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055A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055A
KR20180119055A KR1020170052518A KR20170052518A KR20180119055A KR 20180119055 A KR20180119055 A KR 20180119055A KR 1020170052518 A KR1020170052518 A KR 1020170052518A KR 20170052518 A KR20170052518 A KR 20170052518A KR 20180119055 A KR20180119055 A KR 2018011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processor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642B1 (ko
Inventor
이경하
임정빈
황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42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57 priority patent/WO2018199380A1/ko
Priority to US16/608,131 priority patent/US11623545B2/en
Publication of KR2018011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 B60N2/0279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for detecting objects outside the vehicle, e.g. for us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sens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e.g. heart rate or body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33Touch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3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using portable terminals, e.g. smart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specific to autonom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6Electromagnetic waves
    • B60N2210/18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6Electromagnetic waves
    • B60N2210/22Optical; Photoelectric;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B60N2210/24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20/0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 B60N2220/1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using a data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20/0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 B60N2220/2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using a deterministic algorith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30/00Communication or electronic aspects
    • B60N2230/20Wireless data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30/00Communication or electronic aspects
    • B60N2230/30Signal processing of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로서,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시트를 구동하는 시트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기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다양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에 대한 기술 개발에 힘입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시트를 구동하는 시트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동부는, 상기 시트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시트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틸팅시키거나, 상기 시트가 접혀지거나 펴지도록 상기 시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수, 상기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 상기 시트의 자세 및 상기 시트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 각각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시트 구동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차량의 램프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램프는, 어느 정보가 상기 램프 상에 표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상기 시트의 배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램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램프는, 어느 정보가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빛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상기 시트의 배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상기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센싱되면, 상기 램프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으로 객체가 접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 배치도를 출력하는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시트 배치도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차량의 시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내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 내부의 적재 가능 공간을 센싱하고, 상기 적재 가능 공간과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적재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접근중인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객체의 최소 부피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로 상기 시트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가 탑승한 후 차량의 문이 닫히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에 남은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남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으로 다가오는 객체에 기 설정된 객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문 또는 트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시킬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기 전,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설정된 제1 시트의 앞에 존재하는 제2 시트의 등받이를 일 방향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트에 탑승을 완료하면,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시트의 등받이를 복원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에 따라 최적화된 시트 배치도를 제안하고,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시트 배치도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배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4a, 도 14b,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도 12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제어부(170)와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800)를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에 대하여 설명하는 기능(동작) 및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와 관련하여 설명한 모든 내용은, 제어부(170)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하는 차량(100)과, 이동 단말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는, 막대형 이동 단말기(900a) 및 웨어러블형 이동 단말기(900b) 등 모든 종류의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포함된 차량(100)과 이동 단말기(9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 외부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900)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 단말기(900)와 차량(100)은 정보(데이터, 신호, 제어명령 등)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차량(10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형성된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차량 제어 장치(800)의 제어에 의해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900)는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하는 시트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정보를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100)은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트의 위치, 자세 및 형태가 되도록, 차량의 시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도 12 내지 도 2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카메라(820), 시트 구동부(830) 및 프로세서(8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앞서 설명한 통신장치(400)일 수 있다. 