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576A -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576A
KR20180125576A KR1020187031154A KR20187031154A KR20180125576A KR 20180125576 A KR20180125576 A KR 20180125576A KR 1020187031154 A KR1020187031154 A KR 1020187031154A KR 20187031154 A KR20187031154 A KR 20187031154A KR 20180125576 A KR20180125576 A KR 2018012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band
capabi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벨리시
타오 쿠이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8012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캐퍼빌리티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스케줄링 방법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특정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중 캐리어 사이드 링크 동작을 위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정보(capability information)의 시그널링에 관한 것이다.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Release12는 상용 및 공공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기기 대 기기(D2D, "사이드링크"로도 지칭) 기능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기기 디스커버리를 포함하고, 기기는 기기 및 애플리케이션 ID를 전달하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및 탐지하여 인접한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확립한다.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기기 간 직접 연결된 물리적 채널을 기초한 직접 통신을 포함한다. 3GPP에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ProSe (Proximity Services) 하에 정의된다.
ProSe 체계에서 하나의 확장은, 차량, 보행자 및 인프라 간 직접 통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V2X 통신을 포함한다. V2X 통신은 이용 가능한 경우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지만, 기본 V2X 연결은 커버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가능할 수 있다. LTE 기반 V2X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LTE의 규모의 경제로 인해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LTE 기반 V2X 인터페이스는, 전용 V2X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네트워크 인프라(V2I), 보행자(V2P) 및 다른 차량(V2V)과의 통신 간 더 긴밀한 통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연구 프로젝트 및 연결된 차량의 현장 테스트는 다양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셀룰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V2X 통신은 안전 및 비안전 정보 모두를 전달할 수 있다. 각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는 (예를 들어, 대기 시간, 안정성, 용량 등의 관점에서) 특정 요구 사항들과 관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V2X는 다음의 통신/서비스의 유형들 V2V, V2I, V2P, V2N을 포함한다.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V2X 통신의 다양한 유형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차량 대 네트워크(V2N), 차량 대 보행자와 같은 사람(V2P), 차량 대 도시된 신호등과 같은 인프라(V2I), 차량 대 차량(V2V) 간의 통신을 도시한다.
차량 대 차량(V2V)는 V2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차량 간 직접 통신을 지칭하며, 대부분 브로드캐스트 기반이다. V2V는 각 차량 내 기기 간 직접 통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V2V의 일례로는 인접한 다른 차량에 반복적으로 (100ms-1 초마다) 전송되는 차량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위치, 방향 및 속도)와 함께 CAM (Cooperative Awareness Message)의 전송이다. 또 다른 예로는 차량에 경고하기 위한 이벤트 트리거 메시지인 DENM (Decentralized Environmental Notification Message)의 전송이다. 이 두 예시는 메시지가 생성되는 조건을 지정하기도 하는 V2X 애플리케이션의 ETSI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사양에서 취한 것이다. V2V 애플리케이션의 한 가지 특징은 대기 시간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으로, 20 밀리초 (충돌 전 경고 메시지의 경우)부터 다른 교통 안전 서비스의 경우 100 밀리초까지 다양할 수 있다.
V2I (차량 대 인프라)는 차량과 노변 장치 (RSU) 간의 통신을 지칭한다. RSU는 인접한 차량과 통신하는 고정 운송 인프라 엔티티이다. V2I의 일례로는 대기열 정보, 충돌 위험 경고, 커브 속도 경고 뿐 아니라 RSU로부터 차량으로의 속도 알림 전송이다. V2I의 안전 관련 특성 때문에, 지연 요구 사항은 V2V 요구 사항과 유사하다.
V2P (보행자 대 차량)는 차량과V2P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보행자와 같은 취약한 도로 사용자 간의 통신을 지칭한다. V2P는 일반적으로 직접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통해 각 차량과 보행자 사이에서 발생한다.
V2N (차량 대 네트워크)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통해 V2N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차량과 중앙집중식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ITS 교통 관리 센터) 간의 통신을 지칭한다. 예로서 광역에서 모든 차량으로 보내지는 교통 상태 정체 경고, 또는 V2N 애플리케이션이 차량에 속도를 제안하고 신호등을 조정하는 교통 흐름 최적화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V2N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중앙집중식 엔티티 (즉, 교통 관리 센터)에 의해 제어되고, 좁은 지리적 영역보다는 큰 지리적 영역에서 차량에 공급된다. 또한, V2V/V2I와는 다르게,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이 V2N보다 완화되어 있는데, 이는 비안전 목적으로 이용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초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이 일반적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 V2X의 표준의 개발은 ETSI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G5 및 IEEE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사양군과 같은 IEEE 802.11p 전용 근거리 통신(DSRC)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은 5.9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있다.
