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236A -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236A
KR20180125236A KR1020170059831A KR20170059831A KR20180125236A KR 20180125236 A KR20180125236 A KR 20180125236A KR 1020170059831 A KR1020170059831 A KR 1020170059831A KR 20170059831 A KR20170059831 A KR 20170059831A KR 20180125236 A KR20180125236 A KR 2018012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edle electrode
needle
unit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666B1 (ko
Inventor
박경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6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61B5/04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착탈식 침전극은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 상기 침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수납용기 바닥부,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DETACHABLE NEEDLE ELECTRODE AND MULTI-CHANNEL WIRELESS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극이 카트리지에 보관되며, 무선으로 연결되는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육의 전기활동을 분석하는 검사를 근전도검사라 하고, 말초신경이나 눈, 귀에 전기자극을 주고 그 반응을 뇌에서 측정하는 검사를 유발 전위 검사라고 하며, 뇌 자체의 전기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를 뇌파검사라 한다. 이 검사들은 뇌와 말초신경, 근육질환의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유발전위, 근전도와 뇌파 같은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피부접착식 전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난치성 신경질환에 대한 치료가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서 생체전기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피부접착식 전극은 생체전기신호를 민감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수술 중 신경계 감시 검사(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Monitoring: IOM 또는 INM)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검사는 신경계 수술 중 신경의 손상을 조기에 찾아서 수술 후의 후유증을 줄이며 고위험군의 수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는 주로 상기한 유발전위검사, 근전도검사, 뇌파검사 등의 전기생리적 검사방법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에서는 환자 수술 시 미세한 생체전기신호를 민감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침(바늘)타입의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신경계 감시 검사를 위한 장비는 일반적으로 침전극, 전선 및 검사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는 수술 중 신경 감시 검사를 위해 많게는 30여 개의 피하침 전극 및 이와 연결된 전선이 사용된다. 따라서, 설치와 제거가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각각의 전선을 구별하기 어려워 검사에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검사시 침 전극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침 전극이 노출되어 있어, 침찔림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국제공개공보 WO2013/130711(2013.09.0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극이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침찔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착탈식 침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극과 표시부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설치, 제거 시간을 감소시키고 검사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은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 상기 침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수납용기 바닥부,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몸체부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전극 고정부, 상기 전극 고정부의 두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측벽부 및 상기 전극 측벽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극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하부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하부면에 대해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의 길이는 5 밀리미터 이상 2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경계 감시 시스템은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 상기 침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수납용기 바닥부,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착탈식 침전극, 상기 착탈식 침전극의 상기 전극 몸체부에 체결되며,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가 수신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착탈식 침전극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몸체부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전극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두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측벽부 및 상기 전극 측벽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극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송신 몸체부 및 상기 송신 몸체부 일단에 상기 송신 몸체부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의 길이는 5 밀리미터 이상 2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식 침전극은 전극부와 전극부를 수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에 보관되어 침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제거시 발생될 수 있는 찔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은 착탈식 침전극과 본체부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착탈식 침전극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배선들이 생략될 수 있어, 설치 및 제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선들이 생략되므로 수술 중 검사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동 중 배선에 걸려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에 무선 송신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와 무선 송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 및 무선 송신부가 인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의 전극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에 무선 송신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은 전극부(100) 및 수납 용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100)에는 무선 송신부(30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는 침전극(130), 단자부(120), 전극 몸체부(110), 접착부(140) 및 보호 필름(145)을 포함한다.
