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321A -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 Google Patents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321A
KR20180120321A KR1020170054031A KR20170054031A KR20180120321A KR 20180120321 A KR20180120321 A KR 20180120321A KR 1020170054031 A KR1020170054031 A KR 1020170054031A KR 20170054031 A KR20170054031 A KR 20170054031A KR 20180120321 A KR20180120321 A KR 2018012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odule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307B1 (ko
Inventor
송재훈
송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싱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to KR102017005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조합서버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portable FM transmitter}
본 발명은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조합서버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세계화의 가속화로 기업회의, 국제회의, 전시산업 등에 있어서 언어소통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동시통역을 통하여 언어장벽을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국제협력 등의 활동을 펼치도록 하고 있고, 한류의 확산, 외국인의 국내활동 기반 강화, 국제 무역의 확대, 관광산업의 진흥 등의 측면에서 동시통역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종래의 동시통역 서비스 방법은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동시통역사가 강연자의 강연 내용을 통역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면 송신기가 동시통역음성을 변환된 신호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수신기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다시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133575호(2012. 02. 29, 등록)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한 통역시스템 및 방법"
하지만, 종래의 동시통역 서비스 방법은 동시통역에 주안점을 두어 서비스를 실시하므로, 컨퍼런스와 관련 정보의 입수가 용이하지 않고, 동시통역시 긴급전화를 선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시통역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맞춤화된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여 부가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동시통역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으며 긴급 전화가 아닌 경우 전화를 끊어 달라는 안내멘트를 음성통화를 출력한 후 음성통화가 일정 기간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동시통역서비스를 중단하고 전화연결을 실시해, 동시통역서비스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긴급 통화가 가능한 동시통역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은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조합서버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동시동역음성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수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수집부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을 수집조합서버 또는 FM트랜스미터부에 출력하는 오디오분배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상기 오디오분배부에서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FM트랜스미터부와, 상기 FM트랜스미터부에서 출력된 FM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스트리밍서버가 제공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트리밍처리부와,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동시통역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컨퍼런스정보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처리부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선택부와, 상기 컨퍼런스선택부에서 선택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에 관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츠실시간출력부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재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퍼런스정보처리부는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요청정보처리부와,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자동정보처리부를 포함하며, 이어폰에 의해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되어야 하고 제어시 이어폰이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음성에 대한 FM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처리부에 의해 특정의 동시통역언어가 선택되어 스트리밍서버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이 상기 스마트단말기에서 출력되므로, 상기 자동정보처리부는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동시통역언어, 동시통역장소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주파수를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설정정보제공부와, 상기 요청정보처리부에 의한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컨퍼런스 관련 자료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컨퍼런스정보제공부와, 상기 자동정보처리부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한 경우 사용자에 맞춤화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부가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제공부는 상기 자동정보처리부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한 경우 특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확인모듈과,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된 경우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추출하는 주변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에 의해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를 추출하는 개별정보추출모듈과, 상기 개별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작동시키는 전원작동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서 수신하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신호수신조절부와, 상기 신호수신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FM신호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역음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설정부와, 상기 이어폰에서 수신하는 FM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신호수신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에 대한 신호가 출력된 경우 통역음성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이어폰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음성통화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모듈에서 수신하는 FM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신호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 출력 중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음성통화설정부와, 이어폰에 FM신호의 강도측정을 요구하여 FM신호의 정상수신여부를 관리하는 신호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화음성부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신호수신모듈과, 상기 통화신호수신모듈에 의해 음성통화의 알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역음성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동시통역중단모듈과, 상기 동시통역중단모듈에 의해 동시통역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과 스마트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통화모듈과, 상기 음성통화모듈에 의한 음성통화의 실시 중에 일정 기간 이상 상기 이어폰 및 스마트단말기에서 음성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화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화음성부의 작동을 중단하여 상기 통역음성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재동시통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통화설정부는 스마트단말기로 걸려오는 음성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수신모듈과, 상기 통화수신모듈에 의해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으며 긴급 전화가 아닌 경우 전화를 끊어 달라는 안내멘트를 음성통화를 출력한 전화기에 출력하는 동시통역확인모듈과, 통시통역확인모듈에 의해 안내멘트가 전송되었음에도 음성통화가 일정 기간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음성통화를 수신했다는 알림정보를 상기 이어폰에 전송하는 통화알림모듈과, 상기 통화알림모듈에 의해 알림정보가 이어폰에 전송되어 통화음성부가 작동하여 동시통역음성의 출력이 중단되고 통화음성의 송수신이 시작되면 이어폰과 통화음성을 송수신하도록 하는 음성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은 AP장치부의 상태를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AP컨트롤부와; 상기 스트리밍서버와 연결되어 스트리밍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무선신호로 전환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전달하는 AP장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AP컨트롤부는 상기 스마트단말기와 AP장치부의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는 AP접속개시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AP장치부의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최적의 AP장치부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AP변경부와, 특정 AP장치부에 접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AP접속분산부와, 각 AP장치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P상태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AP접속개시부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접속요청수신모듈과,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단말기 주변의 AP장치부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AP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P변경부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AP장치부 변경의 요청을 수신하는 AP변경요청수신모듈과, AP장치부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 주변의 AP장치부를 검색하는 AP스캔모듈과, 상기 AP스캔모듈에서 검색된 AP장치부로부터 AP장치부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여 전달받는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과,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에 의하여 측정된 스마트단말기의 신호 세기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최적AP정보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AP접속분산부는 각 AP장치부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과, 상기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접속자수에 따라 AP장치부의 신호 세기를 조절하는 송출신호조절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AP상태관리부는 각 AP장치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집모듈과, 상기 AP정보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출력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 AP장치부에 대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AP출력증가모듈과, 상기 AP출력증가모듈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출력 감소가 계속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에 접속된 스마트단말기에 대하여 AP장치부의 변경을 전달하는 AP변경명령모듈과, 출력이 감소된 AP장치부의 진단테스트를 실행하여 복구하도록 하는 AP진단테스트모듈과,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의 실행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AP장치부의 재부팅을 실시하는 AP재부팅모듈과,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 또는 AP재부팅모듈의 실행에 의해 해당 AP장치부의 출력이 회복되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이 전달된 스마트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AP장치부로의 재접속을 명령하는 재변경명령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시통역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맞춤화된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여 부가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으며 긴급 전화가 아닌 경우 전화를 끊어 달라는 안내멘트를 음성통화를 출력한 후 음성통화가 일정 기간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동시통역서비스를 중단하고 전화연결을 실시해, 동시통역서비스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긴급 통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의 블럭도.
