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302A -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 Google Patents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302A
KR20180118302A KR1020170051419A KR20170051419A KR20180118302A KR 20180118302 A KR20180118302 A KR 20180118302A KR 1020170051419 A KR1020170051419 A KR 1020170051419A KR 20170051419 A KR20170051419 A KR 20170051419A KR 20180118302 A KR20180118302 A KR 2018011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toilet
pai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5875B1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장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호 filed Critical 장재호
Priority to KR102017005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7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bed having a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toilet. To this end, a square opening/closing door frame (3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t (16) on which the toilet (15) is formed while being installed on both side horizontal brackets (112a, 112b) is formed. The coupling of opening/closing doors (200a, 200b) and the square opening/closing door frame (300) is formed by a pair of driving shafts (211a, 211b) which are coupled to the bottom by means of hinges (114a, 114b) respectively and are driven by a pair of rotation motors (210a, 210b)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quare opening/closing door frame (300). The driving shafts (211a, 211b) rotate only the hinges (114a, 114b) coupled with opening/closing doors (200a, 200b), and the pair of opening/closing doors (200a, 200b)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end.

Description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bed having an upper contact typ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의 배설물을 침대에서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받아 낼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bed having an upper contact typ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todd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ient bed capable of receiving a patient's excrement in a lying or sitting position.

일반적으로 침대에서 내려올 수 없는 환자가 배설하고자 할 때에는 간병인이나 간호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커지게 되고, 보호자와 감병인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who can not get out of bed need help from caregivers or nurses. Therefore, the patient becomes psychologically burdened, and the caregiver and the insane person are also burdened.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10-0856669호에서, 아래와 같이 발명하였다.In view of this poin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s follows in the registered patent 10-0856669.

종래 환자용 침대(10)는 복수개의 다리(11)를 가지는 프레임(12)과, 이 프레임(12)에 설치되며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와, 상기 프레임(12)의 하면에 설치되어 용변구(15)의 하부측에 승강수단(30)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용변구(15)를 개폐하는 커버(200)에 결합 및 분리력을 제공하는 변기(100)와, 상기 변기(100)와 연결되어 변기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수단(미도시)과, 상기 변기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200)를 변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분리수단(50)을 구비한다.The conventional patient bed 10 comprises a frame 12 having a plurality of legs 11, a mat 16 provided on the frame 12 and provided with a bowl 15, A toilet seat 1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bowl 15 to provide a coupling and separation force to the cover 200 which is coupled and separated by the elevating means 30 and opens and closes the toilet bowl 15, (Not shown) connected to the toilet 100 to collect the dirt in the toilet, and a cover separating means 50 for separating the cover 200 joined and separated by the toilet from the toilet 100 .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침대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의 메인 프레임(12a)과,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지지되며 등받이부, 다리받이부, 변기설치부위등 세 개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대해 다리받이부와 등받이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12b)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a)에 대해 서브 프레임(12b) 즉, 등받이부와 다리 받이부의 각도 조정을 위한 장치는 통상적인 침대 구조와 동일하다The frame 12 of the patient bed 10 includes a lattice-shaped main frame 12a on which the legs 11 are installed and a lattice-shaped main frame 12b on the main frame 12a. And a sub frame 12b separated from the main frame 12a such that the leg support part and the back support part are rotatabl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ree parts including a back support part, a leg support part, and a toilet installation part.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bframe 12b, that is, the backrest and the leg res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2a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bed structure

상기 매트(16)는 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mat 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2, and a use port 15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eap of the patient. The port 16 is formed in various forms .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preferably in a trapezoidal shape.

