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242A -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242A
KR20180131242A KR1020170067984A KR20170067984A KR20180131242A KR 20180131242 A KR20180131242 A KR 20180131242A KR 1020170067984 A KR1020170067984 A KR 1020170067984A KR 20170067984 A KR20170067984 A KR 20170067984A KR 20180131242 A KR20180131242 A KR 2018013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atment
management
part module
embry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강동형
최범채
정경미
박효영
Original Assignee
(주)네오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네오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7006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242A/ko
Publication of KR2018013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난임차트시스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 및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하는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for in vitro fertilization embryo management and treatment of infertility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treatment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ing in-service information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본 발명은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병원에서 사용하는 차트 및 환자의 자료가 종이로 된 차트로 구성되며, 검사 정보도 종이 차트에 붙어 있거나, X-레이 형식의 아날로그 형태의 필름으로 필름 보관실 등에 따로 보관되어 온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는 환자의 자료나 차트의 분실이나 슬라이드 사진 등이 훼손되어 영구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환자의 모든 데이터를 보관 및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동영상의 경우에도 촬영한 영상물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손실 및 검색, 그리고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난임 치료에 사용되는 차트는 모든 병원이 종이로 기록하여 관리되고 있고, 전자적으로 기록한다고 할지라도, 난임치료에 필요한 예진실, 난임진료실, 정자, 난자를 채취하여 현미경 미세조작술을 통해 수정란을 만들고 배아를 배양하고 관리하는 연구실 간에 정보가 상호 연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618호 (공개일자 2002.10.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 혹은 개별적으로 기록관리하고 있는 난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관리하고, 간호 파트 모듈, 진료 파트 모듈, 연구 파트 모듈을 포함하는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각 파트간 정보를 유기적으로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서(예진실, 난임진료실, 배아연구실)간 정보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임상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서 난임진료정보교환표준프로토콜을 이용하여난임치료에 사용된 정보가 병원과 병원 간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중복검사 및 배양비용을 줄여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시술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은, 상호 연동되는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을 포함하는 난임차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상기 간호파트모듈을 통하여 생리일, 난임기간, 임신을 위한 검사(호르몬 혈액검사 등) 검사결과, 남편의 난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예진정보, 진료한 병원의 이력을 포함하는 환자의 난임 이력; 환자의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혈압을 포함하는 신체계측정보, 임신을 위한 검사, 수술기왕력, 유산기왕력, 출산정보 및 국가의 난임지원금여부 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을 통하여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에서 제공되는 예진정보, 남편의 난임관련 정보, 환자의 난임 이력과, 적응증, 과배란유도방법, 주기적인 약, 주사, 검사, 초음파, 난임시술예약, 진료예약, 기타 진료처방, 배아이식 경과메모, 동결보관중배아, 배아이식계획 및 배란유도후 배란일 잡기, 인공수정, 체외수정, 동결배아 이용 체외수정을 포함하는 단계별 난임시술방법을 결정 및 이 모든 사항을 구성하는 진료파트모듈 관리 단계; 및 상기 연구파트모듈을 통하여 여성난임환자의 보조생식술 중 난자채취,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수정란 배양과정, 신선배아이식, 동결배아 배아이식, 해동, 배양일변경, 폐기 과정을 구성하고, 남성의 보조생식술 중 정자채취, 인공수정,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정자 동결 및 해동 과정을 구성 및 관리하는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진료를 위한 예약, 검사결과조회, 정기적인 투약관리, 난임 대상자여부 기록을 수행하는 난임고객의 일반기록단계; 가족관계확인 및 기록, 국가지원결정서 내역 기록, 배우자정보, 신체정보를 기록하는 난임환자접수관리 및 기록단계; LMP(최종월경일), Marriage(결혼상태), Infertility period(난임기간), OP History (수술기왕력), Medical History (치료기왕력)을 관리하는 난임환자의 예진정보관리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난임치료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Hormone Result(호르몬검사) 기록을 처리하는 난임검사 결과기록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임신성공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베타-hCG 검사(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결과의 입력, 출산정보의 입력을 구성하는 임신성공여부 기록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시술 결정 관리는, OI (과배란 유도), IUI (인공수정), IVF-ET (채외수정시술), Cryo-ET (동결배아이식)의 4단계로 기록 관리되는데, 상기 기록들은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접수정보, 예진정보를 전송받아 진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난임시술정보 관리는, Indication (적응증), Protocol (과배란유도 방법), Husband Info (남편난임정보)조회 수정, Cycle Chart (시술내용)의 기록 및 관리, ET Comment (배아 이식정보 설명), Previous Banking EM (동결된 잔여배아 조회) 기록 및 관리, 베타-hCG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조회, ET Plan (배아시술계획), Infertility Lab (난임연구결과) 조회, 검사결과 조회, 초음파결과 조회로 구성되고, 난임시술정보는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진료 및 시술예약에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난임시술정보 중 시술계획 데이터는 상기 연구파트모듈에 제공되고, 상기 연구파트모듈의 난자 채취나 배아이식 정보를 수신 받아 난임 시술 후 조회에 사용된다.
