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819A -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819A
KR20180125819A KR1020170060616A KR20170060616A KR20180125819A KR 20180125819 A KR20180125819 A KR 20180125819A KR 1020170060616 A KR1020170060616 A KR 1020170060616A KR 20170060616 A KR20170060616 A KR 20170060616A KR 20180125819 A KR20180125819 A KR 20180125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gallate
epigallocatechin
extract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석
유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설록농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설록농장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설록농장
Priority to KR102017006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5819A/ko
Publication of KR2018012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0Processes for modifying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2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4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6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규 육종방법 및 재배방법을 통해 생산된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이하 '차나무 신품종'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육종방법으로 제조한 차나무 신품종은 특히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고함량으로 함유한다.

Description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New Cultivar of Camellia sinensis, Method for Bree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ultiv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규 육종방법 및 재배방법을 통해 생산된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이하 '차나무 신품종'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차나무는 동백나무과(Family: Theaceae), 동백나무속(Genus: Camellia)에 속하는 상록수로, 학명은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이다. 재배종인 차나무는 앗삼종(var. assamica) 및 중국종(var.sinesis)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앗삼종은 대엽의 특성을 가지며, 인도, 스리랑카 등 열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내한성이 약하지만 홍차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중국종은 소엽의 특성을 가지면, 한국, 중국, 일본 등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내한성이 강하다.
한국 재래종 차나무는 주로 중국종으로 분류된다. 차나무는 아열대성 작물로 연평균 기온 14~16℃가 생육 최적 온도이다. 저온은 차나무 생육의 한계요인으로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도 -15℃에서 1시간 경과할 경우 잎이 고사되며, 40℃를 넘을 경우에는 고온장해가 발생한다. 차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강수량은 최소 1,300mm이지만, 최적의 차 재배를 위해서는 연 1,500mm 이상의 강수량을 필요로 한다.
한국의 경우 차나무는 신라 말기 828년 대렴이 중국에서 차 종자를 들여와 지리산 주변에 심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가락국 초기 허황옥의 인도 도입설도 있다. 자생지는 주로 평균기온 13℃의 재배 한계선 이남인 남부지방에 자생되고 있으며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차는 다른 기호 음료에 비해 질소 화합물, 폴리페놀, 당,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아미노산은 차의 맛과 깊은 관계가 있고 데아닌과 같은 특정 아미노산은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또한 이들 아미노산의 성분들이 제품의 가격과 상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차 잎의 성분 중 총 질소 함량은 전통적으로 아미노산과 더불어 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 인자이다.
차 잎의 총 질소 함량 중 약 20중량%는 카페인이며, 그 외의 질소 화합물로는 아미노산, 아미드, 단백질, 핵산 등이 있다. 차 단백질은 제조과정 중 탄닌과 결합하거나 가열에 의해 응고되어 거의 용출되지 않으나, 아미노산과 아미드는 수용성이므로 용출되어 차의 맛에 크게 관여한다.
또한, 차는 예로부터 기호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 작용이 있어 많이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차의 기능성에 주목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에는 특히 폴리페놀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차의 폴리페놀류는 카테킨 화합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류가 대부분이다.
데아닌은 녹차의 총 유리 아미노산 중 약 40~60중량% 정도를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성분으로서 다른 작물들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고 차나무의 잎에만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 데아닌 성분은 차의 감칠맛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총 유리 아미노산, 총 질소와 함께 차의 품질과 상관관계를 보이고 관능 평가와 함께 품질 평가시 중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차나무 신품종 개발에 있어 중요한 선발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차나무는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개체들 사이에 타가수분이 이루어지는 타식성 작물로서, 개체간 변이가 심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재래종 차나무는 단일 품종이 아니라, 유성번식에 의해 오랫동안 내려온 잡종으로, 차나무 각각의 유전적 형질이 모두 달라, 수확시기, 생장 속도, 엽의 형태와 색깔, 성분, 내병성, 내한성 등의 여러 특성들이 다르다. 이러한 재래종은 품종육성을 위한 유전학적 가치는 높지만, 번식을 여러번 거쳐도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면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차나무 품종의 개발이 시급하다.