상기 변기(100)를 승강시켜 매트(16)의 용변구(15)와 밀착 및 분리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에 각각 하부 가이드홈(31a)(31a)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31)을 가지는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침대 프레임(12)하부측에 위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에 상부 가이드홈(32a)(32a)이 형성되며 변기(100)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레일(32)(32)과 각각 상하부의 단부가 상기 하부가이드홈(31a)(31a)과 상부 가이드 홈(32a)(32a)에 지지되는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3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는 각각 한쌍의 플레이트 바의 중앙부가 힌지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후방에 위치된 단부는 상, 하부 가이드레일(31)(31),(32)(32)의 후단부측에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means 3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toilet bowl 100 and making contact with and separating from the use openings 15 of the mat 16 are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lower guide grooves 31a and 31a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A base frame 32 having a pair of lower guide rails 31 and 31 and upper guide grooves 32a and 32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ed frame 12 and facing each other, And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2 and 32 on which a case (not shown) supporting the toilet bowl 100 is supported are supported by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31a and 31a and upper guide grooves 32a and 32a The first and second penta-graph members 33 and 34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penta-graph members 33 and 3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pantograph members 33 and 34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a pair of plate bars. The first and second pantograph members 33 and 34, The lower guide rails 31, 31, 32, and 32 are hing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1, 31, 32,

그리고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하부 가이드 레일(31)(31)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봉(35)은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1)(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진 되는 스크류(36c)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enta graph members 33 and 34 which are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s 31 and 31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rod 35, The upper guide rails 32 and 32 ar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guide rails 31 and 31 by moving the lower and upper guide rails 31 and 31 along the lower guide rail 31 by the first actuator 36, . The first actuator 36 includes a rotary shaft 36b driven by a motor 36a and a screw 36c screwed with the rotary shaft 36b and forward and backward as the rotary shaft 36b rotates . Power transmission from the motor 36a to the rotary shaft 36b may be accomplished by gears.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은 변기(10)의 승강에 의해 커버(200)가 용변구(15)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커버(200)를 용변구(15)에 대해 전,후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The cover separating means 50 can move the cover 200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use port 15 so that the cover 200 can be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use port 15 by lifting the toilet 10 One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 분리수단(50)은 상기 프레임(12)에 지지되며 상기 용변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51)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100)와 대응되는 측이 개방된 이송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을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전, 후진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53)와, 상기 이송프레임(52)에 결합수단(54)에 결합되며 이송 시 상기 변기(100)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101)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55)를 가지며 상면에 커버(200)가 설치된 승강부재(56)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ver separating means 50 includes guide rails 51 supported on the frame 12 and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se opening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guide rails, A second actuator 53 installed on the frame 12 for moving the transfer frame 52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51, And a sliding engagement portion 55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54 in the transfer frame 52 and coupled to the flange 101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the toilet 100 during transportation, And an elevating member (56) provided thereon.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6)는 상기 커버(20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56a)와 상기 베이스부(56a)의 양측이 절곡되어 상기 변기(100)의 플랜지(101)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슬라이딩 결합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5)는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개방된 찬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vating member 56 includes a base portion 56a on which the cover 200 is installed and a sliding engagement portion 56a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56a and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lange 101 of the toilet bowl 100. [ A portion 55 is formed. The sliding engagement portion 55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channel in which mutually facing surfaces are opened.

한편, 상기 결합수단(54)은 이송프레임(52)에 대해 승강부재(56)의 소정거리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재(56)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54a)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봉(54a)은 이송프레임(52)에 형성된 관통공(5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봉(54a)의 단부에는 걸림턱(54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54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The engaging means 54 supports the elevating member 56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frame 52 and extends downward of the elevating member 56 to slide on the conveying frame 52 And guide rods 54a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rod 54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4b formed in the transfer frame 52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transfer frame 52. The end of the guide rod 54a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54c, ).

그런데, 종래 발명의 문제점으로서,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도 하려니와 상하 좌우로 이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고장이 빈번하게 되고, 변기에 부딪혀 파손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므로, 이의 설계가 정확하지 않으면,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없었던 것이다.However, a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 cover separating means 50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when it is not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at the time of the upward / downward / rightward / leftward movement, the breakdown frequently occurs, If its design was not correct, it would not be worth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으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d for patients who can not move in a patient bed or a patient whose mobility is inconvenient, It has its purpose.