DSRC 기반 V2X 통신은 근본적으로 근거리 (예를 들어, 250-500m)를 제공한다. 광역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것은 릴레이로 사용될 수 있는 노변 장치 (RSUs)의 배치에 달려있다. 게다가, DSRC 기반 RSU를 교통 관리 센터에 연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RC상에서 V2N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노변 장치 (RSU)를 사용하는 DSRC 기반 V2X 통신을 도시한다. 교통 관리 센터(8)는 네트워크(12)를 통해 차량(10)과 통신할 수 있다. 노변 장치(14)는 교통 관리 센터(8)로부터 차량(10)으로의, 또는 둘 이상의 차량(10) 간의 통신을 릴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관리 센터(8)는 차량(10)에 다른 두 차량(10) 간의 충돌을 알릴 수 있다.
순수 릴레이 기능의 제공 외에도, RSU는 일반적으로 차량 대 인프라(V2I) 통신에도 관련한다. RSU가 관련된 사용 사례의 일부 예로는 인프라를 통한 V2I 비상 정지, 대기열 경고, 자동 주차 시스템 및 V2X 교통 안전 서비스가 있다.
일부 V2X 구현은 LTE를 사용한다. DSRC의 범위 제한으로 인해, 그리고 V2X만을 위한 새롭고 개별적인 기술 및/또는 무선 인프라를 배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V2X통신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를 재사용하는 것은 유익하다.
그러나 셀룰러 네트워크 인프라에만 의존하는 V2V 통신은, 모든 유형의 차량 애플리케이션을 단독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인프라는 인접한 다수의 차량 간 정보의 빠른 교환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직접 무선 통신은 여전히 보완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3GPP는 V2X 서비스를 위해 무선 기술로서 LTE를 포함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의 사용을 조사하고 있는데, V2X 서비스를 위한 LTE 지원에 대한 연구인 3GPP TR 22.885 V14.0.0 (2015-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ease 14가 V2X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도록 하는 의도이다. 3GPP Release 12에 도입된 ProSe (Proximity-based Services) (즉, D2D)는 사이드링크 (즉, 3GPP Release 12에 도입된 UE간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V2X 서비스에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기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eMBMS와 같은LTE 기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V2X 서비스에 대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V2X 통신을 위해 LTE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특정 예는 사이드링크 (D2D/PC5) 및 업링크/다운링크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V2X상황에서 차량은 (차량) UE를 포함할 것이고, 이는 결국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PC5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Uu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게다가, eNB 기반 RSU (차량 UE에 Uu 연결성만 제공)와 UE 기반 RSU (차량 UE에 PC5 연결성만 제공)는 RSU의 두가지 선택적 실현물이다.
다중 캐리어 동작은 일부 D2D 시나리오에서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X 교통 안전 사용 사례일 경우, 충분한 안정성을 갖고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V2X 기기는 다중 캐리어에 특정 메시지를 복제할 수 있다. ITS안전 서비스의 하나의 목표는 교통 사상 사건 또는 사고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는 ITS 안전 채널의 통신 안정성 및 간섭 환경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을 제시한다. 또 다른 이점은 사이드링크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높여, 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 자율 주행 등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요구하는 더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에 D2D를 개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V2X는 DSRC와 같은 다른 ITS 기술도 동작하는 5.9G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UE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트랜시버 구성은 레거시 Uu 동작과의 공존이 요구사항인 LTE 대역 및 ITS 대역 에서 5.9 Ghz에서의 동시 전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ProSe 동작을 위한 UE 캐퍼빌리티는 3GPP Release 12에 명시되어 있다. UE는 eNB에 ProSe 동작이 지원되는 대역을 표시함으로써 그 트랜시버에 캐퍼빌리티를 시그널링한다. 또한, UE는 ProSe 대역 중 하나에서 PC5의 동시 수신(및 전송) 및 Uu가 지원되는 ProSe 대역인 각 대역의 조합을 eNB에 표시한다.
