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003A -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003A
KR20180129003A KR1020170063945A KR20170063945A KR20180129003A KR 20180129003 A KR20180129003 A KR 20180129003A KR 1020170063945 A KR1020170063945 A KR 1020170063945A KR 20170063945 A KR20170063945 A KR 20170063945A KR 20180129003 A KR20180129003 A KR 2018012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er
authentication
elevator
management server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홍렬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003A/ko
Publication of KR2018012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승강기 보수 시 다수 단계를 거치는 인증 강화 절차와, 시간 및 장소, 사용자와 디바이스를 국한하여 매칭 시에만 보수 인증 자격을 받아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수자가 휴대하는 보수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한 후, 보수를 진행할 현장을 선택하여 인증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서 소정 보수 현장에 대한 보수 인증 요청을 현장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에서 해당 보수 현장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와 보수 요청을 수행한 보수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GPS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의 판단결과, 상기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 측으로 각각 인증키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의 인증서 발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보수를 위한 엘리베이터 진단 및 제어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OPERATOR AUTHENTICATION METHOD FOR ELEVATOR MAINTENAN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위한 보수자의 데이터 접근 시 보수자 인증, 현장 위치 및 디바이스 위치 인증과 인증서 발급 등의 과정을 통해 보안성을 높을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상업용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출입하는 승객들의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 내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층간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지속적인 관리와 함께 이상상태 발생의 신속한 확인 및 보수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335929호를 통하여, "각각의 현장에 설치되어 해당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로부터 전송되는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정보가 선택적으로 독출되어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의 제어에 따라, 다수 대 엘리베이터 각각의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 설치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서버와 연계되어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모바일폰의 접속 제어를 행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서버와; 보수요원이 휴대하는 무선이동단말기로서 해당 엘리베이터의 보수점검을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며, 보수점검 시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되어 소정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보수용 모바일폰 및; 고객이 휴대하는 무선이동단말기로서 해당 엘리베이터의 리포트 확인을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며, 리포트 확인 시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되어 소정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고객용 모바일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 엘리베이터의 정보는 1일 데이터 수집정보 및 자체점검 데이터 수집정보로 이루어지되, 상기 1일 데이터 수집정보는, 도어개폐 횟수와, 운행량 데이터와, UP 층수 및 DOWN 층수, 카 대기 시간, 각종 상황에 따른 운전시간을 비롯한 운행상세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자체점검 데이터 수집정보는, Nonstop 설정내역과, 각 층별 레벨 측정값과, 각 층별 Door 열림 시간 및, 각 층별 Door 닫힘 시간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수용 모바일폰에 내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에는 해당 보수요원의 관리하에 있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호기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며, 임의의 엘리베이터 호기 선택에 따른 각 엘리베이터의 조회항목은, 운행상태보기, 상태IO보기, 제어내역보기, 고장내역보기, 고장IO보기, Trouble Shooting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객용 모바일폰에 내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에는 해당 고객의 관리하에 있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호기 목록이 디스플레이 되며, 임의의 엘리베이터 호기 선택에 따른 각 엘리베이터의 조회항목은, 운행상태 보기, 성능평가 결과 및 내용, 도어 동작, 최근 3개월 운행 정보, 최근 3개월 고장 정보, 전월 일별 운행 시간, 전월 일별 운행 횟수, 전월 시간대별 운행 횟수, 전월 층별 도어 개폐 횟수, 월별 납입 현황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을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보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정 처리를 위한 보수자의 로그인 과정을 포함하는 모바일 앱의 경우, 해당 보수자가 모바일 기기를 분실하거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분실할 시에 승강기 보수 데이터가 보안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임시 보안키를 인증하는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통해 타 현장까지 공유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3592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바일 앱을 이용한 승강기 보수 시 다수 단계를 거치는 인증 강화 절차와, 시간 및 장소, 사용자와 디바이스를 국한하여 매칭 시에만 보수 인증 자격을 받아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은, 보수자가 휴대하는 보수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한 후, 보수를 진행할 현장을 선택하여 인증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서 소정 보수 현장에 대한 보수 인증 요청을 현장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에서 해당 보수 현장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와 보수 요청을 수행한 보수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GPS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의 판단결과, 상기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 측으로 각각 인증키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의 인증서 발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보수를 위한 엘리베이터 진단 및 제어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로부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를 거쳐 보수 종료 요청이 들어오거나, 또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가 현장의 GPS 위치를 벗어남이 감지되면, 보수 인증키 발급을 중단하여 인증이 종료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의 로그인 시에는 홍채, 지문인식, 지정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생체정보 입력이나 인증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앱을 이용한 승강기 보수 시 보안성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인프라 산업인 승강기 해킹 시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 승강기 보안성의 강화를 통해 임의적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은, 인프라 산업인 엘리베이터의 보안 강화를 위해, 엘리베이터 보수 시 데이터 접근방법 및 인증방법을 보수자 인증, 현장 위치 및 디바이스 위치 인증과 인증서 발급 등을 적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20)와 보수자 디바이스(10),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 현장관리 서버(40) 등을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이 구축되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웨이(20)는 각 엘리베이터의 설치 현장에 구비되어 해당 현장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는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각 보수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소정 인증과정을 거쳐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 및 현장관리 서버(40)와 연계되어,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로부터의 로그인 요청 및 현장보수 인증 요청, 보수 종료 요청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현장관리 서버(40)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현장관리 서버(40)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로부터의 전송되는 보수자 디바이스 ID, 게이트웨이 ID를 확인하고, 현장명과 현장 GPS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 GPS를 매칭하여 선택적으로 인증키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로부터 보수 종료 요청이 전송되거나 보수자 디바이스(10)가 현장 GPS 위치를 벗어남이 감지되면 해당 보수 인증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20)와 보수자 디바이스(10),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 현장관리 서버(40) 등을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이 구축된 상태에서, 먼저 엘리베이터 현장 보수를 수행하는 보수자는 홍채나 지문인식, 지정맥 등과 같은 생체정보 또는 인증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보수자 디바이스(10)에 탑재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에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해당 보수자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수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장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보수자 인증 요청을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S 1).
이에,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에서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보수 현장에 대한 보수 인증 요청을 상기 현장 관리 서버(4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S 2).
상기 현장관리 서버(40)에서는 해당 현장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 타워인 게이트웨이 ID 및 보수 요청을 수행한 보수자 디바이스 ID를 확인하고(S 3), 상기 게이트웨이(20) 및 보수자 디바이스(10)의 GPS 위치에 대한 동일(도 1의 "A" 영역 내)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 4),
상기 'S 4'의 판단결과, 상기 게이트웨이(20) 및 보수자 디바이스(10) 상호 간이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게이트웨이(20) 및 보수자 디바이스(10) 각각에 인증서 매칭키 및 인증서를 발급하게 된다(S 5).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현장관리 서버(40)로부터의 인증키 발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와 게이트웨이(20) 상호 간에는 현장 보수를 위한 현장 엘리베이터 진단 및 제어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S 6).
한편,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에 보수종료 요청이 입력되어, 해당 보수종료 요청이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를 거쳐 상기 현장관리 서버(40) 측으로 전송되거나(S 7), 또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10)가 현장 GPS 위치를 벗어난 것이 감지되면(S 8), 상기 현장관리 서버(40)에서는 해당 현장에 대한 보수 인증이 종료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방법에서는, 엘리베이터 보수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승강기 데이터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보수자 디바이스(10)와 현장관리 서버(40)와의 1:1 인증이 아닌 현장의 승강기 정보와 현장관리 서버(40)를 연계시켜주는 별도의 게이트웨이(20)를 사용하여 현장 데이터와 보수자와의 위치 기반 동시 인증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해당 보수자는 반드시 보수를 위한 엘리베이터 현장 GPS 인근에 위치하여야만 함과 아울러, 직접적인 승인이 아닌 상기 게이트웨이(20) 및 현장관리 서버(40)와의 통신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인이 상기 게이트웨이(20)나 보수자 디바이스(10)를 임의로 탈취하더라도 다른 곳에서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 인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 데이터를 해킹하기 위해서는 보수자의 생체 정보, 고유의 보수자 디바이스 아이디,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아이디, 현장 GPS상의 게이트웨이, 현장 GPS 위치상의 보수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까지 총 6개의 정보가 일치해야만 현장 데이터 엑세스가 가능해지게 되므로, 게이트웨이(20)를 해킹 하더라도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30)에서 현장 관리 서버(40)로 직접 보수 인증 요청이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서버 내부 프로세스를 통한 인증이 강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보수자 디바이스, 20: 게이트웨이,
30: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 40: 현장관리 서버.