도 3은 도 1의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의 블럭도.
도 4는 도 3의 통역음성부의 블럭도.
도 5는 도 3의 통화음성부의 블럭도.
도 6은 도 1의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스마트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이는 사진.
도 7은 도 1의 수집조합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의 스트리밍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1의 스마트단말기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9의 FM동시통역처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10의 음성통화설정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0의 신호관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9의 스트리밍처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에 사용되는 AP컨트롤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5의 AP접속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7은 도 15의 AP변경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도 15의 AP변경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9는 도 15의 AP접속분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0은 도 15의 AP상태관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도 1의 스마트단말기의 AP접속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을 도 1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시통역시스템은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4)로 전달하는 수집조합서버(3)와; 상기 수집조합서버(3)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4)와;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관리서버(6)와 정보를 교환하는 스마트단말기(5)와,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관리서버(6);를 포함한다.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는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구성으로, 사람이 휴대할 수 있도록 컴팩트화하여 제조되게 된다.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의 작동을 조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1)와, 동시동역음성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수집부(12)와, 상기 조작부(11)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수집부(12)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을 수집조합서버(3) 및/또는 FM트랜스미터부(14)에 출력하는 오디오분배부(13)와, 상기 조작부(11)의 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상기 오디오분배부(13)에서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FM트랜스미터부(14)와, 상기 FM트랜스미터부(14)에서 출력된 FM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부(15)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 등을 포함한다.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은 스피커부(21), 마이크부(22), 조작부(23), 단말기연결부(24), 컨트롤러(2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부(21)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고, 상기 마이크부(22)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구성이며, 상기 조작부(23)는 상기 이어폰(2)의 볼륨 등을 조절하는 구성이고, 상기 단말기연결부(24)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를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USB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종래의 이어폰의 구성에 FM동시통역수신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 통합되고 스마트단말기(5)에 의해 전원의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USB 타입에 의해 상기 이어폰(2)과 스마트단말기(5)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은 전원의 공급 및 제어가 스마트단말기(5)에 의해 행하여지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및 저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25)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딸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원작동부(251), 신호수신조절부(252), 통역음성부(253), 통화음성부(254), 신호감지부(255), 제어부(25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작동부(251)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을 작동시킨다. 상기 이어폰(2)은 별도로 배터리를 가지지 않고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또한 스마트단말기(5)는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어폰(2)을 통해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호수신조절부(252)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따라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에서 수신하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역음성부(253)는 설정된 주파수의 FM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통역음성부(253)는 상기 신호수신조절부(252)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FM신호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부(21)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신호수신조절부(252)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FM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253a)과, 상기 신호수신모듈(253a)에서 출력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부(21)에 출력하는 신호출력모듈(253b)과, 상기 스마트단말기(5) 또는 조작부(23)의 볼륨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모듈(253b)에 의해 출력된 동시통역음성의 크기가 함께 조절되어 볼륨이 연동되도록 하는 볼륨조작모듈(253c)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통화음성부(254)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음성통화에 대한 신호가 출력된 경우 통역음성부(253)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이어폰(2)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특별한 조작 없이 이어폰(2)과 스마트단말기(5)가 연결된 채로 음성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화음성부(254)는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음성통화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신호수신모듈(254a)와, 상기 통화신호수신모듈(254a)에 의해 음성통화의 알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역음성부(253)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동시통역중단모듈(254b)와, 상기 동시통역중단모듈(254b)에 의해 동시통역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2)과 스마트단말기(5) 사이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통화모듈(254c)과, 상기 음성통화모듈(254c)에 의한 음성통화의 실시 중에 일정 기간 이상 상기 이어폰 및 스마트단말기에서 음성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화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화음성부(254)의 작동을 중단하여 상기 통역음성부(253)가 작동되도록 하는 재동시통역모듈(254d)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을 통해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는 도중에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음성통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치 분리나 조작 없이 그대로 음성통화가 가능하며 음성통화가 종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다시 동시통역음성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감지부(255)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모듈(253a)에서 수신하는 FM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피커부(21)를 통해 출력되는 동시통역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 스마트단말기(5)를 통하여 FM신호의 강도 측정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신호감지부(255)는 