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113A -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113A
KR20180131113A KR1020170067709A KR20170067709A KR20180131113A KR 20180131113 A KR20180131113 A KR 20180131113A KR 1020170067709 A KR1020170067709 A KR 1020170067709A KR 20170067709 A KR20170067709 A KR 20170067709A KR 20180131113 A KR20180131113 A KR 2018013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water
bidet
wash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946B1 (ko
Inventor
강희주
이성희
남동익
신현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은 (a) 입력부(100)에 수압 중 소정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는 단계 (b) 세척수가 비데(1000)의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되는 단계 (c) 제어부(200)가,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분사부(400)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METHOD OF CONTROLLING WATER PRESSURE OF WASHING WATER FOR BIDET AND BIDET APPARATUS}
본 출원은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데 사용 시 청결한 세정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비데 몸체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시켜 항문 세정, 여성의 국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비데에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세척수가 외부로 분사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비데에는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직접 수압의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
실제 비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청결한 세정을 위해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수압의 세기는 고수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종래의 비데의 경우 도 1과 같이 비데 착좌 후 수압의 세기를 선택하면 초기부터 선택된 수압의 세기를 갖는 세척수가 분사된다.
즉, 초기부터 고수압의 세척수가 피부에 접촉하게 되므로 강한 수압에 대한 긴장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고수압의 세척수가 초기부터 분사되는 경우 불쾌감, 고통 등이 유발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은 여성 사용자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항문 세정 기능만을 사용하는 남성에 비해, 국부 세정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07-0011857호는 어린이 세정 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나, 어린이 세정 기능을 입력하는 경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기 설정된 세척수의 수압 자체에 비해 낮은 수압을 갖도록 비데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불과하다.
종래의 비데 장치는 입력된 세정 명령에 상응하는 수압을 가지는 세척수만을 외부로 분사하고 있을 뿐이므로, 고수압의 세척수로 청결한 세정이 가능하면서도, 초기에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비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07-0011857호 (2007.01.25)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3-0059726호 (2013.06.07)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초기에는 세척수가 최수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갖도록 하는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a) 입력부(100)에 수압 중 소정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는 단계 (b) 세척수가 비데(1000)의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되는 단계 (c) 제어부(200)가,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분사부(400)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압은 상기 수압 중 최소의 값을 갖는 수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압은 미리 설정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관통 형성된 수압 조절 부재(310) 및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압 조절 홈(321)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는 디스크 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의 상면은 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 중 어느 하나의 출수 홀(311)은 상기 상면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디스크 부재(320)를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디스크 부재(320)가 최종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 부재(320)가 회전하는 회전 각도(α)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을 수행하는 비데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상기 수압 조절부(300),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상기 분사부(400)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관통 형성된 수압 조절 부재(310),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압 조절 홈(321)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는 디스크 부재(320) 및 상기 디스크 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동 모터(3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의 상면은 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 중 어느 하나의 출수 홀(311)은 상기 상면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에 따르면, 초기에 세척수가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고 수압이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가지게 되어, 청결한 세정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비데 장치를 설계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데 장치의 세정 명령 입력에 따른 세척수의 수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압 조절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수압 조절부의 디스크 부재의 회전에 따라 수압 조절 홈과 출수 홀의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세정 명령 입력에 따른 세척수의 수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 장치를 이용하여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 장치의 설명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세척수 유입부(340)를 통해 수압 조절부(300)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다음, 수압 조절부(300) 내부에 구비되며 수압 조절 부재(310)에 장착되는 디스크 부재(320)를 제어부(200)와 연결된 구동 모터(330)를 통해 제어하여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한다.
다음,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가 분사부(400)의 세정 노즐(410, 420) 및 비데 노즐(430, 4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 5는 수압 조절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수압 조절 부재(310)와 디스크 부재(3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압 조절 부재(3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디스크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관통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 중 어느 하나의 출수 홀(311)은 수압 조절 부재(310)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된다. 또한, 나머지 하나의 출수 홀(312)은 수압 조절 부재(310)의 원주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된다.
