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652A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0652A KR20180120652A KR1020180129598A KR20180129598A KR20180120652A KR 20180120652 A KR20180120652 A KR 20180120652A KR 1020180129598 A KR1020180129598 A KR 1020180129598A KR 20180129598 A KR20180129598 A KR 20180129598A KR 20180120652 A KR20180120652 A KR 20180120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electrical signal
- conductive pattern
- region
- pa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가 제공되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전도성 패턴,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패치형 전극,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자극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가 패치와 피부 사이의 겔 상태의 접착층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되어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미세전류를 통해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는 형태로 비만이나 통증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자극이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됨으로써 나타나는 치료 효과 이외의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또한, 치료 목적이나 병변에 따라 단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것만으로 치료의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017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와 약물에 의한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형 전극,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수동형 약물 전달과 능동형 약물 전달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형 전극,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기자극을 위한 전기신호와 이온영동에 의한 약물전달에 필요한 전기신호를 함께 운용할 수 있는 패치형 전극,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기자극과 약물자극이 가능한 패치형 전극과, 전기자극 및 약물자극 각각에 필요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신호 발생부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제 1 전도성 패턴, 상기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제 1 약물을 포함하는 제 1 약물부 ,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되되,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제 2 약물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1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과 상기 제 2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3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3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은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되,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전도성 패턴,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은 제 1 전도성 패턴이되,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도성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신호는 제 1 전기신호이되,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은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은 제 1 약물이고, 상기 약물부는 제 1 약물부이되,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되되,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제 2 약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과 상기 제 2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3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3 전도성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약물은 상기 제 2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양이온화되고, 상기 제 2 약물은 상기 제 3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음이온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부는 복수의 서브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약물부 및 상기 제 2 약물부 각각은 복수의 서브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약물부 중 적어도 둘은 상호간에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브 약물부는 간격을 두고 이웃하여(또는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기 제 1 영역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약물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기 제 2 영역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중간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도성 패턴,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3 전도성 패턴 중 적어도 둘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 의해 발생된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전도성 패턴으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면으로 타단이 노출되되,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타단을 통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자성을 가지며, 상기 자성에 의해 상기 전기신호 발생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전도성 패턴 또는 상기 전극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는 상기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신호 발생부는 상기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주기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는 상기 서브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상기 서브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기신호는 교류형 전기신호이되,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직류형 전기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패치형 전극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전도성 패턴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기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제 1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1 전기신호를 상기 전극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 1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2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된 제 2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2 전기신호를 상기 제 1 약물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 2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3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된 제 3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3 