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001A -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001A
KR20180126001A KR1020187029656A KR20187029656A KR20180126001A KR 20180126001 A KR20180126001 A KR 20180126001A KR 1020187029656 A KR1020187029656 A KR 1020187029656A KR 20187029656 A KR20187029656 A KR 20187029656A KR 20180126001 A KR20180126001 A KR 2018012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frequency resourc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p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오 수이
이핀 에릭 왕
애즈비욘 그뢰블렌
라자히 하지르 쇼크리
유페이 블랑켄십
싱친 린
안수만 아디카리
요한 버그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8012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2Avoidance of ingress interference, e.g. ham radio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된 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무선 장치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상기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원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한 제공된다.
본 문서의 배경기술 섹션은, 당업자가 기술 범위 및 유용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기술적인 그리고 동작적인 상황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다.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본원에 언급된 내용은 단지 배경기술 섹션에 포함된 선행 기술 일뿐이다.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바일 광대역보다 데이터 속도에 대한 요구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저비용 장치 디자인, 보다 우수한 커버리지 및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 없이 배터리로 수년 동안 작동하는 능력을 더 요구하고 있는 통신 타입인 머신 타입 통신(MTC)을 위해 개발 및 개선되고 있다. 현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현재의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MTC 타입 애플리케이션이 제시하는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이라고 부르는 특징적 기능을 표준화하고 있다. 협대역 IoT(NB-IoT)라는 새로운 작업 아이템이 3GPP에서 승인되었으며, 여기서 그 목표는 향상된 실내 커버리지, 저 처리량 장치의 대량 지원, 낮은 지연 감도, 초저가 장치 비용, 낮은 장치 전력 소비 및 (최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셀룰러 사물 인터넷을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정하는 것이다.
NB-IoT 시스템은 3개의 상이한 배치 모드, 즉 독립형(stand-alone), 가드-밴드(guard-band) 및 인-밴드(in-band)를 갖는다. 독립형 모드에서, 상기 NB-IoT 시스템은 전용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인-밴드 동작에서 NB-IoT 시스템은 NB-IoT 시스템에 대해 하나 또는 다수의 LTE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LTE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반면 가드-밴드 모드에서 현재의 LTE 시스템에 의해 가드 밴드로 사용된 주파수 대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NB-IoT는 180 kHz의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다.
예컨대, NB-IoT 시스템의 다운링크(DL)의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는 셀 검색 그리드(grid)로도 표시되는 100 kHz의 주파수 그리드 상에 존재한다. 즉, NB-IoT 장치는 100 kHz의 스텝 사이즈로 NB-IoT 캐리어를 찾으려 시도한다. 독립형 배치의 경우에는 괜찮다. 그러나 헝가리, 부다페스트, 2016년 1월 18-20일, 3GPP TSG-RAN1 NB-IOT Ad Hoc, 소니 에릭슨, NB-IoT 채널 래스터, R1-16008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의 경우에는, LTE 인-밴드 동작에서 NB-IoT에 사용된 셀 검색 그리드에 직접 해당하는 NB-IoT 배치에 사용될 수 있는 LTE PRB는 없다. 100 kHz 그리드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은 각각 LTE 시스템 대역폭에서 홀수 및 짝수의 PRB에 대해 최소 ±2.5 kHz 및 ±7.5 kHz이다(헝가리, 부다페스트, 2016년 1월 18-20일, 3GPP TSG-RAN1 NB-IOT Ad Hoc, 소니 에릭손, NB-IoT 채널 래스터, R1-160082 참조). ±2.5 kHz 또는 ±7.5 kHz는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에 의해 처리된 후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NB-IoT 캐리어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제한한다.
상기 가드-밴드 동작에 있어서, 10 또는 20 MHz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예컨대 100 kHz 채널 래스터에서 2.5 kHz 벗어난 NB-IoT 다운링크 캐리어 주파수를 찾을 수 있다. 다른 LET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100 kHz 래스터에 대한 오프셋은 52.5 kHz이다. 따라서, 100 kHz의 그리드에 대해 ±7.5 kHz 내로 들어가려면, 3개의 가드 서브캐리어가 필요하다. 하나의 가드 캐리어는 15 kHz 폭을 가지며, 레거시(legacy) LTE PRB에 직교성(orthogonality)을 제공하는 레거시 LTE 시스템에서 동일한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그리드에 배치된다. 그러나, 레거시 LTE 시스템에 대한 직교성을 잃지 않으면서 NB-IoT 캐리어를 LTE 가드-밴드의 정확한 100 kHz 래스터 그리드에 넣는 다른 해결책은 없다. NB-IoT 시스템이 LTE 시스템의 가드-밴드에 배치되고 LTE 서브캐리어에 직교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100 kHz 채널 래스터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해결책은 대역 외 방사 레벨을 조정하는 LTE 스펙트럼 마스크가 위반되지 않고 NB-IoT 시스템과 LTE 시스템간 심한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해 엄격한 채널 필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저전력으로 NB-IoT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무선 장치가 LTE 시스템과 같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배치되는 NB-IoT 시스템과 같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다소 리소스에 있어 낭비이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다.
다음은 당업자들에게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 내용의 단순화된 개요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요는 본 개시의 광범위한 개관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주요한/결정적인 요소들을 나타내거나 본 개시의 범위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개요의 유일한 목적은 본원에 개시된 일부 개념들을 후술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문으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원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무선 장치가 제2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효율적인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장치가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과 함께 효율적인 방식으로 배치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시스템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무선 장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트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또한 본원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무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원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무선 장치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상기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해, 예컨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 또는 인-밴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리소스를 무선 장치가 결정 및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율적인 방식을 개시한다.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 및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방식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PRB 수에 있어서 상기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트 오프셋을 상기 무선 장치에 인덱스의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예컨대 상기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주파수의 조정을 상기 무선 장치에 지시하는 점에서 더 효율적이다. 즉, 상기 전송된 정보는 공동으로 상기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낸다. 이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과 함께 배치되는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리소스 효율적인 시그널링을 제공할 것이다.
이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나타나는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개시를 좀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들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충분히 그리고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며,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동일한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위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c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PRB 오프셋 및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d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e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흐름도 및 시그널링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서 주파수 리소스들의 짝수 및 홀수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들의 중심 주파수 오프셋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간략화 및 예시를 위해, 본 개시는 주로 그 예시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가 이들 특정 세부 사항들로 제한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에서, 공지된 방법들 및 구조들은 본 개시를 불필요하고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a는, 예컨대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된 제1무선 통신 시스템 및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시스템은 주파수 리소스(145)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는 연속적인 주파수의 범위,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등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는 단일의 서브캐리어, 다수의 연속 서브캐리어 등일 수 있다. 제2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광대역 LET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131-135)에 배치된다. 이들 주파수 리소스(131-135)는, 소위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에 있고,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다른 주파수 리소스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어느 한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는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일 수 있고, 그리고/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는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를 포함하는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즉, 이들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를 포함하는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한다. 상기 용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엔티티 또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 사용되며, 상기 용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고, 대안의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도 1a의 오프셋(155)과 같은 채널 래스터 오프셋 및 PRB 오프셋과 관련하여 단순화를 위해 본원에 사용된 "아이템 X와 아이템 Y간 오프셋"은 "아이템 X가 아이템 Y로부터 오프셋되는 오프셋"을 의미하는 것으로 취급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아이템 Y가 아이템 X로부터 오프셋되는 오프셋", 또는 등가적으로 "아이템 X에서 아이템 Y로의 오프셋"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문장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는"은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에서 상기 주파수 리소스로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로부터 오프셋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저주파수 리소스, 내부 주파수 리소스 및 고주파수 리소스(132-134)들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주파수 리소스들에 배치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추가의 저주파수 리소스(131) 및/또는 추가의 고주파수 리소스(135)에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부 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독립형 방식으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소정 밴드 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 및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서로 어떻게 또는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관계없이, 본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의 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또 향상시킨다. 이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주파수 리소스(145)에 맵핑되는 인덱스의 관점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주파수 리소스(145)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인덱스들은 예컨대 PRB들의 관점에서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들로 맵핑된다.
본원의 일부 실시예는 또 LTE 시스템이 배치되는, 즉 NB-IoT 시스템이 LTE 시스템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LTE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가드-밴드에 배치될 수 있는 환경에서의 NB-IoT 시스템의 배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그러한 NB-IoT 시스템은 인-밴드, 가드-밴드 또는 독립형 동작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모든 배치 모드에 있어서, 100 kHz 채널 래스터는 예컨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NB-IoT 캐리어를 찾는 것을 시도하는 무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LTE 시스템에서의 직류(DC)-캐리어의 존재 및 그것의 위치뿐만 아니라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LTE PRB의 크기(즉, 180 kHz)로 인해, 그 LTE PRB의 중심 주파수는 NB-IoT 인-밴드 배치를 위한 100 kHz 채널 래스터의 셀 검색 그리드에 직접 해당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채널 래스터의 100 kHz 그리드에 대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LTE 시스템 대역폭에서 짝수의 PRB에 대해 최소 ±2.5 kHz이고, LTE 시스템 대역폭에서 홀수의 PRB에 대해 최소 ±7.5 kHz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2.5 kHz 또는 ±7.5 kHz는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에 의해 처리된 후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NB-IoT 앵커 캐리어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제한한다.