상기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와 정자, 난자의 채취 및 시술 정보관리,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 관리로 구성되고, 여성의 보조생식술과 남성의 보조생식술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단계; OPU (난자채취), ET (신선배아이식), Cryo ET (동결배아이식), Cryo Preservation (배아동결), Thawing (동결된 Medium Change (배양액교환시기), expiration Check (배아 폐기)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여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채취, IUI(인공수정), TESE(고환조직정자채취), Semen Analysis (정액검사), Cryo Preservation (정자동결), Thawing (동결된 정자 해동)으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남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 난자를 채취 후 고유번호 생성기능과 정자, 난자의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단계; 배양정보 입력, 바코드와 RFID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구성되고 관리하는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의 관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정보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는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은, 난임차트시스템에서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에서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 시스템은,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난임차트시스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 및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하는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에 의하면, 종이 혹은 개별적으로 기록관리하고 있는 난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관리하고,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을 포함하는 난임차트시스템을 적용하여 각 파트간 정보를 유기적으로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서(예진실, 난임진료실, 배아연구실)간 정보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임상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서 난임진료정보교환표준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난임치료에 사용된 정보가 병원과 병원 간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중복검사 및 배양비용을 줄여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난임치료에 사용된 정보가 병원과 병원 간 상호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난임환자는 이전의 병원에서 치료했을 때 배양되어 보관되었던 잉여냉동배아를 다른 병원에서 치료할 때 가져와 2번째 아기를 낳을 때 사용할 수 있어, 고가의 치료비를 줄일 수 있고, 국가는 아기를 낳고 싶어도 못 낳는 난임 환자를 중앙에서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난임 지원 정책수립에 활용하여 국가의 존망이 걸려있는 인구감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2의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3의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4의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난임차트시스템(100), 간호파트모듈(110), 진료파트모듈(120), 연구파트모듈(130),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 데이터베이스(210),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300) 및 진료비 접수기관(400)를 포함한다. 또한, 난임차트시스템은 외부내트워크를 통해 난임진료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난임진료정보 송.수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임차트시스템(100)은 간호파트모듈(110), 진료파트모듈(120) 및 연구파트모듈(130)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에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는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300)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300)은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은, 먼저 간호파트모듈(110), 진료파트모듈(120) 및 연구파트모듈(130)로 구성된 난임차트시스템(100)에서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에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이후,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에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300)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다음으로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300)에서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200)에서 난임진료정보교환표준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난임치료에 사용된 정보가 병원과 병원 간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중복검사 및 배양비용을 줄여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간호파트모듈(110)은 생리일, 난임기간, 임신을 위한 검사(호르몬 혈액검사 등) 검사결과, 남편의 난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예진정보, 진료한 병원의 이력을 포함하는 환자의 난임 이력; 환자의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혈압을 포함하는 신체계측정보, 임신을 위한 검사, 수술기왕력, 유산기왕력, 출산정보 및 국가의 난임지원금여부 정보를 구성 및 관리한다.
진료파트모듈(120)은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에서 제공되는 예진정보, 남편의 난임정보, 환자의 난임이력, 적응증, 과배란유도방법, 주기적 약, 주사, 검사, 초음파, 난임시술예약, 진료예약, 기타 진료처방, 배아이식 경과메모, 동결보관중인 잉여배아상태, 배아이식계획 및 과배란유도, 인공수정, 체외수정, 동결배아이식을 포함하는 단계별난임시술방법을 결정 및 구성한다.
연구파트모듈(130)은 여성난임환자의 보조생식술 중 난자채취 및 정액채취,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수정란 배양과정, 신선배아이식, 동결배아 배아이식, 해동, 배양일변경, 폐기 과정을 구성하고, 남성의 보조생식술 중 정자채취, 인공수정,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정자 동결 및 해동 과정을 구성 및 관리하는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해동 과정을 구성 및 관리하는 연구파트모듈을 관리한다.
