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123A -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 Google Patents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123A
KR20180121123A KR1020170055429A KR20170055429A KR20180121123A KR 20180121123 A KR20180121123 A KR 20180121123A KR 1020170055429 A KR1020170055429 A KR 1020170055429A KR 20170055429 A KR20170055429 A KR 20170055429A KR 20180121123 A KR20180121123 A KR 2018012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ransmittance
particles
lay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123A/ko
Publication of KR2018012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의 신뢰성 높은 투과도 가변소자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는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투명입자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Transparency variable device and smart window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신뢰성 높은 투과도 가변소자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원고갈, 에너지 절약, 사생활 보호 및 환경 규제 강화 등의 문제로 인한 건물 또는 자동차의 윈도우 등에 태양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햇빛이 강한 날과 흐린 날에 상관없이 태양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생활 보호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최근 그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특히, 태양광의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기변색(electrochromic) 물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기술이 있다. 전기변색 물질이란, 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한 산화 환원 반응을 기초로 하여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색을 띠지 않다가 전압이 인가되면 색상을 띠게 되는 가역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산화 또는 환원시 수반되는 전자 이동에 의해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에너지 흡수 변화에 따라 색상을 가변시키게 되어, 태양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는 투명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꺼운 유리 기판 2장에 전기변색재료가 섞여있는 전해액이 충진되어 있고, 양 기판에 전극을 인가하여 변색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는 투명전극에 WO3, TiO2등의 전기변색 산화물 층이 증착 또는 코팅되어 있고, 전해액이 충진되어 있어 양 기판에 전극을 인가하여 변색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는 산화환원반응으로 투과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투과도 가변횟수, 즉 산화환원반응의 반복횟수에 따라 산화환원물질의 변성이나 열화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투과도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신뢰성 높은 투과도 가변소자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는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투명입자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한다.
투명입자는 전압인가시 인접한 투명입자와의 거리가 감소하고, 투과도 가변층은 투과도가 증가할 수 있다.
투명입자 간의 거리는 투명입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전압인가가 종료되면, 투과도 가변층의 증가된 투과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투명입자는 전압인가시 투명입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입자의 굴절률 np 및 투명분산매질의 굴절률 nm의 차이 Δn은 투명분산매질에 분산된 투명입자의 표면에서 입사광이 산란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Δn은 0.2보다 큰 것일 수 있다.
nm은 0.1 내지 1.4일 수 있다.
투명입자의 직경은 입사광의 파장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명기판; 기판 상의 제1투명전극층; 제1투명전극층 상의,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투명입자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투과도 가변층 상의 제2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투명입자의 광산란에 따라 불투명하되, 전압인가시 투명입자 간의 거리가 감소하여 투명해지는 투과도 가변층; 및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명탄성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전압인가시 투명탄성입자가 서로 접촉하여 투명탄성입자층을 형성하여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소자로서, 투명탄성입자층 내에 투명탄성입자의 중심 간의 거리는 투명탄성입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인 투과도 가변소자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화환원반응에 따른 전기변색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투명입자의 간격을 제어하는 단순한 방법에 의하여 투과도를 가변시키므로 산화환원반응의 시간에 따른 성능저하 및 불량발생을 방지하여 신뢰성 높은 투과도 가변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가의 산화환원물질이 아닌 투명분산매질 및 투명입자를 이용하고 있어 저비용으로 우수한 품질의 투과도 가변소자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전압인가에 따른 투과도 변화특성을 나타내므로 투과도 가변소자의 대면적화가 가능하여 원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투과도 가변소자에서 전압인가에 따른 투명입자의 거리변화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스마트 윈도우에서 전압인가에 따른 투명입자의 거리변화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투과도 가변소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전압인가에 따라 투과도 가변소자의 투과도가 변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전압인가가 종료된 후에 투과도 가변소자의 투과도가 감소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투과도 가변소자에서 전압인가에 따른 투명입자의 거리변화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100)는 투명입자(111)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112)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112) 내에서 투명입자(111)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110); 및 투과도 가변층(110)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120)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130);을 포함한다.
