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856A -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856A
KR20180121856A KR1020180132793A KR20180132793A KR20180121856A KR 20180121856 A KR20180121856 A KR 20180121856A KR 1020180132793 A KR1020180132793 A KR 1020180132793A KR 20180132793 A KR20180132793 A KR 20180132793A KR 20180121856 A KR20180121856 A KR 2018012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voting
participant
channel
voting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봉환
Original Assignee
(주)우리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리서치 filed Critical (주)우리리서치
Priority to KR102018013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856A/ko
Publication of KR2018012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참여자 의사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ERVER,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LECTRONIC VOTING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투표(의결, 의견수렴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집단에 투표, 의결, 의견수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정보들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수많은 정보들을 공유하는 각 사회 구성원들은 단순히 정보를 얻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회 구성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의사가 해당 분야에서 반영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구성원들의 현실 참여 의지 증대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의 의사 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투표가 실시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투표 방법을 주최측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진행하여 선거인의 생활 환경, 통신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고, 단일 채널을 이용할 경우 투표율 제고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사회의 다변화 및 직접 민주주의 확대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 결정, 투표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채널과 방법을 통하여 참여자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의결 수렴이나 의결 사항 등 투표가 필요한 부분에 참여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자 투표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가 통신수단을 넘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결집체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휴대성이 좋고, 보안성이 높아, 종래 전자 투표의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투표 진행시 고려해야할 요소들, 예를 들어, 참여자의 참여 환경, 전자 투표 채널의 통신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전자 투표 채널, 전자 투표 방식 등을 결정하고,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집단에 대한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응답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결과를 개표하는 단계, 명부 및 결과물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은, 음성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 및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채널이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상기 참여자의 참여 환경, 상기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및 상기 참여자의 희망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참여자의 참여 환경은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고, 희망 채널은 선거인 명부 작성 과정에서 본인이 희망하는 채널을 지정하면 해당 채널을 우선해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단일 프로젝트에서 다채널을 이용하여 투표를 진행 가능한 채널 통합형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는,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프로젝트 설계 요청이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프로젝트 설계 허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설계를 허락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자 투표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초로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상기 설계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참여 예정자(선거인) 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상향식 전자 투표 단계 또는 상기 전자 투표 서버에서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하향식 전자 투표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식 전자 투표 단계에서는 참여자를 요청하는 사람이 본인의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참여를 요청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참여 요청 메시지 또는 전화를 받는 수신측 전화 번호, 또는 url 주소를 개인 별로 상이하게 할당하여 타인의 참여 경로를 전달받아 타인의 채널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상향식 전자 투표는 본인이 직접 전화를 걸어 참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선거인에게 일괄적으로 보내준 url를 선택하여 참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향식 전자 투표와 하향식 전자 투표는 선거인에게 투표권이 주어지는 주체 또는 시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태그명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명을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태그명이 제1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참여 희망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태그명이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불일치하는 경우, 유사 태그명을 검색하고, 유사 태그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전화가 착신되면, ARS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AR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참여자가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상기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전자 투표 개시 시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개시 시점 이전에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예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표 요청 전화 시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선거인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등록된 조건에 따라 각 선거인 개인별 투표시도 전화의 예상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개시 지점 이전에 문자 메시지로 예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하는 단계는, 선관위에서 제출한 암호키, 참여자의 응답값, 투표 참여 정보값, 기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며, 암호화된 결과값은 분할하여 별도의 저장 위치에 분리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호키는 선관위(참관인)이 제출한 키값으로, 전자 투표 서버에 연계된 DB(Data Base)와 분리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서버에서 분리된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프로그램 로딩시 해당 저장 매체를 서버에 연결시키면 해당 암호키는 로딩되고, 로딩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투표 및 개표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복수의 질문을 제공하는 경우, 참여자별로 질문 순서를 다르게하거나 또는 참여자별로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 순서를 다르게할 수 있다. 투표 선택 및 제시 방법에 따라 단일형, 복수형, 일괄 의결형, 선호형, 순회형, 랜덤형, 척도형, 지수형, 개방형 등 다양한 형태의 투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질문에 관련된 이미지나 동영상 등 미디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자의 전자 투표에 대한 응답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선거인에게 투표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많이 제공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ARS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음성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성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응답값을 음성화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음성으로 의사 변경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결과값 확인 및 의사변경 처리 과정을 통과해야 다음 문항을 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지 않으면 추가 진행이 불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완료 여부는 어느 문항까지 진행되었는지에 따라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의 전체 과정은 녹음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투표 전과정 녹취로 의결값의 변형 여부를 판독할 수 있어 전자투표의 오류 및 부정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여자의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본인이 참여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메시지를 상기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상기 ARS 채널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용지는 검표를 위하여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 결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텍스트, 이미지, url주소 등)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문자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투표 참여에 대한 확인과 추가적인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전자 투표 진행부, 상기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을 통하여 참여자의 응답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참여자 응답값를 암호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음성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부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상기 참여자의 참여 환경, 상기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참여자의 희망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채널이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상기 