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335A -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335A
KR20180123335A KR1020170057408A KR20170057408A KR20180123335A KR 20180123335 A KR20180123335 A KR 20180123335A KR 1020170057408 A KR1020170057408 A KR 1020170057408A KR 20170057408 A KR20170057408 A KR 20170057408A KR 20180123335 A KR20180123335 A KR 2018012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alginic acid
stem cells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762B1 (ko
Inventor
강병재
우흥명
이현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52Proteins, e.g. alb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2035/126Immunoprotecting barriers, e.g. jackets, diffusion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세캡슐화된 MSCs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가능성을 가진다. 적당한 콜라겐-알긴산 조성을 가지는 미세캡슐화는 MSCs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주사용 마이크로비드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microencapsulated composition combine with collagen and alginate for encapsulating stem cell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 이식술에 있어서 여러 원인에 의하여 이식 성과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 중 이식된 세포에 대한 자가 면역반응 또는 특이면역반응과 이를 억제하기 위한 면역억제제의 사용은 수혜자의 면역기능을 약화시키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식하는 세포에도 유해한 효과를 준다. 따라서 이런 독성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거부반응을 극복하기 위해 숙주의 면역 체계로부터 이식 세포를 격리 및 보호하고 이식부위의 환경을 모방하는 세포의 캡슐화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례로 인슐린 의존적인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췌도세포의 이식은 가장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으나, 현재 임상에 적용되는 췌도세포 이식에서는 이식용 췌도세포의 부족뿐만 아니라 이식된 췌도세포에서 기능 소실이 나타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식된 췌도세포의 기능소실은 공여췌장에서 췌도세포 분리 과정 중 유발되는 세포 손상과 이식 초기에 수혜자에서의 정착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한 세포 사멸, 정착 후 자가면역 반응 또는 특이면역반응으로 인한 세포 사멸이 원인으로 보고되었다. 독성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거부반응을 극복하기 위해 숙주의 면역 체계로부터 췌도세포를 분리 및 보호하고 췌장에서의 환경을 모방하는 췌도세포 캡슐화 기법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췌도세포의 캡슐화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알지네이트나 아가로스 등을 이용한 반투과성 막을 형성시켜 산소, 포도당, 영양물질과 세포 대사 산물, 인슐린 등은 투과시키면서 면역반응 매개 물질들은 차단한다. 이러한 반투과성 막의 작용은 면역반응 유도 세포와 췌도세포가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일어나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막을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췌도세포의 미세캡슐화 기법은 일부 성공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나 캡슐 내부 췌도세포 생존율이 낮아 혈당 조절을 원할히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 원인 중 하나로 캡슐화에 의해 캡슐 내 췌도세포로의 산소 공급이 수동 확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성적인 저산소 상태에 노출되어 이로 인해 췌도세포의 손상이 야기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캡슐화 시 산소 확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헤모글로빈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으나 거대캡슐화로 인해 만들어지는 캡슐의 췌도세포 용량 대비 표면적율이 커서 이용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세포이식치료는 배아줄기세포나 근육모세포(skeletal myoblast), 중간엽 줄기세포, 조혈줄기세포 등 골수에서 기인한 줄기세포, 간이나 신경계 등의 장기에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s) 등을 사용하는 자가세포이식(autologous transplantation)이 있다.