본원에 기술된 일 예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무선 장치(105)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101)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오프셋(155)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무선 장치(105)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및 오프셋(155)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장치(105)는 오프셋(155)에 의해 표현된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수신된 정보는 또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며, 예컨대 주파수 리소스의 경우 그 주파수의 중심은 예컨대 PRB이다.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주파수 리소스 145가 내부 주파수 리소스 133보다 높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PRB 오프셋에 대해 양의 부호를 갖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 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PRB 오프셋에 대해 음의 부호를 갖는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PRB의 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부호 및 절대값을 갖는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절대값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와 관련되고 그 여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는 PRB 오프셋의 부호와 관련되고 그 부호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와 상기 PRB 오프셋의 부호간 관계는 또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와 관련되고 그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또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상기 PRB 오프셋의 부호와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간 관계를 통해,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 및 절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105)는, 그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한다. 그러한 주파수의 조정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의 그리드 포인트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간 채널 래스터 오프셋에 대응한다. 상기 주파수의 조정은, 채널 래스터의 그리드 포인트가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위치된 후에, 예컨대 그 위치된 그리드 포인트에 의해 나타낸 주파수에 대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무선 장치(105)에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장치(105)는 PRB오프셋의 부호가 음일 때 그 주파수의 조정을 -7.5 kHz로 결정하고,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홀수의 PRB에 걸쳐 있는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것에 기초한 상황에서 상기 PRB 오프셋의 부호가 양일 때 그 주파수의 조정을 +7.5 kHz로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짝수의 PRB에 걸쳐 있는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것에 기초한 상황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PRB 오프셋의 부호가 음일 때 주파수의 조정을 +2.5 kHz로 결정하고 상기 PRB 오프셋의 부호가 양일 때 주파수의 조정을 -2.5 kHz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참조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에 따라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무선 장치(105)는 오프셋 155로 나타낸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더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높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양이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음인 부호를 갖는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105)는, 그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나타낸 PRB 오프셋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채널 래스터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채널 래스터는 제1통신 시스템을 검색하는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기 PRB 오프셋으로 나타낸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될 때,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이 채널 래스터로부터, 예컨대 채널 래스터의 그리드 포인트로부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캐리어 주파수로 조정하기 위해 무선 장치(105)에 의해 만들어져야 하는 주파수 조정을 나타내는 PRB 오프셋에 대응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예컨대 PRB를 인덱싱하기 위한 인덱스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인덱스는 PRB 인덱스로 표시될 수 있으며, PRB를 상기 내부 주파수(133)로부터 카운트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리소스(145)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인덱싱은, 예컨대 NB-IoT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시그널링된 앵커(anchor) PRB를 인덱싱하기 위해, 그리고 예컨대 NB-IoT 시스템의 멀티-캐리어 동작을 위한 비-앵커 PRB를 인덱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PRB를 인덱싱하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LTE 시스템을 위한 LTE 시스템 대역폭과 같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의 시그널링을 요구하지 않고 PRB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예들은 모든 기존의 LTE 시스템 대역폭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새로운 LTE 시스템 대역폭이 규정되는 경우 순방향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고,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LTE 시스템 대역폭이 짝수 또는 홀수의 PRB에 걸쳐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고, 상기 시그널링된 정보에 의해 나타낸 PRB 오프셋의 부호가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 즉 100 kHz 그리드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의 부호와 관련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상기 시그널링된 정보로부터 암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PRB를 인덱싱하는 방식은 무선 장치(105)가 LTE 시스템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고 LTE 셀 특정 기준 신호(CRS) 정보를 유도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인-밴드 동작의 경우, 기존의 LTE CRS는 채널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채널 추정 동안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NB-IoT 시스템의 멀티-캐리어 동작의 경우에 적용한다. 또한, CRS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NB-IoT 시스템의 MIB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NB-IoT 시스템의 MIB는 NB-IoT 시스템 및 LTE 시스템이 동일한 물리적 셀 식별자(PCI) 뿐만 아니라 PRB 오프셋 또는 P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는 동일한 PCI 표시자 형태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부 실시예는 무선 장치(105)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 채널 추정 및/또는 복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 가능한 CRS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특정 주파수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또는 그와 관련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한다. 특히, 상기 특정 주파수 리소스(들)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소위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폭을 규정하거나 확대되는 가장 바깥쪽 에지 주파수 리소스들과 구별되고, 그 내측에 있다는 의미에서 "내부"이며, 예컨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폭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것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에 배치되고,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넓은 의미에서, 내부 주파수 리소스로 간주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가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는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예컨대 주어진 또는 미리 규정된 내부 주파수 리소스로부터 주파수 오프셋(155) 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식별하거나 아니면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오프셋을 이용한다. 이러한 오프셋은 본원에서 PRB 오프셋으로 나타내며, PRB의 관점에서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105)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PRB 오프셋(155)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에 대해 상기 결정된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한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폭의 지식 없이 결정하는데, 즉 그러한 결정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의 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필요 조건으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오히려, 상기 무선 장치(105)는 단순히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그널링한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인덱스 형태의 정보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시그널링된 정보는 적어도 암시적으로 그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상기 제1무선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101)는, 예컨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NB-IoT와 같은 협대역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는 인-밴드 내에, 가드-밴드 내에, 또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소정 밴드 외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PRB 오프셋(155)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그러한 결정된 PRB 오프셋(155)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정보는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상기 언급한 인덱스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생성된 정보는 PRB 오프셋에 대응하는 적어도 암시적으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무선 장치(105)가 대응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그러한 정보를 상기 무선 장치(105)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오프셋(155)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무선 장치(105)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로부터 오프셋(155)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네트워크 노드(10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나타낸 오프셋(155)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함으로써,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1커버리지 영역(104)을 갖는 제1네트워크 노드라고도 부르는 네트워크 노드(101) 및 제2커버리지 영역(113)을 갖는 제2네트워크 노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서포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그러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NB-IoT와 같은 하나 이상의 협대역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라우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무선 링크 인터페이스(109)와 같은 무선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105 및 107)를 서빙할 수 있다. 상기 제2네트워크 노드(111)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을 서포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차세대 무선망(NR) 또는 차세대 LTE(NX)와 같은 하나 이상의 광대역 통신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네트워크 노드(111)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라우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네트워크 노드(111)는 무선 장치(105 및 107)들을 서빙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 및 제2네트워크 노드(111)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고, 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무선 장치(105 및 107)들이 각기 다른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무선 장치(105 및 107)들이 독립형 스펙트럼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독립형 스펙트럼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용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무선 장치(105 및 107)들이 제2네트워크 노드(111)에 대응하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가드-밴드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것과 같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에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가드-밴드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인-밴드가 아닌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것과 같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네트워크 노드(101)는 상기 무선 장치(105)가 상기 제2네트워크 노드(111)에 대응하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과 같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인-밴드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밴드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인-밴드는 상기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가 아닌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이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행된 방법 동작들이 도 1b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일부(그러나 전부는 아님)의 실시예에서 수행된 동작들은 점선 박스로 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또는 그 제1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동작 115. 무선 장치(105)는, 채널 래스터를 이용한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셀 검색 동안 이미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처리할 때, 채널 래스터 오프셋, 예컨대 2.5 kHz 또는 7.5 kHz를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암시적으로 그러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이를 나중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 또는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기화된 후, 상기 무선 장치(105)는 동작 1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120. 무선 장치(105)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MIB를 수신함으로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적어도 암시적으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은 무선 장치(105)가 상기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특정 기준 신호(CRS) 정보를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및/또는 복조를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신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적어도 암시적으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25. 무선 장치(105)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한다.
상기 PRB 오프셋(155)이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에 대해 나타내기 때문에,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스템 대역폭의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새로운 그리고 다른 시스템 대역폭이 규정되는 경우 순방향 호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장치(105)는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동작 120)하며, 여기서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주파수 리소스(145)가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높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양인 부호를 갖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음인 부호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무선 장치(105)는, 그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나타낸 PRB 오프셋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도 1c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도 1의 오프셋(155)과 유사한 PRB 오프셋(OPRB) 및 채널 래스터 오프셋(OCR)을 나타내며, 그 경우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은 홀수의 PRB를 포함하거나 또는 확대된다. 채널 래스터 그리드는 PRB 아래에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PRB는 주파수 크기로 180 kHz의 폭을 갖는다. PRB 오프셋(OPRB)은, 예컨대 PRB의 수의 관점에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를 둘로 나누는 DC 캐리어인 중간 주파수(fi)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상기 PRB 오프셋(OPRB)은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로부터 카운트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OCR)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145)간 오프셋을 나타내는데, 즉 채널 래스터 상의 그리드 포인트에 대한(주파수 리소스(145)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의 오프셋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장치(105)는 셀 검색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채널 래스터의 900 kHz 그리드 포인트에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에, 상기 무선 장치(105)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이 홀수의 PRB에 걸쳐 있을 때, PRB 오프셋 마이너스 5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이 -7.5 kHz이기 때문에, 상기 PRB 오프셋(OPRB), 예컨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PRB 인덱스 마이너스 5에 배치되고 채널 래스터 오프셋이 -7.5 kHz인 것을 나타내는 마이너스 5의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것은 상기 무선 장치(105)에서 구성된 테이블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채널 래스터 그리드 포인트 -900 kHz에서 -907,5 kHz의 주파수 리소스(145)로 조정할 수 있다.
