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02A - Ar/vr 유무선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Ar/vr 유무선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02A
KR20180124302A KR1020170058580A KR20170058580A KR20180124302A KR 20180124302 A KR20180124302 A KR 20180124302A KR 1020170058580 A KR1020170058580 A KR 1020170058580A KR 20170058580 A KR20170058580 A KR 20170058580A KR 20180124302 A KR20180124302 A KR 20180124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user
wired
unit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17005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302A/ko
Publication of KR2018012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어기와 연동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AR/VR 유무선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어기에 포함된 동작센서의 센서값을 대체하여 입력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회전을 감지하여 대체동작을 인식하는 대체동작수단; 대체동작신호를 기존동작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에 전송하며, 상시 대체동작수단의 조작에 따라 기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360도 범위내에서의 회전 이동을 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또는 MR(혼합현실)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리얼리티를 위한 물리자극수단을 제공하거나, 치료를 위한 치료장치를 갖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AR/VR 유무선 제어장치 {AR/VR control wire ,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AR/VR 유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R, VR 또는 MR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어기의 콘텐츠와 연동되는 종래의 구동장치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대체하고 이로 AR/VR 영상기기를 외부에서 별도로 제어하며, 상기 영상기기에서 구현되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는 의료 장치를 구동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태블릿,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의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마치 자신의 개인용 PC와 같이 구성하고 이를 넘어서는 사용이 가능하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사용의 편리성의 증가와 이에 따른 수요의 증가에 의하여 스마트기기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 및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고글형 영상기기 등을 이용한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혼합현실(MR) 등을 구현하는 다양한 AR/VR 장비들이 나오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AR/VR 장비들은 일반적으로 고글형의 AR/VR 영상기기 및 컨트롤 장비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영상센서 등을 이용한 모션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더욱 실감나고 감각적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AR/VR 영상장비와 그 콘텐츠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그에 따른 일반적인 동작을 인식하여 기기를 조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AR/VR 영상장비와 그 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동작은 환자나 장애인과 같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특정동작이 어려운 이들이 사용이 힘들어 그 접근이 제한적 이였다.
한편, 의료 관리를 위한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환자의 사망률은 낮아져 이에 따른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의료의 발달로 종래의 단순한 생존을 위한 치료를 넘어선 환자들을 위한 복지향상 및 일상생활을 위한 치유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현대 의학에 있어서 후유증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큰 어려운 환자들을 정상적인 사회의 일원으로 돌아가게 하는 재활의학의 역할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중요성이 증가한다. 과거 의사들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단지 병리과정을 진단하고, 그 병소의 제거에 필요한 수술을 하거나 투약하는 것으로 책임을 다한 것이라 생각하였지만, 현재의 의사는 이러한 접근을 버리고 깊은 인간적 관심으로 보다 넒은 관찰을 시도하여 환자가 갖고 있는 질환 뿐 아니라 인간으로서 신체적 병이나 장애와 더불어 심리적 사회적면까지도 고려하여 환자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능동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 전 세계 인구의 약 10%가 여러 형태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애 인구 집단은 그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 사회 내에서 제한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장애 인구에 대한 재활의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고, 재활의학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장애자 재활은 포괄적인 의료의 일부로서 국민의료의 목표이기도 한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종래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또는 혼합현실(MR)을 구현하는 구동장치에 포함된 콘텐츠에 연동하여 구동하게 하는 동작감지센서의 센서값을 대체하여 입력하는 대체동작수단를 구비하여 종래의 AR/VR영상기기를 제어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향기, 바람, 진동, 물리적 자극 또는 압력 등의 자극수단으로 자극을 주어 사용자가 실제로 자신이 활동하고 있는 느낌을 주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대체되는 센서값을 조작하여 구현된 캐릭터(손 또는 발)의 행동을 제어하며 제어되는 캐릭터의 행동에 따라 물리 치료기 및 물리장치가 연관한 신체 위치에서 구동하여 캐릭터와 동일성 갖는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어기를 제어하는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물리자극수단이 재활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물리적 자극을 주어 재활에 도움을 주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제어장치를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패드로 구동하는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선택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터치 방식으로 제어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제어장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터치 방식이 아닌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사용자가 머리의 움직임 또는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대체동작수단의 조작을 통해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별도로 구비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어기와 연동되는 AR/VR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대체동작수단;
상기 대체동작수단의 신호값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변환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에 전송하며, 상시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내에서 360도 범위내에서의 회전 이동을 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자극을 제공하는 물리자극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리자극수단은,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인가하는 물리 치료기,