이러한 이식 치료에서 실제 이식되는 세포의 수가 매우 적어 고농도의 세포 수를 이식 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농도의 세포를 이식한다 하더라도 이식된 부위에서 분화할 때까지 세포가 머물러 있기에 열악한 환경 조건이므로 기대이상의 치료 효과를 보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세포의 전달체 혹은 지지체로서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그 생착율을 높이는 기술들이 최근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연골세포를 키토산계 고분자 스캐폴드에 배양하여 연골 조직 손상을 치료하고자 하였고(미국공개특허 제2004-0044408호), 연골세포를 단백질 혹은 다당류 고분자에 혼합해 손상된 연골조직에 적용시켰다(미국공개특허 제2006-0029578호). 또한, 고분자 히드로젤로 구성된 스캐폴드(scaffold)를 연골세포, 골아세포 또는 줄기세포와 혼합해 골조직의 재생을 유도하였다(미국공개특허 제2006-0036331호). 그리고, 플루론산 30%, 히알루론산 3~4%로 제조된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연골세포를 혼합한 연골손상 치료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94,265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포치료제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는 주로 연골조직 재생용이나 골조직 재생용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뼈, 연골, 인대, 힘줄, 혈관, 피부, 지방, 근육, 신경, 심장, 간장, 췌장, 장, 신장, 각막, 방광,요관, 요도, 유방, 골수 또는 제대혈 유래 세포를 3차원 다공성 지지체에 삽입하여 조직 재생을 시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83681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형성 특성 및 증식에 최적인 미세캡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형성 특성 및 증식에 최적인 미세캡슐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1.2%(w/v):콜라겐 0%(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99%(w/v)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1.05%(w/v):콜라겐 0.033%(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0.75%(w/v):콜라겐 0.99%(w/v)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 캡슐은 골형성 분화용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 캡슐은 주사용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를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과 혼합하여 미세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의 혼합비는 알긴산 1.05%(w/v):콜라겐 0.033%(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의 혼합비는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이하, 'ASCs'라 함)를 진동 기술 캡슐화장비(vibrational technologic encapsulator)를 사용한 여러 콜라겐-알긴산(collagen-alginate) 조성의 혼합물에서 미세캡슐화하였다.
그 생산물인 마이크로비드의 크기 및 형태를 명시야(light field)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생존률을 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키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증식 및 골분화 능력을 각각 alamarBlue 증식 어세에 및 alkaline phosphatase 어세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콜라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마이크로비드의 크기 및 크기 변이가 증가하였고, 마이크로비드의 형태가 더 불규칙하게 되었다. 그러나, 0.75% 알긴산-0.099% 콜라겐 in 1.2% 알긴산 범위에서 크기 및 형태의 큰 차이가 없는 균질화된 마이크로비드가 생성되었다.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물에서 ASCs의 생존률의 큰 차이는 없었다. 증식 및 골형성 특성 모두 인 비트로에서 콜라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당한 콜라겐-알긴산 조성을 가지는 개 ASCs의 미세캡슐화는 마이크로비드의 형태 및 크기와 세포 생존률에 대한 큰 효과 없이 인 비트로에서 세포 증식 및 골형성 특성을 증가한다.
적당한 콜라겐-알긴산 조성을 가지는 미세캡슐화는 줄기 세포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주사용 마이크로비드를 생산할 수 있다.
게다가 인 비보 조사는 MSCs의 이식에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기술의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콜라겐-알긴산 조성을 사용한 미세캡슐화된 MSCs의 치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세캡슐화된 MSCs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가능성을 가진다.
적당한 콜라겐-알긴산 조성을 가지는 미세캡슐화는 MSCs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주사용 마이크로비드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세포 부존재의 마이크로비드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
(A) ASC 미세캡슐화에 제조된 물질 조성.
(B) 세포 부존재에서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캡슐화로부터 야기된 비드 직경(um).
(C) 세포 부존재에서 마이크로비드의 명 시야 현미경 이미지; 스케일 바 = 250 um.
(D) 마이크로비드의 크기 편차. *는 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p < 0.05)를 나타냄.
도 2는 캡슐화된 개 ASCs를 나타낸 그림.
(A)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현미경 모습; 스케일 바 = 250 um.
(B) 세포 존재에서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캡슐화로부터 야기된 비드 직경(um).
(C)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 혼합물에서 개 ASCs의 미세캡슐화 직후 세포 생존률. 생존 세포 원형질은 녹색 염색되고, 죽은 세포는 적색 염색된 핵을 가진다; 스케일 바 = 250 um.
(D)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 하에서 세포 생존률. *는 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p < 0.05)를 나타냄.
도 3은 3주간 배양된 캡슐화된 개 ASCs의 증식 및 관련된 현미경 사진.
