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167A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Google Patent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1167A KR20180121167A KR1020170055533A KR20170055533A KR20180121167A KR 20180121167 A KR20180121167 A KR 20180121167A KR 1020170055533 A KR1020170055533 A KR 1020170055533A KR 20170055533 A KR20170055533 A KR 20170055533A KR 20180121167 A KR20180121167 A KR 20180121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efied gas
- deck
- hull
- top sid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15 liquefied petroleum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63B9/0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 B63B2701/12—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선체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 및 상기 선체부의 상방에 상기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상기 탑사이드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퍼데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부를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hull portion that receives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rein the hull por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upper decks; A trunk deck provided above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higher than the upper deck; And a support provid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deck for supporting the top side, in preparation for converting the liquefied gas into a FLNG by providing a top side for treating the liquefied gas above the hull portion, the support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And a mooring deck on which mooring equipment for mooring the hull is insta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nd a liquefied gas carrier.
선박은 광물이나 액화가스, 컨테이너 등 다양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해상을 운항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선박은 일반 상선이라고 지칭된다.A ship is a means of transporting cargo by navigating the sea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with various cargoes such as minerals, liquefied gas and containers. These vessels are referred to as general merchant vessels.
이와 달리 해양에 부유하는 것은 선박과 동일하나 화물의 운송 외의 목적을 갖는 구조물들이 있으며, 일례로 해저를 시추하는 시추선(drill ship),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원유를 정제, 저장, 하역하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액화가스를 저장, 기화하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LNG를 생산, 저장, 하역하는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LNG-FPS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일반 상선과 구별하기 위해 해양 구조물로 지칭되며, 해양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해상에 부유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작업을 위한 설비인 탑사이드(Topside)가 탑재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ructures that float on the ocean but have a purpose other than cargo transportation, for example, drill ships that drill the seafloor, FPSOs that refine, store and unload crude oil floating on the sea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FSRU) to store and vaporize liquefied gas, and FLNG (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LNG-FPSO) to produce, store and unload LNG. These structures are referred to as marine structures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normal marine vessels, and marine structures generally have the form of a topside, which is a facility for working on top of a substructure to float on the sea.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 상선과 해양 구조물 중에서, 천연가스와 관련되는 선박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천연가스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Recently, among various types of commercial vessels and offshore structures, ships related to natural gas are attracting attention. Natural gas is a clean fuel and its reserves are known to be richer than petroleum, and its use is rapidly increasing as mining and transfer technologies develop. This natural gas is generally stored in a liquid state at a temperature of -162 ° C or below under a pressure of 1 atm. The volume of liquefied methane is about one sixth of that of the normal state of the methane gas , And the specific gravity is 0.42, which is about one-half of the specific gravity of crude oil.
한편, 천연가스는 주로 심해에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어서, 심해 가스전의 개발과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수요를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 Carrier) 뿐만 아니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재기화설비(LNG-FSRU, LNG-SRV) 및 파이프 라인 등 천연가스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natural gas is mainly buried in the deep sea, increasing the demand for deep sea gas field development and floating ocean structur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atural gas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LNG carrier, LNG-FSRU and LNG-SRV, floating LNG production facility (FLNG), floating LNG regeneration facility .
일례로 FLNG는, 천연가스가 시추될 수 있는 천연가스전 근처에 위치하여 해저로부터 뽑아올린 천연가스를 정제하고 액화하는 시설과 저장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그리고 하역하는 설비를 탑재한 해상 구조물로 천연가스의 생산, 처리, 보관 등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FLNG is a marine structure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refining and liquefying natural gas extracted from the seabed located near a natural gas field where natural gas can be drilled,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for storing gas, Can be produced, processed and stored, and can be moved as needed.
이러한 FLNG는 해상에서 시추되는 천연가스를 육지까지 운반하여 처리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직접 판매 가능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크다. 따라서 친환경 연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과 맞물려서 FLNG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These FLNGs are very cost effective because they can be processed directly from offshore without the need to transport natural gas from offshore to land. Therefore, as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s is increasing, customers' needs for FLNG are increasing.
그러나 FLNG의 경우 선체 모양의 하부 구조물을 제작한 이후,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천연가스를 생산, 액화하는 설비인 탑사이드를 탑재하여야 하므로, 거대한 비용과 물자가 투입되며 건조 기간이 굉장히 길게 소요될 수밖에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FLNG, since a hull-shaped substructure is to be built and a top side, which is a facility for producing and liquefying natural gas,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ubstructure, huge costs and materials are introduced and the drying period is very long .