참여자의 참여 환경, 상기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상기 참여자의 희망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투표를 위한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프로젝트 설계 요청이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특정 사용자의 프로젝트 설계 허락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젝트의 설계를 허락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자 투표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초로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설계된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참여 예정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상향식 전자 투표, 또는 상기 전자 투표 서버에서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하향식 전자 투표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태그명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명을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명이 제1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참여 희망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며, 상기 수신된 태그명이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불일치하는 경우, 유사 태그명을 검색하고, 유사 태그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전화가 착신되면, ARS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AR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를 문의하며, 상기 제2 참여자가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는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상기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전자 투표 개시 시점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개시 시점 이전에 상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예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참여자의 응답값을 암호키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호키는 참관인이 제출한 키값으로, 전자 투표 서버에 연계된 DB(Data Base)와 분리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복수의 질문을 제공하는 경우, 참여자별로 질문 순서를 다르게하거나 또는 참여자별로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 순서를 다르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에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 투표에 대한 응답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RS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음성 질문을 제공하고, 상기 음성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응답값을 음성화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며,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음성으로 의사 변경 여부를 문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의 전체 과정은 녹음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 투표 진행부는, 상기 참여자의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본인이 참여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메시지를 상기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상기 ARS 채널을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본인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를 인쇄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용지는 검표를 위하여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인쇄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전자 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인터넷 통신 기능을 기초로 의사 결정 및 의견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불필요하는 등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 문자 메시지 채널부 및 웹 채널부 사이의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전환부를 구비함으로써, ARS, SMS, WEB 방식이 가지는 각각의 특징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 방식별 전자 투표 채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참여자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참여자의 희망 채널 및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등을 반영하여 결정된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참여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식 전자 투표 및 하향식 전자 투표를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채널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참여자의 참여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참여자들 각각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등에 따라 전자 투표 방식을 상향식 전자 투표 또는 하향식 전자 투표에서 결정하고, 결정된 전자 투표 방식에 따라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동일 프로젝트에서 참여자별로 복수의 전자 투표 방식을 병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참여자들에게 보다 많은 참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투표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투표 참여자의 응답값(예를 들어, 투표값 등)을 개별적 방법으로 암호화 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참여자의 투표값이 동일하다고 하여도 저장되는 값은 서로 상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투표값을 누구든 확인한다 하여도 참여자의 투표 내용을 알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참관인이 암호키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투표값을 복화할 수 없기 때문에, 투표 진행 중 또는 개표 이전에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투표 결과값을 무단 열람하거나 투표값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표 전용 프로그램을 별도 운영하며, 관리는 선관위에서 보관하여 관리자의 무단 결과값 열람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참여자 투표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쇄하여 투표함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참여자의 투표값에 대한 검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검표용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현하고, 투표함에 설치된 코드 인식 장치를 통하여 인쇄 용지 투입과 동시에 검표용 데이터의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참여자에 대한 검표 데이터를 자동으로 구축할 수 있고, 전자 투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플랫폼 없이 언제 어디서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채팅형)으로 간편하게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문자 메시지 기능을 통하여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참여 희망자의 정보를 미리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누구나 참여 가능한 개방형 의견 수렴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번호에 본인이 직접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또는 전화를 걸어 참여를 요청하는 상향식 전자 투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거인 명부 자료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실시간으로 투표를 진행 할 수 있다. 이 경우, 참여 요청자가 참여를 요청하면, 해당 사람에게는 동시에 투표권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정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진행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설계를 위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식 전자 투표의 진행시 이용될 수 있는 출력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식 전자 투표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향식 전자 투표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식 전자 투표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면 결의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거인명부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전자 투표 시스템(1000)은 특정 집단의 전자 투표를 위한 전자 투표 채널, 전자 투표 시나리오, 전자 투표 방식 등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이 구비한 모바일 기기와 연계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집단은 제안 설명회, 세미나, 토론회, 공청회, 집회 등 각종 행사장에 참석한 참여자들의 집단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에 대한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투표 참여 요청 가능한 번호를 노출시켜 전화 또는 문자로 투표 참여 주소(예를 들어, 참여 요청자들의 휴대 전화 번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는 상술한 각종 행사장 등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 투표, 조사, 의견, 서명 등을 통하여 의견을 수집 하는 행위일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전자 투표 시스템(1000)은 참여자들 각각이 구비한 모바일 기기(2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인터넷 통신 기능을 기초로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투표 시스템(1000)은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투표 서버(100),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 또는 참여 예정인 참여 예정자들이 구비한 복수의 모바일 기기(200-1,..200-N : 200), 전자 투표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는 전자 투표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또는 전자 투표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참여 예정자들이 구비한 기기로, 전화, 문자, 인터넷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라도 가능한 이동전화를 지칭한다. 