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820A -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820A
KR20180123820A KR1020170058020A KR20170058020A KR20180123820A KR 20180123820 A KR20180123820 A KR 20180123820A KR 1020170058020 A KR1020170058020 A KR 1020170058020A KR 20170058020 A KR20170058020 A KR 20170058020A KR 20180123820 A KR20180123820 A KR 2018012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cessing unit
voice
call
record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627B1 (ko
Inventor
이동욱
손종목
안재환
백선엽
이한수
신진섭
김은지
김현진
강진아
박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6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은, 통화 연결 시 모뎀부는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화 연결 종료 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ALL RECORDING}
본 발명은 통화 녹음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통화 시, 해킹이나 악성코드에 의한 불법적인 통화 녹음을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대부분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통화 중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화 녹음 기능은 악성코드나 해킹 등에 의해 악용될 수 있으며, 불법적인 녹음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음성을 외부 장치를 통해 사전에 비화나 스크램블링 기법을 적용하여 변조시킨 후, 통화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를 수신하는 측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아 음성을 재조합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불법적인 녹음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불법적인 녹음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한 사례가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음성 통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보안 통화의 녹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858283호, 2008년 09월 17일 공고(명칭: 대화 도청 방지를 위한 사운드 마스킹 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해킹이나 악성코드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내용이 불법적으로 녹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음성 통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화 내용의 녹음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통화 내용의 녹음을 허용 또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은, 통화 연결 시, 모뎀부는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화 연결 종료 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의 데이터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뎀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PC 채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뎀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세서부,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는, 통화 연결 시 상기 모뎀부로부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는,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모뎀부로 전달하는 보이스 처리부,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뎀부로부터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뎀부는, 통화 연결 시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통화 연결 종료 시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고, 상기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의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여,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뎀부는, 상기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뎀부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뎀부는,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뎀부는, 상기 모뎀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PC 채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킹이나 악성코드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내용이 불법적으로 녹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음성 통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화 내용의 녹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통화 내용의 녹음을 허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모뎀부(110), 응용 프로세서부(120) 및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모뎀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성 통화 시, 모뎀부(110)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로부터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모뎀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의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모뎀부(110)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모뎀부(110)는 통화 연결 종료 시,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뎀부(110)는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뎀부(110)는 해당 통화가 보안 통화인지 여부, 현재 통화 모드가 보안 통화 모드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녹음 방지 기능의 실행을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응용 프로세서부(120)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응용 프로세서부(120)는 음성 통화 관련 UI를 처리하고, 사용자 키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의 음성 녹음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음성 데이터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오디오 코덱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오디오 코덱부를 통해 송수신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가공하여 응용 프로세서부(120) 및 모뎀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코덱부는 아날로그 신호의 입출력,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신호 변환(Analog-to-Digital),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 신호 변환(Digital-to-Analog)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통화 연결 시 모뎀부(110)로부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고,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하여,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응용 프로세서부(120)와의 연결을 차단하거나, 응용 프로세서부(120)로의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여,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용 프로세서부(120)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불법적인 통화 녹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처리하는 기능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이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는 보이스 처리부(131) 및 오디오 처리부(133)를 포함한다.
보이스 처리부(131)는 음성 통화와 관련된 오디오인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 음성 통화 시, 보이스 처리부(131)는 음성 데이터를 EVRC, AMR, EVS 등의 음성 통화용 보이스 코덱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다. 그리고 보이스 처리부(131)는 압축한 음성 데이터를 모뎀부(110)로 전송하여, 음성 데이터가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처리부(133)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모든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오디오 신호를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음성 통화가 보안 통화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3)는 모뎀부(110)로부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3)는 모뎀부(110)와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뎀부(110)와의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PC 채널)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 채널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오디오 처리부(133)는 보이스 처리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3)는 보이스 처리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고,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하여,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3)는 보이스 처리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는 채널을 차단하여,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S310).
통화 연결 시,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해킹 되었거나, 악성 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녹음 방지 기능의 활성화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녹음 방지 기능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통화의 수신지가 보안 통화를 요하는 수신지인 경우, 통화의 발신 시간이 보안 통화를 요하는 시간인 경우, 통화의 발신 위치가 보안 통화를 요하는 위치인 경우 등을 고려하여,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S320),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녹음 방지 명령을 생성하여 오디오 처리부로 전송한다(S330).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모뎀부는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녹음 방지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녹음 방지 명령을 오디오 처리부로 전송한다.
이때,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모뎀부와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을 통하여 녹음 방지 명령을 송수신하고, 녹음 방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부와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nter-Process Communication Channel, IPC 채널)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 채널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응용 프로세서부로의 음성 데이터 전달을 차단한다(S340).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는,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오디오 처리부와 응용 프로세서부 간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는,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고, 무효화된 묵음 데이터를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는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악성 코드나 외부의 해킹 공격에 의한 불법 녹음을 방지할 수 있다.
통화 종료 시,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생성하여, 오디오 처리부로 전송한다(S350).
통화가 종료된 경우,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모뎀부는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생성하여, 오디오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수신한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는, 차단 되었던 응용 프로세서부와의 통신 연결을 다시 설정하거나, 음성 데이터의 무효화(Nulling)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즉,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는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수신한 경우,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통화가 종료된 경우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가 녹음 방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보안 통화의 종료를 요청받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보안 통화 모드가 종료된 경우, 또는 일반 통화 모드(비 보안 통화 모드)가 시작된 경우 통화 녹음 방지 장치(100)는 S350 단계를 수행하여 녹음 방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통화 녹음 방지 장치(400)는 모뎀(CP)(410), 응용프로세서(AP)(420), 신호처리 프로세서(DSP)(430) 및 오디오 코덱(Audio Codec)(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 프로세서(430)는 보이스 처리부(431) 및 오디오 처리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뎀(410)은 통신 채널(10)을 통하여 오디오 처리부(433)와 연결되며, 오디오 처리부(433)로 녹음 방지 명령 및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뎀(410)은 보이스 처리부(433)로부터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대방의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이스 처리부(433)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응용프로세서(420)는 각종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음성 통화와 관련된 통화 관련 UI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 프로세서(430)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음악 등의 일반적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며, 오디오 코덱(440)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응용프로세서(420) 및 모뎀(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신호처리 프로세서(430)의 보이스 처리부(431)는 음성 통화와 관련된 오디오인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 보이스 처리부(431)는 모뎀(410)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오디오 코덱(440)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모뎀(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이스 처리부(431)는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433)로 전달한다.
보이스 처리부(431)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은 오디오 처리부(433)는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응용프로세서(420)로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433)는 음성 데이터 송신 채널(20)을 통하여 응용프로세서(420)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433)는 모뎀(410)으로부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보이스 처리부(431)는 응용프로세서(420)로의 음성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통화가 녹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말이 해킹되거나, 악성 코드에 감염된 경우,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의 통화 내용이 불법으로 녹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400)의 모뎀(410)은 오디오 처리부(433)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통화 내용이 응용프로세서(4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410)은 도 1의 모뎀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응용프로세서(420)는 도 1의 응용 프로세서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 프로세서(430)는 도 1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5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500)은 버스(5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사용자 입력 장치(540), 사용자 출력 장치(550) 및 스토리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500)은 네트워크(5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530)나 스토리지(5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530) 및 스토리지(5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531)이나 RAM(5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통신 채널 20: 음성 데이터 송신 채널
10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10: 모뎀부
120: 응용 프로세서부 130: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
131: 보이스 처리부 133: 오디오 처리부
40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410: 모뎀
420: 응용프로세서 430: 신호처리 프로세서
431: 보이스 처리부 433: 오디오 처리부
440: 오디오 코덱 500: 컴퓨터 시스템
510: 프로세서 520: 버스
530: 메모리 531: 롬
532: 램 540: 사용자 입력 장치
550: 사용자 출력 장치 560: 스토리지
5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80: 네트워크

