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440A - 약액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440A
KR20180129440A KR1020170065476A KR20170065476A KR20180129440A KR 20180129440 A KR20180129440 A KR 20180129440A KR 1020170065476 A KR1020170065476 A KR 1020170065476A KR 20170065476 A KR20170065476 A KR 20170065476A KR 20180129440 A KR20180129440 A KR 2018012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yringe
needle
chemical liqui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370B1 (ko
Inventor
하윤
오진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61M2005/312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comprising sealing means, e.g. severable caps, to be removed prior to injection by, e.g. tearing or twi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9Red blood cells; Erythrocytes
    • A61M2202/0437Blood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튜브부, 상기 튜브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도록 상기 튜브부와 연결된 바늘부 및 상기 튜브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상기 튜브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바늘부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약액주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약액주입장치{Injection Device Of Medical Fluid}
본 발명은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을 공급하는 튜브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 시술 등에서 약액을 신경조직 내로 주입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줄기세포를 척수 등의 신경조직 내에 주입해야 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줄기세포를 신경조직에 주입할 때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때, 신경조직 내에 삽입된 바늘 등을 포함하는 약액주입장치의 일부가 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 의해 신경조직에 자극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경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약액주입장치는 신경조직 내에 삽입 후 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도 신경조직에 자극을 가하지 않도록 유연성이 있는 튜브를 바늘과 연결시켰다. 따라서, 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도 튜브의 유연성으로 인해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튜브의 유연성으로 인해 신경조직까지 바늘을 접근시키기 까다로워서 튜브를 스테인레스 소재의 관에 삽입하여 튜브 및 바늘이 신경조직 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튜브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바늘을 신경조직에 삽입한 후 스테인레스 소재의 관을 튜브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튜브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스테인레스 소재의 관이 불투명하므로 줄기세포가 신경조직으로 주입되는 과정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스테인레스 소재의 관 없이도 튜브를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바늘을 신경조직으로 삽입할 수 있게하고, 삽입 후 신경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며, 줄기세포의 주입 시 약액이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가능한 약액주입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8-0009911호(2008.01.3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약액주입장치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튜브부를 고정하도록 고정부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절취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됨으로써, 신경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약액의 주입과정을 눈으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가능한 약액주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약액주입장치는, 약액을 공급하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튜브부, 상기 튜브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도록 상기 튜브부와 연결된 바늘부 및 상기 튜브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상기 튜브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바늘부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튜브부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튜브 및 약액이 유동되도록 상기 주사기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약액의 주입과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주사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주사기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는 상기 튜브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는 바늘 및 약액이 유동되도록 상기 튜브와 상기 바늘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생물체에 상기 바늘을 삽입된 후, 절취되어 상기 튜브부의 제한된 움직임을 해제하도록 구비된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도면 등을 통해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의하면, 약액을 공급하는 튜브부를 고정하도록 고정부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절취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되어 신경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약액의 주입과정을 눈으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가능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액주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액주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약액주입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액주입장치(100)는 약액을 공급하는 주사기(110), 상기 주사기(110)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전달하도록 상기 주사기(110)와 연결된 튜브부(120), 상기 튜브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도록 상기 튜브부(120)와 연결된 바늘부(130) 및 상기 튜브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상기 튜브부(1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바늘부(130)와 결합된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0)는 약액을 공급하는 주사기(11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사기(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주사기(110)로써, 약액을 밀어넣는 피스톤부(111)과 타측 끝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2)는 피스톤부(111)의 압력에 의해서 약액이 배출되는 구조이고, 이러한 약액은 돌출부(112)를 통해서 하단에서 기술할 튜브부(12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112)는 약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있어서 크게 제약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약액이 유동되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상이다.
