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275A -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 Google Patents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275A
KR20180128275A KR1020170063638A KR20170063638A KR20180128275A KR 20180128275 A KR20180128275 A KR 20180128275A KR 1020170063638 A KR1020170063638 A KR 1020170063638A KR 20170063638 A KR20170063638 A KR 20170063638A KR 20180128275 A KR20180128275 A KR 2018012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pressure
elevator
ker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상욱
남준석
유홍선
배승용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6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275A/en
Publication of KR2018012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pressurization smoke control performance testing machine, wherein in a state of constantly maintaining air volume and air gallery supplied from an air blower, while changing the size of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overpressure control type damper, differential pressure of a fire room, smoke prevention wind veloc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on a non-opening layer is measured to effectively satisfy a fire safety standard with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overpressure control type damper.

Description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본 발명은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풍도 커널(111)과 풍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를 통하여 연결되는 부속실(130);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풍량과 상기 풍도(110)의 크기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크기를 변경해 가면서 화재실의 차압과 방연풍속 및 비개방층의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재안전기준을 만족시키는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적정 크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upply pressure damper performance tester comprising two or more air conditioner kernels 111 and a air conditioner volume damper 112 install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kernels 111, Wind speed 110; An auxiliary chamber 130 connected to each of the air intakes kernels 111 and connected to the air intakes kernel 111 through an air 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capable of adjusting air volume; And a blower 17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flow 110. The air flow amount supplied from the blower 170 and the size of the air flow 110 are fixed, By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fire chamber, the smoke wind spe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non-open layer while changing the size of the over-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the proper size of the automotive pressure over-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satisfying the fire safety standard is analyzed And an air supply pressure performance tester (100).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발화장소 인근에서 화열에 의한 피해보다, 기류를 따라 매우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의 인명피해를 차지하고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the damage caused by a fire in a building is more likely to be caused by toxic gas, which is very rapidly and widely diffused along the air current, rather than by fire heat near the ignition site.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flow of smoke.

그 예로써 1998년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사고, 2003년 대구 지하철역사 화재사고, 2007년 여수 출입국관리사무소 화재사고, 2012년 부산 노래방 화재사고 등에서 사망자의 대다수가 질식사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내실자를 갖는데 피난경로는 한정적이므로 화재시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For example, it has been found that the majority of deaths were suffocated in the 1998 Busan Bumchang Cold Plaza fire accident, the 2003 Daegu Subway Historic Fire accident, the Yeosu Immigration Office fire accident in 2012, and the Busan singing fire accident in Busan in 2012.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it is more important to control the flow of smoke in case of fire because the evacuation route is limited.

따라서, 고층건물에는 화재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 유입을 방지하여 피난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연설비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화재안전기준 NFSC 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제연설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high-rise buildings, ventil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order to secure the evacuation routes by preventing the inflow of smoke to the evacuation stairs in case of fire. In Korea, fire safety standards NFSC 501A 'staircase of special evacuation staircase, The following standards are established for ventilation facilities in the 'Fire Safety Standards'.

① 제연구역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기압을 제연구역 이외의 옥내보다 높게 하되, 일정한 기압의 차이(차압)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옥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① Supply fresh air from the outside to the smoking area to make the air pressure in the smoking area higher than the indoor area outside the smoking area, but keep the difference in pressure (differential pressure) so that smoke can not penetrate from inside the study area.

② ①항의 차압이 너무 클 경우에는 대피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무에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일정기준 이하가 되도록(즉, 부속실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부속실과 옥내 사이의 차압을 유지해야 한다.② If the pressure difference in ① is too big,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vacuator to open the door. In order to maintain the pressure required to open the door below a certain level (ie, Should be.

③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속을 유지하도록 옥외의 공기를 제연구역 내로 보충공급해야 한다.③ In case the entrance door of the ventilation area is temporarily opened for evacuation, outdoor air should be replenished into the ventilation area to maintain the air-cooling wind speed.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근래 들어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여, "부분 가압 방식"을 사용하는 다수의 기존 발명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부분 가압 방식 제연 설비들은 각 층별로 공급되는 풍량을 제연을 위한 댐퍼의 개장 정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In order to meet these requirements, a number of existing inventions have been proposed using a "partial pressure method ", including those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Such conventional partial pressure ventilation systems operate in such a manner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floor is controlled b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amper for ventilation.