Claims (3)

  1. 보수자가 휴대하는 보수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한 후, 보수를 진행할 현장을 선택하여 인증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에서 소정 보수 현장에 대한 보수 인증 요청을 현장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에서 해당 보수 현장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와 보수 요청을 수행한 보수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GPS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장관리 서버의 판단결과, 상기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게이트웨이 및 보수자 디바이스 측으로 각각 인증키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의 인증서 발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보수를 위한 엘리베이터 진단 및 제어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로부터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를 거쳐 보수 종료 요청이 들어오거나, 또는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가 현장의 GPS 위치를 벗어남이 감지되면, 보수 인증키 발급을 중단하여 인증이 종료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보수자 디바이스 서버의 로그인 시에는 홍채, 지문인식, 지정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생체정보 입력이나 인증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KR1020170063945A 2017-05-24 2017-05-24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KR20180129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45A KR20180129003A (ko) 2017-05-24 2017-05-24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45A KR20180129003A (ko) 2017-05-24 2017-05-24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03A true KR20180129003A (ko) 2018-12-05

Family

ID=6474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45A KR20180129003A (ko) 2017-05-24 2017-05-24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5876A (zh) * 2020-05-13 2022-12-23 通力股份公司 用于输送机系统的访问解决方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5876A (zh) * 2020-05-13 2022-12-23 通力股份公司 用于输送机系统的访问解决方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0785B2 (en) Access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a vehicle
US20160134686A1 (en) Cloud management
CN107464314A (zh) 能够实现维修的无钥匙车辆系统
US20100127821A1 (en) Access Control
US20160093127A1 (en) Entry point valid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6204867A (zh) 可授予访客开门权限的门禁系统及门禁管理方法
WO201411618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KR101816876B1 (ko) 출입제어시스템 및 출입제어방법
US10202256B2 (en) Interfacing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building security using switches
CN106327649A (zh) 基于二维码的门禁系统及开门方法
CN106325124B (zh) 塔机、施工升降机拆装控制方法
DK177709B1 (e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washing facility
EP3483102B1 (en) 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AU20143232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CN110065862A (zh) 机械系统维修工具
KR20170115304A (ko)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출입관리방법 및 그의 출입관리시스템
CN108281037A (zh) 车位授权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96850A (ko) 휴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입실 검증시스템을 갖는 도서관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8817A (ko) 서비스 툴 위치 기반 기능 가용성
JP5996699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80129003A (ko) 엘리베이터 보수 시 진단 및 제어를 위한 보수자 인증 방법
JP6321229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表示機器
JP2015069373A (ja) 機械式駐車場システムの運用方法
KR20180059059A (ko) 사용 계층별 qr 코드를 이용한 산업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US20210279991A1 (en) Advanced access control using biometric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