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229A - 혈장 급속 냉동기 - Google Patents

혈장 급속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229A
KR20180123229A KR1020170057157A KR20170057157A KR20180123229A KR 20180123229 A KR20180123229 A KR 20180123229A KR 1020170057157 A KR1020170057157 A KR 1020170057157A KR 20170057157 A KR20170057157 A KR 20170057157A KR 20180123229 A KR20180123229 A KR 2018012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wing fan
evaporator
cold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520B1 (ko
Inventor
윤근진
Original Assignee
윤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진 filed Critical 윤근진
Priority to KR102017005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5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A01N1/0252Temperature controlling refrigerating apparatus, i.e. devices used to a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designated internal volume, e.g. refrigerators, freeze-drying apparatus or liquid nitrogen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장 급속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하우징의 일측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송풍팬의 일측과 1mm 간격을 두는 구조로 만들어서, 역류 냉기중 차단판으로 송풍팬과의 틈 사이로 3%∼5% 만 통과시키고 95%∼97%는 상부통로로 재공급 함으로써, 증발기를 통과하고 남은 60%의 잔류 냉기가 재공급 냉기와 합류하면서 상부통로와 하우징의 공간에 걸쳐 재킷압력으로 작용하게 하고, 이러한 재킷압력으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얼음 결정체를 탈락시켜서 열교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6)를 경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4); 상기 본체(4)의 내부에 증발기(20)를 고정 설치하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냉동장치(12); 상기 증발기(20) 전면에 설치되는 격판(22); 상기 격판(22)의 앞측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서랍(32) 및 트레이(34); 상기 본체(4)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을 결합한 모터(38);로 된 혈장 급속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상단부에 하우징(42)이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을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42)에 유입공(46)을 형성하여서 냉기가 상부통로(26)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하우징(42)의 일측에 차단판(56)을 설치하여 냉기가 재 순환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혈장 급속 냉동기{A plasma quick refrigerator}
본 발명은 혈장 급속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측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송풍팬의 일측과 1mm 간격을 두는 구조로 만들어서, 송풍팬에 의해 순환하는 냉기가 증발기에 부딪쳐 역류하면 차단판으로 송풍팬과의 틈 사이로 3%∼5% 만 통과시키고 95%∼97%는 상부통로로 재공급 함으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는 40%의 순환냉기를 제외한 잔류상태의 60% 냉기가 재공급 냉기와 합류하면서 상부통로와 하우징의 공간에 걸쳐 재킷압력으로 작용하게 하고, 이러한 재킷압력으로 이동하는 높은 압력의 순환냉기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얼음 결정체를 탈락시켜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 혈장 급속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장은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을 원심분리한 것으로 보통 -50℃로 급속 냉동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혈장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50℃의 냉기가 냉동기 내부를 균일하게 순환해야 하며, 또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우수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50℃의 냉기가 냉동기 전체를 균일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팬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면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10-1350493 B1 2014.1.6. "혈장 급속 냉동기"를 도 1a,1b 에서 살펴보면, 먼저 혈장급속냉동기(100)를 구성하는 냉동본체(110)의 내부 천정에 냉동하우징(157)이 고정 설치되면서 흡입구(157a)와 배출구(157b)를 선,후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냉동하우징(157)의 흡입구(157a)와 중간부에는 각각 송풍팬(158)과 증발기(159)가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59)에는 냉동장치(150)가 연결되면서 냉동본체(110)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동본체(110)의 수용공간(113)에 혈장 팩을 투입한 다음 냉동장치(150)와 송풍팬(158)를 작동시키면, 상기 냉동본체(110)의 내부 공기는 송풍팬(158)에 의해 이동하여 수용공간(113)에서 흡입구(157a)를 통하여 