제1투명기판(120) 및 제2투명기판(130)은 내부에 투명분산매질(112)을 포함할 수 있는 기재로서, 입사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투명기판(120) 및 제2투명기판(130)에 사용될 수 있는 투명기판으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석영 또는 유리와 같은 투명 무기 기재 필름일 수 있다. 또는 유연소자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PES),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설폰(PES) 및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투명 플라스틱 기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투과도 가변층(110)에는 투명분산매질(112) 내에 투명입자(111)가 분산되어 있다. 투명분산매질(112)로는 투명하면서 투명입자(111)의 표면에서 입사광의 산란이 일어나 투과도 가변층(110)이 투명하지 않는 매질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분산매질(112)로는 에폭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설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실리콘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분산매질(112)은 투명입자(111)와의 굴절률 차이를 나타내면서 투명한 비전도성 매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투명분산매질(112)의 굴절률 nm은 0.1 내지 1.4일 수 있다.
투명입자(111)는 투명분산매질(112) 내에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다 소정 조건에서는 입자 간 거리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투과도 가변층(110)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도가 변화한다. 투명입자(111)는 아크릴계(acrylic) 수지입자, 스티렌계(styrene) 수지입자 및 아크릴-스티렌계(acrylic-co-styrene) 수지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투명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과도 가변소자(100)는 투명기판들 사이에 투명분산매질(112)이 위치하고, 투명분산매질(112) 내에 투명입자(111)가 위치하고 있는데, 투명분산매질(112)과 투명입자(111)의 굴절률의 차이가 있을 때 투명입자(111)의 표면에서 빛이 산란된다. 따라서, 투명입자(111)의 표면에서 입사광이 산란되어 투과도 가변소자(100)는 투명하지 않다.
즉, 투명입자(111)의 굴절률 np 및 투명분산매질(112)의 굴절률 nm의 차이 Δn은 투명분산매질(112)에 분산된 투명입자(111)의 표면에서 입사광이 산란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Δn이 0.2이상이어야 입사광의 산란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여 투과도 가변소자(100)는 투명하지 않은 상태, 즉 불투명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투과도 가변소자(100)에 전압을 인가하면, 투명입자(111)는 도 2에서와 같이 입자간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투명입자(111)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면, 투명입자(111)로 인한 입사광의 산란이 감소하게 되어 투과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입사광의 산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투명입자(111) 사이의 거리는 입사광의 파장보다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가된 전압이 충분히 높은 경우, 투명입자(111)는 도 3과 같이 투명입자층(11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투명입자층(113)이 제1투명기판(120)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투명입자층(113)이 형성되는 위치는 투명입자(111)의 표면전하특성 및 전극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명기판(120) 및 제2투명기판(130)은 투명분산매질(112)을 지지하기 위한 기재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투명기판(120) 및 제2투명기판(130)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으로 구현되어 투명입자(111)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투명입자층(113)은 투명입자(111)가 밀집된 영역으로서, 투명입자(111)가 서로 접촉하여 위치하거나 투명입자(111)간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 투명입자층(113)의 굴절률은 np 및 nm 사이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투명입자(111)의 크기는 반사 또는 투과시키려는 입사광의 파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입자(111)의 크기는 입사광의 파장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광이 가시광인 경우 투명입자(111)의 크기는 100nm 내지 1,000nm일 수 있다.
투과도 가변소자(100)는 도 1에서는 투명입자(111)의 광산란에 따라 불투명하고, 전압인가시 투명입자(111) 간의 거리가 감소하여 투명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가변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도 가변층(110)에 투명입자(111)가 탄성을 나타낸다. 탄성을 나타내는 투명입자(111)는 투과도 가변소자(100)에 전압이 인가되면 입자간 거리가 감소하다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후, 투명입자(111)가 탄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전압이 더 높게 인가되면 입자가 변형되어 투명입자층(113)의 밀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투명입자(111)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투명입자(111)와 인접한 투명입자(111)의 중심 간 거리는 투명입자(111)의 직경과 동일하다. 그러나, 탄성을 나타내는 투명입자(111)의 경우 전압이 충분히 인가되면 투명입자(111)가 서로 접촉하다 변형되어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입자(111)와 인접한 투명입자(111)의 중심 간의 거리는 투명입자(111)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전체적으로 투명입자층(113)은 더욱 박막이 되고, 투과도는 높아지게 된다.