이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된 방법 동작들이 도 1d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일부(그러나 전부는 아님)의 실시예에서 수행된 동작들은 점선 박스로 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무선 장치가 제1무선 통신 시스템과 또는 그 제1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동작 150. 네트워크 노드(101)는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신될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51.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에 대한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52.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53.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MIB를 전송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적어도 암시적으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IB는 제1 및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일한 PCI를 나타내는 동일한 PCI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정보는 무선 장치(105)에 대한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러한 전송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적어도 암시적으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1)는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며(동작 153), 여기서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높은 주파수일 때 양이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음인 부호를 갖는다.
도 1e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흐름도 및 시그널링도이다. 그 동작들은 소정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60. 무선 장치(105)는 캐리어 상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수신함으로써, 예컨대 NB-IoT 1차 동기화 시퀀스(NB-PSS) 및/또는 NB-IoT 2차 동기화 시퀀스(NB-SSS)를 수신하고 셀 아이덴티티(ID)를 검색함으로써, 채널 래스터의 스텝 사이즈, 예컨대 100 kHz의 스텝 사이즈로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캐리어를 찾으려 시도할 수 있다.
동작 161. 제1네트워크 노드(101)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미리 규정된 맵핑에 따라 협대역 기준 신호(NRS)와 같은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동작 162.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MIB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3. 상기 무선 장치(105)는, 동기화 신호로부터 알려진 수신된 NRS를 이용하여, 찾아진 캐리어 상의 MIB로부터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한다. 상기 MIB는 PRB 인덱스를 포함함과 더불어 동일한 PCI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64. 무선 장치(105)는, 동작 163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조정하는데, 즉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리소스(145)의 중심 주파수를 조정한다.
동작 165. 제1네트워크 노드(101)는 NRS를 더 전송한다.
동작 166. 제2네트워크 노드(111)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미리 규정된 맵핑에 따라 CRS를 전송한다.
동작 167. 다음에, 무선 장치(105)는 NRS 및 CRS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즉 상기 무선 장치(105)는 CRS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해 MIB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MIB는 동일한 PCI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일한 PCI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B 오프셋 및 상기 동일한 PCI 표시자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CRS가 위치되는 곳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CRS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셋업된 채널의 채널 추정 및/또는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신의 복조를 위해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105)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170),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수신 모듈(171), 예컨대 수신기 또는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수신기 또는 수신 모듈(171)은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결정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결정 모듈(172)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수신기 또는 수신 모듈(171)은, 채널 래스터를 이용한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수신기 또는 수신 모듈(171)이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무선 장치(105)가, 상기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CRS 정보를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해 그리고/또 복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수신기 또는 수신 모듈(171)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MIB를 수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PRB 오프셋 및 적어도 암시적으로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수신기 또는 수신 모듈(171)은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높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양이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음인 부호를 갖는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70), 및/또는 결정 모듈(172)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나타낸 PRB 오프셋에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무선 장치(105)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173)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메모리(173)는 상기 무선 장치(105)에서 실행될 때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처리 회로(17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73)는, 예컨대 프로세서 등에서 실행될 때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인덱스와 같은 데이터, PRB 인덱스, 테이블, 채널 래스터 그리드, 셀 검색 구성, PRB 오프셋, 채널 래스터 오프셋,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장치(105)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은 본원에 기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즉 소프트웨어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174)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수단에 의해 각각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74)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175), 예컨대 디스크 또는 유사물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17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예컨대 다운로드 및 구동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은 본원에 기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2b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101)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180),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전송 모듈(181), 예컨대 전송기 또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 처리 회로(180), 및/또는 전송기 또는 전송 모듈(181)은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145)간 주파수의 오프셋이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와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 처리 회로(180), 및/또는 전송기 또는 전송 모듈(181)은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신될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결정 모듈(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80), 및/또는 결정 모듈(182)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에 대한 PRB 오프셋 및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생성 모듈(1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5), 처리 회로(180), 및/또는 생성 모듈(183)은 결정된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 처리 회로(180), 및/또는 전송기 또는 전송 모듈(181)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MIB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낸느 5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MIB는 동일한 PCI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송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 처리 회로(180), 및/또는 전송기 또는 전송 모듈(181)은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있는 PRB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145)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간 오프셋을 나타낸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134)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132)에 배치된다.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높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양이고, 상기 주파수 리소스(145)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133)보다 낮은 주파수 리소스일 때 음인 부호를 갖는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18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84)는 네트워크 노드(101)에서 실행될 때 본원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처리 회로(18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84)는 예컨대 프로세서 등에서 실행될 때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과 같은 데이터, 인덱스, PRB 인덱스, 테이블, 채널 래스터 그리드, 셀 검색 구성, PRB 오프셋, 채널 래스터 오프셋 및 애플리케이선(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은 본원에 기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즉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185)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수단에 의해 각각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85)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186), 예컨대 디스크 또는 유사물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18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은 본원에 기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3a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무선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무선 장치(200)는 수신기(201), 획득 회로(203), 결정 회로(205), 및 전송기(207)를 포함한다.
도 3b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무선 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무선 장치(300)는 처리 회로 또는 회로들(301), 메모리(303),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305),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307)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회로 또는 회로들은 수신 모듈(311), 획득 모듈(313), 결정 모듈(315) 및/또는 전송 모듈(3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무선 장치(4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무선 장치(400)는 수신 모듈(401), 획득 모듈(403), 결정 모듈(405) 및/또는 전송 모듈(4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무선 장치에 의한 방법(5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동작 501. 무선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503.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신호로부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동작 505. 무선 장치는, 상기 오프셋 및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한다.
동작 507. 무선 장치는 결정된 주파수 리소스에 대한 제2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6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네트워크 노드(600)는 결정 회로(601), 생성 회로(603), 전송기(607), 및 수신기(609)를 포함한다.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 대해 오프셋된 주파수 리소스에는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된다. 오프셋 정보는 상기 전송기(607)에서 무선 장치로 전송된다.
도 7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7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네트워크 노드(700)는 처리 회로 또는 회로들(701), 메모리(703),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705),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707)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회로 또는 회로들(701)은 결정 모듈(711), 생성 모듈(713), 전송 모듈(715) 및/또는 수신 모듈(7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8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나타낸 네트워크 노드(800)는 결정 모듈(801), 생성 모듈(803), 전송 모듈(805) 및/또는 수신 모듈(8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동작 901. 네트워크 노드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결정한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
동작 903.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동작 905.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정보를 무선 장치로 전송한다.
동작 907.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주파수 리소스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예에서 NB-IoT에 대한 특정 적용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술들은 eMTC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9)의 후속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LTE에 대한 3GPP 표준으로부터의 용어를 사용하는 신호들에 대한 참조는 다른 네트워크에서 유사한 특성 및/또는 목적을 갖는 신호에 좀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무선 노드는 무선 신호를 통해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노드(예컨대, 기지국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라우터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소정 타입의 무선 노드이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전송 및 수신 포인트, 예컨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STA), 액세스 콘트롤러, 기지국, 예컨대 NodeB와 같은 무선 기지국, 진화된 Node B(eNB, eNode B), 베이스 트랜스시버 스테이션, 무선 원격 유닛,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기지국 라우터, 무선 기지국의 전송 장치, 독립형 액세스 포인트, 또는 예컨대 그러한 사용된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용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된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과 같은 무선-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무선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무선 노드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장치는 머신-투-머신(M2M) 장치, 머신-타입 통신(MTC) 장치, NB-IoT 장치 등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는 사용자 장비(UE)일 수도 있으나, 그러한 UE는 그러한 장치를 소유 및/또는 조작하는 개인의 의미에서 반드시 "사용자"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선 장치(wireless device)는 또한 무선 장치(radio device), 무선 통신 장치, 무선 단말, 또는 단순히 단말이라고도 부를 수 있으며,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 용어의 사용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 UE 또는 장치, 머신-타입 장치 또는 머신-투-머신 통신 가능한 장치, 무선 장치를 구비한 센서, 무선-가능 테이블 컴퓨터, 모바일 단말, 스마트폰, 랩탑-내장 장비(LEE), 랩탑-실장 장비(LME), USB 동글, 무선 고객-구내 장비(CPE)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설명에서, 용어 머신-투-머신(M2M) 장치, 머신-타입 통신(MTC) 장치, 무선 센서, 및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가 UE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인간의 상호작용 없이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IoT 시나리오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장치는 모니터링 및 측정을 수행하고, 그와 같은 모니터링 측정의 결과를 다른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머신 또는 장치이거나 그 머신 또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머신의 특정 예로는 전력계(power meter),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 예컨대 냉장고, 텔레비전, 시계와 같은 개인 웨어러블 등이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장치는 차량에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의 작동 상태 또는 차량과 관련된 다른 기능의 모니터링 및/또는 리포팅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NB-IOT 환경에서, NB-IOT 장치에 대한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 전송 대역폭은 180 KHz 크기의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으로 감소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및 시분할 듀플렉싱(TDD)이 모두 서포트된다. FDD(즉, 전송기 및 수신기가 다른 캐리어 주파수에서 동작함)의 경우, 무선 장치에서 반-이중 모드만 서포트되어야 한다. 장치들의 낮은 복잡성(예컨대, 단지 하나의 전송/수신 체인)은 통상적인 커버리지에서도 적은 수의 반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장치의 복잡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동작의 가정은 크로스-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향상된 물리적 DL 제어 채널(E-PDCCH, 일명 M-EPDCCH)에서 먼저 전송이 스케줄링되고, 다음에 물리적 DL 공유 채널(PDSCH)에서 실제 데이터의 최초 전송이 M-EPDCCH의 최종 전송 후에 수행된다.
