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297A -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297A
KR20180119297A KR1020170052856A KR20170052856A KR20180119297A KR 20180119297 A KR20180119297 A KR 20180119297A KR 1020170052856 A KR1020170052856 A KR 1020170052856A KR 20170052856 A KR20170052856 A KR 20170052856A KR 20180119297 A KR20180119297 A KR 2018011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odule
impact
sensing
connecting memb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266B1 (ko
Inventor
최원목
홍성경
김준호
정석영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7005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26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3Devices for the protection of pipes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66Reclaim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연결부재가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감지모듈(10)을 형성하고, 감지모듈(10)은 다수의 진동센서(13)를 구비하여 충격을 감지한다. 감지모듈(10)로부터 수집된 충격 데이터는 통신부이(20)를 매개로 지상감시센터의 메인컴퓨터로 전송된다. 해저에 위치한 진동센서(13)로 닻 내림 및 끌림 사고시 발생한 충격을 직접 감지하기 때문에 측정 데이터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감지모듈(10)을 사고 발생이 잦은 위험 지역에 필요량만큼 선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감시 효율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IMPACT OF SUBMARINE PIPE LINE}
본 발명은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닻 내림 또는 끌림에 의한 해저배관의 충격을 직접 감시할 수 있도록 된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유, 천연가스의 용이한 장거리 이송을 위하여 해저배관이 이용되고 있다. 해저배관은 배관의 보호를 위하여 해저면의 아래에 매설되기도 하는데 매설 시 저류에 의한 토석 이동으로 배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설면(즉, 매설 배관 상부의 해저면)의 상부에 쇄석, 콘크리트블록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공을 설치하기도 한다.
해저배관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분과 염분 및 각종 화학 물질에 의해 부식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인 검사와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
특히 선박의 닻 내림과 끌림에 의한 충격으로 배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 안전과 환경 오염에 심각한 문제가 되므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충격이 가해진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종래의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는 지중 매설 배관의 충격 감시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의 양쪽 (지상에 위치)에 각각 진동센서(2,3)를 설치하고, 충격 발생시 양측 진동센서(2,3)에 충격이 전달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충격 발생 지점(C)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해저배관의 충격 발생을 감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해저배관의 길이가 너무 길면 충격 감지가 어렵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가 배관을 따라 전달되어 충격 신호와 함께 감지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힘들어 충격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선박의 닻은 해저배관 상부의 해저면이나 해저면에 설치된 보호공에 충돌하면서 해저배관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종래의 기술은 닻 내림 및 끌림 현상을 사고 발생 지점에서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역시 충격 감지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 기술은 보호공의 손상을 감지할 수 없었다.
또한 해저배관 전체를 감시하는 시스템이므로 사고 발생 위험이 거의 없는 지역까지 모두 감시하게 되므로 감시 효율성이 좋지 못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2685호(2003.10.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닻 내림과 끌림 사고를 사고 발생 위치에서 직접 감지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 전달되는 노이즈를 배제할 수 있어서 측정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고, 보호공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발생 위험이 높은 부분만 선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이 향상된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저배관의 매설 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로부터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이 및 상기 통신부이에서 전송된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고 발생 시간, 위치, 충격량의 크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지상감시센터의 메인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모듈은 격자형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감지모듈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결부재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진동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모듈은 해저배관 상부의 해저면을 덮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해저배관 상부의 해저면에 설치된 보호공의 상부를 덮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의 연결부재는 보호공의 굴곡 형상을 따라 굴곡 형성되고, 그 양단부는 보호공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해저배관의 설치 라인을 따라 연이어 다수 개 설치된다.
