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237A - 소변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소변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237A
KR20180129237A KR1020170064954A KR20170064954A KR20180129237A KR 20180129237 A KR20180129237 A KR 20180129237A KR 1020170064954 A KR1020170064954 A KR 1020170064954A KR 20170064954 A KR20170064954 A KR 20170064954A KR 20180129237 A KR20180129237 A KR 2018012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urine
storage unit
flow path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015B1 (ko
Inventor
신미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15B1/ko
Priority to PCT/KR2018/002932 priority patent/WO2018216889A1/ko
Publication of KR201801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과,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소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 검사를 위해 체내의 소변을 채취하는 소변 채취 장치는 일영역이 신체에 삽입되어 소변을 외부로 유도하는 도뇨관과,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저장부와,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제1저장부와 별개로 형성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고, 도뇨관은, 제1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1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도뇨관과, 제2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2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도뇨관에 결합되는 제2도뇨관과, 제1도뇨관 및 제2도뇨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변 채취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URINE}
본 발명은 소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과,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소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적인 질환의 진단이 가능하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종이컵과 같은 용기를 이용하여 직접 체내로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임상에서 인지장애 또는 와상 상태로 기저귀를 사용하는 환자의 경우, 직접 체내로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의료인이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수집해 검사를 진행한다. 또한, 와상환자 이외에도 균에 오염된 소변을 배출하는 환자(이하, 보균자)의 경우, 소변의 균이 주변에 묻어 타인에게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료인의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수집해 검사를 진행한다.
이때,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일정량이 배출된 이후의 소변을 채취하여야 하는데, 도뇨관을 통해 소변을 채취해야 하는 와상환자 또는 보균자의 경우에는, 의료인이 도뇨관과 소독솜이 담기는 드레싱 세트, 소변을 담을 제1용기, 버려지는 소변을 담을 제2용기, 소변이 담긴 제1용기를 밀폐하는 덮개를 별도로 멸균하여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변 채취 과정에서 소변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도뇨관을 제2용기에 위치시켜 초기 소변을 제2용기에 담은 후, 제1용기로 도뇨관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소변 채취 중 환자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도뇨관이 용기에서 이탈되어 소변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로부터 소변 채취 시, 초기 소변과 초기 소변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소변 채취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197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로부터 소변 채취 시, 초기 소변과 초기 소변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소변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변 검사를 위해 방광에 위치한 소변을 채취하는 소변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변 검사를 위해 체내의 소변을 채취하는 소변 채취 장치는 일영역이 신체에 삽입되어 소변을 외부로 유도하는 도뇨관과,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저장부와,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제1저장부와 별개로 형성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고, 도뇨관은, 제1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1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도뇨관과, 제2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2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도뇨관에 결합되는 제2도뇨관과, 제1도뇨관 및 제2도뇨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는, 제1됴노관에 결합되어 제1도뇨관을 압박할 수 있는 제1압박부재와, 제2도뇨관에 결합되어 제2도뇨관을 압박할 수 있는 제2압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는,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뇨관에 삽입되는 막음부재와, 막음부재와 연결되며, 막음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고, 막음부재는,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제2유로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저장부는, 제1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제1저장부의 하단에서 분리되어, 제1저장부의 상단과 결합 가능한 리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저장부는, 제1저장부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제1도뇨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저장부는, 내주면에 제1도뇨관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저장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저장부의 내부공간의 부피는, 25ML 내지 40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저장부는, 제2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소변의 밀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차단부재는, 제2유로에 끼움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초기 소변과 초기 소변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뇨관의 차단과 개방으로 사용자가 직접 버려지는 초기 소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량이 적은 환자에게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채취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결합된 소변 채취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결합된 소변 채취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결합된 소변 채취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채취 장치의 리드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채취 장치(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채취 장치(1)는 도뇨관(10), 제1저장부(20) 및 제2저장부(30)를 포함한다.
도뇨관(10)은 일영역이 신체(더욱 상세하게는 방광)에 삽입되어, 체내에 위치한 소변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도뇨관(100) 및 제2도뇨관(110)을 포함한다. 제1도뇨관(100)은 내부에 제1유로(101)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을 포함한 일영역이 신체로 삽입된다. 제2도뇨관(110)은 내부에 제2유로(1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제1도뇨관(100)의 제1유로(101)와 연통되도록 제1도뇨관(10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1도뇨관(100)의 타단은 제1저장부(20)에 연결되고, 제2도뇨관(110)의 타단은 제2저장부(30)에 연결된다.