일 예로, 모바일 기기(200)는 이동전화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착용형 스마트 글래스, 착용형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 휴대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전자 투표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가입자 구내에 설치되어 국선과 내선 및 내선 상호간의 교환접속을 하는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교환기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음성 대화를 패킷으로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투표 서버(100)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의 ARS 채널은 교환기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자 메시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투표 서버(100)가 SMS, MMS 등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의 문자 메시지 채널은 문자 메시지 서버와 연계하여 문자 메시지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웹(WEB)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투표 서버(100)가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의 웹 채널은 웹 서버와 연계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의 구현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 예에 따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자 투표 서버(100)는 특정 집단에 대한 전자 투표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투표 서버(100)의 개략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저장하는 단계는 복수의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에는 전자 투표의 진행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이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에는 전자 투표의 흐름도, 질문, 질문별 답변 유형, 답변 조건, 답변 범위, 안내 유형 등이 상황에 맞게 구성된 전자 투표 시나리오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은 음성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 및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전자 투표 채널이 복수 개 설정된 경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선택할 것인지 또는 전자 투표 채널에 대한 통신 환경의 모니터링 값, 참여자의 참여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값, 참여자의 이전 참여 이력에 대한 모니터링 값, 참여자의 희망 채널을 고려하여 선택할 것인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프로젝트 전자 투표 진행에 필요한 일정, 참여자의 본인 인증 방법, 전자 투표 진행 단계별 조건, 전자 투표의 유효 기준 등을 나타내는 전자 투표 진행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전자 투표에 대한 결과의 조회 기준, 조회 범위 등을 나타내는 전자 투표 결과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S102). 일 예로, 전자 투표 서버(100)는 해당 프로젝트에 설정된 이용 가능한 전자 투표 채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전자 투표는 참여 예정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상향식 전자 투표 단계 및 전자 투표 서버에서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질문을 제공하는 하향식 전자 투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자 투표가 진행되면,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입력될 수 있다(S104). 일 예로, 전자 투표가 진행되면,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는 전자 투표를 위한 질문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참여자는 질문에 대한 응답값을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의 응답값은 해당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서는 번호 형태일 수 있고, 주관식 형태의 질문에서는 텍스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단일형, 복수형, 일괄의결형, 선호형, 순회형, 랜덤형, 척도형, 지수형, 개방형 등 다양한 형태의 투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참여자의 응답값을 수신할 수 있다(S105). 일 예로, 참여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에 입력한 질문에 대한 응답값은 문자 메시지로 기 설정된 번호에 전송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가 입력한 응답값을 문자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수신된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6). 일 예로,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응답값을 암호키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하는 단계는, 응답값, 암호키, 투표 참여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 처리된 최종값은 2블럭으로 분리하여 각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하는 과정 또한 보안 알고리즘 도입, DB는 미러링 서비스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투표 시스템(1000)에 따르면, ARS 서버와 문자 메시지 서버 사이의 통신 매체를 시리얼 통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RS 투표는 전화 회선만 연결되면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아도 진행이 가능하지만 투표자에게 문자 메지지로 투표 결과를 보내기 위해서는 문자 메시지 서버가 인터넷망에 접근해야 한다. 다만, 이 경우, 인터넷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 서버에서 ARS 서버로 무단 접근하는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르면, RS 서버와 문자 메시지 서버 사이의 통신 매체를 시리얼 통신으로 구성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서버에서 ARS 서버로 무단 접근하는 것으로 방지하고,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결정부(130), 전자 투표 진행부(140), 암호화부(150), 개표부(170) 및 제어부(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전자 투표 서버(100)의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이 결정되면, 통신부(11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가 진행되도록 전자 투표 서버(100)와 참여자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양자가 통신 연결된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위한 질문을 제공하고,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질문에 대한 응답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투표 서버(100)와 참여자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질문 및 응답 등의 송수신을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110)는 음성 기반의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111),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 및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111)는 가입자 구내에 설치되어 국선과 내선 및 내선 상호간의 교환접속을 하는 교환기와 연계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음성을 전송하거나 또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음성과 번호 디짓트(Dgit)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문자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는 문자 메시지 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웹 채널부(113)는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웹(WEB)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111),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 및 웹 채널부(1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대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전자 투표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는 전자 투표를 위한 각종 정보 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저장부(120)는 복수의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는 복수개 저장되고,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시 진행 가능하며, 선거인별 프로젝트 결정은 선거인명부의 전화번호 또는 태그명을 통한 전화번호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에는 전자 투표의 흐름도, 질문, 질문별 답변 유형, 답변 조건, 답변 범위, 안내 유형 등이 상황에 맞게 구성된 전자 투표 시나리오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은 음성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 및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전자 투표 채널이 복수 개 설정된 경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선택할인지, 또는 전자 투표 채널에 대한 통신 환경의 모니터링 값, 참여자의 참여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값을 고려하여 선택할 것인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프로젝트 전자 투표 진행에 필요한 일정, 참여자의 본인 인증 방법, 전자 투표 진행 단계별 조건, 전자 투표의 유효 기준 등을 나타내는 진행 조건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전자 투표에 대한 결과의 조회 기준, 조회 범위 등을 나타내는 결과 확인 조건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검색의 편의를 위한 태그명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20)는 하기 표 1과 같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젝트명 시나리오 정보 전자 투표 채널 정보 진행 조건 정보 결과 확인 조건 정보
경제현안토론회 시나리오 1 ARS 및
문자 메시지
진행 조건 1 결과 확인 조건 1
집회토론회 시나리오 2 진행 조건 2 결과 확인 조건 2
또한, 저장부(120)는 투표에 참여하기로 예정된 참여 예정자(선거인명부)의 목록, 자발적으로 투표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발 참여자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 예정자 목록 및 자발 참여자의 목록에는 참여 예정자 또는 자발 참여자의 이름, 전화번호, 본인인증 정보, 투표권 정보(소속 등), 모바일 기기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의 제조사, OS(Operating System) 버전 등) 등이 필요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투표권 정보는 복수의 투표 중 참여 예정자 또는 자발 참여자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투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하기 표 2와 같이 참여 예정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름 전화번호 모바일 기기 정보 본인인증정보 투표권 정보
박XX 010-XXXX-XXXX A 800101 AAA/BBB
