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16A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16A
KR20180129116A KR1020170064650A KR20170064650A KR20180129116A KR 20180129116 A KR20180129116 A KR 20180129116A KR 1020170064650 A KR1020170064650 A KR 1020170064650A KR 20170064650 A KR20170064650 A KR 20170064650A KR 20180129116 A KR20180129116 A KR 2018012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portion
rehabilitation
kn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9592B1 (en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92B1/en
Publication of KR2018012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h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10) disposed on the floor, a bed portion (20) on which a patient (1) is able to lie down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10) to be raised and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footstool portion (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bed portion (20) for supporting the foot of the patient (1), and an upper body belt (40) coupled to the bed portion (20) for fix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1).

Description

재활치료기기{APPARATUS FOR REHABILITATION}{APPARATUS FOR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등의 상하지 재활에 사용되는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used for rehabilitation of upper and lower limbs such as a patient suffering from a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신체기능이 상실되거나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활치료기기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뇌졸증이나 척수손상,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중추신경계 환자는 편마비/경직 등으로 인해 상하지의 운동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되므로, 정상적인 거동 및 보행이 곤란하거나 불편하다. 따라서, 정상인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재활훈련이 필요하고, 이때 보조적으로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관절 움직임을 수동적으로 만들어 주고, 환자의 운동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재활치료가 행해지는데, 초기 재활단계에서는 빠른 움직임 훈련과 직립 상태에서의 체중 부하 훈련 등이 주로 이루어지며, 이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are being used as a means to restore function when physical function is lost or not smooth.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stroke, spinal cord injury, or cerebral palsy,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is seriously deteriorated due to hemiplegia / stiffness, so that normal behavior and walking are difficult or inconvenient. Therefore, rehabilitation training is required to run a social life as a normal person, and various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are used as an auxiliary. Generally, in patients with gait disturbances, rehabilitation therapy is performed to passively move joints and restore the patient's ability to exercise. In the initial rehabilitation phase, rapid movement training and weight-bearing training in an upright state are mainly performed ,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is used.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하지연동운동장치는 재활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호 형상의 궤적으로 운동하는 발과 연동하여 타원 궤적을 그리도록 팔을 운동시킴으로써, 팔과 어깨뿐만 아니라, 등과 허리 근육을 회복시킨다.The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exercise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arms and shoulders but also to the back and back of the back, Restore muscle.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의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의 경우에는 재활환자의 둔부 또는 허리에 밴드를 감아 직립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상지와 하지를 재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otor-driven standing-type inferior-limb rehabilitation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2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the upper and lower limbs are rehabilitated while the band is wrapped around the hip or wais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and the upright state is maintained.

다만, 상기 재활치료기기의 경우는 재활환자의 상지 및 하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재활훈련을 시킬 수 없고, 나아가 동시에 서로 다른 재활훈련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마비로 인해 어느 한쪽의 상하지에만 근력 저하가 일어남에도 정상측 상하지에 대해서도 마비된 상하지와 동일한 훈련이 제공되므로 재활효율도 떨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t is not possible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limbs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selectively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different rehabilitation training can not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even though the muscular weakness occurs in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regions due to hemiplegia, the rehabilitation efficiency is also lowered because the same training as the paralyzed upper and lower regions is provided for the normal upper and lower regions.

