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39A -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39A
KR20180124339A KR1020170058666A KR20170058666A KR20180124339A KR 20180124339 A KR20180124339 A KR 20180124339A KR 1020170058666 A KR1020170058666 A KR 1020170058666A KR 20170058666 A KR20170058666 A KR 20170058666A KR 20180124339 A KR20180124339 A KR 20180124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oil
hair
cosmetic composition
triisoste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688B1 (ko
Inventor
박수진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5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6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4Free of sili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컨디셔닝제로 사용되어 온 실리콘 대신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와 영양감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투명성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Transparent hai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모발의 컨디셔닝이 향상되면서도 투명성상을 유지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샴푸는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여 두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화장품으로, 세정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샴푸는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컨디셔닝제로 양이온성 폴리머, 양이온 계면성활제, 실리콘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실리콘 성분은 소량으로도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모발 컨디셔닝 성분이다. 실리콘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분산시켜 사용하는 예가 많아, 주로 불투명 성상의 조성물로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투명한 성상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시장 동향을 반영하여 특허문헌 1 및 2와 같이 실리콘을 사용하면서도 투명상 제형을 유지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실리콘을 함유한 투명 제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실리콘을 사용하거나, 실리콘 쿼터늄과 같이 이온성을 부가한 실리콘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료들은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컨디셔닝감을 부여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실리콘이 함유되지 않은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실리콘 대신 오일 성분으로 모발에 컨디셔닝감과 영양감을 공급해주는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다.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이 우수한 오일 종류는 제품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투명한 성상을 유지시키는데 그 함량에 한계가 있다. 투명상을 유지하기 위해 오일 함량을 적게 함유할 경우에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져 사용감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리콘이 함유되지 않으면서도 컨디셔닝감과 영양감이 우수하고, 투명상을 유지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00021호(2016.02.26.) 미국 등록특허 제6803050호(2004.10.12.)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컨디셔닝감 및 영양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성상을 유지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컨디셔닝제로 사용되어 온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오일을 다량으로 함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 구조의 계면활성제를 함께 함유하는 경우, 제형의 투명성 및 장기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로서의 트리에스테르계 보조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투명한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3개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상기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로는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20 glyceryltriisostearate), 피이지-1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10 glyceryltr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isostearate), 피이지-160 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160 sorbitan triisostearate), 트리메칠올프로판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isostearate) 및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나, 트리에스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메인 계면활성제가 가용화시키지 못하는 오일 성분을 가용화시켜 제형에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오일 100 중량% 대비 5 내지 3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0.2 내지 15 중량%, 0.5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오일 가용화력이 떨어지며, 함량이 30 중량%을 초과하여 함유되면 계면활성제 자체의 낮은 HLB 특성으로 인하여 투명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의 함량 범위에서 조성물이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여도 투명성상을 유지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조 계면활성제로서의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메인 계면활성제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및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내에서 각종 노폐물의 세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에 포함되어 모발에 대한 유연효과, 대전 방지 효과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점도 상승, 세정의 보조 효과, 오일의 가용화 효능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라미도프로필디메칠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에 대한 흡착력이 우수하여 대전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을 적의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장 일반적인 제품인 샴푸 또는 컨디셔너(린스)로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기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할 수 있고, 전체 조성물 100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량의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모발의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뻣뻣함을 감소시켜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손상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손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천연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에테르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오일는, 예컨대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호호바씨 오일, 아르간트리커넬 오일 또는 동백 오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 및 에테르계 오일로는, 예컨대 디카프릴릴에테르(dicaprylryl ether), 피피지-3 카프릴릴에테르(PPG-3 caprylryl ether), 피피지-3 미리스틸에테르(PPG-3 myristyl ether), 디-C12-13-알킬말레이트(di-C12-13-alkyl malate) 또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C12-13-알킬말레이트(di-C12-13-alkyl malate)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오일로부터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계면활성제의 기포력을 저하시켜 세정력이 떨어지고 조성물의 투명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함량 범위로 오일이 함유되어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영양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상이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쿼터늄-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영양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성상을 유지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이라 함은 체모와 두발의 총칭으로 사람의 털을 의미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발을 의미하며, 머리의 모근, 모낭, 머리카락 및 모낭 근처의 두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피는 머리 부위를 덮고 있는 피부를 말하며, 보통 모발이 나 있는 부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컨디셔닝 효과'라 함은 모발에 감촉, 윤기, 강도 등의 물리적 성상을 우수하게 유지하여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영양감'이라 함은 보습막을 형성하여 모발의 푸석거림을 완화시키고, 손상된 모발 또는 가는 모발에 건강한 모발빛을 부여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팩, 헤어 에센스, 왁스, 젤, 스프레이 등의 모든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로 펄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PEG-8,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록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컨디셔닝제로 사용되어 온 실리콘 대신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와 영양감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투명성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투명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샘플을 50℃의 고온 항온기에 1개월 간 보관한 후, 제형의 상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샴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는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로 폴리쿼터늄을 혼합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30%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을 추가하여 60℃까지 가온하면서 교반하였다. 가온 중에 별도의 용기에 혼합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오일을 60℃에서 투입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냉각수를 더해 45℃까지 냉각하고, 안식향산나트륨, 향료, 염화나트륨, 구연산 및 물을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여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양이온성 폴리머  폴리쿼터늄-10 0.5 0.5 0.5 0.5 0.5 0.5 0.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30
%)
40 40 40 40 40 40 40
보조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0.2 3 15 5 - - -
계면활성제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 - -  -  - 3 -
오일 올리브오일 1 1 1 2 1 1 -
디-C12-13-알킬말레이트 1 1 1 3 1 1 -
실리콘 디메치콘 10000cst - - - - - - 1
안식향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향료 0.5 0.5 0.5 0.5 0.5 0.5 0.5
염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Up to 100
실험예 1. 제형의 투명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투명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실험군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제형이 불투명하게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제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계면활성제 중 하나인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가용화가 개선되었지만 완전한 투명상으로 제조되지는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4는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PEG-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하고 있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오일 가용화력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허 실시예 2의 경우 매우 뛰어난 가용화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오일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가 적정 범위로 함유될 때, 오일 가용화가 우수하고 투명한 제형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제형의 고온 경시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샘플을 50℃의 고온 항온기에 1개월 간 보관한 후, 제형의 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2의 경우, 오일층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층에 오일띠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4은 비교예 1과 2에 비해 오일층이 분리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실시예 2가 가장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발 컨디셔닝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종래의 컨디셔닝제로 사용되었던 실리콘(비교예 3)의 컨디셔닝 효과를 사용감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2의 제품과 비교예 3의 제품을 각각 3번씩 사용한 후 사용감을 비교하여 설문에 답하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평가 기준>
5점: 매우 그렇다.