그러나 이러한 부분 가압 방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댐퍼의 루버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루버 갭(louver gab)에 의한 소량의 누설이 발생하여 완벽한 밀폐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댐퍼의 누설에 따라 풍도 내의 압력이 강하하게 되므로, 예정된 부분 가압을 위해서는 이러한 누설 면적까지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충되는 송풍량이 고려되어 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 상황에서의 댐퍼의 누설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However, even when the louver of the damper used for the partial pressurizing method is closed, a small amount of leakage by the louver gaps occurs, which makes complete sealing impossible. Since the pressure in the wind direction drops due to the leakage of the damper,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supplemented blowing amount considering the leakage area additionally for the predetermined partial pressu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measure the leakage area of the damper under actual use conditions.

한편, 부분 가압 방식이 적용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설비의 경우, 대부분 승강기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은 부분 가압 방식의 제연 설비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하나, 이러한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는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entilation system of a high-rise building to which a partial pressure method is applied, most elevators are installed together. In this cas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ventilation spa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must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artial pressure type. However, the equipment capable of simulating and testing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ventilation sp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not existing .

한편, 국내에서 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확보를 위하여 마련된 국내 화재안전기준 NFSC501A의 "특별피난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제연구역의 기압을 화재가 발생한 거실보다 높게 유지시켜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FSC501A, a domestic fire safety standard established to secure the safety of evacuation of high-rise buildings in Korea, maintains the air pressure of the ventilation zone higher than that of the fire room in the "Special firefighting staircase and auxiliary fire- To prevent infiltration of foreign matter.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예컨대 제연용 송풍기와 풍도 및 급기 댐퍼를 이용하여 거실과 계단실 사이의 부속실내 기압을 높여주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다.For this purpose, it is a method commonly used in Korea. For example, it is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that increases the indoor air pressure between a living room and a staircase by using a blower for blowing air and an airflow and an air supply damper.

이와 같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은 건물의 부속실에 급기 댐퍼가 각각 장착되고, 이와 같은 급기 댐퍼에는 건물 내에 배치된 풍도를 통하여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급기된다.In such an air supply pressure damper system, an air supply damper is mounted to an auxiliary room of the building, and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an to the air supply damper through the air flow disposed in the building.

이때 부속실로 연기의 침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속실과 거실 사이에 기준치 이상의 기압 차가 존재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압 차가 너무 클 경우에는 대피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일정기준 이하가 되도록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기압 차를 유지해야 한다. NFSC501A에서는 부속실과 거실 사이에 40Pa이상의 차압(스프링 쿨러 설치시 12.5Pa이상)을 유지하고,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개방력이 110N 이하가 되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smoke into the subsidiary chamber, there must be a difference of atmospheric pressure above the reference value between the subsidiary room and the living room. However, if the pressure difference is too larg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vacuee to open the door, s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ncillary room and the living room should be maintained so that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is below a certain level. The NFSC501A maintains a differential pressure of more than 40 Pa (12.5 Pa or more when installing a sprinkler) between the ancillary room and the living room, and proposes that the opening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should be 110N or less.

