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74A -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74A
KR20180127674A KR1020170062675A KR20170062675A KR20180127674A KR 20180127674 A KR20180127674 A KR 20180127674A KR 1020170062675 A KR1020170062675 A KR 1020170062675A KR 20170062675 A KR20170062675 A KR 20170062675A KR 20180127674 A KR20180127674 A KR 2018012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anut
water
container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213B1 (ko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허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숙 filed Critical 허진숙
Priority to KR102017006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213B1/ko
Priority to PCT/KR2018/005217 priority patent/WO2018216924A2/ko
Publication of KR2018012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는: 새싹땅콩이 재배되는 땅콩모판과, 땅콩모판이 복수로 적층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부와, 컨테이너부의 지붕에 설치되며 태양열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와,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부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컨테이너난방부와, 컨테이너부의 내부를 이동하며 땅콩모판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이동살수부 및 태양광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난방부와 이동살수부 및 새싹땅콩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컨테이너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CULTIVATION DEVICE FOR PEANUT SPROUT AND CULTIVATION METHOD OF PEANUT SPROUT USING THIS}
본 발명은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싹땅콩의 재배를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싹땅콩은 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새싹땅콩은 엽산이 브로콜리의 6배에 달하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고, 레스베라트롤 또한 적포도주의 50배나 함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싹땅콩의 잔뿌리에는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홍삼의 6배나 높고 아스피라긴산이 콩나물의 8배가 함유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새싹땅콩은 전립선질환치료, 노화방지, 암예방과 치료, 갱년기 장애 예방, 임산부의 엽산보충, 다이어트 식품 및 숙취해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새싹땅콩의 효능에 대해 널리 알려지면서 새싹땅콩을 대량으로 재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새싹땅콩 재배방법은 재배방법이 까다롭고 복잡하며, 하우스 수경재배 방식이므로 3시간 간격으로 계속 진행되는 살수 공정으로 인해 관리자의 노동력과 에너지가 많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698489호(2007.03.15 등록, 발명의 명칭: 땅콩나물의 제조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땅콩의 재배를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는: 새싹땅콩이 재배되는 땅콩모판과, 땅콩모판이 복수로 적층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부와, 컨테이너부의 지붕에 설치되며 태양열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와,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부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컨테이너난방부와, 컨테이너부의 내부를 이동하며 땅콩모판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이동살수부 및 태양광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난방부와 이동살수부 및 새싹땅콩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컨테이너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테이너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전실과 재배실을 포함하며, 재배실의 내측에는 땅콩모판을 복수로 적층시키는 모판적재대 및 제어부의 제어로 동작되며 새싹땅콩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부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모듈 및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며,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이동살수부와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테이너난방부는, 컨테이너부의 바닥에 설치되며 난방배관을 구비하는 바닥판과, 난방배관으로부터 배출된 냉수와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에서 온도가 상승된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와, 축열조와 난방배관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및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된 관로에 연결되며 온수의 온도가 제어부에서 설정한 난방온도 이하인 경우에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 온수를 가열시키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 또는 열에너지의 부족에 의해 난방배관으로 공급되는 온수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 상용전원을 전기히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살수부는, 컨테이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과,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살수노즐을 구비하는 이동블럭부 및 이동블럭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이동블럭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며 이동블럭부가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럭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공급부는, 용수를 공급받아 1차 살균을 하는 제1살균부와, 제1살균부를 통과한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 및 저장탱크부를 통하여 공급된 용수를 2차 살균하여 이동블럭부로 공급하는 제2살균부를 포함하며, 제1살균부와 제2살균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용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은: 새싹땅콩의 종자를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살균수에 침지한 후 건져서 땅콩모판에 식재하는 단계와, 땅콩모판을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구비된 모판적재대에 적층하는 단계와, 컨테이너부의 내부를 암실 상태로 한 후 자외선램프를 동작시켜 새싹땅콩에 자외선을 공급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컨테이너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테이너부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며 이동살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살수 시간과 간격을 제어하여 새싹땅콩을 재배하기 위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땅콩모판에서 수확한 새싹땅콩을 초음파 세척하여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테이너난방부는, 온수를 순환시켜 컨테이너부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과, 나노합금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컨테이너부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살수부에 이동살균부를 설치하여, 이동살수부의 살수 전에 땅콩모판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정화와 살균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판적재대의 하부에 진동부를 설치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부가 동작되어 모판적재대에 적재된 땅콩모판을 설정된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살수부를 통하여 용수가 살수되는 단계에서, 이동살수부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수산기에 의해 살균되는 용수를 이용하며, 수산기 발생시 생성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용수와 함께 새싹땅콩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살수부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땅콩모판으로 물을 분사하므로 관리자의 인력이 전혀 투입되지 않고 전자동으로 새싹땅콩을 재배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새싹땅콩의 재배에 필요한 전기와 열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므로 새싹땅콩의 재배에 소요되는 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싹땅콩 컨테이너 재배시스템은 온도, 습도, 전기공급, 실시간 내부상황을 관리자가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부의 내측에서 새싹땅콩의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싹땅콩의 종자를 플라즈마로 살균된 살균수에 침지하며,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용수를 새싹땅콩으로 분사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므로 무농약 재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새싹땅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이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에 새싹땅콩이 재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모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새싹땅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이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에 새싹땅콩이 재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모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는, 새싹땅콩(10)이 재배되는 땅콩모판(20)과, 땅콩모판(20)이 복수로 적층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부(30)와, 컨테이너부(30)의 지붕(31)에 설치되며 태양열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50)와,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부(3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컨테이너난방부(60)와, 컨테이너부(30)의 내부를 이동하며 땅콩모판(20)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이동살수부(80) 및 태양광발전부(5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난방부(60)와 이동살수부(80) 및 새싹땅콩(10)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컨테이너부(3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는, 모판적재대(40)와 자외선램프(45)와 이동살균부(120)와 진동부(130)와 온도계(150)와 습도계(160)와 카메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싹땅콩(10)은 땅콩에서 자라난 배축(b), 싹(c), 그리고 뿌리(a)로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싹땅콩(10)이 재배되는 땅콩모판(20)은 4~8mm 직경의 구멍을 복수로 구비하는 투수형 판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모판(20)은 모판본체(21), 테두리부재(22), 삽입턱(23), 삽입홈(24), 지지레그(25), 땅콩재배공(26), 물줄기홈(27), 입출부(28) 및 분산돌기(29)를 포함한다.