FM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FM신호의 정상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1) 또는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의 불량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감지부(255)은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FM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신호강도측정모듈(255a)과, 상기 신호강도측정모듈(255a)에 의해 측정된 FM신호의 강도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달하는 신호강도전송모듈(255b)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56)는 상기 컨트롤러(25)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수집조합서버(3)는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4)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오디오수집부(31)와,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수집부(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수집부(31)는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여 실시간이 아니더라도 동시통역음성의 다시 듣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수집부(31)는 컨퍼런스별, 언어별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입력모듈(311)과, 상기 오디오입력모듈(311)에 의해 입력받은 동시통역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오디오인코딩모듈(312)과, 상기 오디오인코딩모듈(3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저장하는 오디오저장모듈(313)과, 상기 오디오인코딩모듈(3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 전송하는 오디오전송모듈(314)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입력모듈(311)은 다양한 언어의 동시통역음성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퍼런스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컨퍼런스별로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인코딩모듈(312)에 의해 MP3 등의 다양한 압축방식으로 동시통역음성이 인코딩될 수 있으며,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오디오저장모듈(313)에 의해 상기 수집조합서버(3)에 저장되며, 상기 오디오전송모듈(314)에 의해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전송모듈(314)은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요청에 의해 상기 오디오저장모듈(313)에 의해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직접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수집부(32)는 발표자의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여 실시간이 아니더라도 발표영상의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수집부(32)는 발표영상을 입력받는 비디오입력모듈(321)과, 상기 비디오입력모듈(321)에 의해 입력받은 발표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비디오인코딩모듈(322)와, 상기 비디오인코딩모듈(322)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저장하는 비디오저장모듈(323)과, 상기 비디오인코딩모듈(322)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 전송하는 비디오전송모듈(324)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입력모듈(321), 비디오인코딩모듈(322), 비디오저장모듈(323) 및 비디오전송모듈(3254)에 관한 설명은 상기 오디오입력모듈(311), 오디오인코딩모듈(312), 오디오저장모듈(313) 및 오디오전송모듈(314)과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에 관한 내용만 다를 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발표영상의 인코딩은 H.264, AVC 등의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서버(4)는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단말기(5)를 통한 실시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다시 디코딩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4)는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부(41)와,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부(41)는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디코딩모듈(411)과,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4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12)과,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1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4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리밍이란 영상이나 음성, 애니메이션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기법을 말하며,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12)은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아주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나누어 스마트단말장치(5)를 통한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12)은 상기 오디오인코딩모듈(312)에 의해 인코딩되어 압축된 동시통역음성이 아닌,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4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므로, 음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413)은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전송하여 스마트단말기(5)를 통한 동시통역음성의 실시간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부(42)는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집조합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딩모듈(421)과,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42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22)과,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2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423)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422)은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아주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나누어 스마트단말장치(5)를 통한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비디오인코딩모듈(322)에 의해 인코딩되어 압축된 발표영상이 아닌,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42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므로, 화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423)은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전송하여 스마트단말기(5)를 통한 발표영상의 실시간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단말기(5)는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관리서버(6)와 컨퍼런스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구성으로,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장치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하고 음성통화기능이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실시간 출력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고, 상기 관리서버(6)와 컨퍼런스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마트단말기(5)는 송수신부(51), 이어폰연결부(52), FM동시통역처리부(53), 스트리밍처리부(54), 컨퍼런스정보처리부(55), 제어부(5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51)는 스트리밍서버(4) 및 관리서버(6)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이어폰연결부(52)는 상기 이어폰(2)을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USB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FM동시통역처리부(53)는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전원설정부(531), 신호수신설정부(532), 볼륨설정부(533), 음성통화설정부(534), 신호관리부(53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설정부(531)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폰(2)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어폰(2)에 공급된 전원은 상기 전원작동부(251)에 의해 이어폰(2)의 작동에 이용되게 된다.