4점: 그렇다.
3점: 보통이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지 않다.
평가 항목 비교예3 실시예2
기포가 부드럽다. 3.3 3.7
헹굼 시 모발감촉이 부드럽다. 3.8 4.2
젖은 모발 빗질 시 걸림이 없다. 4.0 4.0
마른 후 모발이 부드럽다. 3.7 3.9
마른 후 모발에 영양감이 느껴진다. 3.3 4.1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에 컨디셔닝제로 사용되어 온 실리콘을 함유하는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오일과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2가 전반적인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사용감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마른 후 모발에 영양감이 느껴진다.' 항목에서 가장 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투명한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20 glyceryltriisostearate), 피이지-1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10 glyceryltr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isostearate), 피이지-160 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EG-160 sorbitan triisostearate), 트리메칠올프로판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isostearate) 및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오일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3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오일은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호호바씨 오일, 아르간트리커넬 오일, 동백오일, 디카프릴릴에테르(dicaprylryl ether), 피피지-3 카프릴릴에테르(PPG-3 caprylryl ether), 피피지-3 미리스틸에테르(PPG-3 myristyl ether), 디-C12-13-알킬말레이트(di-C12-13-alkyl malate)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펄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로션, 헤어 에센스, 헤어 미스트, 젤 또는 왁스 타입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58666A 2017-05-11 2017-05-11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36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66A KR102367688B1 (ko) 2017-05-11 2017-05-11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66A KR102367688B1 (ko) 2017-05-11 2017-05-11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39A true KR20180124339A (ko) 2018-11-21
KR102367688B1 KR102367688B1 (ko) 2022-02-25

Family

ID=6460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666A KR102367688B1 (ko) 2017-05-11 2017-05-11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0778A1 (en) * 2019-04-12 2020-10-15 Elc Management Llc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102301510B1 (ko) * 2021-04-29 2021-09-13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TWI758709B (zh) * 2020-04-13 2022-03-21 美商Elc管理公司 形成天然頭髮調理組合物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0915A1 (en) * 2009-12-11 2012-10-17 Novejarque Conde, José Antonio Base formulation for cosmetic products
KR101600021B1 (ko) 2009-06-19 2016-03-04 애경산업(주) 투명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21B1 (ko) 2009-06-19 2016-03-04 애경산업(주) 투명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EP2510915A1 (en) * 2009-12-11 2012-10-17 Novejarque Conde, José Antonio Base formulation for cosmetic produ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0778A1 (en) * 2019-04-12 2020-10-15 Elc Management Llc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WI758709B (zh) * 2020-04-13 2022-03-21 美商Elc管理公司 形成天然頭髮調理組合物的方法
KR102301510B1 (ko) * 2021-04-29 2021-09-13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688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177B1 (ko) 유성 모발 화장료
AU2002258644B2 (en) Novel nanoemulsions
JP4129645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US20040115159A1 (en) Novel nanoemulsions
Azeem et al. Emerging rol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s
AU2002258644A1 (en) Novel nanoemulsions
EP2436371A1 (en) Hair cosmetic
JP2001048720A (ja) 化粧料用保湿静菌剤
JP2003081761A (ja) 乳化組成物
US20230338257A1 (en) Anhydrous concentrated hair care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paste
JP2020158400A (ja) O/w型乳化組成物
JP2015093859A (ja) 化粧料
KR20090056321A (ko)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KR20180124339A (ko)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84A (ko)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JP2002193755A (ja) フケ・カユミ防止頭髪用および洗髪用化粧料
KR102334446B1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6278A (ko) 모발 처리제
KR102532929B1 (ko)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JP4937537B2 (ja) 毛髪化粧料
KR20140141431A (ko) 모발용 처리제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CN114514012A (zh) 皮肤外用剂
JP2017036261A (ja) ミコナゾール硝酸塩含有組成物
KR20180017722A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