상기 진동센서에 연결된 신호선은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통신부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에 연결된 신호선은 각 감지모듈 별로 구비된 개별통신장치에 연결되고, 각 감지모듈별 개별통신장치들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부이에 충격감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이는 각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데이터 수집장치에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지상감지센서의 메인컴퓨터에 전송하는 통신장치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센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본체가 내장되고, 하우징의 측면에 센서본체와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며, 하면에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공이 형성된 관형 부재이고, 상기 통공으로 신호선이 삽입되어 정리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하면에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으로 신호선이 삽입되어 정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배관이 매립된 해저면 또는 그 상부에 설치된 보호공의 상부에 감지모듈이 설치되어 닻 내림 및 끌림 사고를 직접 감지함과 더불어 배관을 타고 전달되는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격 발생 위치와 크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측정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닻 내림 및 끌림 사고와 같은 충격 사고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보호공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을 닻 내림 및 끌림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에만 설치하여 운용함으로써 감시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감지모듈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통신부이와 지상감지센터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감지모듈과 통신부이간 데이터 전송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보호공의 상부에 감지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감지모듈의 일 구성인 진동센서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의 (a),(b)는 상기 감지모듈의 일 구성인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닻 내림 및 끌림 사고 발생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감지모듈 설치 상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는 해저배관(1)의 매설 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0)과, 감지모듈(10)에서 감지된 충격감지신호를 수집하여 지상감시센터(50)의 메인컴퓨터(51)로 송신하는 통신부이(20)(buoy for wireless communication)를 포함한다.(도면부호 50, 51은 도 4 참조)
해저배관(1)은 해저면(B) 아래 소정 깊이로 매설된다. 매설된 해저배관(1)의 상부 해저면(B)에 상기 감지모듈(10)이 설치된다.
감지모듈(10)은 연결부재(11)와, 고정부재(12) 및 진동센서(1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1)는 강(steel)재의 봉 형상 부재로서 다수의 연결부재(11)가 격자형으로 상호 연결 고정되어 감지모듈(10)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감지모듈(10)은 해저배관(1)이 설치된 해저면(B)의 상부를 덮어주는 구조로 설치된다. 감지모듈(10)은 해저배관(1) 라인을 따라 복수 개가 연이어 설치되는데 닻 내림 및 끌림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위험 지역에만 선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감지모듈(10)에서 각각의 연결부재(11)들의 교차 부위는 서로 용접되거나 별도의 클램핑 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해저면(B)에 설치되는 모든 감지모듈(10)에는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모든 감지모듈(10)의 GPS좌표가 지상감시센터(50)의 메인컴퓨터(51)에 저장되어 있다.
감지모듈(10)이 상기와 같이 다수의 봉 형상 연결부재(11)가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적은 양의 부재를 사용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넓은 면적의 닻 내림 및 끌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모듈(10)의 하부에는 복수의 고정부재(12)가 설치된다. 고정부재(12)는 콘크리트 재질의 중량물로서 말뚝,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하단이 뾰족한 원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 중 고정부재(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된 경우, 뾰족한 하단부가 해저면(B)을 파고 드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감지모듈(10)의 위치 고정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일부 또는 전부가 해저면(B)의 아래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부재(1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12)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결부재(11)를 삽입하여 결합하거나, 별도의 클램핑 수단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재(11)에 고정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감지모듈(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고정부재(12)의 수는 감지모듈(10)의 면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나 감지모듈(10)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감지모듈(10)의 네 모서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는 반드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센서(13)는 감지모듈(10)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진동센서(13)는 감지모듈(10)의 상부 면적 전체에 걸쳐 다수 개소에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진동센서(13)는 감지모듈(10)을 이루는 연결부재(11)의 상부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진동센서(13)의 설치 수 및 간격은 감지모듈(10)의 면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모든 진동센서(13)에는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1), 고정부재(12), 진동센서(13)를 포함하는 감지모듈(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도 3과 같이 해저배관(1)을 따라 해저배관(1) 상부의 해저면(B)을 덮는 상태로 연이어 설치된다. 연속하여 설치된 다수의 감지모듈(10)에 연결(정확하게는 각각의 진동센서(13)에 연결)된 신호선(14)은 통신부이(20)에 연결된 통신케이블(30)에 연결되어 통신부이(20)로 각 진동센서(13)의 측정신호를 전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이(20)는 통신케이블(30)에 연결되어 각 감지모듈(10)의 진동센서(13)들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신호(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21)와,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지상감지센터(50)의 메인컴퓨터(51)로 전송하는 통신장치(22)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21)와 통신장치(2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를 포함한다. 지상감지센터(50)에도 통신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이(20)의 통신장치(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컴퓨터(51)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도 4에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음.)