김YY 010-YYYY-YYYY B 901231 CCC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참여 예정자 및 자발 참여자의 목록을 기초로 해당 인원에 대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 예정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참여 예정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주소를 제공하거나 또는 ARS 기능을 기초로 음성을 제공하여 전자 투표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문의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복수의 발신 번호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번호는 모바일 기기(200)를 착신 측으로 정한 경우에 발신 측을 식별할 수 있는 전화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암호화된 참여자의 응답값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수신되면, 암호화부(150)는 수신된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전자 투표 서버(10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전자 투표 서버(1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결정부(130)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부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정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정부(130)는 프로젝트 결정부(131),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 참여자 결정부(133), 발신 번호 결정부(1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결정부(13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진행할 프로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결정부(131)는 진행하기로 결정된 프로젝트에 대한 시나리오 정보,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 정보, 프로젝트에 대한 진행 조건 정보,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 확인 조건 정보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결정된 프로젝트에 설정된 전자 투표 채널 정보, 프로젝트에 대한 진행 조건 정보,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 확인 조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젝트 결정부(131)에서 진행이 결정된 프로젝트에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 투표 채널을 상기 전자 투표 채널 정보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이용할 전자 투표 채널이 ARS 채널과 문자 메시지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과 문자 메시지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 결정부(133)는 복수의 참여 예정자들 중 상기 프로젝트 결정부(131)에서 결정된 프로젝트에 참여할 참여자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 결정부(133)의 참여자 결정 방식은 전자 투표 방식이 상향식 전자 투표 인지 또는 하향식 전자 투표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투표 진행부(140)가 하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참여자 결정부(133)는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참여 예정자 목록에서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참여 예정자들에서 해당 전자 투표의 참여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투표 진행부(140)가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전자 투표 참여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 투표 참여 요청자들에서 해당 전자 투표의 참여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발신 번호 결정부(134)는 복수의 발신 번호 중 프로젝트에 참여한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와 통신할 발신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신 번호 결정부(134)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발신 번호 목록에서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트 결정부(131)에서 결정된 프로젝트에 이용할 발신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여론 조사 및 ARS 투표를 통한 후보자 선출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 투표에서 전자 투표자측 발신 번호는 대표 번호 구성의 제한으로 단일 번호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여론조사나 ARS 투표가 진행되면 전자 투표자측 발신 번호를 다양한 통신방법 및 각종 SNS를 이용하여 지인들과 공유하여 전자 투표에 조직적으로 대응하려는 후보자나 집단들이 있다. 최근에 여론 조사나 투표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역선택 및 조직적 동원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움직임들에 대한 우려가 매우 높은 상태이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른 발신 번호 결정부(134)는 ARS 채널(111), 문자 메시지 채널(112)에 이용할 전자 투표자측 발신 번호를 복수 개로 지정함으로써, 발신 번호를 단일 개로 고정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 번호 결정부(134)는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발신 번호 목록에서 발신 번호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참여자들 각각에 다른 발신 번호가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저장된 복수의 발신 번호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모두 사용하면 처음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발신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발신 번호 결정부(134)는 참여자들이 특정 후보자나 집단이 투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전자 투표자 측 발신 번호를 수집하여 대응하는 것을 어렵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 따르면, 진행할 프로젝트를 먼저 결정한 후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할 참여자를 결정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은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 예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원 발명은 참여자를 먼저 결정한 후, 결정된 참여자들이 참여할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순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시와 달리, 본원 발명의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모니터링부(17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100)는 모니터링부(170) 및 프로젝트 설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7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통신 환경 모니터링부(171), 참여자의 참여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참여 환경 모니터링부(172),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참여 이력 모니터링부(1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니터링부(171)는 전자 투표 서버(100)의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접속자수, 대역폭 등과 같은 ARS 채널부(111),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 및 웹 채널부(113) 각각의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참여 환경 모니터링부(172)는 참여자의 투표 참여시 위치, 참여자 모바일 기기의 기종, 참여자의 투표 참여 시간 등과 같은 참여자의 투표 참여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참여 이력 모니터링부(173)는 참여자가 과거에 참여한 투표의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모니터링부(17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통신 환경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참여 환경 모니터링부(172)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참여자의 참여 환경 및 참여 이력 모니터링부(173)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ARS 채널부(111) 및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의 접속자수가 기 설정된 숫자보다 많고, 웹 채널부(113)의 접속자수가 기 설정된 숫다보다 적은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웹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참여자가 투표에 참여하기 쉬운 상황, 예를 들어, 현 시간이 업무 시간이 아니거나, 참여자의 위치가 집인 경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투표을 진행하는 것이 쉬울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ARS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참여자가 투표에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 예를 들어, 현 시간이 업무 시간이거나, 참여자의 위치가 회사인 경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웹 채널을 통하여 투표을 진행하는 것이 쉬울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메시지 채널 또는 웹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참여자(선거인 또는 대상자) 모바일 기기의 기종이 웹 채널을 통한 접속이 어려운 기기인 경우,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 또는 메시지 채널을 통하여 투표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ARS 채널 또는 메시지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참여자의 이전 투표 참여 이력에서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를 거절한 케이스가 기 설정된 횟수보다 많은 경우(일 예로, 횟수와 반응 패턴을 분석),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웹 채널을 통하여 투표을 진행하는 것이 해당 참여자의 전자 투표에 수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웹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참여자의 참여 환경, 참여자의 희망 채널 및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각각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을 1 순위로 하고, 참여 환경을 2순위로 설정한 경우, 먼저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통신 환경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통신 환경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 및 문자 메시지 채널의 통신 환경이 좋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 참여자 모니터링부(172)의 모니터링 결과 참여자의 참여 환경에는 ARS 채널 및 문자 메시지 채널 중 문자 메시지 채널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문자 메시지 채널을 해당 프로젝트의 전자 투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의 선택은 참여자가 결정하는 경우가 있고, 관리자가 선거인 구성원의 통신환경과 참여환경을 고려하여 순서를 정하여 채널을 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의 설계를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자 하는 사람, 예를 들어, 관리자, 참여 예정자, 토론회 주최자 등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프로젝트 설계 요청이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면,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의 설계를 위한 기능을 프로젝트 설계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하고, 설계된 프로젝트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일 예로, 모바일 기기(200)의 문자 메시지 기능을 통하여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프로젝트 설계 요청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가 문자 메시지 채널(112)을 통하여 수신되면,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프로젝트 설계 허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사용자의 프로젝트 설계를 허락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전자 투표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를 문자 메시지 채널(112)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초로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부(180)는 설계된 프로젝트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설계 과정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정보들을 기초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111),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 및 웹 채널부(113) 중 전자 투표 채널 