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815A -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815A
KR20180130815A KR1020170066884A KR20170066884A KR20180130815A KR 20180130815 A KR20180130815 A KR 20180130815A KR 1020170066884 A KR1020170066884 A KR 1020170066884A KR 20170066884 A KR20170066884 A KR 20170066884A KR 20180130815 A KR20180130815 A KR 2018013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mulative
amount
rice
sensitivities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807B1 (ko
Inventor
김의웅
김훈
안재환
김종훈
김상숙
이효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PC(rice processing complex)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미곡의 감모량을 예측할 수 있는 양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RPC에 있어서 미곡에 대한 누적 배출량 별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많은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면 할수록,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실시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ESTIMATION METHOD FOR REDUCTION AMOUNT OF GRAIN AND ESTIMATIO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PC(rice processing complex)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미곡의 감모량을 예측할 수 있는 양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란, 미곡의 반입에서부터 선별, 계량, 품질검사, 건조, 저장, 도정을 거쳐 제품출하와 판매, 부산물 처리에 이르기까지 미곡의 전 과정을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농가의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고 관리비용을 절감하며 미곡의 품질 향상 및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시설이다.
RPC에는 벼 등의 미곡을 저장하는 다수의 사일로(silo)가 존재한다. 각각의 사일로는 반입되는 미곡의 양과 배출되는 양, 미곡의 반입시기, 미곡의 배출시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사일로에는 서로 다른 양의 미곡들로 채워져 있다.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은 건조, 저장, 가공 등의 공정에서 감모(減耗)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감모란 미곡이 수분저하, 이물질 제거, 미곡 자체 호흡 등을 원인으로 미곡의 중량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곡의 감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미곡의 처리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은 사일로 내의 미곡이 전부 배출되는 경우만이 실제 측정이 가능한 실정이다. 사일로에 미곡이 반입된 시기부터 전부 배출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에, 실시간으로 사일로에서 발생하는 미곡의 감모량은 단순히 추측될 뿐이다.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로 측정하는 것이지만, RPC 상에서 연속적인 실측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한 번의 실측작업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실측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매번 실측한 감모량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감모량을 실측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상기 실측작업으로 인해 RPC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공정들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RPC 내의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적절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정감모량(안)>
RPC에서 산물상태의 벼 반입, 건조, 저장, 이송 및 가공 공정 중에서 감모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되는 감모량은 기상여건, 품종, 지역, 처리방법, 단위공정 구성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감모의 가장 큰 특징은 일정하지 않은 것을 들 수 있다.
RPC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감모 중에서 인정감모가 될 수 있는 감모형태는 각 공정에서 생산되는 주산물과 부산물을 제외한 분진 등 수집이 불가능하거나 판매할 수 없는 형태의 폐기물중량과 수분증발 및 건물중량손실 등 각 공정의 운전상 피할 수 없거나, 수집이 불가능한 형태의 중량감모 등이다.
전술한바와 같이 RPC의 감모의 가장 큰 특징은 감모량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지만, 현재 RPC의 시설 및 기술수준에 적합하지 않는 감모기준으로 인해 많은 RPC에서 결산에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어, 가능한 많은 농협 RPC에서 중량감모량을 측정하고,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인정 감모량(즉, 감모기준 혹은 기준 감모량)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10년부터 3년 동안 RPC의 반입, 건조, 저장, 이송 및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중량감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8개 이상의 농협 RPC에서 중량감모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중량감모량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론해는 물론 실험실 실험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RPC에서 측정된 중량감모량과 이론해와 실험실 실험을 통해 이론적으로 계산한 감모량을 바탕으로 현재의 RPC시설 및 기술수준을 감안하여 적합한 운영으로 달성이 가능할 수준의 인정감모량(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표 1에서 중량감모량 측정치는 RPC에서 3년 동안 측정한 중량감모량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고, 이론적 중량감모량은 실험실 실험과 RPC 현장에서 측정한 중량감모량을 이론해로 계산하였을 때의 중량감모량이며, 인정감모량(안)은 식품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협중앙회에서 인정감모량으로 반영해 주기를 희망하는 중량감모량이다.