일 예로, 재래종 차나무에 비해 카테킨 함량이 높고, 이로 인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신규 차나무 품종("장원 1호"로 명명)의 육종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0676호)과, 재래종 차나무에 비해 아미노산 및 데아닌 함량이 높은 신규 차나무 품종("장원 2호"로 명명)의 육종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7751호)이 개발된 바 있다. 이들 육종방법은 모두, 재래종 차나무 중에서 목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차나무를 선발하여, 삽목에 의해 무성 번식시킴으로써 우수한 유전 형질을 변이 없이 반복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신규 차나무 품종의 육종방법은 다소 알려져 있으나, 차나무는 다른 영년생 식물과 마찬가지로 육종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 외에 타식성이여서 유전적으로 매우 잡박하기 때문에 차나무 품종개량이 어렵고, 이들 차나무로부터 얻어지는 찻잎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차나무 신품종을 제조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의 육종방법 및 재배방법을 통해 생산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은 특히 3”-O-Me-EGCG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차나무인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래종 차나무에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갖는 차나무를 선발하는 단계; 상기 선발된 차나무를 첫 번째 차를 수확하지 않은 줄기의 밑부분이 경화되기 시작하는 때 채취하는 단계; 및 1절 1엽과 2절 2엽으로 삽수하고 삽목에 의해 무성번식법으로 번식하는 차나무 신품종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육종방법으로서,
(1) 차나무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육종방법으로 얻어진 차나무 신품종으로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만족하는 차나무 신품종으로서,
(1)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나무에 포함된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기 (1) 내지 (5)의 조건하에서 차나무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재배방법으로서,
(1) 30~45%의 선투과율;
(2) 삽수의 발근을 위하여 하루 2회 관수;
(3) 삽목 후 1개월 경과하여 발근하는데 살수 절제;
(4) 발근 후 최대용수량은 50~60%; 및
(5) 시비는 8월 또는 9월 이후부터 함;과 같은 조건에서 재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육종방법으로 제조한 차나무 신품종은 특히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고함량으로 함유한다.
도 1은 수집한 녹차 나무 생식질(germplasm)의 엘리트라인 선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선별된 녹차 나무의 단일 삽수에 의한 번식법(single cutting propagation)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종자 수탁번호: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12213BP (2012.5.14); 아래 [수탁번호] 참조)은 (주)장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것이다.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은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항암, 항알레르기 효과가 뛰어나 각종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차나무의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얻어진 품종으로, 2006년에 수집된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재래종 차나무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분리 육종의 방법을 실시한 후 생육 특성, 성분 함량 분석 등의 평가로 카테킨 함량이 높은 차나무 소수의 자원을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차나무 자원의 작물학적 특성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품질, 수량성을 고려하여 우수 육성계통과 교배를 실시하였다. 교배 실생을 대상으로 육종 하우스 내에 파종을 하였으며 본 포장에 정식을 한 이후 2010년에 성분분석과 식물특성 평가를 통하여 2차 선발을 실시하였다. 작물학적 특성은 대한민국 국립종자원의 국제식물유전자원평가기준(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하기 제조예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차나무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은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차나무 잎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는, 특히, 그 잎에 카테킨 함량이 높은 특성이 있는데, 차나무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이다.
상기 차나무의 추출물은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또는 뿌리의 수확 시기(수확 계절), 또는 채엽 시기(채엽 계절)에 따라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또는 뿌리에 함유된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의 함량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채엽 시기가 5월인 경우 2.50중량%, 8월인 경우 4.16중량%, 또는 11월인 경우 5.36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차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는 O-메틸화된 형태를 가지는 EGCG으로서, 3”-O-Me-EGCG 또는 EGCG3”Me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는, 특히, 그 잎에 카테킨 함량이 높은 특성이 있는데, 차나무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은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총 8종의 카테킨을 20.55~82.2중량%, 바람직하게는 30.8~61.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51.38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발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찻잎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카테킨의 총함량은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찻잎의 추출물에서 41.1중량%로 나타나,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야부기다 잎의 추출물(28.1중량%), 가나야미도리 잎의 추출물(26.7중량%), 유타가미도리 잎의 추출물(26.4중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은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여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보다 10배 이상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시예 1 및 시험예 1, 표 6 참조).
한편, 다류(茶類) 제품으로서 제조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 및 야부기다 잎의 추출물의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은 야부기다 추출물보다 카테킨의 총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의 3”-O-Me-EGCG)의 함량은 녹차, 우롱차(반발효차) 및 홍차(발효차)에서 각각 4.7mg·g-1, 3.6mg·g-1, 1.94mg·g- 1으로 나타났다(실시예 2 및 시험예 1, 표 7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류의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 평가에서 가공방법과는 무관하게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은 야부기다와 오꾸미도리보다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 모두에서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시험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차나무 신품종의 육종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은, 재래종 차나무에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갖는 차나무를 선발하는 단계; 상기 선발된 차나무를 첫 번째 차를 수확하지 않은 줄기의 밑부분이 경화되기 시작하는 때 채취하는 단계; 및 1절 1엽과 2절 2엽으로 삽수하고 삽목에 의해 무성번식법으로 번식하는 차나무 신품종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나무 신품종의 육종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발되는 차나무는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차나무의 추출물(예컨대, 찻잎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발되는 차나무는 하기 (6) 내지 (17)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갖는 차나무일 수 있다.