결정부(132)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은 일회성 또는 단기성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인터넷 통신 기능을 기초로 의사 결정 및 의견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불필요하는 등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투표 방식에 따르면, ARS, SMS, WEB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환경에 맞는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즉, ARS, SMS, WEB 방식 각각은 통신 환경이나 특성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프로젝트에서는 복수의 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방식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동일 프로젝트에 ARS, SMS, WEB 방식 모두를 순차 또는 병행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참여자 목록(선거인 명부)에 접근하여 미참여자를 추출하는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투표에서는 선거인 명부에 접근하는 것을 항상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투표 진행 과정에 투표 유무에 따라서 선거인 명부를 가공하는 일은 매우 위험한 절차이며 투표 진행 과정에 개인별 투표 여부가 공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부(111), 문자 메시지 채널부(112) 및 웹 채널부(113) 사이의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전환부(114)를 구비함으로써, ARS, SMS, WEB 방식이 가지는 각각의 특징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 방식별 전자 투표 채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 프로젝트에서 1차적으로 SMS를 이용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고, 2차로 WEB 방식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ARS, SMS, WEB 방식이 유기적으로 전환 가능하여 참여자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참여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종기록, 투표결과, 로그 등과 같은 결과물의 관리에도 수월하고 투표 전과정의 신뢰성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과거 참여 이력 및 희망채널 등을 반영하여 결정된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참여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예로, 참여자에 따라 전화가 편하고 문자나 인터넷이 불편한 경우가 있고, 업무의 특성상 전화 보다는 문자나 인터넷이 편한 경우가 있는 등 매우 다양한 환경이 존재할 수 있는데, 본원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참여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상향식 전자 투표 및 하향식 전자 투표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투표 진행부(140)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 및 하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전자 투표 진행부(140)에 따르면, 상?하향식의 전자 투표의 선택 적용, 순차 적용, 병행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식 전자 투표와 하향식 전자 투표는 전자 투표에 참여를 요청하는 측이 누구인지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식 전자 투표는 참여 예정자들이 모바일 기기(200)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이 전자 투표 서버(100)에서 수락됨에 따라 즉시 전자 투표가 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전자 투표 참여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라 수락 여부를 판단하여 전자 투표 개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투표 참여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전자 투표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향식 전자 투표는, 전자 투표 서버(100)에 참여 예정자들이 접속해서 진행하는 경우(인바운드, 수신콜, 수신 문자, web 접속 등), 참여 예정자들에 대하여 기 확보된 정보가 없는 경우, 또는 하향식 전자 투표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태그명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수신된 태그명을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수신된 태그명이 제1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일치하는 경우, 제1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제1 참여 희망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수신된 태그명이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불일치하는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유사 태그명을 검색하고, 유사 태그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향식 전자 투표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상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전화 번호로 전화가 착신되면, ARS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ARS 모듈을 이용하여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를 문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참여자가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는 선택하는 경우, 상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선택된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제2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향식 전자 투표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하향식 전자 투표는 전자 투표 서버(100)가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서 전자 투표 참여를 수락하면 전자 투표가 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하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1)는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 참여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전자 투표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향식 전자 투표는 전자 투표 서버(100)에서 참여 예정자들에게 참여를 강제하는 경우(아웃바운드, 참여 예정들에게의 선접촉), 참여 예정자들에 대하여 기 확보된 정보가 있는 경우(참여 명부가 확정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하향식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하향식 전자 투표 진행부(142)는 프로젝트에 대한 전자 투표 개시 시점을 추정하고, 추정된 개시 시점 이전에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예고할 수 있다. 이러한 하향식 전자 투표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전자 투표 진행부(140)에 따르면, 참여자들 각각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등에 따라 전자 투표 방식을 상향식 전자 투표 또는 하향식 전자 투표에서 결정하고, 결정된 전자 투표 방식에 따라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동일 프로젝트에서 참여자별로 복수의 전자 투표 방식을 병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참여자들에게 보다 많은 참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투표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참여자 별로 질문 순서를 다르게하거나 또는 참여자별로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 순서를 다르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프로젝트 시나리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나리오 정보에서 참여자 별로 질문 순서를 다르게하여 새로운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참여자별로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 순서를 다르게하여 새로운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새롭게 생성된 시나리오 정보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함으로써, 참여자 별로 질문 순서를 다르게하거나 또는 참여자별로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 순서를 다르게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에 관련된 미디어(이미지, 동영상,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에 대한 응답은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자 투표에 관련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투표 참여자의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제공하여 올바른 선택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전자 투표의 진행 과정에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 인증은 미리 정해진 인증번호를 본인이 직접 입력하는 인증 번호 인증,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의 발신 번호를 확인하는 전화 번호 1차 인증, 문자 메시지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해당 참여자가 단말기를 직접 소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전화 번호 2차 인증, 모바일 기기의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OS 버전 등)를 추출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모바일 기기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결정된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ARS 채널(111)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먼저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음성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ARS 채널(111)을 통하여 수신되면,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수신된 응답값을 음성화하여 ARS 채널(111)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ARS 채널(111)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음성으로 의사 변경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러한,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의 전체 과정은 녹음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웹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먼저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웹 서버에 접속 가능한 URL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투표를 완료하면,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본인이 참여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ARS 채널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본인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WEB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웹 방식의 투표에서 음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읽어주는 전자 투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웹 방식만을 이용하여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윕 페이지에는 텍스트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웹 방식에 음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투표에 대한 다양한 안내 및 질문을 음성으로 변환(파일)하여 각 안내 및 질문 문항을 