RPC에서 산물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인정감모량(안)
공정 주요 감모 형태 중량감모량 측정치 이론적 중량감모량 인정감모량
(안)
비 고
반입 이물질배출에 의한 실중량감모 0.34%
(0.03~1.31%)
- - 비인정감모(트럭스케일만의 계량)
건조 이물질배출에 의한 중량감모 0.39%
(0.02~1.28%)
0.36% 0.33% 순환식건조기 기준
저장 호흡 및 통풍에 의한 중량감모 1.72%
(0.25~4.28%) (0.29%/월)
1.61%
(0.28%/월)
1.22%
(0.20%/월)
6개월 저장기준
이송 수분증발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중량감모 0.77%
(0.55~1.40%)
0.77% 0.77% 건벼 이송 기준
가공 수분증발 및 분진배출에 따른 중량감모 2.36%
(0.97~3.64%)
0.99% 1.39%
소계 ②+③+④+⑤ 5.24%
(1.79~10.60%)
3.73 3.71 ①은 제외
소계 ②+③+⑤ 4.47%
(1.24~9.20%)
2.96 2.94 ①, ④제외
<인정감모량(안)의 활용방안>
식품연구원에서 제안한 인정감모량(안)은 2010년 3월부터 2013년 6월말까지 전국 8개 농협 RPC를 주 대상으로 측정한 중량감모량을 바탕으로 실험실 실험과 이론해 등을 통해 제안한 것이다.
RPC에서 본 자료를 이용하여 각 RPC의 인정감모량을 계산할 때는 앞에서 제안된 각 공정별 인정감모량(안)중 각 RPC의 시설 및 운영상황에 적합한 부분만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식품연구원의 연구에서는 인정감모로 취급되지는 않았으나 각 RPC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내부적인 절차에 따라 측정결과를 인정감모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PC에서 실측한 중량감모량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량감모량은 RPC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RPC에서는 먼저 자체적으로 중량감모량을 측정한 다음, 측정된 결과를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면서 각 공정의 시설 및 운전조건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정감모량 측정방법>
1) 건조중 중량감모량 측정
건조공정중 이물질배출에 의한 중량감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3년간에 19회에 걸쳐 수확기에 총 10개소 RPC에 설치되어 있는 20~30ton/batch 규모의 순환식건조기에 투입되는 벼와 건조후 배출되는 벼 시료를 채취하여 건조특성, 건조 전후의 벼 및 이물질의 중량비 및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건조기가 비교적 대용량으로서 건조기로 투입되는 고수분 벼는 농가별로 구분하여 약 1kg씩 시료를 채취하였고, 1농가당 반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건조시설에 투입되는 시간 및 건조시간을 고려하여 투입시간 10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또한, 배출되는 건벼에서 배출시간 10분 간격으로 약 1kg씩 시료를 채취하였다.