상기 침전극(130)은 피하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전극(130)은 피하에 삽입되어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침전극(130)은 상기 단자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12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전극(130)의 길이는 5 밀리미터 이상 2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침전극(130)이 근육이 큰(두꺼운) 부위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약 10밀리미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머리와 같이 근육이 크지(두껍지) 않은 부위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5밀리미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침전극(130) 및 상기 단자부(120)는 전극 몸체부(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몸체부(110)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몸체부(110)는 상기 단자부(120)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며, 노출되는 단자부에는 무선 송신부(300)의 단자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침전극(130)은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전극 고정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접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침전극(130)이 피하에 삽입되는 경우, 피부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140)가 상기 전극부(100)를 피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140)의 표면에는 보호 필름(145)이 배치된다. 상기 보호 필름(145)은 상기 접착부(140)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부(140)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부(140)가 피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보호 필름(145)은 제거된다.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100)가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수용되는 경우, 이 공간에 상기 침전극(13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전극(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침전극(13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침전극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에 찔리게 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은 전극부(100)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2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침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제거 과정에서 침전극에 찔리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의 상단에는 무선 송신부(300)가 체결된다. 상기 전극부(100)의 단자부(12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된 상기 단자부(120)는 무선 송신부(300)의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 및 상기 무선 송신부(30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와 무선 송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수납되고, 상기 무선 송신부(300)는 상기 전극부(100)에 체결된다.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는 수납용기 바닥부(215),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215)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210) 및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210)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100)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210)에는 단면도 상에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상기 전극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고정돌기(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100)의 침전극(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침전극의 설치 및 제거 과정에서 찔림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는 사용전에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수납되며, 사용시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가 피부에서 제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극 수납용기에 수납된다. 따라서, 침전극에 의한 찔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착탈식으로 체결된다. 예를들어, 일회용 면도기의 면도날이 면도날 케이스에 보관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전극부(100)가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부(3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전극부(100)에 체결된다. 상기 전극부(100)는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130), 상기 침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120), 상기 침전극(130) 및 상기 단자부(120)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몸체부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전극 고정부(113), 상기 전극 고정부(113)의 두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측벽부(110) 및 상기 전극 측벽부(110)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극 고정부(113)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고정부(113)와 상기 돌출부(11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부(300)는 송신 몸체부(310) 및 상기 송신 몸체부(310) 일단에 상기 송신 몸체부(310)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전극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5)는 상기 체결홈(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무선 송신부(300)가 상기 전극부(100)에 체결되는 경우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착탈식 침전극이 사용전인 경우, 상기 전극부(100)가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체결된 상태로 보관된다. 침전극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무선 송신부(300)를 상기 전극부(100)에 체결한 후, 상기 전극부(100)와 상기 무선 송신부(300)를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극부(100) 및 상기 무선 송신부(300)를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 및 무선 송신부가 인체 피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극부(100) 및 상기 무선 송신부(300)는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140)는 상기 전극부(100) 및 상기 무선 송신부(300)를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14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140)는 수술 도중 상기 전극부(100) 및 상기 무선 송신부(3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140)의 표면에는 보호 필름(145)이 배치된다. 상기 보호 필름(145)은 상기 접착부(140)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부(140)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부(140)가 피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보호 필름(145)은 제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의 전극부(100)가 전극 수납용기(20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은 사용전에는 전극부(100)가 전극 수납용기(200)에 체결된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 전극부(100)의 상면에는 단자부(120)가 노출되며, 노출되는 상기 단자부(120)는 무선 송신부의 단자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00)는 무선 송신부(300)와 체결된 후,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전극 수납용기(200)에 보관되어 침전극(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제거시 발생될 수 있는 찔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침전극의 전극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탁식 침전극의 전극부는 전극 몸체부(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침전극(13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침전극(130)은 상기 전극 몸체부(110)에 수직으로 배치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침전극(130)은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대해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극(130)이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대해 배치되는 침전극은 근육이 큰(두꺼운)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침전극(130)이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대해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침전극은 머리등과 같이 근육이 작은(얇은)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침전극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침전극이 전극 몸체부(110)의 뒷쪽을 향하게 경사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침전극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전극 몸체부(110)의 앞쪽을 향하게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전극의 각도는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하고, 근육의 크기(두께)에 따라 침전극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은 착탈식 침전극, 무선 송신부(300) 및 본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300)는 상기 착탈식 침전극의 전극 몸체부(110)에 체결되며, 상기 착탈식 침전극으로부터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송신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3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부(420)에서 수신하며, 상기 수신부(420)에서 수신한 신호를 상기 표시부(410)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중 신경 감시 검사를 위해서는 침전극과 검사 장비가 이용되며, 상기 침전극과 검사 장비는 전선으로 연결된다. 수술 중 신경 감시 검사를 위해서는 20여개나 그 이상의 침전극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침전극에는 전선들이 연결된다. 따라서, 설치와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전선을 구별하기 어려워 검사에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많은 배선들이 배치되어 있어 수술 중 이동시 전선에 걸려 넘어지거나 전선이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경계 감시 시스템은 착탈식 침전극과 본체부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착탈식 침전극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배선들이 생략될 수 있어, 설치 및 제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선들이 생략되므로 수술 중 검사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동 중 배선에 걸려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극부 110: 전극 몸체부
120: 단자부 130: 침전극
140: 접착부 145: 보호 필름
200: 전극 수납용기 210: 수납용기 측벽부
220: 전극 고정돌기 300: 무선 송신부
410: 표시부 420: 수신부

Claims (10)

  1.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 상기 침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수납용기 바닥부,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착탈식 침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몸체부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전극 고정부;
    상기 전극 고정부의 두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측벽부; 및
    상기 전극 측벽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극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침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하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침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하부면에 대해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침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의 길이는 5 밀리미터 이상 20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침전극.