이에 종래 재활치료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KRKR 10-2011-006958610-2011-0069586 AA KRKR 10-165233410-1652334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베드부가 마련되고, 그 베드부가 회동하여 소정의 경사를 유지함으로써, 경사각도에 따라 다양한 재활치료를 실행할 수 있는 재활치료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 part in which a patient can lie, and the bed part is pivotally rotat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o provide a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can execut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무릎벨트가 손상측 하지만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비손상측 하지에 대해서 분리된 기능적 훈련이 가능하고, 상지에 대한 안정적이고 큰 움직임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상지현수장치 및 상체 전방에 받침대가 각각 마련되어,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재활치료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e belt is formed so as to fix the damaged side, but it is possible to perform separate functional training on the unsprung-side lower limb, and to perform stable and large movement training on the upper limb, And a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that can perform the 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more easily.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 및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를 포함한다.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disposed on the floor; A bed part formed to be able to lie down on the patient,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rotatable, erected and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scaffold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d portion to support the foot of the patient; And an upper body belt coupled to the bed portion and fix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를 고정하는 무릎벨트;를 더 포함한다.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knee belt coupled to the bed portion and fixing any one of the two damaged legs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베드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릎벨트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을 감싼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ed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a space between both legs of the patient, and the knee bel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one side of the bed portion , And covers the knee of the damaged side lower lim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릎벨트의 내면 중 상기 환자의 무릎에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nee bel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of the patient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knee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어, 상지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edestal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o support the upper limb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nclude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ed portion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latching jaw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ed portion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is cau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환자의 상지를 고정하고, 상기 환자의 상지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현수장치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spender unit which fixes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lifted upward and generates repulsive force when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descend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부는 상기 환자의 상지를 감싸는 패드; 및 일단은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unit may include a pad for surrounding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And a support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ed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 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말단에서부터 상기 환자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bar may be connected to the bed portion, and the height adjusting rod may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height adjusting rod to the front of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신축 가능하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rod may be retrac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이 탄성력을 가진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r has an elastic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서 접촉할 수 있는 마커;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rker disposed in front of the patient and capable of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hand and foot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마커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generating the marker as an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상기 마커를 접촉할 때에 접촉신호를 생성한다.Further,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generates a contact signal when the patient contacts the mark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진행되므로, 중추신경계 환자의 항 중력근 활성화, 관절 수용기의 자극, 운동감각 증가, 하지의 혈액순환 증가, 요로 결석 방지, 구축이나 기형 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eds in the standing state, there is an effect of anti-gravity muscle activ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 stimulation of the joint receptors, increase of kinetic sense, increase of blood circulation in the lower limbs, prevention of urinary stone incidence, It is also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thostatic hypotension that may occur due to central nerve injury.

나아가, 경사각도에 따라 체중 지지 정도에 따른 체중 부하 훈련에 활용할 수 있고, 손상측 하지만을 고정하여 기립 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손상측 하지의 기능적 훈련을 통해 재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weight load train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weight suppo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standing state is maintained by fixing the damage side, so that the rehabilit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functional training of the unsponsored lower limb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상태를 통한 하지 재활훈련 단계에서, 상지현수장치 및 상체 전방에 받침대가 각각 마련되어, 상지에 대한 초기 재활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in the standing state, since the upper rehabilitation device and the pedestal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the initial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upper limb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

그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방에 배치된 마커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비손상측 하지 및 상지에 대한 재활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마커가 증강현실에 따른 가상 이미지로 구현되어 게임 형태로 재활훈련을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unsponsored lower limbs and the upper limbs can be performed by contacting the marker placed in front of the patient, and the marker is implemented as a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10), 환자(1)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20), 베드부(20)의 일단에 배치되어, 환자(1)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30), 및 베드부(20)에 결합되고, 환자(1)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40)를 포함한다.1,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disposed on the floor, a patient 10 which is formed so that the patient 1 can li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 A pedal part 30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d part 20 for supporting the foot of the patient 1 and a seat part 30 connected to the bed part 20, And an upper body belt 40 for fixing the upper body.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상하지 신체기능이 상실되어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의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기기이다. 특히, 뇌졸증,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마비/경직으로 인한 운동능력 저하로 거동 및 보행에 장애가 발생하는바,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훈련이 요구되고, 이때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종래 재활치료기기는 상지와 하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재활할 수 없고, 서로 다른 재활훈련을 동시에 실행할 수도 없으며, 비손상측 상하지에 대해서도 손상측 상하지와 마찬가지의 동일한 훈련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재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종래 재활치료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가 안출되었다.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body functions are los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is required. Particularly,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such as stroke, spinal cord injury, cerebral palsy and the like, the movement and ability to walk due to paralysis / stiffness are obstructed, and rehabilitation training for restoring body function is required. Therapeutic devices are used as an adjunct. However,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can not selectively rehabilitate the upper and lower limbs and can not perform different rehabilitation exercises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training as that of the upper and lower damage sides is provided for the upper and lower non- The problem of falling is raised. Accordingly,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요치료자이면 족하고, 반드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재활환자의 초기 재활훈련에 최적화되지만, 그 재활훈련 시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도 없다.Here, the patient who can us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ices as the therapist who needs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Further, although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for the initial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ime need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베이스(10), 베드부(20), 발판부(30), 및 상체벨트(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a bed portion 20, a foot portion 30, and an upper body belt 40.