통신부(810)는, 이동 단말기(9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와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810)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와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되거나, 이전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일정 주기마다 차량과 통신 연결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차량(100)에서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출된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제어 장치(800)의 통신부(810)는 일정 주기마다 이동 단말기를 스캔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송출하고, 이동 단말기(900)에서 상기 제3 신호에 응답하여 송출된 제4 신호가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의 통신부(810)로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9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10)는, 차량 내(또는 차량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 제어 장치와는 독립된 구성으로 차량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810)는, 차량의 구성요소와 통신(또는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900)에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터치 스크린), 센싱부, 카메라 및 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시간, 위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터치가 가해진 지점, 터치가 가해진 시간 및 터치의 종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결정(센싱, 추출, 판단, 검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기 설정된 방식(알고리즘)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된 정보는, 일 예로, 차량(100)으로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사용자, 짐 등)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부피, 무게, 형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카메라(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20)를, 앞서 설명한 내부 카메라(220)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또한,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310)는, 차량(10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되어, 차량(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 33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부피, 무게, 형태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 22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100)의 내부의 공간(구체적으로, 탑승(적재) 가능한 공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부피, 형태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카메라(820)는, 센싱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센싱부는, 도 7에서 설명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일 수도 있고,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차량에 구비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또는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는 독립된 별개의 센싱부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830)가 독립된 센싱부인 경우라도, 상기 센싱부는, 도 7에서 설명한 센싱부(120) 또는 오브젝트 장치(300)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센싱부(120) 중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830)는, 본 발명의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정보(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차량의 주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차량의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변정보(또는 주변 환경정보)는, 차량의 외부 정보(예를 들어,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 피사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정보,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싱부가 차량 제어 장치(800)에 별도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870)가 센싱부를 통해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은, 프로세서(870)가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및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시트 구동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차량 제어장치(80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모듈 형태로 차량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100)에 구비된 시트를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100)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시트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시트(차량의 시트)는, 차량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시트 중 사용자의 엉덩이와 다리가 닿는 부분을 틸팅시키거나, 앞/뒤/좌/우/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의 시트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시트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의 시트의 등받이를 틸팅(tilting)시키거나, 상기 시트가 접혀지거나 펴지도록 상기 시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의 위치(앞, 뒤, 위, 아래로 이동 시키는 것), 상기 시트의 자세(시트의 등받이를 틸팅시키거나, 접거나 펴는 것) 및 상기 시트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차량의 시트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 구동부(830)의 구동은,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프로세서(870)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를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카메라(820), 시트 구동부(830)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제어부(17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및 도 8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이용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카메라(820)를 이용하여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예를 들어, 레이더, 라이더, 초음파센서,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객체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거리는, 센싱부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거나, 센싱부의 성능에 따라 결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객체가 진입하면, 카메라(8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되는 카메라는, 내부 카메라(220) 또는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31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820)는,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820)는, AVM(Around View Monitor) 기능에 이용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면, 객체가 접근하는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8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82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20)를 이용하여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는, 일 예로, 상기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영역에 진입한 객체 중 상기 차량(100)으로 다가오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S1010).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영역에서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1100a, 1100b, 1100c, 1110)가 감지되면, 카메라(820)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1100a, 1100b, 1100c, 1110)를 촬영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객체(1100a, 1100b, 1100c, 1110)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결정, 추출, 판단,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객체의 수, 객체의 종류(예를 들어, 사람인지 짐인지 여부), 객체의 부피, 객체의 형태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는, 본 차량(100)의 운전자인지, 가족인지, 지인인지 등의 인적사항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메모리(140)에는 사용자의 얼굴영상과 사용자의 인적사항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얼굴영상 및 인적사항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객체의 인적사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시트를 제어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0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 구비된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위치(또는, 자세 또는 형태)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위치(또는, 자세 또는 형태)는, 객체의 종류, 객체의 수, 객체의 인적사항 등에 근거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수가 n명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제1 배치를 형성하는 위치일 수 있고, 객체의 수가 n명과 다른 m명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제1 배치와 다른 제2 배치를 형성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시트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킨다는 것은, 시트를 기 설정된 자세로 배치시킨다 및 시트를 기 설정된 형태로 설정한다는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100)에 구비된 복수의 시트(840, 840a, 840b, 840c, 840d)를 제어(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구동부(830)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84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거나(1120b), 시트(840)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거나(1120c), 시트의 등받이를 틸팅시키거나(1120a), 시트가 접혀지거나 펴지도록(1120d) 시트(8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른 말로, 시트 구동부(830)는, 시트의 위치, 시트의 자세 및 시트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100)은 트렁크(850)를 포함할 수 있고, 시트 구동부(830)는, 상기 트렁크(850)의 적재 공간을 가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수, 객체의 종류 및 객체의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시트(840)의 위치, 시트(840)의 자세 및 시트(840)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시트(840)는, 복수의 시트(840a, 840b, 840c, 840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 각각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시트 구동부(830)는, 상기 결정된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시트(840a, 840b, 840c, 840d)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종류가 사람이고, 객체의 수가 3명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시트 구동부(8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시트 중 어느 하나(840b)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1430a). 