(A) 1주간 배양된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현미경 형태. 개 ASCs의 광원 현미경 이미지는 1 주에 콜라겐 존재 또는 부존재에 따른 미세캡슐화된 세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ASCs는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콜라겐 타입 I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길어진다(elongated), 반면에 콜라겐이 없을 때 세포는 둥근 형태를 나타낸다; 스케일 바 = 125 um.
(B)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 하에서 세포 수(n=4). *는 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p < 0.05)를 나타냄.
도 4는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10일 간 골형성 유도체의 존재 하에서 미세캡슐화된 개 ASCs(n=3)의 ALP 발현을 나타낸 그림. *는 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p < 0.05)를 나타냄.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개 ASCs를 Kang BJ, Ryu HH, Park SS et al. Comparing the osteogenic potential of canin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adipose tissues, bone marrow, umbilical cord blood, and Wharton's jelly for treating bone defects.J Vet Sci. 2012;13:299-31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콜라게네이즈 퍼퓨전 기술을 사용하여 2년생 수컷 비글로부터 분리하였다.
개 ASCs를 10% 우태아 혈청(FBS; Invitrogen) 및 1% antibiotic-antimycotic 용액(Thermo Fisher Scientific)이 보충된 고 포도당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Invitrogen)에서 표준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세포가 90% 컨푸루언스에 도달할 때까지 48시간 간격으로 교체하였고, 그 시점에서 그들을 트립신화하고 액체 질소에서 저장하거나 서브컬쳐하였다.
개 ASCs의 계대에 대한 세포 밀도는 약 2.5 X 104 cells/cm2이었다. 냉동보관된 개 ASCs를 5 계대까지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세포 없는 미세캡슐화
1.2% 알긴산 용액을 1.8% 알긴산 용액(Buchi Labortechinik AG)에 살균된 NaCl 용액을 첨가하여 얻었다. 나트륨 알긴산/콜라겐 용액은 얼음 욕조에서 냉장 살균된 NaCl 용액과 1.8% 알긴산 용액에 냉장 rat 꼬리 타입 I 콜라게네이즈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여러 조성의 나트륨 알긴산 및 콜라겐에서 주사용에 적합한 마이크로비드의 생산을 위하여 Buchi Encapsulator B-395 Pro (Buchi Labortechinik AG)을 사용한 진동 노즐 기술은 최적화된 가공 파라미터들(진동수 1,000 Hz, 유속 23 mL/min 및 전압 1,000 V) 하에서 사용되었다(도 1A).
마이크로비드들은 20분 동안 100 mmol CaCl 용액에서 고분자화되었다. 고분자화 후, 마이크로비드의 형태를 명 시야 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비드 생성 후, 100 마이크로비드들을 계수하고 측정하고 그 평균 직경 및 크기 편차를 결정하였다. 그 다음, 원하는 조성을 ASC 미세캡슐화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선택하였다.
실시예 3: 개 ASCs의 미세캡슐화
1 x 105 cells/mL 밀도에서 개 ASCs를 여러 선택된 알긴산-콜라겐 조성의 혼합에서 최적화된 가공 파라미터들 하에서 미세캡슐화되었다. 그 후 그 미세캡슐화된 ASCs를 1X PBS에서 세척하였다. 그 마이크로비드들의 크기 및 형태를 명시야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4: 세포 생존률 어세이
미세캡슐화된 개 ASCs를 5 mL of 1X PBS를 가지는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0-um nylon 세포 스트레이너에 위치시켰다. 미세캡슐화된 세포의 생존률을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포유류용 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Kit(Invitroge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0-min 배양 후, 세포 생존률을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증식 어세이
미세캡슐화된 개 ASCs를 48시간 간격으로 교체되는 5 mL 성장 배지를 가지는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0-um nylon 세포 스트레이너에 위치시켰다.
