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43A -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 Google Patents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43A
KR20180123943A KR1020170058354A KR20170058354A KR20180123943A KR 20180123943 A KR20180123943 A KR 20180123943A KR 1020170058354 A KR1020170058354 A KR 1020170058354A KR 20170058354 A KR20170058354 A KR 20170058354A KR 20180123943 A KR20180123943 A KR 2018012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le
male
connecting cap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569B1 (ko
Inventor
임영재
Original Assignee
임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재 filed Critical 임영재
Priority to KR102017005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5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캡에 있어서, 상기 파일연결캡 중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내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내측 직경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외측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외측면에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캡 연결용 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내측면에도 역시 나선부를 형성하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와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본 발명은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형태의 파일연결캡과 쐐기스프링을 사용하여 용접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파일 간 연결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동시에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연약지반의 강화나 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지지를 위해 지반에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마감판과 마감판 사이에 다수개의 강선을 걸고 상기 마감판을 견인장치와 볼트로 체결한 다음 상기 견인장치로 마감판을 잡아 당겨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회전 후 양생시킴으로써 원통형 연결구 형상의 콘크리트파일을 얻게 된다.
상기한 콘크리트파일은 다져야할 지반이 깊은 경우는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의 길이만으로는 곤란하므로 두개의 콘크리트파일을 서로 맞대고 조인트 캡을 용접으로 연결하거나, 파일 걸쇠 등를 이용해 연결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조인트 캡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2128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인트 캡(1)(1') 각각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결합판(2)(2')을 형성하고, 그 결합판(2)(2')에 콘크리트 파일의 말단부 외주를 감싸는 파일 결합밴드(3)(3')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조인트 캡(1)(1')은 결합판(2)(2')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그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6)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용접을 위해서는 상기 결합판(2)(2')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판(2)(2')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용 홈(5)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용접 경사부(4)(4')가 결합판(2)(2')의 프레스 가공시 절곡 형성된다.
본 출원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인트캡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용접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등록특허 제10-1543388호로 선출원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연결플레이트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하부연결플레이트 상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을 한쌍의 반원형 파일 걸쇠로 걸고 파일 걸쇠는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는 하부 콘크리트 파일 위에 상부 콘크리트 파일을 얹었을 때 서로 수평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걸림턱을 일치시키기 곤란하여 파일 걸쇠로 걸어 결합하기 매우 힘든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파일 연결 방법은 또한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맞댄 다음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이어서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이 서로 맞대고 있는 수평방향으로는 미끌리기 쉬워 결합작업이 매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특허 제10-1543388호
2.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102364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형태의 파일연결캡을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평으로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이들 수놈형태의 파일연결캡의 외측면에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암놈형태의 파일연결캡의 내측면에도 역시 나선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놈형태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와 암놈형태 파일연결캡의 나선부 사이에 개재되는 쐐기스프링에 의해 쐐기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고 견고한 파일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캡에 있어서, 상기 파일연결캡 중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내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내측 직경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외측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외측면에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캡 연결용 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내측면에도 역시 나선부를 형성하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와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는 경사면과 쐐기스프링이 탄성에 의해 벌어질 때 삽입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쐐기스프링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삽입시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의 걸림턱에 걸려 조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삽입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쐐기스프링의 일측면은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으로 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쐐기스프링은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에는 플레이트와 원통형 연결구를 지탱하기 위한 리브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용접에 의해 다수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이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로 이루어져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삽입되면 수평으로의 이탈이 차단되어 파일간 결합이 용이해지고,
또 본 발명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외측면에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내측면에도 나선부를 형성하되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와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 사이에 개재되는 쐐기스프링에 의해 쐐기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파일간 연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일연결구의 참고도.
도 2는 종래 파일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참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으로써, (가)도는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가 쐐기스프링을 막 밀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도는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가 쐐기스프링을 완전히 밀쳐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다)도는 결합 후 쐐기스프링이 걸림턱에 걸려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참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으로써, (가)도는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가 쐐기스프링을 막 밀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도는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가 쐐기스프링을 완전히 밀쳐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다)도는 결합 후 쐐기스프링이 걸림턱에 걸려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100)는 연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파일(A) 두개를 서로 맞대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A)을 편의상 위에서 연결되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아래에서 연결되는 하부 콘크리트 파일로 구분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 파일 연결구(100)는 두개의 콘크리트 파일(A)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캡(110,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연결캡 중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111a)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에 나선부(112a)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112)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121a)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121)와 상기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에 나선부(122a)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은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원통형 연결구 내측 직경은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원통형 연결구(111) 외측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외측면에는 나선부(112a)가 형성되되 삽입, 즉 진행방향을 향해 나선부(112a)가 경사진 상태이고 각각의 나선 끝단에는 걸림턱(112c)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원통형 연결구(121)는 내측면에 나선부(122a)가 형성되는데, 이는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나선부(112a)와 대응되는 구조이다.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나선부(122a)에는 경사면(122b)과 오목홈(122c)이 구비되는데, 상기 오목홈(122c)은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에 결합되었을 때 쐐기스프링(130)의 쐐기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으로 부터 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쐐기스프링(130)은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나선부(122a)와 동일한 패턴의 나선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한다
또한 오목홈(122c)은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진입될 때 쐐기스프링(130)의 벌어질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한 것으로,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나선부(112a)가 쐐기스프링(130)을 타고 넘을 때 상기 쐐기스프링(130)은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암놈부 파일연결캡(120) 나선부(122a)의 오목홈(122c)으로 끼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오목홈(122c)와 같은 공간이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나선부(122a)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쐐기스프링(130)이 벌어질 공간이 없어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진입될 수 없게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나선부(112a)의 진입에 따른 탄성에 의해 벌어졌던 쐐기스프링(130)은 다시 직경이 좁아지면서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걸림턱(112c)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빠지게 되면, 즉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의 걸림턱(112c)에 걸려있던 쐐기스프링(130)이 따라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쐐기스프링(130)이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나선부(122a) 경사면(122b) 끝단부에 걸리면서 더이상 빠질 수 없게 된다. 즉 쐐기스프링(130)이 숫놈부 파일연결캡(110)과 암놈부 파일연결캡(120)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쐐기스프링(130)은 쐐기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에는 플레이트(111)와 원통형 연결구(112)를 지탱하기 위한 리브(113)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용접에 의해 다수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캡(110,120)을 서로 맞물리게, 즉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캡을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캡에 삽입만 하면 곧바로 결합되어 연결의 편리함과 신속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110)과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의 원통형 연결구(112,122) 끝단에 안내면(110a,120a)을 형성하여 암놈부 파일연결캡(120)에 숫놈부 파일연결캡(110)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안내면(110a,120a)에 의해 서로 안내되어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110: 숫놈부 파일연결캡 120: 암놈부 파일연결캡
110a,120a: 안내면
111,121: 플레이트 111a, 121a: 통공
112,122: 원통형 연결구
112a, 122a: 나선부
112c: 걸림턱
122b: 경사면
122c: 오목홈
A: 콘크리트 파일 B: 너트
C: 강선