도 10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10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부 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00)는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사용자 장비(UE), 모바일 스테이션(MS), 단말, 셀룰러 폰, 셀룰러 핸드셋,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스마트폰, 무선 전화, 오거나이저, 휴대용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셋탑 박스, 텔레비전, 가전기기, 게임 장치, 의료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계량 장치, 또는 일부의 다른 유사한 용어로 부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00)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세트일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무선 장치(10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1001),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1009),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011), RAM(1017), ROM(1019), 저장 매체(103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1015), 통신 서브시스템(1051), 전원(1013), 다른 요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1031)는 동작 시스템(103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35), 데이터(10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장치는 도 10에 나타낸 모든 구성 요소를 이용하거나, 또는 단지 그 구성 요소의 하위 세트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합 레벨은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더욱이, 특정 장치는 다중 프로세서, 메모리, 트랜스시버,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구성 요소의 다수의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프로세서(10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구현 상태 머신(예컨대, 이산 논리, FPGA, ASIC 등의); 적절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래머블 로직;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저장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기계-판독 가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기계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순차 상태 머신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01)는 2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정의에서, 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식의 정보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대상이 다양한 운영 시스템 또는 운영 시스템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또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00)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해 출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출력 장치가 입력 장치와 같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장치(1000)로의 입력 및 그 무선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USB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이미터, 스마트카드, 다른 출력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000)는 사용자가 무선 장치(1000)로 정보를 캡처할 수 있게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해 입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존재-감지 입력 장치, 존재-감지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롤 휠,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마이크로폰, 센서,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존재-감지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마이크로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싱기 존재-감지 입력 장치는 존재-감지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존재-감지 입력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 센서, 힘 센서, 자력계, 광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한 센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 센서일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RF 인터페이스(1009)는 전송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요소들에 대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011)는 네트워크(1043a)에 대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043a)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통신 네트워크,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1043a)는 Wi-Fi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011)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 될 수 있으며, 이더넷, TCP/IP, SONET, AT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10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컨대, 광학, 전기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대안으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RAM(1017)은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들의 저장 또는 캐싱을 제공하도록 버스(1003)를 통해 프로세서(1001)에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무선 장치(1000)는 적어도 128 메가바이트(128 Mbytes)의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OM(10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0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OM(1019)은 불변의 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기본 입력 및 출력(I/O), 시작 또는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을 위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1031)는 RAM, 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EEPROM),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 카트리지,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저장 매체(1031)는 운영 시스템(103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35), 위젯 또는 가제트 엔진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파일(103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프로세서(1001)는 상기 통신 서브시스템(105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1043a 및 10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브시스템(1051)은 상기 네트워크(1043b)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기지국과 같은 다른 무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원격 트랜스시버와 통신하도록 사용되거나, 또는 IEEE 1002.xx,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GSM, LTE,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WiMa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통신 서브시스템(1051)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 같은 다른 무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원격 트랜스시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IEEE 1002.xx,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스시버는 RAN 링크(예컨대, 주파수 할당 등)에 적합한 전송기 또는 수신기 기능을 각각 구현하기 위해 전송기(1053) 또는 수신기(10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트랜스시버의 전송기(1053) 및 수신기(1055)는 회로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105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음성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근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사용과 같은 위치 기반 통신, 다른 유사한 통신 기능,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05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043b)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 통신 네트워크,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10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 근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전원(1013)은 상기 무선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에 교류(AC) 및 직류(DC)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저장 매체(1031)는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RAI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 드라이브(thumb drive),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고밀도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HD-DVD)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블루-레이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HDDS)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미니-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동기식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또는 제거가능 사용자 아이덴티티(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1031)는 무선 장치(1000)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데이터를 업로드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1031)에 유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의 기능은 무선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 하나에서 실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장치(1000)의 다수의 구성 요소에 걸쳐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상기 방법들의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통신 서브시스템(1051)은 본원에 기술된 소정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001)는 버스(1003)를 통해 소정의 그와 같은 구성 요소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소정의 그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 기술된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소정의 그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상기 프로세서(1001)와 통신 서브시스템(1051)간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소정의 그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비-계산 집약적(non-computative-intensive)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시될 수 있고 계산-집약적 기능들은 하드웨어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에서 주파수 리소스들의 짝수 및 홀수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들의 중심 주파수 오프셋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기 다른 PRB에 채널 래스터 오프셋(OCR)들이 개시되어 있다. 짝수의 PRB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PRB n 및 PRB n+5에 대해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2.5 kHz이다(즉, 무선 장치가 채널 래스터 그리드에서 PRB로 조정하기 위해). PRB n-1 및 PRB n-6에 대해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2.5 kHz이다(즉, 무선 장치가 채널 래스터 그리드에서 PRB로 조정하기 위해). 홀수의 PRB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PRB n+5에 대해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7.5 kHz이다(즉, 무선 장치가 채널 래스터 그리드에서 PRB로 조정하기 위해). PRB n-5에 대해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7.5 kHz이다(즉, 무선 장치가 채널 래스터 그리드에서 PRB로 조정하기 위해). 이하 설명된 추가의 실시예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100 kHz 래스터가 사용되면, NB-IoT 인-밴드 배치에 모든 PRB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드-밴드 동작의 경우, 입도(granularity)가 1 PRB일 필요는 없지만, 레거시 LTE 시스템에 대한 직교성을 유지하고 100 kHz 래스터 그리드에서 ±2.5 kHz 또는 ±7.5 kHz로의 오프셋으로 제한하기 위해, LTE 가드-밴드에서 일부 위치만이 NB-IoT 다운 링크 캐리어에 사용될 수 있다. 100 kHz 그리드에서 ±2.5 kHz 및 ±7.5 kHz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바일 광대역보다 데이터 속도에 대한 요구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저비용 장치 디자인, 보다 우수한 커버리지 및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 없이 배터리로 수년 동안 작동하는 능력을 더 요구하고 있는 통신 타입인 머신 타입 통신(MTC)을 위해 개발 및 개선되고 있다. 현재, 3GPP는 현재의 LTE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MTC 타입 애플리케이션이 제시하는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이라고 부르는 특징적 기능을 표준화하고 있다. 3GPP RAN#70 회의에서, 협대역 IoT(NB-IoT)라는 새로운 작업 아이템이 승인되었다. 그 목적은 향상된 실내 커버리지, 저 처리량 장치의 대량 지원, 낮은 지연 감도, 초저가 장치 비용, 낮은 장치 전력 소비 및 (최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셀룰러 사물 인터넷을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정하는 것이다.
NB-IoT의 경우, 3개의 상이한 배치 모드, 즉 독립형, 가드-밴드 및 인-밴드를 규정한다. 독립형 모드에서, NB-IoT 시스템은 전용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인-밴드 동작에서 상기 NB-IoT 시스템은 현재의 LTE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반면 가드-밴드 모드에서 상기 NB-IoT 시스템은 현재의 LTE 시스템에 사용된 가드-밴드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NB-IoT는 180 kHz의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다.