모판본체(21)는 PP와 같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된다. 모판본체(21)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 재질로 구비되고, 판면에 복수개의 땅콩재배공(26)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땅콩재배공(26)에 새싹땅콩(10)의 모종이 적재된 후 발아하여 하부로는 뿌리(a)가 연장되고 상부로는 배축(b)과 싹(c)이 재배된다.
테두리부재(22)는 모판본체(21)의 테두리영역에 구비된다. 테두리부재(22)는 모판본체(21)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이 상하로 적층될 때 이웃하는 모판본체(21)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킨다.
테두리부재(22)는 모판본체(21)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다. 테두리부재(22)는 모판본체(21)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테두리부재(22)의 단부에는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레그(25)가 구비된다.
테두리부재(22)의 모서리영역에는 삽입턱(23)이 일정높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재(22)와 지지레그(25)의 사이에는 삽입홈(24)이 형성된다.
삽입턱(23)과 삽입홈(24)은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적층할 때 서로 암수로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땅콩모판(20)의 삽입홈(24)에 하부에 배치된 새싹땅콩(10)용 모판(100a)의 삽입턱(23)이 삽입된다. 네 모서리에 배치된 삽입턱(23)이 모두 삽입홈(24)에 삽입되므로 하부 땅콩모판(20)이 상부에 위치된 땅콩모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상하로 적층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상하로 적층할 수 있으므로, 새싹땅콩(10) 재배지로 복수개의 모판(100)을 이동시킬 때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동시간을 줄일 수 있다.
땅콩재배공(26)은 모판본체(21)에 관통형성되어 새싹땅콩(10)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땅콩재배공(26)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땅콩재배공(26)의 크기는 다자란 새싹땅콩(10)의 배축(b)이 내부에 꽉찰 수 있게 배축(b)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땅콩재배공(26)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깊이(d) 함몰형성된 물줄기홈(27)이 구비된다. 물줄기홈(27)은 새싹땅콩(10)의 재배시에 배축(b) 및 뿌리(a)가 땅콩재배공(26)의 내부를 꽉 채우더라도 하부로 물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이 상하로 적층배치되었을 때 상부의 물이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물줄기홈(27)에 의해 모판본체(21) 내부의 물이 내부에 고여있지 않고 하부로 배수되므로 특정영역이 곰팡이 등에 오염되더라도 다른 영역으로 번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땅콩재배공(26)의 상부와 하부에 모판본체(21)와 연결되는 경계영역에 구비된 입출부(28)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땅콩모판(20)의 상부에 구비된 입출부(28)는 모판본체(21)의 상면과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고, 땅콩모판(20)의 하부에 구비된 입출부(28)는 모판본체(21)의 하면과 곡면을 형성한다. 이렇게 입출부(28)가 곡면을 형성하므로 재배가 완료된 새싹땅콩(10)을 땅콩재배공(26)으로부터 분리할 때 잔뿌리(a)가 모판본체(21)의 상면과 하면에 부딪쳐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입출부(28)의 곡면형상은 초기 땅콩모종이 발아하여 싹이 났을 때, 뿌리가 땅콩재배공(26)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한 개의 땅콩재배공(26)에 한 깨의 땅콩의 뿌리가 찾아가도록 유도하여 새싹땅콩(10)이 몰리지 않게 한다.
또한, 모판본체(21)가 일정 두께를 갖게 형성되므로 땅콩모종이 발아되어 뿌리가 생성될 때 땅콩모판(20)의 상부에 구비된 입출부(28)를 통해 땅콩재배공(26)으로 안내되고 다시 땅콩모판(20)의 하부에 구비된 입출부(28)로 안내되어 뿌리가 곧게 자랄 수 있게 유도된다.
한편, 땅콩재배공(26)이 형성된 모판본체(21)의 상부에는 분산돌기(29)가 구비된다. 분산돌기(29)는 땅콩재배공(26)의 주변을 따라 상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분산돌기(29)는 반구형상으로 모판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된다. 분산돌기(29)는 땅콩재배공(26)에 한 개의 땅콩모종만 위치하게 하여 새싹땅콩(10)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게 한다. 분산돌기(29)의 직경은 5~7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땅콩모종을 땅콩재배공(26)의 상부에 적재하면, 복수개의 분산돌기(29)가 땅콩모종의 주변을 감싸게 된다.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된 분산돌기(29)가 땅콩모종이 외부 충격에 의해 주변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 개의 땅콩재배공(26)에 한 개의 땅콩모종이 수용되도록 하여 하나의 땅콩재배공(26)에 여러개의 새싹땅콩(10)이 재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부(30)는 땅콩모판(20)이 복수로 적층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30)는, 지붕(31), 컨테이너몸체(32), 격벽(33), 전실(34), 재배실(35), 도어(36) 및 지붕지지프레임(37)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부(30)는 격벽(33)에 의해 구획되는 전실(34)과 재배실(35)을 포함하며, 재배실(35)의 내측에는 땅콩모판(20)을 복수로 적층시키는 모판적재대(40) 및 제어부(140)의 제어로 동작되며 새싹땅콩(10)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자외선램프(45)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30)는 새싹땅콩(10)이 재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컨테이너부(30)는 땅콩모판(20)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몸체(32)와, 컨테이너몸체(32)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31)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몸체(32)는 일정길이를 갖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내면에는 내장재가 구비된다.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에는 격벽(33)이 구비되어 컨테이너몸체(32)의 내측 공간을 전실(34)과 재배실(35)로 구분한다. 전실(34)에는 태양광발전부(50)의 구성들과 컨테이너난방부(60)의 구성들과 제어부(140)를 형성하는 제어판넬들과 전기설비를 포함한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재배실(35)에는 상부에 자외선램프(45)가 배치되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자외선램프(45)로 전원이 공급되어 재배실(35) 내부의 새싹땅콩(10)들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한다.