전기신호를 상기 제 2 약물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기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제 1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1 전기신호를 상기 전극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며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2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2영역에 형성된 제 2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2전기신호를 상기 약물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와 약물에 의한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능동형 약물을 포함하는 제 1 약물부와 이온영동을 위한 제 2 약물부를 포함함으로써, 수동형 약물 전달과 능동형 약물 전달을 모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전기신호 발생부를 통해 전기자극을 위한 전기신호와 이온영동에 의한 약물전달에 필요한 전기신호를 함께 발생하고, 전극부와 약물부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전기자극과 약물자극이 가능한 패치형 전극과, 전기자극 및 약물자극 각각에 필요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신호 발생부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연결부 및 전기신호 발생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의 배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연결부 및 전기신호 발생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의 배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부(部)' 또는 '수단'이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대상체에 접착되어, 대상체에 전기자극과 약물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원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전극부와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극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도성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패치형 전극이라고 표현될 수 있으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치형 전극은 앞서 설명된 전극부, 약물부 및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패치형 전극과 전기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본원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원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가 이하의 도면의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도성 패턴의 형상 및 개수, 전극부의 모양, 약물부의 형상 및 기능, 후술할 연결부의 개수 및 배치 형상 등은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가 사용될 대상체의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설명될 다양한 실시예들 각각은 전극부 및 약물부의 유형 및 조합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극부와 수동형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극부와 능동형(또는 이온 영동형)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전극부,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약물부가 수동형 약물부이면서 제 2 약물부가 능동형 약물부일 수도 있고, 제 1 약물부가 제 1 능동형 약물부이면서, 제 2 약물부가 제 2 능동형 약물부일 수도 있고, 제 1 약물부가 제 1 수동형 약물부이면서, 제 2 약물부가 제 2 수동형 약물부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100)는 몸체부(110), 전도성 패턴(121), 전극부(140) 및 약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121)은 몸체부(110)의 제 1 영역(1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전도성 패턴(121)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극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도성 패턴(121)은 한 쌍의 서브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121)은 전도체로 이루어진 패턴으로서, 전극부(140) 후면에 직접 패터닝될 수도 있고, 몸체부(110)의 일 영역에 예를 들어, 탄소, 금, 은 등의 페이스트를 통해 인쇄될 수도 있고, 박막 패턴되거나(또는 패티닝된 박막 형태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금, 구리, 니켈, 아연, 양백, 은 등의 금속 물질을 통해 도금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전도성 패턴(121)은 전도성 플라스틱, 전도성 고무, 전도성 직물이 직접 패턴 형성대로 절단되어 몸체부(110)에 접착된 것일 수도 있다.
전극부(140)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 전극부(140)는 일 면에 대상체(예를 들어, 신체)의 피부와의 접착(또는 접촉)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층은 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겔의 일 예는 하이드로겔일 수 있다. 또한, 전극부(140)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류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140)의 재질의 일 예는 , 금, 구리, 니켈, 아연, 양백, 은 등의 전도성 금속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극부(140)는 패치 유형의 전극패치일 수 있다.
약물부(130)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약물부(130)는 몸체부(110)의 제 2 영역(112)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부(130)는 수동형일 수 있다. 이 때, 수동형은 약물이 대상체로 자연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동형 약물부에 포함(또는 도포)된 약물의 일 예는 플라스타나 카타플라스마와 같은 파스 관련 약물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약물은 농도에 의하여 대상체의 피부 내로 확산될 수 있다. 한편, 약물부(130)는 패치 유형의 약물패치일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 면에는 앞서 설명된 전도성 패턴(121), 전극부(140) 및 약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패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용 또는 접착되는 대상체의 부위에 따라 그 모양, 두께, 재질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재질의 일 예는 직물, 부직포, 종이, 예를 들어 실리콘일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무, 예를 들어 액정폴리머, 폴리이미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도성 패턴(121)은 몸체부(110)의 제 1 영역(111)에 형성되고, 약물부(130)는 몸체부(110)의 제 2 영역(11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패턴(121)은 몸체부(1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1 영역(111)에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약물부(130)는 몸체부(1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2 영역(112)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111)은 제 2 영역(112)과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111)은 몸체부(110) 또는 몸체부(110)의 일면의 중간 영역이고, 제 2 영역(112)은 제1 영역(111)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100)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전도성 패턴(121) 또는 전극부(140)에 전기신호를 공급하고, 이와 같은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시간, 주기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전극부(140)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자극의 자극모드(또는 