특히, 환자가 이를 사용시에 사용이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침대의 중앙부의 개구의 개폐문을 개조하여 용변기의 배치가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disposition of the toilet bowl by modify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open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d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use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s bed which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use, and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a patient who is the most difficult to care for a patient.

그리고, 제1 액튜에이터(36)가 외부에 노출되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기(100)의 하부 내부공간에 배치하여 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ose the lower space of the toilet 100 in the lower space of the toilet 100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first actuator 36 occupies a space due to exposure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용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로서,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사각개폐문틀(300)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의 결합은 경첩(114a, 114b)으로 각각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의 좌우측으로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으로 형성하되,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개폐문(200a, 200b)과 결합된 경첩(114a, 114b)만을 회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b)은 상기 폭(c)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며,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용변구(15)의 직하부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가지되,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이다.A bed for patients having a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bowl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a mat (16) on which a bowl (15) is formed, and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nd 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3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openings by the hinges 114a and 114b, A pair of operating shafts 211a and 211b driven by a pair of rotating motors 210a and 210b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inges 200a and 200b, (A)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mat (16), and the bottom (100a)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a, 200b) The width (c) is 2 to 3 times the thickness and the top width (b) is formed to be somewhat smaller than the width (c)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hav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downward at both side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closed surface of an opening to which both sides are joined. The left and right upper jack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seat support 310 in the lower part of the hinge shaft 310 The left and right upper jack 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by the hinge shafts 341a and 341b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The jack bars 340a and 340b are coupled to the hinge shafts 342a and 342b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hinge connecting side portions 3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ack base 320, A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is formed on the one-side hinge shaft 341a, and the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The male thread rotation shaft 351 formed on the one-side hinge shaft 341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length thereof is adjusted by the spiral in the through hole. The male thread rotation shaft 351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351, And is rotatable by a motor (350), which is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ing column (353). The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obacco is a patient bed having an upper contact typ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med in a square fram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jack base 320, a pedestal-side reinforcement plate 326 may be narrow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body 322 to be disposed in a narrow space, And a pedestal extension reinforcing plate (32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main body (322)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stably arranged in a wide spac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tobacco is provided with an upper contact type door It is a patient b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는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보호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을 양쪽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그 구조를 간편하게 하였고, 상하로 개폐시 정확한 위치에 정착되도록 하게 됨으로써 고장이 없고, 변기에 부딪혀 파손이 일어나는 일도 없는 효과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bed can hygienically treat the backward treatment such as the feces and the urine by the protector of the patient who can not move or the patient who is uncomfortable with the behavior, and the cover separating means 50 is opened / closed on both sides The structure is made simple, and when it is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and bottom, it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there is no failure, and no damage is caused by colliding with the toilet.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별도로 사각틀에 형성하여 침대바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설치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can be separately formed into a square frame and assembled to the bed bar, it is easy to install.

그리고,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himself or herself treats the stool and uri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patient's caregiver for the treatment of the most difficult patient.

또한 상기 용변구와 결합된 커버는 변기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커버가 용변구의 하부로 처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ver coupled with the use port is supported by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cover from sagg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se port.

그리고, 제1 액튜에이터(36)가 변기(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Since the first actuator 36 is positioned below the toilet 100,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lower space.

도 1은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변기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결합 사시도
도 13, 14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낸 개략 결합 사시도 및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means and a cover separ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ifting a toilet of a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3 to 5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d for patients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and a lifting unit of a patient bed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id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ing means of the patient bed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patient-use port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joining method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ng means of a patient-use mouth opening provided with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a side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fting means of a patient bed provid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변기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bed equipp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and elevating means of a patient bed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patient's accessory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atient bed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to be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1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리(11), 침대프레임(12), 매트(16), 승강수단(30), 자동개폐장치(200)로 이루어진다.6 and 7, a patient bed 10 having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illustrated. The bed 11 includes a leg 11, a bed frame 12, a mat 16, (30), and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200).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mention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침대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등받이부, 변기설치부위 등이 형성된다.The bed frame 12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which the legs 11 are installed, and the frame has a backrest, a toilet seat, and the like.