한편, 연속식건조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3년동안 총 7회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여 건조중 이물질배출에 의한 중량감모량을 측정하였다. 3~4회의 건조-템퍼링 과정의 추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순환식건조기와 동일하게 1회 통과시의 투입 및 배출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식품연구원으로 이송하여 이물질의 성상별로 수작업으로 선별한 후, 다음과 같이 각 성상별중량비, 이물질혼입율, 함수율, 동할율 등 건조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건조 전후의 이물질중량비 차이를 RPC 건조시설에서의 중량감모량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의 각 성상별중량비 및 이물질혼입율은 먼저 시료를 40g 정도로 균분한 뒤, 시료중 벼 정립 이외의 쭉정이, 지푸라기, 기타 이물 등을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중량을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 각 성상별 중량비율( % )
Figure pat00003
: 선별된 각성상별 중량( g )
Figure pat00004
: 시료 벼 중량( g )
이 때 동할증가율은 균분된 시료를 수작업으로 탈부하여 각각 50립씩 총 250립의 현미 정립만을 대상으로 동할립측정기(HS-50, Kett, Japan)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동할율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동할증가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 동할율( % )
Figure pat00007
: 동할립 수( - )
[수학식 3]
Figure pat00008
여기서,
Figure pat00009
: 동할증가율( % )
Figure pat00010
: 건조된 벼의 평균 동할율( % )
Figure pat00011
: 원료 벼의 평균 동할율( % )
한편, 대부분 건조저장시설이 건조기에 투입되는 벼 중량은 호퍼스케일에서 측정되지만,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벼 중량은 측정이 어려운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조기에 투입되는 벼의 중량과 건조 전후에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의 중량비 즉, 중량감모량을 추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먼저, 건조 전후에 채취한 시료로 측정한 각 성상별 함수율 및 중량비, 건조기에 투입되는 벼 중량자료를 이용하여, 건조 전 정립 벼의 건물(乾物)중량을 구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건조후의 벼와 이물질의 중량을 하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로부터 산출하였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 건조후 벼의 중량( kg )
Figure pat00014
: 건조전 벼의 건물(乾物)중량( kg )
Figure pat00015
: 건조기에 투입되는 총 중량( kg )
Figure pat00016
: 건조후 벼 함수율( % )
[수학식 5]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 건조후 이물질 중량( kg )
Figure pat00019
: 건조후 벼의 중량비( decimal )
Figure pat00020
: 건조후 이물질의 중량비( decimal )
건조중 이물질의 배출에 의한 중감감모량은 건조중 배출되는 이물질의 건물중량손실량과 건조전 벼에 비해 고수분이었던 이물질이 건조후 벼에 비해 저수분이 되므로 이때의 함수율 차이를 각각 중량으로 환산하여 하기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와 같이 이들 전체의 합으로 하였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1
여기서,
Figure pat00022
: 건조전 벼보다 높은 이물질함수율의 과다계상손실량( kg )
Figure pat00023
: 건조전 이물질의 수분중량( kg )
Figure pat00024
: 건조전 이물질의 건물중량( kg )
Figure pat00025
: 건조전 벼의 함수율( % )
[수학식 7]
Figure pat00026
여기서,
Figure pat00027
: 건조후 벼보다 낮은 이물질함수율의 과소계상손실량( kg )
Figure pat00028
: 건조후 이물질의 수분중량( kg )
Figure pat00029
: 건조후 이물질의 건물중량( kg )
Figure pat00030
: 건조후 벼의 함수율( % )
[수학식 8]
Figure pat00031
여기서,
Figure pat00032
: 건조중 이물질의 건물중량손실량( kg )
Figure pat00033
: 건조전 이물질의 건물중량( kg )
Figure pat00034
: 건조후 이물질의 건물중량( kg )
[수학식 9]
Figure pat00035
여기서,
Figure pat00036
: 건조중 이물질배출에 의한 중량감모량( % )
따라서 24%수준의 고수분 벼 4개품종을 약 16%까지 건조한 후 건조 전후의 각 성상별 중량비와 함수율을 측정한 다음, 앞의 상기 수학식 9를 이용하여 이론적인 중량감모량을 계산하였으며, 이와 같은 이론적감모량이 3년 동안 RPC에서 19회에 걸쳐 실제 순환식건조기의 건조 전후의 성상별중량비 차이로 측정한 중량감모량의 어느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음
2) 저장 중 중량감모량 분석
저장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저장 초기중량 및 각 저장기간별 측정중량간의 차이인 중량감모량 중에서, 저장중 호흡에 의한 건물중량손실 및 통풍에 의한 함수율저하 등이 어느 정도 관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호흡에 의한 건물중량손실은 식품연구원의 선행연구방법을 준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함수율별 곡온별 벼의 호흡속도모델을 이용하여 저장된 벼의 함수율과 곡온에 따른 건물중량손실율을 예측하였으며, 그 예측방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벼의 호흡과정은 일련의 효소반응이지만 RQ(呼吸商, Respiratory quotient)값이 거의 1의 값을 나타내므로 하기 수학식 10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그리고 함수율 14.7~24.0%와 저장온도 10~40℃인 벼를 대상으로 벼의 호흡속도를 하기 수학식 11과 같은 모델로 나타낼 수 있었다(r2=0.999).