디스크 부재(320)는 수압 조절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압 조절 홈(321)이 관통 형성된다. 디스크 부재(320)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디스크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크 부재(320)에는 디스크 부재(32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수압 조절 홈(321)이 관통 형성된다.
디스크 부재(320)는 수압 조절 부재(310) 상면에 장착되므로, 디스크 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수압 조절 홈(321)과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수압 조절 홈(321)과 출수 홀(311, 312)이 중첩되는 면적이 작을수록 분사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낮아지고, 클수록 외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높아진다.
즉, 수압 조절 홈(321)과 출수 홀(311, 312)의 중첩되는 면적에 따라 세척수의 수압이 변화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6-(a)보다는 도 6-(b)처럼 디스크 부재(320)가 위치하는 것이 세척수의 수압이 더 크게 되는 것이다.
구동 모터(330)는 디스크 부재(320)가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제어부(200)는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세척수의 수압이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부(100)에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갖도록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초기 수압은 비데(1000)에서 분사되는 수압 중 최소의 값을 갖는 수압이고, 입력부(100)에 입력되는 선택 수압과 무관한 미리 설정된 값을 가지는 수압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구동 모터(330)를 통해 디스크 부재(32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2단의 선택 수압을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분사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디스크 부재(320)를 먼저 위치시킨다. 따라서 2단의 선택 수압을 입력하더라도 초기에는 세척수가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며 외부로 분사된다.
이후, 제어부(200)는 외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2단의 선택 수압을 갖도록 디스크 부재(320)를 일정한 속도로 소정 각도(α1)만큼 회전시킨다. 최종적으로 분사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은 사용자가 입력한 2단의 선택 수압을 가지게 된다.
2.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의 설명
다음, 도 2,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은 (a) 입력부(100)에 수압 중 소정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는 단계 (b) 세척수가 비데(1000)의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되는 단계 (c) 제어부(200)가,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분사부(400)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입력부(100)에 수압 중 소정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는 단계이다. (S100) 소정의 선택 수압은 복수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소정의 선택 수압이 1단 내지 5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부(100)에 1단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면 세척수가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면서 분사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입력부(100)에 5단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면 세척수가 최고 수압을 가지면서 분사부(4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b) 단계는 세척수가 비데(1000)의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되는 단계이다. (S200) 사용자의 입력부(100)를 통한 소정의 선택 수압 입력에 따라 세척수가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다.
(c) 단계는 제어부(200)가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세척수의 수압이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부(100)에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갖도록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S300)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수압 조절 방법에 의할 경우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세척수의 수압이 초기에는 초기 수압을 갖고 수압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부(100)에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갖게 된다.
고단의 선택 수압을 입력할수록 디스크 부재(320)의 회전 각도가 커지므로,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세척수가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가질 때까지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될 수는 있다.
(d) 단계는 분사부(400)가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단계이다. (S400)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세정 노즐(410, 420) 또는 비데 노즐(430, 440)을 통해 세척수가 외부로 분사된다. 외부로 분사된 세척수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된 수압을 가진 채로 사용자의 항문 또는 여성의 국부 등에 접촉하여 세정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고단의 선택 수압을 입력하더라도,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 수압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청결한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3. 검증 실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를 이용하여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만 28세 내지 만 50세 사이의 비데 사용 경험자 남성 15명과 여성 15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2달여 동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를 사용해보게 하고 사용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를 먼저 사용한 실험군(15명)과 일반 비데 장치를 먼저 사용한 실험군(15명)을 대상으로 사용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 비데 장치를 먼저 사용한 실험군에서 초기 수류 통증 및 긴장감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은 사용 만족도 평가에 이용된 설문의 예시를 나타낸다. 설문 조사 결과,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일반 비데를 사용한 경우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를 사용한 경우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증 실험 결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200)가 초기에는 수압 중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도록 디스크 부재(320)를 제어하며 최종적으로 입력부(100)에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갖도록 디스크 부재(320)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방법을 적용한 비데(1000) 장치에 따를 경우, 초기에 세척수가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가지고 수압이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선택 수압을 가지게 되어, 청결한 세정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제어부