그러나, 고층 또는 초고층, 다중이용 건축물의 주거인원을 안전하게 피난하기위하여 계단실로 연기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급기 가압 제연시스템은 국내 화재 안전기준에서 요구하는 연기침입 방지를 위한 차압 및 방연풍속과, 노약자 등이 피난 할 수 있는 방화문의 폐쇄력을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방연풍속을 만족시키려면 차압을 높여야하나 차압을 높이면 개방력(또는 폐쇄력)이 초과(110N이하)하고 개방력을 만족시키려면 차압을 낮추어야 하나 차압을 낮추면 부속실 및 계단실의 연기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연풍속과 비개방층의 차압(기준차압의 70%이상)이 미달 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대형화재 발생 시마다 문제가 제기 되고 제연설비의 무용론이 제기 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safely evacuate residents of high-rise buildings, super-high-rise buildings and multi-use buildings, the conventional supply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smoke intrusion into the staircase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prevent smoke intrusion,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closing power of the fire door which can be evacuated. In order to satisfy the smoke wind speed, the differential pressure should be increased. However,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increased, the opening force (or closing force) is exceeded (110N or less)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lowered to satisfy the opening force. However,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lowered, The problem is that the wind spe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non-openable layer (over 70% of the reference differential pressure) can not be achieved, resulting in a problem every time a large-scale fire occurs.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51952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5195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층 건물의 제연 설비를 수평 구조로써 스케일이 축소된 풍도, 계단실, 승강실, 거실, 부속실 등으로 구성하여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 실제현장의 제연설비를 구현함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의 제연설비까지 실험적으로 구현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풍량과 풍도의 크기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의 크기를 변경해 가면서 화재실의 차압과 방연풍속 및 비개방층의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재안전기준을 만족시키는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의 적정 크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oke removal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which comprises a wind tunnel, a staircase, a lift, a living room, By implementing the ventil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experimentally implement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high-rise building, as well as the size of the airflow and the airflow supplied from the bl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capable of efficiently analyzing an appropriate size of an automotive pressure and pressure regulating damper that meets a fire safety standard by measuring a differential pressure of a room,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는,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풍도 커널(111)과 풍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를 통하여 연결되는 부속실(130);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를 포함하되,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ir supply pressure damper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air conditioner kernels 111 and a wind volume damper (not shown) install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kernels 111, 112); An auxiliary chamber 130 connected to each of the air intakes kernels 111 and connected to the air intakes kernel 111 through an air 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capable of adjusting air volume; And a blower (17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flow (110)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풍량과 상기 풍도(110)의 크기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크기를 변경해 가면서 화재실의 차압과 방연풍속 및 비개방층의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재안전기준을 만족시키는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적정 크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air volume supplied from the blower 170 and the size of the air flow 110 are constantly fix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fire chamber and the smoke air flow rate, And an appropriate size of the automotive pressure over-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satisfying the fire safety standard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open layer.

또한,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mper 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110 and is designed to measure a leakage area of the damper D, an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And a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for measuring a leakage area us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또한,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연결되는 승강기 통로(161)와,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서 승강기 구동 수단(163)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기(162)로 구성되는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or flow characteristics tester 160 (160) comprises an elevator passage 161 connected to each of the subsidiary chambers 130 and an elevator 162 operated by the elevator driving means 163 in the elevator passage 161 ); ≪ / RTI >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풍량과 풍도의 크기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의 크기를 변경해 가면서 화재실의 차압과 방연풍속 및 비개방층의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재안전기준을 만족시키는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의 적정 크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ize of the air flow rate and the air flow rate supplied from the blower are constantly fix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fire room and the wind speed and the non- By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alyze the proper size of the automotive pressure and pressure control type damper satisfying the fire safety standard.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정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횡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의 모식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댐퍼 성능 시험기의 분해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의 댐퍼 성능 시험기의 모식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vator flow characteristics tester of an air supply pressure /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performance tester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amper performance tester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performance t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ir supply pressure-performan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는 크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풍도(110), 부속실(130), 거실(140), 송풍기(170), 댐퍼 성능 시험기(150) 및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and 2, the air supply pressure-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 110, an auxiliary chamber 130, a living room 140, a blower 170, A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and an elevator flow characteristics tester 160. [