[수학식 10]
C6H1206 + 6O2 → 6CO2 + 6H20 + 677.2kcal .... ( 2-4-2 )
1g 1.47g 0.6g 3.76kcal
[수학식 11]
Figure pat00037
...... ( 2-4-3 )
여기서, R : 호흡속도( CO2 mg/hrkg-drymatter )
M : 함수율( %, d.b. )
T : 벼의 온도( K )
a=9.9617421×1017, b=-6.451326×1016, c=1.1005771×1015,
d=18183.170515, e=-457.9114417, f=6.6894676201
3) 이송, 가공 중 중량감모량
이송, 가공공정 중 중량감모량의 경우에는 공정 전·후에 설치되는 중량측정장치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저장공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정에서의 감모량은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저장공정의 감모는 전수조사를 하지 않는 이상 정확한 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제안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0560호(등록일자 2002. 06. 21)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PC에 있어서 미곡에 대한 구간별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미곡의 감모량을 예측할 수 있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미곡이 반입 또는 배출되는 사일로(silo)를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에 있어서, (a) 가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이고, 세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상기 가로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시간을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f)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는 단계; (g) 가로축이 상기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상기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각각의 상기 실측시간 별 감모량의 평균값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i)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실측한 다른 누적 감모량을 더 입력받는 단계; 및 (j)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평균값을 실제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과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j) 단계는,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과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k) 상기 선택된 실제값, 제2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실제값과 2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2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l) 상기 제2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는 가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이고, 세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상기 가로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표시하고,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주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주 제어부에서 생성된 값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상기 화면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시간을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고, 가로축이 상기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상기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각각의 상기 실측시간 별 감모량의 평균값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RPC에 있어서 미곡에 대한 누적 배출량 별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많은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면 할수록,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실시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화면(display) 상에서 간단하게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감모량 실측을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의 감모량 추정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는 미곡이 반입 또는 배출되는 사일로(silo)가 있는 미곡종합처리장(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에 저장되는 미곡의 감모량을 추정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는 주 제어부(11), 입력부(12) 및 화면 표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 제어부(11)는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 제어부(11)는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의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미곡의 누적된 양인 누적 배출량을 가로축으로 하고, 사일로에서 감모되는 미곡의 누적된 양인 누적 감모량을 세로축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축(즉,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준 감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기준 감모량(혹은 인정 감모량)이란, 전국 각지에 설치된 여러 RPC의 반입, 건조, 저장 등의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감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상기 실제 측정값을 기반으로 임의로 결정된 값이다. 상기 RPC의 적절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감모량 수치로서 상기 기준 감모량을 넘어서는 값을 가지는 RPC는 성능이 떨어지는 RPC로 분류될 수 있다.
즉, 기준 감모량은 실제로 감모되는 미곡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는 아니며, 상기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에 있어서, 미곡의 감모량을 추정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서 RPC의 전체 공정에서의 기준 감모량이 3%가 될 수 있는데, 전체 미곡량이 100kg일 때, 전체 공정에서 감모되는 양은 3kg이 된다는 의미이다.
그리하여 누적 배출량을 가로축으로 하고, 누적 감모량을 세로축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에서 누적 배출량이 전체 미곡량의 약 97%일 때, 누적 감모량은 약 3%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 제어부(11)는 원점과 (97,3)를 연결하여 직선의 일정한 기울기(3/97)를 가진 기준 감모량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주 제어부(11)는 상기 기준 감모량 그래프에 의하여 누적 배출량에 따른 누적 감모량을 결정할 수 있는데, 도 2a에서와 같이, ‘10%’를 단위로 하여 가로축에 각 지점을 설정하고, 누적 배출량의 각 지점별로 각각의 누적 감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결정된 누적 감모량이 ‘누적 기준 감모량’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직교좌표계에서 상기 가로축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제로 측정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적 배출량의 각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서 입력부(12)는 사일로에 반입된 미곡이 모두 배출되는 것을 1 사이클(cycle)이라고 하는 경우에 4번의 사이클을 통해 누적 배출량이 30%인 지점에서 실제로 측정한 3개의 누적 감모량을, 그리고 그 밖에 50%인 지점에서 1개, 70%인 지점에서 4개, 90%인 지점에서 3개의 누적 감모량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현재 기술 여건상, RPC의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미곡량에 따라 감모되는 미곡량을 실제로 측정하는 작업은 대단히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매번 이루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사일로에서 미곡이 배출되는 양과 감모되는 양 그리고 그 실측 시기는 매우 불규칙적이다.