세포의 증식 특성을 alamarBlue 증식 어세이(AbDserotec)를 사용하여 3주간 매주 측정하였다. 캡슐화된 세포를 가지는 strainer를 정상 배지 대신에 5 mL의 PBS에 위치시키고 i500 uL의 alamarBlue 시약으로 혼합하였다. 4-h 배양 후, 100 uL의 미리 혼합된 샘플을 96-well plate의 웰 하나에 위치시키고 흡광도를 570 및 60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Softmac pro 5.4.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샘플들을 3중 반복 분석하였고, 평균 값들은 alamarBlue 시약의 퍼센트 감소를 계산하기 위하여 얻었다. 세포 수를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6: 골형성 분화 테스트
골형성 배양 배지는 100 nM dexamethasone (Sigma-Aldrich), 100 ng/mL 골 형성 단백질-2 (BMP-2; Anibog ®, BIOALPHA), 100 ug/mL ascorbic acid (Sigma-Aldrich), 및 10 mM 베타-glycophosphate (Sigma-Aldrich)가 보충된 성장 배지이다. 미세캡슐화된 개 ASCs를 5 mL 골형성 세포 배양 배지를 가지는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0-um nylon 세포 스트레이너에 위치시키고, 10일간 표준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골형성 능력을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alkaline phosphatase (ALP) assay 키트(Abcam)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마이크로비드를 녹이기 위해서 37°C에서 마이크로비드를 50 mM EDTA-용액(pH 7.0)에 2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유로운 세포를 얻었다. 개 ASCs의 알긴산 분해된 펠렛을 원심분리로 얻어서 초음파 분쇄로 파쇄하였다. ALP 활성을 405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37°C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p-nitrophenyl phosphate가 p-nitrophenol로 전환되는 것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ALP 활성을 전체 세포에 대해서 표준화하였다. 샘플을 3중 반복 분석하였고,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그룹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ukey's 다중 비교 테스트에 의하여 수반된 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차이를 p < 0.05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간주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를 하기에서 상술한다.
마이크로비드의 특성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콜라겐 비율이 증가할수록, 마이크로비드의 크기 및 크기 편차는 증가하고 마이크로비드의 형태는 불규칙해졌다(도 1).
조건 5 (알긴산 0.6%와 콜라겐 0.133%를 혼합함) 하에서, 마이크로비드들은 정상 구형 형태 대신에 열려진 파우치 또는 전구 형태를 형성하였다(도 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균질한 마이크로비드들이 0.75% 알긴산과 혼합된 0.099% 콜라겐에서부터 콜라겐 부존재의 1.2% 알긴산 범위에서 크기 및 형태의 큰 차이 없이 생성되었다.
세포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은 미세캡슐화는 생성된 마이크로비드의 크기 및 형태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도 2).
최적 크기 및 형태의 마이크로비드들을 생성하는 조건 1- 4 하에서 제조된 미세캡슐화된 세포의 추가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특성
세포 생존률
알긴산 또는 콜라겐-알긴산을 가지는 미세캡슐은 세포 생존 및 생존률에 대한 큰 부작용이 없었다(도 2).
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어세이에서, 살아 있는 세포들은 녹색 형광을 나타낸 반면에, 죽은 세포는 형광 이미지 실험에서 적색 형광을 나타내었다.
미세캡슐화된 개 ASCs의 생존률을 모든 선택된 조건 하에서 95% 보다 더 높았다. 게다가, 생존률은 콜라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나, 여러 콜라겐-알긴산 조성 사이의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증식 능력
3주간 수행된 AlamarBlue 증식 어세이는 모든 조건 하에서 세포 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도 3).
조건 4는 다른 조건들과 비교하여 가장 큰 증식 증가를 야기하였다. 조건 2 및 3은 조건 4보다는 증가된 증식을 나타내었으나, 조건 4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골형성 능력
골형성 능력의 지표로 사용된 ALP 생산은 콜라겐-알긴산 조성에서 콜라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도 4).