베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가 배치되는 건물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구성부분이다. 베이스(10)는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10 is a component part disposed at the bottom of a building space where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e base 10 may be formed a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신속한 이동성 확보를 위해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캐스터(caster)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의 구름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가 함께 제공되어 소정의 위치에 베이스(10)를 정지시켜 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aster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to ensure quick mobility. At this time,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rolling of the caster is provided, so that the base 10 can be stopp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러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베드부(20)가 배치된다.The bed portion 20 is disposed above the base 10.

베드부(20)는 환자(1)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매트리스이다. 기본적으로는 장방형의 판(plate) 형태로 구비되지만,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ed portion 20 is a mattress formed so that the patient 1 can lie. Basically,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but its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베드부(20)는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경사각도는 0 ~ 90°에 이르는바, 베이스(10)는 회동하면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또는 바닥에 나란하게 눕혀질 수 있다. 여기서, 베드부(20)의 회동은 별개의 승하강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승하강수단은 실린더 내에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베드부(20)와 베이스(10)의 힌지결합축으로부터 먼 쪽에 피스톤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베드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다만, 승하강수단이 반드시 이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경사각도로 베드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d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reaches 0 to 90 degrees, and the base 10 can be rais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while being rotated, or can be laid side by side on the floor. Here, the rotation of the bed portion 20 can be realized by separate up-down means. For example, the lif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piston reciprocating linear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luid in the cylinder, and is arranged so that an external force of the piston acts on the farther side from the hinge coupling axis of the bed portion 20 and the base 10 , The bed portion 20 can be rotated.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upward / downward mea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all the known lifting means as long as the bed portion 2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이러한 베드부(20)의 일단에는 발판부(30)가 배치된다. 여기서, 베드부(20)의 일단은 베드부(20)의 길이방향쪽 양말단 중 어느 하나이다.The foot part (3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d part (20). Here, one end of the bed portion 20 is one of the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20.

발판부(30)는 환자(1)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환자(1)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발판부(30)는 환자(1)의 양발을 동시에 받칠 수 있게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의 발을 개별적으로 받칠 수 있게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oot part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patient (1) so as to support the foot of the patient (1). Here, the footrest 30 may be integrally constructed so as to support both feet of the patient 1 at the same time, or may be constituted of a pair of footrest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individually support the respective feet.

이때, 발판부(30)는 베드부(20)에 대해서 0 ~ 180°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드부(2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otrest 30 can be coupled to the bed portion 20 so that the footrest portion 30 can be angular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bed portion 20 in the range of 0 to 180 degrees.