재배실(35)은 도어(36)가 닫힌 상태에서 어두운 암실 상태를 유지하며, 자외선램프(45)의 발광에 의해 인위적으로 자외선이 공급된다. 제어부(14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자외선램프(45)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자외선램프(45)가 켜진 상태에서 관리자가 도어(36)를 열고 전실(34)로 들어가면, 제어부(140)는 자외선램프(45)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관리자가 컨테이너몸체(32) 내부로 들어오면 자외선램프(45)가 꺼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어(36)에는 관리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출입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몸체(32)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문(미도시)과,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36)가 구비된다.
지붕(31)은 컨테이너몸체(32)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지붕(31)은 태양광발전부(5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태양광발전모듈(51)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지붕(31)과 지면 사이에는 지붕지지프레임(37)이 배치되어 지붕(31)을 지지한다.
컨테이너부(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부(30)에 구비된 각 재배실(35)은 환기시설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컨테이너부(30)의 외부에 있는 세균이 재배실(35)의 내측으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재배실(35)의 내측은 암실 상태이며, 새싹땅콩(10)을 재배하기 위한 적정 온도는 21℃~25℃이며, 습도는 이동살수부(80)의 동작으로 과포화상태이다.
새싹땅콩(10)의 재배기간은 8일 이내이며, 재배실(35)의 환기 시스템이 없는 상태에서 땅콩모판(2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땅콩모판(20)은 포판적재대에 5단 내지 8단으로 적층되는 다층 재배 구조를 갖는다. 또한 방수성 음향시스템이 컨테이너부(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새싹땅콩(10)에 설정된 소리나 음악을 전달할 수 있다.
재배실(35)의 내부에는 땅콩모판(20)이 적재되는 모판적재대(40)가 좌우로 배치된다. 모판적재대(40)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각 층마다 땅콩모판(20)이 배치된다.
자외선램프(45)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장치로, 일 실시에에 따른 자외선램프(45)는 엘이디를 사용하며, 기존 UV 수은램프에 비해 효율이 좋고 수명이 길며 친환경적이다. 자외선램프(45)는 자외선 파장이 280~315㎚인 UV-B 또는 자외선 파장이 200~280㎚인 UV-C를 사용한다.
태양광발전부(50)는 컨테이너부(30)의 지붕(31)에 설치되며, 태양열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태양광 발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부(50)는, 태양광발전모듈(51), 축전기(52), AC/DC 컨버터(53) 및 연결모듈(54)을 포함한다.
태양광발전부(50)는 태양광을 이용해 새싹땅콩(10)의 재배에 필요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한다. 태양광발전부(50)는 지붕(31)에 구비되어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모듈(51)과,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53)와, AC/DC 컨버터(53)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기(52)를 포함한다. 축전기(52)는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이동살수부(80)와 자외선램프(45)로 공급된다.
태양광발전모듈(51)은 지붕(31)에 구비된다. 태양광발전모듈(51)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축전기(52)에 저장하는 한편, 열에너지를 생성하여 컨테이너난방부(60)의 열교환부(64)에 공급한다. 태양광발전모듈(51)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한편 집열판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AC/DC 컨버터(53)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연결모듈(54)을 통해 축전기(52)로 저장된다. 연결모듈(54)은 AC/DC 컨버터(53)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설정된 양만큼 축전기(52)에 저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모듈(51)을 통하여 획득된 에너지의 일부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일부는 태양광집열판으로 열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태양광발전모듈(51)은 지붕(31)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태양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구조체에 결합될 수 있다.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기(52)에 저장되고, 축전기(52)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자외선 램프를 비롯한 컨테이너부(30) 내부의 다양한 전기기기들로 공급된다.
컨테이너난방부(60)는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부(3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난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난방부(60)는, 바닥판(61), 열교환부(64), 축열조(65), 전기히터(70), 온수유입관(71), 냉수배출관(72), 냉수공급관(73), 온수공급관(74), 제1개폐밸브(75), 제2개폐밸브(76) 및 온수바이패스관(78)을 포함한다.
바닥판(61)은 컨테이너부(30)의 바닥에 설치되며, 난방배관(62)을 구비하므로 컨테이너부(30)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기를 공급한다.
열교환부(64)는 난방배관(62)으로부터 배출된 냉수와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열교환되는 장치이다.
축열조(65)는 2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한 탱크가 내측에 구비되며, 열교환부(64)에서 온도가 상승된 온수를 저장한다. 온수공급관(74)은 축열조(65)와 난방배관(62)을 연결하는 관로이다.
전기히터(70)는 온수공급관(74)에서 분기된 관로에 연결되며, 온수의 온도가 제어부(140)에서 설정한 난방온도 이하인 경우에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 온수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난방부(60)는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이용해 난방수를 가열하여 바닥판(61)의 난방배관(62)으로 공급한다.
컨테이너난방부(60)는 컨테이너몸체(32)의 전실(34)에 구비된다. 열교환부(64)는 집열판 기능을 하는 태양광발전모듈(51)로부터 전달된 열을 이용해 냉수배출관(72)을 통하여 배출된 냉수를 가열한다.
온수유입관(71)은 바닥판(61)의 난방배관(62) 입구에 연결되며, 냉수배출관(72)은 난방배관(62)의 출구에 연결된다. 냉수배출관(72)을 통하여 나온 냉수는 축열조(65)의 일측 탱크로 유입된 후 다시 배출되어 열교환부(64)로 유입되고, 열교환부(64)에서 가열된 온수는 다시 축열조(65)의 타측 탱크로 유입된 후 온수공급관(74)을 통해 이동된다.
온수공급관(74)은 난방배관(62)의 온수유입관(71)과 연결된다. 한편, 온수공급관(74)의 경로상에는 온수바이패스관(78)이 분기된 후 다시 온수공급관(74)에 연결된다. 축열조(65)로부터 온수공급관(74)과 연결되는 영역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감지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제어부(140)가 난방을 위해 설정한 온수 기준온도 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140)는 온수를 온수공급관(74)을 통해 난방배관(62)으로 보내지 않고 온수바이패스관(78)으로 이동시킨다.