유형, 종류)에 대응하는 다양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자극모드의 일예는 두드림, 주무름, 강한 주무름, 조합자극일 수 있으며, 다양한 자극신호는 각각의 자극모드 각각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를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잔류 전기 방전, 전극 탈부착 감지 및 점진적 감도 상승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잔류 전기 방전은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100) 또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의 전원 오프(Off) 시 잔류 전기를 해소하여 차회 사용시 잔류 전기에 의한 쇼크를 방지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탈부착 감지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와 후술할 연결부(미도시), 전극부(140) 또는 대상체의 피부 중 적어도 둘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감시하고, 예를 들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와 연결부(미도시) 사이의 분리, 전극부(140)와 대상체의 피부의 접착 종료와 같은 전기적인 연결의 끊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극부(140) 이동 또는 의도치 않은 상황에 의한 전극부(140)의 이탈 등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쇼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점진적 강도 상승은 탈부착 감지 기능에 의해 자극이 중단된 경우,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 또는 본체가 자극 모드와 설정 강도를 기억하여 재연결을 대기하고, 재연결에 의한 자극재개시 갑작스럽게 설정된 자극 강도로 자극하지 않고, 0단계부터 점진적으로 이전 설정 단계까지 서서히 자극강도를 증대(예를 들어, 약 1.5초당 1단계)시키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극재개에 따른 갑작스런 전기자극에 의한 사용자의 놀람이 방지될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와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 충전기 사이의 USB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한 연결에 기초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안전한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으며, 완충 소용시간 1.5시간 내외로, 1회 충전만으로 수회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고, 500회 내지 수천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후술할 연결부(미도시)와 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와 연결부(미도시) 사이의 탈부착 및 재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부착 희망부위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전극이 적용 가능하다.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100)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도성 패턴(121)으로 전달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미도시)는 몸체부(1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몸체부(110)의 타면(예를 들어, 상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반대 방향의 면)으로 타단이 노출되고, 일단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의 일부와 연결되고, 타단을 통해 전도성 패턴(121)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미도시)는 자성을 가지며, 자성에 의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 각각은 전도성 패턴(121) 또는 전극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이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된 내용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연결부(250)에 대해서 설명이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된 연결부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200)는 몸체부(210), 전도성 패턴(220), 약물부(230) 및 전극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패턴(220)은 제 1 전도성 패턴(221) 및 제 2 전도성 패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221)은 몸체부(110)의 제 1 영역(2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패턴(221)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전도성 패턴(221)은 한 쌍의 서브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221) 및 제 2 전도성 패턴(222)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전도성 패턴(111)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 2 전도성 패턴(222)은 몸체부의 제 2 영역(212)과 약물부(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패턴(222)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도성 패턴(222)은 제 2 전기신호를 약물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신호는 약물부(230)에 포함된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부(240)는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 전극부(240)는 일 면에 대상체(예를 들어, 신체)의 피부와의 접착(또는 접촉)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층은 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겔의 일 예는 하이드로겔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부(24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전극부(14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약물부(230)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약물부(130)는 제 2 전도성 패턴(222)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부(230)는 능동형일 수 있다. 이 때, 능동형은 이온 영동형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온 영동형 약물부는 이온 영동이 가능하도록 이온화된 물질(예를 들어, 약물)이 도포 또는 함유된 패치일 수 있다. 이온 영동은 이온화된 약물이 전기신호에 반응하여 대상체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으로 이온화된 약물은 양극의 전기신호에 의한 이온 영동에 따라 대상체 내부(예를 들어, 피부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한편, 약물부(230)는 패치 유형의 약물패치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제2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전기신호는 교류형(또는 펄스형) 전기신호이되, 제 2 전기신호는 직류형(또는 단극형) 전기신호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기신호는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제 1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전기신호의 유형은 제 1 전기신호가 교류형인 경우, 직류형으로 결정되고, 제 1 전기신호가 직류형인 경우 교류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전기신호의 크기는 제 1 전기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은 제 1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제 1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과 일부 겹치도록, 또는 전부 겹치치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기신호가 제 2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몸체부(210)의 일 면에는 앞서 설명된 제 1 전도성 패턴(221), 제 2 전도성 패턴(222), 전극부(240) 및 약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부(210)는 