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445A -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445A
KR20180125445A KR1020187020428A KR20187020428A KR20180125445A KR 20180125445 A KR20180125445 A KR 20180125445A KR 1020187020428 A KR1020187020428 A KR 1020187020428A KR 20187020428 A KR20187020428 A KR 20187020428A KR 20180125445 A KR20180125445 A KR 2018012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downlink
uplink
channel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도입함으로써 서브 프레임에서 운반 가능한 정보 유형을 증가시켜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의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7가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을 구비한다.
TDD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 서브 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D S U U U D S U U U
1 D S U U D D S U U D
2 D S U D D D S U D D
3 D S U U U D D D D D
4 D S U U D D D D D D
5 D S U D D D D D D D
6 D S U U U D S U U D
표 1에서, 각 서브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1 ms이되, 여기서 D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특수 서브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은 특수 서브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에서, 서브 프레임(1)은 특수 서브 프레임으로서, 상기 특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가드 기간(Guard Period, GP) 및 업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을 포함한다. 여기서 DwPTS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고, GP는 다운링크로부터 업링크로의 스위칭을 위한 보호 간격이며 UpPTS는 일반적으로 1~2개의 업링크 심볼(symbol)을 포함하여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또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기존의 TDD시스템에서의 서브 프레임 내부 구조는 고정되어 있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정보 유형이 한정되어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이 제한되므로 후속 통신 시스템(예: 5G)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본원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의하면, 통신 기기가 무선 통신망의,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가 제공된다. 해당 통신 기기는 기지국이거나 단말기일 수 있다.
제3 양태에 의하면, 통신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기기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4 양태에 의하면, 통신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서, 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도입함으로써 서브 프레임에서 운반 가능한 정보 유형을 증가시켜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보다 명확하게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 쓸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특수 서브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서브 프레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K/NACK피드백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K/NACK피드백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K/NACK피드백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서브 프레임 및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결합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서브 프레임 및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결합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서브 프레임 및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결합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GSM(글로벌 이동 통신,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WCDMA(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PRS(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LTE(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어드밴스드 롱 텀 에볼루션,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UMTS(일반 이동 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5 G 등 각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5 G에서의 필요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5 G 시스템은 주로 고주파수 대역에 구성되므로 셀의 커버리지가 4 G 및 3 G 시스템에 비해 크게 축소된다. 셀 범위가 작아지면 셀당 사용자 수도 대응되게 줄어들어 셀의 데이터 트래픽의 변화가 빠를 수 있다. 셀의 데이터 트래픽의 신속한 변화에 보다 잘 적응하기 위해 5 G 시스템의 TDD는 신속하고 유연하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TDD시스템에 있어서, 7가지 TDD 구성 사이에서 스위칭시킴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현재 TDD 구성은 프레임(frame) 단위로 정의되므로 현재 시스템에서 가장 빠른 스위칭 속도는 10 ms이나 이는 5 G 시스템 트래픽의 동적 변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더 많은 TDD 구성을 정의함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비율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이는 더욱 복잡한 확인 신호의 타이밍 설계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현재 LTE시스템의 전송 확인 신호(ACK/NACK)는 고정된 시간적 순서를 적용한다. 특정된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확인 신호는 미리 설정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시스템에 N 종 TDD 구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기존의 LTE시스템 타이밍 설계 원칙에 따라 N*N 종의 상이한 타이밍 관계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는 향후 5 G 시스템 설계에 대한 하나의 제약으로 된다.
따라서, 기존의 7가지 구성보다 더 유연하게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서브 프레임 구조가 제안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서브 프레임이 채널을 포함하는 것은 서브 프레임이 채널에 대응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 또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서브 프레임 구조는 기존의 7가지 구성보다 더 유연하게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영역 방향은 시간 영역을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시간 영역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의 최초 세그먼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고정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또한 서브 프레임의 유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해당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 후 서브 프레임의 유형 정보에 의해 해당 서브 프레임이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세그먼트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고정된 업링크 제어 채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해당 업링크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채널 품질 표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N정보 (즉, ACK/NACK 정보),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및 프라이머리 랜덤 채널(Primary Random Channel, PRCH) 등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모두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구비하므로 중요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제어 정보가 실시간으로 각 서브 프레임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 정보(시간 폭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율 정보는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세그먼트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상 표 1 및 도 1을 참조하여 기존 LTE의 TDD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만약 5 G 시스템의 TDD 역시 상기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다면 심각한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TDD프레임 구조 중 대부분의 서브 프레임이 업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중 하나이므로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른 다운링크/업링크 서브 프레임(대응 관계가 미리 결정됨)에서 ACK/NACK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TDD 구조의 한계로 인해 ACK/NACK신호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못할 경우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연은 LTE의 TDD프레임 구조 설치 자체로 인해 발생된 것이다. 5 G 시스템에서는 무선 액세스 계층에서의 지연이 1 ms(하나의 서브 프레임) 이하로 감소되도록 지연에 대해 높은 요구가 제기된다. 현재 LTE 시스템에서의 TDD 프레임 구조 구성을 계속하여 사용한다면 5 G 시스템의 지연 요구를 만족하기 어렵다. TDD 구성으로 인한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도입한 기초상에서 이러한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피드백 타이밍을 더 도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A/N신호 전송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TDD시스템의 A/N신호 전송에 의해 발생된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A/N신호 전송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TDD시스템의 A/N신호 전송에 의해 발생된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은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A/N신호 전송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TDD시스템의 A/N신호 전송에 의해 발생된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A/N신호 전송 타이밍을 제공함으로써 TDD시스템의 A/N신호 전송에 의해 발생된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3 가지 유형의 서브 프레임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등 3 가지 유형의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도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브 프레임이 처음 시작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서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3 가지 기본 유형의 서브 프레임 및 트랜지션 유형의 서브 프레임을 결합하여 보다 유연한 시스템 스팩트럼 구성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동일한 시간(서브 프레임 내)에 배치하고자 할 경우, 두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을 삽입하고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에서의 보호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채널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채널을 격리시켜 양자가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동일한 시간(서브 프레임 내)에 배치하고자 할 경우, 두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을 삽입하고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에서의 보호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채널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채널을 격리시켜 양자가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동일한 시간(서브 프레임 내)에 배치하고자 할 경우, 두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을 삽입하고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에서의 보호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서브 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채널을 격리시켜 양자가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종류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을 도입함으로써 3 종류 기본 서브 프레임 구조가 주파수에서 보다 유연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 먼저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기기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통신 기기에 대한 설명은 방법에 대한 설명과 대응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의 통신 기기(1000)는,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1010)을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도입함으로써 서브 프레임에서 운반 가능한 정보 유형을 증가시켜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과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서브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의 통신 기기(110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00); 및
상기 메모리 (1110)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 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통해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120)를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도입함으로써 서브 프레임에서 운반 가능한 정보 유형을 증가시켜 통신 시스템의 정보 전송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과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서브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상응하는 과정을 참조하여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하면 상기 유닛에 대한 구획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의한 구획일 뿐 실제 구현 시 다른 구획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방식일 수 있다.
분리 부재로 설명된 상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상기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치환을 쉽게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22)