(6) 엽록소 함량(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 SPAD)은 58~62;
(7) 총 아미노산(total amino acid, TFAA) 함량은 3.50중량% 이상;
(8) 데아닌 함량은 2.20중량% 이상;
(9) 총 질소 함량은 6.00중량% 이상;
(10) 카페인 함량은 23.5mg/g 이하;
(11) 가지의 수세는 중이며, 가지 굵기 및 가지 밀도는 중간;
(12) 맹아 시기는 3월 하순임;
(13) 개화 시작 시기는 9월이고, 만개 시작 시기는 10월이며, 만개 종료 시기는 10월이고, 개화 종료 시기는 11월임;
(14) 5월, 6~8월 및 10월 3~4회 수확 가능;
(15) 조만성은 중생이고, 내한성은 강이고, 내병성은 중임;
(16) 차나무의 추출물은 6.35~25.4중량%, 바람직하게는 9.53~19.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15.9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바람직하게는 14.1~28.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9~23.5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바람직하게는 3.98~7.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7~6.63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함; 및
(17) 차나무의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 바람직하게는 30.8~61.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51.38중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육종방법은 삽수 후 최하단 잎에서 2~3cm 정도 남겨 자른 가지의 밑부분을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1~2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재래종 차나무에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갖는 차나무를 선발하는 단계; 상기 선발된 차나무를 첫 번째 차를 수확하지 않은 줄기의 밑부분이 경화되기 시작하는 때 채취하는 단계; 및 1절 1엽과 2절 2엽으로 삽수하고 삽목에 의해 무성번식법으로 번식하는 차나무 신품종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나무 품종을 개량하기 위한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차나무의 추출물(예컨대, 찻잎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발되는 차나무는 하기 (6) 내지 (17)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갖는 차나무일 수 있다.
(6) 엽록소 함량(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 SPAD)은 55~75, 바람직하게는 58~62, 더욱 바람직하게는 63.1;
(7) 총 아미노산(total amino acid, TFAA) 함량은 3.50중량% 이상;
(8) 데아닌 함량은 2.20중량% 이상;
(9) 총 질소 함량은 6.00중량% 이상;
(10) 카페인 함량은 23.5mg/g 이하;
(11) 가지의 수세는 중이며, 가지 굵기 및 가지 밀도는 중간;
(12) 맹아 시기는 3월 하순임;
(13) 개화 시작 시기는 9월이고, 만개 시작 시기는 10월이며, 만개 종료 시기는 10월이고, 개화 종료 시기는 11월임;
(14) 5월, 6~8월 및 10월 3~4회 수확 가능;
(15) 조만성은 중생이고, 내한성은 강이고, 내병성은 중임;
(16) 차나무의 추출물은 6.35~25.4중량%, 바람직하게는 9.53~19.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15.9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바람직하게는 14.1~28.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9~23.5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바람직하게는 3.98~7.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7~6.63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함; 및
(17) 차나무의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 바람직하게는 30.8~61.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51.38중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육종방법은 삽수 후 최하단 잎에서 2~3cm 정도 남겨 자른 가지의 밑부분을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1~2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삽목의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첫물차 생육기에 수확을 하지 않은 가지를 이용하여 삽수를 채취한 후 1절 1엽과 2절 2엽으로 40~50°의 각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절단을 한 후 삽수 아랫잎의 2~3cm 아래에서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한 삽수는 즉시 물에 담구어 수분 증산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또는 근적외분광분석(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육종방법으로 얻어진 차나무 신품종으로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만족하는 차나무 신품종에 관한 것이다:
(1)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예컨대, 찻잎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나무 신품종은 하기 (6) 내지 (17)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갖는 차나무일 수 있다.
(6) 엽록소 함량(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 SPAD)은 55~75, 바람직하게는 58~62, 더욱 바람직하게는 63.1;
(7) 총 아미노산(total amino acid, TFAA) 함량은 3.50중량% 이상;
(8) 데아닌 함량은 2.20중량% 이상;
(9) 총 질소 함량은 6.00중량% 이상;
(10) 카페인 함량은 23.5mg/g 이하;
(11) 가지의 수세는 중이며, 가지 굵기 및 가지 밀도는 중간;
(12) 맹아 시기는 3월 하순임;
(13) 개화 시작 시기는 9월이고, 만개 시작 시기는 10월이며, 만개 종료 시기는 10월이고, 개화 종료 시기는 11월임;
(14) 5월, 6~8월 및 10월 3~4회 수확 가능;
(15) 조만성은 중생이고, 내한성은 강이고, 내병성은 중임;
(16)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은 6.35~25.4중량%, 바람직하게는 9.53~19.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15.9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바람직하게는 14.1~28.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9~23.5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바람직하게는 3.98~7.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7~6.63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함; 및
(17)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 바람직하게는 30.8~61.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51.38중량%.
