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763A -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63A
KR20180126763A KR1020170061565A KR20170061565A KR20180126763A KR 20180126763 A KR20180126763 A KR 20180126763A KR 1020170061565 A KR1020170061565 A KR 1020170061565A KR 20170061565 A KR20170061565 A KR 20170061565A KR 20180126763 A KR20180126763 A KR 2018012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back beam
bumper back
mounting memb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변계웅
최현진
강용한
김희준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6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763A/ko
Publication of KR2018012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0Riveting or s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1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의 강성을 보강하는 차량의 범퍼 백빔 제조방법으로서,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의 보강부위로 상기 제2 스테이를 접합시키는 단계와, 제2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스테이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BUMPER BACK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저속 충돌 사고 시 차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범퍼 백빔은 차량의 충돌시 탄성적 변형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완충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범퍼 백빔은 플라스틱과 금속으로 개발된다. 금속 소재로 제작된 백빔의 경우 높은 강성 및 강도는 확보할 수 있으나, 차체 중량이 증가되어 차량의 구동 성능 저하 및 연비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와 달리, 복합소재(예: 섬유강화 복합소재 등)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단일의 소재로 제작된 경우에 비해 백빔의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며, 높은 충돌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8729호(2015.02.24.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용 범퍼 백빔에 관한 내용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저속 충돌 사고 시 차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1, 2 스테이를 이용하여 마운팅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소재의 제1 스테이와 금속소재의 제2 스테이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체결하고, 제1, 2 스테이의 체결 부품과 차체는 웰드 너트로 체결하여 접합 면적이 증가된 구조의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의 강성을 보강하는 차량의 범퍼 백빔 제조방법으로서, (a)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 (b)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 (c) 제1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의 보강부위로 상기 제2 스테이를 접합시키는 단계; (d) 제2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스테이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 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웰드 너트(Weld nut)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웰드 너트는, 육각형, 사각형, T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되, 상기 제1 마운팅 부재와 설정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CFT(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FT(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강화용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범퍼 백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범퍼 백빔으로서, 상기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 상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테이의 보강 부위에 접합되는 제2 스테이; 상기 제1, 2 스테이를 접합하는 제1 마운팅 부재; 상기 제1, 2 스테이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시키는 제2 마운팅 부재;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 이고,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웰드 너트(Weld nut)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웰드 너트는, 육각형, 사각형, T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되, 상기 제1 마운팅 부재와 설정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차량 저속 충돌 사고 시 차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1, 2 스테이를 이용하여 마운팅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복합소재의 제1 스테이와 금속소재의 제2 스테이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체결하고, 제1, 2 스테이의 체결 부품과 차체는 웰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접합 면적이 증가된 구조로서 Pull-Push Load에 의한 이탈 현상을 방지하여 백빔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체결 부품 대비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범퍼 백빔 마운팅부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 마운팅부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의 체결 구조가 적용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차량용 범퍼 백빔은 차량의 충돌시 탄성적 변형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완충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범퍼 백빔의 경우 최근 섬유강화 복합소재 등을 이용하여 고강도, 고강성을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한편, 범퍼 백빔은 차량 저속 충돌 사고 시 차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마운팅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고자 복합소재 재질의 스테이와 함께 금속 재질의 스테이가 접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소재 재질의 스테이(10)에 추가적으로 금속 재질의 스테이(20)가 접합되어 구조적인 보강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경우 복합소재 및 금속재질의 스테이(10, 20) 간의 접합은 물론 이들 부품과 차체 간의 체결을 위해 리벳 너트(Rivet Nut)(30)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리벳 너트(30)를 이용한 체결의 경우 접합 면적이 협소하여 충격 발생 시 풀-푸시 로드(Pull-Push Load)에 의한 리벳 너트(30)의 이탈 현상이 발생하여, 범퍼 백빔이 흡수 장치로서 제대로 된 기능을 하기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리벳 너트(30)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접합 면적을 증가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 마운팅부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 제조방법은, 제1 스테이 마련 단계(S100), 제2 스테이 마련 단계(S200), 제1, 2 스테이 접합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 마련 단계(S100)
본 단계는 제1 스테이 마련 단계로서,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마련된 제1 스테이(110)는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이러한 제1 스테이(110)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CFT(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FT(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중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110)를 구성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강화용 섬유와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강화용 섬유에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강화용 섬유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열가소성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소재로 마련된 제1 스테이(110)는 차량용 범퍼 백빔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형상은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적 형상에 해당한다.
제2 스테이 마련 단계(S200)
본 단계는 제2 스테이 마련 단계로서, 제1 스테이와 함께 접합되어 구조적으로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 스테이를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스테이(120)는 제1 스테이(110)의 내측에 접합되어 백빔 마운팅 부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스테이(120)는 제1 스테이(110)와 달리 금속 소재로 제공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틸 등의 소재가 이용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제2 스테이(120)의 경우 차량용 범퍼 백빔, 구체적으로는 제1 스테이(110)에 따라 그 형상 및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한데, 도 2에 도시된 제2 스테이(120)의 형상은 바람직한 예시적 형상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스테이 및 제2 스테이 접합 단계(S300)
본 단계는 제1 스테이 및 제2 스테이 접합 단계로서, 마운팅 부재를 준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1 스테이의 보강 부위로 상기 제2 스테이를 접합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재질의 제1 스테이(110)에 금속 재질의 제2 스테이(120)가 접합되는데, 이들 제1, 2 스테이(110, 120) 간의 접합을 위해 제1 마운팅 부재(130)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운팅 부재(130)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으로 구성된 제1 마운팅 부재(130)을 이용하여 제1, 2 스테이(110, 120)를 접합한 다음, 제1, 2 스테이(110, 120)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미도시)에 체결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러한 제1, 2 스테이(110, 120)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하기 위해서, 제2 마운팅 부재(140)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마운팅 부재(140)는 웰드 너트(Weld nut)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2 스테이(110, 120) 간의 접합 시에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구성된 제1 마운팅 부재(130)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이어서, 제1, 2 스테이(110, 120)가 접합되어 제공된 부품과 차체 간의 체결에는 웰드 너트로 구성된 제2 마운팅 부재(14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리벳 너트(Rivet Nut)(30, 도 1 참조)에 비해 접합 면적이 대폭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의 범퍼 백빔을 통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체결상태가 해제되거나 체결부위에 파손이 유발되지 않아 백빔이 차체로부터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운팅 부재(130)(즉, 블라인드 리벳)은 제2 스테이(120)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제2 스테이(120)의 좌, 우 양단을 통해 하나씩 구비되어 제1, 2 스테이(110, 120) 간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마운팅 부재(140)(즉, 웰드 너트)는 제1 마운팅 부재(130)와 유사하게 제2 스테이(120)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 마운팅 부재(130)와 설정 간격을 두고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체결력이 강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팅 부재(140)를 구성하는 웰드 너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각형, T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의 체결 구조가 적용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재질의 제1 스테이(110)와, 금속 재질의 제2 스테이(120)는 제1 마운팅 부재(즉, 블라인드 리벳)(130)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더하여, 제1 마운팅 부재(130)에 의해 접합된 제1, 2 스테이(110, 120)의 접합 부품은 제2 마운팅 부재(즉, 웰드 너트)(140)에 의해 차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2 마운팅 부재(130, 140)는 제2 스테이(120)의 좌우 양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설정 간격을 두고 근접하여 배치됨은 물론, 접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범퍼 백빔의 경우 접합 면적이 종래에 비해 대폭 증가되어 충격 발생 시 Pull-Push Load에 의한 이탈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제대로 된 기능을 발휘함은 물론,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차량 저속 충돌 사고 시 차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1, 2 스테이를 이용하여 마운팅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복합소재의 제1 스테이와 금속소재의 제2 스테이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체결하고, 제1, 2 스테이의 체결 부품과 차체는 웰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접합 면적이 증가된 구조로서 Pull-Push Load에 의한 이탈 현상을 방지하여 백빔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제1 스테이 마련 단계
S200: 제2 스테이 마련 단계
S300: 제1, 2 스테이 접합 단계
110: 제1 스테이
120: 제2 스테이
130: 제1 마운팅 부재(또는 블라인드 리벳)
140: 제2 마운팅 부재(또는 웰드 너트)