Claims (18)

  1. 통화 녹음 방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시, 모뎀부는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화 연결 종료 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의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뎀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PC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방법.
  9. 음성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뎀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세서부,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는,
    통화 연결 시 상기 모뎀부로부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부는,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모뎀부로 전달하는 보이스 처리부,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뎀부로부터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오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통화 연결 시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통화 연결 종료 시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녹음 방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보이스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무효화(Nulling)하고, 상기 무효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의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여, 상기 응용 프로세서부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통화 연결 시, 녹음 방지 기능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녹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모뎀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 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녹음 방지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프로세스간 통신 채널(IPC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녹음 방지 장치.
KR1020170058020A 2017-05-10 2017-05-1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5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20A KR101954627B1 (ko) 2017-05-10 2017-05-1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20A KR101954627B1 (ko) 2017-05-10 2017-05-1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20A true KR20180123820A (ko) 2018-11-20
KR101954627B1 KR101954627B1 (ko) 2019-05-17

Family

ID=6456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020A KR101954627B1 (ko) 2017-05-10 2017-05-10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6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070A (ko) * 2004-11-19 2006-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과 휴대단말기 운영 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858283B1 (ko) 2007-01-09 2008-09-17 최현준 대화 도청 방지를 위한 사운드 마스킹 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KR20150080656A (ko) * 2013-12-02 2015-07-10 (주)몽태랑인터내셔날 대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15524176A (ja) * 2012-04-26 2015-08-20 テンセント テクノロジー (シェンジ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通話プロセス中に録音を防止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070A (ko) * 2004-11-19 2006-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과 휴대단말기 운영 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858283B1 (ko) 2007-01-09 2008-09-17 최현준 대화 도청 방지를 위한 사운드 마스킹 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JP2015524176A (ja) * 2012-04-26 2015-08-20 テンセント テクノロジー (シェンジ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通話プロセス中に録音を防止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150080656A (ko) * 2013-12-02 2015-07-10 (주)몽태랑인터내셔날 대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627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8332C (en) Operating system independent, secure data storage subsystem
EP353567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26593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는 통화 수행 방법 및 사용자 단말
JP5899324B2 (ja) 盗聴アクティビティ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US8117451B2 (en) Device controller,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and program therefor
US8019078B2 (en) Phone call mute notification
CN110290441B (zh) 一种无线耳机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US20150271327A1 (en) Verifying telephone caller origin
CN104636154B (zh) 应用程序安装方法及装置
CN104283851A (zh) 非法自动呼叫的屏蔽方法和系统以及语音鉴权设备
KR101954627B1 (ko) 통화 녹음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02067597A3 (en) Control of service execution by loading a service script
JP2009526469A (ja) 保安用電子ファックス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561224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通话终端
US8712452B2 (en) Enterprise seamless mobility
CN109561407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通话终端
CN106919847B (zh) 一种基于android智能终端的加密通信防旁路方法
KR101886311B1 (ko) 보안 통화 및 통화 녹취 알림 시스템
CN110580179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032719B1 (ko)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79845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oftware
KR101426923B1 (ko) 전화통화 제어가 가능한 모바일 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748A (ko) VoIP 단말의 프로비저닝을 위한 서버 및 방법
CN111163215A (zh) 应用的运行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70010674A (ko) 인증 실패시 호 착/발신 제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