상기 매트(16)는 침대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형태는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mat 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d frame 12, and a use port 15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eap of the patient. The port 16 is formed in various forms . The shape may b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preferably a trapezoidal shape.

또한 상기 용변구(15) 위치의 매트(16)는 하부에 자동개폐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수평브라켓(112a,112b)이 설치된다.The mats 16 at the position of the use openings 15 are provided with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which ar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200 at the lower part thereof.

상기 승강수단(30)은 변기(100)를 승강시켜 매트(16)의 용변구(15)와 밀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12)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고 변기(100)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32)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와 하부 가이드레일(31)을 연결하는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 34),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과 하부 가이드레일(31)을 구동시키는 제 1액튜에이터(36)를 구비한다. The elevator means 30 elevates and closes the toilet bowl 100 and closely contacts and separates the toilet bowl 15 of the mat 16. The elevator means 3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d frame 12, A pair of upper guide rails 32 on which a cas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toilet is supported, a pair of lower guide rails 3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guide rail 32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irst and second penta-graph members 33 and 34 for connecting the upper guide rail 32 and the lower guide rail 31, a first actua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upper guide rail 32 and the lower guide rail 31 36).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32)은 상호 대향되는 측에 상부 가이드홈(32a)이 형성된다.The pair of upper guide rails 32 are formed with upper guide grooves 32a on opposite sides thereof.

상기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은 상호 대향되는 측에 하부 가이드 홈(31a)이 형성된다.The pair of lower guide rails 31 are formed with lower guide grooves 31a on opposite sides thereof.

상기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 34)는 각각 상하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가이드 홈(32b)과 하부 가이드홈(32a)에 지지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바가 중앙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 34)의 후방에 위치된 단부는 상, 하부 가이드레일(31, 32)의 후단부측에 힌지 연결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enta graph members 33 and 34 are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groove 32b and the lower guide groove 32a and a pair of plate bar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center, The end portions positioned rearward of the 1,2 penter graph members 33 and 34 are hing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1 and 32. [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과 하부 가이드레일(31)을 구동시키는 모터(36a)와 상기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진 되는 스크류(36c)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ctuator 36 includes a motor 36a for driving the upper guide rail 32 and the lower guide rail 31, a rotary shaft 36b driven by the motor 36a, a rotary shaft 36b, And a screw 36c which is screwed and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s the rotation shaft 36b rotates. Power transmission from the motor 36a to the rotary shaft 36b may be accomplished by gears.

상기 제1 액튜에이터(36)는 하부 가이드레일(31)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와 제1 액튜에이터(36)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어, 제1 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연결봉(35)을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킨다.The first actuator 36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ower guide rail 31. The first and second penta-graph members 33 and 34 and the first actuator 36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rod 35, The upper guide rail 32 is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guide rail 31 by moving the connecting rod 35 along the lower guide rail 31 by the first actuator 36 to move the toilet 100 Lift.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은 상기 용변기(15)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ans 200 includes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toilet bowl 15 and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t 16, A pair of operating shafts 211a and 211b, and a pair of rotating motors 210a and 210b.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하부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16)에 설치된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oor 200b. The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hinges 114a and 114b, (211a, 211b).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mat 16 and th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he flange 101 of the toilet bowl 100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bottom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respective corners or the interlock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the timing of the lowering of the toile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ration shaft 211a, And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좌측에 있는 개폐문의 사이즈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상단 폭(b)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a)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1.5배정도의 폭이 되되,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좌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200aa)을 중심으로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된 개폐문막음면(200ab)이 회전외곽점이 되어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on the left side of the open / close doors 200a and 200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thickness a thereof is mad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t 16, (b) is 2 to 3 times the thickness and the lower end width (c) is about the same as the thickness (a) or 1.5 times the width.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on one side, Closing face 200ab formed on the upper right corne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hinge point 200aa formed at the lower left corner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00a and 200b becomes a turning outer edge point, The interference with the flange 101 of the toilet bowl 100, which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bottom by the difference of the interlocking of the edges or the interlock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timing of descending the toilet, does not occur.