한편, 튜브부(120)는 튜브(123)와 제 1 연결부(121)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튜브부(120)는 튜브(123)와 제 1 연결부(121)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연결부(121)의 일측은 상기 주사기(110)의 돌출부(112)와 결합되고, 타측은 튜브(123)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121)는 주사기(110)와 튜브(123)를 연결함으로써, 주사기(110)로부터 약액을 튜브(123)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112)가 결합되도록 삽입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110)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삽입홈(1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튜브(12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의 형상으로써, 투명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123)의 소재는 외력에 의해 유연하게 휘어지고, 내부에 약액이 유동되는 것을 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이 있는 튜브(123)는 약액을 생물체에 공급함에 있어서 생물체의 호흡이나 움직임에도 튜브(123)가 가지는 유연성으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투명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약액이 신경조직에 주입되는 과정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늘부(130)는 제 2 연결부(131)와 바늘(13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늘부(130)는 제 2 연결부(131)와 바늘(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2 연결부(131)의 일측은 상기 튜브(123)와 결합되고, 타측은 바늘(132)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131)는 튜브(123)와 바늘(132)을 연결함으로써, 주사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튜브(123)를 통과하여 바늘(13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늘(132)은 생물체의 척수 등과 같은 신경조직에 삽입되어 튜브(123)를 통과한 약액을 최종적으로 신경조직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튜브(123)의 움직임을 제한 또는 제한해제하도록 고정부(14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14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소재로 와이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123)와 평행을 이루고, 상기 튜브(123)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40)의 일측 끝단은 상기 튜브부(120)에 구비된 제 1 연결부(121)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40)의 타측 끝단은 상기 바늘부(130)에 구비된 제 2 연결부(131)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튜브(123)는 상기 제 1 연결부(121)와 제 2 연결부(131)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연결부(121)와 제 2 연결부(131)의 사이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140)의 강성에 따라서 상기 튜브(123)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40)의 강성은 상기 제 2 연결부(131) 및 바늘(132)과 연결된 튜브(123)가 안정적으로 신경조직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튜브(123)는 제 2 연결부(131)를 통해 바늘(132)과 연결되고, 바늘(132)이 신경조직에 삽입되기 전까지 상기 튜브(123)가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140)는 적정한 강성을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적정한 강성을 지닌 상기 고정부(140)로 상기 튜브(123)를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바늘(132)이 신경조직 내에 삽입가능하다. 또한, 본 도면에서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튜브의 측면에 2개가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튜브(123)에 적정한 강성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면 개수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의 일측에는 절취부(14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140)의 측면에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그루브 형상으로 절취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141)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고정부(140)의 측면에 홈을 파거나, 압착시켜 상기 고정부(140)의 두께를 얇게 만들어 수술용가위 등으로 쉽게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부(141)를 절취함으로써, 튜브(123)의 구부러짐을 제한하는 고정부(140)의 역할이 해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0)는 척수 등에 위치한 신경조직에 바늘(132)을 삽입할 때, 튜브(123)가 휘어지지 않도록 고정부(140)가 튜브(123)의 변형을 제한하고, 신경조직에 바늘(132)을 삽입한 후에는 생물체의 움직임이나 호흡 등에 의해 바늘(132) 등의 부품이 신경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고정부(140)의 고정을 해제시켜야 된다. 따라서, 고정부(140)의 측면에 구비된 절취부(141)를 수술용 가위 등을 통해 간단히 절취함으로써, 튜브(123)에 대한 고정부(140)의 고정력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신경조직에 바늘(132)을 삽입한 후, 생물체의 움직임이나 호흡에 영향을 받지않도록 튜브(123)가 쉽게 휘어질 수 있어야하고, 이러한 상기 튜브(123)의 고정을 자유롭게 하도록 상기 고정부(140)의 측면에 구비된 절취부(141)를 절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물체의 움직임이나 호흡에도 튜브(123)가 유연성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쉽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신경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약액주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24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절취부(24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240)는 튜브(223)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복수개의 절취부(241)가 상기 고정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절취부(241)는 약액주입장치(200)에 결합된 고정부(240)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절취된 후 남아있는 고정부(240)가 주위의 신경조직을 자극하여 신경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절취부(241)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40)를 외부로 안전하게 제거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40)를 다수의 절취부(241)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신경조직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고정부(240)에 각각 2개의 절취부(241)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도시된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부(240)를 제거하여 신경조직에 주는 자극을 예방할 수 있다면 절취부(241)의 개수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약액주입장치
