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933A -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933A
KR20180126933A KR1020170062070A KR20170062070A KR20180126933A KR 20180126933 A KR20180126933 A KR 20180126933A KR 1020170062070 A KR1020170062070 A KR 1020170062070A KR 20170062070 A KR20170062070 A KR 20170062070A KR 20180126933 A KR20180126933 A KR 2018012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power
current signal
digita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성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933A/ko
Publication of KR2018012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센싱하는 전압 및 전류 센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C,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상기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C,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는 피크 감지부, 상기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및 상기 제 1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 및 상기 제 2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또는 부하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력 측정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또는 부하(Load, 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압 및 전류 센서(10, 20), 제 1 및 제 2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30, 40), 전력 산출부(50)를 포함한다.
전압 및 전류 센서(10, 20)는 부하(2)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제 1 및 제 2 ADC(30, 40)는 센싱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력 산출부(5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산출한다.
이때 전력 산출부(50)에 입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 v(n)과 디지털 전류 신호 i(n)은 다음 수학식 1 및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수학식 1 및 2에서 V는 전압의 실효값, fL은 전압의 라인 주파수(50Hz 또는 60Hz), fS는 샘플링 주파수, zv(n)은 전압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 n은 샘플 인덱스, I는 전류의 실효값, θ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그리고 zi(n)은 전류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디지털 전압 신호 v(n)과 디지털 전류 신호 i(n)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전력 산출부(50)에 의해 산출된 유효 전력 P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이때, 수학식 3에서 N은 유효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샘플 수를 의미하고,
Figure pat00004
는 전압 및 전류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으로 인해 유효 전력에 포함된 잡음에 대한 전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력 측정 장치(1)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은 220V 또는 110V의 고정된 크기를 갖지만, 입력 전류는 부하의 전력 소비량에 따라 크기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전압 센서(10)를 통해 센싱되는 전압 신호의 크기를 제 1 ADC(30)의 최대 입력 범위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여 제 1 ADC(30)에 입력시키면 전압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전류 센서(20)를 통해 센싱되는 전류 신호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2)의 전력 소비량이 작은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게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기술은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2)의 전력 소비량이 작을 경우, 전류 신호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으로 인하여 전력의 추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722호(발명의 명칭: 전력 측정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 전류 및 공급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공급 전류 및 공급 전압에 의한 기준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천이하며, 중간 주파수를 갖는 상기 공급 전류 및 상기 공급 전압 각각을 입력받아 디지털값을 가지는 디지털 전류값 및 디지털 전압값을 생성 및 이용하여 전력량을 연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압 및 전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 및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잡음(Quantization Noise)으로 인한 전력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센싱하는 전압 및 전류 센서,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C,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상기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C,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는 피크 감지부, 상기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및 상기 제 1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 및 상기 제 2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한다.
산기 산출된 전력에 대하여 상기 이득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는 이득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득 보정부는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에 대한 평균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을 입력 받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누어 최종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전력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눔에 따라, 상기 최종 전력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상기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은 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전류 측정 방법은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단계; 상기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전류 측정 방법은 상기 이득에 대한 평균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누어 최종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력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눔에 따라, 상기 최종 전력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상기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비 전력이 작은 부하에 대해서도 전류 신호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바, 전력 추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득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00)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작은 경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잡음에 의해 전력 추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및 전류 센서(110, 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 및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잡음(Quantization Noise)으로 인한 전력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득 보정부(19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는 전압 센서(110), 전류 센서(120), 제 1 ADC(130), 이득 조정부(140), 제 2 ADC(150), 피크 감지부(160), 이득 산출부(170) 및 전력 산출부(180)를 포함한다.
전압 센서(110) 및 전류 센서(120)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각각 센싱한다.
제 1 ADC(130)는 전압 센서(110)의 출력 신호인 아날로그 전압 신호 v(t)를 디지털 전압 신호 v(n)으로 변환한다.
이득 조정부(140)는 전류 센서(120)의 출력 신호인 아날로그 전류 신호 i(t)의 이득을 가변 조정한다. 이러한 이득 조정부(140)는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기(programmable gain amplifier, PGA)일 수 있다.
제 2 ADC(150)는 이득 조정부(140)에 의해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수학식 4와 같은 디지털 전류 신호 iPGA(n)으로 변환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5
피크 감지부(160)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 iPGA(n)의 피크값을 감지하고, 이득 산출부(170)는 감지된 디지털 전류 신호 iPGA(n)의 피크값에 기초하여 이득 조정부(140)에 적용될 이득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는 디지털 전류 신호 iPGA(n)의 피크값에 기초하여 이득이 산출되어 적용되므로, 전류 센서(120)에 의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류 신호 i(t)의 이득이 가변 조정되게 된다.
전력 산출부(180)는 제 1 ADC(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 v(n)과 제 2 ADC(1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 iPGA(n)에 기초하여 수학식 5와 같은 전력 PPGA를 산출한다. 이때, 전력 산출부(180)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은 유효 전력, 무효 전력, 피상 전력 등일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6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는 전력 산출부(180)에 의해 산출된 전력에 대하여 이득 조정부(140)에 적용된 이득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는 이득 보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득 보정부(190)는 평균 이득 산출부(191) 및 나눗셈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평균 이득 산출부(191)는 이득 조정부(140)에 적용된 이득 G(n)을 입력받아 이에 대한 평균 이득 G를 산출한다. 이때, 평균 이득 산출부(191)는 도 3과 같이 누적기와 나눗셈기로 구현될 수 있다.
나눗셈부(193)는 전력 산출부(180)에 의해 산출된 전력 PPGA를 입력받아 평균 이득 산출부(191)에 의해 산출된 평균 이득 G로 나누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수학식 6과 같은 최종 전력 P가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7
한편, 수학식 4 내지 6에서 n은 샘플 인덱스, I는 전류의 실효값, G(n)은 이득 조정부에 적용된 이득, fL은 전압의 라인 주파수(50Hz 또는 60Hz), fS는 샘플링 주파수, θ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zi(n)은 전류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을 의미한다.
또한, N은 유효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샘플 수, G는 이득 조정부에 적용된 평균 이득, 그리고
Figure pat00008
는 전압 및 전류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효 전력에 포함된 잡음에 대한 전력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에 의해 산출된 전력은 수학식 3과 같이
Figure pat00009
만큼의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에 의해 산출된 최종 전력은, 전력을 평균 이득 G로 나눔에 따라, 최종 전력 P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되어
Figure pat00010
만큼의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이득 조정부(140)의 이득 G를 1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에 의해 산출된 최종 전력 P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전력 추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전자기기 또는 부하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전압 및 전류 센서(110, 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전력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장치(100)에서의 전력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방법은 먼저,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110, 120)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수신한다(S110).
다음으로, 이득 조정부(140)를 통해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고(S120),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한다(S130).
다음으로,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고(S140),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이득 조정기에 적용될 이득을 산출한다(S150).
다음으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며(S160),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와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전력을 산출한다(S170). 이때 S160 단계는 S110 단계 이후 어느 단계에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방법은 S170 단계에서 산출된 전력에 대하여 이득을 보정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득 조정부(140)에 적용된 이득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이득에 대한 평균 이득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을 입력받아 평균 이득으로 나누어 최종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을 평균 이득으로 나눔에 따라, 최종 전력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8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3에서의 전력 측정 장치(100)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의 전력 측정 방법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으로 조정함으로써, 전력 산출시 양자화 잡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AC 라인 b: 중립 라인
1, 100: 전력 측정 장치 2: 전자 기기
10, 110: 전압 센서 20, 120: 전류 센서
30, 130: 제 1 ADC 40, 150: 제 2 ADC
50, 180: 전력 산출부 140: 이득 조정부
160: 피크 감지부 170: 이득 산출부
190: 이득 보정부