냉동하우징(157)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이후로 공기는 증발기(159)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냉기 형태로 배출구(157b)를 통해 냉동하우징(157)을 빠져 나가고, 이후로 상기 냉기는 수용공간(113)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냉기가 송풍팬(156)에 의해 수용공간(113), 증발기(159) 순으로 반복하여 순환하면, 상기 냉기는 설정된 온도인 -50℃로 급속 냉각되면서 수용공간(113)에 있는 혈장 팩을 냉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냉동하우징(157)의 내부 압력과 수용공간(113)의 내부압력은 동일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송풍팬(158)에 의해 냉기가 순환하면 증발기(159)를 구성하는 열교환 핀들의 좁은 틈 사이를 통과하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59)의 열교환 핀 사이에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얼음 결정체가 생성되고, 이러한 얼음 결정체는 냉기의 순환 통로를 차단하게 되어 증발기(159)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증발기(159)를 통과하는 냉기는 설정된 -50℃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에(113)에 저장된 혈장 팩은 -50℃ 이하로 냉동되게 되어 변질되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50493호 (2014.01.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하우징의 일측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송풍팬의 일측과 1mm 간격을 두는 구조로 만들어서, 송풍팬에 의해 순환하는 냉기가 증발기에 부딪쳐 역류하면 차단판으로 송풍팬과의 틈 사이로 3%∼5% 만 통과시키고 95%∼97%는 상부통로로 재공급 함으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는 40%의 순환냉기를 제외한 잔류상태의 60% 냉기가 재공급 냉기와 합류하면서 상부통로와 하우징의 공간에 걸쳐 재킷압력으로 작용하게 하고, 이러한 재킷압력으로 이동하는 높은 압력의 순환냉기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얼음 결정체를 탈락시켜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수납공간(24)을 내부에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어부(10)가 장착된 도어(6)를 경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4);
상기 제어부(10)를 연결하고, 본체(4)의 내부 후면벽에 증발기(20)를 고정 설치하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냉동장치(12);
상기 증발기(20)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증발기(20)의 상,하부에는 상,하부통로(26,28)를 분리 형성하는 격판(22);
상기 격판(22)의 앞측에 수평으로 설치한 레일(30)에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하는 서랍(32) 및 트레이(34);
상기 제어부(10)에 연결되고, 본체(4)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회전축에 결합한 송풍팬(40)을 수납공간(24)의 상부에 배치하는 모터(38);로 된 혈장 급속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내부 상단부에 하우징(42)이 고정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을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42)의 타측에는 개방공(54)을 형성하여 상부통로(26)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하우징(42)의 바닥판(44)에는 유입공(46)을 관통 형성하여서 수납공간(24)의 냉기가 송풍팬(40)에 의해 상부통로(26)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하우징(42)의 일측에 차단판(56)을 설치하여 송풍팬(40)에 의해 상부통로(26)로 이동한 냉기가 역류하여 재 순환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차단판(56) 선단부에 노치블레이드(58)를 형성하여서 상부통로(26)로부터 역류하여 온 냉기가 선단부에 부딪치도록 하고, 상기 노치블레이드(58)는 역류한 냉기에 의해 일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송풍팬(40)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이동하는 순환냉기가 증발기(20)를 통하여 40%만 통과하게 하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2)으로 역류한 냉기의 일부만을 차단판(56)이 통과시키고 나머지 역류냉기는 하우징(42) 및 상부통로(26)에 걸쳐서 잔류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42)에서부터 상부통로(26)에 이르는 공간에는 수납공간(24) 보다 큰 내부압력으로 된 재킷압력이 만들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42)의 일측에 차단판(56)이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의 일측과 1mm 간격을 두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송풍팬(40)에 의해 순환하는 냉기가 증발기(20)에 부딪쳐서 역류하면 차단판(56)에 의해 송풍팬(40)과의 틈 사이로 3%∼5% 만 통과하게 되고 95%∼97%는 차단되어 상부통로(26)로 재공급 되는데,
이때 순환냉기 중 증발기(20)를 통과한 40%의 순환냉기를 제외한 잔류상태의 60% 냉기가 재공급 냉기와 합류하면서 상부통로(26)와 하우징(42)의 공간에 걸쳐 재킷압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재킷압력으로 이동하는 높은 압력의 순환냉기에 의해 증발기(20)에서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얼음 결정체는 곧바로 탈락하게 됨으로, 증발기(20)의 열교환 효율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 는 종래의 기술인 혈장 냉동기의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치된 혈장 냉동기의 전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치된 혈장 냉동기의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송풍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송풍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송풍부재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치된 혈장 냉동기의 시험결과서