이 경우, 3명의 사람이 차량에 편하게 탑승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 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종류가 사람이고, 객체의 수가 2명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의 인적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상기 2명의 사람이 대등한 관계(예를 들어, 부부)인 경우, 복수의 시트 중 어느 하나(840b)를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1430c). 이 경우, 상기 2명의 사람은 앞좌석(840a, 840b)에 편하게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2명의 사람이 주종관계(예를 들어, 사장과 운전기사)인 경우, 복수의 시트 중 어느 하나(840b)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1430b). 이 경우, 상기 2명의 사람 중 사장이 뒷자석(840d)에 편하게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시트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즉, 시트가 구동되는 동안), 차량(100)의 램프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차량(100)의 램프는, 어느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가 램프 상에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상기 시트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1500a)를 램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차량(100)의 램프는, 어느 정보가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빛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시트의 배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1500b)가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 기 적재된 객체(짐)에 의해 시트의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차량 내부에 기 적재된 객체에 의해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싱부를 통해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센싱되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에 구비된 램프(1800)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을 일정 주기마다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 시트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구동이 불가능한 상황도 사용자의 차량 탑승전에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9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트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4a, 도 14b,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도 12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할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2). 여기서, 차량에 탑승할 객체는, 차량에 탑승/적재하고자 하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탑승할 객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 또는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진입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차량에 탑승할 객체를 센싱(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카메라(820)를 이용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객체를 상기 차량에 탑승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스마트 홈(IoT(Internet of Things))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할 객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웨어러블 단말기(900b))를 이용하여 탑승할 객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b)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900b)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가 적재하고자 하는 객체(짐)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b)는 센싱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팔(또는 손목)의 위치, 근육의 상태 및 움직임을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짐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900b)의 센싱부를 통해 팔(또는 손목)의 위치가 몸의 뒤쪽 아래로 되어 있고, 팔의 움직임이 고정(또는 일정속도/일정거리 이하로 움직임)되어 있는 것으로 센싱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짐의 종류가 트렁크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900b)의 센싱부를 통해 팔(또는 손목)의 위치가 몸의 앞쪽에 위치하고, 손바닥이 위를 향하고 있으며, 팔의 움직임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센싱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짐의 종류가 박스형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900ㅠ)의 센싱부를 통해 팔(또는 손목)의 위치가 몸의 앞쪽에 위치하고,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팔의 움직임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센싱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짐의 종류가 유모차(또는 카트)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900b)는 센싱부를 통해 팔 근육의 상태(예를 들어, 팔 근육에 가한 힘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짐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객체(짐)의 종류 및 무게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900b)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에 근거하여, 객체의 부피 및 객체의 종류를 센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은 스마트 홈에 구비된 IoT 시스템(1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홈에는 IoT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IoT 시스템에는, 통신부, 카메라(1312), 마이크(1314), 문에 설치된 센서(1316a, 1316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oT 시스템(1300)은 마이크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예를 들어, “Time to go”, Hurry up” 등)이 수신되면, 스마트 홈에 있는 객체(사용자)가 스마트 홈을 나설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oT 시스템(1300)은, 상기 기 설정된 음성이 마이크(1314)를 통해 인식되거나 기 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스마트 홈에 구비된 기기가 오프(off))되면, 카메라(1312)를 활성화하고, 상기 카메라(131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을 나서는 객체의 수, 종류 및 부피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1300)은 문이 열리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문에 구비된 센서(1316a, 1316b) 또는 카메라(1312)를 이용하여 스마트 홈을 나서는 객체의 수, 종류 및 부피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차량을 제어하는 스마트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센서에 의해 스마트키의 움직임이 센싱되면, 스마트 홈을 나서는 객체가 차량을 이용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복수의 차량(100a, 100b)이 존재하는 경우, 문에 구비된 센서(1316a, 1316b)를 이용하여 어느 차량을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시스템은 복수의 문 중 차고로 향하는 문이 열리는 경우, 상기 차고에 존재하는 차량(100a)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객체의 수, 종류 및 부피)를 상기 차량(100a)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시스템은 복수의 문 중 외부로 향하는 문이 열리는 경우, 외부에 존재하는 차량(100b)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객체의 수, 종류 및 부피)를 상기 차량(100a)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기 설정된 스케줄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 탑승할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또는 차량 제어 장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할 객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800)는, 이동 단말기(900b) 또는 IoT시스템(1300)으로부터 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거나, 차량의 센싱부를 통해 차량으로 객체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또는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면), 카메라(8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3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카메라(820)를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820a, 앞서 설명한 31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20a)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100)에 탑승할 객체(1100a, 1100b, 1110)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객체가 센싱되면, 센싱된 객체가 차량에 탑승할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객체(1100a)가 소유한 이동 단말기(900a) 또는 차량(100)의 스마트 키(13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a) 또는 스마트 키(1330)는, 기 인증된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기 인증된 기기는,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기기이거나, 통신 수행하도록 사전에 인증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송출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820a)로 촬영된 객체가 차량(100)에 탑승할 객체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20a)를 통해 객체(1320)가 촬영되더라도, 상기 송출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객체(1320)는, 본 차량(100)에 탑승할 객체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객체(1320)는 미탑승 객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도 13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에 탑승할 객체인 것으로 결정되면, 카메라(820a)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의 얼굴부분(1330)을 이용하여 객체의 인적사항을 결정하거나, 사물로 판단되는 객체(1340)의 종류, 형태, 부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로 돌아오면, 이후, 본 발명은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4).