즉, 매번 실측을 통해 미곡의 감모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현실적인 여건상 감모량 실측 작업의 횟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한된 감모량 실측 데이터를 통해 미곡의 감모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된 것이다.
상기 입력부(12)는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으면, 이를 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 제어부(11)는 각 지점 별로, 상기 입력받은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여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주 제어부(11)는 상기 화면표시부(13)를 통해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2)는 직교좌표계의 가로축의 30%, 50%, 70% 및 90%의 지점마다 각각 입력받은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을 입력받을 수 있고, 주 제어부(11)는 각 지점별로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제어부(11)는 상기 연산된 평균값을 선택하여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30%, 50%, 70%, 90%의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 값을 연결하여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주 제어부(11)는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대응하는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 제어부(11)는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하여 사일로에서 그 어떤 양의 미곡이 배출되었다고 할지라도 누적 배출량에 대응한 미곡의 누적 감모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실제 누적 감모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시간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실측시간이란, 누적 감모량을 사일로에 미곡을 반입하였을 때부터 상기 누적 감모량을 실제 측정할 당시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12)는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 또는 상기 실측 시간을 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주 제어부(11)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주 제어부(11)는 누적 배출량의 각 지점별 감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만약에 1 사이클을 거치면서 누적 배출량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의 누적 감모량을 실측하는 경우에 각 지점에서의 실측시간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제어부(11)는 가로축이 실측시간, 세로축이 미곡의 감모량인 직교 좌표계를 설정하고, 실측시간 별로 계산된 감모량들을 가지고 실측시간 별로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평균값들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도 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이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미곡의 감모량인 직교좌표계에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주 제어부(11)는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그 어떤 실측시간에도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표시부(13)는 상기 주 제어부(11)에서 생성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 제어부(11)에 의하여 기준 감모량 그래프 또는 여러 감모선 그래프를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10)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주 제어부(11)에서 생성된 여러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표시부(13)는 입력부(12)로 입력받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기술구성을 통해 RPC에 있어서 미곡에 대한 누적 배출량 별 감모량을 분석하여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더 많은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면 할수록,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실시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에 의하면, 우선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른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미곡이 반입 또는 배출되는 사일로(silo)를 포함하는 RPC에 있어서, 가로축이 미곡의 누적 배출량이고, 세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인 직교 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가로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각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기준 감모량이란, 전국 각지에 설치된 여러 RPC의 반입, 건조, 저장 등의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감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상기 실제 측정값을 기반으로 임의로 결정된 값으로서, 상기 RPC의 적절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감모량 수치이다.
상기 누적 기준 감모량이 결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20). 즉, 상기 설정된 직교좌표계에서 가로축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제로 측정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적 배출량이 30%인 지점에서 실측한 3개의 누적 감모량, 그리고 50%인 지점에서 실측한 1개의 누적 감모량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게 되면, 각 지점 별로, 실측한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30).
일 예로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적 배출량이 70%인 지점에서 4개의 실측한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4개의 실측한 누적 감모량의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술한 경우처럼 누적 배출량이 70%인 지점에서 4개의 실측한 누적 감모량이 존재할 때, 4개의 실측한 누적 감모량 중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은 극단적인 수치로 보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극단적인 수치를 제외한 나머지 값으로 평균을 연산하는 것은 단순히 평균값을 구하는 것 보다 더 정확하게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1 감모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여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좌표계의 가로축 30%, 50%, 70% 및 90%의 지점별로, 각각 입력받은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고, 상기 연산된 평균값을 선택하여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30%, 50%, 70%, 90%의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 값들을 연결하여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누적 배출량이 30%, 50%, 70% 및 90%인 지점에서는 연산된 각각의 평균값을 선택하고, 나머지 지점들에서는 누적 기준 감모량을 선택하여 이들을 연결한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게 되면,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른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50). 즉,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하여 사일로에서 그 어떤 양의 미곡이 배출되었다고 할지라도 누적된 배출량에 대응한 미곡의 누적 감모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실제 누적 감모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에 의하면,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 외의 다른 누적 감모량을 더 입력받아서 제 2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실제 미곡의 누적 감모량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s150단계를 수행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기존의 누적 감모량 외에 새로이 실측한 다른 누적 감모량을 더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60).