먼저, 풍도(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풍도(1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초고층 건물의 경우 제연 설비의 풍도가 상하로 수십~수백 미터에 걸쳐 설치되게 되는 데, 풍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압력에 높이에 따라 차이가 생기게 되는 특성은 풍도의 상측과 하측의 큰 고도 차이에 의하여 유의미하게 큰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수 미터 내외의 시험기에서 재현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상기 풍도(110)를 중간 중간에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제 환경에서 큰 높이 차에 의한 풍도 내의 압력 분포의 변화를 수평면 상에서의 짧은 거리 내에서의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에 의해 제어된 압력 분포의 변화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실제 풍도의 상황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풍도(10) 내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게 된다. First, the wind speed 110 will be described. 1 and 2, the air-conditioner 110 is installed between two or more air-conditioner kernels 111 and the air-conditioner kernels 111, respectively. The air-conditioner volume damper 112 controls the air volume . That is, in the case of a skyscrap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ntilation equipment is installed up and down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meter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The difference in altitude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reproduce and simulate such characteristics in a tester of several meters or less,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volume damper 112 can be adjusted in the middle of the air flow 110,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variation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air flow due to the large height difference with a change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controlled by the air flow volume damper 112 within a short distance on the horizontal plane. In this case, by regula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air-volume damper 112,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air-flow 10 can be adjus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ir-condition to be simulated.

이 경우,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풍기(170)가 연결되어 시험에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공급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 blower 17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flow 110 to supply a flow of air necessary for the tes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는 실제 건물의 계단실의 구조가 제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역시 상기 풍도(10)와 유사하게, 상하 고도차가 큰 실제 건물의 계단실의 구조를 시험기에서 재현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상기 계단실 볼륨 댐퍼(122)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실제 계단실의 상황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내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게 된다. 1 and 2, in order to simulate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e of a stairway room of an actual building on the smoke-inducing function, the air supply pressure-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staircase kernels And a staircase volume damper 122 installed between the staircase keeper 121 and the staircase keeper 121 to adjust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staircase volume keeper 121, . The staircase flow characteristic regenerator 120 also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staircase volume damper 122 in order to reproduce and simulate the staircase structure of the actual building having a large vertical difference, Thereby regulat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staircase flow characteristic reproducer 120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actual stairwell condition to be simulated.

다음으로, 부속실(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속실(1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 실제 건물에서의 각 층에 설치된 부속실의 구조를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속실(130)은 실제 건물의 구조를 재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계단실 커널(121)에 각각 더 연결되어 설치된다. Next, the subsidiary room 13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ncillary room 1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air intakes kernels 111 so as to reproduce the structure of an ancillary room installed in each floor in an actual building. Meanwhile, the subsidiary room 130 is further connected to each of the staircase kernels 121 to reproduce the actual structure of the building.

다음으로, 거실(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실제 건물의 거실의 구조를 재현한다. Next, the living room 140 will be described.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ubsidiary rooms 130 to reproduce the structure of a living room of an actual building.

다음으로, 댐퍼 성능 시험기(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Next, the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will be described. 1 and 2, the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110 and includes a damper D for measuring the leakage area, And has a function of measuring the leakage area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amper (D).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풍도(110)의 상기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흐름이 인입되는 흡기구(152)와, 상기 흡기구(152)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한 상기 공기 흐름이 배출되는 배기구(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댐퍼 설치 챔버(151)와, 상기 댐퍼(D)의 상기 흡기구(152)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전방 압력 센서(155)와, 상기 댐퍼(D)의 상기 배기구(153)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후방 압력 센서(1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and 6, the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is provided with a damper D for measuring a leakage area therein. The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 direction 110, A damper installation chamber 152 in which an air intake port 152 through which the air flow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170 is drawn and an air exhaust port 153 through which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from the air intake port 152 are formed, A front pressure sensor 155 installed at one or more of the damper D in the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152 and a rear pressure sensor 155 installed at least one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port 153 of the damper 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156.

이 경우, 상기 댐퍼(D)의 유동상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fluid-leak area of the damper D is as follows.