그런데 세계 경제의 변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FLNG에 대한 고객의 니즈는 FLNG의 건조 기간 동안에도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건조 도중 FLNG에 대한 고객의 계약 파기가 발생하여 조선사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다 주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However, changes in the world economy are so rapid that customer needs for FLNG can change as well during the drying period of the FLNG. In the worst case, customer contracts for FLNG are broken during the drying process, which can cause damage to shipbuilders.
따라서 조선사는, FLNG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유지되는 기간 내에 FLNG의 인도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FLNG의 건조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As a result, shipbuilders have been conducting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find way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FLNGs in order to enable delivery of FLNG within the period that customer's needs for FLNG are maintained. However, .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부의 상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FLNG로 개조가 용이할 수 있는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nd a liquefied gas carrier which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FLNG by improv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hull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선체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 및 상기 선체부의 상방에 상기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상기 탑사이드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퍼데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부를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hull portion that receives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wherein the hull por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upper decks; A trunk deck provided above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higher than the upper deck; And a support provid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deck for supporting the top side, in preparation for converting the liquefied gas into a FLNG by providing a top side for treating the liquefied gas above the hull portion, the support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And a mooring deck on which mooring equipment for mooring the hull is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는,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에 탑사이드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 top side is mounted on the liquefied gas carrier.
구체적으로,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oring deck may be provided higher than the upper deck.
구체적으로,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트렁크데크보다는 낮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oring deck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trunk deck.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부의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탑사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는 데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hull portion; And a deck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ame for supporting the top side.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may be in an open-out form.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외측으로 개방되어 ㄷ자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may be open to the outside and be in the form of a U-shape.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데크부가 놓이고, 상기 프레임의 중간 개구부에는 무어링데크가 놓일 수 있다.Specifically, a deck portion is placed on the top of the frame, and a mooring deck can be placed on the middle opening of the fram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트렁크데크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trunk deck at an upper end thereof.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부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좌우로 둘러싸는 선측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ul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shell plate surrounding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부는, 상기 어퍼데크와 상기 트렁크데크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ul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deck and the trunk deck.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은, 선체부의 상방 구조를 개선하여, 고객의 니즈(필요)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 또는 FLNG로 선택적으로 개조/이용할 수 있어, 선박 건조 도중 계약 파기로 인한 손실 등을 최소화시키고, FLNG의 건조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The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nd the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pper structure of the hull and selectively modify / use the liquefied gas carrier or FL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ustom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due to termination of the contract, and to shorten the drying period of the FLNG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어퍼데크 상측에 무어링 장비 설치를 위한 무어링데크를 마련함으로써, 다른 선박과의 연결(계류)작업이 용이할 수 있으며, 경사질 수 있는 트렁크 데크 또는 폭이 좁은 어퍼데크에 설치하는 것에 대비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connection (mooring) operation with other vessels by providing a mooring deck for installing mooring equipment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runk deck which can be inclined or a narrow upper deck So that an efficient and stable installation can be achiev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지지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 무어링 장비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포트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타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is a view of 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ortion of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iquefying gas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oring device.
