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033A -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033A
KR20180118033A KR1020170144598A KR20170144598A KR20180118033A KR 20180118033 A KR20180118033 A KR 20180118033A KR 1020170144598 A KR1020170144598 A KR 1020170144598A KR 20170144598 A KR20170144598 A KR 20170144598A KR 20180118033 A KR20180118033 A KR 2018011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melanosom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197B1 (ko
Inventor
박기돈
정화지
김흥재
임채진
윤석정
강종필
권선덕
고명호
정주연
김범철
신가영
오상호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스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스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스팜
Publication of KR2018011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A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elanosome degradation inducing compound through autophagy activity and a medicin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pigmentation}
본 발명은 자가포식 활성화를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포식 활성화 능력이 우수하여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자가포식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자외선, 염증 반응 등의 외부적인 자극요소에 의해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합성된다. 멜라닌 생합성은 타이로시나아제 (tyrosinase),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Pmel17 등의 다양한 유전자와 그에 해당하는 효소들의 작용에 의해 진행되며, alpha-MSH 호르몬, IL-1, alpha-TNF, GMCSF 등의 씨아토카인 (cytokine) 등 여러 가지 인자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고 있다.
타이로시나아제는 멜라닌 생합성의 속도 결정 단계인 초기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그 유전자 발현과 함량 및 활성에 의해 멜라닌의 양이 결정되며, 타이로신(tyrosine)을 DOPA(3,4-dihydroxylphenyl alanine)로 전환하는 tyrosine hydroxylase 활성과 DOPA를 DOPA quinone으로 산화하는 DOPA oxidase 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DOPAquinone으로부터 생성된 Dopachrome은 TRP-2와 TRP-1에 의해 DHICA(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와 indole-5,6-quinone-2-carboxyl acid로 각각 전환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닌세포의 수지상돌기에 의해 멜라노좀(melanosome) 형태로 주변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달이 되어 색소가 침착된다.
멜라노좀은 멜라닌세포 내에서 막에 결합된 세포소기관으로 멜라닌 색소가 합성되고 저장되는 곳이며, 색소가 없는 1, 2단계로부터 색소가 합성되는 3, 4단계 과정을 거쳐 멜라노좀이 형성된다. Pmel17은 멜라노좀의 초기 형성과정에서 멜라노좀 내의 피브릴 (fibril) 형성 및 멜라노좀 형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 내 에너지원이 고갈되거나 세포 내 스트레스 요인이 과도하게 발생했을 때 노후 혹은 손상된 세포 내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함으로 에너지 재생산 및 손상 물질을 제거하는 기작으로 정상적인 세포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노화가 진행될수록 또는 노화를 가속화시킬수록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이 급격히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자가포식을 억제시킨 경우 세포 내에 노후 미토콘드리아나 잘못 접힌 단백질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세포 내 자유 라디칼 및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결국에 세포 사멸에 의한 유전자 단편이 생기고 이 단편은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게 되어 멜라노좀의 성숙화 및 각질세포로의 수송이 유도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 내 노후된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하고 재활용하는 자가포식과 항산화 단백질의 활성화를 통해세포의 사멸을 예방하고, 변형된 단백질과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 등을 빠르게 제거하고, 궁극적으로 세포가 좀 더 건강한 상태로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멜라노좀의 성숙화 요인을 제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 보고에 따르면 피부의 색이 자가포식의 활성에 의해서 조절된다고 하며, 자가포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인공피부의 색이 밝아지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에 멜라노좀 형성 억제와 자가포식을 동시에 촉진시켜 피부 색소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Hung et al. Autophagy,2009, 5, 4, 502-510 Hearing & Jimenez, Int J Biochem, 1987, 19(12), 1141-7 Funasaka et al. J Lipid Res. 1999, Jul;40(7), 1312-6 Qi et al. PLOS one, 2012, 7, 10, e46834 Xilouri et al. Brain, 2013, 136, 2130-2146 Kim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14, 124, 8, 3311-3324
본 발명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특히 멜라닌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포 내 자가포식을 활성화하여 멜라노좀의 성숙화 및 각질 세포의 내포 작용을 억제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기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인 제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자가포식을 활성화하여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고,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환 및 현상을 개선,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멜라노좀분해를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을 줄이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함으로써 놀라운 미백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노좀 분해를 유도하는 본 발명의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색소 침착의 치료 및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멜라노좀 분해 기작을 도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처리에 의해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감소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 1이 멜라닌의 세포 침착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한 세포 독성이 없는 처리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노좀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한 멜라닌 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한 