  6. 피하에 삽입되는 침전극, 상기 침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는 전극 몸체부 및 상기 전극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수납용기 바닥부, 상기 수납용기 바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기 측벽부, 상기 수납용기 측벽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를 고정하는 전극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를 수용하는 전극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착탈식 침전극;
    상기 착탈식 침전극의 상기 전극 몸체부에 체결되며,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가 수신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상기 착탈식 침전극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몸체부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전극 및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전극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두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측벽부; 및
    상기 전극 측벽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극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송신 몸체부; 및
    상기 송신 몸체부 일단에 상기 송신 몸체부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극의 길이는 5 밀리미터 이상 20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KR1020170059831A 2017-05-15 2017-05-15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KR10193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31A KR101935666B1 (ko) 2017-05-15 2017-05-15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31A KR101935666B1 (ko) 2017-05-15 2017-05-15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36A true KR20180125236A (ko) 2018-11-23
KR101935666B1 KR101935666B1 (ko) 2019-01-04

Family

ID=6456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31A KR101935666B1 (ko) 2017-05-15 2017-05-15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6304A (zh) * 2019-03-07 2021-09-07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用于液体质量测量仪装置的电极端子组件和包括该电极端子组件的液体质量测量仪装置
CN113647953A (zh) * 2021-08-23 2021-11-16 苏州乐普斯电子有限公司 神经电生理诊断用电极线及电极收纳装置
KR20230013330A (ko)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52601B2 (en) 2019-03-07 2023-12-26 Kyungdong Navien Co., Ltd. Electrode terminal assembly for liquid quality meter apparatus and liquid quality meter apparatu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5952A1 (en) 2009-10-30 2011-05-0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Relatively small devices applied to the skin, modular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968271B2 (en) 2012-03-02 2018-05-15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eedle electrode safety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6304A (zh) * 2019-03-07 2021-09-07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用于液体质量测量仪装置的电极端子组件和包括该电极端子组件的液体质量测量仪装置
US11852601B2 (en) 2019-03-07 2023-12-26 Kyungdong Navien Co., Ltd. Electrode terminal assembly for liquid quality meter apparatus and liquid quality meter apparatus comprising same
CN113366304B (zh) * 2019-03-07 2024-03-0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用于液体质量测量仪装置的电极端子组件和包括该电极端子组件的液体质量测量仪装置
KR20230013330A (ko)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3246A (ko) 2021-07-19 2023-07-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49252A (ko) 2021-07-19 2024-04-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발전위 검사 기반의 신경 감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3647953A (zh) * 2021-08-23 2021-11-16 苏州乐普斯电子有限公司 神经电生理诊断用电极线及电极收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666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666B1 (ko)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US11877856B1 (en) System for treating a subject with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a predicted or identified seizure
US10881318B2 (en) EEG net with transmission capabilities
US977018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arrying out electrode measurements
US7444177B2 (en) EKG recording accessory system (EKG RAS)
EP1350462B1 (en) Electrode array system for measuring electrophysical signals
US6394953B1 (en) Electrode array system for measuring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EP2820722B1 (en) Connector interface system for data acquisition
AU2016200980A1 (en) Head Harness & Wireless EEG Monitoring System
KR101987536B1 (ko) 뇌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방법
KR101704704B1 (ko) 내장형 eeg 전극용 무선 송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eg 검출 시스템
EP1800600A1 (en) Electrode configuration for central nervous system monitoring
US10357171B2 (en) Adjustable ECG sensor and related method
KR101745423B1 (ko)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EP2861150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of heart signals
US11617540B2 (en) Sensor connector apparatus for use in electroencephalographic spectrum analyzer, provided with conductive connection electrodes connected to sensor electrodes
CN210931392U (zh) 术中神经电生理监测识别考核系统
CN210961971U (zh) 一种神经监护系统
US20170196511A1 (en) Electrophysiological testing device
KR20190023914A (ko) 바이오 압력센서를 이용한 수술 중 신경감시시스템
CN213993526U (zh) 肠道动力检测装置
CN211131064U (zh) 一种带有刺激电流调节开关的手持式柔性无线神经刺激器
KR200372439Y1 (ko) 패치형 태아 감시장치
CN114431880A (zh) 脑电信号获取装置
CN116649984A (zh) 记录电极及生物电势信号采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