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92A -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92A
KR20180117892A KR1020170051001A KR20170051001A KR20180117892A KR 20180117892 A KR20180117892 A KR 20180117892A KR 1020170051001 A KR1020170051001 A KR 1020170051001A KR 20170051001 A KR20170051001 A KR 20170051001A KR 20180117892 A KR20180117892 A KR 20180117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lectrode
electrode layer
hardness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8301B1 (en
Inventor
이지나
김태기
주상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301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pressure sensing sensor, which compris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having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Moreover,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 support base and a plurality of sensing areas separately disposed on the support base. The sensing areas includ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covering the edge of the first area. Moreover, the first area has an elastic body with a first gradient, and the second area has an elastic body with a second gradient lower than the first gradient. In addition,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econd area.

Description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ing sensor and a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pressure sensing sensor.

본 발명은 압력 감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ssure sen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and apparatus for sensing pressure.

가정용 안전 장치뿐만 아니라 체압 분포를 이용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sensing pressure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utilizing home pressure safety as well as pressure distribution.

압력 감지 장치는 하부 전극, 하부 전극 상에 배치된 중간층, 그리고 중간층 상에 배치된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중간층은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 탄성체일 수 있다. 압력 감지 장치 상에 가해지는 압력은 중간층의 저항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감지 장치의 성능은 중간층의 탄성 복원력, 전도 성능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es a lower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an elastic body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The pressure applied o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can be detected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resistance of the intermediate layer changes. The performance of such a pressure sensing device may be affec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conducting performance of the intermediate layer.

일반적으로, 중간층은 폼 형태의 탄성의 기재를 전도성 용액에 침지한 후, 세정 및 건조를 거치는 과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 상에 압력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도전성 입자가 이탈되어 압력 감지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중간층이 저밀도의 폼으로 제작된 경우,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폼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중간층이 고밀도의 폼으로 제작된 경우 폼 형상의 변형은 줄일 수 있으나,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두께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가변 저항의 범위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Generally, the intermediate layer can be manufactured by immersing a base material in an elastic solution in a conductive solution, followed by washing and drying. If pressure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detached to deteriorate the pressure sensing performance. Particularly, when the intermediate layer is made of a low-density foam, the foam shape may be deformed due to repeated use for a long period of time, resulting in poor dur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mediate layer is made of a high-density foa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foam, but the variation of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is not so larg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sensing device for sensing a pressure according to an applied weigh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는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 그리고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지지기재 및 상기 지지기재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각 센싱 영역은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다.A pressur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 support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supporting substrate, wherein each sensing region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n edge of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first hardness and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econd hardness lower than the first hardness,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econd region.

상기 제2 영역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 영역일 수 있다.The second region may be a variable resistance region whos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an applied pressure.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상기 제1 경도는 상기 제2 경도의 1.2 내지 2배일 수 있다.The first hardness may be 1.2 to 2 times the second hardness.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의 2 내지 8배일 수 있다.The area of the second region may be 2 to 8 times the area of the first region.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지지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기재와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A first adhes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upporting substrat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substrat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중 일부의 제1 경도는 나머지 일부의 제1 경도와 상이할 수 있다.The first hardness of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hardness of the remaining por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는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 그리고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지지기재 및 상기 지지기재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각 센싱 영역은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다.A pressur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ing sensor, a sign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sensor, for processing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ing sensor,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sensor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 support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supporting substrate, 1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rang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has a first hardness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econd hardness lower than the first hardness, and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압력 분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detect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pplied weight and accurately detect the pressure distributi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가변저항의 범위가 큰 중간층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압력 감지 성능을 가지는 압력 감지 장치를 얻을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high durability and a large range of variable resistance can be obtained. Thereby, a pressure sensing device having reliable pressure sens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포인트 별로 독립적으로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sense the pressure for each sensing poin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되는 센싱 영역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센싱 영역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 및 압력이 가해진 후의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되는 센싱 영역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가 적용되는 압력 감지 인솔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런닝 시 분포되는 족압(kPa)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가 적용되는 압력 감지 인솔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ing region included in an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sensing area of FIG. 4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pressure;
6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ing region included in an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econd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econd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pressur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of a pressure sensing insole to which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2 shows the foot pressure (kPa) distributed during running.
1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pressure sensing insole to which the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describing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a substrate, a layer, Includes all that is formed directly or via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top / bottom or bottom / bottom of each layer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제1 전극층(110), 제2 전극층(120), 그리고 제1 전극층(110)과 제2 전극층(12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1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층(110)은 제1 전극(미도시)에 연결되고, 제2 전극층(120)은 제1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전극(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리지드(rigid)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flexible)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중간층(130)은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 탄성체일 수 있다.1 and 2, the pressure sensor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10, a second electrode layer 120, an intermediate layer 130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not shown),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not shown)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via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an elastic body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이때,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은 도금 전극 또는 프린팅 전극일 수 있으며,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전극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금 전극 또는 프린팅 전극은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기재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직물 또는 우레탄계 필름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a plating electrode or a printing electrode, and may be a flexible and stretchable electrode. For this purpose, the plating electrode or printing electrode may be formed on a flexible and stretchable base substrate, which may be, for example, an ester-based fabric or a urethane-based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는,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은 도전성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 또는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일 수 있다. 도전성 섬유는 금속 입자가 분산된 일반 섬유일 수도 있다. 도전성 섬유가 금속 와이어인 경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은 10㎛ 내지 500㎛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금속 와이어의 강도가 약하여 직물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500㎛를 초과하면 금속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직물의 가공 시 설비에 데미지를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이때, 금속 와이어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합금은, 예를 들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2상계 스테인레스 합금, 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가 스테인레스 합금인 경우, 압력 감지 센서(100)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섬유가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인 경우, 금속 막은 금속 입자가 도금 방식 또는 증착 방식으로 일반 섬유의 표면 상에 피복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입자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는 1㎛ 내지 50㎛일 수 있다. 금속 막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전도율이 낮으므로 신호 전송 시에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면 섬유의 표면에서 금속 막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include conductive fibers. Here, the conductive fiber may be a metal wire or a plain fiber coated with a metal film on the surface. The conductive fibers may be ordinary fibers in which metal particles are dispersed. When the conductive fiber is a metal wire,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may be 10 탆 to 500 탆. If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is less than 10 mu m, the strength of the metal wire may be too weak to process the fabric. If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exceeds 500 mu m, the rigidity of the metal wire may be high, It can damage the equipment, and the user is likely to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At this time, the metal wire may be Cu, Ni, or a stainless steel alloy. The stainless alloy may be, for example, a martensitic stainless alloy, a ferritic stainless alloy, an austenitic stainless alloy, a two-phase stainless alloy, a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alloy, or the like. When the metal wire is a stainless steel alloy,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ressure sensor 100 can be increased. When the conductive fiber is a general fiber coated with a metal film on its surface, the metal film may be 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metal particles a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ommon fiber by a plating method or a vapor deposition method. At this time, the metal particles may be Cu, Ni, or a stainless alloy,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film may be 1 to 50 탆.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film is less than 1 탆, the conductivity may be low, which may cause a loss in signal transmission.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film exceeds 50 탆, the metal film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fiber.