제1도뇨관(100) 및 제2도뇨관(110)은 소변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체에 삽입 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며,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도뇨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막음부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102)는 체내로 제1도뇨관(1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제1도뇨관(100)의 일단에 의해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반구 형상 또는 일단이 둥글게 형성된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막음부재(102)의 지름은 제1도뇨관(10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음부재(102)의 지름이 제1도뇨관(100)의 지름보다 작을 경우, 제1도뇨관(100)을 체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도뇨관(100)에 의해 체내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막음부재(102)의 지름이 제1도뇨관(100)의 지름보다 큰 경우, 체내에 위치한 제1도뇨관(10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막음부재(102)에 의해 체내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도뇨관(1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1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03)은 제1유로(101)와 연통된다. 따라서, 방광에 위치한 소변은 관통공(103)을 통해 도뇨관(10)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뇨관(10)은 제1도뇨관(100)과 제2도뇨관(110)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저장부에 소변을 저장하기 위해서 도뇨관(10)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된다.
제1저장부(20)는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 이후의 소변이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도뇨관(100)이 연결된다. 제1저장부(20)는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공간(200)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 이후의 소변(이하, 이후 소변)은 도뇨관(10)이 방광에서 체외로 25mL 내지 40mL양의 소변이 배출된 이후의 소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L양의 소변이 배출된 이후의 소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저장부(20)는 개구된 일단을 덮는 덮개(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240)는 제1도뇨관(100)이 삽입 가능한 삽입공(241)이 형성되며, 제1저장부(20)와 탈부착 가능하다. 삽입공(241)은 제1도뇨관(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1도뇨관(100)의 외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도뇨관(100)의 타단이 덮개(240)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변 채취 후, 덮개(240)와 함께 도뇨관(10)을 한꺼번에 소변 채취 장치(1)로부터 분리시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저장부(20)는 내부공간(200)에 위치한 소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내부공간(200)에 위치한 소변의 양을 체크할 수 있도록 눈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는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공간(300)이 형성되며, 제2도뇨관(110)이 연결된다. 이때, 초기에 배출되는 소변(이하, 초기 소변)은 도뇨관(10)이 신체에 삽입된 직후 체외로 배출되는 25mL 내지 40mL 양의 소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외로 배출되는 30mL양의 소변일 수 있다. 제2저장부(30)는 내부공간(300)에 위치한 소변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는 내부공간(300)에 위치한 소변의 양을 체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저장부(30)의 내부공간(300)은 초기 소변만 담을 수 있는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저장부(30)의 내부공간(300)의 부피는 25mL 내지 40mL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L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저장부(30)의 내부공간(300)이 소변으로 가득 채워진 것으로 적절한 양의 초기소변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후 배출되는 소변이 제1저장부(20)에 저장되도록 조작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저장부(30)는 내부공간(300)에 구형상의 차단부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재(310)는 평균적인 소변의 밀도 보다 작은 밀도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2유로(111)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차단부재(310)의 지름은 제2유로(11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310)는 제2저장부(30)의 내부공간(300)에 소변이 채워짐에 따라 부상하여, 내부공간(300)에 소변이 다 채워지면 제2유로(111)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단부재(310)의 부상 및 차단부재의 끼워짐 상태로 적절한 양의 초기소변이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유로(111)에 차단부재(310)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2저장부(30)에는 더 이상의 소변이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제2저장부(30)로 향하는 제2도뇨관(110)을 차단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제2저장부(30)는 제1저장부(2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으로 소변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저장부(30)는 덮개(240)의 일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소변 채취 후, 사용자는 덮개(240)와 함께 제2저장부(30)를 소변 채취 장치(1)로부터 분리시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도1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저장부(30)는 제1저장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소변 채취 후, 사용자는 제2저장부(30)를 제1저장부(20)로부터 분리시켜 폐기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40, 50, 60)가 결합된 도뇨관(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개폐부(40, 50, 60)는 제1도뇨관(100)의 제1유로(101) 및 제2도뇨관(110)의 제2유로(11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40)는 제1압박부재(400) 및 제2압박부재(410)를 포함한다. 제1압박부재(400)는 제1도뇨관(100)을 압박 또는 압박 해제하여 제1유로(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제2압박부재(410)는 제2도뇨관(110)을 압박 또는 압박 해제하여 제2유로(111)를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제1압박부재(400)는 일영역이 잘린 링형상의 링부(401), 링부(401)의 일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연장부(402), 링부(401)의 타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404) 및 제2연장부(404)의 일단에서 수직 연장되는 제3연장부(403)를 포함하며,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링부(401)및 제3연장부(403)는 제1도뇨관(100)이 삽입 가능한 도뇨관삽입공이 형성되며, 제3연장부(403)의 일단에는 걸림부(40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402)는 외력에 의해 걸림부(4031)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403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연장부(402)의 일단이 걸림부(4031)에 체결되는 경우, 링부(401)에 결합된 제1연장부(402)의 타단과 제2연장부(404)의 타단이 제1도뇨관(100)을 압박하여, 제1유로(101)를 차단한다. 제2압박부재(410)는 제1압박부재(4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2는 제1압박부재(400)의 제1연장부(402)가 걸림부(4031)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 제2압박부재(410)의 제1연장부(402)가 걸림부(4031)에 체결되어 제2유로(111)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50)는 제1압박부재(500) 및 제2압박부재(510)를 포함한다. 제1압박부재(500)는 제1도뇨관(100)을 압박 또는 압박 해제하여 제1유로(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제2압박부재(510)는 제2도뇨관(110)을 압박 또는 압박 해제하여 제2유로(111)를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압박부재(500)는 내부공간(5011)이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내부공간(5011)과 연통하는 레일홈(5012)이 형성되는 하우징(501) 및 하우징(501)의 레일홈(5012)에 결합되어 레일홈(5012)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503)를 포함한다. 이때, 슬라이드(503)는 레일홈(5012)에 삽입되는 돌출부(5031)가 형성된다. 하우징(50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내부공간(5011)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는 제1도뇨관(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뇨관삽입공(502)이 형성된다. 내부공간(5011)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503)가 레일홈(501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5031)가 제1도뇨관(100)을 압박하여 제1유로(101)가 차단된다. 제2압박부재(510)는 제1압박부재(5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제1압박부재(500)가 제1유로(101)를 개방하였을 때의 모습이고, 제2압박부재(510)가 제2유로(111)를 차단하였을 때의 모습이다.