온수공급관(74)에는 온수의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제1개폐밸브(75)가 구비되고, 온수바이패스관(78)에는 온수의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제2개폐밸브(76)가 구비된다.
온수바이패스관(78)의 경로상에는 전기히터(70)가 구비되어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장마철과 같이 일조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열교환에 의해 축열조(65)에 의해 저장되는 온수의 온도가 난방에 충분하게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온수바이패스관(78)에는 전기히터(70)가 배치되어 온수의 온도를 설정된 난방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여기서, 전기히터(70)는 축전기(5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고, 축전기(52)에 저장된 전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용전원(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에 사용되는 모든 전기기기들은 1차적으로 축전기(52)에 저장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축전기(52)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 보조적으로 상용전원(A)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컨테이너몸체(32)의 바닥면에는 바닥판(61)이 적재된다. 바닥판(61)의 내부에는 온수가 이동되는 난방배관(62)이 삽입된다. 바닥판(61)은 난방배관(62)의 열을 컨테이너몸체(32) 내부로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바닥판(61)의 내부에 배치된 난방배관(62)에서 발생되는 열이 대류에 의해 컨테이너몸체(32)의 상부로 이동되며 컨테이너몸체(3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난방배관(62)의 온수유입관(71)을 통해 컨테이너난방부(60)에서 가열된 뜨거운 온수가 유입되고, 냉수배출관(72)을 통해 바닥판(61)을 이동하며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냉수가 배출되게 된다. 냉수배출관(72)으로 배출된 냉수는 다시 컨테이너난방부(60)의 열교환부(64)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난방부(60)는 보일러 방식 외에도 나노합금열선을 이용한 원적이선 난방을 구현할 수 도 있다. 나노합금열선을 활용한 복사열 난방으로 원적외선 난방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복사열은 전자파를 공간 전체에 빛의 속도로 퍼져나가게 하며, 이러한 전자파는 다시 공기나 공간 내 모든 물질에 흡수되고 그 물체 내부에서 진동을 일으켜 다시 열로 환원시키는 원리로 발생된다.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방식과 같으며 거대 공간을 균일하게 난방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나노합금열선이 바닥판(61)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몸체(32)의 격벽(33)을 포함한 벽체와 지붕(31)에도 각각 나노합금열선이 설치되어 컨테이너부(30)의 내측을 균일하게 난방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컨테이너부(30)의 하부와 측면과 지붕(31)의 난방 온도를 별도로 조절하여 새싹땅콩(10)의 재배에 최적화된 내부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노합금열선을 활용한 원적외선 난방을 사용하는 경우, 풍부한 원적외선 복사열로 컨테이너부(30)의 내측에 있는 곰팡이균이나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다.
나노합금열선을 활용한 원적외선 난방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정한 온도는 21℃ 내지 25℃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내지 25℃는 새싹땅콩(10)을 원적외선 난방으로 재배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이다.
이동살수부(80)는 컨테이너부(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컨테이너몸체(32)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새싹땅콩(10)이 자라도록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살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살수부(80)는, 이동레일(81), 이동블럭부(82), 물공급부(84), 블럭구동부(111), 수평관로부(112), 수직관로부(113), 물공급관(114) 및 노즐부재(116)를 포함하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컨테이너몸체(32) 내부를 이동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물공급부(84)의 제1살균부(85)와 저장탱크부(86)와 제2살균부(87)를 통해 물공급관(114)으로 이동되며, 물공급관(114)의 물은 이동블럭부(82)로 이동되어 수평관로부(112)와 수직관로부(113)를 따라 이동된 후 노즐부재(116)를 통해 외측으로 분사된다.
이동레일(81)은 컨테이너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동블럭부(82)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81)은 컨테이너부(30)의 상측에 위치하며, 블록구동부에 맞물리는 평기어가 일측에 형성된다.
이동블럭부(82)는 이동레일(8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살수노즐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블럭부(82)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며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럭구동부(111)를 포함한다.
물공급부(84)는 이동블럭부(82)로 용수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물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부(84)는, 용수를 공급받아 1차 살균을 하는 제1살균부(85)와, 제1살균부(85)를 통과한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86) 및 저장탱크부(86)를 통하여 공급된 용수를 2차 살균하여 이동블럭부(82)로 공급하는 제2살균부(87)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85)와 제2살균부(87)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용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럭구동부(111)는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블럭부(82)에 연결된 블럭구동부(111)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며, 이러한 회전기어는 이동레일(81)에 구비된 평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므로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블럭부(82)에는 수평방향으로 관로가 연장되어 수평관로부(112)를 형성하며, 이동블럭부(82)의 하측방향으로 관로가 연장되어 수직관로부(113)를 형성한다. 수평관로부(112)와 수직관로부(113)를 따라 복수개의 노즐부재(116)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수평관로부(112)와 수직관로부(113)는 물공급부(84)와 연결된다. 물공급부(84)는 지하수 또는 상수도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제1살균부(85)에서 1차 살균을 한 후에 저장탱크부(86)에 저장하며, 저장탱크부(86)에 저장된 살균된 물은 다시 제2살균부(87)를 통해 이동블럭부(82)로 이동되어 수평관로부(112)와 수직관로부(113)로 공급된다.
물공급관(114)은 노즐부재(116)로 물을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며, 물공급부(84)와 이동블럭부(82)를 연결한다.
수평관로부(112)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부재(116)는 하측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며, 수직관로부(113)에 설치된 노즐부재(116)는 좌우 양측으로 물을 분사한다.
제어부(140)는 일정 주기별로 저장탱크부(86)와 연결된 물공급펌프(미도시)를 구동하고, 물공급펌프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부(82)로 저장탱크부(86)의 물이 공급되고, 노즐부재(116)을 통해 새싹땅콩(10)을 향하여 물이 분사된다.
이 때, 노즐부재(116)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땅콩모판(20)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좌우 수평방향으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며 컨테이너몸체(32) 전체의 땅콩모판(20)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저장탱크부(86)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살균수는 저장탱크부(86)를 살균하며 저장된다. 그리고, 2차살균부를 통과하며 살균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한 물은 노즐부재(116)를 통해 분사된다.