3 is a view showing 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upport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floating gas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loating gas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정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a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선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a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및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 the liquefied gas may be used to mean all of the gaseous fuels generally stored in a liquid state such as LNG or LPG, ethylene and ammonia.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liquid is not in a liquid state by heating or pressurization can also be expressed as a liquefied gas for convenience, and a vaporized gas can be similarly applied.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운반하는 화물일 수도 있고,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운항을 위한 연료일 수도 있다.The liquefied
예를 들어, 액화가스가 화물로서 저장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액화가스를 선적 또는 하역하기 위한 라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액화가스 수요처(미도시, 엔진 등일 수 있음)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액화가스 공급라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quefied gas is stored as a cargo, the liquefied
아울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부터 기화장치(미도시) 등으로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기화라인(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이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선적, 하역, 공급 및 배출 등을 위한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 관계없이 다수의 라인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시공될 수 있도록 예비 라인이 설치될 수도 있다.As such, the liquefied
이때, 라인은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그룹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라인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부터 액화가스가 빠져나가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여,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제1 라인이 다른 장비로의 공급, 배출 및 하역을 위한 라인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라인 상에는 액화가스를 배출시키는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es may be grouped into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for example, the first line may serve to escape the liquefied gas from the liquefied
그리고, 제2 라인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 액화가스가 들어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여,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선적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line performs a function of introducing the liquefied gas into the liquefied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라인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라인은 액화가스 운반선(100)에서 요구되거나 또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FLNG로 개조되는 것을 대비하여 복수의 라인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FLNG는 후술되는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일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lines may be provided in the liquefied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크기 및 설계 등에 따라 탱크의 수와 사이즈가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저장공간의 효율을 위한 부피 감소를 위해 액화가스를 액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liquefied
게다가,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1열(row)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며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FLNG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2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어, FLNG로 개조/이용 시 스툴(stool) 등의 배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liquefied
선체부(1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수용하는데, 이를 위해 선체부(120)는 선측외판(121)을 포함하여, 선측외판(121)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좌우로 둘러싸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여기서, 일반적인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양측보다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후술되는 어퍼데크(122, upper deck)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 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어퍼데크(122)에 지지부(125)가 형성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The upper portion of the general liquefied
구체적으로, 선체부(120)에는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가 마련될 수 있고, 상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복수의 데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데크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데크 이외에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 trunk deck)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various equipment required for the navigation may be provided in the
어퍼데크(122)는 선체부(120)의 좌우 상단에 마련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화가스 운반선에서는 어퍼데크(1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에 의해 보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트렁크데크(123)는 좌우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는 어퍼데크(1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방에서 어퍼데크(122)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렁크데크(123)의 바닥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는 등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와 같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를 커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멤브레인(membrane)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선체부(120)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 형태를 따라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는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가 다각형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챔퍼(chamfer)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Thus, the