전압인가시 투명입자(111)가 투명입자층(113) 내에서 서로 밀착하고 있으나, 전압인가가 종료되면 서로 결합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투명입자(111)는 분리되어 투과도가 낮아지게 되어 투과도 가변층(110)의 투과도는 변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스마트 윈도우에서 전압인가에 따른 투명입자의 거리변화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200)는 투명기판(120); 투명기판(120) 상의 제1투명전극층(140); 제1투명전극층(140) 상의, 투명입자(111)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112)을 포함하고, 투명분산매질(112) 내에서 투명입자(111)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 가변층(110); 및 투과도 가변층(110) 상의 제2투명전극층(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200)는 전술한 투과도 가변소자(100)를 포함하면서, 제1투명전극층(140) 및 제2투명전극층(150)을 더 포함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투명전극층(150) 상에 제2투명기판(130)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윈도우(200)는 제1투명전극층(140) 및 제2투명전극층(150)을 통해 투과도 가변층(110)에 전압이 인가되면, 투명입자(111) 간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투과도가 가변되어 불투명한 상태와 투명한 상태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제1투명전극층(140) 및 제2투명전극층(150)이 투과도 가변층(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경우의 스마트 윈도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투명전극층(140) 및 제2투명전극층(150)은 스마트 윈도우(200)의 형상이나 설치장소에 따라 도 5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위치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투과도 가변층(110)의 측면에 제1투명전극층(140) 및 제2투명전극층(150)이 위치하는 경우, 투명입자(111)는 전압인가에 따라 제1투명전극층(140)을 향하여 이동하여 투명입자층(113)을 형성할 수 있다(도 7).
본 실시예의 스마트 윈도우(200)는 투명입자층(113)을 측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전압인가로 인한 투과도 증가가 용이하다. 투명입자층(113)이 투명하지 않으면 도 3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체 스마트 윈도우(200)가 투명입자층(113)의 투명도가 반영되나 도 7의 경우, 상부에서 스마트 윈도우(200)를 바라보면 투명입자층(1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투명한 투명분산매질(112)이 위치하여 더 투명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투과도를 얻기 위하여 인가하는 전압도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윈도우(200)는 대면적일수록, 두께가 두꺼울수록 투과도 조절에 유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투과도 가변소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전압인가에 따라 투과도 가변소자의 투과도가 변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전압인가가 종료된 후에 투과도 가변소자의 투과도가 감소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투명분산매질로서 굴절률이 약 1.2인 FC-40(상표명, 3M사)를 사용하고, 투명입자로는 굴절률이 약 1.5인 폴리스티렌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과도 가변소자(100)가 도시되어 있다.