본 발명은 혈장을 채워서 밀봉한 팩(pack)을 -50℃ 로 급속 냉동시키는 혈장냉동기(2)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혈장냉동기(2)의 구조를 도 2 내지 도 6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혈장냉동기(2)에는 상자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전면을 개방 형성하고 있는 본체(4)가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4)의 전면에는 도어(6)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4)와 도어(6)에는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재(8)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6)의 전면에는 제어부(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에는 제어부(10)에 연결된 냉동장치(12)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동장치(12)를 구성하는 압축기(14)와 응축기(16)와 팽창변(18)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본체(4)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변(18) 출구에는 증발기(20)가 연결되면서 본체(4)의 내부 후면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20)의 출구에는 냉동장치(12)의 압축기(14)가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20)의 전면에는 격판(22)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격판(22)은 증발기(20)가 설치된 공간과 수납공간(24)을 분리 구성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증발기(20)의 상,하부를 각각 상,하부통로(26,28)로 분리 형성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격판(22)의 앞측에는 다수개의 레일(30)이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간격으로 높이를 달리하며 측면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레일(30)에는 서랍(32)이 결합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랍(32)에는 혈장을 채운 팩이 놓여지는 트레이(3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서랍(32)은 프레임이 직사각형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중앙부가 관통된 형태를 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34)는 망사 형태로 되어 있는데, 따라서 순환하는 냉기는 서랍(32)과 트레이(34)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팩에 채워진 혈장은 신속히 냉동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24) 상단부에는 냉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송풍부재(36)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재(36)에는 본체(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어부(10)에 연결되는 모터(38)가 구성되며, 상기 모터(38)를 구성하는 회전축은 본체(4)의 상단부를 관통하면서 선단부에 결합한 송풍팬(40)을 수납공간(24)의 상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4)의 내부 상단부에는 하우징(42)이 고정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을 내부에 배치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하우징(42)은 바닥판(44)에 유입공(46)이 관통 형성되어서 수납공간(24)과 연통하게 되고, 상기 바닥판(44)의 일측에 위치한 끝단부에는 제1측벽(48)이 절곡되면서 곡면 형태로 라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측벽(48) 끝단부에는 제2측벽(50) 및 제3측벽(52)이 연결되면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3측벽(48,50,52)의 상단부는 본체(4)의 상단부 내면에 고정되어 있게 되고, 상기 유입공(46)에는 송풍팬(40)의 하부가 위치하여 있게 되며, 상기 하우징(42)의 타측에는 상부통로(26)와 연통하는 개방공(54)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하우징(42)의 제1측벽(48) 일측에는 상부통로(26)로 이동한 냉기가 역류하여 송풍팬(40)을 따라 재 순환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56)의 후미가 용접되어 설치 되는데, 상기 차단판(56)의 선단부에는 노치블레이드(58)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노치블레이드(58)는 송풍팬(40)의 일측에 근접하여 위치하면서 간격을 두게 된다.
이때, 상기 노치블레이드(58)와 송풍팬(40)과의 간격은 1mm 가 적당하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노치블레이드(58)에는 상부통로(26)로 이동한 냉기의 일부가 역류하여 부딪치게 되고, 상기 노치블레이드(58)는 역류한 냉기에 의해 일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송풍팬(40)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6)를 오픈하여 본체(4)의 전면을 개방한 다음 서랍(32)을 당기면, 상기 서랍(32)은 트레이(34)와 함께 레일(30)을 따라 후진하면서 수납공간(24)으로부터 인출되게 되고, 이후로 상기 트레이(34)를 서랍(32)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트레이(34)에 혈장을 채워서 밀봉한 팩을 나열하여 놓은 다음, 상기 트레이(34)를 서랍(32)에 올려 놓고 전진시켜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다른 트레이(34)에 혈장 팩을 놓는 작업을 동일하게 실시한 후 도어(6)를 닫는다.