한편, 선체부(120)는 상기와 같은 선측외판(121) 및 데크 이외에 경사부(124)와 지지부(125A)를 더 포함할 수 있어, 경사부(124)에 의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가 연결되고, 경사부(124)의 외측으로 지지부(125A)가 마련되거나 생략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퍼데크(12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거나 보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여기서, 경사부(124)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챔버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단부 경사와 평행하거나 각도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즉, 경사부(124)는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 사이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이러한, 선체부(120) 상에 탑사이드(200)가 설치되도록 지지부(125)가 마련될 수 있는데, 지지부(125)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The supporting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지지부(125A)는 어퍼데크(122) 상에서 트렁크데크(123)의 측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5A)는 선체부(120)의 상방에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200)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A, the
일례로, 지지부(125A)는, 프레임(1251) 및 데크부(1252)를 포함하여, 어퍼데크(122)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의 설치로 인한 선체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A)의 상단이 트렁크데크(123)와 높이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게 트렁크데크(123)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지지부(125A)의 외측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선측외판(121)과 만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프레임(1251)은 선체부(120)의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1251)의 하측이 어퍼데크(122)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1251)의 하면의 좌우 폭은 어퍼데크(122)의 좌우 폭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응력이 한 지점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1B, a plurality of
예를 들어, 프레임(1251)은, 경사부(124)와 어퍼데크(122)에 연결되기 위해 꺾이는 형태, 개략적으로 'ㄱ'자 또는 이와 대칭인 형태를 가질 수 있어, 하단이 어퍼데크(122)와 연결되고, 상단이 경사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251)은 내측 상단이 경사부(124)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 즉, 내측 하단이 경사부(124)를 향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프레임(1251)은 상면과 측면이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프레임(1251)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꺾인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상면과 측면이 예각인 형태를 이루어 경사짐으로써, 경사부(124)의 반대편에서 즉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프레임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프레임(1251) 상에 데크부(1252)가 설치시 상단 면적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프레임(1251)은 경사부(124)와 연결시 관통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경사부(124)와 연결된 영역을 모두 용접할 필요가 없어, 즉 프레임(1251)의 내측 상단과 하단만을 용접으로 연결되고, 개구된 영역은 용접이 생략되므로, 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된 영역을 통해 프레임(1251)과 경사부(124) 사이에는 관통홀이 이루어진 형태가 되므로, 중량 감소는 물론, 이웃한 공간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여기서, 프레임(1251)은, 상면이 트렁크데크(123)의 상면과 단차없이 놓일 수 있어, 데크부(1252)가 프레임(1251)에 설치시 데크부(1252)가 트렁크데크(123)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트렁크데크(123)와 데크부(1252)에 관계없이 탑사이드(200)의 높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를 제조하기 위한 구조물을 일률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편리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데크부(1252)는 어퍼데크(122) 상에서 층을 이루어 통로 또는 지지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125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데크부(1252)는 트렁크데크(123)와 동일/유사한 판 형태를 이룰 수 있고,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트렁크데크(123)와 동일한 높이에서 탑사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지지부(125A)가 어퍼데크(122)상에 마련되어, 지지부(125A)의 상단부인 데크부(1252)가 트렁크데크(123)와 동일한 높이차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의 높이차로 인한 탑사이드(200)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Since the
게다가, 데크부(1252)로 인해 지지부(125A)의 면적이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폭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가 설치될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그 뿐만 아니라, 도 1b를 참조하면, 지지부(125A)는 예각이 아닌 직각으로 절곡될 수도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25C)에는 무어링 장비(1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무어링 장비(130)는 지지부(125C)의 전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1B, the supporting
여기서, 무어링 장비(130)는 선체부(120)의 측방에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부(125C)의 외측이 개구된 형태를 이루고, 개구된 내측에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바닥면의 상부에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무어링 장비(130)가 마련되는 위치에서의 지지부(125C)는 프레임의 외측이 개구된 'ㄷ'자 또는 이와 대칭이 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의 내측에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될 수 있게, 프레임의 내측에는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도 2 참조).Here, the
무어링 장비(130)는 선체부(120)를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계류부재와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류부재는 다른 선박(1)과 연결되도록 밧줄로 이루어질 수 있고, 퀵 릴리즈 훅은 계류부재의 끝단을 걸고 풀 수 있으며, 페어리드는 무어링데크(127) 상부의 외측 끝단에서 계류부재가 다양한 각도로 통과하여 원할히 작업될 수 있도록 퀵 릴리즈 훅으로 이어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어링 장비(130)에 의해 본 실시예는 인접한 다른 선박(1)과 연결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무어링 장비(130)는 어퍼데크(122)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어링데크(127)가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마련되어, 어퍼데크(122)보다 무어링데크(127)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무어링데크(127)가 트렁크데크(123)보다 낮게 마련되어, 무어링 장비(130)의 위치가 이웃한 다른 선박(1)의 트렁크데크에 대비하여 높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게다가, 어퍼데크(122)의 상부 공간은, 경사부(124)의 설치로 인해 바닥면이 가장 좁고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져, 어퍼데크(122)의 좁은 바닥면에 무어링 장비(130)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무어링데크(127)를 설치함으로써,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확장되는 효과를 이루어 무어링 장비(130)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pace of the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지지부(125B)는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어퍼데크(122)의 바닥면이 확장된 효과를 이루므로, 무어링 장비(130)는 어퍼데크(122)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무어링 장비(130)는 탑사이드(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3, the support 125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xpands outside th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125A)는 선체부(120)의 상방에 마련될 수도 있고, 지지부(125B)가 상방이 아닌 선측외판(1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지지부(125B)는 제1 실시예의 지지부(125A)와 달리, 지지부(125B)의 상단이 어퍼데크(122)와 수평하게 마련되어 선체의 전체 폭이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3, the support portion 125B of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이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하부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상단부의 폭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특히 지지부(125)의 추가로 인한 탑사이드(200)의 설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주의 요구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FLNG로의 개조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liquefied