그러나, 현재의 캐퍼빌리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UE가 ProSe 대역 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전송/수신이 지원되는 ProSe 대역을 표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UE는, UE가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PC5 전송/수신을 지원하는 대역에서, Uu 동작도 지원되는지 표시할 수 없다. eNB가 다중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제한적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 예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D2D 통신 캐퍼빌리티를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나 다른 무선 기기로 시그널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특정 실시 예는 다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해 동시 PC5 동작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의 시그널링; (b)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과 Uu가 지원되는 대역의 시그널링; (c)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과 Uu가 지원되는 비면허 대역의 시그널링; (d)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이 PC5 갭의 구성으로 인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을 시그널링; (e)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동작과 Uu가 PC5갭의 구성으로 인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의 시그널링.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캐퍼빌리티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기기)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non-sidelink)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통신을 포함하고,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트래픽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통신을 포함하고,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캐퍼빌리티 정보를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는 프로세싱 회로와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트랜시버는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싱 회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캐퍼빌리티 정보를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는 결정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통신 모듈은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무선 기기)에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모듈과 로드 밸런싱 모듈(load-balancing module)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무선 대역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로드 밸런싱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도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고,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기기)에 통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지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지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는 다음의 기술적 이점 중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e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가, 어떤 ProSe 대역이 다중 캐리어를 통한 동시 전송/수신을 지원하는지 안다면, 네트워크 노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교통 안전 메시지를 다중 캐리어를 통해 스케줄링할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만 동작하는 ITS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기기가 비면허 대역에서 동시 Uu 동작과 ITS를 지원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최소, 혼잡 상태를 기초로 하여, 만약 무선 기기가 하나 이상의 캐리어로 교통 안전 메시지를 전송한다면, 네트워크 로드를 제한하고, 메시지가 인접한 무선 기기로부터 실제로 수신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은 모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된 해결책은 UE와 같은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비면허 캐리어 포함)를 통해 동시 PC5 동작 (전송 및/또는 수신)을 지원하는 것에 대한 캐퍼빌리티를 e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캐리어 및 Uu를 통해 동시 PC5 동작을 표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e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그러한 정보를 이용 가능한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해 적절히 로드를 밸런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UE 캐퍼빌리티를 앎으로써 eNB는 인접한 UE간 서로의 탐지를 도울 수 있다. 다른 기술적 이점은 다음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 예 및 그 특징 및 이점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V2X 통신의 다양한 유형을 도시한다.
도 2는 RSU를 이용한 DSRC 기반 V2X 통신을 도시한다.
도 3은 V2X 통신을 위한 LTE 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무선 기기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B는 무선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B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Release12는 상용 및 공공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기기 대 기기(D2D, "사이드링크"로도 지칭) 기능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기기 디스커버리를 포함하고, 기기는 기기 및 애플리케이션 ID를 전달하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및 탐지하여 인접한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확립한다.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기기 간 직접 연결된 물리적 채널을 기초한 직접 통신을 포함한다. 3GPP에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ProSe (Proximity Services) 하에 정의된다.
ProSe 체계에서 하나의 확장은, 차량, 보행자 및 인프라 간 직접 통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V2X 통신을 포함한다. V2X 통신은 이용 가능한 경우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지만, 기본 V2X 연결은 커버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가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 V2X의 표준의 개발은 ETSI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G5 및 IEEE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사양군과 같은 IEEE 802.11p 전용 근거리 통신(DSRC)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은 5.9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있다.
V2X 서비스에 대한 LTE 지원에 대한 연구인 3GPP TR 22.885 V14.0.0 (2015-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3GPP는 Release 14에서 V2X의 지원을 포함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V2X 서비스를 위해 무선 기술로서 LTE를 포함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를 조사 중이다. 3GPP Release 12에 도입된 ProSe (즉, D2D)는 사이드링크 (즉, 3GPP Release 12에 도입된 UE간 직접 링크)를 통해 V2X 서비스에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기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eMBMS와 같은LTE 기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V2X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중 캐리어 동작은 일부 D2D 시나리오에서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X 교통 안전 사용 사례의 경우, 충분한 안정성을 갖고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V2X 네트워크 노드는 다중 캐리어에 특정 메시지를 복제할 수 있다. ITS안전 서비스의 하나의 목표는 교통 사상 사건 또는 사고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는 ITS 안전 채널의 통신 안정성 및 간섭 환경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을 제시한다. 또 다른 이점은 사이드링크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높여 D2D를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 자율 주행 등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요구하는 더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에 개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V2X는 DSRC와 같은 다른 ITS 기술이 동작하는 5.9G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UE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트랜시버 구성은 레거시 Uu 동작과의 공존이 요구되는 ITS 대역 및 LTE 대역에서 5.9 GHz에서의 동시 전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ProSe 동작에 대한 UE 캐퍼빌리티는 3GPP Release 12에 명시되어 있다. UE는 eNB에 ProSe 동작이 지원되는 대역을 표시함으로써 트랜시버 캐퍼빌리티를 시그널링한다. 또한, UE는 한번에 ProSe 대역 중 하나 및 Uu 상에서 PC5의 동시 수신(및 전송)이 지원되는 ProSe 대역인 각 대역의 조합을 eNB에 표시한다.