패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용 또는 접착되는 대상체의 부위에 따라 그 모양, 두께, 재질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몸체부(210)의 재질의 일 예는 직물, 부직포, 종이, 예를 들어 실리콘일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무, 예를 들어 액정폴리머, 폴리이미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도성 패턴(221)은 몸체부(210)의 제 1 영역(211)에 형성되고, 제 2 전도성 패턴(222)은 몸체부(210)의 제 2 영역(21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도성 패턴(221)은 몸체부(2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1 영역(211)에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도성 패턴(222)은 몸체부(2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2 영역(212)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영역(211)은 제 2 영역(212)과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211)은 몸체부(210) 또는 몸체부(210)의 일면의 중간 영역이고, 제 2 영역(212)은 제1 영역(211)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도 3,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200)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제 1 전도성 패턴(221) 또는 제 2 전도성 패턴(222)에 제 1 전기신호 또는 제 2 전기신호를 공급하고, 이와 같은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시간, 주기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대한 추가 설명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대한 것으로 대신한다.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200)는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50)는 몸체부(2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몸체부(210)의 타면(예를 들어, 상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반대 방향의 면)으로 타단이 노출되고, 일단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의 일부와 연결되고, 타단을 통해 제 1 전도성 패턴(221) 및 제 2 전도성 패턴(222)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50)는 자성을 가지며, 자성에 의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 각각은 제 1 전도성 패턴(221), 제 2 전도성 패턴(222) 또는 전극부(14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50)는 세 개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1 서브 연결부는 첫번째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과 연결되고, 제 2 서브 연결부는 두번째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과 연결되고, 제 3 서브 연결부는 제 2 전도성 패턴(222)과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각각으로 제공하는 전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전극부(240)의 한 쌍의 서브 전극부 중 첫번째 서브 전극부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1 전기신호 또는 제 1 전도성 패턴(221)의 한 쌍의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 중 첫번째 제 1 서브 전도성 패턴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1 전기신호를 오프하고, 제 2 전도성 패턴(222) 또는 약물부(230)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2 전기신호를 온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주기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각각으로 제공하는 전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주기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서로 교번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서브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상기 서브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제 1 서브 연결부가 온되는 동안, 제 2 서브 연결부를 오프시킬 수 있고, 제 1 서브 연결부가 오프되는 동안, 제 2 서브 연결부를 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제1 서브 연결부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동작하는 경우, 제 1 서브 연결부가 온인경우 제 2 서브 연결부를 온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는 제1 서브 연결부의 온 상태가 임계 시간간격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서브 연결부의 온 상태가 임계 시간간격을 초과한 경우, 제 2 서브 연결부를 온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5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이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내용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연결부(350)에 대해서 설명이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연결부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300)는 몸체부(310), 전도성 패턴(320), 약물부(330), 전극부(340) 및 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패턴(320)은 제 1 전도성 패턴(321), 제 2 전도성 패턴(322) 및 제 3 전도성 패턴(3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물부(330)는 제 1 약물부(322) 및 제 2 약물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321)은 몸체부(310)의 제 1 영역(3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패턴(321)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3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전도성 패턴(321)은 한 쌍의 서브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321) 및 제 3 전도성 패턴(323)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다양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 2 전도성 패턴(322)은 몸체부(310)의 제 2 영역(312)과 제 1 약물부(3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패턴(322)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도성 패턴(322)은 제 2 전기신호를 제 1 약물부(33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신호는 제 1 약물부(332)에 포함된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전도성 패턴(323)은 몸체부(310)의 제 3 영역(313)과 제 2 약물부(3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 전도성 패턴(323)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3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전도성 패턴(323)은 제 3 전기신호를 제 2 약물부(33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기 신호는 제 2 약물부(333)에 포함된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321), 제 2 전도성 패턴(322) 상기 3 전도성 패턴(323) 중 적어도 둘은 상호간에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서 제 2 전도성 패턴(322) 또는 제 3 전도성 패턴(323)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도성 패턴(322)에 대응하는 제 1 약물부(332) 또는 제 3 전도성 패턴(323)에 대응하는 제 2 약물부(333) 중 어느 하나는 수동형 약물부이고, 제 2 전도성 패턴(322)에 대응하는 제 1 약물부(332) 또는 제 3 전도성 패턴(323)에 대응하는 제 2 약물부(333) 중 다른 하나는 능동형 약물부일 수 있다.