그러나, 상기 경사면의 경우에는 개폐문의 두께를 아주 얇게 설계가 정확할 경우에는 얇은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nclined surface,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ay be made very thin, and when the design is accurate, it may be formed into a thin rectangular hexahedron.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lso function to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ogether with the hinges 114a and 114b and the actuating shafts 211a and 211b.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The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at one end.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112b)에 연결된다.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a device for providing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ed by 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transm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hrough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do.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have the hinges 114a and 114b, so that the door can be stably operated a number of times.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200 and the lifting means 30 for lifting and lifting the toile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oilet can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side of the use port, Any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oilet can be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device (collection means),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ut the wast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nd water are pumped to the toilet May be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결합 사시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to 12, the operation of the patient-use mouthpiece hav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침대 아래에 용변구가 그대로 개폐문을 받쳐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Fig. 8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toilet is directly under the bed to support daily life.

먼저, 환자가 대변이나 소변을 보고자 할 때에 동작스위치부(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승강수단(30)의 제 1액튜에이터(36)가 작용하여 상기 제 1,2팬터그래프(33)(34)의 연결봉(35)을 당기게 된다. The first actuator 36 of the elevating means 30 is actuat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pantographs 33 and 34 to the first and second pantographs 33 and 34, The connecting rod 35 is pulled.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펜터그래프부재(33)(34)의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변기가 지지된 상부가이드레일(32)이 하강하게 된다.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pentagraph members 33 and 34 is opened, and the upper guide rail 32 supporting the toilet is lowered.

도 9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변기(100)가 하강하면, 상기 자동개폐장치(200)을 작동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개폐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toilet 100 descends like this,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200 is operate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motors 210a and 210b As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분리 개폐되면,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가 좁혀짐 즉, 제 1,2팬터그래프부재(33)(34)의 단부가 상기 상하부 가이드 레일(31)(3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변기(100)가 상승하여 용변구(15)에 밀착된다.10, the first and second pantograph members 33 and 34 are narrowed by the first actuator 36 when the both side doors 200a and 200b are opened and clos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end of the pantograph members 33 and 34 is moved along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1 and 31 so that the toilet 100 is rai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 port 15.

따라서, 환자는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100)에 용변을 볼 수 있다. 변기(100)로 유입되는 용변 즉, 소변과 대변은 오물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다.Accordingly, the patient can see the toilet 100 in a lying or sitting position. The toilet, that is, the urine and the faeces flowing into the toilet 100 are discharged by the waste discharge device.

이와 같이 환자의 변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액튜에이터(36)와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에 의해 변기(100)가 하강한다.When the variation of the patient is completed, the toilet 100 descends by the first actuator 36 and the first and second penta graph members 33 and 34 as described above.

이 상태에서 다시 역순으로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회전시켜 상기 용변구(15)를 밀폐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two side doors 200a and 200b are rotated 180 degrees from side to side by the rotation motors 210a and 210b in the reverse order to close the side openings 15.

상기와 같이 변기와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닫히게 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변기가 상승하여 용변구(15)를 닫고 있는 양측 개폐문(200a, 200b)을 받쳐주게 되어 환자는 평상시의 침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oilet and the both side doors 200a and 200b are closed 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is rais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support the side doors 200a and 200b closing the toilet bowl 15. Thus, .