전자 현미경 상에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화에 따른 각질 세포내 멜라노좀 침착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를 유도할 수 있어 미백용으로 다양한 용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기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놀랍게도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해 멜라노좀 분해를 유도하고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의 성숙화를 억제하며, 세포내 내포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의 미백에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화는 젊은 사람의 조직 및 세포에서는 활발이 일어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 내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자가포식 활성도가 급격히 저하되게 되어, 세포 내 노후 단백질,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가 시의적절하게 제거되지못해 세포 노화 현상이 급속도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각 세포, 조직 및 개체의 노화를 억제하고 노화로 인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가포식의 활성화는 세포 내 해로운 단백질 및 기관의 제거를 통해 노화된 세포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각 개체의 수명 증가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선행 보고에 의하면, 자가포식의 활성화는 인종에 따른 피부색을 조절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것은 자가포식이 피부의 색소 침착을 조절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Daiki Murase et al., J Invest Dermatol., Oct;133(10), 2416-24, 2013).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멜라노좀 생성과 각질 세포로의 침착을 억제시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대시키고, 멜라노좀의 분해 유도 및 멜라노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과색소침착, 기미,일광흑색점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내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멜라노좀 분해를 유도하고,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의 성숙화를 억제하며 각질 세포내의 내포 작용을 억제하는 자가포식 활성화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함으로써 놀라운 미백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한 멜라닌 세포내의 멜라노좀의 성숙화를 억제하여, 피부의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에 보다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과 유사한 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에서 n이 0, 1 내지 4, 6 및 8 내지 10인 화합물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유도하는 화합물이나, 멜라노좀의 분해유도, 멜라노좀의 성숙화 및 세포내 내포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과 동일한 골격이며, 단지 알킬의 개수만이 상이한 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에서 n이 0, 1 내지 4, 6 및 8 내지 10인 화합물은 멜라노좀의 분해 유도,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의 성숙화를 억제 및 세포내 내포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단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즉, 화학식 1에서 n이 5 또는 7인 화합물만이 미백, 구체적으로 멜라노좀의 분해유도, 멜라노좀의 성숙화 및 세포내 내포 작용을 억제하는 놀라운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자기포식 활성화 유도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카이랄 비대칭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1의 자가포식 활성화 유도 화합물은 라세미체 및 광학적 활성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및 거울상 이성질체 모두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향상된 미백효과를 가지기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용도, 적용 형태, 사용 목적 및 소망하는 효과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함량 대비 효과를 고려하여,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실질적인 자가포식 활성화 효과를 가지면서 제형의 안정성 및 저장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통상의 제품화 또는 제제화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안정화제, 유화제, 점증제, 액정 막강화제, 안료,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함량은 최종 산물의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등의 방부제; 메톡시계피산유도체, 디페닐아크릴산유도체, 살리실산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유도체, 트리아진유도체, 벤조페논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유도체, 안트라닐유도체, 이미다졸린유도체, 4,4-디아릴부타디엔 유도체및페닐벤즈이미다졸유도체계등의 자외선 흡수제;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 등의 지방(fatty) 알코올 및 비스피이지15/메틸에틸디메틸 실란,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등의 실리콘 폴리머 등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에서 선택되는 유화제가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4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7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8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9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7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8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1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베헤네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릴과 지방산을 반응시켜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점도를 부여하여 사용감 및 제형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보머, 카보폴, 젤라틴, 잔탄검, 천연 셀룰로오스, 하이셀, 메틸 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정 막강화제는 액정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촘촘하게 울타리를 연결하여 액정의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토스핑고신, 비스하이드록시에틸 비스세틸말로아미드, 콜레스테롤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롤 올레이트,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세라마이드 류(일예,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6)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체질 안료,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유기 분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체질 