본 발명에서는 재래종 차나무의 일반적인 재배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삽목 직후에 해가림을 실시하며 선투과율 30~45% 내외가 되도록 한다. 삽수는 발근할 때까지는 절화(切花)와 같이 아랫쪽 잘린 절구(切口)로부터 흡수되어 생존해가기 때문에 보통은 아침·저녁으로 충분히 관수한다. 삽목 후 약 1개월 경과하여 발근하는데 삽수를 약간 절제한다. 발근 후는 최대용수량의 50~60%가 적당하다. 시비는 8월 이후부터 하며 추비(9월)부터 시작해도 좋다. 묘상에서의 제초, 병해충 방제는 정성들여 실시해야 하며, 충분하게 발근, 생육 후에 해가림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차나무에 포함된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기 (1) 내지 (5)의 조건하에서 차나무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1) 30~45%의 선투과율;
(2) 삽수의 발근을 위하여 하루 2회 관수;
(3) 삽목 후 1개월 경과하여 발근하는데 살수 절제;
(4) 발근 후 최대용수량은 50~60%; 및
(5) 시비는 8월 또는 9월 이후부터 함.
상기 재배되는 차나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하기 특성 (1) 내지 (16)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신품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예컨대, 찻잎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8~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6.00중량%;
(2) 엽록소 함량(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 SPAD)은 58~62;
(3) 총 아미노산(total amino acid, TFAA) 함량은 3.50중량% 이상;
(4) 데아닌 함량은 2.20중량% 이상;
(5) 총 질소 함량은 6.00중량% 이상;
(6) 카페인 함량은 23.5mg/g 이하;
(7) 엽폭은 37~47mm, 바람직하게는 39~4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4.1mm이고, 엽장은 85~95mm, 바람직하게는 87~9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4~9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94.2mm이며, 엽면적은 2200~3200mm2 또는 4000~4500mm2, 바람직하게는 2500~2800mm2 또는 4100~4300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0~4200mm2,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4.2mm2;
(8)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9) 신아장은 145.0~165.0mm, 바람직하게는 150.0~16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0~164.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3.5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바람직하게는 128.0~139.0g/100bud,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139.0g/100bud, 가장 바람직하게는 138.3g/100bud;
(10)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이고, 가지의 수세는 중이며, 가지 굵기 및 가지 밀도는 중간;
(11) 맹아 시기는 3월 하순임;
(12) 개화 시작 시기는 9월이고, 만개 시작 시기는 10월이며, 만개 종료 시기는 10월이고, 개화 종료 시기는 11월임;
(13) 5월, 6~8월 및 10월 3~4회 수확 가능;
(14) 조만성은 중생이고, 내한성은 강이고, 내병성은 중임;
(15)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은 6.35~25.4중량%, 바람직하게는 9.53~19.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15.9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바람직하게는 14.1~28.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9~23.5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바람직하게는 3.98~7.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7~6.63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함; 및
(16)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 바람직하게는 30.8~61.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51.38중량%.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 제조예 ] 차나무 품종을 개량하기 위한 육종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신품종인 장원 3호는, 재래종, 야생종 차나무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교잡육종의 방법을 실시하여 차나무의 화학적 성분 평가(하기 표 2 참조) 및 생육 특성 검정(하기 표 3 참조) 등의 분석을 통한 평가로 선발된 차나무 모본을 대상으로 첫물차(5월 초) 생육 시기가 지난 가지를 삽수로 사용하여 무성적 증식 과정을 통해 육성하여 차나무 모수와 동일하게 우수한 특성(하기 표 4 참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신품종으로서,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서리 1241번지에 위치한 설록차 연구소에서 개발한 것이다.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 선발된 차나무 신품종을 "장원 3호"라 명명하였으며, 신품종인 장원 3호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종자기탁을 완료하였다(종자 수탁번호: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12213BP (2012.5.14)).
본 실시예에서 작부 방식 및 재배 관리는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번에 준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교잡육종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교잡육종은 일차적으로 국내 재래종 차나무 유전자원들 중에서 특이 기능성분인 3"-O-Me-EGCG가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유전자원들을 선발한 후, 상기 유전자원을 모본으로 교배를 하여 실생 후대를 얻은 후 육성하되 3"-O-Me-EGCG이 고함량으로 함유된 엘리트라인을 육성하였다.