그리하여 각 지점별로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을 기존의 누적 감모량의 평균값과 비교할 수 있다(s220).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평균값을 실제값으로 선택하게 되고(s230),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누적 감모량과 다른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를 선택하게 된다(s240). 따라서 각 지점들은 평균값을 실제값으로 선택한 지점, 제2 평균값을 선택한 지점 그리고 상기한 두 가지 경우가 아닌 지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제값과 제2 평균값이 선택되면, 실제값 또는 제2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2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5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택된 실제값, 제2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실제값과 제2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여 제2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인 생성원리는 앞서 설명한 제1 감모선 그래프와 동일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제2 감모선 그래프는 새로운 감모량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제1 감모선 그래프보다 실제 감모량 값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상기 제2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s260).
한편, 상기 s240단계에서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과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들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제2 평균값으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극단적인 수치를 제외한 나머지 누적 감모량 값으로 제2 평균값을 연산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기 위함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것 뿐 아니라,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10). 이 때, 실측시간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적 감모량을 사일로에 미곡을 반입하였을 때부터 상기 누적 감모량을 실제 측정할 당시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은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는 단계(s320),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30) 및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른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면,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실측 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20).
즉, 누적 배출량의 각 지점별로 누적된 감모량이 아닌 지점별 감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1 사이클을 거치면서 누적 배출량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의 누적 감모량을 실측하게 되면, 각 지점에서의 실측시간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축이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미곡의 감모량인 직교 좌표계를 설정하고, 실측시간 별로 계산된 감모량들을 통해 실측시간 별로 각각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평균값들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s330).
도 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이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미곡의 감모량인 직교좌표계에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그 어떤 시점에도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s340). 즉,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RPC에 있어서 미곡에 대한 누적 배출량 별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더 많은 감모량 데이터를 분석하면 할수록,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의 감모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실시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 상으로 용이하게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감모량 실측을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필요가 없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11 : 주 제어부
12 : 입력부
13 : 화면 표시부

Claims (11)

  1. 미곡이 반입 또는 배출되는 사일로(silo)를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에 있어서,
    (a) 가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이고, 세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상기 가로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시간을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f)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는 단계;
    (g) 가로축이 상기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상기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각각의 상기 실측시간 별 감모량의 평균값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i)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실측한 다른 누적 감모량을 더 입력받는 단계; 및
    (j)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평균값을 실제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과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j) 단계는,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이 상기 평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과 상기 다른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k) 상기 선택된 실제값, 제2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실제값과 2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2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l) 상기 제2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8. 미곡이 반입 또는 배출되는 사일로를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에 있어서,
    가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이고, 세로축이 상기 미곡의 누적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상기 가로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을 표시하고, 기 설정된 기준 감모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별로 누적 기준 감모량을 결정하는 주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지점 별로 실측한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주 제어부에서 생성된 값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들의 평균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평균값 또는 상기 선택된 평균값이 속한 지점 외의 다른 지점의 누적 기준 감모량을 연결하는 제1 감모선 그래프를 상기 화면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제1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누적 배출량에 따라 상기 미곡의 실제 누적 감모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의 실측시간을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측시간에 따른 감모량을 계산하고,
    가로축이 상기 실측시간이고, 세로축이 상기 감모량인 좌표계에서 각각의 상기 실측시간 별 감모량의 평균값을 연결한 제3 감모선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제3 감모선 그래프를 통해 상기 미곡의 감모량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누적 감모량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감모량 추정 장치.