그러나, 현재의 캐퍼빌리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UE가 ProSe 대역 상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한 동시 전송/수신이 지원되는 ProSe 대역을 표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UE는,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PC5 전송/수신을 지원하는 대역에서 Uu 동작도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없다. eNB가 적절히 다중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는 제한적이다.
특정 실시 예는 상기 문제를 제거하고, 무선 기기가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기기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에 다중 캐리어 D2D 통신 캐퍼빌리티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특정 실시 예는 다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해 동시 PC5 동작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의 시그널링; (b)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과 Uu가 지원되는 대역의 시그널링; (c)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과 Uu가 지원되는 비면허 대역의 시그널링; (d)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한 동시 PC5 동작이 PC5 갭의 구성으로 인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의 시그널링; (e)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해 동시 PC5캐리어와 Uu가 PC5갭의 구성으로 인해 지원되는 대역 (비면허 대역 포함)의 시그널링.
만약 eNB가, 어떤 ProSe 대역이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전송/수신을 지원하는지 안다면, eNB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다중 캐리어를 통해 특정 교통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할지 고려할 수 있다. 최소, 혼잡 상태를 기초로 하여, 만약 UE가 하나 이상의 캐리어로 교통 안전 메시지를 전송한다면, 네트워크 로드를 제한하고, 메시지가 인접한 UE로부터 실제로 수신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은 모두 바람직하다.
다음의 설명은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 예가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즉,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본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포함 된 설명으로,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적절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 예", "실시 예", "예시 실시 예" 등은 기술된 실시 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실시 예는 반드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게다가, 이러한 문구는 반드시 같은 실시 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기술될 때, 명시적으로 기술되었건 아니건 간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제시된다.
특정 실시 예는 도면의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유사한 도면 부호는 다양한 도면의 유사하고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사용된다. LTE는 예시적인 셀룰러 시스템으로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지만, 본 명세서에 제시된 아이디어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특정 실시 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네트워크 (100)는 (이동 전화,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MTC 기기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 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 (110) 및 (기지국 또는 또는 eNodeB와 같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 (120)를 포함한다. 무선 기기 (110)는 또한 UE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120)는 커버리지 영역 (115) (셀 (115)이라고도 지칭)을 서비스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120)의 커버리지 내 무선 기기(110)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15) 내)는 무선 신호(130)를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12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10) 및 네트워크 노드(120)는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130)와 통신할 수 있다.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신호를 무선 기기(110)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기기(110)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노드(120)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기기(110)와 네트워크 노드(120) 간의 통신은 셀룰러 통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신호 (130)는 (네트워크 노드(120)에서 무선 기기(110)로의) 다운링크 전송과 (무선 기기(110)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로의) 업링크 전송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LTE에서, 네트워크 노드(120)와 무선 기기(110) 간 무선 신호의 통신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각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기기(110)로 신호(130)를 전송하기 위해 단일 전송기 또는 다중 전송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무선 기기(110)는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다른 무선 기기(110)로부터 신호(130)를 수신하기 위하여 단일 수신기 또는 다중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무선 기기(110)는 무선 신호(140)를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서로 통신(즉, D2D 동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10a)는 무선 신호(140)를 사용하여 무선 기기(110b)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140)는 사이드링크(140)로도 지칭될 수 있다. 