NB-IoT 시스템의 다운링크의 채널 래스터는 100 kHz의 주파수 그리드 상에 존재한다. 즉, NB-IoT 장치는 100 kHz의 스텝 사이즈로 NB-IoT 캐리어를 찾으려 시도한다. 독립형 배치의 경우에는 괜찮다. 그러나 이하의 참조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의 경우에는, DC-캐리어의 존재 및 PRB의 중심이 2개의 서브-캐리어 사이에 있다는 사실로 인해, LTE 인-밴드 동작에서 사용된 셀 검색 그리드에 직접 해당하는 PRB는 없다. 100 kHz 그리드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은 각각 LTE 시스템 대역폭에서 짝수 및 홀수의 PRB에 대해 최소 ±2.5 kHz 및 ±7.5 kHz이다. 이는 도 11에 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의 참조 [2] 및 [3]에 주어졌다. 그러한 ±2.5 kHz 또는 ±7.5 kHz는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에 의해 처리된 후 보상될 수 있다(이하의 참조 [4] 및 [5]). 그러나, 이들 오프셋은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NB-IoT 캐리어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제한한다.
상기 가드-밴드 동작에 있어서, 이하의 참조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또는 20 MHz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100 kHz 채널 래스터에서 2.5 kHz 벗어난 NB-IoT 다운링크 캐리어 주파수를 찾을 수 있다. 다른 LET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100 kHz 래스터에 대한 오프셋은 52.5 kHz이다. 따라서, 100 kHz의 그리드에 대해 동일한 ±7.5 kHz 내로 들어가려면, 3개의 가드 서브캐리어가 필요하다. 하나의 가드 캐리어는 15 kHz 폭을 가지며, 레거시(legacy) LTE PRB에 직교성을 제공하는 레거시 LTE 시스템에서 동일한 고속 푸리에 변환(FFT) 그리드에 배치된다. 그러나, 레거시 LTE 시스템에 대한 직교성을 잃지 않고 NB-IoT 캐리어를 LTE 가드-밴드의 정확한 100 kHz 래스터 그리드에 넣는 다른 해결책은 없다.
인-밴드 동작의 경우, 기존의 LTE CRS는 채널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NB-IoT 장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CRS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가 MIB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합의함에 따라, 상기 MIB는 동일한 PCI 표시자 및 PRB 인덱스를 포함해야 한다(이하의 참조 [1]).
기존의 해결책은 LTE 스펙트럼 마스크가 위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엄격한 채널 필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저전력으로 NB-IoT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이다.
본원에는 NB-IoT 인-밴드 동작을 위해 PRB를 인덱싱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인덱싱은 MIB에 시그널링된 앵커 PRB를 위해 또는 NB-IoT 시스템의 다중-PRB 동작을 위한 비-앵커 PRB를 인덱싱하기 위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 제안된 해결책은 LET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하지 않고 PRB를 인덱싱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새로운 LTE 시스템 대역폭이 정의되면 순방향 호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안된 해결책은 레거시 LTE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NB-IoT 가드-밴드 배치의 보다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11은 짝수 및 홀수 시스템 대역폭으로부터 LTE PRB들의 중심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낸다. DC 캐리어는 2개의 PRB(짝수의 PRB)의 사이 또는 중간 PRB(홀수의 경우)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하의 참조 [2] 및 [3]에 기술한 바와 같이, 100 kHz 래스터가 사용되면, NB-IoT 인-밴드 배치에 모든 PRB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드-밴드 동작의 경우, 입도가 1 PRB일 필요는 없지만, 레거시 LTE 시스템에 대한 직교성을 유지하고 100 kHz 래스터 그리드에서 ±2.5 kHz 또는 ±7.5 kHz로의 오프셋으로 제한하기 위해, LTE 가드-밴드에서 일부 위치만이 NB-IoT 다운 링크 캐리어에 사용될 수 있다(이하의 참조 [2]). 이하의 참조 [4] 및 [5]의 평가에서, 100 kHz 그리드에서 ±2.5 kHz 및 ±7.5 kHz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인-밴드 동작의 경우, 기존의 LTE CRS는 채널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NB-IoT 장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NB-IoT 시스템들의 다중-PRB 동작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정확한 LTE CR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PCID 및 PRB 인덱스가 필요할 수 있다. 현재의 시스템에서, PRB 인덱스가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로 규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LTE CR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PRB와 함께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해야 한다. 본원에서는 PRB 인덱스 시그널링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한 새로운 방법은 LTE CRS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LTE 시스템 대역폭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LTE CRS의 위치는 PCID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이는 RAN1 NB-IoT Ad Hoc에서 "NB-SSS로부터의 PCID 및 LTE PCID는 동일한 LTE CRS 위치를 나타낸다"라는 점을 합의했다(이하의 참조 [1]). 따라서, 정확한 LTE CR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NB-IoT 시스템의 PRB 위치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NB-IoT에서 다중-PRB 동작과 관련하여, 만약 앵커 캐리어가 가드-밴드에 있고 비-앵커 캐리어(들)가 인-밴드이면, PCID는 LTE CRS 유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 한, 즉 "NB-SSS로부터의 PCID 및 LTE PCID는 동일한 LTE CRS 위치를 나타낸다"(이하의 참조 [1])와 동일하게 선택되거나, 또는 LTE 시스템의 PCID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NB-IoT 장치들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LTE CRS가 이하의 참조 [7]과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01
는 이하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Figure pct00003
는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수이고,
Figure pct00004
는 슬롯 내의 OFDM 심볼 수이다. 의사-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05
는 조항 7.2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한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각각의 OFDM 심볼의 시작에서
Figure pct00006
로 초기화될 것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07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에 따라 슬롯 n s 에서 안테나 포트(p)에 대한 기준 심볼로 사용된 복소수 값 변조 심볼
Figure pct00010
로 맵핑될 것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11
상기 변수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는 상이한 기준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 도멘인에서의 위치를 규정한다. 여기서,
Figure pct00014
는 이하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15
셀-특정 주파수 시프트는
Figure pct00016
에 의해 주어진다.
상기 LTE CRS들이 생성되는 방식으로부터, 우리는 LTE CRS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m'를 제공하는 PRB를 인덱싱하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든 시스템에 대해, 중간 PRB로부터의 오프셋이 알려져있는 한, LTE CRS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NB-IoT PRB와 LTE 중간 PRB의 오프셋 사이의 오프셋을 시그널링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Figure pct00017
로 중간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PRB 인덱스 넘버링을 규정한다.
여기서, n PRB 는 원래의 PRB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18
는 시그널링되는 새로운 인덱싱, 즉 무선 장치(105)로 시그널링되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의 예이다.
Figure pct00019
의 부호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와 관련된다. 따라서, 그러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는
Figure pct00020
로부터 암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다음에, m'는 여전히
Figure pct00021
로 계산되지만, m
Figure pct00022
로 대체된다. 여기서 모든 경우에 대해
Figure pct00023
이다. 상기 계산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igure pct00024
m'를 계산할 때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LTE 시스템 대역폭은 시그널링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홀수 및 짝수의 PRB는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절대값과 관련되며, 추가의 시그널링이 필요치 않다. 새로운 LTE 시스템 대역폭이 추가로 규정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점은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이다.
n을 표현하는 몇가지 방식이 있다. 우리가 선택한 것은 가능성 중 하나이다. m'의 최종 값이 동일하면 LTE CRS는 성공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실제로
Figure pct00025
의 값을 시그널링하거나 또는 유도하는 몇가지 방식이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한 가지 직접적인 방식은
Figure pct00026
의 값을 직접 시그널링하는 것이다. 이는 다중-PRB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은
Figure pct00027
를 직접 시그널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28
를 주어진 스텝 사이즈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5개의 PRB가 모두 사용되면,
Figure pct00029
는 .... -2, -1, 0, 1, 2, ...일 수 있고, 우리는 실제 인덱싱 값으로 ... ... -10, -5, 0, 5, 10 ... ...을 주는 5의 스텝 사이즈를 그것과 곱한다. 우리는
Figure pct00030
을 시그널링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을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한 제안된 인덱싱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단락에서 일 예가 주어진다. 이러한 예에서, 제안된 인덱싱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일 예로서 10 MHz LTE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레거시 LTE PRB 인덱싱은 0에서 49까지이며, 그러한 인덱싱은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이다. 우리는 NB-IoT 캐리어를 배치하기 위한 가능한 앵커 위치들 중 하나인 PRB 35를 선택한다(이하의 참조 [3]).
PRB 35의 경우, 즉 이하의 참조 [7]에 있어서, 우리는
Figure pct00031
를 갖는다.
다음에, 우리는
Figure pct00032
를 갖는다.
그 새로운 인덱싱은 PRB 35를 이하와 같이 LTE 중간 PRB에서 이하의 오프셋으로 맵핑한다.
Figure pct00033
따라서,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프셋, 즉 중간으로부터의 10개의 PRB만을 표시함으로써, 시스템 대역폭
Figure pct00036
을 알지 못해도 동일한 m'가 얻어 질 수 있다.
RAN#69에서, 협대역 IoT(NB-IoT)라는 새로운 작업 아이템이 승인되었다(이하의 참조 [6]). 그 목적은 향상된 실내 커버리지, 저 처리량 장치의 대량 지원, 낮은 지연 감도, 초저가 장치 비용, 낮은 장치 전력 소비 및 (최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셀룰러 사물 인터넷을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정하는 것이다.