  1. 통신 기기가 무선 통신망의, 다운링크(downlink)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uplink)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subframe)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channel),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긍정응답/부정응답(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트랜지션(transition) 서브 프레임,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과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서브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망의,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긍정응답/부정응답(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바로 앞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및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다운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업링크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 방향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보호 간격 및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다운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1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1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업링크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과 상기 제1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및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되, 시간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시간 영역 위치는 동일하고, 주파수 영역 방향에서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며 상기 양방향 트랜지션 서브 프레임의 보호 간격은 상기 제2 업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상기 제2 다운링크 우선순위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양방향 서브 프레임의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브 프레임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서브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KR1020187020428A 2016-03-30 2016-03-30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KR201801254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7807 WO2017166091A1 (zh) 2016-03-30 2016-03-30 无线通信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45A true KR20180125445A (ko) 2018-11-23

Family

ID=5996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428A KR20180125445A (ko) 2016-03-30 2016-03-30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28188A1 (ko)
EP (1) EP3386257B1 (ko)
JP (1) JP6789298B2 (ko)
KR (1) KR20180125445A (ko)
CN (1) CN108476492B (ko)
TW (1) TWI706655B (ko)
WO (1) WO2017166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2978B (zh) * 2017-03-24 2023-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的处理方法及装置、节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019B2 (en) * 2005-11-10 2014-07-08 Apple Inc. Zones for wireless networks with relays
WO2009116790A2 (en) * 2008-03-17 2009-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harq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64879B (zh) * 2010-11-30 2014-05-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通信的方法、系统和设备
WO2012108720A2 (ko) * 2011-02-10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124433A (zh) * 2011-03-25 2013-05-29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装置
US9113494B2 (en) * 2011-09-29 2015-08-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downlink control signalling for communication apparatus
US10153867B2 (en) * 2014-01-30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with dynamic TDD DL/UL subframe configuration
CN106165481B (zh) * 2014-04-02 2020-01-0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10432386B2 (en) * 2015-10-19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subframe structure with latency reduction
CN106712914B (zh) * 2015-11-13 2021-06-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双工通信方法、基站及终端
US10631323B2 (en) * 2015-12-08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control feedback in a time division duplex carrier utilizing common bursts
US11831584B2 (en) * 2015-12-1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a dynamic subfram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8188A1 (en) 2019-01-24
TW201735603A (zh) 2017-10-01
EP3386257B1 (en) 2021-03-17
JP2019517163A (ja) 2019-06-20
EP3386257A4 (en) 2019-08-07
CN108476492B (zh) 2021-01-26
TWI706655B (zh) 2020-10-01
EP3386257A1 (en) 2018-10-10
JP6789298B2 (ja) 2020-11-25
CN108476492A (zh) 2018-08-31
WO2017166091A1 (zh)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43B1 (ko)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KR10259078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CN107659528B (zh) 时分双工系统中的下行链路子帧缩短方法和装置
EP3457768B1 (en) Pilot frequency transmission method for uplink shared channel, and related device
JP2017502565A (ja) 時分割複信(tdd)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の短縮
CN111344979B (zh) 发信号通知时隙和微时隙中的参考信号位置
WO2014047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verage
KR20100137578A (ko) 업링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26246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CN112042244B (zh) 非许可频段中的寻呼方法和设备
KR20230044966A (ko)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채널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5445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EP3567754A1 (en) Communication method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376701B1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112128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00034603A (ko)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171750A1 (en) Method of transmitting side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2018013973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using wireless frame for low-delay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ame
US20230371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andwidth part based operations in sidelink communication
JP6417025B2 (ja) 時分割複信(tdd)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の短縮
CN111181703A (zh) 一种参考信号资源配置方法、网络设备和存储介质
KR2018012475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인덱스의 지시 및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