게다가, 본 실시예는 어퍼데크(122)와 동일한 높이에서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이루므로, 어퍼데크(122)의 높이로부터 탑사이드(200)의 설치 높이가 이루어질 수 있어, 탑사이드(200)로 인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as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일례로, 지지부(125B)는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1251)의 형상 및 연결위치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고, 데크부(1252)가 수평을 이루는 구조물이 제1 실시예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25B may include a
구체적으로, 프레임(1251)은, 자체적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2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251)의 외측은 곡면을 이룰 수 있고, 선측외판(121)과 맞닿는 측면은 선측외판(121)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는, 관통홀(1253)로 인해 선측외판(121)과 맞닿는 영역이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전체 하중은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251)의 측면이 선측외판(121)에 모두 맞닿게 함으로써, 프레임(1251)과 선측외판(121)의 연결영역을 최대화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reduce the total load without reducing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즉 제1 실시예의 프레임(1251)은 어퍼데크(12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프레임(1251)의 상단 일부만을 경사부(124)에 연결하여, 측면의 용접작업을 감소시키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251)의 측면을 통해 선측외판(121)에 연결하여 제1 실시예에 대비하여 연결지점을 줄이고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가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이루어 지지부(125)의 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경사부(124)에 맞닿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25)가 폐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종 파이프(에어 또는 벤트를 위한 파이프일 수 있음)가 유출입하거나, 환기되기 위한 개구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upporting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선체부(120) 상에는 서포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서포트(140)는 어퍼데크의 상단, 또는 지지부(125B)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서포트(140)의 하단(하부)에서 상단(상부)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이때, 탑사이드(200)는, 서포트(140)에 지지되는 부분에 엘라스토머(201)(elastomer)가 마련되고, 엘라스토머(201)의 주변에 스토퍼(202)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02)는, 탑사이드(200)의 엘라스토머(201)와 맞닿아 탑사이드(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탑사이드(200)의 스토퍼(202)가 서포트(140) 상단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여 탑사이드(200)의 수평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엘라스토머(201) 표면의 접착력은 0% 이상 내지 100% 이하를 이룰 수 있어, 엘라스토머(201)와 서포트(140)가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끈적이는 정도 등에 따라 부착 정도 또는 강도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엘라스토머(201)의 양 표면의 접착력은 달리 이루어질 수도 있어, 엘라스토머(201)의 상면은 고정(접착)되고 엘라스토머(201)의 하면은 단순히 맞닿거나, 반대로 엘라스토머(201)의 상면은 단순히 맞닿게 마련되고 엘라스토머(201)의 하면은 고정(접착)되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The adhesive force of the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엘라스토머(201)에 의해 탑사이드(200)가 서포트(140) 상에서 수평 움직임이 제한되되, 탑사이드(200)의 흔들림은 허용될 수 있어, 선체부(120)의 흔들림에 따라 탑사이드(200)가 흔들릴 경우 반작용으로 인해 선체부(120)와 탑사이드(200)가 반대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연결부위가 고정형태를 이루지 않아 크랙 등의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감소될 수 있다.Thus, the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포트(140)가 기둥 형태를 이루고, 서포트(140)의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확장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와 달리,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140)는 격벽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이때, 엘라스토머(201)는 서포트(140)가 마련되는 영역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스토퍼(202)는 엘라스토머(201)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5, the
게다가, 제1, 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5)는 어퍼데크(122) 상에 강판을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도록, 즉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일일이 선체부(120)에 조립할 필요가 없게,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부(125)가 크레인에 의해 어퍼데크(122)의 상부 또는 측면에 인양된 이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지지부(125)와 어퍼데크(122) 및/또는 선측외판(121)과 연결되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LNG로 신속히 개조할 수 있으며, 선체부(120)의 제작과 동시에 지지부(125A)를 제작할 수 있어 지지부(125) 제작으로 인한 작업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 탑사이드(200) 및 탑사이드(2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및 선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6,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이러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상에는 탑사이드(200)가 설치될 수 있다. 탑사이드(200)는 플랜트 설비 등을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로서, 액화가스 운반선(100) 상에 설치되기 위하여 다수의 레그(leg), 데크(deck) 및 레그와 데크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트 설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topsid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사이드(200)는 복수개의 층을 이룰 수 있으며, 개별 층이 데크와, 데크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데크와 레그는 서로 용접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데크와 레그가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topsi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lurality of layers, wherein the individual layers may comprise decks and legs supporting the decks. At this time, the deck and the legs can be welded to each other and mutually fixed, and the deck and the leg can be fixed by various methods.