한편, 상체벨트(40)는 베드부(20)에 결합되고, 환자(1)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은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된다. 상체벨트(40)는 환자(1)의 가슴이나 허리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환자(1)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체벨트(40)는 파스너(fastner)에 의해 체결되는데, 파스너는 예를 들어, 벨크로, 스냅(snap), 고리 등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body belt 40 is joined to the bed portion 20 and is formed into a strap that is wide enough to fix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1. [ The upper body belt 40 is fastened so as to enclose the chest or waist of the patient 1 to fix the patient 1. Here, the upper body belt 40 is fastened by a fastener, which may be, for example, a velcro, a snap, a ring, or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환자(1)의 골반을 고정하는 골반벨트(41), 환자(1)의 양쪽 하지를 고정하기 위한 하지벨트(4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골반벨트(41), 및/또는 하지벨트(43)는 고정 부위만 다르고, 그 이외의 형태 및 체결 방식은 상기 상체벨트(4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lvic belt 41 for fixing the pelvis of the patient 1, and a lower belt 43 for fixing both legs of the patient 1. Here, the pelvis belt 41 and / or the lower belt 4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in the fixed portion, and the other forms and the fastening manner can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belt 40.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중추신경계 환자의 항 중력근 활성화, 관절 수용기의 자극, 운동감각 증가, 하지의 혈액순환 증가, 요로 결석 방지, 구축이나 기형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경사각도에 따라 체중 지지 정도가 변하므로, 이에 따라 환자에 적합한 부분 체중 부하 훈련을 실시할 수도 있다. In gener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tient can maintain stan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tivation of the anti-gravity muscl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 the stimulation of the joint receptors, the increase in the kinetic sense, the increase in the blood circulation in the lower limbs, Can be expected. Furthermore, it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thostatic hypotension which may be caused by central nerve injury. Further, since the degree of weight support vari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partial weight load training suitable for the patient may be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무릎벨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릎벨트(50)는 베드부(20)에 결합되는 스트립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서 하지벨트(43, 도 1 참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이고, 하지벨트(43)가 포함된 경우에는 그 하지(3)벨트가 무릎벨트(50)로 대체된다.2 to 3,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p belt 50. As shown in FIGS. Here, the knee belt 50 is a strip to be coupled to the bed portion 20, and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case where the lower belt 43 (see FIG. 1) is not included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lower belt 43 is included, the lower belt 3 is replaced with a lap belt 50. [

무릎벨트(50)는 환자(1)의 양쪽 하지(3)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3a)를 고정한다. 따라서, 손상측 하지(3a)는 무릎벨트(50)에 의해 베드부(20)에 고정되는 반면, 비손상측 하지(3b)는 베드부(20)에 고정되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상측 하지(3a)에 대한 체중 부하 훈련 실시 중, 비손상측 하지(3b)에 대한 독립적 훈련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교차훈련을 통한 재활치료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훈련은 비손상측 움직임 또는 기능적 훈련을 토대로 손상측의 기능에 미치는 요소를 증진시킴으로써 기능적 활동을 도출하는 훈련을 의미한다.The knee belt (50) fixes any damaged side undergarment (3a) of both legs (3) of the patient (1). Therefore, the damaged side undergarment 3a is fixed to the bed portion 20 by the lap belt 50, while the unsprung side lower leg 3b is not fixed to the bed portion 20 and can move freely. This enables independent training for the unsprung-side lower limb 3b during the weight-bearing training on the damaged lower limb 3a. As a result,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herapy through cross training can be expected. Here, cross-training refers to training to derive functional activities by promoting factors on the function of the injured side based on non-uptake movement or functional training.

급성 및 뇌졸중 발병 3개월에서 9개월 사이 뇌졸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손상측 하지(3a)에만 무릎벨트(50)를 적용하고, 하지 근력을 특정하기 위한 손잡이용 동력계와 시공간적 보행 자료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하지 근력과 보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차훈련을 실시한 환자들에게서 하지 근력, 보행 속도, 보행률, 그리고 보행 길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hand dynamometer and spatio-temporal gait data to determine leg strength, a knee belt (50) was applied only to the injured limb (3a) in 30 patients with acute stroke and stroke from 3 months to 9 months Leg strength and gai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 gait analysis system. As a result,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leg strength, walking speed, walking rate, and walking length in patients who underwent cross training.