이로 인하여 각 재배실(35)에 살균된 버블수가 분사되어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살수부(80)의 배관시설은 각 재배실(35)로 순차적으로 살수 할 수 있도록 설비한다. 즉 한번에 복수의 재배실(35)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시차를 두고 재배실(35) 별로 물을 공급하므로, 한 개의 펌프 용량으로도 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설치비와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물을 사용하므로 살수 후 나온 배수를 재활용 할 수 있다.
제1살균부(85)와 제2살균부(87)는 동일한 장치로, 제1살균부(85)에 대한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부(85)는 판 형상의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의 사이에서 수산기가 발생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는 복수로 구비되며,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가 교대로 적층되어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공간을 확장시킨다. 제1살균부(85)는 양전극부(91), 음전극부(93), 전극봉(96), 연결부재(97), 절연부재(98), 스페이서(99), 하우징부(100), 커넥터(103), 케이스부(104), 가압캡(105) 및 전원캡(107)을 포함한다.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의 전원입력단자(92,95)가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에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자(92,95)가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극봉(96)은 한 쌍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에 전원을 인가한다. 도체 재질로 성형된 연결부재(97)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극봉(96)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전극봉(96)으로 전달된 전원은 연결부재(97)를 통해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로 각각 전달된다.
절연부재(98)는 절연체로 성형되며 연결부재(97)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를 상호 이격시킨다. 절연부재(98)는 연결부재(97)의 양측에 위치하며, 연결부재(97)와 함께 양전극부(91)의 전원입력단자(92)와 음전극부(93)의 전원입력단자(95)에 각각 삽입된다. 연결부재(97)의 두께는 절연부재(98)의 두께보다 얇으며, 절연부재(98)의 가운데에 양전극부(91) 또는 음전극부(93)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가 서로 교대로 적층된 모듈을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96)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측의 전극봉(96)과 연결된 연결부재(97)를 통해 양전극부(91)가 전기를 공급받으면, 타측의 전극봉(96)과 연결된 연결부재(97)가 양전극부(91) 다음에 적층된 음전극부(93)에 전기를 공급한다.
연결부재(97)와 마주하는 전극봉(96)에는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99)가 설치된다. 스페이서(99)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부재(98)로 성형된다. 스페이서(99)는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하우징부(100)는 복수로 적층된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의 외측을 감싸며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몸체(101)와 하우징커버(102)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01)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몸체(101)의 내측에는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가 위치한다. 하우징몸체(101)의 양측에는 판 형상의 하우징커버(102)가 위치하며, 하우징커버(102)의 외측에는 전극봉(96)에 연결되는 도체 재질의 커넥터(103)가 구비된다.
하우징몸체(101)와 하우징커버(10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는 물이 이동되기 위한 구멍이 구비된다. 커넥터(103)는 하우징커버(102)의 외측에서 전극봉(96)의 양단에 나사 체결되므로 커넥터(103)와 하우징부(100)와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살균부(85)의 오랜 사용으로 양전극부(91)와 음전극부(93)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모듈로 조립된 하우징부(100)를 교체하는 작업만으로 음전극부(93)와 양전극부(91)를 교체할 수 있다.
케이스부(104)는 하우징부(100)가 내측에 고정되며 하우징부(100)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부(104)의 양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캡(105)은 케이스부(104)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0)를 케이스부(104)의 타측으로 가압한다. 가압캡(105)의 내측에는 가압봉(106)이 구비된다. 가압봉(106)은 가압캡(105)에서 돌출되어 케이스부(10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우징부(100)의 측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전원캡(107)의 전원봉(108)과 커넥터(103)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봉(106)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설정된 힘으로 하우징부(100)를 지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전원캡(107)은 케이스부(104)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하우징부(100)의 외측에 구비된 커넥터(103)에 연결되어 전극봉(96)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캡(107)의 내측에는 한 쌍의 전극봉(96)과 대응하는 한 쌍의 전원봉(108)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전선(109)을 통하여 공급된 전원은 전극봉(96)을 통해 커넥터(103)와 전극봉(96)으로 전달된다.
케이스부(104)의 내측에는 하우징부(100)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며, 케이스부(10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부(100)와 케이스부(104)의 측면에 결합되는 전원캡(107)의 측면에는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103)와 전원캡(107)의 전원봉(108)은 방향성을 가지며 조립된 후,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서로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부(104)의 양측에는 물이 들어가고 나가는 통로가 형성된다.
전원이 제1살균부(85)로 공급된 경우, 제1살균부(85)에서는 전극간 방전을 유도하여 OH라디칼과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살균작용을 한다.
OH라디칼의 살균원리는, OH-기를 생성하며, OH-가 세균의 H+와 결합된 후,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 후 OH-는 다시 물로 환원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은 50미크론 이하의 미세기포인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며, 이러한 미세기포인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오염물질의 응집을 유도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의 수면부상을 안내한다. 마이크로 버블은 그 자체가 마이너스 전하를 띄고 있으며, 수중에 떠다니는 플러스 전하를 띤 미세한 이물질에 부착되어 물속에서 서서히 상승하여 수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물의 압력에 의해 소멸하는 현상인 자기압괴(自己壓壞) 현상이 발생하여 오염물질의 산화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이동살균부(120)는 자외선램프(45)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장치로, 이동살수부(80)의 수평관로부(112)와 수직관로부(113)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이동살균부(120)는 UV램프를 사용하며, 제어부(140)의 제어로 동작된다. 이동살균부(120)는 간헐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거나, 이동살수부(80)를 통한 살수 전 조사가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모판적재대(40)의 하부에는 진동부(130)가 설치된다. 진동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이동살수부(80)의 작동 전에 모판적재대(40)를 진동시킨다. 따라서 모판적재대(40)에 설치된 땅콩모판(20)을 진동시켜 새싹땅콩(10)에 붙은 이물질을 떨어트리며, 새싹땅콩(10)의 재배를 더욱 원활하게 유도한다.