상기 신호수신설정부(532)는 상기 이어폰(2)에서 수신하는 FM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동시통역언어, 동시통역장소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시통역장소의 동시통역언어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의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상기 스마트단말기(5)를 통하여 손쉽게 원하는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볼륨설정부(533)는 상기 이어폰(2)에서 출력되는 동시통역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볼륨설정부(533)에 의해 볼륨을 조절하면, 상기 이어폰(2)의 볼륨조작모듈(253c)이 실행되어 상기 신호출력모듈(253c)에서 출력되는 동시통역음성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음성통화설정부(534)는 상기 이어폰(2)에서 동시통역음성 출력 중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걸려오는 음성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수신모듈(534a)과, 상기 통화수신모듈(534a)에 의해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어폰(2)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으며 긴급 전화가 아닌 경우 전화를 끊어 달라는 안내멘트를 음성통화를 출력한 전화기(미도시)에 출력하는 동시통역확인모듈(534b)과, 통시통역확인모듈(534b)에 의해 안내멘트가 전송되었음에도 음성통화가 일정 기간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음성통화를 수신했다는 알림정보를 상기 이어폰(2)에 전송하는 통화알림모듈(534c)과, 상기 통화알림모듈(534c)에 의해 알림정보가 이어폰(2)에 전송되어 통화음성부(254)가 작동하여 동시통역음성의 출력이 중단되고 통화음성의 송수신이 시작되면 상기 이어폰(2)과 통화음성을 송수신하도록 하는 음성송수신모듈(534d)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동시통역확인모듈(543b)은 이어폰(2)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통해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신호관리부(535)는 상기 이어폰(2)에 FM신호의 강도측정을 요구하여 FM신호의 정상수신여부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어폰(2)을 통한 동시통역음성의 청취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어폰(2)에 FM신호의 강도측정을 요구하여 FM신호의 강도가 정상범위인지를 확인함으로써 FM 신호의 수신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호관리부(535)는 상기 신호감지부(255)에 FM신호의 강도측정을 요청하는 신호요청모듈(535a)과, 상기 신호감지부(255)로부터 수신된 FM신호의 강도가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신호판단모듈(535b)과, 상기 신호판단모듈(535b)에 의해 FM신호의 강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수신저하를 알리는 수신저하알림모듈(535c)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리밍처리부(54)는 상기 스트리밍서버(4)가 제공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컨퍼런스선택부(541), 컨텐츠실시간출력부(542), 컨텐츠재출력부(54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컨퍼런스선택부(541)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선택되는 컨퍼런스에 따른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가 수신되어 출력되도록 하며, 선택된 컨퍼런스 내의 동시통역음성 중에서 원하는 동시통역음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542)는 상기 컨퍼런스선택부(541)에서 선택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에 관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단말기(5)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542)는 상기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상기 컨퍼런스선택부(541)에서 선택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542a)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542b)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542c)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542a)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542c)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재출력부(543)는 상기 수집조합서버(3)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543)에 의한 동시통역음성 등의 실시간 출력을 듣거나 보지 못하더라도 언제든지 상기 수집조합서버(2)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여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컨퍼런스정보처리부(55)는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6)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동시통역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6)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요청정보처리부(551), 자동정보처리부(55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요청정보처리부(551)는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6)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컨퍼런스 관련 자료는 발표 자료, 컨퍼런스 소개 자료 등의 컨퍼런스와 관련된 일체의 자료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정보처리부(552)는 사용자가 특정 언어(예컨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6)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어폰(2)에 의해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되어야 하고(제어시 이어폰(2)이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음성에 대한 FM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 상기 스트리밍처리부(54)에 의해 특정의 동시통역언어가 선택되어 스트리밍서버(4)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이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서 출력되므로, 상기 자동정보처리부(552)는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6)는 스마트단말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관리서버(6)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부(61), 설정정보제공부(62), 컨퍼런스정보제공부(63), 부가정보제공부(64), 저장부(65), 제어부(6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61)는 스마트단말기(5)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설정정보제공부(62)는 동시통역언어, 동시통역장소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주파수를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컨퍼런스정보제공부(63)는 상기 요청정보처리부(551)에 의한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컨퍼런스 관련 자료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부가정보제공부(64)는 상기 자동정보처리부(552)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6)에 전송한 경우, 사용자에 맞춤화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동시통역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상기 자동정보처리부(552)가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부가정보제공부(64)가 이에 맞춤화된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부가정보제공부(64)는 상기 자동정보처리부(552)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한 경우 특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확인모듈(641)과, 상기 사용자확인모듈(641)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된 경우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상기 저장부(65)에서 추출하는 주변정보추출모듈(642)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642)에 의해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확인모듈(641)에 의해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를 상기 저장부(65)에서 추출하는 개별정보추출모듈(643)과, 상기 개별정보추출모듈(643)에 의해 추출된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642)에 의해 추출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매칭모듈(644)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아랍인은 승마를 좋아하고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동시통역서비스로 이용되는 언어가 아랍어인 경우 상기 사용자확인모듈(641)은 사용자를 아랍인으로 특정하고, 상기 개별정보추출모듈(643)은 아랍인은 승마를 좋아하고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매칭모듈(644)은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642)에서 추출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에서 승마를 할 수 있는 장소를 부각시키고 돼지고기를 판매하는 식당을 삭제하여 관광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을 도 15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시통역시스템은 AP컨트롤부(7), AP장치부(8)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5)는 AP접속부(57)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시스템은 상기 수집조합서버(3) 및 스트리밍서버(4)로부터 전송되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이 Wi-fi 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단말기(5)에 전송되도록 하고, 복수의 구역에 AP장치를 설치하여 스마트단말기(5)에 대해 AP장치를 통한 무선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시통역시스템은 AP컨트롤부(7)를 통해 AP장치부(8)의 상태를 관리하고, AP장치부(8)와 스마트단말기(5)의 접속을 제어하도록 하여 AP장치부(8)와 스마트단말기(5) 간의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는 대규모 행사에 있어서도 높은 품질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컨트롤부(7)는 상기 AP장치부(8)의 상태를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AP장치부(8)와 스마트단말기(5)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컨트롤부(7)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 AP장치부(8)의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는 AP접속개시부(71),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AP장치부(8)의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최적의 AP장치부(8)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AP변경부(73), 특정 AP장치부(8)에 접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AP접속분산부(75), 각 AP장치부(8)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P상태관리부(77)를 포함한다.