먼저, 공기의 밀도를 ρ, 상기 댐퍼(D)의 상기 전방 압력 센서(155)와 상기 후방 압력 센서(156)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차압)을 ΔP,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유속을 V 라 하는 경우,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된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s measured by the front pressure sensor 155 and the rear pressure sensor 156 of the damper D is ΔP and the flow velocity through the damper D is ΔP,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according to Bernoulli's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유속 V 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rom this, the flow velocity V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한편, 상기 댐퍼(D)를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유량 Q는 상기 송풍기(170)에서 공급되는 풍량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과 유량 Q는 다음의 수학식 3에 따른 관계를 가진다. Meanwhile, the flow rate Q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per unit time can be measured from the air flow rate supplied from the blower 170. In this case, the flow rate Q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 A 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4를 통하여 구해질 수 있다. Using this relationship, the leakage area A of the damper D to be measured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에 따라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댐퍼의 누설면적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정된 부분 가압을 한 누설 면적의 추가적인 고려에 따라 보충되는 송풍량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eakage area of the damper which can cause the leakage of the wind speed according to the leaked area of the damper D measured in this manner and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blowing amount supplemented with the additional consideration of the leaked area subjected to the predetermined partial pressure Lt; / RTI >

다음으로,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연결되는 승강기 통로(161)와,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서 승강기 구동 수단(163)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기(16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다 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 통로(161)는 상기 승강기(162)의 작동 상태 및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elevator flow characteristic tester 160 will be described. 1 and 4, the elevator flow characteristics tester 160 includes an elevator passage 161 connected to each of the subsidiary chambers 130 and an elevator driving means 163 in the elevator passage 161. [ And an elevator 162 operated by the elevator.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imulate and test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ventilation sp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essure gauges capable of measuring pressure are installed in the elevator passageway 161.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or passageway 161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so that the operating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162 can be visually confirmed.

한편, 실제 건물에서 부속실이 각각 풍도와 댐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 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승강기 및 계단실에 출입문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재현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부속실(130)은 상기 풍도 커널(111)과 풍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계단실 커널(121)과 부속실 계단 도어(135)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승강기 통로(161)와 부속실 승강기 도어(136)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reprodu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uxiliary room in the actual building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and the staircase through the door, the air volume supplied through the air conditioner and the damper is adjusted,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kernel 111 through an air 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capable of adjusting the air volume and connected to the staircase kernel 121 through an auxiliary stairway door 135. The elevator passage 161 And an auxiliary room elevator door (136).

또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131) 및 부속실 압력 센서(132)가 더 설치되고, 상기 거실(140)에는 거실 온도 센서(141) 및 거실 압력 센서(142)가 더 설치되도록 하여, 제연 시스템을 작동하는 경우 상기 부속실(130) 및 상기 거실(140)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풍도 커널(111) 및 각각의 상기 계단실 커널(121)에는 각각 압력 센서가 더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의 풍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a sensor 131 and an auxiliary chamber pressure sensor 132 are further provided, and a living room temperature sensor 141 and a living room pressure sensor 142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14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auxiliary chamber 130 and the living room 140 when the ventilation system is opera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ssure sensor is further provided in each of the air-permeability kernels 111 and each of the staircase kernels 121 so that wind pressure at each position can be measure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f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D: 댐퍼
100: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
110: 풍도
111: 풍도 커널 112: 풍도 볼륨 댐퍼
120: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
121: 계단실 커널 122: 계단실 볼륨 댐퍼
130: 부속실
131: 부속실 온도 센서 132: 부속실 압력 센서
134: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 135: 부속실 계단 도어
136: 부속실 승강기 도어
140: 거실
141: 거실 온도 센서 142: 거실 압력 센서
143: 거실 도어
150: 댐퍼 성능 시험기
151: 댐퍼 설치 챔버
152: 흡기구 153: 배기구
155: 전방 압력 센서 156: 후방 압력 센서
160: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
161: 승강기 통로
162: 승강기
163: 승강기 구동 수단
170: 송풍기
D: Damper
100: Supply pressure tester performance tester
110: Intensity
111: Kwality Kernel 112: Wind volume damper
120: Staircase Flow Characteristic Reproducer
121: staircase kernel 122: staircase volume damper
130: Affiliate
131: Temperature sensor in the chamber 132: Pressure sensor in the chamber
134: Automobile pressure control damper 135: Attachment stairway door
136: Attachment Lift Door
140: living room
141: Living room temperature sensor 142: Living room pressure sensor
143: Living room door
150: Damper performance tester
151: damper mounting chamber
152: intake port 153: exhaust port
155: front pressure sensor 156: rear pressure sensor
160: Lift tester flow characteristics tester
161: elevator passage
162: Lift
163: elevator driving means
170: blower