상기 엘리트라인 중에서, 하기 각 특성들을 기준으로 기본적인 생육 특성이 우수한 차나무를 최종적으로 품종화하였다. 하기 각 특성은 대한민국 국립종자원의 국제식물유전자원평가기준(UPOV)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맹아시기 및 엽 특성(엽형, 모용, 엽색, 엽폭, 엽장, 엽면적, 엽록소 함량 등);
(ii) 신아 특성: 신아장 및 백아중;
(iii) 가지 특성: 수자, 수세, 가지 굵기 및 가지 밀도;
(iv) 개화 특성: 개화 시작 시기, 만개 시작 시기, 만개 종료 시기 및 개화 종료 시기; 및
(v) 기타 특성: 조만성, 내한성, 내병성 및 수확기
상기 생육 특성 검정은, 더욱 상세하게는, 첫물차 기간 중(4월 24일부터 5월 5일) 신아를 대상으로 출개도 70% 시기에, 가로, 세로 20cm의 격자를 차나무 위에 높고 격자 내의 1심 3엽 부위까지 새싹을 모두 채취하여 조만성, 엽장, 엽폭, 신아장, 신아중 등의 생육 지표 평균값을 대한민국 국립종자원의 국제식물유전자원평가기준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조만성은 전체 새싹 중 발아한 새싹의 비율이 70%가 되는 맹아기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신아장은 새싹 기부에서부터 제일 상위엽까지의 잎줄기 길이를 측정하였다. 신아중은 새싹 100개의 무게인 백아중으로 평가하였다. 엽장, 엽폭, 엽면적의 조사 부위는 채취된 신아의 상부로부터 3번째 잎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엽면적은 엽면적 측정기(LI-3100 Area Meter, LI-COR. Inc.,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차나무 신품종의 선별 기준인 작물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특성 선별 기준
맹아 시기 맹아 시기 3월 하순 (3월 19일부터 3월 29일)
엽 특성 엽형 장타원형
모용(毛茸) 중간
엽색 녹색
엽폭(mm) 37~47
엽장(mm) 85~95
엽면적(mm2) 2200~3200
엽록소 함량(SPAD) 55~75
신아 특성 신아장(mm) 145.0~165.0
백아중(g/100bud) 123.0~143.0
가지 특성 수자 직립성
수세
가지 굵기 중간
가지 밀도
개화 특성 개화 시작 9월 17일부터 9월 27일
만개 시작 9월 30일부터 10월 10일
만개 종료 10월 14일부터 10월 24일
개화 종료 11월 15일부터 11월 25일
조만성 중생
내한성
내병성
수확기 년 3회(바람직하게는, 5월, 7월, 10월)
하기 표 2는 차나무 신품종의 선별 기준인 화학적 성분 평가를 위한 화학성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함량 특성 함량 범위
3”-O-Me-EGCG(mg/g) 4.00 이상
아미노산(TFAA) 총함량(중량%) 3.50 이상
데아닌 함량(중량%) 2.20 이상
질소 함량(중량%) 6.00 이상
카페인 함량(mg/g) 23.5 이하
카테킨 총함량(mg/g) 100.0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SPAD" 값은 엽록소 측정기(chlorophyll meter, SPAD-502,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잎의 녹색 정도를 측정하여 잎의 엽록소 함량이나 질소함량을 예측하는 비파괴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SPAD(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는 일본 농림수산성에서 토양과 식물체 분석기술 개발사업(Soil & Plant analyzer development, SPAD)에 의해 개발된 계측기이다. 이 계측기의 원리는 엽록소에 민감한 파장대인 650nm와 둔감한 파장대인 940nm 대역의 빛을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이 빛을 2*3mm 창으로 통과하게 한 후 두께가 1.2mm이내의 식물체 잎을 통과한 빛 강도를 실리콘 광다이오드로 측정하고 두 파장대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엽록소 함량을 -9.9부터 99.9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 준다.
또한, 근적외분광분석기(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데아닌, 총 아미노산(Total Amino Acid, TFAA), 총질소, 카페인, 카테킨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용 샘플은 첫물차(5월 초) 기간 중 1심 5엽기 출개도 70%인 시기를 기준으로 신초 상위 제1엽~제3엽까지 100g을 채취하여, 증열기(TERADA)에서 40초간 통과시켜 찌고 80℃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말로 가공하여 60메쉬 체로 사별하여 얻은 분말을 이용하였다.
근적외분광분석은 NIR Analyzer (NIRs-XDS, Foss)를 사용하여 시료별 근적외 흡광 스펙트럼(400-2500nm)을 측정하고 개별 함량을 산출하였다.
하기 표 3은 차나무 신품종의 선별 기준인 생육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특성 선별 기준
맹아 시기 맹아 시기 3월 21일부터 3월 27일
엽 특성 엽형 장타원형
모용(毛茸) 중간
엽색 녹색
엽폭(mm) 39~44
엽장(mm) 87~92
엽면적(mm2) 2500~2800
엽록소 함량(SPAD) 58~62
신아 특성 신아장(mm) 150.0~160.0
백아중(g/100bud) 128.0~138.0
가지 특성 수자 직립성
수세
가지 굵기 중간
가지 밀도
개화 특성 개화 시작 9월 20일부터 9월 24일
만개 시작 10월 3일부터 10월 7일
만개 종료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
개화 종료 11월 18일부터 11월 22일
조만성 중생
내한성
내병성
수확기 5월, 7월, 10월
상기와 같은 선별 기준을 통해서 교잡육종에 의해 얻어진 차나무 신품종인 "장원 3호"는 하기 표 4의 특성을 갖는다.