안료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등이 가능하고, 백색 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이 가능하고, 착색 안료로는 벤가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및 카본 블랙 등이 가능하고, 진주광택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 등이 가능하며, 금속 분체로는 금, 은, 동, 팔라듐, 백금 등이 가능하며, 유기 분체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셀룰로오스, 녹말 등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공지된 바의 천연물, 무기계, 및 유기계 안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안료로는 치자옐로우, 치자블루, 치자그린, 치자레드, 홍국적 색소, 홍국황 색소, 홍화황색소, 아나토 색소, 코치닐 색소, 락 색소, 고량 색소, 포도과피 색소, 적양배추 색소, 엘더베리 색소, 블루베리 색소, 푸프리카 색소, 캬라멜 색소, 적무우 색소, 감 색소, 전류화 색소, 리보플라빈, 베타카로틴, 카카오 색소, 터메릭 색소, 콘레드 색소, 비트레드 색소, 안토시안, 안토시아닌, 피코시안, 피코시아닌, 클로로필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무기계 안료로는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철(적색, 흑색, 황색, 갈색),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크롬,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코발트, 산화세륨, 산화니켈, 수산화칼슘, 수산화철,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크로뮴, 수산화마그네슘, 페릭암모늄페로시아나이드, 프러시안 블루, 황화철, 망간 바이올렛, 카본블랙, 마이카, 카올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유기계 안료로는 인디고 레이크, 카르민 레이크, 잘 알려진 FD&C 및 D&C 염료 시리즈 유래의 레이크, 예컨대 D&C Red 21 알루미늄 레이크, D&C Red 7 칼슘 레이크, 방향성 아조, 인디고이드, 트리페닐메탄, 안쓰라퀴논 및 쟌틴 염색제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성 염료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서, 피부 외용, 경피 또는 피하 투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 또는 경피,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 투여가 가능한 조성물일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원인에 의한 피부의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됨으로써 피부외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되는 형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솔비톨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벤질알코올, 이소프로판올,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메틸이소소르비드, N-메틸-2-피롤리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글리세레스-26, 메틸글루세스-20,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용매의 혼합비에 따라 용매에 대한 화합물의 용해도가 조금씩 다르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제품의 특성에 따라 용매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알맞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여시의 경피 투과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로켑람 유도체 및 올레인산, 모노올레이트 유도체의 에스테르 유도체, 아다팔렌, 트리티노인, 레틴알데하이드, 타자로틴, 살리실산, 아질라익산, 글라이콜산, 에톡시다이글라이콜, 트윈80, 레시틴 올가노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가포식 활성화 작용 효과를 부여해주는 조성물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비듬 방지제, 각질 연화제, 혈행 촉진제, 세포 활성제, 청량제, 보습제, 항산화제, pH 조절제, 정제수 등의 보조 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서 적절한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또는 두피에 경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제품, 면도용 제품, 모발 제품 등의 모든 화장품 제품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세하게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에스테르와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지방족알코올설페이트, 지방족알코올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아미드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글리세롤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함유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비함유 클렌징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수건 및 클렌징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워터 및 클렌징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트리플루로초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학 조성물은 주로 경구, 정맥, 복강, 근육 및 피하 투여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의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제제의 제조, 압축성, 외관 및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들면,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가용화제, 완충제, 감미제, 기제, 흡착제, 교미제, 결합제, 현탁화제, 경화제, 항산화제, 광택제, 착향제, 향미제, 안료, 코팅제, 습윤제, 습윤조정제, 충전제, 소포제, 청량화제, 저작제, 정전방지제, 착색제, 당의제, 등장화제, 연화제, 유화제, 점착제, 점증제, 발포제, pH조절제, 부형제, 분산제, 붕해제, 방수제, 방부제, 보존제, 용해보조제, 용제, 유동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일예로,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제형이라 함은 예를 들면 경구(정제, 캡슐제, 분말제), 구강 내, 혀 밑, 직장 내, 질 내, 비강 내, 국소 또는 비경구(정맥 내, 해면체 내, 근육 내, 피하 및 관 내를 포함) 투여 제형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포식 활성화 유도 화합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 내, 해면체 내, 근육 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되는 경우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를 함유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정제, 필, 캡슐, 과립, 분말, 산제, 액제, 패치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합성
실시예 1-1. 화합물 1a 합성
Figure pat00005
800ml 의 반응 용기에 2-chloro trityl chloride resin (100-200mesh, Novabiochem20g,1당량)과 Fmoc-Lys(Dde)-OH(Nα-Fmoc-Nε-Dde-L-lysine,Nα-Fmoc-Nε-[1-(4,4-dimethyl-2,6-dioxocyclohexylidene)ethyl]-L-lysine) (21.3g, 2당량) 및 DIPEA(29.9ml, 8당량)을 DCM(700ml)을 넣어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0ml의 DCM(다이클로로메탄)과 MeOH, DCM, DMF(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화합물 1a(Fmoc-Lys(Dde)-O-2-chloro trityl resin)을 99% 수율로 23g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화합물 1b 합성.
