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453A -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 Google Patents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453A
KR20180119453A KR1020170053250A KR20170053250A KR20180119453A KR 20180119453 A KR20180119453 A KR 20180119453A KR 1020170053250 A KR1020170053250 A KR 1020170053250A KR 20170053250 A KR20170053250 A KR 20170053250A KR 20180119453 A KR20180119453 A KR 20180119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ome
led lamp
chip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Priority to KR102017005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53A/ko
Publication of KR2018011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가 개시된다. 리드 프레임은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가진다. UV 칩은 전압 인가시 자외선을 발광한다. 렌즈부는 UV 칩의 발광면 상부에 장착되며, UV 투과율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때, 리드 프레임에 UV 칩을 실장하고, 경화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렌즈부와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지향성 특성이 우수하고 긴 수명을 가지는 고출력 및 고효율의 돔(dome) 타입의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통해 LED 산업에서 전통적인 스루홀 타입 돔 램프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원격으로 광원 조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UV 광 응용 기술 및 관련 응용 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 나아가, UV LED의 수요 창출에 따른 재료/칩 및 패키지 산업 활성화가 기대되며, 디스플레이, 반도체 응용, 건축 재료 분야의 산업 제조 환경 개선을 제공하며, 환경, 보건 의료 분야의 응용기술 개발 및 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Assembling led lamp using dome lens}
본 발명은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돔(dome) 타입 렌즈의 장점(광 지향성 및 광 추출효율)은 활용하면서, 렌즈의 UV 광 흡수에 따른 문제점 및 수명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UV 광원 모듈은 광원 기기, 표면 처리용 광원기술, UV LED 광원 응용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하고, UV 광원, UV 조사기, 반도체 소자, 단파장 발광소자 기술분야와 관련이 깊다. 최근에는 UV 광 조사기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분야를 비롯한 각종 산업제조의 표면처리 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관련된 기술 개발이 급성장하고 있다. 또한, AIN 반도체 재료기술의 발전으로 UV LED 및 UV 조사기는 280 nm 파장 대역 광원의 Hg 등의 대체 광원, 각종 살균용 광원, 특히 수질 개선 분야까지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돔(dome) 램프 기술은 사인, 적외선 통신, 디스플레이 전광판, 조사기 및 조명의 LED 응용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기술이다. 특히, 광 지향성 및 광 추출효율이 우수하면서, 제품 소형화, 이용성 및 저비용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LED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UV 영역에서의 고 에너지 광자를 방사하는 UV LED 칩 소자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 에너지의 UV 광을 에너지원으로, 특히 산업용 경화, 물 살균 및 각종 보건, 의료, 환경 등의 쾌적한 문화 생활에 대한 응용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돔(dome) 타입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기술은 렌즈를 구성하는 몰딩제의 UV 광 투과율이 낮아, 수명이 낮아지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167호 : 발광다이오드 램프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2758호 : 유리계 형광 렌즈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지향성 특성과 수명이 긴 고출력 및 고효율의 돔(dome) 타입의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는,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가지는 리드 프레임; 전압 인가시 자외선을 발광하는 UV 칩; 및 상기 UV 칩의 발광면 상부에 장착되며, UV 투과율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프레임에 UV 칩을 실장하고, 경화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에 의하면, 광 지향성 특성이 우수하고 긴 수명을 가지는 고출력 및 고효율의 돔(dome) 타입의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통해 LED 산업에서 전통적인 스루홀 타입 돔 램프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원격으로 광원 조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UV 광 응용 기술 및 관련 응용 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 나아가, UV LED의 수요 창출에 따른 재료/칩 및 패키지 산업 활성화가 기대되며, 디스플레이, 반도체 응용, 건축 재료 분야의 산업 제조 환경 개선을 제공하며, 환경, 보건 의료 분야의 응용기술 개발 및 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스루홀(through hole) 타입 돔 렌즈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소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주조법(cast) 몰딩에 사용하는 몰드컵 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복수 개 사용한 광원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구조에서 리드 프레임 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자세한 단면도 및 반응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에서 B2H6 제거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렌즈부에 대한 비교표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스루홀(through hole) 타입 돔 렌즈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소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돔(dome) 타입의 LED는 애노드/캐소드(anode/cathode)의 두 전극를 가진 리드 프레임, LED 칩, 칩 실장 페시트 및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 재료를 이용한 몰딩부 및 렌즈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돔 타입의 LED는 회로 기판에 실장하여 모듈을 제작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고출력 대전력 소자를 사용하기에는 방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광 지향 특성이나 단가가 비교적 낮은 제조 설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시광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인, 각종 표시기 분야와 적외선 영역에서도 각종 리모콘, 센서, 통신 모듈 등에 오랫동안 이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스루홀(through hole) 타입 돔 렌즈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주조법(cast) 몰딩에 사용하는 몰드컵 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러나 UV 영역에서는 가시광 및 적외선 LED가 정보처리 또는 정보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용도와 달리, 광 에너지 크기 및 에너지량을 활용하는 특성상, 이러한 돔 타입의 종래 LED 램프는 사용하지 않았다. 특히, 대출력 방사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유리계 리드 프레임 및 금속 기판을 이용하는 COB(Chip On Board) 형태의 패키지 또는 모듈이 방열 측면에서 유리계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응용 측면에서, 인쇄 및 산업 제조 분야의 경화 공정에서 특히 원격 조사 작업 거리에서 사용하는 조사기의 출력 즉 조사 밀도(W/cm2) 강도는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높은 조사 밀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광원의 효율 개선이 필요하지만, 특히, 높은 광 지향성 특성을 가지는 소자의 제작이 중요하다.