상기 AP접속개시부(71)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 AP장치부(8)의 접속이 개시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5)가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컨퍼런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접속요청수신모듈(711)과, 상기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단말기(5) 주변의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는 AP정보전송모듈(712)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711)은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후술할 접속요청모듈(571),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어플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711)은 접속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AP정보전송모듈(712)로 전달한다.
상기 AP정보전송모듈(712)은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711)로부터 접속요청과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단말기(5)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스마트단말기(5) 주변의 AP장치부(8)를 검색하며, 검색된 AP장치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AP장치부(8)에 관한 리스트와, 상기 AP컨트롤부(7)와의 스캔 시간, 각 AP장치부(8)의 문턱값(Threshold),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적절한 AP장치부(8)를 선택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변경부(73)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AP장치부(8)의 접속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AP장치부(8)를 제외한 주변의 AP장치부(8) 중 최적의 AP장치부(8)를 검색하여 접속된 AP장치부(8)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부(73)는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통신 품질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스마트단말기(5)를 통해 AP장치부(8)의 변경을 요청할 경우, 주변 AP장치부(8)에서 해당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비교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8)를 찾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부(73)는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 AP장치부(8) 변경의 요청을 수신하는 AP변경요청수신모듈(731)과, AP장치부(8)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5) 주변의 AP장치부(8)를 검색하는 AP스캔모듈(732)과, 상기 AP스캔모듈(732)에서 검색된 AP장치부(8)로부터 AP장치부(8)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를 측정하여 전달받는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733)과,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733)에 의하여 측정된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 세기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8)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최적AP정보송신모듈(734)을 포함한다.
상기 AP변경요청수신모듈(731)은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부터의 접속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에서 통신의 품질이 불량하다고 판단하여 접속변경을 요청할 경우 해당 스마트단말기(5)에 관한 정보를 상기 AP스캔모듈(732)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AP스캔모듈(732)은 상기 AP변경요청수신모듈(731)로부터 접속변경요청과 이에 관한 스마트단말기(5)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스마트단말기(5) 주변의 AP장치부(8)를 검색한다. 검색된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733)로 전달되어 각 AP장치부(8)에서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세기가 측정되도록 한다.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733)은 상기 AP스캔모듈(732)에서 검색된 AP장치부(8)에 대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된 신호세기 정보는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734)로 전달되어 최적의 AP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734)은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733)에 의하여 측정된 각 AP장치부(8)의 단말세기정보에 따라 최적의 AP를 판단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접속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5)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734)은 스마트단말기(5)의 신호세기가 측정된 AP장치부 중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갖는 AP장치부(8)를 최적의 AP로 선택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며, 전송된 AP장치부(8)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접속 AP장치부(8)는 자동으로 변경된다.
상기 AP접속분산부(75)는 복수의 AP장치부(8) 중 특정 AP장치부(8)에 접속이 집중되어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각 AP장치부(8)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이에 따른 신호 세기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접속분산부(75)는 각 AP장치부(8)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751)과, 상기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751)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접속자수에 따라 AP장치부(8)의 신호 세기를 조절하는 송출신호조절모듈(752)을 포함한다.
상기 AP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751)은 각 AP장치부(8)의 접속자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된 접속자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출신호조절모듈(752)에 의하여 AP장치부(8)의 신호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출신호조절모듈(752)은 상기 AP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751)에 의하여 특정 AP장치부(8)의 접속자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모니터링 된 경우, 해당 AP장치부(8)와 주변 AP장치부(8)의 신호세기를 조절하여 트래픽이 자동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AP접속개시부(71), AP변경부(73)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강한 AP장치부(8)를 선별하여 스마트단말기(5)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설정된 접속자수를 초과하는 AP장치부(8)에 대해서는 AP장치부(8)의 신호세기를 감소시켜 접속이 자연스럽게 감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트래픽을 줄이고, 주변 AP장치부(8) 중 접속자수가 적은 AP장치부(8)의 신호세기를 증가시켜 접속이 자연스럽게 증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접속 트래픽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AP장치부(B)는 3개의 스마트단말기(5)가 접속되어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 특정 AP장치부(B)의 신호의 세기(B')를 줄이도록 하고, 접속자수가 적은 AP장치부(A)의 신호세기(A')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각 AP장치부(8)에 대한 접속자가 분산되어 트래픽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AP상태관리부(77)는 각 AP장치부(8)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AP장치부(8)의 출력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출력의 증가와 진단테스트, 재부팅 등을 통해 AP장치부(8)의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상태관리부(77)는 각 AP장치부(8)의 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집모듈(771), 상기 AP정보수집모듈(771)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출력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 AP장치부(8)에 대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AP출력증가모듈(772), 상기 AP출력증가모듈(772)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출력 감소가 계속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8)에 접속된 스마트단말기(5)에 대하여 AP장치부(8)의 변경을 전달하는 AP변경명령모듈(773), 출력이 감소된 AP장치부(8)의 진단테스트를 실행하여 복구하도록 하는 AP진단테스트모듈(774),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774)의 실행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AP장치부(8)의 재부팅을 실시하는 AP재부팅모듈(775),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774) 또는 AP재부팅모듈(775)의 실행에 의해 해당 AP장치부(8)의 출력이 회복되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773)이 전달된 스마트단말기(5)에 대하여 해당 AP장치부(8)로의 재접속을 명령하는 재변경명령모듈(776)을 포함한다.