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 IoT 시스템 또는 차량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센싱되면,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정하기 위해,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810)는 이동 단말기(900a)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가 접근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900a)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으로 객체가 접근하면,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1400a) 및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1400b)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1400a)와 시트 배치도(1400b)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차량 제어 장치(800)로부터 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1400a)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1400a)가 출력된 부분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숏 터치, 롱 터치, 더블 터치, 멀티 터치, 드래그 터치, 플리크 터치 등)가 가해지면, 이동 단말기(900a)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정하는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배치도(1400b)는,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a)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1400b)를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4a에는 하나의 시트 배치도(1400b)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시트 배치도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배치도는,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객체의 수, 종류 및 부피)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확정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시트 배치도 중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 배치도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시트 배치도에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종류(예를 들어, 객체의 수, 객체의별로 종류 등)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또는 프로세서(870))는,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종류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시트 배치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감지된(확정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와 현재 차량(100)의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6).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900a)로부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정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820b, 앞서 설명한 2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카메라(820b)는 차량(10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20b)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 내부(차량의 탑승 부분, 시트 및 트렁크 등)의 상태(시트의 위치, 기 적재된 객체의 존재 여부, 적재 가능한 공간의 부피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차량(100)에 탑승(적재)할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8).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종류 및 부피와 차량 내부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차량에 탑승(적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100)에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내부 카메라(820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내부 카메라(820b)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 내부의 적재 가능 공간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적재 가능 공간과 객체와 관련된 정보(객체의 수, 종류, 부피 등)에 근거하여, 차량에 구비된 시트(840)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와 적재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100)에 접근중인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820a)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는, 유모차, 카트, 트렁크, 캐리어 등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객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40)에는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의 종류별로 최소 부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a)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객체의 최소 부피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에 의해 상기 객체가 모두 탑승(적재)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단말기(예를 들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900a) 또는 기 인증된 단말기)로 탑승(적재)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10). 이 경우,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상기 시트 배치도(1400b) 대신 상기 알림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에 의해 상기 객체가 모두 탑승(적재)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시트(840)(또는 트렁크)의 재구성을 추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12).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에 의해 상기 객체가 모두 탑승(적재)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870)는, 탑승(적재)가 가능함을 알리는 신호를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a)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트 배치도(1400b)를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가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트 배치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를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1400a) 및 시트 배치도(1400b)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시트를 시트 배치도(1400b)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시키기 위한 실행 버튼(1410)과 시트 배치도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1420)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 배치도를 출력하는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1420)(시트 배치도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가 출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a)의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1420)가 선택되면,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시트 배치도(1430a, 1430b, 1430c)를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1420)가 선택되면, 복수의 시트 배치도(1430a, 1430b, 1430c)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복수의 시트 배치도(1430a, 1430b, 143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시트 배치도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또는 시트 배치도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또는 시트 배치도와 관련된 정보)에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시트(840) 각각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951)에 출력된 실행 버튼(1440)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900)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 이외의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S1214).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하고,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상기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이동 단말기(900a) 이외의 단말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영역에 진입한 단말기들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동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과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확정된 시트 배치도에 관한 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동승자의 이동 단말기)로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도록 차량 내부 공간을 변경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16).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900a)의 디스플레이부(951)를 통해 선택된 시트 배치도(예를 들어, 1430c)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로 차량의 시트(840)가 배치되도록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의 공간을 변경하는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18).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경우, 차량 내부의 공간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트가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센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주변에 기 적재된 객체(짐)이 존재하거나, 시트 구동부의 고장 또는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시트는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공간을 변경하는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또는 시트가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단말기(이동 단말기(900a))로 시트를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키시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10).