돔(dome) 타입의 LED 램프는 리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리드 프레임 컵의 반사구조와 몰딩 렌즈의 곡률반경을 키워 LED 패키지 소자 중에서는 광 지향성이 우수한 편이다. 다만, UV 영역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몰딩 렌즈제재가 없으며, 대형 칩이나 또는 플립 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드 프레임이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돔(dome) 램프의 렌즈 몰딩 제작에 사용하는 종래의 에폭시 및 실리콘 수지제재는 UV 방사광이 투과되지 못하므로 방사광의 출력 및 시간에 비례하여 경화 또는 노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폭시 및 실리콘 수지제재를 이용하는 스루홀 리드 실장 타입의 돔(dome) 형 렌즈 UV LED 발광 램프는 근본적인 수명 문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일본에서는 경화하면 고체강도(Hardness) 특성을 가지는 에폭시 제제와 UVA (특히 365 ~ 395nm)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가지지만 점도가 낮고 경화하여도 고체강도 특성이 낮은 실리콘(Silicone) 제재를 적절히 혼합한 복합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스루홀 리드 실장타입의 돔(dome) 형 렌즈 UV LED 발광램프를 제품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수지 제재는 에폭시와 실리콘이 각각 유기물과 유무기물로 근본적으로 섞이지 않으며 또 실리콘제재 또한 UVA영역의 투과율이 80 % 정도로, 따라서 내구성이나 수명이 요구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므로, 장시간 장기적으로 사용하거나 고출력 방사특성, 고 조사밀도 특성이 요구되는 응용기기에서는 계속적으로 광원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지향 특성이 우수하면서, UV 영역에서도 긴 수명의 특성을 가지는 스루 홀 타입 돔렌즈의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긴 수명의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UV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가 필요하며, 따라서 종래의 에폭시 및 실리콘 유무기 수지제의 수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 투과성이 높은 무기재료와 바인더를 사용하여 소성하여 제작하는 유리계계 제재를 개발하여 렌즈 제작에 이용한다.
돔 램프를 이용하는 조사기를 비롯한 각종 기기에서, 특히 원격조사에서 조사밀도 강도를 최대한 높여 광원효율을 향상시켜 고 조사밀도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광원모듈에서 돔 램프의 지향특성을 최대한 크게 하고, 상하 이중으로 배치하여 최대한 높은 조사밀도 특성을 가지도록 광원모듈을 제작한다.
이때 1,000 ℃를 넘는 고온성형 기법은 핵심소자인 반도체 칩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몰딩 기법 대신 주조, 사출(성형) 또는 핫 프레스 방법 등으로 렌즈를 제작하고, 칩을 실장한 리드 프레임을 조합하여 완성한다.
종래의 몰딩 공법 대신, 마스터 배치 방법으로 제작한 고온 성형 렌즈와 칩을 실장한 리드 프레임을 조합해야 하므로, 유리계계 렌즈와 칩 및 본딩 와이어 사이를 점도가 낮은 UV 투과성 실리콘 수지로 채워 몰딩한다. 또 유리계계 렌즈와 리드 프레임에 조합 형상구조를 제작하여 유리계계 렌즈와 리드 프레임을 조립 또는 경화공정으로 고정한다. 또 다른 해결수단으로, 플립칩을 이용하여 와이어 및 와이어 본딩 공정을 없애는 방법이다.