제어부(140)는 태양광발전부(5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난방부(60)와 이동살수부(80) 및 새싹땅콩(10)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컨테이너부(3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 또는 열에너지의 부족에 의해 난방배관(62)으로 공급되는 온수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 상용전원을 전기히터(7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관리자가 설정한 구동조건에 기초하여 컨테이너부(30) 내부에서 새싹땅콩(10)이 재배되도록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계(150)와 습도계(16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온도와 습도를 기초로 자외선램프(45)와 이동살수부(80) 및 컨테이너난방부(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관리자의 관리모니터로 현재 온도, 습도, 전기공급상황, 카메라(170)에서 촬영된 내부영상을 전송한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컨테이너몸체(32) 내부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제어부(140)에 접속하여 온도, 습도, 살수주기 등의 재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에는 8일 이내의 새싹땅콩(10) 재배시 모든 온도와 습도 등의 재배조건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새싹땅콩(10)의 재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새싹땅콩(10)의 재배조건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복수로 구비된 각 재배실(35)은 자체 난방수 온도제어 시스템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재배 날자별로 재배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에는 온도계(150)와, 습도계(160) 및 카메라(170)가 설치된다. 온도계(150)와 습도계(160)는 각각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온도계(150)와 습도계(160)에서 측정된 현재 온도와 습도를 기준으로 컨테이너난방부(60)와 이동살수부(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온도계(150), 습도계(160) 및 카메라(170)를 구동하는 전원은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전원이 사용된다.
카메라(170)는 컨테이너몸체(32)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여 제어부(140)와, 관리모니터(미도시)로 영상을 전송한다. 관리자는 관리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 상황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를 이용한 새싹땅콩(10)의 재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를 이용한 새싹땅콩(10) 재배방법은, 새싹땅콩(10)의 종자를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살균수에 침지하는 단계(S10)를 가진 후, 새싹땅콩(10)의 종자를 건져서 땅콩모판(20)에 식재하는 단계를 갖는다.(S20)
그리고, 땅콩모판(20)을 컨테이너부(30)의 내부에 구비된 모판적재대(40)에 적층하는 단계를 갖는다.
그리고 컨테이너부(30)의 내부를 암실 상태로 한 후 제어부(140)의 제어로 자외선램프(45)를 동작시켜 새싹땅콩(10)에 자외선을 공급하는 단계를 갖는다.(S30)
그리고 제어부(140)가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컨테이너난방부(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테이너부(3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며, 이동살수부(8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살수 시간과 간격을 제어하여 새싹땅콩(10)을 재배하기 위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갖는다.(S40) 이동살수부(80)를 통하여 용수가 살수되는 단계에서, 이동살수부(80)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수산기에 의해 살균되는 용수를 이용하며, 수산기 발생시 생성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용수와 함께 새싹땅콩(10)으로 분사되므로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다.
컨테이너난방부(60)는, 온수를 순환시켜 컨테이너부(3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과, 나노합금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컨테이너부(3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땅콩모판(20)에서 수확한 새싹땅콩(10)을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S50)를 가지며, 세척된 새싹땅콩(10)을 출하하는 단계를 갖는다.(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를 이용한 새싹땅콩(10)의 재배방법은, 이동살수부(80)에 이동살균부(120)를 설치하여, 이동살수부(80)의 살수 전에 땅콩모판(20)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정화와 살균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므로 농약 살포 없이도 새싹땅콩(10)의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판적재대(40)의 하부에 진동부(130)를 설치하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진동부(130)가 동작되어 모판적재대(40)에 적재된 땅콩모판(20)을 설정된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므로 새싹땅콩(10)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새싹땅콩(1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땅콩용 재배장치(1)의 동작을 재배 단계별로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새싹땅콩(10) 재배를 위해 땅콩모판(20)을 준비한다. 땅콩모판(20)에 형성된 땅콩재배공(26)에 땅콩모종을 각각 배치한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컨테이너몸체(32) 내부에 배치된 모판적재대(40)에 적재한다.
작업자는 모판본체(21)의 땅콩재배공(26)의 상부에 땅콩모종을 배치한다. 이 때, 땅콩재배공(26)의 직경은 모종으로 사용되는 새싹땅콩(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새싹땅콩(10) 한개는 복수 개의 땅콩재배공(26) 상부에 적재된다. 이 때, 땅콩재배공(26)을 둘러싸게 배치된 분산돌기(29)가 새싹땅콩(10)의 위치를 지지한다.
컨테이너몸체(32)의 내부는 도어(36)가 닫혀지면 어두운 상태로 유지된다. 지붕(31)에 구비된 태양광발전부(50)는 낮시간 동안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한다. 태양광발전모듈(5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기(52)에 저장되고, 열에너지는 열교환부(64)로 공급된다.
제어부(140)는 새싹땅콩(10)이 발아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몸체(32) 내부를 난방한다. 온도계(150)가 관리자가 설정한 난방온도에 도달하도록 컨테이너난방부(60)를 구동한다. 난방배관(62)을 순환하는 냉수는 냉수배출관(72)과 냉수공급관(73)을 통해 축열조(65)로 이동되고, 다시 열교환부(64)로 이동하여 태양광발전부(50)에서 생성된 열과 교환한다.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수는 축열조(65)에 저장된다.
여기서, 축열조(65)에서는 냉수공급관(73)을 통해 유입된 냉수와 열교환부(64)를 경유한 온수가 서로 독립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열의 손실을 막는다.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수는 온수공급관(74)을 통해 온수유입관(71)으로 유입되고, 바닥판(61)을 따라 배치된 난방배관(62)을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몸체(32) 내부를 난방한다. 난방배관(62)을 따라 이동되며 온도가 하강된 냉수는 냉수배출관(72)을 통해 다시 축열조(65)로 이동된다.
한편, 태양광의 일조량이 부족하여 열교환부(64)에서 열교환된 온수의 온도가 난방에 충분한 온도로 데워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제1개폐밸브(75)와 제2개폐밸브(76)를 조작하여 온수가 전기히터(70)를 통해 2차적으로 가열된 후 난방배관(62)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 때, 전기히터(70)는 축전기(52)에 저장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컨테이너몸체(32) 내부가 정해진 온도로 난방되는 동안, 제어부(140)는 새싹땅콩(10)으로 정해진 량의 자외선이 비춰지도록 정해진 시간 주기별로 자외선램프(45)로 축전지(240)의 전원을 공급한다.