KR1020170066884A 2017-05-30 2017-05-30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84A KR102138807B1 (ko) 2017-05-30 2017-05-30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84A KR102138807B1 (ko) 2017-05-30 2017-05-30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15A true KR20180130815A (ko) 2018-12-10
KR102138807B1 KR102138807B1 (ko) 2020-07-28

Family

ID=6467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84A KR102138807B1 (ko) 2017-05-30 2017-05-30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383A (ko) 2021-10-18 2023-04-25 (주)딥인사이트 사전 결정된 형상을 가지는 공간에 적재된 유동성을 가지는 고체 입상 물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106U (ko) * 1997-05-29 1997-08-12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KR200280560Y1 (ko) 2002-03-20 2002-07-04 주식회사 두손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
KR20090020426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호퍼스케일 장치
KR20120057541A (ko) * 2010-11-26 2012-06-05 구흥섭 대표값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76679A (ko) * 2010-12-13 2012-07-09 한국식품연구원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KR101723173B1 (ko) * 2015-12-15 2017-04-18 주식회사 로하스텍 Ict 기반의 농산물 관리 및 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106U (ko) * 1997-05-29 1997-08-12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KR200280560Y1 (ko) 2002-03-20 2002-07-04 주식회사 두손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
KR20090020426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호퍼스케일 장치
KR20120057541A (ko) * 2010-11-26 2012-06-05 구흥섭 대표값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76679A (ko) * 2010-12-13 2012-07-09 한국식품연구원 종합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KR101723173B1 (ko) * 2015-12-15 2017-04-18 주식회사 로하스텍 Ict 기반의 농산물 관리 및 생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383A (ko) 2021-10-18 2023-04-25 (주)딥인사이트 사전 결정된 형상을 가지는 공간에 적재된 유동성을 가지는 고체 입상 물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807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es et al. Effects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wet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in steam-flaked, corn-based diets on energy metabolism, carbon-nitrogen balance, and methane emissions of cattle
Boligon et al. Genetic parameters and relationships of heifer pregnancy and age at first calving with weight gain, yearling and mature weight in Nelore cattle
Abud et al. Radiographic images and relationship of the internal morphology and physiological potential of broccoli seeds
Singh et al. Machine learnt image processing to predict weight and size of rice kernels
Urriola et al. Evaluation of prediction equations to estimate gross,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of maize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for swine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VanderZaag et al. Towards an inventory of methane emissions from manure management that is responsive to changes on Canadian farms
EP1583007A3 (en) Method for evaluating semiconductor device error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same
CN103808591A (zh) 一种连续式谷物干燥过程水分在线检测方法
Ngwabie et al. Characterisation of pig manure for methane emission modelling in Sub-Saharan Africa
Walker et al. Development of a small scale method to determine volume and density of individual barley kern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density and endosperm hardness
CN202793544U (zh) 一种玉米籽粒百粒重测量装置
Straumfors et al. Mycotoxins and other fungal metabolites in grain dust from Norwegian grain elevators and compound feed mills
KR20180130815A (ko) 미곡 감모량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8764749A (zh) 一种适于储粮宜存评价的3i策略方法
Starsmore et al. Animal factors that affect enteric methane production measured using the GreenFeed monitoring system in grazing dairy cows
Jancewicz et al. Predicting fecal nutrient concentrations and digestibilities and growth performance in feedlot cattle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Alvarez Hess et al. Comparison of five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methane production from vented in vitro systems
CN112844216A (zh) 一种多秤称量混料的补料方法及混料设备
Yang et al. Variation in response to processing, in vitro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of western Canadian feed barley
CN107215517B (zh) 一种组合计量装置的控制方法
CN113096747A (zh) 烘干机出料水分含量预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4323290A (zh) 混凝土拌合楼骨料温度和出机口混凝土温度信息采集方法
CN111650630B (zh) 一种放射源的排列方法及系统
Brusewitz Corn moisture variability during drying, mixing, and storage
CN109858699B (zh) 水质定量模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