설명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질문별 각각의 음성 파일을 저장하고 해당 문항 진입 정보를 확인하여 음성을 재생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파일 재생 중 보기 선택이 가능하며, 음성 재생이 완료 되었음에도 보기 선택이 없으면 음성파일이 반복해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화면의 특정 위치에 음소거 메뉴를 배치하여 음성 지원이 불필요한 경우, 음성 파일의 재생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ARS 기능과 웹 기능을 동기화시켜 보이는 읽어주는 전자 투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참여자 모바일 기기(200)가 ARS에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200)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이 어려운 경우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URL 주소를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고,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서 URL 주소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기 표시되면 ARS와 웹 페이지를 동기화시켜 읽어주는 전자 투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내용이거나 텍스트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가 어려운 경우, 텍스트 읽기가 어려운 선거인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전자 투표 진행부(140)는 전자 투표 결과의 성공, 실패, 기타오류 등에 대한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통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본인의 의결 과정의 상황을 본인에게 통보 함으로써 전자 투표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부(150)는 참여자의 응답값을 암호키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암호화부(150)는 참여자의 응답 시간 정보를 연산하여 1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1차값과 암호키를 연산하여 2차값을 산출하며, 2차값과 참여자의 응답값을 연산하여 최종 암호화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된 최종 암호화 값은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된 결과값은 분할하여 별도의 저장 위치에 분리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암호키는 참관인이 제출한 키값으로, 전자 투표 서버(100)에 연계된 저장부(120)와 분리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저장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외장 하드 등과 같이 전자 투표 서버(100)와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개표부(170)는 암호키를 로딩하고, 로딩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결과값을 복호화하여 개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키는 상기 암호키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가 서버(100)에 연결되면 로딩될 수 있고, 개표부(170)는 로딩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개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자 투표 참여자의 응답값(예를 들어, 투표값 등)을 암호화 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참여자 별로 투표값은 서로 상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10 명이 동일한 후보를 선택하였다면 그 투표값이 동일하지 않고 모두 다르게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투표값을 누구든 확인한다 하여도 참여자의 투표 내용을 알 수 없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참관인이 암호키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투표값을 복화할 수 없기 때문에, 투표 진행 중 또는 개표 이전에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투표 결과값을 무단 열람하거나 투표값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은 참여자의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여 보관하는 동시에 인쇄 용지 등과 실물에 표출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시스템(2000)은 인쇄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장치(300)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300)는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부(190)는 전자 투표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인쇄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장치(300)는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단, 전자의결 서면결의서 작성의 경우, 지침에 따라 참여자의 이름,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지분 등의 개인정보와 전자적의결 결과 자료를 개인별 인쇄물로 출력한 서면 결의서를 작성 할 수 있다. 그리고, 검표용 데이터는 일단 사람들이 식별할 수 있는 문자, 번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검표용 데이터는 일반 사람들이 식별할 수 없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과 같은 형태로 인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부(190)는 전자 투표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투표 서버(100)와 인쇄 장치(3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프로젝트 별로 인쇄 장치는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인쇄 장치(300)는 전자 투표 진행 과정에서 열람 불가능한 보관함에 자동으로 투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자 투표에 따르면, 참여자의 투표값이 저장부에 직접 저장되기 때문에, 저장되는 과정이나 관리되는 과정에 위변조의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투표의 경우, 참여자의 투표값을 검표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광범위하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참여자 투표값을 포함하는 검표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쇄하여 투표함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참여자의 투표값에 대한 검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검표용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구현하고, 투표함에 설치된 코드 인식 장치를 통하여 인쇄 용지 투입과 동시에 검표용 데이터의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참여자에 대한 검표 데이터를 자동으로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원 발명의 전자 투표 서버(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각각의 통신 환경, 참여자의 참여 환경, 참여자의 희망채널,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S202). 여기서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은 음성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채널, 문자 메시지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문자 메시지 채널, 및 웹(WEB) 기반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웹 채널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투표 채널의 통신 환경은 접속자수, 대역폭, 단말기 종류(피처폰, 2G, 3G, 4G 등), 참여자 모바일 기기의 기종(안드로이드, iOS 등), 등과 같은 통신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의 참여 환경은 투표 참여시 참여자의 위치(장소), 현재 상황, 개인적 선호 채널, 참여자의 투표 참여 시간 등과 같은 참여자의 투표 참여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은 참여자의 과거 선호 통신 채널 등과 같이 참여자가 과거에 투표에 참여한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서버(10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S203).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응답값을 수신할 수 있다(S204).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S205).
상술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인터넷 통신 기능을 기초로 의사 결정 및 의견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불필요하는 등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참여자의 참여 환경, 채널의 통신 환경, 및 참여자의 과거 참여 이력 등을 반영하여 결정된 전자 투표 채널을 이용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참여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설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설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UI 도면 이다. 여기서, 도 11 내지 12는 문자 메세지를 통하여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 설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자 하는 사람, 예를 들어, 관리자, 참여 예정자, 토론회 주최자 등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프로젝트 설계 요청을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S301).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프로젝트를 설계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에 프로젝트 설계시 인증을 위한 관리자 번호(1001)를 입력하고, 입력된 관리 번호를 문자 메시지 포맷으로 기 설정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번호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수신된 관리자 번호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의 프로젝트 설계 권한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2). 만약, 해당 사용자가 프로젝트 설계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S302:N), 전자 투표 서버(100)는 문자 메시지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프로젝트 설계가 불허됨을 문자 메시지로 통지할 수 있다(S303).
다만, 해당 사용자가 프로젝트 설계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S302:Y), 전자 투표 서버(100)는 문자 메시지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설계하고자하는 프로젝트의 명칭(1002), 질문 내용(1004), 질문에 대한 보기(1006), 태그명, 투표채널, 투표시작 시점 등과 같이 전자 투표 진행에 필요한 정보 등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304).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프로젝트의 명칭(1003), 질문 내용(1005), 질문에 대한 보기(1007)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들을 문자 메시지 포맷으로 기 설정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S305). 이 경우, 프로젝트의 명칭(1003), 질문 내용(1005), 질문에 대한 보기(1007) 등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의 설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에 프로젝트 설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명령어(1008)를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어를 문자 메시지 포맷으로 기 설정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S306). 이 경우, 설계 완료를 통지하는 문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프로젝트 설계를 종료하고, 저장부(120)는 설계된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S307).