새싹땅콩(10)이 자라는 동안 대략 6-8일의 기간동안 컨테이너몸체(32)는 도어(36)가 닫혀진 상태로 어둡게 유지되고 제어부(140)는 하루에 정해진 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자외선을 비춘다.
한편, 제어부(140)는 이동살수부(80)를 구동하여 새싹땅콩(10)으로 물을 공급한다. 제어부(140)는 정해진 주기별로 물을 공급하거나, 습도계(160)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낮을 경우 물을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새싹땅콩(10)에 공급된 후 땅콩재배공(26)과 물줄기홈(27)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하부에 있는 땅콩모판(20)에 공급된다.
이로 의해 전체 땅콩모판(20)에 개별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상측에 있는 땅콩모판(20)에만 물을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하부까지 물이 공급되어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되어 새싹땅콩(10)에서 발아가 되어 뿌리(a)가 생성되면 상측 입출부(28)의 곡면형상에 의해 유도되어 땅콩재배공(26)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점점 뿌리(a)가 길어지면서 땅콩재배공(26)의 하부로 연장된다.
제어부(140)는 블럭구동부(111)로 전원을 공급하고, 물저장조(159)의 물공급펌프(미도시)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이동블럭부(82)가 이동레일(81)을 따라 이동되고, 물공급부(84)를 통해 물이 노즐부재(116)로 공급된다. 노즐부재(116)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땅콩모판(20)의 새싹땅콩(10)들로 공급된다.
이렇게 규칙적으로 물과 빛이 공급되면 새싹땅콩(10)이 성장하게 된다. 땅콩모판(20)의 땅콩재배공(26)에 배치된 땅콩모종은 적재된 후 발아하여 하부로는 뿌리(a)가 연장되고 상부로는 배축(b)과 싹(c)이 재배된다.
관리자는 컨테이너부(30)와 이격된 장소에서 카메라(170)를 통해 전송되는 내부 화면을 모니터링하고 새싹땅콩(10)의 출하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70)를 통해 전송되는 화면을 통해 관리자 없이도 컨테이너 재배시스템(1)이 원활히 잘 구동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새싹땅콩(10)의 재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새싹땅콩(10)을 각 땅콩재배공(26)으로부터 분리한다. 작업자가 힘을 줘 새싹땅콩(1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뿌리(a)는 하측 입출부(28)와 땅콩재배공(26) 및 상측 입출부(28)를 경유하게 된다. 이 때, 입출부(28)와 땅콩재배공(26)이 모두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뿌리(a)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이동살수부(80)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땅콩모판(20)으로 물을 분사하므로 관리자의 인력이 전혀 투입되지 않고 전자동으로 새싹땅콩(10)을 재배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새싹땅콩(10)의 재배에 필요한 전기와 열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므로 새싹땅콩(10)의 재배에 소요되는 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새싹땅콩(10) 컨테이너 재배시스템은 온도, 습도, 전기공급, 실시간 내부상황을 관리자가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부(30)의 내측에서 새싹땅콩(10)의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새싹땅콩(10)의 종자를 플라즈마로 살균된 살균수에 침지하며,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용수를 새싹땅콩(10)으로 분사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므로 무농약 재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땅콩모판(20)을 상하로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어 재배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땅콩재배공(26)의 주변으로 물줄기홈(27)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로 물빠짐이 좋다. 특히, 땅콩재배공(26) 내부에 뿌리가 꽉차더라도 물빠짐에 영향을 주지 않고 모판본체(21) 내부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부까지 물이 공급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배수량이 줄어들어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땅콩재배공(26) 주변으로 분산돌기(29)가 형성되어 땅콩모종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새싹땅콩(10)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10: 새싹땅콩 a: 뿌리 b: 배축 c: 싹
20: 땅콩모판 21: 모판본체 22: 테두리부재 23: 삽입턱 24: 삽입홈 25: 지지레그 26: 땅콩재배공 27: 물줄기홈 28: 입출부 29: 분산돌기
30: 컨테이너부 31: 지붕 32: 컨테이너몸체 33: 격벽 34: 전실 35: 재배실 36: 도어 37: 지붕지지프레임
40: 모판적재대 45: 자외선램프
50: 태양광발전부 51: 태양광발전모듈 52: 축전기 53: AC/DC 컨버터 54: 연결모듈
60: 컨테이너난방부 61: 바닥판 62: 난방배관 64: 열교환부 65: 축열조 70: 전기히터 71: 온수유입관 72: 냉수배출관 73: 냉수공급관 74: 온수공급관 75: 제1개폐밸브 76: 제2개폐밸브 78: 온수바이패스관
80: 이동살수부 81: 이동레일 82: 이동블럭부 84: 물공급부 85: 제1살균부 86: 저장탱크부 87: 제2살균부 91: 양전극부 92: 전원입력단자 93: 음전극부 95: 전원입력단자 96: 전극봉 97: 연결부재 98: 절연부재 99: 스페이서 100: 하우징부 101: 하우징몸체 102: 하우징커버 103: 커넥터 104: 케이스부 105: 가압캡 106: 가압봉 107: 전원캡 108: 전원봉 109: 전선 111: 블럭구동부 112: 수평관로부 113: 수직관로부 114: 물공급관 116: 노즐부재
120: 이동살균부 130: 진동부
140: 제어부 150: 온도계 160: 습도계 170: 카메라

Claims (12)

  1. 새싹땅콩이 재배되는 땅콩모판;
    상기 땅콩모판이 복수로 적층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부;
    상기 컨테이너부의 지붕에 설치되며, 태양열로부터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
    상기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컨테이너난방부;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땅콩모판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이동살수부; 및
    상기 태양광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난방부와 상기 이동살수부 및 새싹땅콩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전실과 재배실;을 포함하며,
    상기 재배실의 내측에는, 상기 땅콩모판을 복수로 적층시키는 모판적재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동작되며, 새싹땅콩을 향하여 자외선을 공급하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부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이동살수부와 상기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난방부는, 상기 컨테이너부의 바닥에 설치되며 난방배관을 구비하는 바닥판;
    상기 난방배관으로부터 배출된 냉수와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열교환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온도가 상승된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
    상기 축열조와 상기 난방배관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및
    상기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된 관로에 연결되며, 온수의 온도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한 난방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 온수를 가열시키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 또는 열에너지의 부족에 의해 상기 난방배관으로 공급되는 온수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 상용전원을 상기 전기히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살수부는, 상기 컨테이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살수노즐을 구비하는 이동블럭부; 및
    상기 이동블럭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럭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이동블럭부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럭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용수를 공급받아 1차 살균을 하는 제1살균부;