Claims (13)

  1. 스테이의 강성을 보강하는 차량의 범퍼 백빔 제조방법으로서,
    (a)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
    (b)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스테이를 마련하는 단계;
    (c) 제1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의 보강부위로 상기 제2 스테이를 접합시키는 단계; 및
    (d) 제2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스테이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 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웰드 너트(Weld nu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는,
    육각형, 사각형, T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되, 상기 제1 마운팅 부재와 설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CFT(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FT(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중 어느 하나인
    범퍼 백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범퍼 백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범퍼 백빔으로서,
    상기 복합소재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
    상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테이의 보강 부위에 접합되는 제2 스테이;
    상기 제1, 2 스테이를 접합하는 제1 마운팅 부재; 및
    상기 제1, 2 스테이가 접합된 부품을 차체에 체결시키는 제2 마운팅 부재;
    를 포함하는 범퍼 백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 이고,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웰드 너트(Weld nu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백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는,
    육각형, 사각형, T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범퍼 백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범퍼 백빔.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제2 스테이의 양단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되, 상기 제1 마운팅 부재와 설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범퍼 백빔.
KR1020170061565A 2017-05-18 2017-05-18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65A KR20180126763A (ko) 2017-05-18 2017-05-18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65A KR20180126763A (ko) 2017-05-18 2017-05-18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63A true KR20180126763A (ko) 2018-11-28

Family

ID=6456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65A KR20180126763A (ko) 2017-05-18 2017-05-18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7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64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와 노치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107070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329896B1 (ko) 2020-11-25 2021-11-24 서진산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버백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64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와 노치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107070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329896B1 (ko) 2020-11-25 2021-11-24 서진산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버백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395B2 (en) Interconnection-type vehicle body structure
US9610983B2 (en) Floo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body with a lightweight construction
JP586255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WO2014106924A1 (ja) 自動車の衝撃吸収部材および自動車の車体構造
KR20180126763A (ko) 범퍼 백빔 및 그 제조방법
KR101454726B1 (ko) 수지 루프 패널 구조
WO2015080037A1 (ja) 自動車用バンパー
US7837256B2 (en)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2005014902A (ja) 自動車バンパー補強構造体
JP5802598B2 (ja) 車両
US20150034786A1 (en) Sheet metal bracket with reinforcing core rod
US10814810B2 (en) Bumper apparatus for vehicle
JP4910873B2 (ja) 衝撃吸収部材
JP5881117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TWI699299B (zh) 保險杠用橫樑
US20090252908A1 (en) Vehicle component with a hybrid structure
KR10238348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의 강성부재
WO2014097765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20190135210A1 (e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KR102621715B1 (ko) 차량용 격벽구조
JP5975820B2 (ja) 車体構造
JP4728677B2 (ja) 車輌用エネルギ吸収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ドアガードビーム
JP7153207B2 (ja) ボディサイドパネル
EP3950436B1 (en) Impact energy absorbing member
JP6311896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