Figure pat00006
800ml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a와 700ml의 20% piperidine in DMF을 넣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한 후, 필터하여반응액을 제거하였다. 700ml의 20% piperidine in DMF을 한번 더 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0ml의 DCM과 MeOH, DCM, DMF 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Lys(Fmoc)-OH(47.3g, 4당량)와 HOBt(10.8g, 4당량)그리고 DIC(12.4ml, 4당량)을 600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0ml의 DCM과 MeOH, DCM, DMF 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화합물 1b(Fmoc-Lys(Fmoc)-Lys(Dde)-O-2-chloro trityl resin)을 98% 수율로 25g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화합물 1c 합성
Figure pat00007
800ml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b와 700ml의 20% piperidine in DMF을 넣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한 후,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였다. 700ml의 20% piperidine in DMF을 한번 더 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0ml의 DCM과 MeOH, DCM, DMF 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tert-butyl bromoacetate(59.1ml, 20당량)와 DIPEA(69.7ml, 20당량)를 600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동안 반응하였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500ml의 DMF 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다시 1,8-Bis(dimethylamino)napthalene(85.7g, 20당량)와 tert-butyl bromoacetate(59.1ml, 20당량) 및 DIPEA(69.7ml, 20당량)를 600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0ml의 DCM과 MeOH, DCM, DMF 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화합물 1c(tert-butoxycarbonylmethyl)2-Lys(tert-butoxycarbonylmethyl)2-Lys(Dde)-O-2-chloro trityl resin)을 95% 수율로 31g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화합물 1d 합성
Figure pat00008
800ml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c와 700ml의 2% hydrazine in DMF을 넣어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500ml DMF 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다시 700ml의 10% DIPEA in DMF를 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0ml의 DCM과 MeOH, DCM, DMF 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화합물 1d(tert-butoxycarbonylmethyl)2-Lys(tert-butoxycarbonylmethyl)2-Lys(NH2)-O-2-chloro trityl resin)을 99% 수율로 30g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화합물 1의 합성
Figure pat00009
10ml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460mg, 1당량)를 넣고, dodecanoic acid(320ul, 8당량)와 DIC(248ul, 8당량) 그리고 HOBt(216mg, 8당량)를 5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ml의 DCM과 MeOH, DCM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한 후, 5ml의 cleavage cocktail(trifluoro acetic acid : triisopropylsilane : DW = 95 : 2.5 :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45ml의 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45ml의 diethyl ether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1(LC mass로 측정된 분자량: 688.81)을 62% 수율로 72mg 수득하였다.
[실시예 2]화합물 2의 합성
Figure pat00010
10ml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460mg, 1당량)를 넣고, palmitic acid(308mg, 8당량)와 DIC(248ul, 8당량) 그리고 HOBt(216mg, 8당량)를 5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각 각 5ml의 DCM과 MeOH, DCM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한 후5ml의 cleavage cocktail(trifluoro acetic acid : triisopropylsilane : DW = 95 : 2.5 :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45ml의 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45ml의 diethyl ether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동결건조하여 화합물 2(LC mass로 측정된분자량: 744.93)을 70% 수율로 80mg 수득하였다.