NB-IOT는 3개의 상이한 동작 모드를 서포트한다:
1.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GSM 캐리어의 대체물로서 GERAN 시스템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독립형 동작"
2. LTE 캐리어의 가드-밴드 내의 비사용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하는 "가드-밴드 동작"
3. 통상의 LET 캐리어 내의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하는 "인-밴드 동작"
RAN1#84 회의에서, NPBCH 및 NB-MIB에 관한 다음 항목이 합의되었다.
NB-IoT SFN의 4개의 최상위 비트는 NB-MIB에 표시된다.
4 비트는 NB-MIB에서 NB-SIB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된다.
통상의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에 대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스크램블링 및 매핑.
FDD 모드에서, CRC 부착 및 채널 코딩 후에, NB-MIB는 TS 36.212의 섹션 5.3.1.3에 따라 e0, e1, ..., eE-1로 표시된 E=1,600 비트로 레이트 매칭된다.
그러한 레이트 매칭된 비트는 길이 1,600의 시퀀스로 스크램블링된다.
NB-PBCH에 대한 그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TS 36.211의 7.2에 주어지고, nf mod 64=0을 만족하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에서 NB-IoT 물리적 셀 식별자(PCI)로 초기화되며, 여기서 nf는 시스템 프레임 수(SFN)이다.
그 변조된 비트는 첫번째 주파수, 두번째 시간의 방식으로 리소스 요소들로 맵핑된다.
하나의 NB-MIB TTI 내에서, 비트들 e200*i+j,j=0,1,...,199을 전송하기 위해 80 ms 지속 기간의 i번째 블록(i=0,1,...,7)을 사용하는데, 즉, i번째 블록 내의 각각의 서브프레임 #0에서 동일한 심볼들이 전송된다.
NB-RS 포트의 수(1 또는 2)는 NB-PBCH CRC 마스킹(LTE CRS에 대한 현재 사양에서와 같이, 1 포트에 대해서는 모두 0이고, 2 포트에 대해서는 모두 1임)으로 표시된다.
NB-PBCH에 대한 레이트 매칭 목적을 위해, NB-RS 포트의 수는 2에 기초한다.
CRS 포트의 수는 NB-MIB로 표시된다.
그 배치 모드는 NB-MIB로 표시된다.
주의: 별도의 정보 필드여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래스터 오프셋은 NB-MIB에 표시된다.
작업 가정:
CRS 시퀀스(동일한 PCI 표시자가 참으로 설정된 경우에만 필요함) 및 동일한 PCI 표시자(LTE PCI 및 NB-IoT PCI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는 NB- MIB에 표시된다.
이러한 작업 가정은 복조를 위한 LTE CRS의 잠재적 사용에 관한 작업 가정과 관련이 있다.
동일한 PCI 표시자 및 PRB 인덱스가 항상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인-밴드 경우에만 FFS인지의 여부.
FDD 대 TDD의 차별화는 Rel-13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주의: NB-MIB에는 적어도 하나의 예약 비트가 있다고 가정한다.
NB-MIB는 NB-SIB1의 TBS를 나타내며, 여기서 NB-SIB1 전송을 위한 다른 TB 크기의 수는 4이다.
여기서, 우리는 NB-MIB 및 NPBCH 디자인의 일부 나머지 이슈들을 논의한다.
NB-IoT에서, 셀에 대한 초기 액세스를 위한 필수 시스템 정보, 예컨대 시스템 프레임 수(SFN)는 NPBCH에 수반된다. 이는 독립형, 가드-밴드 및 인-밴드와 같은 3가지 배치 모드 모두에 대해 동일한 NPBCH 디자인을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R1-160918에서, MIB의 일부 필드가 일부 동작 모드에 필요치 않기 때문에, 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대해 각기 다른 버전의 MIB 콘텐츠를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되어 있다. 소싱(sourcing) 회사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채널 래스터 오프셋과 같은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에 의해 경험되는 일부 유사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3가지 상이한 버전의 MIB 콘텐츠를 규정할 필요는 없지만,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하나, 그리고 독립형을 위해 하나와 같이 2가지 버전의 MIB 콘텐츠를 사용한다. 그러한 MIB의 사이즈는 모든 경우에 동일해야 한다.
관찰 1: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하나, 독립형 동작을 위해 하나로 2가지 버전의 MIB 콘텐츠가 규정될 수 있다.
MIB 콘텐츠에 대한 나머지 이슈
SFN
"NB-IoT SFN의 4의 최상위 비트는 NB-MIB에 표시된다"는 것이 합의되었다. 그러나, HyperSFN을 포함할지의 여부는 여전히 열려있는 이슈이다. RAN1 시뮬레이션에서, NB-MIB는 34-비트 페이로드를 서포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MIB에 일부 또는 전부의 HyperSFN을 수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세부 사항은 RAN2의 입력에 기초해야 한다.
관찰 2: 필요한 경우, RAN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NB-MIB에 일부 또는 전부의 HyperSFN이 배치될 수 있다.
동작 모드 표시, LTE CRS 정보, 래스터 오프셋; 및 시스템 BW
상기 LTE CRS 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이 합의되었다.
"CRS 시퀀스(동일한 PCI 표시자를 참으로 설정한 경우에만 필요), 및 동일한 PCI 표시자(LTE PCI 및 NB-IoT PCI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는 NB-MIB에 표시된다.
이러한 작업 가정은 복조를 위한 LTE CRS의 잠재적 사용에 관한 작업 가정과 관련이 있다.
동일한 PCI 표시자 및 PRB 인덱스가 항상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인-밴드 경우에만 FFS인지의 여부."
상기 인-밴드 동작의 경우, LTE CRS는 채널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NB-IoT 장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CRS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가 MIB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합의했기 때문에, 그 MIB는 동일한 PCI 표시자 및 PRB 인덱스를 포함해야 한다. 2가지 다른 버전의 MIB를 갖기 때문에, 모드 표시에는 1 비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동일한 PCI 표시자에 대해 1 비트가 필요하다.
가드-밴드 및 인-밴드 동작의 경우, 채널 래스터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러한 래스터 오프셋의 값들은 -2.5 kHz, +2.5 kHz, -7.5 kHz, +7.5 kHz일 수 있다. 그러나, 그 절대값만이 시그널링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단지 1 비트만이 필요하다. 다음의 단락에서 이를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LTE CRS의 위치는 PCID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이는 RAN1 NB-IoT Ad Hoc에서 "NB-SSS로부터의 PCID 및 LTE PCID는 동일한 LTE CRS 위치를 나타낸다"라는 점을 합의했다. 따라서, 정확한 LTE CR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NB-IoT 시스템의 PRB 위치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상기 LTE CRS는 이하의 3GPP TS 36.211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37
는 이하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ct00038
여기서
Figure pct00039
는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수이고,
Figure pct00040
는 슬롯 내의 OFDM 심볼 수이다. 의사-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41
는 조항 7.2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한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각각의 OFDM 심볼의 시작에서
Figure pct00042
로 초기화될 것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43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에 따라 슬롯 n s 에서 안테나 포트(p)에 대한 기준 심볼로 사용된 복소수 값 변조 심볼
Figure pct00046
로 맵핑될 것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47
상기 변수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는 상이한 기준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 도멘인에서의 위치를 규정한다. 여기서,
Figure pct00050
는 이하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51
셀-특정 주파수 시프트는
Figure pct00052
에 의해 주어진다.
상기 LTE CRS들이 생성되는 방식으로부터, 우리는 LTE CRS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m'를 제공하는 PRB를 인덱싱하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든 시스템에 대해, 중간 PRB로부터의 오프셋이 알려져 있는 한, LTE CRS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NB-IoT PRB와 LTE 중간 PRB의 오프셋 사이의 오프셋을 시그널링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Figure pct00053
로 중간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PRB 인덱스 넘버링을 규정한다.
여기서, n PRB 는 원래의 PRB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54
는 중간 LTE PRB와 관련된 시그널링되는 새로운 인덱싱이다.
Figure pct00055
의 부호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와 관련된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따라서, 그러한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는
Figure pct00056
로부터 암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관찰 3:
Figure pct00057
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를 시그널링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m'는 여전히
Figure pct00058
로 계산되지만, m
Figure pct00059
로 교체된다. 여기서, 모든 경우 이다. 상기 계산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igure pct00061
m'를 계산하는데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LTE 시스템 대역폭은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홀수 및 짝수의 PRB는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절대값과 관련되며, 추가의 시그널링이 필요치 않다.
그러한 제안된 인덱싱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로 일 예가 주어진다. 새로운 LTE 시스템 대역폭이 추가로 규정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점은 순방향 호환성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안된 인덱싱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일 예로서 10 MHz LTE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레거시 LTE PRB 인덱싱은 0에서 49까지이며, 그러한 인덱싱은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이다. 우리는 NB-IoT 캐리어를 배치하기 위한 가능한 앵커 위치들 중 하나인 PRB 35를 선택한다(이하의 참조 [3]). 제안된 인덱싱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부록에 예가 주어져 있다.