다른 예로,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시트가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차량의 램프(1800)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시킨다는 것은, 일정주기로 램프를 온/오프 시키는 것(예를 들어, 비상등) 또는 일정횟수만큼 램프를 온/오프 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내부의 공간을 변경하는 것이 문제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은 프로세서(870)가 시트를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고, 배치결과(또는 변경결과, 배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20).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시트(840)가 이동 단말기(900a)에서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가 완료되면, 통신부(810)를 통해 배치결과를 이동 단말기(900a)로 전송하거나, 차량으로 다가오는 객체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노면에 배치결과를 조사하거나, 차량의 실내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900a)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900a)가 통신부(810)를 통해 기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또는, 기 인증된 단말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900a)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또는, 자세, 형태)로 시트(84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900a)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차량(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900a)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100)을 가장 최근에 운전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트의 위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복수의 사용자이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가 각각 통신부(81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와 기 연결된 이력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운전자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운전자를 선택하면, 상기 운전자를 선택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또는, 자세, 형태)로 시트(840)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100)에 구비된 시트(1600)는, 시트의 형태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시트 구동부(830)를 제어하여, 시트(840)의 부피를 확장하여, 객체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줄이거나, 시트(840)의 부피를 축소하여, 객체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힐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으로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영유아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유아는, 일 예로, 7세 이하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영유아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810)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영유아의 나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영유아의 부피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영유아가 0~7세 중 제1 나이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1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피를 확장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시트의 탑승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영유아가 0~7세 중 상기 제1 나이대보다 높은 제2 나이대 또는 제3 나이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16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에 주입된 공기를 빼서 부피를 축소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시트(1600)의 탑승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영유아의 나이가 어리거나 부피가 작을수록 시트(1600)의 부피가 커지도록(즉, 객체가 탑승할 공간이 축소되도록) 상기 시트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영유아의 나이가 많거나 부피가 클수록 시트(1600)의 부피가 작아지도록(즉, 객체가 탑승할 공간이 넓어지도록) 상기 시트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싱된 객체의 부피와 상기 시트(1600)에서 객체가 탑승할 공간이 대응되도록, 상기 시트의 형태(즉, 시트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싱된 객체의 부피에 따라 시트의 형태를 가변하여 최적화된 탑승감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시트를 최적화된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방법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100)에 구비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문이 열리기 전,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시트를 기 설정된 위치(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복수의 시트(840) 중 제1 시트(예를 들어, 뒷자석 중 어느 하나)(840d)에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위치(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트(840d)에는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문이 열리기 전,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설정된 제1 시트(840d)의 앞에 존재하는 제2 시트(840b)의 등받이를 일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 방향은, 일 예로 차량의 전방 방향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1900)가 상기 제1 시트에 탑승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사용자(1900)가 상기 제1 시트(840d)에 탑승을 완료하면,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위치(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시트(840b)의 등받이를 복원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제2 시트(840b)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또는 시트 배치도)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 방향으로 틸팅된 제2 시트(840b)의 등받이를 복원(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상기 제2 시트(840b)에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또는 시트 배치도)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시트(840b)의 등받이를 상기 일방향으로 틸팅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시트(840b)의 등받이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복원(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 보다 편리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의 탑승이 완료된 후 미적재된 객체(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미적재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870)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탑승한 후 차량의 문이 닫히는 것(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 또는 차량이 이동을 시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2002).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객체가 탑승한 후 차량 문이 닫히면(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또는 차량이 이동을 시작하면), 카메라(820)를 활성화하고, 카메라(820)를 통해 상기 차량(100)의 외부에 남은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4).