상기 각각의 간호파트모듈(110), 진료파트모듈(120) 및 연구파트모듈(130)의 관리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진료를 위한 예약, 검사결과조회, 정기적인 투약관리, 난임 대상자여부 기록을 수행하는 난임고객의 일반기록단계; 가족관계확인 및 기록, 국가지원결정서 내역 기록, 배우자정보, 신체정보를 기록하는 난임환자접수관리 및 기록단계; LMP(최종월경일), Marriage(결혼상태), Infertility period(난임기간), OP History (수술기왕력), Medical History (치료기왕력)을 관리하는 난임환자의 예진정보관리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난임치료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Hormone Result(호르몬검사) 기록을 처리하는 난임검사 결과기록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임신성공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베타-hCG 검사(인간 융모막 호르몬) 결과의 입력, 출산정보의 입력을 구성하는 임신성공여부 기록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간호파트모듈(110)의 기능은 난임고객의 일반기록분야와, 난임 환자접수관리및기록, 난임환자의 예진정보관리, 난임검사결과기록, 임신성공 여부기록으로 구성된다.
난임고객의 일반기록분야는 난임진료를 위한 예약, 검사결과조회, 정기적인 투약관리, 난임 대상자여부 기록 등으로 구성된다.
난임환자접수관리 및 기록은 가족관계확인 및 기록, 국가지원결정서 내역 기록, 배우자정보, 신체정보 기록으로 구성된다.
난임환자의 예진정보관리는 LMP(최종월경일),Marriage(결혼상태), Infertility period(난임기간), OP History (수술기왕력), Medical History (치료기왕력) 으로 구성된다.
난임검사 결과기록은 Hormone Result (호르몬검사)로 구성된다. 이 기록은 도3의 진료파트모듈(120)에서 제공받은 난임치료 후 를 전송받아 처리 된다.
임신성공여부 기록은 베타-hCG 검사(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결과의 입력, 출산정보의 입력으로 구성된다. 이 기록들은 도3의 진료파트모듈(120)에서 제공받은 임신성공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진료파트모듈의 기능은 난임시술 결정 관리와 난임시술 정보 관리로 구성된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시술 결정 관리는, OI (과 배란 유도), IUI (인공수정), IVF-ET (채외수정시술), Cryo-ET (동결배아이식) 의 4단계로 기록 관리되되, 상기 기록들은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접수정보, 예진정보를 전송받아 진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난임시술정보 관리는, Indication (적응증), Protocol (과 배란유도 방법), Husband Info (남편난임정보)조회 수정, Cycle Chart (시술내용)의 기록 및 관리, ET Comment (배아 이식정보 설명), Previous Banking EM (동결된 잉여배아 조회) 기록 및 관리, 베타-hCG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조회, ET Plan (배아시술계획), Infertility Lab (난임연구결과) 조회, 검사결과 조회, 초음파결과 조회로 구성되고, 난임시술정보는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진료및시술예약에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난임시술정보 중 시술계획 데이터는 상기 연구파트모듈에 제공되고, 상기 연구파트모듈의 난자 채취나 배아이식 정보를 수신 받아 난임 시술 후 조회에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난임시술 결정 관리는 4단계로 기록관리된다. 단계별 기록은 OI (과 배란 유도), IUI (인공수정), IVF-ET (채외수정시술), Cryo-ET (동결배아이식) 로 구성된다. 이 기록들은 도2의 간호파트모듈(110)에서 제공받은 접수정보, 예진정보를 전송받아 진료에 사용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난임시술정보 관리는 11종의 기능으로 구성되고, 기록관리 된다.
난임시술정보 관리는 Indication (적응증), Protocol (과 배란유도 방법), Husband Info (남편신체정보)조회 수정, Cycle Chart (시술내용)의 기록 및 관리, ET Comment (배아 이식정보 설명), Previous Banking EM (동결된 잉여배아 조회) 기록 및 관리, 베타-hCG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조회, ET Plan (배아시술계획), Infertility Lab (난임연구결과) 조회, 검사결과 조회, 초음파결과 조회로 구성된다.
난임시술정보는 간호파트모듈에서 진료및시술예약에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난임시술정보 중 시술계획 데이터는 연구파트모듈에 제공된다.
연구파트의 난자 채취나 배아이식 등의 정보를 수신 받아 난임 시술 후 조회에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중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와 정자, 난자의 채취 및 시술 정보관리,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 관리로 구성되고, 여성의 보조생식술과 남성의 보조생식술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단계; OPU (난자채취), ET (신선배아이식), Cryo ET (동결배아이식), Cryo Preservation (배아동결), Thawing (동결된 Medium Change (배양액교환시기), expiration Check (배아 폐기)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여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채취, IUI(인공수정), TESE(고환조직정자채취), Semen Analysis (정액검사), Cryo Preservation (정자동결), Thawing (동결된 정자 해동)으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남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 난자를 채취 번호 생성기능과 정자, 난자의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단계; 배양정보 입력, 바코드와 RFID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구성되고 관리하는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의 관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정보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는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구파트모듈은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 관리로 구성된다.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는 여성의 보조생식술과 남성의 보조생식술로 구성되고 기록된다.