[비교 예 1]화합물 3의 합성
Figure pat00011
10ml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460mg, 1당량)를 넣고, decanoic acid(275ul, 8당량)와 DIC(248ul, 8당량) 그리고 HOBt(216mg, 8당량)를 5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ml의 DCM과 MeOH, DCM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한 후, 5ml의 cleavage cocktail(trifluoro acetic acid : triisopropylsilane : DW = 95 : 2.5 :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45ml의 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45ml의 diethyl ether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3(LC-Mass로 측정한 분자량 : 660.36)을 66% 수율로 79mg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화합물 4의 합성
Figure pat00012
10ml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460mg, 1당량)을 넣고, octanoic acid(230ul, 8당량)와 DIC(248ul, 8당량) 그리고 HOBt(216mg, 8당량)를 5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ml의 DCM과 MeOH, DCM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한 후, 5ml의 cleavage cocktail(trifluoro acetic acid : triisopropylsilane : DW = 95 : 2.5 :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45ml의 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45ml의 diethyl ether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동결건조하여 화합물 4(LC-Mass로 측정한분자량 : 632.7)을 56% 수율로 62mg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화합물 5의 합성
Figure pat00013
10ml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460mg, 1당량)을 넣고, hexanoic acid(186ul, 8당량)와 DIC(248ul, 8당량) 그리고 HOBt(216mg, 8당량)를 5ml의 DMF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ml의 DCM과 MeOH, DCM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한 후, 5ml의 cleavage cocktail(trifluoro acetic acid : triisopropylsilane : DW = 95 : 2.5 :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45ml의 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45ml의 diethyl ether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5(LC-Mass로 측정한분자량 : 604.65)을 64% 수율로 77mg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4]본 발명의 화합물 1 및 화합물 5에 의한 MITF발현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처리에 의한 세포 내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발현 변화를 비교예 3의 화합물 5와 비교분석하기 위해 MITF primer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cat# MEL-F, zenbio)는 배양용 6well plate 에 1 X 105 개의 세포 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멜라닌 세포 성장 배지(melanocyte growth medium, cat# MEL-2, zenbio)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5 각각을 100mM의 농도로녹여 농축액으로 하고, 이를 배지로 희석하여 200uM의 농도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1ml의 배지가 우선 들어있는 상태에 각 희석액을 1ml씩 넣어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한 뒤 Trizol(Life Science)로 세포를 파쇄하였고, chloroform/isoprophanol로 전체 mRNA를 모은 후 reversetranscriptase로 cDNA를 합성하여 MITF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해 real-time PCR(QuantStudio3, ThermoFisher)을 수행하였으며,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이 화합물 5에 비해 MITF의 발현을 더 많이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의 성숙화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5]본 발명의 화합물1와 화합물 5에 의한 멜라닌 침착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1이 멜라닌 침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멜라닌 처리를 통한 침착 억제 정도를 비교예 3의 화합물 5와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사람 유래의 각질형성세포(HEKn, cat# C0015C, Gibco)를 배양용 6well plate에 1 X 105 개의 세포 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 EpiLife(cat# MEPI500CA,Gibco)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5 각각을 100mM의 농도로 녹여 농축액으로 하고, 이를 배지로 희석하여 200uM의 농도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1ml의 배지가 우선 들어있는 상태에 각 희석액을 1ml씩 넣어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멜라닌 10mg/ml을 2ul씩 첨가해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Trypsin-EDTA(cat# LS-015-09,WELGENE)를 이용하여 세포를 plate로부터 분리하여 1.5ml tube로 옮긴 뒤,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의 사진을 촬영하고 그 침전물을 1N NaOH에 녹인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파장: 400nm, Epoch, BioTek).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이 화합물 5에 비해 세포 내의 멜라닌 침착을 더 많이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적정 처리 농도 확인