300: 수압 조절부
310: 수압 조절 부재
311, 312: 출수 홀
320: 디스크 부재
321: 수압 조절 홈
330: 구동모터
340: 세척수 유입부
400: 분사부
410, 420: 세정 노즐
430, 440: 비데 노즐
1000: 비데

Claims (10)

  1. (a) 입력부(100)에 수압 중 소정의 선택 수압이 입력되는 단계;
    (b) 세척수가 비데(1000)의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되는 단계;
    (c) 제어부(200)가,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분사부(400)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압은 상기 수압 중 최소의 값을 갖는 수압인,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압은 미리 설정된 값을 갖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관통 형성된 수압 조절 부재(310); 및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압 조절 홈(321)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는 디스크 부재(320);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의 상면은 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 중 어느 하나의 출수 홀(311)은 상기 상면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디스크 부재(320)를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디스크 부재(320)가 최종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 부재(320)가 회전하는 회전 각도(α)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비데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상기 수압 조절부(300);
    상기 수압 조절부(300)에 유입된 세척수가 초기에는 최소 수압인 초기 수압을 갖도록 하며,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상기 초기 수압으로부터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선택 수압을 갖도록 상기 수압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세척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상기 분사부(400);를 포함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이 관통 형성된 수압 조절 부재(310);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압 조절 홈(321)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과 상기 수압 조절 홈(321)의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는 디스크 부재(320); 및
    상기 디스크 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동 모터(330)를 제어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 부재(310)의 상면은 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수 홀(311, 312) 중 어느 하나의 출수 홀(311)은 상기 상면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형성되는,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 장치.
KR1020170067709A 2017-05-31 2017-05-31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KR10258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09A KR102581946B1 (ko) 2017-05-31 2017-05-31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09A KR102581946B1 (ko) 2017-05-31 2017-05-31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13A true KR20180131113A (ko) 2018-12-10
KR102581946B1 KR102581946B1 (ko) 2023-09-22

Family

ID=6467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709A KR102581946B1 (ko) 2017-05-31 2017-05-31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66A (ja) * 1983-06-30 1985-01-29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120734A (ja) * 1994-10-26 1996-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427879Y1 (ko) *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070011857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노비타 어린이 세정 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 제어방법
KR20130059726A (ko)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기용 수압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66A (ja) * 1983-06-30 1985-01-29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120734A (ja) * 1994-10-26 1996-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70011857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노비타 어린이 세정 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 제어방법
KR200427879Y1 (ko) *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130059726A (ko)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기용 수압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46B1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33B1 (ko) 빗살형 샤워기 헤드
KR20200038739A (ko) 비데용 밸브장치
KR20180131113A (ko) 비데용 세척수의 수압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비데 장치
KR100783153B1 (ko)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데
US6269492B2 (en) Automatic hair washer
KR101532044B1 (ko) 자동 때밀이가 가능한 샤워기
KR102650114B1 (ko) 입력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세정 코스로 작동하는 비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JP3439358B2 (ja) 自動洗髪機
JP3718090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0120141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KR102609492B1 (ko) 유량조절밸브
KR20220038995A (ko) 온수세정기의 세정수 분사 수류 제어방법
KR20180087950A (ko) 샤워 겸용 비데 장치
KR200340464Y1 (ko) 바디샤워가 가능한 샤워기
JP3596025B2 (ja) 衛生洗浄装置
JP3289367B2 (ja) 衛生洗浄装置
KR20190017228A (ko) 비데 및 샤워 기능을 갖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422328B2 (ja) 吐水装置
KR200376136Y1 (ko) 샤워기
KR20210048766A (ko) 분사량과 분사강도 조절이 가능한 비데의 관장용 노즐
KR20220147930A (ko) 비데의 세정수류 제어방법
JP4473761B2 (ja) シャワー装置
KR20220093891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장치
KR20180028694A (ko)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 및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의 제어방법
JP2006263149A (ja) シャワー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