두개의 무선 기기(110) 간의 통신은 D2D 통신 또는 사이드링크 통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에서, 무선 기기(110) 간 무선 신호(140)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PC5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신호(140)는 무선 신호(130)의 캐리어 주파수와 다른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10a)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120a)와 통신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기기(110b)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기기(110a, 110b)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10a, 110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120)의 커버리지 범위 밖일 수 있다. 무선 신호(140)는 도1-3에 관련하여 기술된 임의의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110)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한다. 무선 기기는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다른 무선 기기(110)로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교통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통신을 포함하고,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주파수 캐퍼빌리티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특정 알고리즘이 도 5 및 6과 관련하여, 그리고 하기 실시 예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120)는 LTE, 5G NR, LTE-Advanced, UMTS, HSPA, GSM, cdma2000, NR, WiMax, WiFi 및/또는 다른 적합한 무선 액세스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의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청구 범위는 그러한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 및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 간 통신 또는 무선 기기와 또 다른 통신 기기(예를 들어 유선 전화) 간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추가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110)와 같은 무선 기기는 하기 도 7A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는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하기 도 8A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상의 동시 ProSe 전송/수신을 포함한다. 무선 기기는 사이드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각 대역에 대해, 사이드링크 동작이 지원되는 임의의 다른 대역 상에서 동시 사이드링크 수신 및/또는 전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각각의 지원되는 대역의 비트맵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이드링크가 대역 X, Y, Z 상에서 지원되는 경우, 캐퍼빌리티 시그널링은, 동시 사이드링크 수신 및/또는 전송이 임의의 다른 지원되는 대역에서 지원되는지 여부를 각 지원되는 대역에 대해 표시하는 비트맵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값 1은 지원을 나타낸다. 동일한 대역에서 특정 대역의 지원에 대응하는 값은 그 대역의 대역 내(intra-band) 동시 수신 및/또는 전송에 대한 지원을 나타낸다.
표 1: 다중 사이드링크 캐리어에서의 동시 사이드링크 동작 (전송 및/또는 수신)을 표시한다.
지원되는 대역 X Y Z
X 1 0 0
Y 0 1 1
Z 0 1 1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만약 다른 대역에서 그 대역의 동시 사이드링크 지원을 나타낼 수 있는 경우, 각 지원되는 사이드링크에 대해 상기된 바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3GPP TS 36.331에서,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지원되는 대역 정보리스트가 E-UTRA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수신 및/또는 전송이 지원되는 모든 사이드링크 대역의 조합을 시그널링한다. 만약 무선 기기가 한 대역(대역 내) 상에서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면, 대역에 대해 1- 비트 표시가 시그널링된다. 대역 간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에 대해, 무선 기기는 지원하는 모든 조합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3GPP TS 36.331에서,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지원되는 ProSe 대역이 E-UTRA 대역 또는 비면허 대역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사양이 사이드링크 수신 (전송)에만 적용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전송 (수신) 캐퍼빌리티는 무선 기기에 의해 표시되며, 무선 기기는 그 대역들에서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비트로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만약 동시 전송(수신)이 동시 수신(전송)이 가능한 대역과 다른 대역에서 가능한 경우, 무선 기기는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수신)이 가능한 대역의 개별 리스트를 보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 Uu 상의 동시 ProSe 전송/수신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및 Uu를 통해 전송/수신에 대한 지원을 시그널링한다. 무선 기기가 다중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동작을 지원하지 않더라도, 무선 기기는 동시 사이드링크 동작이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서브세트에서만 동시 사이드링크 및 Uu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각 대역의 조합에 대해, 그리고 동시 사이드링크가 가능한 대역의 각 조합에 대해,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이 가능한 각 대역에 대해,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과 Uu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표시한다.
표 2는 다른 지원되는 대역의 조합에 대한 지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역 조합 A_A에 대하여, 무선 기기는 동시 Uu 및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을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가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서브세트에서만 지원함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을 시그널링할 수 있는데, 이는 즉, 대역 A_A 상의 Uu 및 X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는 개별적으로 지원되지만, 캐리어 Y와 Z 상에서 동시에 지원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 예에서, X는 ProSe 대역 조합 (즉, 동시 사이드링크 수신/전송이 지원되는ProSe 대역의 그룹)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수신이 지원되는 단일 사이드링크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표2: 다중 사이드링크 캐리어에서의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 및 Uu 동작을 표시한다.