또한, 39명의 급성 뇌졸증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측 하지(3a)를 고정하고, 비손상측 하지(3b)에 대해서만 한 걸음씩 내딛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지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근 활성도 측정은 근전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분석결과 하지 근육들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 활성도 패턴과 하지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was measured by repeating the steps of fixing the injured side lower limb (3a) to 39 patients with acute stroke and repeating only one step to the lower extremity limb (3b).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of muscle activity was performed through EMG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uscle activity and pattern function of the extensor muscles and the flexor muscles of the leg muscles were improved.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따라, 무릎벨트(50)를 사용해 손상측 하지(3a)만을 고정하고, 양 하지(3)의 분리된 기능적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양 하지(3)를 동시에 고정하여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활치료 효과가 향상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damaged side leg 3a is fixed by using the knee belt 50 and the separate functional training of the both legs 3 is performed,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s relative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atient is held in the standing state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릎벨트(50)가 베드부(20)에 결합되기 위해서, 베드부(20)에 관통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은 환자(1)의 양쪽 하지(3)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베드부(20)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무릎벨트(50)는 손상측 하지(3a)에 가까운 베드부(20)의 일측에서부터 관통홀(21)을 통과하면서 손상측 하지(3a)의 무릎을 감싸게 된다.In order to couple the knee bel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ed portion 20, a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in the bed portion 20. Th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spaces between both legs 3 of the patient 1. [ Therefore, the knee belt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rom one side of the bed portion 20 close to the damaged side undergarment 3a, and covers the knee of the damaged side undergarment 3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받침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60)는 환자(1)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어, 환자(1)의 상지(5)를 받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대(60)는 환자(1)의 상지(5)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환자(1)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작업치료 등에 사용되는 물품(7)을 받침대(60)에 올려놓을 수도 있으므로, 손 움직임 장애 환자(1)에 대한 기능적 훈련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60. Here, the pedestal 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 1, and is formed into a plate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side 5 of the patient 1. [ Therefore, the pedestal 60 supports the upper limb 5 of the patient 1, thereby enabling the patient 1 to stand up more stably. 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article 7 used for occupational therapy or the like can be placed on the pedestal 60,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functional training for the hand motion disorder patient 1.

이러한 받침대(60)는 베드부(20)에 결합되는바, 베드부(2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61)는 환자(1)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환자(1)의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베드부(20)는 한 쌍의 연장부(6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환자(1)의 팔꿈치에서부터 손에 이르는 아래팔이 상기 연장부(61)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연장부(61)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1)의 신장을 고려하여 베드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대(60)를 움직이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The pedestal 60 may be coupled to the bed portion 20 and may include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61 that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ed portion 20. The extension part 61 extends from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1 toward the side of the patient 1 and the bed part 20 extends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arts 61 . Thus, the lower arm from the elbow to the hand of the patient 1 can be supported by the extension 61.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61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pedestal 60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moving the pedestal 6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20 in consideration of elongation of the patient 1.

받침대(60)는 한 쌍의 연장부(61)가 서로 결착될 때, 베드부(20)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데, 좀 더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베드부(20)의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23)은 베드부(20)의 양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수 개일 때에는 인접하는 걸림턱(23) 사이에 연장부(61)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연장부(61)가 걸림턱(23)에 걸리는 방식으로, 받침대(60)가 베드부(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pedestal 60 can be fixed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ed portion 20 when the pair of extensions 6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at least one or more The stopping jaw 23 can be formed. Here, the latching jaws 23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bed portion 2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s 61 are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latching jaws 23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atching jaws 23 . Therefore, the pedestal 60 can be fixed to the bed portion 20 in such a manner that the extending portion 61 is caught by the engaging jaw 2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현수장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수장치부(70)는 상향으로 올려진 환자(1)의 상지(5)를 고정하고, 환자(1)가 상지(5)를 하강시킬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켜, 환자(1)의 현수운동을 보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현수운동은 상지(5)의 근력을 회복·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환자(1)가 상지(5)의 힘으로 상기 현수장치부(70)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지속적으로 상지(5)를 승하강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As shown in FIG. 4,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spending unit 70. The suspending device unit 70 fixes the upper side 5 of the patient 1 which is raised upward and generates a repulsive force when the patient 1 descends the upper side 5, . Herein, the suspending exercise is a movement for restoring and developing the strength of the upper limbs 5, and the patient 1 continuously holds the upper limbs 5 against the repulsive force of the suspensions 70 by the force of the upper limbs 5, Is performed in a manner of ascending and descending.

구체적으로, 현수장치부(70)는 현수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패드(71), 및 지지봉(73)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spension unit 70 may include a pad 71 and a support rod 73 to assist the suspension motion.