상기 팩에 채워진 혈장은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을 원심분리한 것으로 보통 급속 냉동하여 -50℃ 에서 보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도어(6)의 전면에 설치된 제어부(10)를 통하여 냉동 온도를 -50℃로 조절한 다음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냉동장치(12)가 작동하면서 증발기(20)를 통하여 본체(4)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게 되며, 동시에 상기 모터(38)가 작동하면서 송풍팬(40)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4)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수납공간(24)의 공기는 하우징(42)의 유입공(46)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로 공기는 송풍팬(40)에 의해 하우징(42) 내부에서 상부통로(26)로 이동한 다음 증발기(2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급강하 하여 냉기가 되며, 이러한 냉기는 다시 하부통로(28)를 통과하면서 수납공간(24)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24)에 도달한 냉기는 상승하면서 서랍(32)과 트레이(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냉기는 트레이(34)에 놓여 있는 혈장 팩을 냉동시키게 되며, 이후로 냉기는 재차 상승하면서 다른 트레이(34)에 놓여 있는 혈장 팩을 순차적으로 냉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후로, 냉기는 유입공(46)을 통하여 수납공간(24)에서 하우징(42)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팬(40)에 의해 재차 증발기(20)로 보내어지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24)에 있는 냉기가 증발기(20)를 연속 통과하면 -50℃ 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냉기는 수납공간(24)에 있는 혈장 팩을 -50℃로 냉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40)이 회전하면 회전방향 좌측은 송풍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우측은 흡인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42)을 통과한 냉기가 상부통로(26)를 통과하여 증발기(20)에 부딪치면, 상기 냉기의 일부는 역류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역류된 냉기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송풍팬(40)의 우측과 제1측벽(48)의 우측 사이의 틈 통하여 하우징(42)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역류한 냉기는 송풍팬(40)에 의해 하우징(42) 내부에서 다시 상부통로(26)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때, 역류한 냉기가 차단판(56)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블레이드(58)에 부딪치면, 상기 냉기의 일부는 노치블레이드(58)에 의해 우측으로 분리되면서 제2,3측벽(50,52)을 따라 상부통로(26)로 재공급 된다.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24)에 있는 순환냉기는 송풍팬(40)에 의해 유입공(46)을 통하여 하우징(42)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로 상기 순환냉기와 역류한 냉기의 일부가 함께 상부통로(26)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역류한 냉기가 노치블레이드(58)에 부딪치는 과정에서, 상기 노치블레이드(58)는 일측으로 젖혀져 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노치블레이드(58)와 송풍팬(40)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노치블레이드(58)와 송풍팬(40) 사이의 틈으로 역류한 냉기의 일부가 통과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역류한 냉기가 송풍팬(40)과 노치블레이드(58) 사이의 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역류한 냉기의 3%∼5% 만이 송풍팬(40)과 노치블레이드(58) 사이의 틈을 통과하게 되고, 역류한 냉기의 95%∼97%는 차단판(56)에 의해 분리되어 밀려지면서 제2,3측벽(50,52)을 따라 상부통로(26)로 재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역류한 냉기는 하우징(42)의 내부에서 잔류하여 맴도는 현상이 없게 되며, 동시에 역류한 냉기는 수납공간(24)으로부터 상승한 냉기와 함께 이동하여 상부통로(26)와 증발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역류하여 재공급되는 냉기와 차단판(56)의 틈을 통과한 일부 역류냉기와 순환냉기는 상부통로(26)로 이동하여 합류하게 되고, 이후로 합류한 냉기는 증발기(20)를 40%만 통과하게 되며, 상기 합류한 냉기는 60%가 하우징(42)과 상부통로(26)의 공간에 걸쳐서 잔류하게 되며, 이러한 잔류냉기는 하우징(42)과 상부통로(26)에 걸친 공간에서 내부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며 일명 재킷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통로(26)에 도달한 순환냉기는 재킷압력에 의해 증발기(20)를 높은 압력으로 신속히 통과하게 된다.