도 13, 14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낸 개략 결합 사시도 및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s. 13 and 14 show a schematic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joining method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은 상기 용변기(15)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200b)과 상기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사각개폐문틀(300)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경첩(114a, 114b)에 의하여 상기 사각개폐문틀(300)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의 좌우측으로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ans 200 includes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toilet bowl 15 and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300 is formed so that 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300 can be installed in 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30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300 by the hinges 114a and 114b, A pair of operating shafts 211a and 211b, and a pair of rotating motors 210a and 210b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tating shafts 300 and 300, respectively.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은 좌우측으로 상기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측면개폐문틀(300a, 300b)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브라켓(112a, 112b)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처짐을 방지하도록 앞뒤로 전후면개폐문틀(300c, 300d)을 형성하였다.The rectangul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300 is formed with side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s 300a and 300b on both sides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re organically coupled Front and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s 300c and 300d are formed in front and back to prevent sagging.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하부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16)에 설치된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oor 200b. The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hinges 114a and 114b, (211a, 211b).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회동시에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mat 16 and th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So that they do not mutually interfere with each other around the actuating shafts 211a and 211b.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lso function to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ogether with the hinges 114a and 114b and the actuating shafts 211a and 211b.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The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at one end.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연결된다.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a device for providing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 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ed by 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transm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hrough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do.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provided with the hinges 114a and 114b, so that the door can be stably operated a number of times.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 결합된 커버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200 and the lifting means 30 for lifting and lifting the toile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oilet can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side of the use port,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joining and separating the combined cover is possible.

도 15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변기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ng means as another embodiment of a patient bed toilet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100) 및 승강수단의 상하부가이드레일(31)(32)의 구조는 동일하나, 제 1액튜에이터(36)의 배치가 방향이 바뀌면서, 변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ile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1 and 32 of the elevating means are the same, but the first actuator 36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100 while the orientation of the first actuator 36 is changed. .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하부 가이드 레일(31)(31)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봉(35)은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1)(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With this structure,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enta graph members 33 and 34, which is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s 31 and 31,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rod 35, The upper guide rail 32 and the upper guide rail 32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lower guide rail 31 by the first actuator 36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guide rails 32 and 32 with respect to the lower guide rails 31 and 31, 100).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 후진되는 스크류(36c)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ctuator 36 includes a rotary shaft 36b driven by a motor 36a and a screw 36c screwed with the rotary shaft 36b and forward and backward as the rotary shaft 36b rotates . Power transmission from the motor 36a to the rotary shaft 36b may be accomplished by gears.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oilet can be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device (collection means),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ut the wast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nd water are pumped to the toilet May be provided.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는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Patient beds equipp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s equipped with such functions are used by patients who are not able to move or are uncomfortable when they are installed in a general home or a hospital room of a hospital. It can reduce the burden on you.

도 16,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이다.16 and 17 are a side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fting means of a patient bed provid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그 하부의 승강수단이 다른 상태임을 참조하면 된다.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other embodiments and that the lowering means of the lower portion is in a different state.

자동개폐장치(200)에 설치된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provided o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20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mat 16 and th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 toilet which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bottom by a difference in timing of mutual rotation of the do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interferences of the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opened and closed, 1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ange 101 of the flange 101.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좌측에 있는 개폐문의 사이즈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상단 폭(b)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a)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1.5배정도의 폭이 되되,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좌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200aa)을 중심으로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된 개폐문막음면(200ab)이 회전외곽점이 되어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on the left side of the open / close doors 200a and 200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thickness a thereof is mad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t 16, (b) is 2 to 3 times the thickness and the lower end width (c) is about the same as the thickness (a) or 1.5 times the width.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on one side, Closing face 200ab formed on the upper right corne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hinge point 200aa formed at the lower left corner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00a and 200b becomes a turning outer edge point, The interference with the flange 101 of the toilet bowl 100, which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bottom by the difference of the interlocking of the edges or the interlock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timing of descending the toilet, does not occur.

그러나, 상기 경사면의 경우에는 개폐문의 두께를 아주 얇게 설계가 정확할 경우에는 얇은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nclined surface,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ay be made very thin, and when the design is accurate, it may be formed into a thin rectangular hexahedron.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lso function to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ogether with the hinges 114a and 114b and the actuating shafts 211a and 211b.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The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at one end.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112b)에 연결된다.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a device for providing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ed by the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is transm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through the pair of horizontal brackets 112a and 112b, do.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have the hinges 114a and 114b, so that the door can be stably operated a number of times.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200 and the lifting means 30 for lifting and lifting the toile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oilet can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side of the use port, Any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oilet can be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device (collection means),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ut the wast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nd water are pumped to the toilet May be provided.