상기 AP정보수집모듈(771)은 일정 주기로 각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각 AP장치부(8)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특히 각 AP장치부(8)의 출력을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따라서, AP장치부(8)의 출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상기 AP출력증가모듈(772)에 의하여 출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상기 AP출력증가모듈(772)은 상기 AP정보수집모듈(771)에 의하여 수집되는 정보에 따라 AP장치부(8)의 출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감소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8)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음영지역, 품질저하 등으로 인한 출력을 감소를 보강하여 AP장치부(8)와 스마트단말기(5)의 통신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명령모듈(773)은 상기 AP출력증가모듈(772)에 의하여 AP장치부(8)의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AP장치부(8)의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해당 AP장치부(8)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AP장치부(8)에 접속된 스마트단말기(5)에 대하여 AP변경을 명령하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명령모듈(773)은 상기 AP변경부(73)와 마찬가지로 주변 AP장치부(8)의 스마트단말기(5)와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갖는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단말기(5)의 AP장치부(8)는 자동으로 변경된다.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774)은 상기 AP출력증가모듈(772)에 의한 출력의 증가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773)에 의해 AP장치부(8)의 변경을 명령함과 동시에 문제가 발생한 AP장치부(8)의 진단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테스트는 AP장치부(8)의 연결상태를 체크하는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며, 자동으로 복구절차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AP장치부(8)의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AP재부팅모듈(775)은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774)의 실행에도 불구하고 AP장치부(8)의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해당 AP장치부(8)의 재부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재변경명령모듈(776)은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774) 또는 AP재부팅모듈(775)의 실행에 의하여 AP장치부(8)의 출력이 회복된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773)에 의하여 변경된 AP장치부(8)를 다시 회복된 AP장치부(8)로 재변경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5)로 재변경명령을 전송하여 AP장치부(8)의 재변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8)는 상기 스트리밍서버(2)와 연결되어 스트리밍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Wi-fi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AP장치부(8)는 유선신호를 무선신호로 전환하여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는 Access Point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어 넓은 영역에 걸쳐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8)는 상기 AP컨트롤부(7)에 의하여 출력상태와 상기 스마트단말기(5)와의 접속상태 등이 관리되므로, 최적인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 동시통역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5)는 AP접속부(57)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AP접속부(57)는 AP장치부(8)와 스마트단말기(5)와의 접속을 관리 및 제어하는 구성으로, AP장치부(8)에 관한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모듈(571), 상기 AP컨트롤부(7)로부터 AP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신모듈(572), 상기 AP정보수신모듈(572)에서 수시되는 AP정보에 따라 접속할 AP장치부(8)를 선택하는 AP선택모듈(573), 접속된 AP장치부(8)의 변경을 요청하는 AP변경요청모듈(574), 상기 AP변경부(73)로부터 전송되는 최적AP정보에 따라 AP장치부(8)를 변경하는 AP변경모듈(575)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요청모듈(571)은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가 자신의 스마트단말기(5)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접속을 요청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접속버튼을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AP컨트롤부(7)의 접속요청수신모듈(711)에 접속요청이 전달되고, 상기 AP정보전송모듈(712)에 의해 AP장치부(8)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AP정보수신모듈(572)은 상기 AP정보전송모듈(712)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접속가능한 AP장치부(8)의 리스트와, AP컨트롤부(7)의 스캔시간, 각 AP장치부(8)의 문턱값, 수신강도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적절한 AP장치부(8)를 선택하여 상기 AP선택모듈(573)에 의해 AP장치부(8)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선택모듈(573)은 상기 AP정보수신모듈(57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AP장치부(8)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당 스마트단말기(5)와 AP장치부(8)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접속된 AP장치부(8)를 통해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AP변경요청모듈(574)은 통신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가 접속된 AP장치부(8)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속요청모듈(571)과 같이 스마트단말기(5)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요청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AP변경요청에 의해 상기 AP컨트롤부(7)의 AP변경부(73)가 실행되어 최적AP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AP변경모듈(575)은 상기 AP변경요청모듈(574)에 의해 AP장치부(8)의 변경이 요청되어 상기 AP변경부(73)가 실행되고,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734)에 의해 최적AP정보가 전송되면, 이에 따라 AP장치부(8)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컨퍼런스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품질이 저하될 경우 AP장치부(8)의 변경을 요청하여 자동으로 최적 AP장치부(8)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 2: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
3: 수집조합서버 4: 스트리밍서버 5: 스마트단말기
6: 관리서버 11: 조작부 12: 오디오수집부
13: 오디오분배부 14: FM트랜스미터부 15: 안테나부
16: 전원부 17: 제어부 21: 스피커부
22: 마이크부 23: 조작부 24: 단말기연결부
25: 컨트롤러 31: 오디오수집부 32: 비디오수집부
41: 오디오스트리밍부 42:비디오스트리밍부 51: 송수신부
52: 이어폰연결부 53: FM동시통역처리부 54: 스트리밍처리부
55: 컨퍼런스정보처리부 56: 제어부 61: 송수신부
62: 설정정보제공부 63: 컨퍼런스정보제공부 64: 부가정보제공부
65: 저장부 66: 제어부 251: 전원작동부
252: 신호수신조절부 253: 통역음성부 254: 통화음성부
255: 신호감지부 256: 제어부 311: 오디오입력모듈
312: 오디오인코딩모듈 313: 오디오저장모듈 314: 오디오전송모듈
321: 비디오입력모듈 322: 비디오인코딩모듈 323: 비디오저장모듈
324: 비디오전송모듈 411: 오디오디코딩모듈 412: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
413: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 421: 비디오디코딩모듈
422: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 423: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
531: 전원설정부 532: 신호수신설정부 533: 볼륨설정부
534: 음성통화설정부 535: 신호관리부 541: 컨퍼런스선택부
542: 컨텐츠실시간출력부 543: 컨텐츠재출력부 551: 요청정보처리부
552: 자동정보처리부 641: 사용자확인모듈 642: 주변정보추출모듈
643: 개별정보추출모듈 644: 매칭모듈 253a : 신호수신모듈
253b : 신호출력모듈 253c : 볼륨조작모듈 254a: 통화신호수신모듈