대역 조합 X Y Z
A_A 1 0 0
A_B 1 1 0
A_C 0 0 1
시그널링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각 비트 열은 어떤 대역 내 및 대역 간 조합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 수신/전송이 Uu와 함께 지원되는지 표시한다. 이는 무선 기기가 대역 내/대역 간 ProSe 대역 다중 캐리어 동시 사이드링크에 대한 지원을 표시한 조합의 서브세트이다. 만약 UE가 하나의 대역 조합에 대한 ProSe 대역 조합의 동일한 세트 (즉, 서브세트가 아님)에서 동시 Uu 및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경우, 무선 기기는 이를 1비트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이 지원되는 각 ProSe 대역 조합에 대해, 그리고 각 대역 조합에 대해, 무선 기기는 동시 사이드링크 및 Uu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1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3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사이드링크가 지원되는 모든 사이드링크 대역에 대해, 그리고 각 대역 조합에 대해,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및/또는 수신 및 Uu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비트열로 시그널링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사양은 사이드링크 수신(전송)에만 적용된다.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 (수신)과 Uu 캐퍼빌리티는 그 대역에서 비트로 시그널링될 수 있는 무선 기기에 의해 표시된다. 만약 동시 전송 (수신) 및 Uu가 동시 수신 (전송) 및 Uu가 가능한 대역과는 다른 대역에서 가능한 경우, 무선 기기가 동시 전송 (수신) 및 Uu가 가능한 대역의 개별 리스트를 보고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갭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 따르면, 대역 간 사이드링크 동작이 지원되지만, 갭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사이드링크 갭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간의 동작 및 사이드링크 캐리어와 Uu 간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는 사이드링크 갭이 Boolean으로서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4
만약 사이드링크갭 플래그가 맞으면, 무선 기기는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수신이 불가능한 모든 지원되는 캐리어 간의 사이드링크 갭을 요구한다.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수신의 지원이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된다.
유사하게, 사이드링크 갭은 Uu 동작과 사이드링크 간에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사이드링크 갭 플래그가 맞으면, 무선 기기는 임의의 지원된 사이드링크 대역과 동시 사이드링크 전송/수신 및 Uu가 불가능한 대역 조합 내 밴드 간 사이드링크를 요구한다.
상기 예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하여) 도 5와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하여) 도 6의 흐름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 예에서, 도 5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무선 기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단계(51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특정 캐리어 조합을 통해 동작하도록 이전에 구성되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그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상기 임의의 예시 및 실시 예에 따라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를 동시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통신을 포함하고,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 갭을 이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4)에서, 무선 기기는 네트워크 요소에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10)는 네트워크 노드(120), 다른 무선 기기(1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의 구성요소(100)에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방법(500)은 수정,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방법(500)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가 병렬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의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시간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 예에서, 도 6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단계(61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임의의 예시 및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기기(110), 다른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100)의 구성 요소로부터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통신을 포함하고,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임의의 예시 및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110)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교통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이용 가능한 다중 PC5 캐리어를 통해 로드를 밸런싱하기 위해 캐퍼빌리티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기기 캐퍼빌리티를 앎으로써, 인접한 무선 기기 간 서로의 탐지를 도울 수 있다.
방법(600)은 수정,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방법(6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병렬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600)의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시간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도 7A은 무선 기기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기기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기기(110)의 일례이다. 특정 실시 예에서, 도 6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 (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고,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기기)에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기기의 특정 예는 이동 전화, 스마트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식 컴퓨터 (예를 들어, 랩톱, 태블릿), 센서, 모뎀, MTC 기기 (machine type device)/ M2M (machine to machine device), LEE (laptop embedded equipment), LME (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 기기 대 기기 가능 기기, 차량 대 차량 기기,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기를 포함한다. 무선 기기는 프로세싱 회로(700)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700)는 트랜시버(710), 프로세서(720), 메모리(730), 전력원(7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트랜시버(710)가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720)는 무선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하며,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되는 지시를 저장한다. 전력원(740)은 트랜시버(710), 프로세서(720) 및/또는 메모리(730)와 같은 무선 기기(110)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프로세서(720)는, 무선 기기의 전술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 또는 모듈에서 지시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구현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7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기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 및/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무선 기기(110)의 기술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레지스터(resistors), 커패시터(capacitors), 인덕터(inductors), 트랜지스터(transistors), 다이오드(diodes)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730)의 예는 컴퓨터 메모리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또는 읽기용 기억 장치 (ROM), 대용량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기기를 포함한다.
