이터 중복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72935A1 (en) Method for duplicately receiving control message, and device therefor
KR102077784B1 (ko)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버퍼 상태 보고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8391A (ko)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10617A (ko) PUCCH SCell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31335A (ko)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중복전송 버퍼 상태 트리거 방법 및 장치
KR20190015665A (ko)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13768A (ko) Lwa 환경에서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70113767A (ko) Lwa 환경에서 pdcp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60088812A (ko)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22510A (ko) Nr urllc 서비스를 위한 중복전송 실패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113766A (ko) Lwa 환경에서 데이터 라우팅 방법 및 장치
KR20170020617A (ko) 무선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