Claims (5)

  1.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캡에 있어서,
    상기 파일연결캡 중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캡은 다수개의 파일 결합용 통공이 천공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되 내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은 암놈부 파일연결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내측 직경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원통형 연결구 외측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외측면에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캡 연결용 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내측면에도 역시 나선부를 형성하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와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과 암놈부 파일연결캡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으로 부터 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는 경사면과 쐐기스프링이 탄성에 의해 벌어질 때 삽입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스프링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삽입시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숫놈부 파일연결캡의 나선부의 걸림턱에 걸려 조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삽입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쐐기스프링의 일측면은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숫놈부 파일연결캡이 암놈부 파일연결캡으로 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스프링은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캡에는 플레이트와 원통형 연결구를 지탱하기 위한 리브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용접에 의해 다수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20170058354A 2017-05-10 2017-05-10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214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54A KR102144569B1 (ko) 2017-05-10 2017-05-10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54A KR102144569B1 (ko) 2017-05-10 2017-05-10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43A true KR20180123943A (ko) 2018-11-20
KR102144569B1 KR102144569B1 (ko) 2020-08-13

Family

ID=6456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354A KR102144569B1 (ko) 2017-05-10 2017-05-10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5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414A (ko) * 2013-02-02 2014-08-12 장혜란 푸시 앤 그랩 철근 커플러
KR101543961B1 (ko) * 2014-05-30 2015-08-12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파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414A (ko) * 2013-02-02 2014-08-12 장혜란 푸시 앤 그랩 철근 커플러
KR101543961B1 (ko) * 2014-05-30 2015-08-12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569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578B2 (en) Coupling between two bodies
KR100791619B1 (ko) 철근 연결구
KR200409526Y1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WO2016197597A1 (zh) 用于连接两个物体的连接件及用该连接件连接的预制构件
KR20070054417A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KR101941127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03912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RU253852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ического флан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ническое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1543388B1 (ko)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WO2017059649A1 (zh) 弹卡式连接件
KR101668393B1 (ko)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20180123943A (ko)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1825426B1 (ko)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KR10225542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CN210857199U (zh) 一种混凝土预制桩连接装置及混凝土桩基
KR200436792Y1 (ko) 건축물의 케이블 고정용 패스너
KR200370224Y1 (ko) 철근 연결구
KR20180123944A (ko)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2461371B1 (ko)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KR200474815Y1 (ko)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668389B1 (ko)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20180116723A (ko)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1473770B1 (ko) 가구용 체결구
GB2371826A (en) Collet connector for p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1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27

Effective date: 2020070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