전극부(340)는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 전극부(340)는 일 면에 대상체(예를 들어, 신체)의 피부와의 접착(또는 접촉)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부(340) 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다양한 전극부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약물부(330)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약물부(332)는 제 1 약물을 포함하고, 제 2 약물부(333)는 제 2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약물부(332)는 제 2 전도성 패턴(322)에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약물부(333)는 제 3 전도성 패턴(323)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약물부(332) 및 제 2 약물부 (333)는 모두 능동형일 수 있다. 다만, 제 1 약물과 제 2 약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약물은 제 2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양이온화되고, 제 2 약물은 제 3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음이온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능동형은 이온 영동형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온 영동형 약물부는 이온 영동이 가능하도록 이온화된 물질(예를 들어, 약물)이 도포 또는 함유된 패치일 수 있다. 한편, 제 1 약물부(332) 및 제 2 약물부 (333)는 패치 유형의 약물패치일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약물부(332)는 수동형 약물부이고, 제 2 약물부(333)는 능동형 약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약물부(332)는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제 1 약물을 포함하고, 제 2 약물부(333)는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는 제 2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 333은 제 2 전극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극부는 전극부(340)와 달리 약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전극부는 제 1 약물부(332)와 구별하여 전기적 임피던스가 낮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부의 제 3 전기신호의 유형은 제 1 약물부(332)에 대응하는 제 2 전기신호의 유형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전기신호는 교류형이고, 제 2 전기신호는 직류형일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제2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제3 전기신호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전기신호는 교류형(또는 펄스형) 전기신호이되, 제 2 전기신호 및 제 3 전기 신호는 직류형(또는 단극형) 전기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전기신호는 양극의 직류형(또는 단극형) 전기신호이되, 제 3 전기 신호는 음극의 직류형(또는 단극형) 전기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에 따르면, 제 1 약물은 양극의 직류형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될 수 있도록 양이온화된 약물이고, 제 2 약물은 음극의 직류형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될 수 있도록 음이온화된 약물일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기신호 내지 제 3 전기신호 중 어느 하나는 제 1 전기신호 내지 제 3 전기신호 중 다른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기신호 내지 제 3 전기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제 1 전기신호 내지 제 3 전기신호 중 다른 하나의 유형(예를 들어, 교류 또는 직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 전기신호의 유형은 제 1 전기신호가 교류형인 경우, 직류형으로 결정되고, 제 1 전기신호가 직류형인 경우 교류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전기신호의 크기는 제 1 전기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은 제 2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제 2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과 일부 겹치도록, 또는 전부 겹치치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일 면에는 앞서 설명된 제 1 전도성 패턴(321), 제 2 전도성 패턴(322), 제 3 전도성 패턴(323), 전극부(340), 제 1 약물부(332) 및 제 2 약물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부(310)는 패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용 또는 접착되는 대상체의 부위에 따라 그 모양, 두께, 재질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전도성 패턴(321)은 몸체부(310)의 제 1 영역(311)에 형성되고, 제 2 전도성 패턴(322)은 몸체부(310)의 제 2 영역(312)에 형성되고, 제 3 전도성 패턴(323)은 몸체부(310)의 제 3 영역(31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도성 패턴(321)은 몸체부(3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1 영역(311)에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도성 패턴(322)은 몸체부(3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2 영역(312)에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제 3 전도성 패턴(323)은 몸체부(3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의 제 3 영역(313)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311) 내지 제 3 영역(313)은 상호 간에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311) 및 제 3 영역(313)은 몸체부(310) 또는 몸체부(310)의 일면의 중간 영역이고, 제 2 영역(312)은 제1 영역(311) 및 제 3 영역(313)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연결부 및 전기신호 발생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300)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부(370)는 제 1 전도성 패턴(321) 내지 제 3 전도성 패턴(323) 각각에 제 1 전기신호 내지 제 3 전기신호 각각을 공급하고, 이와 같은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시간, 주기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신호 발생부(370)에 대한 추가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전기신호 발생부(370)에 대한 것으로 대신한다.