투과도 가변소자(100)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 9와 같이 투과도 가변소자(100')의 투과도는 증가하여 하부에 위치한 글자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전압인가를 종료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투과도 가변소자(100")의 투과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전압인가종료시에는 즉시 원래의 투과도 가변소자(100)와 같은 투과도를 나타내지 않는데, 이는 투과도 가변소자(100)의 내부에 형성된 투명입자층이 다시 분산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어 발생한 현상일 수 있다. 즉, 전압인가가 종료되면, 투과도 가변층의 증가된 투과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가전압을 조절하면, 전압인가의 종료에 따라 투과도가 전압인가 전의 투과도로 복귀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인가전압이 높으면, 전압인가의 종료에 따라 투과도가 복귀하는 시간이 길어져 다시 원하는 투과도를 얻기 위해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100', 100" 투과도 가변소자
110 투과도 가변층
111 투명입자
112 투명분산매질
113 투명입자층
120 제1투명기판
130 제2투명기판
140 제1투명전극층
150 제2투명전극층
200 스마트 윈도우

Claims (12)

  1.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상기 투명입자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상기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입자는 전압인가시 인접한 투명입자와의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투과도 가변층은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입자 간의 거리는 상기 투명입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가 종료되면, 상기 투과도 가변층의 증가된 투과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입자는 전압인가시 투명입자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입자의 굴절률 np 및 상기 투명분산매질의 굴절률 nm의 차이 Δn은 상기 투명분산매질에 분산된 투명입자의 표면에서 입사광이 산란될 수 있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Δn은 0.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m은 0.1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입자의 직경은 입사광의 파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10.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의 제1투명전극층;
    상기 제1투명전극층 상의,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상기 투명입자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상기 투과도 가변층 상의 제2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11. 투명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분산매질 내에서 상기 투명입자의 광산란에 따라 불투명하되, 전압인가시 상기 투명입자 간의 거리가 감소하여 투명해지는 투과도 가변층; 및
    상기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소자.
  12. 투명탄성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투명분산매질을 포함하고, 전압인가시 상기 투명탄성입자가 서로 접촉하여 투명탄성입자층을 형성하여 투과도가 변화되는 투과도 가변층; 및
    상기 투과도 가변층의 일면에 위치한 제1투명기판 및 타면에 위치한 제2투명기판;을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소자로서,
    상기 투명탄성입자층 내에 투명탄성입자의 중심 간의 거리는 투명탄성입자의 직경보다 작은 것인 투과도 가변소자.
KR1020170055429A 2017-04-28 2017-04-28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KR20180121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29A KR20180121123A (ko) 2017-04-28 2017-04-28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29A KR20180121123A (ko) 2017-04-28 2017-04-28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23A true KR20180121123A (ko) 2018-11-07

Family

ID=6436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29A KR20180121123A (ko) 2017-04-28 2017-04-28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1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18B1 (ko) * 2018-12-05 2020-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포화 용액의 가변 상변화를 활용한 스마트 윈도우
KR102151969B1 (ko) * 2019-12-11 2020-09-04 주식회사 지투비 투과도 가변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투과도 가변창
KR20210083342A (ko) * 2018-12-06 2021-07-0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들을 갖고 활성 물질의 농도 구배를 갖는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18B1 (ko) * 2018-12-05 2020-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포화 용액의 가변 상변화를 활용한 스마트 윈도우
KR20210083342A (ko) * 2018-12-06 2021-07-0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들을 갖고 활성 물질의 농도 구배를 갖는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KR102151969B1 (ko) * 2019-12-11 2020-09-04 주식회사 지투비 투과도 가변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투과도 가변창
WO2021118113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지투비 투과도 가변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투과도 가변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011B1 (ko) 전기변색소자 디바이스
US10386694B2 (en)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277219B2 (en)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device and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apparatus
US9939706B2 (en) Displaced porous electrode for frustrating TIR and returning light through exit pupil
JP2567226B2 (ja) 電気発色装置
JP5584690B2 (ja) 透明電気活性システム
US7576905B2 (en) Electrostatically-controlled diffraction gratings using ionic electrophoresis
KR20180121123A (ko) 투과도 가변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US10394014B2 (en) Integrated black matrix including color filter materials
CN105094402A (zh) 触控显示设备
US20180328557A1 (en) Optical device
US10656493B2 (en) Two particle electrophoretic laminate for use with smart windows
KR20170083802A (ko) 스마트 윈도우
EP3260914B1 (en) Smart window
US9122050B2 (en) Electrowetting device
KR102470079B1 (ko) 변색 나노 입자, 이를 포함하는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927606B1 (en) Eletrowe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internal diffuser
CN115398327A (zh) 多区电光元件
KR20190003053A (ko) 기판
US20160139479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9130913A1 (ja) 配光制御デバイス
JP2019204064A (ja) 光学デバイス
US20220342273A1 (en)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163474A1 (ja) 配光制御デバイス
KR20160127849A (ko) 자가전원 감전 발색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