여성의 보조생식술은 OPU (난자채취), ET (신선배아이식), Cryo ET (동결배아이식), Cryo Preservation (배아동결), Thawing (동결된 Medium Change (배양액교환시기), expiration Check (배아 폐기)로 구성되고 기록된다.
남성의 보조생식술은 정자채취, IUI(인공수정), TESE(고환조직정자채취), Semen Analysis (정액검사), Cryo Preservation (정자동결), Thawing (동결된 정자 해동)으로 구성되고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는 정자, 난자를 채취 후 고유번호 생성기능과 정자, 난자의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관리한다.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의 관리는 배양정보 입력, 바코드와 RFID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구성되고 관리된다.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정보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는 진료파트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난임챠트시스템은 난임진료정보를 중앙난임정보교환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되는 난임정보는 난임진료정보교환표준프로토콜에서 정의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수신된 난임정보는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중앙난임정보교환시스템은 인증된 병원으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병원(난임챠트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2의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3의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도 4의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에 의하면, 종이 혹은 개별적으로 기록관리하고 있는 난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관리하고, 간호 파트 모듈, 진료 파트 모듈, 연구 파트 모듈을 포함하는 난임차트표준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각 파트간 정보를 유기적으로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서(예진실, 난임진료실, 배아연구실)간 정보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임상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난임차트시스템
110 : 간호파트모듈
120 : 진료파트모듈
130 : 연구파트모듈
200 :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300 :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
400 : 진료비 접수기관

Claims (6)

  1. 상호 연동되는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을 포함하는 난임차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상기 간호파트모듈을 통하여 생리일, 결혼상태, 호르몬 등 검사결과, 남편의 난임정보를 포함하는 예진정보, 진료한 병원의 이력을 포함하는 환자의 난임이력; 환자의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혈압을 포함하는 신체계측정보, 임신을 위한 검사, 수술기왕력, 유산기왕력, 출산정보 및 국가의 난임지원금여부 정보를 구성 및 관리하는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을 통하여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에서 제공되는 예진정보, 남편의 난임정보, 환자의 난임이력과, 적응증, 과배란유도방법, 주기적 약, 주사, 검사, 초음파, 난임시술예약, 진료예약, 기타 진료처방, 배아이식 경과메모, 동결보관중인 잉여 배아상태, 배아이식계획 및 과배란유도, 인공수정, 체외수정, 동결배아 이용 체외수정을 포함하는 단계별난임시술방법을 결정 및 구성하는 진료 파트모듈 관리 단계; 및
    상기 연구파트모듈을 통하여 여성난임환자의 보조생식술 중 난자채취 및 정액채취,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수정란 배양과정, 신선배아이식, 동결배아 배아이식, 해동, 배양일변경, 폐기 과정을 구성하고, 남성의 보조생식술 중 정자채취, 인공수정, 미세조작술을 통한 수정, 정자 동결 및 해동 과정을 구성 및 관리하는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진료를 위한 예약, 검사결과조회, 정기적인 투약관리, 난임 대상자여부 기록을 수행하는 난임고객의 일반기록단계;
    가족관계확인 및 기록, 국가지원결정서 내역 기록, 배우자정보, 신체정보를 기록하는 난임환자접수관리 및 기록단계;
    MP(최종월경일), Marriage(결혼상태), Infertility period(난임기간), OP History (수술기왕력), Medical History (치료기왕력)을 관리하는 난임환자의 예진정보관리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난임치료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Hormone Result(호르몬검사) 기록을 처리하는 난임검사 결과기록 단계;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임신성공 후 데이터를 전송받아 베타-hCG 검사(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결과의 입력, 출산정보의 입력을 구성하는 임신성공여부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파트모듈 관리단계는,
    난임시술 결정 관리는, OI (과 배란 유도), IUI (인공수정), IVF-ET (채외수정시술), Cryo-ET (동결배아이식)의 4단계로 기록 관리되되, 상기 기록들은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제공받은 접수정보, 예진정보를 전송받아 진료에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난임시술정보 관리는, Indication (적응증), Protocol (과 배란유도 방법), Husband Info (남편난임정보)조회 수정, Cycle Chart (시술내용)의 기록 및 관리, ET Comment (배아 이식정보 설명), Previous Banking EM (동결된 잉여배아상태 조회) 기록 및 관리, 베타-hCG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조회, ET Plan (배아시술계획), Infertility Lab (난임연구결과) 조회, 검사결과 조회, 초음파결과 조회로 구성되고,
    난임시술정보는 상기 간호파트모듈에서 진료및시술예약에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난임시술정보 중 시술계획 데이터는 상기 연구파트모듈에 제공되고, 상기 연구파트모듈의 난자 채취나 배아이식 정보를 수신 받아 난임 시술 후 조회에 사용되는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파트모듈 관리단계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 관리로 구성되고, 여성의 보조생식술과 남성의 보조생식술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관리단계;
    OPU (난자채취), ET (신선배아이식), Cryo ET (동결배아이식), Cryo Preservation (배아동결), Thawing (동결된 Medium Change (배양액교환시기), expiration Check (배아 폐기)로 구성되는 여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채취, IUI(인공수정), TESE(고환조직정자채취), Semen Analysis (정액검사), Cryo Preservation (정자동결), Thawing (동결된 정자 해동)으로 구성되고 기록되는 남성의 보조생식술 단계;