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300)는 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50)는 몸체부(310)의 일면(예를 들어, 하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몸체부(310)의 타면(예를 들어, 상면 또는 대상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반대 방향의 면)으로 타단이 노출되고, 일단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부(370)의 일부(361)와 연결되고, 타단을 통해 제 1 전도성 패턴(321) 내지 제 3 전도성 패턴(323) 각각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일부(361)는 연결부(350)와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350)는 스냅단추(또는 똑딱단추)의 철면인 수단추 형상을 포함하고, 일부(361)는 요면인 암단추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50)는 자성을 가지며, 자성에 의해 전기신호 발생부(360)의 일부(361)와 전기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신호 발생부(360)의 연결방식은 물리적 결합형과 자석 결합형이 있다. 물리적 결합형은 스냅 단추의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고, 자석 결합형은 연결부(350)가 금속재질의 리벳 형태일 수 있이며, 전기신호 발생부(360)의 일부(또는 커넥터) 내에 자석이 포함되어 있어 자력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연결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 각각은 일부(361)의 서브 부분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연결부 각각은 스냅단추(또는 똑딱단추)의 철면인 수단추 형상일 수 있고, 서브 부분 각각은 스냅단추(또는 똑딱단추)의 요면인 암단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연결부 각각은 제 1 전도성 패턴(321), 제 2 전도성 패턴(322), 제 3 전도성 패턴(323) 또는 전극부(14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50)는 네 개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1 서브 연결부는 첫번째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과 연결되고, 제 2 서브 연결부는 두번째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과 연결되고, 제 3 서브 연결부는 제 2 전도성 패턴(322)과 연결되고, 제 4 서브 연결부는 제 3 전도성 패턴(323)과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서브 연결부 각각으로 제공하는 전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전극부(340)의 한 쌍의 서브 전극부 중 첫번째 서브 전극부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1 전기신호 또는 제 1 전도성 패턴(321)의 한 쌍의 서브 제 1 전도성 패턴 중 첫번째 제 1 서브 전도성 패턴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1 전기신호를 오프하고, 제 2 전도성 패턴(322) 또는 제 1 약물부(332)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2 전기신호 또는 제 3 전도성 패턴(323) 또는 제2 약물부(333)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 3 전기신호를 온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주기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서브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서로 교번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 발생부(360)는 서브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상기 서브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앞서 도 3, 4를 통해 설명한 예시로 대신한다. 또한, 전기신호 발생부(360)와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전기신호 발생부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8을 통해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이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내용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400)는 몸체부(410), 제 1 전도성 패턴(421), 제 2 전도성 패턴(422), 전극부(440) 및 연결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약물부(430)는 제 1 약물부(431) 및 제 2 약물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421)은 몸체부(410)의 제 1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패턴(421)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4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전도성 패턴(421)은 한 쌍의 서브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패턴(421) 및 제 2 전도성 패턴(422)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다양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 2 전도성 패턴(422)은 몸체부(410)의 제 2 영역과 제 1 약물부(3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패턴(422)은 전기신호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도성 패턴(422)은 제 2 전기신호를 제 1 약물부(43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신호는 제 1 약물부(431)에 포함된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부(440)는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 전극부(440)는 일 면에 대상체(예를 들어, 신체)의 피부와의 접착(또는 접촉)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층은 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겔의 일 예는 하이드로겔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부(440) 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다양한 전극부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약물부(431)는 제 1 약물을 포함하고, 제 2 약물부(432)는 제 2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약물부(431)는 제 2 전도성 패턴(422)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2 약물부(432)는 몸체부(410)의 제 3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약물부(432)는 몸체부(410)의 제 3 영역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약물부(431)는 능동형 약물부이고, 제 2 약물부(432)는 수동형 약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약물부(431)는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는 제 1 약물을 포함하고, 제 2 약물부(432)는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제 1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의 일 면에는 앞서 설명된 제 1 전도성 패턴(321), 제 2 전도성 패턴(322), 전극부(440), 제 1 약물부(431) 및 제 2 약물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부(410)는 패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용 또는 접착되는 대상체의 부위에 따라 그 모양, 두께, 재질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8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7의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들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유추가능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는 