소변 채취 시, 사용자는 제1압박부재(400, 500)를 이용하여 제1유로(101)를 차단한 후, 제1도뇨관(100)의 일단을 방광에 주입시켜, 소변이 제2저장부(30)에 저장되도록 유도하고, 일정량 이상의 소변이 제2저장부(30)에 저장되면, 제2압박부재(410, 510)를 이용해 제2유로(111)을 차단한 후, 제1유로(101)를 개방해 소변이 제1저장부(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60)는 막음부재(600) 및 위치조절부재(610)를 포함한다. 막음부재(600)는 제1유로(101) 및 제2유로(111)의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제1유로(101) 또는 제2유로(111)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조절부재(610)는 막음부재(6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뇨관(10)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조절부재(610)는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있으며, 막음부재(600)는 자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치조절부재(610)가 이동함에 따라 막음부재(600)도 함께 이동하며, 사용자는 위치조절부재(6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막음부재(600)가 제1유로(101)에서 제2유로(111)로 또는 제2유로(111)에서 제1유로(101)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뇨관(10)의 외주면에는 위치조절부재(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위치조절부재(610)를 움직여 막음부재(600)를 제1유로(101) 또는 제2유로(1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소변 채취 시, 사용자는 막음부재(600)를 이용하여 제1유로(101)를 차단한 후, 도뇨관(10)을 방광에 주입시켜, 소변을 제2저장부(30)에 저장되도록 유도하고, 일정량 이상의 소변이 제2저장부(30)에 저장되는 경우, 위치조절부재(610)를 이용해 막음부재(600)를 제2유로(111)로 위치시켜, 제1유로(101)는 개방되고 제2유로(111)는 차단되도록 하여 소변이 제1저장부(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채취 장치(1)의 리드(210)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제1저장부(20)의 하단에 결합된 리드(210)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제1저장부(20)의 상단에 결합된 리드(210)를 도시하고 있다.
리드(210)는 제1저장부(20)가 바닥에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구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저장부(20)의 하단에 결합된다. 또한, 리드(210)는 제1저장부(20)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저장부(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드(210)는 제1저장부(20)의 상단 또는 하단과 끼움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저장부(20)에 소변을 저장하는 것을 완료하면, 제1저장부(20)의 하단에 결합된 리드(210)를 분리하여 제1저장부(20)의 상단에 결합함으로써, 제1저장부(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용기로 소변을 옮겨 담을 필요 없이 제1저장부(20)의 상단에 리드(210)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검사기관에 송부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저장부(20)는 내주면에 고정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30)는 제1도뇨관(100)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도뇨관(100)이 삽입 가능한 홀을 포함한다. 고정부재(230)는 제1도뇨관(100)의 삽입의 용이성을 위해 홀의 일영역이 개구된 갈고리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도뇨관(100)은 고정부재(230)의 홀에 삽입시켜, 소변 채취 과정 중에 제1도뇨관(100)이 제1저장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소변 채취 장치(1)는 제조과정 중에 멸균 포장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소변 채취 장치를 소독하지 않고 포장을 제거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소변 채취 장치(1)로 초기 소변과 초기 소변 이후에 배출되는 소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뇨관(10)의 차단과 개방으로 사용자가 직접 버려지는 초기 소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량이 적은 환자에게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소변 채취 장치
10 : 도뇨관
100 : 제1도뇨관
110 : 제2도뇨관
20 : 제1저장부
200 : 내부공간
30 : 제2저장부
300 : 내부공간
40, 50, 60 : 개폐부

Claims (9)

  1. 소변 검사를 위해 체내의 소변을 채취하는 소변 채취 장치로서,
    일영역이 신체에 삽입되어 소변을 외부로 유도하는 도뇨관과,
    상기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저장부와,
    상기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저장부와 별개로 형성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뇨관은,
    제1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1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도뇨관과,
    제2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2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도뇨관에 결합되는 제2도뇨관과,
    상기 제1도뇨관 및 상기 제2도뇨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됴노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뇨관을 압박할 수 있는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2도뇨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도뇨관을 압박할 수 있는 제2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에 삽입되는 막음부재와,
    상기 막음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막음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막음부재는, 상기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2도뇨관의 제1유로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제1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저장부의 하단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저장부의 상단과 결합 가능한 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제1저장부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제1도뇨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내주면에 상기 제1도뇨관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의 내부공간의 부피는, 25ML 내지 4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제2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소변의 밀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제2유로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채취 장치.