Claims (12)

  1.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1.2%(w/v):콜라겐 0%(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99%(w/v)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1.05%(w/v):콜라겐 0.033%(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비는 알긴산 0.75%(w/v):콜라겐 0.99%(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캡슐은 골형성 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캡슐은 주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10. 줄기세포를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과 혼합하여 미세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의 혼합비는 알긴산 1.05%(w/v):콜라겐 0.033%(w/v)에서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용액과 콜라겐 용액의 혼합비는 알긴산 0.75%(w/v):콜라겐 0.099%(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1020170057408A 2017-05-08 2017-05-08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08A KR101952762B1 (ko) 2017-05-08 2017-05-08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08A KR101952762B1 (ko) 2017-05-08 2017-05-08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35A true KR20180123335A (ko) 2018-11-16
KR101952762B1 KR101952762B1 (ko) 2019-02-27

Family

ID=6456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08A KR101952762B1 (ko) 2017-05-08 2017-05-08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94A1 (ko) * 2019-03-21 2020-09-24 (주)안트로젠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주사형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동결 및 해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27A (ko) * 2007-02-12 2009-10-19 안트로제네시스 코포레이션 부착성 태반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간세포와 연골세포 및 cd34+, cd45- 태반 줄기세포가 농축된 세포군
KR20120091008A (ko) * 2009-08-28 2012-08-17 세르노바 코포레이션 세포 이식 방법 및 장치
KR20140051161A (ko) * 2011-03-29 2014-04-30 베타-셀 엔브이 캡슐화된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27A (ko) * 2007-02-12 2009-10-19 안트로제네시스 코포레이션 부착성 태반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간세포와 연골세포 및 cd34+, cd45- 태반 줄기세포가 농축된 세포군
KR20120091008A (ko) * 2009-08-28 2012-08-17 세르노바 코포레이션 세포 이식 방법 및 장치
KR20140051161A (ko) * 2011-03-29 2014-04-30 베타-셀 엔브이 캡슐화된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94A1 (ko) * 2019-03-21 2020-09-24 (주)안트로젠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주사형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동결 및 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762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915B2 (en) Co-encapsulation of live cells with oxygen-generating particles
Novikova et al. Alginate hydrogel and matrigel as potential cell carriers for neurotransplantation
AU2010236855B2 (en) Decellularization and recellularization of organs and tissues
EP2367419B1 (en) Cellular compositions for use in therapy
KR101613478B1 (ko)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eng et al. A chondrogenesis induction system based on a functionalized hyaluronic acid hydrogel sequentially promoting hMSC proliferation, condensation, differentiation, and matrix deposition
KR101585032B1 (ko)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Microencapsulation improves chondrogenesis in vitro and cartilaginous matrix stability in vivo compared to bulk encapsulation
CN113143967B (zh) 一种促进软骨形成的透明质酸水凝胶的制备方法和应用
Canibano-Hernandez et al. Current advanced therapy cell-based medicinal products for type-1-diabetes treatment
Groot Nibbelink et al. An important step towards a prevascularized islet microencapsulation device: in vivo prevascularization by combin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on micropatterned membranes
ES2360153B1 (es) Composición de implante para la regeneración de tejido neural,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y usos de la misma.
RU2425645C1 (ru) Способ и 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лечения печеноч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KR101952762B1 (ko) 알긴산과 콜라겐의 조합으로 생성된 줄기세포를 캡슐화하는 미세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Xiang et al. Advances in the applications of polymer biomaterials for in vitro follicle culture
RU258695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еченоч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US20210196646A1 (en) Improved formulations for pancreatic islet encapsulation
US20220016219A1 (en) Means and Methods to Treat Diabetes
Youngblood Bioengineered Scaffold Microenvironment Promotes Assembly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Derived Human Organoids
Wang Novel Approaches for Enhancing Cell Survival and Function In Vivo
RU2425647C1 (ru) Способ и 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лечения печеноч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WO2023046976A2 (en) Novel therapy
Bose et al. Cell Therapy for Diabetes
Alzebdeh Development of scaffold architectures and heterotypic cell systems for hepatocyte transplantation
Abousleiman Tendon tissue engineering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the human umbilical vein, and mechanical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