여기서, 패드(71)는 환자(1)의 상지(5)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패드(71)는 상지(5)와 밀착되므로, 상지(5)에 부담을 주지 않는 소재로서 가죽이나,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그 소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ad 71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5 of the patient 1. [ Since the pad 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5, leather, fabric, or the like can be used as a material that does not give a burden to the upper surface 5, but the materia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지지봉(73)은 베드부(20)와 패드(71)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그 일단은 베드부(20)에, 타단은 패드(71)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봉(73)은 상지(5)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 반발력이 반드시 지지봉(73)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소정의 탄성부재(79)가 지지봉(73)과 패드(71)를 연결하고, 그 탄성부재(79)가 당겨지면서 반발력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79)는 예를 들어, 탄력밴드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봉(73)과 탄성부재(79)는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는바, 지지봉(73)과 패드(71)를 연결하는 부재가 반드시 탄성부재(79)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rod 73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bed portion 20 and the pad 71. One end of the support rod 73 is connected to the bed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ad 71. [ Here, the support bar 73 may have an elastic force so as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when the upper edge 5 descends. However, the repulsive for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gene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rod 73. For example, a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79 connects the support rod 73 and the pad 71, and the elastic member 79 may be pull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79 can utilize, for example, a resilient band. The supporting rod 73 and the elastic member 79 having elasticity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so that the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ing rod 73 and the pad 71 is always limited to the elastic member 79 It should not be.

한편, 지지봉(73)은 높이조절봉(75)과 연결봉(7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rod 73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height adjusting rod 75 and the connecting rod 77 to each other.

여기서, 높이조절봉(75)은 베드부(20)에 연결되어, 베드부(2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로드(rod)이다.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75)은 중공관 형태의 2개 이상의 분절(75a, 75b)이 결합된 구조로서, 어느 하나의 제1 분절(75a)에 다른 하나의 제2 분절(75b)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삽입된 분절이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되는 분절은 소정의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은 제1 분절(75a)의 외면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된 제2 분절(75b)의 외면에 밀착되는 나사봉(74)일 수 있다. 이때, 나사봉의 타단에는 나사봉(7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76)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그 고정수단이 반드시 나사봉(7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1)의 신장에 따라 높이조절봉(75)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rod 75 is connected to the bed portion 20 and is a rod which is elongated and reduced 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20. The stretchable height adjusting rods 75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egments 75a and 75b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re combined and one second segment 75b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segments 75a Lt; / RTI > At this time, as the inserted segment slides, the length increases and shrinks. On the other hand, the slidable segments can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fastening means may be a threaded rod 74 that is threadably thread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gment 75a and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second segment 75b. At this time, a knob 76 capable of rotating the screw rod 74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crew rod. However, the fastening mea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hreaded rod 74, but includes all known means for securing the segments. Therefore, the length of the height adjusting rods 75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elongation of the patient 1.