사용자의 인체 특정 부위에 압력을 인가하거나 전기자극 및 주무름 기능을 하는 물리장치,
사용자의 얼굴에 향기와 함께 바람을 제공하는 촉각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또는 혼합현실(MR)가 제공되는 콘텐츠에 연동하여 향기, 바람, 진동, 물리적 자극 또는 압력 등의 자극 주어 실제로 자신이 활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체동작수단으로 기존의 동작에 있어 감지신호값을 대체하여 입력하여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이 기존의 AR/VR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활치료에 있어서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에 연동하여 장애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재활에 도움을 주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에 구현된 캐릭터의 손과 발의 제어에 따라 이에 연관된 신체의 손 또는 발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VR, AR 또는 MR에서 캐릭터에 발생하는 자극에 대한 동일성을 갖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대체하고 이를 조작 및 제어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R/VR 영상기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체험하면서 사용자가 머리의 움직임 또는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대체동작수단의 조작을 통해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리자극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는 터치패드를 갖는 스마트 컨트롤러, 센서가 구비된 장갑 또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어기와 연동되는 AR/VR 장치(300)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20);
대체동작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대체동작수단(390);
상기 대체동작수단(390)의 감지신호값을 변환하여 기존의 신호값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변환부(400);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360);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350);
상기 입력부(320)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에 전송하며, 상기 대체동작수단(39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내에서 360도 범위내에서의 회전 이동을 하도록 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착용이 가능한 고글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위치를 연산하는 위치정보부(340)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부(340)는 위성을 이용한 위치 좌표계산을 이용한 위성위치정보 또는 와이파이 및 기지국의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추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33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자극을 제공하는 물리자극수단(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제2 통신부(380)를 통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20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200)을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부(370)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등의 제스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쳐에 따라 제어부(330)는 콘텐츠내에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370) 앞에서 손가락을 넓히는 동작은 줌인, 손가락을 좁히면 줌 아웃, 손가락을 회전하면 회전, 손가락을 앞으로 이동하면 전진, 손가락을 뒤로 이동하면 후진 등의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콘텐츠 내에 구현되는 캐릭터(손 또는 발)의 행동을 제어한다.
즉, 구현된 캐릭터의 손으로 물건을 쥐거나 발로 공을 차는 등의 제어가 물리자극수단(200)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물리자극수단(200)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리자극수단(200)은,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치료를 위한 온열, 전기자극, 진동 및 주무름 기능을 하는 물리 치료기(210),
사용자의 피부에 인지를 위한 물리자극을 인가하는 물리장치(220),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향기와 바람을 제공하는 촉각장치(230),
상기 물리치료기(210)는 초음파치료기, 온열치료기, 전기자극치료기, 안마기와 같은 각종 치료를 위한 치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장치(220)는 진동기, 감압기와 같은 각종 인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장치(230)는 다수의 캡슐에 다양한 향기를 담아 구현되는 상황에 따른 플레이 시간에 맞춰 향기를 바람과 함께 제공하는 에어장치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물리자극수단(200)에는 에어컨, 가습기, 조명 등 다양한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리자극수단(200)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리모콘신호과 같은 무선신호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VR 유무선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참고로 사용자는 누워있는 환자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호자가 사용자에게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어기를 착용해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또는 보호자는 입력부(320)를 조작하여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300).
그러면 제어부(330)가 저장부(360)에 저장된 해당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혼합현실 프로그램이 선택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정보를 제1 통신부(350)를 통해 디스플레이어기로 전송한다(S310). 이때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어기를 통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콘텐츠를 보게 된다. 예를 들어 바닷가를 달리거나 산을 달리거나 바다에서 배를 타고 이동을 하는 등의 체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물리자극수단(200)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달리는 장면에서는 달리는데 필요한 근육들에 자극을 주기 위하여 물리치료기(210)와 물리장치(220)를 구동한다(S320).
그리고, 촉각장치(230)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상황에 따라 바람 자극과 향기를 맡도록 구동한다.
콘텐츠 장소에 따른 향기구현은 콘텐츠의 플레이 시간에 따라 가동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콘텐츠에 구현된 캐릭터(손 또는 발)를 제어하여 물건을 쥐거나 발로차는 등의 행동을 제어하는 한편, 물리치료기(210)와 물리장치(220)를 캐릭터 행동 제어에 맞춰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콘텐츠의 구현이 바닷가일 경우 바람과 향기를 맡게되어 실제로 바닷가에 있는 것과 같이 유사한 느낌을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으로 운동을 하는 느낌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각자극부(230)는 분말 또는 액상으로 된 두 가지 이상의 향기가 수용되는 캡슐로 형성하여 콘텐츠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장소 또는 상황에 따른 향기를 맡을 수 있게 하여 현실감의 향상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360도 범위에서 다른 방향을 볼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를 회전시킨다.
상기 대체동작수단(390)의 조작스틱, 조작볼, 장갑, 헤드기어, 터치패널, 모션인식카메라와 같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먼저 대체동작수단(390)은 회전센서(391)가 회전신호를 감지한다.