KR1020170064954A 2017-05-26 2017-05-26 소변 채취 장치 KR10200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54A KR102001015B1 (ko) 2017-05-26 2017-05-26 소변 채취 장치
PCT/KR2018/002932 WO2018216889A1 (ko) 2017-05-26 2018-03-13 소변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54A KR102001015B1 (ko) 2017-05-26 2017-05-26 소변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37A true KR20180129237A (ko) 2018-12-05
KR102001015B1 KR102001015B1 (ko) 2019-07-17

Family

ID=6439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54A KR102001015B1 (ko) 2017-05-26 2017-05-26 소변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1015B1 (ko)
WO (1) WO201821688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51Y1 (ko) * 2006-04-10 2006-07-03 이평호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KR20150011972A (ko) 2013-07-24 2015-02-03 김의리 부착형 일회용 소변검사 용기
CN204275121U (zh) * 2014-12-03 2015-04-22 刘方芝 一种新型集尿装置
US20150157301A1 (en) * 2013-12-05 2015-06-11 P1 Technology Limited Collecting a Urine Sample
CN204600850U (zh) * 2015-04-27 2015-09-02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防回流尿袋
CN204840423U (zh) * 2015-07-31 2015-12-09 常熟市精亮微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集尿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608A (ja) * 1998-04-10 1999-10-29 Nippon Home Create:Kk 温水浄化機器等用流路切替弁
KR200383928Y1 (ko) * 2005-02-23 2005-05-10 염영철 의료용 폐기물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51Y1 (ko) * 2006-04-10 2006-07-03 이평호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KR20150011972A (ko) 2013-07-24 2015-02-03 김의리 부착형 일회용 소변검사 용기
US20150157301A1 (en) * 2013-12-05 2015-06-11 P1 Technology Limited Collecting a Urine Sample
CN204275121U (zh) * 2014-12-03 2015-04-22 刘方芝 一种新型集尿装置
CN204600850U (zh) * 2015-04-27 2015-09-02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防回流尿袋
CN204840423U (zh) * 2015-07-31 2015-12-09 常熟市精亮微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集尿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889A1 (ko) 2018-11-29
KR102001015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450076T3 (en) Package with catheter
ES2926022T3 (es) Dispositivos, sistemas y métodos de recogida de líquido
US9713661B2 (en) Biological fluid collection system
US20240068587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CN108652677B (zh) 样品收集容器
CA2817010C (en) Package with catheter
US7571804B2 (en) Package for a medical device
KR20210021964A (ko) 유체 수집 장치, 관련 시스템 및 관련 방법
WO2021080672A1 (en) External female catheter system with integrated suction regulator and method of use
ES2961269T3 (es) Dispositivos y sistemas de recogida de líquido
AU2006220137A1 (en) A package for a medical device
KR101657873B1 (ko) 배뇨 유도용 카테터 소독장치
EP3952969A1 (en) Reusable urinary catheter kits
KR102001015B1 (ko) 소변 채취 장치
JP2022551403A (ja) 液体滅菌剤と共に使用される生物学的インジケータ
JP2012130567A (ja) 生体センサ埋め込み装置
US20210322720A1 (en) Device for Midstream Sample Collection From a Catheterized Subject and Method and Systems for Use Thereof
JP2767648B2 (ja) アダプターおよび採血器具
WO2019078361A1 (ja) 収納容器、包装部材、及び医療器具セット
WO2013074582A1 (en) Extended wear devices for liquid deodorizers and containers including such devices
US8372014B2 (en) Post-operative bacteria test strip spool and method
CN115227942A (zh) 鞘管装置
JP6602853B2 (ja) 体液排液デバイスおよび体液排液方法
KR20160097532A (ko)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EA044020B1 (ru) Гигроскоп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с катете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