    상기 제1살균부를 통과한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 및
    상기 저장탱크부를 통하여 공급된 용수를 2차 살균하여 상기 이동블럭부로 공급하는 제2살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살균부와 상기 제2살균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용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8. 새싹땅콩의 종자를 플라즈마 방식으로 살균된 살균수에 침지한 후 건져서 땅콩모판에 식재하는 단계;
    상기 땅콩모판을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구비된 모판적재대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를 암실 상태로 한 후 자외선램프를 동작시켜 새싹땅콩에 자외선을 공급하는 단계;
    제어부가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컨테이너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며, 이동살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살수 시간과 간격을 제어하여 새싹땅콩을 재배하기 위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땅콩모판에서 수확한 새싹땅콩을 초음파 세척하여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난방부는, 온수를 순환시켜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과, 나노합금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살수부에 이동살균부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살수부의 살수 전에 상기 땅콩모판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정화와 살균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판적재대의 하부에 진동부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동부가 동작되어 상기 모판적재대에 적재된 상기 땅콩모판을 설정된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살수부를 통하여 용수가 살수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살수부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수산기에 의해 살균되는 용수를 이용하며, 수산기 발생시 생성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용수와 함께 새싹땅콩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땅콩용 재배장치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KR1020170062675A 2017-05-22 2017-05-22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KR101925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75A KR101925213B1 (ko) 2017-05-22 2017-05-22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PCT/KR2018/005217 WO2018216924A2 (ko) 2017-05-22 2018-05-04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75A KR101925213B1 (ko) 2017-05-22 2017-05-22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74A true KR20180127674A (ko) 2018-11-30
KR101925213B1 KR101925213B1 (ko) 2018-12-04

Family

ID=6439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75A KR101925213B1 (ko) 2017-05-22 2017-05-22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5213B1 (ko)
WO (1) WO2018216924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66B1 (ko) * 2019-03-19 2020-09-10 썬더에코 주식회사 썬더볼트방전과 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한 농산물살균겸용재배시스템
KR20210085537A (ko) * 2019-12-30 2021-07-08 김태선 새싹 인삼주의 제조방법
KR20220075871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식품연구원 식물의 성장 및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220092076A (ko)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아쿠아 플라즈마 공법을 이용하여 유해균을 억제하는 수경재배 장치
KR102556251B1 (ko) * 2022-12-05 2023-07-17 황지원 컨테이너를 활용한 청보리 수경재배의 자동화방법 및 그 장치
KR102647914B1 (ko) * 2023-04-13 2024-03-13 박희정 콩나물 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48B1 (ko) 2020-03-01 2020-08-20 주식회사 키움바이오 새싹땅콩 수경재배 장치
KR102159475B1 (ko) * 2020-07-24 2020-09-23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아쿠아 플라즈마 공법에 의하여 영양성분이 증가하는 수경재배 장치
CN115669402B (zh) * 2022-09-16 2023-06-20 北京林业大学 高温恢复百合远缘杂种育性的方法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043A (ko) * 2011-04-12 2012-10-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스형 식물재배장치
KR20140143562A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탑솔 조립식 비닐하우스 구조
KR101691191B1 (ko) * 2014-10-14 2016-12-30 이미현 땅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땅콩나물
KR20160085437A (ko) * 2015-01-08 2016-07-18 (주)창신농공 양액순환식 관수제어시스템
KR101591942B1 (ko) * 2015-08-06 2016-02-04 경일기계주식회사 버섯 재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66B1 (ko) * 2019-03-19 2020-09-10 썬더에코 주식회사 썬더볼트방전과 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한 농산물살균겸용재배시스템
KR20210085537A (ko) * 2019-12-30 2021-07-08 김태선 새싹 인삼주의 제조방법
KR20220075871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식품연구원 식물의 성장 및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220092076A (ko)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아쿠아 플라즈마 공법을 이용하여 유해균을 억제하는 수경재배 장치
KR102556251B1 (ko) * 2022-12-05 2023-07-17 황지원 컨테이너를 활용한 청보리 수경재배의 자동화방법 및 그 장치
KR102647914B1 (ko) * 2023-04-13 2024-03-13 박희정 콩나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213B1 (ko) 2018-12-04
WO2018216924A2 (ko) 2018-11-29
WO2018216924A3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213B1 (ko) 새싹땅콩용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싹땅콩 재배방법
CN203590790U (zh) 一种一体式智能控制植物培育设备
KR101670059B1 (ko) 식물재배장치
KR101625647B1 (ko)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
CN105104158A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CN104521372A (zh) 一种种子育芽水培装置
CN205018017U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KR101845132B1 (ko) 식물 공중 재배장치
KR102444052B1 (ko) 약용작물 새싹채소 생산용 다단 재배시스템
KR101354706B1 (ko) 가정용 채소류 재배장치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CN108738935A (zh) 一种装备化多功能光照种植工厂
CN208509729U (zh) 装备化多功能光照种植工厂
CN206061615U (zh) 一种滇重楼种苗培育系统
KR200495816Y1 (ko)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KR20140028706A (ko) 현미순 재배장치
JP2016086672A (ja) 植物育成装置、植物設置部材及び植物育成方法
KR20170044787A (ko) 실험용 재배장치
CN205727324U (zh) 农作物育苗种植一体机
CN203167711U (zh) 栽植设备
CN112913530A (zh) 集成化智能种植装置
KR102674751B1 (ko) 이끼생육을 위한 습도유지 공기질개선장치겸용 이끼재배기
KR20210128583A (ko) 지능형 특수작물 재배기
CN216775731U (zh) 一种芽苗培育装置
CN220799015U (zh) 一种用于重楼种子发芽的培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