또한 통신부이(20)는 고정체인(40)으로 해저면(B)에 위치한 고정물(41)에 연결되어 해수면(A)상의 일정한 위치에 부유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물(41)은 닻과 같은 중량물이다.
상기 통신부이(20)는 감지모듈(10)의 설치 수에 비례하여 적절한 개수로 다수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감지모듈(10)의 진동센서(13)에서 발생된 측정신호는 상기 통신케이블(30)을 통하지 않고 도 5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부이(2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각 감지모듈(10)마다 별도의 개별통신장치(15)가 구비되고, 이 개별통신장치(15)와 통신부이(20)가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하여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별통신장치(15) 역시 해당 감지모듈(10)의 진동센서(13)에 신호선(14)으로 연결된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부이(20)의 데이터 수집장치(21)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장치 및 이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개별통신장치(15)는 각각의 해당 감지모듈(10)의 연결부재(11)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충격 사고 발생시의 파손 확률을 낮추기 위해 감지모듈(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해저면(B)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과 같이, 해저배관(1)이 매설된 해저면(B)의 상부에는 배관 상부 토양의 유실을 방지(결국은 해저배관 보호를 위함.)하기 위한 보호공(6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공(60)은 해저면(B)에 쌓인 쇄석(61)과, 그 쇄석(61)층의 표면을 덮어주는 콘크리트블록(6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호공(60)이 설치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10)은 상기 보호공(6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감지모듈(10)을 이루는 연결부재(11)들이 보호공(60)의 상부면 형상을 따라 굴곡 성형되고 그 양단부는 보호공(60)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져 해저면(B)에 고정부재(12)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재(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2)는 보호공(60)의 표면을 이루는 콘크리트블록(62) 사이의 틈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10)은 보호공(60)이 설치된 경우 보호공(60)의 상부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a)의 내부에 센서본체(13b)가 내장되고, 하우징(13a)의 측면에 센서본체(13b)와 신호선(14)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3c)가 설치되며, 하우징(13a)의 하면에 볼트(13d)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3a)과 커넥터(13c)는 해수로부터 센서본체(13b)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볼트(13d)에 대응하는 볼트공(11a)이 연결부재(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13d)를 볼트공(11a)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진동센서(13)가 연결부재(11)에 장착된다.
또한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는 내부에 연결부재(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통공(11b)이 형성된 관형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센서(13)에 연결된 신호선(14)을 연결부재(11) 내부의 통공(11b)으로 삽입하여 정리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호선(14)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의 하면에 연결부재(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요홈(11c)을 형성하면 신호선(14)을 그 요홈(11c)내로 삽입하여 정리함으로써 신호선(14)을 보호할 수 있다.
연결부재(11)의 중간에 진동센서(13)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진동센서(13) 장착 부분에 인접하여 상기 통공(11b) 또는 요홈(11c)에 연통되는 삽입홀을 뚫어 줌으로써 신호선(14)을 통공(11b) 또는 요홈(11c)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연결부재(11)의 내부로 삽입된 신호선(14)은 하나로 모여 상기 통신케이블(30)에 연결되거나, 또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개별통신장치(15)에 연결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닻 내림 및 끌림 사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종류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생한다.)
도 9와 같이, 선박의 닻(70)이 매설된 해저배관(1)의 상부로 직접 떨어지거나 끌리게 되면 닻(70)은 해저배관(1)의 상부 해저면(B)을 덮고 있는 감지모듈(10)에 충돌하게 된다.
닻(70)이 감지모듈(10)에 충돌하면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연결부재(11)를 따라 전달되어 해당 감지모듈(10)에 설치된 진동센서(13)들에서 그 충격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충격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각각의 진동센서(13)들에서 측정되는 충격량의 크기는 모두 다르다. 즉, 충격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의 진동센서(13)에는 상대적으로 큰 충격이 감지되고 먼 곳의 진동센서(13)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량이 감지된다.