플립칩을 이용하여 와이어 및 와이어 공정을 제거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 및 리드 프레임 컵을 개조하고, UV 방사광이 리드 프레임 컵 사이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고안한다. 또 리드 프레임의 애노드/캐소드 리드가 몰딩 또는 조합 후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리드 프레임, UV 칩, 렌즈부를 포함한다. 이때, 리드 프레임은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가지는데,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에 의해 분리되는 위치가 리드 프레임 컵 구조 중앙에 위치시켜 UV 칩을 실장하여 전압 인가시 자외선을 발광하게 된다. 렌즈부는 테프론 및 불소 수지를 이용하는 성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는 유리계 또는 유기물 하이브리드 재료(여기서, '유기물 하이브리드 재료'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적절한 비율로 섞인 재료를 의미함)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렌즈가 UV 칩의 발광면 상부에 장착되며, 이때 유리계는 MgAl2O4 를 이용하여 렌즈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계 제재를 이용하는 몰딩 렌즈의 개발은 유리계 제재의 자외선 투과율을 높이는 문제와 몰딩에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낮은 성형온도가 관건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결정 분말과 유기물 바인딩 제재를 혼합하여 성형하여 단결정 분말을 통한 자외선 투과율을 올리고 유기물 바인딩 제재의 경화를 통한 렌즈몰딩 성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사출(성형) 또는 핫 프레스 공법 등으로 제작한 스루홀 리드 실장타입의 돔(dome) 타입 유리계 렌즈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단면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렌즈 몰딩을 포함하는 패키지 공정은 보통 전력 공급, 칩 보호, 광 집속, 추출효율 개선, 지향성 등의 렌즈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새로운 형태의 렌즈를 제작하는 방법, 특히 새로운 재료인 유리계 제재나 무기물을 이용하여 렌즈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패키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성형 온도와 관련하여 UV 방사 핵심 칩 소자의 온도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 400 ℃ 이상의 성형 공정을 적용하기 어려우며, 보통의 수직구조 전극을 가지는 칩을 사용하는 경우, 100 마이크론 정도 직경을 가지는 금속 선 본딩 공정이 필요한데 몰딩 온도에 따라 관련 재료의 수축 팽창특성에 따라 정밀한 공정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리계 렌즈몰딩 공정에서 고온 성형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유리계 렌즈를 미리 제작하고 추가로 실장한 리드 프레임을 유리계 렌즈에 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유리계 렌즈와 리드 프레임 사이 공간에 실리콘과 같은 유무기 수지제재를 채워 공기층을 통한 광의 경계면이나 굴절 특성, 칩의 산화 및 노화를 방지하고 리드 프레임을 렌즈에 고정하는 보조역할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리드 프레임에서 두 개의 리드를 분리하므로 발생할 수 있는 리드와 렌즈 사이의 고정 또는 유격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로 유리계 렌즈에 리드를 고정 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형상을 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복수 개 사용한 광원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이중 구조로 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UV LED LAMP를 상(上) 및 하(下) 층을 나누어 각 층 별로 하나 이상 어긋나게 배치하여 이중 구조로 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빛이 조사되는 조사방향으로 UV LED LAMP를 상/하 이중으로 배치하여 UV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최근 반도체 재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십 mW에서 수백 mW 정도 광 출력 특성을 가지는 UV LED가 개발되었으며, 또 UV LED를 이용하는 광원 모듈 및 각종 조사기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90 % 이상의 고 균일성 조사밀도 특성을 가지면서 5,000 mW/cm2 이상의 고밀도 출력의 조사기 광원의 개발은 아직 이뤄지지 못하고 있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자동차, 제철소 등의 대량생산 시스템의 대규모 산업생산 제조 공정에 이용하는 조사 광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LED를 이용하는 조사기는 핵심 UV LED 칩과 패키지 소자램프 및 광원모듈로 구성되는데, 보통 SMD 소자를 회로기판에 SMT (표면실장)하여 광원모듈을 제작하고, 이 광원모듈을 방열판에 장착하고 추가로 렌즈 시스템을 광원모듈 상단부에 설치하는데, 특히 방열 및 렌즈기술을 이용하여 광원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조사기는 보통 SMD LED 위에 렌즈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기에서는 높은 조사밀도 출력 및 높은 균일성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렵다. 설치된 렌즈는 집속성이나 지향성이 부족하므로, 추가로 렌즈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와 또 점광원인 LED 광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호모지니아저 확산 균일화 구조물, 실린더리컬 렌즈 또는 회전대상 렌즈를 구면 또는 비구면, 성형 또는 연마기술을 통해 설치하여야 하며, 따라서 막대한 비용을 렌즈 제작에 할애해야 하므로, 이때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정밀한 렌즈 구성과 고출력의 LED 램프를 사용하므로 생기는 내구성 및 장치의 규모와 무게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COB 형태의 광원모듈을 이용하여 저 전류 고효율의 칩 특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칩과 일괄 렌즈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으나 고 정밀의 렌즈 시스템의 설치나 전원 및 제어와 연관되는 많은 비용은 물론 규격화가 어려워 범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칩을 저 전류 고효율에서 이용하면서 방사면적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램프를 공간적으로 이중 배치하는 모듈을 고안하였다. 