특성 장원 3호 결과
맹아 시기 맹아 시기 3월 22일
엽 특성 엽형 장타원형
모용(毛茸) 중간
엽색 녹색
엽폭(mm) 44.1
엽장(mm) 94.2
엽면적(mm2) 4154.2
엽록소 함량(SPAD) 63.1
신아 특성 신아장(mm) 163.5
백아중(g/100bud) 138.3
가지 특성 수자 직립성
수세
가지 굵기 중간
가지 밀도
개화 특성 개화 시작 9월 20일
만개 시작 10월 3일
만개 종료 10월 20일
개화 종료 11월 26일
조만성 조중생
내한성
내병성
수확기 5월, 6월, 8월, 10월
[ 실시예 1]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상술한 육종방법에 의해 선발된 차나무 신품종인 장원 3호를 첫물차(5월 초) 기간 중 1심 5엽기 출개도 70%인 시기를 기준으로 신초 상위 제1엽~제3엽까지 채취하여 증열기에서 40초간 통과시켜 찌고 80℃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말 가공하여 60메쉬 체로 사별하고 분말화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분쇄시료 100g에 1L의 70%(v/v) 에탄올 수용액(absolute ethanol 70%(v/v) + distilled water 30%(v/v))을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최종적으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건조된 추출물(실시예 1) 19.2g을 확보하였다.
[ 비교예 1] 야부기다(일반 차나무 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대신에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야부기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야부기다 잎의 건조된 추출물 17.5g을 확보하였다.
[ 비교예 2] 가나야미도리(일반 차나무 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대신에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가나야미도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가나야미도리 잎의 건조된 추출물 17.1g을 확보하였다.
[ 비교예 3] 유타가미도리(일반 차나무 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대신에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유타가미도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유타가미도리 잎의 건조된 추출물 18.3g을 확보하였다.
[실시예 2]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다류(茶類)용 추출물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인 장원 3호의 차나무 잎을 재배 시기별로 채취한 다음, 종래 가공방법에 따라 다양한 다류 제품을 제조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차나무 신품종인 장원 3호의 차나무 잎을 증기로 찌거나 볶는 과정을 통하여 산화효소를 불활성화시켜 발효과정을 방지하는 녹차(불발효차)를 제조하고, 녹차의 발효 진행도(진행상태)에 따라 우롱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또는 미생물 발효에 의한 후발효차를 제조하였다(하기 제형예 10 참조).
[ 비교예 4] 야부기다(일반 차나무 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다류(茶類)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대신에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야부기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불발효차, 우롱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및 후발효차를 제조하였다(하기 제형예 10 참조).
[ 비교예 5] 오꾸미도리(일반 차나무 품종)의 추출물의 제조
다류(茶類)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대신에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오꾸미도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불발효차, 우롱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및 후발효차를 제조하였다(하기 제형예 10 참조).
[ 시험예 1] 추출물 성분 비교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야부기다 잎의 추출물,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가나야미도리 잎의 추출물,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유타가미도리 잎의 추출물 각각의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 분석을 위해, 상기 추출물 각각을 50% 메탄올에 녹여 10,000ppm 용액으로 만든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크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Waters사)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 (Waters사, 2996 PDA 검출기)을 진행하였다. 고정상은 Kanto Chemical의 Mightysil RP-18 GP 250*4.6 (5μm) 칼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비를 사용하였다. 필요한 경우,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 분석은 근적외분광분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시간 (분) A: 물 B: 아세토나이트릴
0 90 10
10 90 10
30 85 15
42 80 20
44 5 95
45 5 95
49 90 10
50 90 10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킨의 총함량은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에서 41.1중량%로 나타나,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인 야부기다 잎의 추출물(28.1중량%), 가나야미도리 잎의 추출물(26.7중량%), 유타가미도리 잎의 추출물(26.4중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은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를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일반 차나무 도입 품종보다 10배 이상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카테킨의 총함량 및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의 함량 차이로 인하여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으로부터 유래되는 추출물은 일반 차나무 품종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더욱 우수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항목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
(실시예 1)
(중량%)
야부기다
추출물
(비교예 1)
(중량%)
가나야미도리
추출물
(비교예 2)
(중량%)
유타가미도리
추출물
(비교예3)
(중량%)
(1) 갈로카테킨
(gallocatechin, GC)
0.5 0.4 0.2 0.4
(2) 에피갈로카테킨
(epigallocatechin, EGC)
12.7 7.7 7.6 8.4
(3) 카테킨
(catechin, C)
0.5 0.2 0.3 0.4
(4) 에피카테킨
(epicatechin, EC)
3.1 2.0 1.6 1.9
(5)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18.8 15.1 14.6 12.1
(6)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allocatechin gallate, GCG)
0.2 0.1 0.1 0.2
(7)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epicatechin gallate, ECG)
5.3 2.6 2.3 3.0
(8) 카테킨 갈레이트
(catechin gallate, CG)
N/D
(Not detected)
N/D N/D N/D
(1)~(8): 8종 카테킨의 총함량 41.1 28.1 26.7 26.4
3"-O-Me-EGCG의 함량 2.5 0.2 0.1 0.2
카페인(caffeine)의 함량 6.6 5.0 4.9 4.7
한편,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야부기다 잎의 추출물의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은 비교에 4의 야부기다 추출물보다 카테킨의 총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때, 상기 카테킨의 총함량은 갈산(gallic acid, GA),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의 총함량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 2의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잎의 추출물의 3”-O-Me-EGCG)의 함량은 녹차, 우롱차(반발효차) 및 홍차(발효차)에서 각각 4.7mg·g-1, 3.6mg·g-1, 1.94mg·g-1으로 나타났다. 즉,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잎에 함유된 3”-O-Me-EGCG은 기타 카테킨 화합물과 같이 가공 시 산화반응에 의해 카테킨 중합체인 데오플라빈, 데오루비딘 등의 성분으로 변화되어 다류에 포함된 3”-O-Me-EGCG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나무