한편, 도 11 내지 12에서는 프로젝트 명칭, 질문, 질문에 대한 보기만이 설계 가능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 예에 따라 프로젝트에 설정 가능한 다양한 정보 모두를 설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프로젝트 설계 기능에 따르면, 별도의 플랫폼 없이 언제 어디서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채팅형)으로 간편하게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자 투표의 경우,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계된 내용을 기준으로 투표나 의견수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 투표 내용이 미리 설계된 상황에서만 전자 투표가 계획된 상황에서만 진행 가능하였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현장의 상황에 따라 긴급한 의견수렴이 필요할 때,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 없이 모바일 기기(200)의 문자 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와 상호 통신하여 간편하게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전자 투표를 진행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식 전자 투표의 진행시 이용될 수 있는 출력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식 전자 투표의 경우, 참여자들의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데이터가 미리 확보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 획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한 제안 설명회, 세미나, 토론회, 공청회, 집회 등에 도 13에 도시된 출력물(1101)을 노출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를 이용하여 기 공지된 번호(1102)에, 기 공지된 태그명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는 도 14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하는 사람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태그명을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들을 문자 메시지 포맷으로 기 공지된 번호(1102)로 전송할 수 있다(S401). 이 경우, 태그명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대한 전화 번호를 확보하고(S402), 수신된 태그명을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비교할 수 있다(S403).
만약, 수신된 태그명이 기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일치하는 경우(S403:Y), 일치하는 태그명을 가진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S404). 일 예로, 전자 투표 채널로 메시지 채널이 선택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문자 메시지로 질문을 제공하고,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문자 메시지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수신된 태그명이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태그명과 불일치하는 경우, 유사 태그명을 검색하고, 유사 태그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문자 메시지 기능을 통하여 전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참여 희망자의 정보를 미리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누구나 참여 가능한 개방형 의견 수렴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솔루션은 양방향 지능형 서비스로 단방향 소통과 간접 민주주의를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소통과 민주주의 실현에 한 발 다가설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같은 상황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200)를 이용하여 기 공지된 번호(1102)에 전화를 걸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투표 서버는 도 15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하는 사람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기 공지된 번호(1102)에 전화를 걸 수 있다(S501). 이 경우, 발신된 전화는 교환기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통지될 수 있다(S502).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대한 전화 번호를 확보하고(S503), ARS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S504).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ARS 모듈을 이용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를 음성으로 문의할 수 있다(S505).
만약,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서 참여하고자하는 프로젝트가 선택되면(S506), 전자 투표 서버(100)는 선택된 프로젝트에 설정된 시나리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S507). 일 예로, 전자 투표 채널로 ARS 채널이 선택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음성으로 질문을 제공하고,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음성으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 발신을 통한 투표 참여 요청은 도 14에 도시된 태그명 입력을 통한 투표 참여 요청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참여 희망자가 기 공지된 번호 전화를 걸면 전자 투표 서버는 ARS 모듈을 통하여 프로젝트 참여 희망 여부를 확인한 후, 참여 희망자에게 준비된 방식을 전달하여 투표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태그명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여 투표 참여 요청이 가능하지만, 문자 메시지 이용 보다는 전화 이용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문자와 전화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함으로써 참여 희망자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투표 참여 요청을 위한 문자와 전화의 번호를 동일한 번호로 처리함으로써, 번호의 홍보에 유리하고 이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식 전자 투표 진행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하향식 ARS 전자 투표는 참예 예정자들에서 일부 또는 전체를 무작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참여자들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투표하게 하는 강제적인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기 때문에, 회의중, 이동중 등 갑작스럽게 투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상황에 따라 투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6과 같이, ARS 투표를 진행 시간을 추정하여 참여자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투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S601).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프로젝트에 대한 전자 투표 개시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S602).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추정된 개시 시점 이전에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예고할 수 있다(S603).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자 투표 개시 시점 이전에 참여 예정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예고함으로써, 참여자들의 투표 참여 기회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투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ARS 채널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S701).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ARS 채널을 통하여 음성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S702).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음성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응답값이 수신되면(S703), 상기 수신된 응답값을 음성화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S704). 일 예로, 참여자가 질문에 대한 복수의 문항 중 1번을 선택한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가 선택한 1번에 대한 문항 내용을 음성화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음성으로 의사 변경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S705). 만약, 참여자가 의사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참여자가 의사를 변경하는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S702 또는 S703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여 참여자의 응답값을 재차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진행의 전체 과정은 녹음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ARS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의 진행이 질문, 투표값 입력, 투표값 확인, 변경 여부 문의를 통하여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게 될 수 있고, 전과정이 녹음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의결 전과정을 녹취하여 진행함으로써, 전자 의결의 안건 처리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ARS 방식을 이용한 전자 의결에서는 디짓의 값을 해석하는 과정에 혼선의 우려가 있는데, 참여자의 투표 결과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불러주는 확인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동시에 전자 의결 전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와 연계하여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웹 채널을 통하여 전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S801).
그리고, 참여자의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 당사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본인이 참여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 채널 또는 ARS 채널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S802). 만약, 참여자가 해당 전자 투표에 대한 정당한 참여자인 경우, 참여자와 당사자는 동일인일 수 있다. 다만, 참여자가 URL 주소 공유 등을 통하여 투표에 참여한 정당하지 않은 참여자인 경우, 참여자와 당사자는 상이한 인물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투표 서버(100)는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본인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803).