또 지향성이 적은 SMD나 COB 형태의 패키지를 지양하고, 지향각 5°정도의 고 지향특성을 가지는 스루홀 리드 실장타입의 돔(dome) 형 렌즈 UV LED 발광램프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이중 배치하여, 50 mm 이상의 작동거리(WD) 원격조사에서 조사밀도를 최대의 조사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광원모듈의 크기 및 균일성은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광선 빔, 작동 면적 및 간격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V 플립칩 LED를 실장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을 고안하여 렌즈 몰딩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구조에서 리드 프레임 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현재까지 사용하는 수직 전극구조나 수평 전극구조 칩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 선을 하나 또는 두 개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칩을 실장한 리드 프레임에 설치되어있는 본딩 선의 처리가 어려운 경우, 본딩 선 및 선 본딩 공정이 필요 없는 플립칩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의 자세한 단면도 및 반응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루홀 리드 타입 돔(dome) 렌즈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에서 유리계 몰딩제를 TiO2와 같은 환경제재 유리계으로 대체하는 환경소자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TiO2 유리계는 3.4 eV 이상의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와 양공을 분리 생성하는데, 이때 TiO2 표면에서 양공은 NO, CO 및 HC와 같은 환경가스 물질을 N2, CO2 및 H2O와 같은 안정한 물질로 만들어주는 환경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개별 환경 LED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가지는 리드 프레임;
    전압 인가시 자외선을 발광하는 UV 칩; 및
    상기 UV 칩의 발광면 상부에 장착되며, UV 투과율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프레임에 UV 칩을 실장하고, 경화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 투과율이 있는 재료는 유리계 또는 유기물 하이브리드 재료 중에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테프론 및 불소 수지를 이용하는 성형기술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을 이루는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에 의해 분리되는 위치를 상기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분리되는 위치에 리드 프레임의 컵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컵 구조에 상기 UV 칩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컵 구조는 원 또는 타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주조법(CAST), 사출법 또는 핫프레스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 표면에 TiO2 또는 광촉매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8. 제 1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생성된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를 상(上) 및 하(下) 층을 나누어 각 층 별로 하나 이상 배치하여 UV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9. 제 1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생성된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는 SMD(Surface Mounted Device) 타입 또는 COB(Chip On Board) 타입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는 돔(dome) 형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KR1020170053250A 2017-04-25 2017-04-25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KR20180119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50A KR20180119453A (ko) 2017-04-25 2017-04-25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50A KR20180119453A (ko) 2017-04-25 2017-04-25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453A true KR20180119453A (ko) 2018-11-02

Family

ID=6432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250A KR20180119453A (ko) 2017-04-25 2017-04-25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035A (ko) * 2019-05-15 2020-11-26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돔형 uv led 램프
KR20220005681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선형 광 조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035A (ko) * 2019-05-15 2020-11-26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돔형 uv led 램프
KR20220005681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선형 광 조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975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CN103828042B (zh) 光电子模块及其制造方法和应用、光电子设备
KR101376558B1 (ko) 조명장치
US20130328088A1 (en) LED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US10424700B2 (en) LED lamp sourc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the backlight modules thereof
KR20140057554A (ko) 렌즈계를 포함하는 광전자 모듈
CN102171503A (zh) 照明设备及其制造方法
CN103325928A (zh) 照明装置
KR20180119453A (ko) 돔 렌즈 조립형 led 램프
JP2012505522A (ja) 高照度透過偏心光学系
US9625119B2 (en) Non-uniform lens array for illumination profile modification
KR20140095913A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JP2016072263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KR20180119452A (ko) 유리계 렌즈 조립형 led 램프 광원모듈
CN107331737B (zh) 一种led封装方法
KR102261011B1 (ko) 돔형 uv led 램프
US11011690B2 (en) LED (light-emitting diode) module and a light apparatus
CN203500923U (zh) 发光模块
EP2823517B1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module
JP2016051780A (ja) 反射型led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4699B1 (ko) 발광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101466477B1 (ko) 발광 디바이스 제조방법
KR20100095974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14246A1 (en) Light source apparatus,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source apparatus
KR101274486B1 (ko) 자유형상의 단위모듈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