복수의 전극부 및 복수의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전극부 및 복수의 약물부 중 적어도 둘은 상호간에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부 및 복수의 약물부는 간격을 두고 이웃하거나 또는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약물부는 제 2 약물부와 간격을 두고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약물부는 제 2 약물부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의 배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면부호 (a)에서와 같이,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는 마치 격자 무늬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부호 (b)에서와 같이,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는 마치 줄 무늬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또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는 전극부와 약물부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수동형 약물부와 능동형 약물부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면부호 (b)를 참고하면, 한 줄은 제 1 약물을 포함하는 수동형 약물부가, 다른 줄은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능동형 약물부가 배치되고, 이와 같은 배치가 약물부 내에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전극부와 능동형 약물부는 몸체부와 전극부(또는 능동형 약물부) 사이에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반면, 수동형 약물부는 몸체부와 수동형 약물부가 직접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부는 복수의 서브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약물부, 제 1 약물부 및 제 2 약물부 각각은 복수의 서브 약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서브 전극부 및 복수의 서브 약물부 중 적어도 둘은 상호간에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전극부 및 복수의 서브 약물부는 간격을 두고 이웃하거나 또는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약물부에 포함되는 제 1 서브 약물부는 제 2 서브 약물부와 간격을 두고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약물부에 포함되는 제 1 서브 약물부는 제 2 서브 약물부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통해 예시하면, 도면부호 (a)에서와 같이, 제 1 서브 약물부 및 제 2 서브 약물부는 마치 격자 무늬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부호 (b)에서와 같이, 제 1 서브 약물부 및 제 2 서브 약물부는 마치 줄 무늬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또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는 서브 전극부와 서브 약물부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서브 수동형 약물부와 서브 능동형 약물부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면부호 (b)를 참고하면, 한 줄은 제 1 약물을 포함하는 서브 수동형 약물부가, 다른 줄은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서브 능동형 약물부가 배치되고, 이와 같은 배치가 약물부 내에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전극부와 서브 능동형 약물부는 몸체부와 서브 전극부(또는 서브 능동형 약물부) 사이에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반면, 서브 수동형 약물부는 몸체부와 서브 수동형 약물부가 직접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수동형 약물부는 수동형 약물부와 같이 약물이 자연적으로 확산되는 반면, 서브 능동형 약물부는 능동형 약물부와 같이 약물이 이온영동에 의해 확산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 내지 9를 통해 설명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200),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300) 및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400)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9를 통해 설명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200),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300) 및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4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전기신호 발생부가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제1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전도성 패턴을 통해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2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040에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2영역에 형성된 제 2 전도성 패턴을 통해 제 2전기신호를 약물부로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은 앞서 설명된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스토어 등이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 포함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110: 몸체부
121: 전도성 패턴
130: 약물부
140: 전극부
110: 몸체부
121: 전도성 패턴
130: 약물부
140: 전극부
Claims (13)
-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제1전도성 패턴;
상기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제 1 약물을 포함하는 제 1 약물부;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되되,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제 2 약물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1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과 상기 제 2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3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 3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은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되,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약물은 상기 제 2 전기신호에 의해 이온 영동됨으로써 방출되되,상기 제 2 약물은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약물은 상기 제 2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양이온화되고, 상기 제 2 약물은 상기 제 3 전기신호에 의해 방출되도록 음이온화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기 제 1 영역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약물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기 제 2 영역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중간 