110: 주사기
111: 피스톤부
112: 돌출부
120 : 튜브부
121 : 제 1 연결부
122: 삽입홈
123, 223: 튜브
130 : 바늘부
131 : 제 2 연결부
132 : 바늘
140, 240 : 고정부
141, 241 : 절취부

Claims (9)

  1. 약액을 공급하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전달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튜브부;
    상기 튜브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도록 상기 튜브부와 연결된 바늘부; 및
    상기 튜브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상기 튜브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바늘부와 결합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약액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튜브부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튜브; 및
    약액이 유동되도록 상기 주사기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약액의 주입과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주사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주사기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는,
    상기 튜브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생물체에 주사하는 바늘; 및
    약액이 유동되도록 상기 튜브와 상기 바늘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생물체에 상기 바늘을 삽입된 후, 절취되어 상기 튜브부의 제한된 움직임을 해제하도록 구비된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KR1020170065476A 2017-05-26 2017-05-26 약액주입장치 KR10193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76A KR101935370B1 (ko) 2017-05-26 2017-05-26 약액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76A KR101935370B1 (ko) 2017-05-26 2017-05-26 약액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40A true KR20180129440A (ko) 2018-12-05
KR101935370B1 KR101935370B1 (ko) 2019-04-03

Family

ID=6474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476A KR101935370B1 (ko) 2017-05-26 2017-05-26 약액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46A (ja) * 1996-05-23 2000-08-22 エレクータ・アクチエボラーグ 特に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に物質を注射するための装置
KR200229893Y1 (ko) * 1998-06-30 2001-09-17 김용민 동물용주사기
KR20080009911A (ko) 2006-07-25 2008-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주입용 주사기
JP2016084901A (ja) * 2014-10-28 2016-05-19 日星電気株式会社 管状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46A (ja) * 1996-05-23 2000-08-22 エレクータ・アクチエボラーグ 特に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に物質を注射するための装置
KR200229893Y1 (ko) * 1998-06-30 2001-09-17 김용민 동물용주사기
KR20080009911A (ko) 2006-07-25 2008-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주입용 주사기
JP2016084901A (ja) * 2014-10-28 2016-05-19 日星電気株式会社 管状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70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9088B1 (en) Infusion catheters
CN101969898B (zh) 眼用植入设备
US8029495B2 (en) Intrathecal catheter having a stylet with a curved tip and method of use
US6004293A (en) Slotted regional anesthesia needle
US51203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eterization
EP0586700A1 (en) Instrument for applying pharmaceutical to inside of brain
RU2715685C2 (ru) Многоигольн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251998B2 (en) Stem cell delivery system
US10099046B2 (en) Skull implant type medication injection port
RU2687176C2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35370B1 (ko) 약액주입장치
CN112384269B (zh) 注入器具组件
KR102135543B1 (ko) 의료용 수액세트
US2023020148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fluid to the inner ear
US20080294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filling an implanted delivery device
KR101699757B1 (ko) 일체형의 약액 공급용 니들 세트
KR102248722B1 (ko)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CN110720968A (zh) 一种脊柱内镜定位穿刺针
EP3243548A1 (en) Priming device
EA04636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в ухо и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EP3233158B1 (en) Multi-catheter infu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334228A (zh) 刺穿式可再装药物供给装置
KR20230064555A (ko) 약물 저장부재와 스크류를 연결한 약물전달 및 체액추출 시스템 및 체내 배치용 약물 저장부재
US20060047248A1 (en) Catheter loop manager
CN112791267A (zh) 一种输液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