이와 같이, 탑사이드(200)는 데크와 레그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플랜트 설비 등을 포함하므로,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 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가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견디며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부에 위치된 트렁크데크(123)의 강도 부족으로 인하여 중량물인 탑사이드(200)를 선체부(120) 상에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사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는 보강재(미도시)를 선체부(120)에 설치하였으나,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의 설치 제약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는 다수의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iffener (not shown) capable of supporting the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는 선체부(120)의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300)가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이격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과 접촉되면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단은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어퍼데크(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을 따라 선체부(120)의 상단에 어퍼데크(1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의 사이에 트렁크데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선체부(120) 상단의 중앙 영역에 트렁크데크(123)가 구비되므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가 트렁크데크(123) 상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quefied
그리고,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300)의 양단은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에 고정된 후, 어퍼데크(122) 상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00)가 고정된 탑사이드(200)의 양측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 영역일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의 상부면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이처럼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양단이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을 지나 어퍼데크(122) 상에 고정된 와이어(300)에 의해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트렁크데크(123)에 가해지는 탑사이드(200)의 하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데크(123) 하부 내측에 위치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수용하는 선체부(120)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100)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상에 설치되는 탑사이드(200)와 지지부(125) 및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7,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이때,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을 따라 선체부(120)의 상단에 어퍼데크(1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의 사이에 트렁크데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는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보다 트렁크데크(123)가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quefied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2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트렁크데크(123)에 가해지는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와이어(300)가 지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어퍼데크(122) 상부에 지지부(125)가 마련되어, 와이어(300)의 양단이 지지부(125)에 고정될 수 있다.The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이와 같이, 어퍼데크(122)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125)는 트렁크데크(12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마련되어, 지지부(125)의 상단이 트렁크데크(123)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는 선체부(120)의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단은 지지부(125)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지지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이러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부에 위치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300)가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이격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과 접촉되면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liquefied
그리고,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300)의 양단은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에 고정된 후, 지지부(125) 상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00)가 고정된 탑사이드(200)의 양측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 영역일 수 있으며, 지지부(125)의 상부면은 트렁크데크(123)와 나란하게 마련되므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이처럼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양단이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을 지나 지지부(125) 상에 고정된 와이어(300)에 의해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트렁크데크(123)에 가해지는 탑사이드(200)의 하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load applied to the
또한, 지지부(125)가 어퍼데크(122) 상에 마련되어, 지지부(125)의 상단부가 트렁크데크(12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므로,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 간의 높이 차이로 인한 탑사이드(200)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Sinc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타측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floating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for liquefied ga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for liquefied ga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3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수용하는 선체부(120)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100)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상에 설치되는 탑사이드(200) 및 와이어포스트(400), 그리고, 와이어포스트(400)와 탑사이드(200)에 고정되어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탑사이드(20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탑사이드(200)는 복수개의 층을 이룰 수 있으며, 개별 층이 데크와, 데크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며, 플랜트 설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사이드(20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 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가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견디며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 topside 200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quefied
여기서, 선체부(12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에서 양측을 따라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122) 및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서 어퍼데크(122)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단은 어퍼데크(122)에 접촉되며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와이어포스트(40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탑사이드(200)의 사이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포스트(400)는 봉 형상으로, 선체부(120) 상부면과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폭 방향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포스트(400)는 탑사이드(200)의 상단보다 더 높게 마련될 수 있다.The wire posts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quefied
와이어(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와이어포스트(400)에 고정되고, 타단이 탑사이드(200)의 일 영역에 고정되면서 탑사이드(2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300)의 일단은 와이어포스트(4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300)의 타단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어(300)의 타단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에 위치된 데크에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여기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폭 방향에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는 선체부(12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와이어(300)의 타단이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에 고정됨에 의해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또한, 와이어(300)의 일단이 와이어포스트(400)의 상단에 고정되어, 탑사이드(20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고정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40)는, 제6 실시예의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30)와 마찬가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수용하는 선체부(120)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100)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상에 설치되는 탑사이드(200) 및 와이어포스트(400), 그리고, 와이어포스트(400)와 탑사이드(200)에 고정되어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10, the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이에 더하여,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40)는 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에서 양측을 따라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122) 및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서 어퍼데크(122)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5)는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단이 트렁크데크(123)와 나란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이러한 지지부(125)의 상부면에는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단이 접촉되며, 지지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부로 가해지는 하중이 어퍼데크(122)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125)에 가해지게 되므로, 어퍼데크(122)의 강도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5)는 어퍼데크(122)보다 강도가 더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지지부(125)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 20, 30, 40)에 따르면, 트렁크데크(123) 및 어퍼데크(122)로 이루어지는 선체부(120) 상부의 강도 부족 및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받는 보강재의 설치 제약으로 인한 탑사이드(200)의 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고 어느 일 영역, 예를 들어, 선체부의 선미, 선수 또는 중심에 바람직하게는 선수의 내측에 터릿(Turret)이나 선수 장비(FWD Machinery)를 설치하기 위한 구역을 마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quefi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20, 30, 40 :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100 : 액화가스 운반선
110 : 액화가스 저장탱크
120 : 선체부
121 : 선체외판
122 : 어퍼데크
123 : 트렁크데크
124 : 경사부
125 : 지지부
1251 : 프레임
1252: 데크부
1253 : 관통홀
130 : 무어링 장비
140 : 서포트
200: 탑사이드
201 : 엘라스토머
202: 스토퍼
300 : 와이어
400 : 와이어포스트10, 20, 30, 40: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equipment
100: liquefied gas carrier 110: liquefied gas storage tank
120: hull section 121:
122: Upper deck 123: Trunk deck
124: inclined portion 125:
1251: frame 1252: deck part
1253: Through hole 130: Mooring equipment
140: Support 200: Top side
201: elastomer 202: stopper
300: wire 400: wire post
Claims (11)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 및
상기 선체부의 상방에 상기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상기 탑사이드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퍼데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부를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A liquefied gas carrier comprising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hull portion for containing said liquefied gas storage tank,
The hull portion
An upper deck provided at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A trunk deck provided above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higher than the upper deck; And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for supporting the topside in preparation for converting the liquefied gas into a FLNG by providing a topside for treating the liquefied gas above the hull,
The support portion
And a mooring deck provided above the upper deck and provided with mooring equipment for mooring the hull.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ring deck is provided higher than the upper deck.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트렁크데크보다는 낮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ring deck is provided lower than the trunk deck.