결국, 상기 재킷압력으로 이동하는 순환냉기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얼음 결정체를 곧바로 탈락시키게 되고, 상기 증발기(20)에는 순환냉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확보됨으로 열교환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0)에서 얼음 결정체로 인한 정압발생 문제는 해소되고, 상기 증발기(20)는 향상된 열교환 효율을 유지하고 있게 됨으로, 상기 본체(4)의 수납공간(24)은 -5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러한 성능은 도 7 에 나타난 시험결과서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2:혈장냉동기 4:본체
6:도어 8:단열재
10:제어부 12:냉동장치
14:압축기 16:응축기
18:팽창변 20:증발기
22:격판 24:수납공간
26:상부통로 28:하부통로
30:레일 32:서랍
34:트레이 36:송풍부재
38:모터 40:송풍팬
42:하우징 44:바닥판
46:유입공 48:제1측벽
50:제2측벽 52:제3측벽
54:개방공 56:차단판
58:노치블레이드

Claims (3)

  1. 전면을 개방 형성하면서 수납공간(24)을 내부에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어부(10)가 장착된 도어(6)를 경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4);
    상기 제어부(10)를 연결하고, 본체(4)의 내부 후면벽에 증발기(20)를 고정 설치하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냉동장치(12);
    상기 증발기(20)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증발기(20)의 상,하부에는 상,하부통로(26,28)를 분리 형성하는 격판(22);
    상기 격판(22)의 앞측에 수평으로 설치한 레일(30)에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하는 서랍(32) 및 트레이(34);
    상기 제어부(10)에 연결되고, 본체(4)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회전축에 결합한 송풍팬(40)을 수납공간(24)의 상부에 배치하는 모터(38);로 된 혈장 급속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내부 상단부에 하우징(42)이 고정 설치되면서 송풍팬(40)을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42)의 타측에는 개방공(54)을 형성하여 상부통로(26)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하우징(42)의 바닥판(44)에는 유입공(46)을 관통 형성하여서 수납공간(24)의 냉기가 송풍팬(40)에 의해 상부통로(26)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하우징(42)의 일측에 차단판(56)을 설치하여 송풍팬(40)에 의해 상부통로(26)로 이동한 냉기가 역류하여 재 순환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혈장 급속 냉동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56) 선단부에 노치블레이드(58)를 형성하여서 상부통로(26)로부터 역류하여 온 냉기가 선단부에 부딪치도록 하고, 상기 노치블레이드(58)는 역류한 냉기에 의해 일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송풍팬(40)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혈장 급속 냉동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이동하는 순환냉기가 증발기(20)를 통하여 40%만 통과하게 하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2)으로 역류한 냉기의 일부만을 차단판(56)이 통과시키고 나머지 역류냉기는 하우징(42) 및 상부통로(26)에 걸쳐서 잔류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42)에서부터 상부통로(26)에 이르는 공간에는 수납공간(24) 보다 큰 내부압력으로 된 재킷압력이 만들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장 급속 냉동기.



KR1020170057157A 2017-05-08 2017-05-08 혈장 급속 냉동기 KR10196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57A KR101966520B1 (ko) 2017-05-08 2017-05-08 혈장 급속 냉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57A KR101966520B1 (ko) 2017-05-08 2017-05-08 혈장 급속 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229A true KR20180123229A (ko) 2018-11-16
KR101966520B1 KR101966520B1 (ko) 2019-04-05

Family

ID=6456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157A KR101966520B1 (ko) 2017-05-08 2017-05-08 혈장 급속 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8412A (zh) * 2022-03-24 2022-06-03 云南农业大学 一种防治象甲类仓储害虫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807A (ko) * 2007-03-30 2008-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130057529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지엠에스 혈장 급속 냉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807A (ko) * 2007-03-30 2008-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130057529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지엠에스 혈장 급속 냉동기
KR101350493B1 (ko) 2011-11-24 2014-01-10 주식회사 지엠에스 혈장 급속 냉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8412A (zh) * 2022-03-24 2022-06-03 云南农业大学 一种防治象甲类仓储害虫的方法
CN114568412B (zh) * 2022-03-24 2023-05-02 云南农业大学 一种防治象甲类仓储害虫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520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8901A1 (en) Refrigerator
US8099975B2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US8261572B2 (en) Food heat-excha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261303B2 (en) Ice-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00011594A1 (en) Refrigerator
AU201720447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217126B1 (en) Refrigerator
RU2422737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0797155B1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KR20070074209A (ko) 냉장고
JP2002340466A (ja) 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KR101966520B1 (ko) 혈장 급속 냉동기
KR20130129795A (ko) 냉장고
KR10045541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1507832B1 (ko) 냉장고
US20220221213A1 (en) Refrigerator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70075835A (ko) 냉장고.
JP3619679B2 (ja) 冷却貯蔵庫
JP2003028551A (ja) 冷蔵庫
KR20030015643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JPH08233429A (ja) 冷蔵庫
KR100763152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WO2020175821A1 (ko) 냉장고
JP2022070727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