Claims (3)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풍도 커널(111)과 풍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를 통하여 연결되는 부속실(130);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풍량과 상기 풍도(110)의 크기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크기를 변경해 가면서 화재실의 차압과 방연풍속 및 비개방층의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재안전기준을 만족시키는 상기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134)의 적정 크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
A wind direction 110 constituted by two or more wind direction kernels 111 and a wind direction volume damper 112 installed between the wind direction kernels 111 and controlling wind amount to pass through;
An auxiliary chamber 130 connected to each of the air intakes kernels 111 and connected to the air intakes kernel 111 through an air 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capable of adjusting air volume;
And a blower (17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flow (110)
In the state where the air volume supplied from the blower 170 and the size of the air flow 110 are constantly fix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fire chamber and the smoke air flow rate, And the open air pressure is measured to measure an appropriate size of the automotive pressure over-pressure regulating damper (134) satisfying a fire safety standard.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amper D installed in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110 for measuring a leakage area of the damper D and a damper D for detecting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damper D, Further comprising a damper performance tester (150) for measuring a leakage area using a pressure difference of the damper.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연결되는 승강기 통로(161)와,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서 승강기 구동 수단(163)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기(162)로 구성되는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elevator flow characteristic tester 160 comprising an elevator passage 161 connected to each of the subsidiary chambers 130 and an elevator 162 operated by the elevator driving means 163 in the elevator passage 161; (100). ≪ / RTI >
KR1020170063638A 2017-05-23 2017-05-23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KR20180128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38A KR20180128275A (en) 2017-05-23 2017-05-23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38A KR20180128275A (en) 2017-05-23 2017-05-23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75A true KR20180128275A (en) 2018-12-03

Family

ID=6474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38A KR20180128275A (en) 2017-05-23 2017-05-23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2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4315A (en) * 2019-12-24 2020-04-17 山东和富工程检测有限公司 Automatic testing device for smoke-proof performance of fireproof 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4315A (en) * 2019-12-24 2020-04-17 山东和富工程检测有限公司 Automatic testing device for smoke-proof performance of fireproof door
CN111024315B (en) * 2019-12-24 2024-04-26 山东和富工程检测有限公司 Automatic test device for smoke prevention performance of fireproof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en) Supply damper of separating the leakage air flow and the supplementary air flow, and its control method
KR101516232B1 (en) Smoke control system
KR101969947B1 (en) systems for smoke control of high rise building
KR102082664B1 (en)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KR101242179B1 (en)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KR101102928B1 (en) Composition Damper
KR101453485B1 (en) Air supply damper for arithmetic and control unit of pressure-air flow
KR101409791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 of evacuation door, and operating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34034B1 (en)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KR101529463B1 (en)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KR102622256B1 (e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KR20180109269A (en) Apparatus for removing smoke of construction
KR100932628B1 (en) How to smoke in high-rise buildings
Lee et al. Experimental study on elevator door reopening problems caused by stack induced pressure differences across the elevator door in buildings
KR101911323B1 (en) Supply damper for supply air pressure type smoke control system
KR20180128275A (en)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KR101123934B1 (en) Smoke control system of supplying air flow separately each for the air leakage through the gaps and the air flow through the open door
KR101683535B1 (en) Smoke control method and system
Karava et al.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rickle ventilators
KR20130006253U (en) Smoke System Damper
KR100421806B1 (en) smoke control damper for high building
Tamura Stair pressurization systems for smoke control: design considerations.
KR20180072315A (en) Tester for Measuring Damper Leakage Area in Smoke Control System
KR20170116791A (en) Smoke control system Simulator
KR1022052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eving excessive differential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