254b: 동시통역중단모듈 254c: 음성통화모듈 254d: 재동시통역모듈
255a: 신호강도측정모듈 255b: 신호강도전송모듈 534a: 통화수신모듈
534b: 동시통역확인모듈 534c: 통화알림모듈 534d: 음성송수신모듈
535a: 신호요청모듈 535b: 신호판단모듈 535c: 신호저하알림모듈
542a: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 542b: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
542c: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

Claims (10)

  1.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서 전송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와;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가 전송한 FM신호를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조합서버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과 연동되어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동시동역음성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수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수집부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을 수집조합서버 또는 FM트랜스미터부에 출력하는 오디오분배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상기 오디오분배부에서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을 FM신호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FM트랜스미터부와, 상기 FM트랜스미터부에서 출력된 FM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스트리밍서버가 제공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트리밍처리부와,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동시통역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컨퍼런스정보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처리부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선택부와, 상기 컨퍼런스선택부에서 선택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에 관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츠실시간출력부와, 상기 수집조합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재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퍼런스정보처리부는 사용자의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요청정보처리부와,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자동정보처리부를 포함하며,
    이어폰에 의해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되어야 하고 제어시 이어폰이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음성에 대한 FM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처리부에 의해 특정의 동시통역언어가 선택되어 스트리밍서버에서 출력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이 상기 스마트단말기에서 출력되므로, 상기 자동정보처리부는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동시통역언어, 동시통역장소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주파수를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설정정보제공부와, 상기 요청정보처리부에 의한 컨퍼런스 관련 자료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컨퍼런스 관련 자료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컨퍼런스정보제공부와, 상기 자동정보처리부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한 경우 사용자에 맞춤화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출력하는 부가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제공부는 상기 자동정보처리부가 특정 언어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한 경우 특정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확인모듈과,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된 경우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추출하는 주변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확인모듈에 의해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를 추출하는 개별정보추출모듈과, 상기 개별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특정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컨퍼런스 장소 주변의 관광정보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작동시키는 전원작동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에서 수신하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신호수신조절부와, 상기 신호수신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FM신호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역음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설정부와, 상기 이어폰에서 수신하는 FM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신호수신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에 대한 신호가 출력된 경우 통역음성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이어폰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음성통화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모듈에서 수신하는 FM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신호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 출력 중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음성통화설정부와, 이어폰에 FM신호의 강도측정을 요구하여 FM신호의 정상수신여부를 관리하는 신호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음성부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신호수신모듈과, 상기 통화신호수신모듈에 의해 음성통화의 알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역음성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동시통역중단모듈과, 상기 동시통역중단모듈에 의해 동시통역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과 스마트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통화모듈과, 상기 음성통화모듈에 의한 음성통화의 실시 중에 일정 기간 이상 상기 이어폰 및 스마트단말기에서 음성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화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화음성부의 작동을 중단하여 상기 통역음성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재동시통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통화설정부는 스마트단말기로 걸려오는 음성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수신모듈과, 상기 통화수신모듈에 의해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이어폰에서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음성을 청취하고 있으며 긴급 전화가 아닌 경우 전화를 끊어 달라는 안내멘트를 음성통화를 출력한 전화기에 출력하는 동시통역확인모듈과, 통시통역확인모듈에 의해 안내멘트가 전송되었음에도 음성통화가 일정 기간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음성통화를 수신했다는 알림정보를 상기 이어폰에 전송하는 통화알림모듈과, 상기 통화알림모듈에 의해 알림정보가 이어폰에 전송되어 통화음성부가 작동하여 동시통역음성의 출력이 중단되고 통화음성의 송수신이 시작되면 이어폰과 통화음성을 송수신하도록 하는 음성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은 AP장치부의 상태를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AP컨트롤부와; 상기 스트리밍서버와 연결되어 스트리밍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무선신호로 전환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전달하는 AP장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AP컨트롤부는 상기 스마트단말기와 AP장치부의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는 AP접속개시부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AP장치부의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최적의 AP장치부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AP변경부와, 특정 AP장치부에 