여기서, 상기 차량의 외부에 남은 객체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센싱된 객체) 중 차에 탑승(또는 적재)되지 않은 일부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외부에 남은 객체가 없는 경우,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2006).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남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에 구비된 카메라(820, 820a)를 통해 촬영한 영상이 이동 단말기(900)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을 통신부(810)를 통해 이동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900)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제어 장치(800)의 카메라(820)를 통해 수신된 영상(즉, 차량 제어 장치(800)의 통신부(810)에서 전송된 영상)(2010a) 및/또는 알림정보(2020a)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적재 가능 공간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 상기 객체가 모두 탑승이 불가능할 경우, 차량의 램프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객체가 모두 차량에 탑승하는 것이 어렵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 내부의 적재 가능 공간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객체의 부피)에 근거하여, 차량 내부에 상기 객체가 모두 탑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제어 장치(800)의 카메라(예를 들어, 내부 카메라(220, 820b))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내부 카메라(220, 820b)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신부(810)를 통해 이동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900)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부 카메라(220, 820b)를 통해 촬영된 영상(2010b) 및/또는 알림정보(2010b)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100)을 소정거리만큼 자율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주차된 차량(100)을 기 설정된 패턴으로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전하지 않다고 주차된 차량을 자율주행을 통해 출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2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으로 다가오는 객체에 기 설정된 객체(예를 들어, 캐리어, 유모차, 휠체어(2200c), 기 설정된 부피를 초과하는 객치(짐))(2200b) 또는 영유아(2200a))가 포함되어 있고, 차량(100)의 문 또는 트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탑승하거나 적재하기에 좁은 경우, 또는 사용자/차량에 기 설정된 일정거리 이하보다 좁은 공간만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센싱된 객체의 부피가 상기 문 또는 트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의 공간보다 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탑승 또는 짐을 적재하기에 불편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900)로 기 설정된 방식으로 차량(100)을 자율주행시킬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2200)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900)의 디스플레이부(951)에는, 도 2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을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율주행시킬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900)의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통해 차량(100)을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율주행시켜달라는 응답을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응답은, 차량을 자율주행으로 소정거리만큼 출차시켜달라는 응답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2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900)의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100)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방식(또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 자동출차 알고리즘)에 따라 차량(100)이 소정의 거리만큼 출차되도록 차량(100)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에 객체가 탑승/적재하기 전 또는 후에 보다 최적화된 탑승/적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모든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차량(100)의 프로세서(870)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기능/구성/제어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객체에 따라 최적화된 시트 배치도를 제안하고,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시트 배치도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배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또는 제어부(17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제어방법(또는 차량제어장치(800)의 제어방법)은,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카메라르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시트를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단계는, 차량 제어 장치(800)뿐만 아니라,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8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시트를 구동하는 시트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동부는,
    상기 시트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시트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틸팅시키거나, 상기 시트가 접혀지거나 펴지도록 상기 시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수, 상기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 상기 시트의 자세 및 상기 시트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 각각의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시트 구동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 자세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차량의 램프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램프는, 어느 정보가 상기 램프 상에 표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상기 시트의 배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램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램프는, 어느 정보가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빛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구동되는 중이면, 상기 시트의 배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노면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가 상기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센싱되면, 상기 램프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으로 객체가 접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싱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배치도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 배치도를 출력하는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시트 배치도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시트 배치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차량의 시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내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 내부의 적재 가능 공간을 센싱하고, 상기 적재 가능 공간과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적재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접근중인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가능한 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객체의 최소 부피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를 모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의 시트의 위치로 상기 시트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가 탑승한 후 차량의 문이 닫히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에 남은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남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으로 다가오는 객체에 기 설정된 객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문 또는 트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시킬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기 전,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설정된 제1 시트의 앞에 존재하는 제2 시트의 등받이를 일 방향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트에 탑승을 완료하면,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시트의 등받이를 복원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52518A 2017-04-24 2017-04-2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8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18A KR102384642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PCT/KR2017/006257 WO2018199380A1 (ko) 2017-04-24 2017-06-15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608,131 US11623545B2 (en) 2017-04-24 2017-06-15 Vehicle control apparatus dispos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18A KR102384642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55A true KR20180119055A (ko) 2018-11-01