다음은 하부의 승강수단(3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lower elevating means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승강수단(300)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The left and right upper jack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bowl support 310 by hinge shafts 331a and 331b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holder 310, The left and right upper jack 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by the hinge shafts 341a and 341b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The hinge shafts 342a and 342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hinge connecting side portions 3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ack base 320. The hinge shafts 341a and 341a are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elevating means 300, And a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is formed on the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The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forms a through hole having a spiral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male screw rotation shaft 351 formed on the hinge shaft 341b 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length of the male screw rotation shaft 351 is adjusted by the spiral in the through hole, (353) and rotated by the motor (350).

그리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jack base 32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jack base 320 in a narrow space so that the base board 322 is narrowl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jack base 320. The other side of the jack base 320 includes a base The pedestal expansion reinforcing plate 327 is formed to be wide on both sides of the side walls 321 and 322 so that it can be stably disposed in a wide space.

다음은 상기 실시예에 대한 작동관계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승강수단(300)의 상부에 형성된 용변기받침대(310)는 모터(350)에 의해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의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과, 여기에 끼워진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이 회전되어 길이가 조절되면서, 결국 높이가 조절되어 변기(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e toilet bowl support 310 formed on the elevating means 300 has a through hole having a spiral at the center of the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by a motor 350 and a spiral hole The male screw rotation shaft 351 is rotated and the length thereof is adjusted so that the height is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ilet 100. [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oilet can be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device (collection means),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ut the wast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nd water are pumped to the toilet May be provided.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는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Patient beds equipp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s equipped with such functions are used by patients who are not able to move or are uncomfortable when they are installed in a general home or a hospital room of a hospital. It can reduce the burden on you.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환자용 침대
11: 다리
12: 프레임
12a: 메인 프레임
12b: 서브 프레임
15: 용변구
16: 매트
30: 승강수단
31: 하부 가이드레일
31a: 하부 가이드홈
32: 상부 가이드레일
32a,32b: 상부 가이드홈
33,34: 제 1,2펜터그래프 부재
35: 연결봉
36: 제 1액튜에이터
36a: 모터
36b: 회전축
36c: 모터
100: 변기
101: 플랜지
112a,112b: 수평 브라켓
200: 자동개폐장치
200a,200b: 개폐문
210a,210b: 회전모터
211a,211b: 작동축
214a,214b: 경사면
10: Bed for patients
11: Bridge
12: frame
12a: Main frame
12b: subframe
15: Toilet bowl
16: Matt
30: elevating means
31: Lower guide rail
31a: Lower guide groove
32: upper guide rail
32a, 32b: upper guide groove
33, 34: first and second penta-graph members
35: connecting rod
36: First actuator
36a: motor
36b:
36c: motor
100: toilet bowl
101: Flange
112a and 112b: horizontal brackets
200: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a, 200b: opening / closing door
210a and 210b:
211a and 211b:
214a and 214b:

Claims (2)