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한 세포 독성이 없는 처리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화합물 2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세포(human primary melanocyte)에서 세포사멸 분석을 시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세포 수를 1x104 cells/well 로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2을 10mM의 농도로 DMSO로 녹여 농축액으로 하고, 이를 배지로 희석하여 2.5, 5, 10, 20, 30, 50, 100u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일후에 plate의 배지를 제거하고 MTT 시약 (sigma,0.5 mg/ml) 100 ul 처리하였다. 4시간 후 시약을 제거하고 DMSO을 넣은 후 ELISA leader로 57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도 4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합물 2는100uM까지도 세포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후 실험에서는 10, 20uM의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6]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 증가 및 멜라닌 세포 활성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한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과 멜라닌 세포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LC3(light chain 3; 자가포식 마커), Pmel17,타이로신나아제단백질에 대한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화합물 2를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를 단백질 분해 억제제가 포함되어있는 세포 용해 버퍼 (cell lysis buffer)을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전체 용액을 분획한 뒤, 단백질이 포함된 용액만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단백질은 BCA(Bicinchoninic acid) 방법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20 ug의 단백질을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막에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은 비 특이적 결합을 줄이기 위하여 5% 탈지유(non-fat milk)가 포함된 TBS-T(Tris-buffered saline/0.05% Tween-20) 용액으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한 후, 1차 항체를 4 조건에서 하룻밤(overnight)동안 반응시킨 뒤 2차 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시각화를 위해서는 화학 발광 시스템 (Enhance chemiluminescence syste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도 5에 나타내었으며,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2에서 LC3-Ⅱ(성숙한 자가소화포 마커)의 생성이 증가하고 Pmel17과 타이로신나아제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본 발명의 화합물2에 의한 멜라닌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해 멜라닌의 생성이 감소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포 내의 멜라닌의 양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사람 유래의 멜라닌 세포를배양용 6well plate에 세포 수를 3x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화합물 2를 10mM의 농도로 DMSO로 녹여 농축액으로 하고, 이를 배지로 희석하여 10, 20uM의 농도로 처리한 후 4일동안 배양하고 단백질 용해 버퍼(Lysis buffer)에 용해한 후 용해물을 따로 분리하고 남은 침전물에 1N NaOH 를 넣고 60 에서 2시간동안 용해하였으며, ELISA leader를 이용하여 40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입한 합성 멜라닌 (SIGMA)을 표준곡선으로 멜라닌 양을 정량하였다. 각 시료의 멜라닌 양은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고, 화합물 2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멜라닌 양에 대한 백분율로 멜라닌 합성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2를 처리하면 멜라닌 세포 내의 멜라닌 양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한 멜라노좀 감소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처리에 의해 멜라노좀이 감소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사람 유래의 멜라닌 세포를 배양용 6 well plate에3x105cells/well 로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화합물 2를 20uM로 처리하고 2일동안 배양한 후 EM용 고정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고정한 후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세포내 멜라닌 분해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내에 멜라노좀이 많이 존재하는 대조군과 달리 본 발명의 화합물 2를 처리하면 멜라노좀의 양이 감소하였고 자가소화포 안에 멜라노좀이 들어가 있거나 분해된 것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화합물 2에 의한 멜라노좀분해 효과
본 발명의 화합물2의 처리하여 각질세포에 들어간 멜라노좀이 자가포식을 통해 분해되는지 분석하기 위해 각질세포에 정제한 멜라노좀을 처리하고 멜라닌 함량과 멜라노좀 지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사람 유래의 고농도의 멜라닌이 들어있는 흑색종 세포(MNT-1)에 Buffer(20 mM Tris-HCl (pH7.2), 150 mM NaCl, 1 mM EDTA, 250 mM Sucrose)를 넣고 얼렸다 녹였다를 2회 반복하여 세포막을 깨고 10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다.상등액에 위의 Buffer를 동일 양만큼 넣고 25000 rpm, 30 min, 4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멜라노좀을 얻어냈다. 멜라노좀이 탐식(uptake)된 각질형성세포(human primary kerationocyte)의 멜라닌 분해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00mm dish에 세포수를 4x105cells/dish로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MNT-1 세포에서 분리된 멜라노좀 (5 ug/ml)을 처리한 후, 하루 뒤에 화합물을 농도별로(10, 20uM) 처리하고 2일동안 배양한 후 세포 침전물의 색깔로 멜라닌 분해정도를 확인하였다. 침전물은 단백질 분해 억제제가 포함되어있는 세포 용해 버퍼 (cell lysis buffer)을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전체 용액을 분획한 뒤, 단백질이 포함된 용액만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단백질은 BCA(Bicinchoninic acid) 방법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20 ug의 단백질을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막에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은 비 특이적 결합을 줄이기 위하여 5% 탈지유(non-fat milk)가 포함된 TBS-T(Tris-buffered saline/0.05% Tween-20) 용액으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blocking) 한 후, 1차 항체를 4 조건에서 하룻밤(overnight) 동안 반응시킨 뒤 2차 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시각화를 위해서는 화학 발광 시스템 (Enhance chemiluminescence syste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으며,도 8및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2를 처리한 경우에는 자가포식 지표인 LC3-II가 증가하고 멜라노좀 지표인 Pmel17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화합물 2가 자가포식을 활성화하여 각질세포에 침착된 멜라노좀을 제거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은 멜라닌 세포의 자가포식 활성을 유도하여 멜라노좀을 분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각질형성세포내의 멜라닌을 감소시켜피부 색소 침착 완화, 치료 및 예방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화합물 2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합물 2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모든 성분을 유화 반응기에 투입하여 80로 가열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유화가 종료되면 교반기에 의해 교반시켜 상온으로 서서히 냉각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0의 함량