KR102384642B1 KR102384642B1 (ko) 2022-04-08

Family

ID=6391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518A KR102384642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23545B2 (ko)
KR (1) KR102384642B1 (ko)
WO (1) WO2018199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47B1 (ko) 2021-11-16 2022-03-18 (주)복서 Ux 제공을 위한 차량 제어 구성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WO202211441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넥스트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다채널 영상들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2090851B2 (en) 2022-02-14 2024-09-1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item arrangement in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694A1 (de) * 2016-09-28 2018-03-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eines Fortbewegungsmittels
US10507774B2 (en) * 2017-08-17 2019-12-17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Component configuration based on sensor data
US11220275B2 (en) * 2018-08-10 2022-01-11 Lg Electronics Inc. Cabin system
KR102683804B1 (ko) * 2019-03-06 2024-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조정시스템
DE102019204157A1 (de) * 2019-03-26 2020-10-0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Innenraumüberwachung eines Fahrzeugs, Überwachungsanordnung und Fahrzeug
DE102019211618A1 (de) * 2019-08-02 2021-02-04 Hyundai Motor Company Verfahren und Sitzsteuerungssystem zur automatischen lateralen Umpositionierung eines Kindersitzes auf einem Rücksitz eines Kraftfahrzeugs
EP3859113B1 (en) * 2020-01-30 2023-08-0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system for automatically closing a trunk lid of a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276A (ja) * 2007-11-22 2009-06-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覚醒システム
US20140319895A1 (en) * 2011-11-23 2014-10-30 Johnson Controls Gmbh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at Position
KR20140128806A (ko)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2476A (ko) * 2013-10-11 2015-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20170042142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편의 장치 및 차량
WO2017064534A1 (en) * 2015-10-14 2017-04-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at adjustment control using wearab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2776A1 (en) * 2007-11-20 2009-05-27 Mazda Motor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llumination device
US9348492B1 (en) * 2011-04-22 2016-05-24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specific vehicle controls, functions, environment and applications to guests/passengers via personal mobile devices
US9987961B2 (en) * 2014-06-09 2018-06-05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assembly
US20180029548A1 (en) * 2016-07-29 2018-02-01 Faraday&Future Inc. Pre-entry auto-adjustment of vehicle settings
US11117534B2 (en) * 2015-08-31 2021-09-14 Faraday&Future Inc. Pre-entry auto-adjustment of vehicle settings
US9477894B1 (en) * 2015-09-04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 height for overhead clearance detection
US10137829B2 (en) * 2016-10-06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mart drop off lighting system
US10684811B2 (en) * 2016-12-28 2020-06-16 Fca Us Llc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s,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US10173643B2 (en) * 2017-02-20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bject detection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276A (ja) * 2007-11-22 2009-06-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覚醒システム
US20140319895A1 (en) * 2011-11-23 2014-10-30 Johnson Controls Gmbh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at Position
KR20140128806A (ko)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2476A (ko) * 2013-10-11 2015-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20170042142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편의 장치 및 차량
WO2017064534A1 (en) * 2015-10-14 2017-04-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at adjustment control using wear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1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넥스트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다채널 영상들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76547B1 (ko) 2021-11-16 2022-03-18 (주)복서 Ux 제공을 위한 차량 제어 구성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US12090851B2 (en) 2022-02-14 2024-09-1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item arrangement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380A1 (ko) 2018-11-01
US20200164770A1 (en) 2020-05-28
KR102384642B1 (ko) 2022-04-08
US11623545B2 (en)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599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KR101954199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운행 제어 장치 및 차량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8464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68462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82774B1 (ko) 자율 주행 차량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1976425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KR101979269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10207386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143216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9275B1 (ko) 타 차량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190041173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9095B1 (ko) 자율 주행 차량
KR20190088090A (ko)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9268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KR20190041172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443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35135B1 (ko)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9625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8055A (ko) 차량 주행 제어 장치 및 차량 주행 방법
KR102122263B1 (ko) 차량 실내 인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90842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298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8995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