연결봉(77)은 높이조절봉(75)의 말단에서부터 환자(1)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로드로서, 연결봉(77)의 말단에 패드(71)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봉(77)도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높이조절봉(75)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고정수단에 의해 적합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환자(1)의 상지(5) 중 적합한 위치에 용이하게 패드(71)를 배치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rod 77 is a rod that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height adjusting rod 75 to the front side of the patient 1. The pad 71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rod 77. Here, the connecting rod 77 can also be formed to be stretchable. For example,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ucture of the height-adjusting rods 75 described above, and a suitable length can be maintained by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is, the pad 71 can be easily disposed at a suitable position in the upper side 5 of the patient 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무릎벨트(50)의 내면 중 환자(1)의 무릎에 밀착되는 부위(51)가 그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무릎벨트(50)의 내면은 환자(1)의 무릎과 대향되는 무릎벨트(50)의 표면을 의미한다. 무릎에는 무릎뼈가 돌출되어 있고, 손상측 하지(3)는 경직에 의해 완전히 펴지지 않고 다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무릎벨트(50)의 함몰 부위로 말미암아, 환자(1)의 하지(3)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 재활치료 동안 환자(1)의 무릎에 가해지는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51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nee belt 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of the patient 1 may be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knee.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knee belt 50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knee belt 50 opposed to the knee of the patient 1. The knee bones protrude from the knees and the damaged side lower legs 3 are not fully extended due to rigidity and are held in a somewhat bent state. And relieve the pain applied to the knee of the patient 1 du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A and 5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재활치료기기는 마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커(80)는 환자(1)의 전방에 배치되어, 환자(1)가 손과 발로 접촉할 수 있는 표적물이다. 환자(1)는 상지(5)와 하지(3)를 움직여 손이나 발로 마커(80)를 터치하면서 움직임 훈련을 하게 된다. 여기서, 마커(8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지만, 치료사가 환자(1)의 전방으로 마커(80)를 던질 수도 있다. 이때, 움직이는 마커(80)를 환자(1)가 순간적으로 터치함으로써, 빠른 움직임을 단련할 수 있다. 마커(80)는 예를 들어, 볼(ball)이나, 다트판(dartboard)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손이나 발로 터치 가능한 물체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rker 80. The marker 8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tient 1 and is a target that the patient 1 can make contact with hands and feet. The patient 1 moves the upper and lower legs 5 and 3 and performs a motion training while touching the marker 80 with the hand or the foot. Here, the marker 8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ut the therapist may throw the marker 80 in front of the patient 1. [ At this time, the patient 1 can instantaneously touch the moving marker 80, so that quick movement can be trained. The marker 80 may be, for example, a ball, a dartboard, or the like, bu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nd any object that can be touched with the hand or foot may be used.

한편, 마커(80)는 실체적인 물체가 아니라, 가상의 이미지로도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rker 80 can be realized not as an actual object but also as a virtual imag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재활치료기기는 상기 마커(80)를 가상의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90)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시스템(90)은 가상의 이미지로서 마커(80)를 생성할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증강현실시스템(9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system 90 for generating the marker 80 as a virtual imag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is a technique of superimpo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a background and displaying it as one image. As long as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marker 80 as a virtual image, And a known augmented reality system (90).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시스템(90)은 마커(80)를 가상의 이미지로 구현함과 동시에, 환자(1)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게임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가 마커(80)를 접촉할 때마다 소정의 접촉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접촉신호는 청각이나 시각적인 신호일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이한 사운드, 또는 마커(80)의 형태가 변하는 동적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그 접촉신호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환자(1)에게 요구되는 움직임 정도에 따라 마커(80)에 점수를 매기고, 소정의 훈련시간 동안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할 때에, 지루하고 힘든 재활치료가 게임과 접목되어 환자(1)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system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roduce a game system capable of realizing the marker 80 as a virtual image and stimulating the curiosity of the patient 1. [ For example, a predetermined contact signal can be generated each time the patient 1 touches the marker 80. [ At this time, the contact signal may be an auditory or visual signal, more specifically a peculiar sound, or a dynamic image in which the shape of the marker 80 changes. However, the contact signa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rker 80 may be sco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tion required of the patient 1, and the scores obtained during the predetermined training time may be summed and provided. In this case, tedious and difficult rehabilitation therapy can be combined with the game, which can cause the patient 1 to become interest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환자 3: 하지
5: 상지 10: 베이스
20: 베드부 21: 관통홀
23: 걸림턱 30: 발판부
40: 상체벨트 50: 무릎벨트
60: 받침대 61: 연장부
70: 현수장치부 71: 패드
73: 지지봉 75: 높이조절봉
77: 연결봉 80: 마커
90: 증강현실시스템
1: patient 3: not
5: upper limb 10: base
20: bed portion 21: through hole
23: latching jaw 30:
40: upper body belt 50: knee belt
60: pedestal 61: extension
70: Suspension unit 71: Pad
73: support rod 75: height adjustment rod
77: connecting rod 80: marker
90: Augmented Reality System