전력원(740)은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110)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전력원(740)은 리튬 이온, 리튬 공기, 리튬 폴리머, 니켈 카드뮴, 니켈 메탈 하드라이드, 또는 무선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전지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트랜시버(710)과 통신하는 프로세서(720)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고,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기기)에 통신한다.
무선 기기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 (상기 해결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무선 기기의 기능의 특정 양상의 제공을 담당하는 추가 구성 요소 (도 7A에 도시된 것 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무선 기기 (110)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성 요소는 결정 모듈(750) 및/또는 통신 모듈(75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750)은 무선 기기(110)의 기능을 결정 및/또는 획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750)은 상기 임의의 예시 및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에서, 결정 모듈(750)은 프로세서(72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7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결정 모듈(750)은 통신 모듈(752)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752)은 무선 기기(11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752)은 상기 임의의 예시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다른 무선 기기(110)에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752)은 프로세서(72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7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752)은 결정 모듈(750)과 통신할 수 있다.
도 8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도4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20)의 예시이다. 특정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eNodeB, nodeB,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저전력 노드,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전송 포인트 또는 노드, 원격 무선 유닛(RRU), 리모트 라디오 헤드(RRH),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싱 회로(800)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800)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8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20),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830),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810)는 무선 신호를 무선 기기(110)와 같은 무선 기기에 전송하는 것과 무선 신호를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함), 프로세서(820)는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지시를 실행하고,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되는 지시를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제어기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백엔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신호를 통신한다. 프로세서(820)와 메모리(830)는 상기 도 7A의 프로세서(720)와 메모리(730)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유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프로세서(8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네트워크 노드(12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의 출력을 전송하도록,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다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이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기기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적절한 하드웨어 (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트랜시버(810)와 통신하는 프로세서(820)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스케줄링한다.
네트워크 노드(120)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 (상기 해결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 양상의 제공을 담당하는 추가 구성 요소 (도 8A에 도시된 것 외)를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지원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다른 물리적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네트워크 노드(120)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성 요소는 통신 모듈(850) 및 로드 밸런싱 모듈(85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50)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850)은 상기 임의의 예시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850)은 프로세서(82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8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850)은 로드 밸런싱 모듈(852)과 통신할 수 있다.
로드 밸런싱 모듈(852)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로드 밸런싱 및/또는 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밸런싱 모듈(852)은 상기 임의의 예시 또는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110)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및/또는 Uu)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로드 밸런싱 모듈(852)은 프로세서(82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8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로드 밸런싱 모듈(852)은 통신 모듈(85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장치에 대한 수정, 추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및 장치의 구성 요소는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더 많거나, 적거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각"은 세트의 각 구성원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 구성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대한 수정, 추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은 더 많거나, 적거나, 다른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특정 실시 예들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실시 예의 변경 및 치환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의 상기 설명은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다른 변경,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 사용된 약어는 다음을 포함한다: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CK Acknowledgement
BLER Block Error Rate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C-MTC Critical Machine Type Communication
CRC Cyclic Redundancy Check
D2D Device to Device
DL Downlink
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eNB eNodeB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FEC Forward Error-correction Code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LTE Long Term Evolu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M2M Machine to Machine
MIMO Multi-Input Multi-Output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NR New Radio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roSe Proximity Services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AN Radio Access Network
RAT Radio Access Technology
RB Radio Bearer
RBS Radio Base Station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RRC Radio Resource Control
RRH Remote Radio Head
RRU Remote Radio Unit
SINR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TDD Time Division Duplex
UE User Equipment
UL Uplink
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V2X Vehicle-to-Everything
V2V Vehicle-to-Vehicle
V2P Vehicle-to-Pedestrian
V2I Vehicle-to-Infrastructure
WAN Wireless Access Network
무선 기기(110)

Claims (40)

  1. 무선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캐퍼빌리티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으로서,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512)하는 단계;
    네트워크 요소에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신(514)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요소는 무선 기기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하는, 방법.
  11.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무선 대역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612)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을 스케줄링(614)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및 Uu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교통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하는, 방법.
  20. 캐퍼빌리티 정보를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110)로서,
    프로세싱 회로(700) 및 트랜시버(710)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트랜시버는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110, 120)에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110).