충격이 감지된 감지모듈(10)의 모든 진동센서(13)들에서 발생한 충격감지신호는 신호선(14) 및 통신케이블(30)을 통해 해수면(A)에 떠 있는 통신부이(20)로 전달되거나 또는 해당 감지모듈(10)의 개별통신장치(15)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통신부이(20)에 전달된다.
통신부이(20)의 데이터 수집장치(21)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는 통신부이(20)의 통신장치(22)를 통해 지상감시센터(50)의 메인컴퓨터(51)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감지모듈(10)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GPS좌표값이 메인컴퓨터(51)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한 감지모듈(10)의 충격감지신호가 전달되면 메인컴퓨터(51)는 닻(70) 내림 및 끌림 사고가 발생한 감지모듈(10)을 즉시 인지할 수 있으며, 이 정보(사고 발생 시각, 위치, 충격량)를 각종 표시 장치(디스플레이 장치, 음성 및 경보신호 출력장치 등)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감지모듈(10)의 모든 진동센서(13)에도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컴퓨터(51)는 충격을 감지한 진동센서(13)들의 충격값 크기를 분석하여 감지모듈(10)내에서 어느 위치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감지모듈의 면적범위 안에서 충격량의 크기 분포를 알 수 있으므로 그 중 가장 충격량이 클 것으로 분석된 지점(가장 큰 충격을 감지한 진동센서(13)의 주변 위치)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컴퓨터(51)는 상기 표시 장치들을 통해 충돌 사고가 발생한 감지모듈(10)의 위치 뿐만 아니라 감지모듈(10) 내에서도 어느 위치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관리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닻 내림과 끌림에 의한 충격 발생 지점과 그 충격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리자는 신속하게 조사 인원 및 장비를 투입하여 사고 장소를 실제로 검사하고, 감시 장치 및 해저배관(1)의 파손 발생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는 해저에 설치된 감지모듈(10)의 진동센서(13)가 충격을 직접 감지하고, 측정된 충격 데이터를 인접 해수면(A)에 떠 있는 통신부이(20)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지상감시센터(50)로 전송하기 때문에 충격 데이터에 해저의 다양한 외란에 의한 노이즈가 혼합될 여지가 거의 없으므로 측정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관리자에게 보다 정확한 사고 정보(발생 위치, 충격 크기, 시간)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수단이 상기 감지모듈(10)과 같이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위치에 필요한 만큼 적정량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감시가 거의 불필요한 지역을 감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감시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감지모듈(10)을 해저배관(1) 상부의 해저면(B) 또는 보호공(60)의 상부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기존에 설치된 해저배관(1) 또는 보호공(6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감지모듈(10)을 보호공(6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호공(60) 자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저배관(1) 뿐만 아니라 보호공(60)의 손상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보호공(60)의 파손에 대해서도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해저배관 10 : 감지모듈
11 : 연결부재 11a : 볼트공
11b : 통공 11c : 요홈
12 : 고정부재 13 : 진동센서
13a : 하우징 13b : 센서본체
13c : 커넥터 13d : 볼트
14 : 신호선 15 : 개별통신장치
20 : 통신부이 21 : 데이터 수집장치
22 : 통신장치 23 : 배터리
30 : 통신케이블 40 : 고정체인
41 : 고정물 50 : 지상감시센터
51 : 메인컴퓨터 60 : 보호공
61 : 쇄석 62 : 콘크리트블록

Claims (12)

  1. 해저배관의 매설 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로부터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이 및
    상기 통신부이에서 전송된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고 발생 시간, 위치, 충격량의 크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지상감시센터의 메인컴퓨터
    를 포함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격자형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감지모듈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결부재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이 해저배관 상부의 해저면을 덮는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이 해저배관 상부의 해저면에 설치된 보호공의 상부를 덮는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의 연결부재는 보호공의 굴곡 형상을 따라 굴곡 형성되고, 그 양단부는 보호공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이 해저배관의 설치 라인을 따라 연이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에 연결된 신호선은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통신부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에 연결된 신호선은 각 감지모듈 별로 구비된 개별통신장치에 연결되고, 각 감지모듈별 개별통신장치들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부이에 충격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이는 각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충격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데이터 수집장치에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지상감지센서의 메인컴퓨터에 전송하는 통신장치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본체가 내장되고, 하우징의 측면에 센서본체와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며, 하면에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공이 형성된 관형 부재이고, 상기 통공으로 신호선이 삽입되어 정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면에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으로 신호선이 삽입되어 정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KR1020170052856A 2017-04-25 2017-04-25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KR10194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56A KR101947266B1 (ko) 2017-04-25 2017-04-25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56A KR101947266B1 (ko) 2017-04-25 2017-04-25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97A true KR20180119297A (ko) 2018-11-02