(중량%)
화합물 화합물 2
4.0
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5.0
잔탄검 0.2
알란토인 0.05
카보머(1% 용액) 10.0
L-아르기닌(1% 용액) 10.0
카프리산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스테아린산 0.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트윈 60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3
세틸알콜 2.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
싸이클로펜타실리옥산 6.0
정제수 잔량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안정화제, 유화제, 점증제, 액정 막강화제, 안료,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을 더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것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5 또는 7의 정수이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20170144598A 2017-04-20 2017-11-01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979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44 2017-04-20
KR20170050844 201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33A true KR20180118033A (ko) 2018-10-30
KR101979197B1 KR101979197B1 (ko) 2019-05-20

Family

ID=641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598A KR101979197B1 (ko) 2017-04-20 2017-11-01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92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인코스팜 두피 개선 및 탈모 완화용 펩타이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804A (ja) * 2005-08-17 2006-09-07 Asahi Kasei Chemicals Corp 低刺激性の基礎化粧料
KR20130110914A (ko) * 2012-03-30 2013-10-10 주식회사 피코스텍 피부 보습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804A (ja) * 2005-08-17 2006-09-07 Asahi Kasei Chemicals Corp 低刺激性の基礎化粧料
KR20130110914A (ko) * 2012-03-30 2013-10-10 주식회사 피코스텍 피부 보습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nasaka et al. J Lipid Res. 1999, Jul;40(7), 1312-6
Hearing & Jimenez, Int J Biochem, 1987, 19(12), 1141-7
Hung et al. Autophagy,2009, 5, 4, 502-510
Kim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14, 124, 8, 3311-3324
Qi et al. PLOS one, 2012, 7, 10, e46834
Xilouri et al. Brain, 2013, 136, 2130-214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92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인코스팜 두피 개선 및 탈모 완화용 펩타이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197B1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682B1 (fr) Nouvelles molecules derivees de la noraporphine
JP5647972B2 (ja) 環状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ES2886965T3 (es) Péptidos que presentan una actividad promotora del crecimiento del cabello y/o una actividad promotora de la producción de melanina y su uso
JP7284316B2 (ja) 皮膚美白活性を持つ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6479B1 (ko)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신규 자가포식작용 활성화 유도 화합물
KR101705338B1 (ko) 항산화, 항노화 및 자가포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06241B1 (ko) 아디포넥틴의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또는 피부 붉은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979197B1 (ko) 자가포식작용 활성을 통한 멜라노좀 분해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EP3800194B1 (en) 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and use thereof
EP3225238B1 (en) Composition for inducing facilitation of cell rejuvenation comprising genistein or epigallocatechin gallate
KR20200064762A (ko) 여드름 개선 화장료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2017382845B2 (en) Methods of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KR20230012482A (ko)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56508B1 (ko) 아크레모니딘 e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0744B1 (ko) 백모증 개선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096600B1 (ko) 자가포식 활성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의 염증 개선 화장료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117869A (ko)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유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0463588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r alleviating skin redness, and medicin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compound inducing increase in expression of adiponectin
EP2414382B1 (fr) Peptides eclaircissants activateurs du proteasom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KR20220065439A (ko) 트리코데르마 아트로비리데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8365A (ko)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6135A (ko) 백모 예방용 및 백모증 또는 백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1766A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85564A (ko) 니아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