접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AP접속분산부와, 각 AP장치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P상태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P접속개시부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접속요청수신모듈과,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단말기 주변의 AP장치부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AP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P변경부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AP장치부 변경의 요청을 수신하는 AP변경요청수신모듈과, AP장치부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 주변의 AP장치부를 검색하는 AP스캔모듈과, 상기 AP스캔모듈에서 검색된 AP장치부로부터 AP장치부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여 전달받는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과,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에 의하여 측정된 스마트단말기의 신호 세기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최적AP정보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AP접속분산부는 각 AP장치부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과, 상기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접속자수에 따라 AP장치부의 신호 세기를 조절하는 송출신호조절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AP상태관리부는 각 AP장치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집모듈과, 상기 AP정보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출력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 AP장치부에 대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AP출력증가모듈과, 상기 AP출력증가모듈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출력 감소가 계속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에 접속된 스마트단말기에 대하여 AP장치부의 변경을 전달하는 AP변경명령모듈과, 출력이 감소된 AP장치부의 진단테스트를 실행하여 복구하도록 하는 AP진단테스트모듈과,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의 실행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AP장치부의 재부팅을 실시하는 AP재부팅모듈과,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 또는 AP재부팅모듈의 실행에 의해 해당 AP장치부의 출력이 회복되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이 전달된 스마트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AP장치부로의 재접속을 명령하는 재변경명령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KR1020170054031A 2017-04-27 2017-04-27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KR10200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31A KR102009307B1 (ko) 2017-04-27 2017-04-27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31A KR102009307B1 (ko) 2017-04-27 2017-04-27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321A true KR20180120321A (ko) 2018-11-06
KR102009307B1 KR102009307B1 (ko) 2019-08-09

Family

ID=6432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031A KR102009307B1 (ko) 2017-04-27 2017-04-27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0A (ko)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US20040203436A1 (en) * 2002-11-13 2004-10-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adio signal strength mapping through a telematics system
KR20070000921A (ko) * 2005-06-28 2007-01-03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KR20120136440A (ko) * 2011-06-09 2012-12-20 조종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전송서비스
KR20130000344U (ko) * 2012-11-19 2013-01-15 노장현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KR20160133925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플렉싱크 Fm, 디지털라디오 수신칩 내장형 이어마이크폰을 활용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0A (ko)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US20040203436A1 (en) * 2002-11-13 2004-10-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adio signal strength mapping through a telematics system
KR20070000921A (ko) * 2005-06-28 2007-01-03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KR20120136440A (ko) * 2011-06-09 2012-12-20 조종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전송서비스
KR20130000344U (ko) * 2012-11-19 2013-01-15 노장현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KR20160133925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플렉싱크 Fm, 디지털라디오 수신칩 내장형 이어마이크폰을 활용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07B1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362B2 (en) Enhanced video sharing
KR101907406B1 (ko)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시스템
EP345111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ement of connected devices, such as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US20130268956A1 (en) Real-time collection of audience feedback of a television or radio show
EP1800460B1 (en) A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audio from a common video device
US20060083194A1 (en) System and method rendering audio/image data on remote devices
EP2892210B1 (en) Providing video telephony us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MS message
US9521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ference signal, video conference terminal, and mobile device
JP2007142744A (ja) 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緊急放送送受信システム
KR20140141916A (ko) 사용자 기기의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5472309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US7555289B2 (en) Subway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81997A (ko) 두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CN101729875A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和媒体播放装置
CN105959074A (zh) 广播系统和移动信息端
KR101703251B1 (ko) Fm, 디지털라디오 수신칩 내장형 이어마이크폰을 활용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120321A (ko)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KR20180120320A (ko)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KR101883975B1 (ko)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US20230239406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5260758A (ja) 携帯端末、ディジタルデータ配信サーバ、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9485458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895543B1 (ko) Fm동시통역수신기와 스마트디바이스의 연동을 이용한 동시통역시스템
CN103368724A (zh) 终端和数据处理方法
KR20170062681A (ko) Wi-fi 기반의 스마트 동시통역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