KR101947266B1 KR101947266B1 (ko) 2019-02-12

Family

ID=6432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56A KR101947266B1 (ko) 2017-04-25 2017-04-25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938A (zh) * 2021-08-25 2021-11-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底管道铺设过程中触泥点监视装置及监视方法
KR102391265B1 (ko) * 2021-07-02 2022-04-27 (주)현대인사이트 변전장치에 연결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위치 확인 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85B1 (ko) 2001-04-25 2003-10-22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타공사에 의한 매설배관의 실시간 손상감지 모니터링시스템 및 가스배관의 충격위치 산출방법
KR20110037658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배관의 충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57169B1 (ko) * 2011-03-02 2012-06-20 한국해양연구원 부이형 수중감시장치
KR101167685B1 (ko) * 2012-01-04 2012-07-20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40037571A (ko) * 2012-09-19 2014-03-27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누수 감지용 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누수 감지용 파이프 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85B1 (ko) 2001-04-25 2003-10-22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타공사에 의한 매설배관의 실시간 손상감지 모니터링시스템 및 가스배관의 충격위치 산출방법
KR20110037658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배관의 충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57169B1 (ko) * 2011-03-02 2012-06-20 한국해양연구원 부이형 수중감시장치
KR101167685B1 (ko) * 2012-01-04 2012-07-20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40037571A (ko) * 2012-09-19 2014-03-27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누수 감지용 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누수 감지용 파이프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65B1 (ko) * 2021-07-02 2022-04-27 (주)현대인사이트 변전장치에 연결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위치 확인 시스템 구축방법
CN113700938A (zh) * 2021-08-25 2021-11-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底管道铺设过程中触泥点监视装置及监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266B1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69B1 (ko) 부이형 수중감시장치
JP5941921B2 (ja) 定置構造物の完全性監視システムおよび完全性監視方法
JP3848975B2 (ja) 監視装置
KR101947266B1 (ko)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CN112771229A (zh) 用于对水文地质风险进行监测的系统和方法
KR20200075003A (ko)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탱크로부터 이동식 플랫폼을 회수하기 위해 테더 부력 몸체를 이용하는 방법
US10155569B2 (en) Swivel for mooring arrangement having an electric power generator which converts relative rotation between two elements into electric power
WO2015014264A1 (zh) 铁路防灾立体监测系统、信号处理系统及监测报警系统
US10378331B2 (en) Monitoring integrity of a riser pipe network
CN106645632B (zh) 一种滑坡测量方法
WO2017222271A1 (ko) 지반함몰 신속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4504830A (zh) 一种用于海岛周界安防的智能光纤传感系统及监控方法
CN103499838B (zh) 异常体方位识别的瞬变电磁测量装置及其识别方法
WO2012012824A1 (en) Marine fender load monitoring
KR101801645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20090099760A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송유관 감시 시스템
JP4800814B2 (ja) 土砂災害監視システム
JP2007178222A (ja) 土石流の検知装置、地滑り等の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警報装置
CN211015843U (zh) 一种错落地质灾害预警及防护系统
KR102039000B1 (ko) 사면붕괴 계측용 봉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붕괴 계측 방법
KR101379510B1 (ko) 수중 장비 감시 시스템
JP5300303B2 (ja) 損傷未然検知システム、及び傾斜検出装置
KR101118419B1 (ko) 전자탐측수단이 구비된 테스트 박스의 지중 매설 배관 및 배선 탐지용 전선 케이블의 마감 캡
KR100654688B1 (ko) 위험사면 감시장치
RU2728835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и обследования территории в отношени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оказывающих возмущающее действие мас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