품종
다류
(茶類)
GA GC EGC C EGCG EC GCG 3"-O-Me-EGCG ECG 총함량
(mg·g-1)
야부기다
(비교예 4)
불발효차 2.20 2.70 21.30 1.20 59.30 7.78 3.20 0.00 12.10 109.78
반발효차 1.30 2.10 13.20 0.90 34.20 0.58 0.21 0.00 7.50 59.99
발효차 1.23 1.90 1.44 0.47 7.25
1.16 1.75 0.00 7.90 23.1
차나무 신품종
(장원 3호)
(실시예 2)
불발효차 3.80 2.90 22.51 1.00 66.77 8.06
2.42
4.70 14.30 126.46
반발효차 2.10 1.82 16.30
0.52 42.10 1.11 1.20 3.60 9.40 78.15
발효차 1.92 1.20 1.05 0.33 12.94 5.82 2.86
1.94 11.75 39.81
[ 시험예 2] 실시예 2 및 비교예 4~5에서 제조된 추출물들의 관능 평가
녹차(불발효차), 우롱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또는 흑차(黑茶)(후발효차)는 형상, 색상, 향, 수색, 맛 등의 특성이 서로 상이한데, 특히 우롱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또는 흑차(후발효차)는 발효 진행도에 따라서 향, 수색, 맛 등의 기호성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며 함유된 성분도 변화를 하게 되는데, 극차광을 통한 찻잎을 대상으로 발효도에 따른 가공방법에 의한 기호성과 기능성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상기 실시예 2의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 비교예 4의 야부기다(일본 품종) 추출물 및 비교예 5의 오꾸미도리(일본 품종) 추출물에 대하여, 다류(茶類)로서의 기호성 및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외관 평가(형상, 색상; 40점 만점) 및 내질 평가(향기, 수색, 맛; 60점 만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 평가에서 가공방법과는 무관하게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은 야부기다와 오꾸미도리보다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 모두에서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각종 다류 제조에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품
(가공형태)
품종 외관 평가
(40점)
내질 평가
(60점)
합계
(100점)
형상 색상 향기 수색
녹차
(불발효차)
야부기다 18 18 19 18 18 91
오꾸미도리 17 18 18 18 18 89
차나무 신품종
(장원 3호)
18 19 18 18 19 92
우롱차
(반발효차)
야부기다 17 16 16 15 16 80
오꾸미도리 17 17 16 17 16 83
차나무 신품종
(장원 3호)
18 18 19 19 19 93
홍차
(발효차)
야부기다 17 16 15 16 14 78
오꾸미도리 17 17 15 16 15 80
차나무 신품종
(장원 3호)
18 18 19 19 19 93
흑차
(후발효차)
야부기다 17 17 15 17 15 81
오꾸미도리 17 16 15 16 14 78
차나무 신품종
(장원 3호)
18 19 19 19 18 93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 제형예 1] 영양화장수의 제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실시예 1 또는 2)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1
[ 제형예 2] 영양크림의 제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실시예 1)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 제형예 3] 마사지 크림의 제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실시예 1)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 제형예 4] 팩의 제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실시예 1) 0.5
노닐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6.0
[ 제형예 5] 연고의 제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 추출물(실시예 1)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 제형예 6] 연질 캡슐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실시예 1)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캡슐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7] 정제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실시예 1)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4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8] 드링크제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실시예 1)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첨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게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9] 과립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추출물(실시예 1)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제조하였다.
[ 제형예 10] 다류 조성물의 제조
차나무 신품종(장원 3호)의 차 잎에서 폴리페놀 분해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옥시데이즈(Polyphenol oxidase)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일러로 가동되는 증열기를 사용해 사용 차엽 온도를 90℃로 30초 정도 유지하였다. 이후 수분함량이 6%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건조한 후 마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4mm가 되도록 마쇄한 다음 이를 1.0g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213BP 20120514

Claims (15)

  1. 재래종 차나무에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갖는 차나무를 선발하는 단계; 상기 선발된 차나무를 첫 번째 차를 수확하지 않은 줄기의 밑부분이 경화되기 시작하는 때 채취하는 단계; 및 1절 1엽과 2절 2엽으로 삽수하고 삽목에 의해 무성번식법으로 번식하는 차나무 신품종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육종방법:
    (1) 차나무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임;
    (2) 엽폭은 37~47mm, 엽장은 85~95mm, 엽면적은 2200~3200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35~25.4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수 후 최하단 잎에서 2~3cm 정도 남겨 자른 가지의 밑부분을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1~2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또는 근적외분광분석(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에 의해 측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육종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육종방법으로 얻어진 차나무 신품종으로서, 하기 (1) 내지 (5)의 특성을 만족하는 차나무 신품종:
    (1)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임;
    (2) 엽폭은 37~47mm, 엽장은 85~95mm, 엽면적은 2200~3200mm2;
    (3) 엽형은 장타원형이고, 모용은 중간이며, 엽색은 녹색;
    (4) 신아장은 145.0~165.0mm이고, 백아중은 123.0~143.0g/100bud; 및
    (5) 가지의 수자는 직립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 신품종.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35~25.4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 신품종.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 신품종.