관찰 4: LTE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제안 1: 상기 LTE 시스템의 중간에서 PRB 인덱싱 오프셋을 시그널링하는 것이 제안된다.
최대 18개의 PRB가 NB-IoT 인-밴드 배치를 위한 앵커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인덱싱에 5 비트가 필요하다. 5 비트가 32개의 상이한 인덱싱 값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의 값들은 대응하는 래스터 오프셋을 포함하는 가드-밴드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찰 5: LTE CRS 정보만이 필요한 경우, LTE 시스템의 중간 PRB에서 NB-IoT 앵커 PRB로의 오프셋을 나타내기 위해 5 비트가 필요하다.
관찰 6: 5 비트에 의해 주어진 인덱싱 값들 중 일부는 대응하는 래스터 오프셋을 포함하는 가드-밴드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RS 포트의 수
LTE CRS 포트의 수는 MIB에 MIB에 표시하기로 합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필드는 독립형에 재사용될 수 있다. 현재 릴리스 13의 독립형 동작의 경우 단일의 안테나만이 서포트된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의 릴리스에서는, 예컨대 저전력 노드를 갖는 NB-IoT 시스템을 배치하는 경우에, 2개의 안테나가 독립형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안 2: 1 비트 LTE CRS 포트 표시 필드는 순방향 호환성을 위해 독립형 모드에 재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이슈
RAN1#84에서 논의 동안, 일부 기업들은 현재의 NPBCH 디자인에서 주파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슈를 지적했다. 그러한 현재 NPBCH 디자인은 매 10 ms마다 주파수 추적을 허용한다. 이는 느린 다양한 채널을 경험하는 NB-IoT 장치들에 충분하다. eMTC에서 NPBCH 디자인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추적을 가능하게 하도록 OFDM 심볼 반복을 이용한다. 유사한 디자인이 보다 양호한 주파수 추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NB-IoT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관찰 7: NPBCH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OFDM 심볼 반복은 NPBCH 디코딩을 위해 보다 양호한 주파수 추적을 제공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결론
표 1 및 표 2는 각 필드의 MIB 콘텐츠 및 크기의 추정을 제공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독립형 동작을 위해 MIB에는 총 17 비트가 필요하며, 가드-밴드 및 인-밴드 동작을 위해 MIB에는 총 24 비트가 필요하다.
표 1 MIB 콘텐츠 독립형
Figure pct00062
표 2 MIB 콘텐츠 인-밴드 및 가드-밴드
Figure pct00063
상기의 설명을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 및 관찰들을 갖는다.
제안 1: LTE 시스템의 중간에서 PRB 인덱싱 오프셋을 시그널링하도록 제안된다.
제안 2: 1 비트 LTE CRS 포트 표시 필드는 순방향 호환성을 위해 독립형 모드에 재사용될 수 있다.
관찰 1: 인-밴드 및 가드-밴드 동작을 위해 하나, 독립형 동작을 위해 하나로 2가지 버전의 MIB 콘텐츠가 규정될 수 있다.
관찰 2: 필요한 경우, RAN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NB-MIB에 일부 또는 전부의 HyperSFN이 배치될 수 있다.
관찰 3:
Figure pct00064
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채널 래스터 오프셋의 부호를 시그널링할 필요는 없다.
관찰 4: LTE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관찰 5: LTE CRS 정보만이 필요한 경우, LTE 시스템의 중간 PRB에서 NB-IoT 앵커 PRB로의 오프셋을 나타내기 위해 5 비트가 필요하다.
관찰 6: 5 비트에 의해 주어진 인덱싱 값들 중 일부는 대응하는 래스터 오프셋을 포함하는 가드-밴드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찰 7: NPBCH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OFDM 심볼 반복은 NPBCH 디코딩을 위해 보다 양호한 주파수 추적을 제공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참조
[1] R1-161548, "RAN1 agreements for Rel-13 NB-IoT", source WI rapporteur (Ericsson), RAN1 #84, 15 - 19 Feb 2016, Malta.
[2] R1-160082, NB-IoT Channel Raster, source Ericsson, 3GPP TSG-RAN1 NB-IOT Ad Hoc 18th - 20th Jan 2016, Budapest, Hungary
[3] R1-160022, Channel raster design, source Huawei, HiSilicon, 3GPP TSG-RAN1 NB-IOT Ad Hoc 18th - 20th Jan 2016, Budapest, Hungary
[4] R1-160080, NB-IoT -Synchronization Channel Evaluations, source Ericsson, 3GPP TSG-RAN1 NB-IOT Ad Hoc 18th - 20th Jan 2016, Budapest, Hungary
[5] R1-160021, Synchronization signal evaluation, source Huawei, HiSilicon, 3GPP TSG-RAN1 NB-IOT Ad Hoc 18th - 20th Jan 2016, Budapest, Hungary
[6] RP-152284, "New Work Item: Narrowband IoT (NB-IoT)," sources Huawei and HiSilicon, RAN #70.
[7] 3GPP TS 36.211.
[8] R1-160918, "MIB Contents for NB-IoT", source InterDigital, RAN1 #84, 15 - 19 Feb 2016, Malta.
이러한 예에서, 그러한 제안된 인덱싱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예로서 10 MHz LTE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레거시 LTE PRB 인덱싱은 0에서 49까지이며, 그러한 인덱싱은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이다. 우리는 NB-IoT 캐리어를 배치하기 위한 가능한 앵커 위치들 중 하나인 PRB 35를 선택한다.
PRB 35의 경우, 즉 상기 참조 [7]에 있어서, 우리는
Figure pct00065
를 갖는다.
다음에, 우리는
Figure pct00066
를 갖는다.
그 새로운 인덱싱은 PRB 35를 이하와 같이 LTE 중간 PRB에서 이하의 오프셋으로 맵핑한다.
Figure pct00067
따라서,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프셋, 즉 중간으로부터의 10개의 PRB만을 표시함으로써, 시스템 대역폭
Figure pct00070
을 알지 못해도 동일한 m'가 얻어 질 수 있다.
도 12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는 줄무늬로 표시했고, LTE와 같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는 백색으로 표시했다. 그러한 주파수 리소스는 인-밴드 배치에서 내부 주파수 리소스 오프셋이다.
도 13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제1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로 오프셋된다. 제1주파수 리소스는 대역폭의 인-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주파수 리소스를 가리킨다.
도 14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제1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 오프셋이다. 제1주파수 리소스는 대역폭의 가드-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주파수 리소스를 가리킨다.
도 15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앵커 주파수 리소스인 제1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로 오프셋된다. 제1주파수 리소스는 또한 대역폭의 가드-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주파수 리소스를 가리킨다.
도 16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앵커 PRB인 제1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드-밴드로 오프셋된다. 제1주파수 리소스는 대역폭의 대향의 가드-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 PRB를 가리킨다.