  21. 제20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2. 제20항 내지 제2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크 노드(120)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요소는 무선 기기(110)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
  30.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로서,
    프로세싱 회로(800) 및 트랜시버(810)를 포함하고:
    트랜시버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110)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31. 제30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및 Uu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32. 제30항 내지 제3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는 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교통 안전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사이드링크 통신 및 비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6. 제35항에 있어서,
    비사이드링크 통신은 Uu 통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7. 제30항 내지 제3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캐퍼빌리티 정보는 무선 기기가 다중 캐리어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 갭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8. 제30항 내지 제3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대역은 비면허 대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9. 캐퍼빌리티 정보를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110)로서,
    결정 모듈(750) 및 통신 모듈(752)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결정 모듈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통신 모듈은 캐퍼빌리티 정보를 네트워크 요소(110, 120)에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기기(110).
  40.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로서,
    통신 모듈(850) 및 로드 밸런싱 모듈(852)을 포함하고:
    통신 모듈은 무선 대역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동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무선 기기(110)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로드 밸런싱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 기기(110)에 대해 무선 대역의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를 통해 통신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KR1020187031154A 2016-04-01 2017-03-31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KR20180125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16809P 2016-04-01 2016-04-01
US62/316,809 2016-04-01
PCT/IB2017/051869 WO2017168391A1 (en) 2016-04-01 2017-03-31 Capability signalling for multicarrier side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576A true KR20180125576A (ko) 2018-11-23

Family

ID=5854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154A KR20180125576A (ko) 2016-04-01 2017-03-31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70059A1 (ko)
EP (1) EP3437423A1 (ko)
KR (1) KR20180125576A (ko)
WO (1) WO20171683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20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4208A1 (ja) * 2017-08-29 2019-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路側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EP3681247A4 (en) * 2017-09-08 2021-03-24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CAPACITY INFORMATION NOTIFICATION PROCESS
US11234238B2 (en) * 2017-09-15 2022-01-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resource configur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084860A1 (zh) * 2017-11-02 2019-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车联网中的数据发送方法及终端
CN112929986B (zh) * 2018-07-19 2023-0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0909866B2 (en) * 2018-07-20 2021-02-02 Cybernet Systems Corp. Autonomous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s
US11006269B2 (en) * 2018-07-20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facilitating co-existence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342393B1 (ko) * 2018-12-20 2021-12-23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충돌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52726B2 (en) * 2019-02-14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Tx carrier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1315B2 (en) * 2020-02-07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vehicle wireless in-vehicle network interference management
US20230199874A1 (en) * 2020-05-12 2023-06-22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an unlicensed spectrum
CN115550889A (zh) * 2021-06-29 2022-12-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102716A1 (en) * 2021-12-07 2023-06-15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sidelink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CA3208439A1 (en) * 2022-08-02 2024-02-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Wireless communications for sidelink rang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7386A1 (en) * 2014-04-01 2017-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using device-to-device frequency-related capability and configuration preferen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20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8391A1 (en) 2017-10-05
EP3437423A1 (en) 2019-02-06
US20200170059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5576A (ko) 다중 캐리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캐퍼빌리티 시그널링
RU2682909C1 (ru) Выбор совокупности ресурсов для каждого пакета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lte v2x
US11032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ggregated carriers in V2X communication system
US108202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distribution using heterogene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US1157607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0971370B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20200204952A1 (en) Prediction based message transmisson triggering
CN109661833A (zh) 用于副链路数据复制的方法和设备
US202201039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discovery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418243A (zh) 用于在直通链路通信中执行载波聚合的系统和方法
US20210227548A1 (en) Preemption indication' for new radio
US20210250881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sidelink channel/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34763A (zh) Nr峰值速率和传输块大小
CN114982163A (zh) 侧链路的干扰测量
CN117063559A (zh) 释放用于侧行链路资源分配的被预留的资源
CN114731569A (zh) 经由初始侧链路控制信息通信为后续侧链路传输保留资源
US202303187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harq feedback for unicast and multicast in wireless networks
KR20230109141A (ko) 셀룰러 차량-사물 할당 충돌 검출
JP2023514076A (ja) 予約されたリソースを利用する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5066843A (zh) 车辆到万物(v2x)用户设备(ue)间协调
CN114600525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OA18898A (en) Capability signalling for multicarrier sidelink
US11844064B2 (en) Parameter(s) for relaying operation
US20240048995A1 (en) Co-channel coexistence i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sidelink communication
KR202400766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