영역이되,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인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 의해 발생된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전도성 패턴으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면으로 타단이 노출되되,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타단을 통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일부와 연결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자성을 가지며, 상기 자성에 의해 상기 전기신호 발생의 일부와 연결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전기신호의 유형, 크기, 주기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는 서브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상기 서브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인,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 패치형 전극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되,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1 전기신호를 전극부에 전달하는 제 1 전도성 패턴;
상기 제 1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되, 제 1 약물을 포함하는 제 1 약물부;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되되,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제 2 약물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몸체부의 제 3 영역과 상기 제 2 약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제 3 전기신호를 상기 제 2 약물부에 전달하는 제 3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은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제 2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인, 패치형 전극. -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기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제 1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1 전기신호를 상기 전극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 1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2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된 제 2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2 전기신호를 상기 제 1 약물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제 2 약물부에 대응하는 제 3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의 몸체부의 제 3 영역에 형성된 제 3 전도성 패턴을 통해 상기 제 3 전기신호를 상기 제 2 약물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기신호는 상기 약물이 이온 영동에 의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인,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9598A KR101995441B1 (ko) | 2018-10-29 | 2018-10-29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9598A KR101995441B1 (ko) | 2018-10-29 | 2018-10-29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194A Division KR101915697B1 (ko) | 2015-11-23 | 2015-11-23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0652A true KR20180120652A (ko) | 2018-11-06 |
KR101995441B1 KR101995441B1 (ko) | 2019-07-02 |
Family
ID=6432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9598A KR101995441B1 (ko) | 2018-10-29 | 2018-10-29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44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6012A (en) * | 1982-02-22 | 1984-06-26 | Medtronic, Inc. | Iontophoretic and electrical tissue stimulation device |
WO2012090756A1 (ja) * | 2010-12-28 | 2012-07-05 | テルモ株式会社 | 経皮的薬物投与装置 |
WO2014102896A1 (ja) * | 2012-12-25 | 2014-07-03 | テルモ株式会社 | イオントフォレシス用パッチ |
-
2018
- 2018-10-29 KR KR1020180129598A patent/KR101995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6012A (en) * | 1982-02-22 | 1984-06-26 | Medtronic, Inc. | Iontophoretic and electrical tissue stimulation device |
WO2012090756A1 (ja) * | 2010-12-28 | 2012-07-05 | テルモ株式会社 | 経皮的薬物投与装置 |
WO2014102896A1 (ja) * | 2012-12-25 | 2014-07-03 | テルモ株式会社 | イオントフォレシス用パッ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5441B1 (ko) | 201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2783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ing and/or controlling devices, for instance transdermal delivery devices | |
EP0805707B1 (en) | 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 |
JP5667205B2 (ja) | 電流を身体組織に送るシステム | |
US20100137779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ing and/or controlling devices, for instance transdermal delivery devices | |
JP4708447B2 (ja) | 浮電極 | |
JP2008100096A (ja) | 再使用可能な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電気輸送装置 | |
WO2020036651A2 (en) | Auricular nerve field stimulation device | |
US20160310734A1 (en) | Handheld electrical stimulation medical device | |
CN111818965B (zh) | 电极贴片 | |
KR101915697B1 (ko)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95441B1 (ko) | 약물전달이 가능한 패치형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298536B2 (en) | Electrical-stimul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stimulation system | |
EP2741811B1 (en) | Symptom-treatment system | |
US10258787B2 (en) | Cutaneous medical device comprising a main part and including a base and a removable electrode | |
CN101631587A (zh) | 用于对例如透皮输送装置的装置供电和/或控制的系统、装置和方法 | |
CN217567139U (zh) | 一种迷走神经刺激器 | |
CN213048983U (zh) | 磁吸连接装置及离子电渗透给药贴片 | |
JP2012139293A (ja) | イオントフォレシス用導通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