Claims (15)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 및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
를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A base disposed on the floor;
A bed part formed to be able to lie down on the patient,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rotatable, erected and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scaffold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d portion to support the foot of the patient; And
An upper body belt coupled to the bed portion and fix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And a rehabilita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를 고정하는 무릎벨트;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nee belt coupled to the bed portion, the knee belt fixing any of the limbs of both legs of the patient;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베드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릎벨트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을 감싸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2,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ed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a space between both legs of the patient,
Wherein the knee bel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one side of the bed portion to wrap the knee of the damaged side lower le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릎벨트의 내면 중 상기 환자의 무릎에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nee bel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of the patient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knee.
청구항 1에 있어서,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어, 상지를 받치는 받침대;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edestal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o support the upper limbs;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edestal has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ed portion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pedestal being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or more engaging jaw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ed part so that the extension part is enga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환자의 상지를 고정하고, 상기 환자의 상지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현수장치부;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spending device for fixing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lifted upward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hen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is lowered;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부는
상기 환자의 상지를 감싸는 패드; 및
일단은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지지봉;
을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suspension unit
A pad surrounding the upper limbs of the patient; And
A support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ed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ad;
And a rehabilitation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 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말단에서부터 상기 환자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봉;
을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rod
A height adjustment rod connected to the bed portion and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ortion;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height adjusting rod to the front of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pad;
And a rehabilitation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신축 가능한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rod is a stretchable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이 탄성력을 가지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bar has an elastic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서 접촉할 수 있는 마커;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rker disposed in front of the patient and capable of moving by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hand and foot of the patient;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커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generating the marker as an imag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상기 마커를 접촉할 때에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재활치료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generates a contact signal when the patient contacts the marker.
KR1020170064650A 2017-05-25 2017-05-25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KR101949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en) 2017-05-25 2017-05-25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en) 2017-05-25 2017-05-25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16A true KR20180129116A (en) 2018-12-05
KR101949592B1 KR101949592B1 (en) 2019-02-18

Family

ID=6474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en) 2017-05-25 2017-05-25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5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831A (en) * 1988-08-01 1991-04-09 Tsutomu Hara Athletic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KR20060001831A (en) * 2005-08-22 2006-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lower limb and rehabilit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10069586A (en)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A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CN105496720A (en) * 2015-12-10 2016-04-20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Acoustic vibration stand-up bed
KR101652334B1 (en) 2015-03-13 2016-08-31 (주)맨엔텔 Upper limb and Lower limb Rehabilitation Motion Device of Upright Type
JP2017012691A (en) * 2015-07-06 2017-01-19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831A (en) * 1988-08-01 1991-04-09 Tsutomu Hara Athletic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KR20060001831A (en) * 2005-08-22 2006-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lower limb and rehabilit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10069586A (en)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A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KR101652334B1 (en) 2015-03-13 2016-08-31 (주)맨엔텔 Upper limb and Lower limb Rehabilitation Motion Device of Upright Type
JP2017012691A (en) * 2015-07-06 2017-01-19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CN105496720A (en) * 2015-12-10 2016-04-20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Acoustic vibration stand-up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592B1 (en)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363A (en)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US8968163B1 (en)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US55734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legs
US20090107533A1 (en) Hip assist walker
US8083654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ruin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while sit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leg supports
US200803187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ee strengthening
RU2687573C2 (en) Ankle link of orthosis or exoskeleton
US6821262B1 (en) Self operable knee extension therapy device
WO2018035273A1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US20120035027A1 (en) Antigravity Spinal Exerciser
CN108452495A (en) A kind of Neurology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RU140060U1 (en) TRAINING DEVICE
KR101949592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KR20170001582U (en) Exercise apparatus for Core muscle's strength and stretching
EP2768462B1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KR101186758B1 (en) Corrective divice for hemiplegia patient
Park et al. Effects of dynamic taping on shoulder joint proprioception
KR101556951B1 (en) Squatting exercise board
JP3179684U (en) Squat exercise equipment
KR101419187B1 (en) Arm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RU112638U1 (en) Walking Simulator
RU130498U1 (en) TRAINING COMPLEX
RU2400276C1 (en) Device for mot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KR102323812B1 (en) Both upper and lower limb joint treatment and mobility welfar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