도 17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리소스를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는 앵커 PRB인 제1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 오프셋이다. 제1주파수 리소스는 또한 대역폭의 인-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제1 UE를 위한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 PRB를 가리킨다. 또한, 제1주파수 리소스는 또한 대역폭의 인-밴드에서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제2 UE를 위한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2 PRB를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들이 본원에 더 개시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된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오프셋 및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결정된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전송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는 중간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홀수의 주파수 리소스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는 홀수의 주파수 리소스들 중 가장 중간(middlemost)의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상기 가장 중간의 주파수 리소스는 그 가장 중간의 주파수 리소스의 양 측에서 동일한 수의 주파수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저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고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짝수의 주파수 리소스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짝수의 주파수 리소스들 중 2개의 가장 중간의 주파수 리소스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과 무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획득 단계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된 주파수 리소스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랜덤 액세스가 수행되는 앵커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주파수 리소스는 동기화 시퀀스,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정보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는 NB-IoT 1차 동기화 시퀀스(NB-PSS) 및 NB-IoT 2차 동기화 시퀀스(NB-SSS)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NB-IoT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NB-PBCH)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 전송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앵커 주파수 리소스에 그리고 데이터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비-앵커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주파수 리소스는 비-앵커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사용자 장보(U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리소스는 연속적인 주파수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리소스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리소스는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 또는 가드-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소정 밴드 외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는, 오프셋 및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장치는, 오프셋 및 내부 주파수 리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장치가 본원의 소정 실시예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본원의 소정 실시예들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장치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무선 장치가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를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과 무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 또는 가드-밴드에 배치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리소스는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본원의 소정 실시예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본원의 소정 실시예들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전의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 또는 본 개시의 응용 및 사용을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선행의 사용 분야, 배경, 요약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모든 명시되거나 암시된 이론으로 구속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기능적 또는 논리적 블록 요소들의 관점에서 본원에 기술될 수 있는 다양한 예, 실시예 등을 제공한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형태는 다수의 구성 요소, 요소, 멤버, 모듈, 노드, 주변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 장치(또는 장비), 시스템 또는 제품으로 제공된다. 또한, 이들 방법, 장치, 시스템 또는 제품은 추가의 구성 요소, 요소, 멤버, 모듈, 노드, 주변 장치 등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개시 대상을 실시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컨대, 회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생성하도록 표준 프로그래밍 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여 기능 및 모듈과 같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프로세서 및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또는 특수한 프로세서, 및 특정 비-프로세서 회로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든 기능, 장치 및 시스템들을 실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고유의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모두 포함)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대안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 머신, 또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기능 또는 특정 기능들의 일부 조합은 주문형 논리 회로로 실시된다. 물론, 2가지 접근방식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용가능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동기 부여된 상당한 노력과 많은 디자인 선택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개념 및 원리들에 의해 가이드될 경우, 최소의 실험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 명령과 프로그램 및 IC를 쉽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스트립과 같은 자기 저장 장치;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와 같은 광 디스크; 스마트 카드; 및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리어는 전자 메일(이메일)과 같은 전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거나 인터넷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LAN)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된 것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전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물론, 당업자는 본 개시의 대상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구성에 대한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실시예 전체에 걸쳐, 이하의 용어들은 문맥에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본원에서 명확히 관련된 의미를 취한다. "제1" 및 "제2"등과 같은 관련 용어는 오직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엔티티 또는 동작간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용어 "또는"은 배타적 형태로 나타내는 문맥에서 다르게 또는 명확히 특정하지 않는 한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고자 한다. 또한, 용어 "하나", "한" 및 "그"는 단수 형태로 나타내는 문맥에서 다르게 또는 명확히 특정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 및 그 다양한 형태는 한정하진 않지만 포함한다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예시의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들" 및 다른 유사 용어들의 참조는 그러한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특정 기능, 형태,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실시예가 반드시 특정 기능, 형태,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문구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반복된 사용은 같을 수 있을 지라도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와 관련되지는 않는다. 용어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 "약" 또는 그와 같은 다른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정의되며, 하나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그러한 용어는 10% 이내, 다른 실시에서는 5% 이내, 다른 실시예에서는 1% 이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0.5% 이내로 정의된다. 특정 방식으로 "구성된" 장치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나열되지 않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 및 수반된 도면은 본원에 교시된 방법 및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그와 같이, 본원에 교시된 장치 및 기술들은 상술한 설명 및 수반된 도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 본원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청구범위 및 그 법적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2)

  1.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트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20);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상기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하는 단계(125)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래스터를 이용한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115)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무선 장치가,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특정 기준 신호(CRS) 정보를 결정하고 이러한 채널 추정을 위한 정보를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6.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153)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무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150)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에 대한 PRB 오프셋 및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151); 및
    결정된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152)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11.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장치(105)로서, 상기 무선 장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상기 주파수 리소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의 조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무선 장치(105).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래스터를 이용한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상기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장치(105).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선 장치(105)는 상기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특정 기준 신호(CRS) 정보를 결정하고 이러한 채널 추정을 위한 정보를 제1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하는, 무선 장치(105).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105)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수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105).
  15.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105).
  16.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1)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채널 래스터 오프셋은 셀 검색 프로세스에서 무선 장치(105)에 의해 사용된 채널 래스터와 상기 주파수 리소스간 주파수의 오프셋이고,
    상기 PRB 오프셋은 상기 주파수 리소스와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 주파수 리소스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2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위의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 리소스 및 상기 내부 주파수 리소스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저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노드(101).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셀 검색 프로세스 동안 상기 무선 장치(105)에 의해 수신될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1).
  18. 청구항 16 또는 17에 있어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이 배치되는 주파수 리소스에 대한 PRB 오프셋 및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결정하고;
    결정된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1).
  19. 청구항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무선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MIB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5 비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1).
  20. 청구항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는 PRB 오프셋 및 대응하는 채널 래스터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1).
  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무선 장치(105) 또는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되는 청구항 1 내지 10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무선 장치(105) 또는 네트워크 노드(101)에 의해 수행되는 청구항 1 내지 10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29656A 2016-03-16 2017-03-16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KR20180126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9433P 2016-03-16 2016-03-16
US62/309,433 2016-03-16
PCT/SE2017/050260 WO2017160222A1 (en) 2016-03-16 2017-03-16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001A true KR20180126001A (ko) 2018-11-26

Family

ID=5842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656A KR20180126001A (ko) 2016-03-16 2017-03-16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43186B2 (ko)
EP (1) EP3430761B1 (ko)
KR (1) KR20180126001A (ko)
CN (1) CN109155719B (ko)
BR (1) BR112018068824B1 (ko)
ES (1) ES2774717T3 (ko)
HU (1) HUE047374T2 (ko)
PH (1) PH12018502025A1 (ko)
WO (1) WO2017160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4606B2 (en) * 2015-07-22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IoT in cellular system and system therefor
CN107294684B (zh) * 2016-04-01 2021-07-09 夏普株式会社 配置非锚物理资源块的方法和基站、确定非锚物理资源块位置的方法和用户设备
CN107294681A (zh) * 2016-04-01 2017-10-24 夏普株式会社 配置非锚物理资源块的方法和基站、确定非锚物理资源块位置的方法和用户设备
US10455350B2 (en) 2016-07-10 2019-10-22 ZaiN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location asset tracking via a mesh network
US10523476B2 (en) * 2017-01-11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crambling sequence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019584B2 (en) * 2017-03-14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operation in bandwidth narrower than synchronization signal bandwidth
WO2018170894A1 (en) * 2017-03-24 2018-09-27 Motorola Mobility Llc Determining time-frequency resource using system parameter
US11071073B2 (en) * 2017-04-14 2021-07-20 Qualcomm Incorporated Radio synchronization configuration in different operation modes
US11272510B2 (en) * 2017-05-19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sync raster signaling
CN109392081B (zh) * 2017-08-11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9728892B (zh) 2017-08-11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资源块prb网格的指示方法及设备
US10838037B2 (en) * 2017-08-23 2020-11-17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e radio frequency localization using non-contiguous or discontinuous channels
US10743257B2 (en) * 2017-09-15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wakeup signal transmission
WO2019080120A1 (zh) * 2017-10-27 2019-05-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17715230A (zh) 2017-11-17 2024-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和相关装置
EP4009574A1 (en) 2017-12-06 2022-06-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495131B (zh) * 2018-02-21 2022-07-08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中同步信号块栅格移位方法及其装置
WO2019162920A1 (en) * 2018-02-26 2019-08-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gnalling a frequency offset in a nb-iot tdd network
CN114828249A (zh) * 2018-10-22 2022-07-2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30025011A1 (en) * 2019-09-29 2023-01-26 Nokia Technologies Oy Extended Bandwidth Al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5069B2 (en) * 2010-04-15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EP2385663B1 (en) * 2010-05-07 2016-01-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9247542B2 (en) * 2012-01-31 2016-01-2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pectral usage in extensible carrier deployments
EP2813018B1 (en) * 2012-02-06 2018-05-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termining a transport block size in downlink 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3796323B (zh) * 2014-03-06 2017-03-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用于对物理随机接入信道prach的信道频域偏移量进行调整的方法及设备
KR20160017627A (ko) * 2014-08-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212760B2 (en) * 2015-09-24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synchronization channel design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EP3361793B1 (en) * 2015-11-06 2021-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Frequency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EP4096246A1 (en) * 2016-01-08 2022-11-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equency synchronization for carriers
CN108432318B (zh) * 2016-01-08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装置和系统
EP3403342A4 (en) * 2016-01-15 2019-08-21 Intel IP Corporation EVOLVED NODE-B (ENB), USER DEVICE (U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 CHANNEL RASTER FREQUENCY SUBMISSION
US10278180B2 (en) * 2016-01-15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Raster design for narrowband operatio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S10575272B2 (en) * 2016-02-03 2020-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requency and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46342A1 (ko) *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주) 협대역 io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S2898301T3 (es) * 2016-03-14 2022-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operación de sincronización en redes celulares del internet de las cos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8502025A1 (en) 2019-03-04
ES2774717T3 (es) 2020-07-22
BR112018068824A2 (pt) 2019-01-22
EP3430761B1 (en) 2019-11-27
US20190053061A1 (en) 2019-02-14
BR112018068824B1 (pt) 2022-03-29
CN109155719A (zh) 2019-01-04
US10743186B2 (en) 2020-08-11
CN109155719B (zh) 2021-06-22
WO2017160222A1 (en) 2017-09-21
EP3430761A1 (en) 2019-01-23
HUE047374T2 (hu)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6001A (ko)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CN110176981B (zh)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传输装置
KR101926282B1 (ko) 협대역 배치를 위한 pdcch 설계
AU202220095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iving
CN10847646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8476463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US1097925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0959302A (zh) 基站、终端设备、第一终端设备、方法、程序、记录介质和系统
US20210385827A1 (en) Method and device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215634B2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JP6954409B2 (ja) ユーザ機器、基地局、ユーザ機器の方法、及び基地局の方法
WO2020029038A1 (en) A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plink resource mapping
JP2023036960A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CN114698110A (zh) 资源映射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