  11. 차나무에 포함된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기 (1) 내지 (5)의 조건하에서 차나무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신품종의 재배방법:
    (1) 30~45%의 선투과율;
    (2) 삽수의 발근을 위하여 하루 2회 관수;
    (3) 삽목 후 1개월 경과하여 발근하는데 살수 절제;
    (4) 발근 후 최대용수량은 50~60%; 및
    (5) 시비는 8월 또는 9월 이후부터 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한 차나무 신품종의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중 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O-(3-O-methyl) gallate; EGCG3”Me; 3”-O-Me-EGCG)의 함량은 1.25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의 카테킨의 총함량은 20.55~82.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35~25.4중량%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9.4~37.6중량%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2.65~10.6중량%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차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KR1020170060616A 2017-05-16 2017-05-16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KR20180125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16A KR20180125819A (ko) 2017-05-16 2017-05-16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16A KR20180125819A (ko) 2017-05-16 2017-05-16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819A true KR20180125819A (ko) 2018-11-26

Family

ID=6460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616A KR20180125819A (ko) 2017-05-16 2017-05-16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58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129A (zh) * 2019-09-11 2019-12-13 安徽西山湖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育苗大棚繁育油茶苗的方法
CN115413578A (zh) * 2021-06-18 2022-12-02 重庆市风景园林科学研究院 一种利用未成熟杂交种子培育山茶花新品种幼苗的方法
KR20230170163A (ko) 2022-06-09 2023-1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차나무 및 이의 육종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129A (zh) * 2019-09-11 2019-12-13 安徽西山湖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育苗大棚繁育油茶苗的方法
CN115413578A (zh) * 2021-06-18 2022-12-02 重庆市风景园林科学研究院 一种利用未成熟杂交种子培育山茶花新品种幼苗的方法
CN115413578B (zh) * 2021-06-18 2023-05-16 重庆市风景园林科学研究院 一种利用未成熟杂交种子培育山茶花新品种幼苗的方法
KR20230170163A (ko) 2022-06-09 2023-1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차나무 및 이의 육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et al. Beyond the Bounty: Breadfruit (Artocarpus altilis) for food security and novel foods in the 21st Century
Ahmed et al. Green tea: The plants, processing,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Le Bellec et al. Pitahaya (pitaya)(Hylocereus spp.)
Rymbai et al. Analysis study on potential underutilized edible fruit genetic resources of the foothills track of Eastern Himalayas, India
Spin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flavonoid content in assessing quality of wild and cultivated vegetables for human consumption
Schmitzer et al. European elderberry (Sambucus nigra L.) and American Elderberry (Sambucus canadensis L.): Botanical, chemical and health properties of flowers, berries and their products
KR20180125828A (ko) 차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Bhowmick Some lesser known minor fruit crops of northern parts of West Bengal
Sabir et al. Pharmaco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Cydonia oblonga: A review
KR20180125819A (ko) 차나무 신품종, 이의 육종방법, 및 이의 재배방법
Peschel et al. Variability of total flavonoids in Crataegus—factor evaluation for the monitored production of industrial starting material
Tripathi Passion fruit
Ahlawat et al. Black mulberry (Morus nigra)
KR101213200B1 (ko) 신품종 차나무의 육종방법
KR101448718B1 (ko) 데아닌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신품종 차나무의 육종방법
Rymbai et al. Vegetative propagation, biochemical and antioxidants characteristics of Antidesma bunius L. Spreng in eastern Himalayas, India
Çelik et al. Growth-Development,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onia varieties grown in pots
Sabri et al. Tea
Prisa Pitahaya a New Superfood: Cultivation Methods and Medicinal Properties of the Fruit
Allai et al. Black Currant
Verma et al. A study on Stevia Rebaudiana: A review
Lihuan et al. Wild fruit resources and exploitation in Xiaoxing’an Mountains
Sharaf-Eldin Studies on the effect of some agricultural treatment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artichoke (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L.) Fiori) and their relation to earliness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s of heads
Ahmad et al. High value horticultural crops
Wcdt et al. Review on Utility of an Astonishing Fruit: Psidium Guajava (Gua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