    정자, 난자를 채취 후 고유번호 생성기능과 정자, 난자의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관리단계;
    배양정보 입력, 바코드와 RFID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구성되고 관리하는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의 관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이식/배양/시술/동결/해동 정보와 정자, 난자의 시술 및 채취정보, 그리고 배아생성 및 배양정보는 상기 진료파트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5. 난임차트시스템에서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에서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6. 간호파트모듈, 진료파트모듈 및 연구파트모듈로 구성되고, 기록된 난임진료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에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난임차트시스템;
    수신된 난임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된 난임치료병원서버로부터 개인정보이용동의를 받은 개인의 난임정보를 요청받았을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 및
    상기 중앙난임정보교환서버로부터 난임정보를 수신하는 다수의 난임치료병원서버를 포함하는
    의료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 시스템.
KR1020170067984A 2017-05-31 2017-05-31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131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84A KR20180131242A (ko) 2017-05-31 2017-05-31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84A KR20180131242A (ko) 2017-05-31 2017-05-31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42A true KR20180131242A (ko) 2018-12-10

Family

ID=6467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84A KR20180131242A (ko) 2017-05-31 2017-05-31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2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71A (ko) * 2020-07-15 2022-01-24 소지영 난임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71A (ko) * 2020-07-15 2022-01-24 소지영 난임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sterman Infidelity: A survival guide
JP6903730B2 (ja) 細胞の並行処理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施設
Doyle et al. Effect of timing by endometrial receptivity testing vs standard timing of frozen embryo transfer on live birth in patients undergoing in vitro fertiliza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sogna et al. Association of fresh embryo transfers compared with cryopreserved-thawed embryo transfers with live birth rate among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on using freshly retrieved donor oocytes
Lensen et al. Pipelle for Pregnancy (PIP): study protocols for three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CN110289062A (zh) 三高共管三级协同互联网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512308B1 (ko)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KR20180131242A (ko) 난임치료를 위한 시험관아기 시술과 관련하여 배아관리와 치료 정보의 전자차트 구현방법, 의료기관 간 그리고 의료기관과 국가기관 간 난임진료정보 교환방법 및 그 시스템
Kuehn US uterus transplant trials under way
Gunby et al.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 in Canada: 2002 results from the Canadian ART Register
JP2021512390A (ja) 改善された医療相互運用環境システム
RU271994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ой документации пациента посредств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бора клинических данных
Brison et al. Reducing risk in the IVF laboratory: implementation of a double witnessing system
Wiltshire et al. Management of externally manufactured cell therapy products: the Mayo Clinic approach
Inhorn Egg Freezing Activists:: Extending Reproductive Futures to Cancer Patients, Single and Minority Women, and Transgender Men
CN113488201A (zh) 一种用于试管婴儿患者管理系统
Wang et al. Infertility, fertility preservation, and access to care during training: A nationwide multi-specialty survey of United States residents and fellows
On Access to Infertility Treatment–
Toth et al. The IVF Patient Journey of the Future
McTavish et al. The Organisation of Services and Quality Assurance in Fertility Practice
KR20110000014U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제공 방법과 시스템
Bergenheim et al. Immediate versus postponed single blastocyst transfer in modified natural cycle frozen embryo transfer (mNC-FET): a study protocol for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lteri et al. Learning from incidents in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the Notify Library as a learning tool
Mcguire et al. Infertility: clients’ perspective on nursing intervention
Ethics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Ethical issues in oocyte banking for nonautologous use: an Ethics Committee opin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