이 경우, 전자 투표 서버(100)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응답값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4). 보다 구체적으로,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 모바일 기기(200)에서 수신된 응답값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인이라고 판단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참여자 모바일 기기(200)에서 수신된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웹 방식의 전자 투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의 전화 번호 및 고유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증 번호 인증을 통한 본인 인증으로는 해당 참여자가 URL 주소 공유를 통하여 투표에 참여했는지 또는 정당하게 투표에 참여했는지 알기가 어렵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웹 채널을 통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해당 투표의 정당한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SMS 또는 ARS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안에 따르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WEB 채널을 통한 투표 완료 즉시 정당 참여자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로 전자 투표가 완료되었다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① 본인이 직접 참여했는지 확인, 또는 ②검증 차원에서 문자 메시지를 검증 서버(MO)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2안에 따르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WEB 채널을 통한 투표 완료 즉시 정당 참여자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 안내 메시지를 통해 ① 본인이 직접 참여했는지 확인, 또는 ② 검증 차원에서 난수값 두자리 숫자를 불러 주고 해당 숫자를 모바일 기기에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3안에 따르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상술한 제1안으로 먼저 진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검증 문자가 수신되지 않으면, 순차적으로 제2안으로 검증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9에서는, 용지에 인쇄되는 대상은 검표용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9와 같이, 용지에 인쇄되는 대상은 개인별 전자적 의견 내용을 기록한 서면 결의서(1201)일 수 있다.
즉, 단체에서 중요한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의결권자의 의견을 묻는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사안의 성격에 따라 다르지만 단일 안건 또는 복수의 안건를 처리하기 위해 총회를 소집하여 안건을 심의하고 결정하는게 일반적이다. 이 경우, 총회 등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발생하고 참여율이 낮아 의견 수렴이 매우 어려운게 현실이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참여자에 대한 전자 투표가 완료되면, 참여자의 응답값을 포함하는 서면 결의서를 인쇄 용지에 출력하도록 인쇄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개인별 전자 의결 결과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부(120)에 저장함과 동시에 개인별 서면 결의서의 작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자적 의결 결과를 서면 결의서로도 제출이 가능하게 하여, 의결권자의 참정권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거인명부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투표에 필요한 선거인의 실제 전화 번호를 암호화된 데이터로 제공받아 이용하기 때문에, 전자투표의 진행 중이나 전자투표의 완료 이후에도 해당 선거인의 실제 전화 번호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투표 서비스 제공자는 선거인의 전화 번호를 구비하고 있는 업체에게 암호화 모듈을 제공할 수 있고, 선거인의 전화 번호를 구비한 업체에서는 선거인의 전화 번호(S1001)를 암호화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한 데이터(S1002)로 전자투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USB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저장 매체(401)를 통하여 전자 투표 서버(10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모듈은, 일 예로, 전화 번호의 구성 중 숫자만을 기준으로 자릿 수를 확인하고, 2자릿 수가 8자리 미만이면 미처리하며, 자릿 수로 서로 치환하여 전화 번호를 암화화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데이터(S1002)가 수신되면, 전자 투표 서버(100)는 연계된 저장부(120)(예를 들어, 전자 투표 서버(100)에 연결된 Data Base 및 전자 투표 서버 내의 저장 매체 등)에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투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투표 서버(10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자 투표 서버(100)는 저장부(120)로부터 선거인 전화 번호에 대한 암호화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암호화 데이터(S1003)를 RAM 등과 같은 휘발성 저장 매체(402)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휘발성 저장 매체(402)에는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 모듈이 저장되어 선거인 전화 번호(S1004)를 출력할 수 있다. 선거인 전화 번호(S1004)와 전자 투표를 위한 질문 등의 정보는 통신사 서버(50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결정된 전자 투표 채널이 메시지 채널인 경우, 통신사 서버(500)는 메시지 서버일 수 있다.
종래의 전자 투표 방식은 선거인의 전화 번호가 전자투표 시행 기관의 서버에 저장되거나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등의 우려로, 선거인은 전자 투표에 참여하는 것을 는 것을 꺼렸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투표의 진행 중이나 전자투표의 완료 이후에도 해당 선거인의 실제 전화 번호는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선거인의 투표 참여를 제고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

  1. 전자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투표를 위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전자 투표 채널 중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전자 투표 진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에 전자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투표의 진행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투표 채널을 통하여 참여자의 응답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응답값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투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32793A 2018-11-01 2018-11-01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121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93A KR20180121856A (ko) 2018-11-01 2018-11-01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93A KR20180121856A (ko) 2018-11-01 2018-11-01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42A Division KR101916198B1 (ko) 2017-02-22 2017-02-22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856A true KR20180121856A (ko) 2018-11-09

Family

ID=6442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93A KR20180121856A (ko) 2018-11-01 2018-11-01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44A (ko) * 2019-05-24 2020-1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트랜잭션 실패 확률을 고려한 트랜잭션 가속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44A (ko) * 2019-05-24 2020-1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트랜잭션 실패 확률을 고려한 트랜잭션 가속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725B2 (en) Secure consent management system
KR101916198B1 (ko)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208645A1 (en)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involving wireless tokens
US20080105742A1 (en)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voting using mobile terminal
CN101086776B (zh) 浏览管理装置、浏览管理方法及其程序产品
CN106796708B (zh) 电子投票系统及方法
KR20050067396A (ko) 영상 인식
US20210174373A1 (en) Ticket validity confirm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Gentles et al. Application of biometrics in mobile voting
US10977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nection of user actions and user identity
KR20180121856A (ko)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7016298A (ja) 応募者管理システム
EP36542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voters and managing votes associated with elections
KR101441372B1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여론조사 방법
US80371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polling selections
KR101973379B1 (ko) 사용자 참여형 소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75220A (ko) Gps를 이용한 독서실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KR101443318B1 (ko) Sms을 이용한 문자 투표 시스템
KR101963577B1 (ko)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10279692A1 (en) Automated contact management
EP3629308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KR100902993B1 (ko) 영상전화서비스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JP2009230659A (ja) 講義情報管理システム、講義情報管理方法
KR20130133620A (ko) 개인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90045124A (ko) 사용자 참여형 소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