Claims (7)

  1.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센싱하는 전압 및 전류 센서,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C,
    상기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상기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C,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는 피크 감지부,
    상기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및
    상기 제 1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 및 상기 제 2 AD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하는 전력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산기 산출된 전력에 대하여 상기 이득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는 이득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보정부는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에 대한 평균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력을 입력 받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누어 최종 전력을 산출하는 것인 전력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눔에 따라, 상기 최종 전력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상기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되는 것인 전력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정부의 이득은 1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인 전력 측정 장치.
  6. 전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신호 및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단계;
    상기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디지털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의 피크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에 대한 평균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누어 최종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력을 상기 평균 이득으로 나눔에 따라, 상기 최종 전력에 포함된 양자화 잡음은 상기 평균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되는 것인 전력 측정 방법.
KR1020170062070A 2017-05-19 2017-05-19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26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70A KR20180126933A (ko) 2017-05-19 2017-05-19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70A KR20180126933A (ko) 2017-05-19 2017-05-19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933A true KR20180126933A (ko) 2018-11-28

Family

ID=6456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070A KR20180126933A (ko) 2017-05-19 2017-05-19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9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9487A1 (en) * 2020-01-31 2021-08-04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power monitoring
US11397623B2 (en) 2020-03-19 2022-07-26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load sharing
US11435426B2 (en) 2020-01-09 2022-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rent measurement in power-gated microprocess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5426B2 (en) 2020-01-09 2022-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rent measurement in power-gated microprocessors
EP3859487A1 (en) * 2020-01-31 2021-08-04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power monitoring
US11340677B2 (en) 2020-01-31 2022-05-24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power monitoring
US11397623B2 (en) 2020-03-19 2022-07-26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load sha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9958B1 (en) Segmented digital-to-time converter calibration
CN107003338B (zh) 在电流测量期间借助于参考电流校准电流传感器
KR20180126933A (ko) 전자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GB2506458A (e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for an analogue to digital converter
US10158336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US9531977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sensor
CN108700618B (zh) 多通道系统的串扰校准
CN113446925B (zh) 用于位置感测的数字相位跟踪滤波器
US9331707B1 (en) Programmable temperature compensated voltage generator
US20170207937A1 (en) Automatic gain compression detection and gain control for analog front-end with nonlinear distortion
JP2009521147A (ja) シグマ−デルタ変換器の入力信号レベルの調節
US20080027667A1 (en) Sensor calibration using selectively disconnected temperature
US20090240456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 Delay Element
US20190068212A1 (en) Method for improving feedback circuit performance
KR101040589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력량 보정방법
US11035902B2 (en) Advanced fuel gauge
KR101719251B1 (ko)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85283A (ko)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의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973411B1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온도 보상방법
JP2004150825A (ja) スペクトル分析装置およびスペクトル分析方法
JP2011254124A (ja) 歪補償装置
KR100417114B1 (ko) 고주파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1033278B (zh) 用于改善均方根(rms)测量的系统和方法
CN114217266B (zh) 基于天线数据时域拟合的降低信道误差的处理方法
KR101612739B1 (ko) 가변 해상도를 갖는 시간-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