용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로서,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사각개폐문틀(300)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의 결합은 경첩(114a, 114b)으로 각각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사각개폐문틀(300)의 좌우측으로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으로 형성하되,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개폐문(200a, 200b)과 결합된 경첩(114a, 114b)만을 회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b)은 상기 폭(c)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며,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용변구(15)의 직하부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가지되,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A patient bed having a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use port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a mat (16) on which a use port (15) is formed and a quadrangular square opening / closing The door frame 300 is formed by coupling the openable doors 200a and 200b with the rectangular openable and closable door frame 300 by hinges 114a and 114b, The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are formed of a pair of operation shafts 211a and 211b driven by a pair of rotary motors 210a and 210b and hinges 114a, And the pai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end face and the thickness a thereof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t 16 and the lower end width c (B)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c), and the upper wid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00a and 200b are provided with inclined surfaces 214a and 214b downward at both side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losed surface of the opening to which the both sides are joined. The left and right upper jack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bowl support 310 to hinge shafts 331a and 331b The left and right upper jack bars 330a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by hinge shafts 341a and 341b and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jack bars 340a and 340b. And 340b are coupled by hinge shafts 342a and 342b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hinge connection side portions 3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ack mount 320. The hinge shafts 340b and 340b are connected to the hinge shafts 342a and 342b, The hinge shaft support guide 352 is formed on the shaft 341a, And a male screw rotation shaft 351 formed on one side hinge shaft 341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length of the male screw rotation shaft 351 is adjusted by the spiral in the through hole. (353) and rotated by a motor (350),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user's use is provided with an upper contact typ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The jack base (3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ack bracket (3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jack bracket body (322) Wherein a pedestal extension reinforcing plate (327) is wid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main body (322) so as to be stably disposed in a wide spac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tobacco Bed for patients
KR1020170051419A 2017-04-21 2017-04-21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KR102335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19A KR102335875B1 (en) 2017-04-21 2017-04-21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19A KR102335875B1 (en) 2017-04-21 2017-04-21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02A true KR20180118302A (en) 2018-10-31
KR102335875B1 KR102335875B1 (en) 2021-12-06

Family

ID=640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19A KR102335875B1 (en) 2017-04-21 2017-04-21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558A (en) * 2020-09-18 2020-12-04 宁波奥达智能家居有限公司 Packing closestool matched with nursing be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en) *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JPH11239591A (en) * 1998-02-24 1999-09-07 Akira Harada Medical treatment bed with stool
KR20000058591A (en)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A bed for patient
JP2003225261A (en) *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Bed having toilet
KR200343449Y1 (en) * 2003-11-25 2004-03-04 강호철 A patient bed
KR20080029590A (en) *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A bed for patient
KR100844442B1 (en) *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Patient bed with app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collecting bedpain
KR20120078544A (en) * 2010-12-30 2012-07-10 이앤에이웰(주) Technical bed for pati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en) *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JPH11239591A (en) * 1998-02-24 1999-09-07 Akira Harada Medical treatment bed with stool
KR20000058591A (en)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A bed for patient
JP2003225261A (en) *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Bed having toilet
KR200343449Y1 (en) * 2003-11-25 2004-03-04 강호철 A patient bed
KR20080029590A (en) *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A bed for patient
KR100844442B1 (en) *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Patient bed with app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collecting bedpain
KR20120078544A (en) * 2010-12-30 2012-07-10 이앤에이웰(주) Technical bed for pati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558A (en) * 2020-09-18 2020-12-04 宁波奥达智能家居有限公司 Packing closestool matched with nursing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875B1 (en)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8303A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JP2987290B2 (en) Bed equipment
KR100856669B1 (en) A bed for patient
WO2016150199A1 (en) Home care bed
KR101282765B1 (en) Nursing bed
KR100960094B1 (en) Lift chair having lifting module hingedly jointed thereto
KR101708454B1 (en) Plan a removable bed for patients
KR20180118301A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KR100671409B1 (en) Automatic bidet bed for patient
KR101494354B1 (en) Bed chair convertible into a toilet seat
KR20180118305A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US6976278B2 (en) Commode for wheelchair
KR20180118302A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KR20190067319A (en) Bed-Type Feces and Urine Treatment Device
KR102668266B1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JP4123484B2 (en) Patient bed
KR20200042669A (en) 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JP4920998B2 (en) Bed equipment
CN110893138A (en) Nursing bed
JP2006212377A (en) Nursing bed with toilet having bidet function
JP2001212185A (en) Bed with defecation device
KR20060000227A (en) Rise-and-fall type toilet installed in patient bed
KR200362236Y1 (en) Rise-and-fall type toilet installed in patient bed
KR100458481B1 (en) A bed convertible into a chair or bedpan
CN219941046U (en) Multifunctional overturning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