상기 선체부의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탑사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는 데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rames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ull section; And
And a deck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to support the top side.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5. The apparatus of claim 4,
And is open to the outside.
외측으로 개방되어 ㄷ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liquefied gas carrier is open to the outside and has a U-shaped shape.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데크부가 놓이고, 상기 프레임의 중간 개구부에는 무어링데크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5. 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a deck is placed on top of the frame and a mooring deck is placed in the middle opening of the frame.
상단이 상기 트렁크데크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upper end of the liquefied gas carrier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trunk deck.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좌우로 둘러싸는 선측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hul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de shell plating surrounding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상기 어퍼데크와 상기 트렁크데크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The hul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deck and the trunk deck.
A liquefied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top side is mounted on the liquefied gas carr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533A KR102125113B1 (en) | 2017-04-28 | 2017-04-28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533A KR102125113B1 (en) | 2017-04-28 | 2017-04-28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1167A true KR20180121167A (en) | 2018-11-07 |
KR102125113B1 KR102125113B1 (en) | 2020-06-19 |
Family
ID=6436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5533A KR102125113B1 (en) | 2017-04-28 | 2017-04-28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511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0142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KR102340143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KR102340140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1045A (en) * | 2012-03-15 | 2012-03-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opside load support structure of floating ocean construct |
KR20160015874A (en) * | 2014-08-01 | 2016-02-1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ring System And Method Of Ship |
-
2017
- 2017-04-28 KR KR1020170055533A patent/KR1021251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1045A (en) * | 2012-03-15 | 2012-03-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opside load support structure of floating ocean construct |
KR20160015874A (en) * | 2014-08-01 | 2016-02-1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ring System And Method Of Ship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0142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KR102340143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KR102340140B1 (en) * | 2020-08-24 | 2021-12-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h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5113B1 (en) | 2020-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299827B2 (en) |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 |
US20130291778A1 (en) |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efied gas | |
KR20150127959A (en) | Pump tower of liquified gas storage tank | |
KR20180121167A (en)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
KR101041782B1 (en) |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with freestanding storage tanks | |
KR101300707B1 (en) | Topside load support structure of floating ocean construct | |
KR20100135354A (en) | Upper support structure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its method | |
KR20180115910A (en)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
KR102424475B1 (en) | Lng carrier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lng carrier vessel | |
KR101246904B1 (en) | Liquid cargo storage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101337272B1 (en) | Topside load support structure of floating ocean construct | |
KR20190047807A (en)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
KR20160068088A (en) | Storage tank for lng management offshore facility and hol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03577U (en)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
KR20180115897A (en) |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and FLNG | |
KR20180115903A (en) |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and FLNG | |
KR20190000689U (en)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 |
KR101125104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liquefied gas storage tanks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he apparatus | |
KR20130000742A (en) | Upper deck plate with knuckle of membrane lng carrier and membrane lng storage unit | |
KR20140055665A (en) | Sump well structure of liquefied gas cargo tank | |
US10081412B2 (en) |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 |
KR20130021926A (en) | Liquefied natural gas supplying ship | |
KR20120002219A (en) | Trunk Space Structure of Floating Structure with LNB Storage Tank | |
KR20190076272A (en) | Semi-submersible type floating terminal | |
US20240109625A1 (en)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production of hydrogen and ammon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