그러면 신호변환부(400)는 감지된 신호값을 기존의 AR/VR 장치의 동작신호값으로 변환된 변환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30)는 변환신호가 감지된 경우를 판단하고(S330), 변환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330)가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회전 방향대로 콘텐츠내에서 보이는 방향을 회전하게 된다(S340).
이 외에도 줌인, 줌 아웃, 전진, 후진 등도 가능하며, 이는 가속센서(392)와 자이로센서(393)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393) 감지값에 의해 좌측으로 기울인 경우라고 판단되면 콘텐츠에서 줌인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실행하고, 우측으로 기울인 경우라고 판단되면 콘텐츠의 줌아웃신호로 변환하여 이을 실행한다.
또한, 가속센서(392) 감지값에 의해 전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에서 전진을 실행하고, 후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에서 후진을 실행한다.
이러한 전진, 후진, 회전 등의 동작은 미리 변환신호 설정 정의에 의해 실현가능하며, 다양한 정의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실행 가능하다.
또한, 대체동작수단(390)에는 영상분석장치의 카메라로 얼굴의 움직임을 감지, 얼굴패턴분석을 통한 인식 및 홍채인식을 함으로써, 얼굴의 표정변화, 눈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체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후, 종료가 선택되면, 제어부(330)는 콘텐츠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과정(S310)부터 반복 수행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또는 MR(혼합현실)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연동하여 장애 부분에 바람, 물리적 자극 또는 공압, 압력, 전기자극 등을 주어 실제로 자신이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MR)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연동하여 장애 부분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MR)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고글 등을 통해 체험하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터치 방식이 아닌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대체동작수단(39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MR)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고글 등을 통해 체험하면서 사용자가 머리의 움직임 또는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또는 육축센서 등의 조작을 통해 360도 전방향을 보거나 줌인, 줌아웃, 전진, 후진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어기와 연동되는 AR/VR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대체동작수단;
    대체동작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대체동작수단;
    상기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값을 변환하여 기존의 신호값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변환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어기과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어기에 전송하며, 상시 대체동작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내에서 360도 범위내에서의 회전 이동을 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자극을 제공하는 물리자극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물리자극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자극수단은,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치료를 위한 온열, 전기자극, 진동 및 주무름 기능을 하는 물리 치료기,
    사용자의 피부에 인지를 위한 물리자극을 인가하는 물리장치,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바람과 향기를 제공하는 촉각장치를 포함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에서 구현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캐릭터 동작제어시 제어되는 캐릭터(손 또는 발)의 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물리 치료기 및 물리장치가 구동하는 AR/VR 유무선 제어장치.
KR1020170058580A 2017-05-11 2017-05-11 Ar/vr 유무선 제어장치 KR20180124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80A KR20180124302A (ko) 2017-05-11 2017-05-11 Ar/vr 유무선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80A KR20180124302A (ko) 2017-05-11 2017-05-11 Ar/vr 유무선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02A true KR20180124302A (ko) 2018-11-21

Family

ID=6460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580A KR20180124302A (ko) 2017-05-11 2017-05-11 Ar/vr 유무선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4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95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다윈테크 360도 가상영상 체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95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다윈테크 360도 가상영상 체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446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e-action therapy
Saini et al. A low-cost game framework for a home-based stroke rehabilitation system
US11024430B2 (en) Representation of symptom alleviation
US10762988B2 (en) Motor training
EP2726164B1 (en) Augmented-reality range-of-motion therap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200016363A1 (en) Digital virtual limb and body interaction
JP2010540088A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による生物学的感知
Struijk et al. Error-free text typing performance of an inductive intra-oral tongue computer interface for severely disabled individuals
JP2012524596A (ja) 鼻気流式デバイスコントローラ
Pfeiffer et al. Haptic feedback for wearables and textiles based o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JP202150605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Leeb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s and virtual reality for neurorehabilitation
KR100452093B1 (ko) 정신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가상 환경 장치
Tanaka et al. Electrical head actuation: Enabling interactive systems to directly manipulate head orientation
Kim et al. Metaverse wearables for immersive digital healthcare: a review
Velazquez et al. Preliminary evaluation of podotactile feedback in sighted and blind users
Beckhaus et al. Unconventional human computer interfaces
McDaniel et al. Therapeutic haptics fo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KR20180124302A (ko) Ar/vr 유무선 제어장치
CN113035000A (zh) 一种面向中枢整合康复治疗技术的虚拟现实训练系统
Strohmeier et al. Body-based user interfaces
Longo et al. Using brain-computer interface to control an avatar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Ohsuga et al. Development of a bedside wellness system
JP686357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8969864A (zh) 基于vr技术的抑郁症康复治疗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