도 1과 같이, 제1 전극층(110)의 전체가 제1 전도 영역을 이루고, 제2 전극층(120)의 전체가 제2 전도 영역을 이룰 수 있다. 1, the entire first electrode layer 110 may form the first conductive region, and the entirety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form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또는, 도 2와 같이, 제1 전극층(110)은 제1 전도 영역(112)을 포함하고, 제2 전극층(120)은 제2 전도 영역(1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전도 영역(112) 및 제2 전도 영역(122)은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된 도금 전극 또는 프린팅 전극일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제1 전도 영역(112) 및 제2 전도 영역(122)은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직물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아래 위로 교차하여 짜여진 천을 의미하며, 날실과 씨실이 규칙적으로 짜여진 천뿐만 아니라 부정형으로 배치된 부직포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regio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include a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Here,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and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may be a plating electrode or a printing electrode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fabric, and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and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may be formed of a fabric including conductive fibers. Here, the fabric means a fabric in which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are interwoven one above the other, and can include nonwoven fabrics arranged in an irregular manner as well as regularly interwoven fabrics of warp and weft yarns.

여기서, 제1 전극층(110)의 제1 전도 영역(112)과 제2 전극층(120)의 제2 전도 영역(12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도 영역(112) 및 제2 전도 영역(122)이 교차하는 지점은 하나의 센싱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and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point where the two conductive regions 122 intersect can serve as a single sensing point.

이에 따라, 센싱 포인트를 가압하면, 제1 전도 영역(112)과 제2 전도 영역(122) 간의 간격, 즉 중간층(130)의 두께는 줄어들게 된다. 가해지는 힘이 클수록 중간층(130)의 두께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는 줄어들게 되며, 중간층(130)의 단위 체적 당 도전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고, 도전 물질 간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층(130)은 정상 상태에서 절연 특성을 가지나, 중간층(130)의 주변에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중간층(130) 상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중간층(130)의 두께 또는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의하여, 압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중간층(130)의 압저항이 낮아지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100)는 압저항의 변화량에 따라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nsing point is press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and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is reduced. As the applied force increases,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and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decreases,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per unit volum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in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materials may become closer. The intermediate layer 130 has an insulating property in a steady state but may be damaged when a physical change occurs around the intermediate layer 130 or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130, Or volume, the piezoresistance is lowered. When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is lowered,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we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iezoresistance.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도 영역(112)은 제2 전도 영역(122)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나의 제1 전도 영역(112) 상에 복수의 제2 전도 영역(122)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onductive region 11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conductive region 122,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regions 122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onductive regions 112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의 구조를 변경하여 중간층의 가변 저항의 범위 및 내구성을 동시에 높이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changed to simultaneously increase the r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and the durability of the intermediate layer.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되는 센싱 영역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센싱 영역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 및 압력이 가해진 후의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되는 센싱 영역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ing region included in an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ing region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중간층(130)은 지지기재(300) 및 지지기재(300) 내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센싱 영역(3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센싱 영역(310)은 제1 전극층(110)의 전도 영역과 제2 전극층(120)의 전도 영역이 교차하는 센싱 포인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ntermediate lay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310 dispersed within a supporting substrate 300 and a supporting substrate 300. The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31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sensing points where the conductiv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conductiv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intersect.

도 4를 참조하면, 각 센싱 영역(310)은 제1 영역(312), 그리고 제1 영역(31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영역(314)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영역(312)은 제1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 영역(314)은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영역(314)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each sensing region 310 includes a first region 312 and a second region 314 disposed to surround the edges of the first region 312. 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312 is made of an elastic body having a first hardness, and the second region 314 is made of an elastic body having a second hardness lower than the first hardness. At this tim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dispersed in the second region 314.

도 5와 같이 센싱 영역(310) 상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제1 영역(3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제2 영역(314)의 두께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영역(310) 상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2 영역(314)의 저항에 따라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영역(310) 상에 가해진 압력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제1 영역(312)으로 흡수되어 폼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5,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on the sensing region 310,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314 having a relatively low hardness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312 having a relatively high hardness.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on the sensing region 310 can be sens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region 314. Then, it is possible to absorb a part of the pressure applied on the sensing region 310 to the first region 312 having a relatively high hardness,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foa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변 저항의 범위가 넓은 압력 감지 센서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ssure sensing senso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a wide range of variable resistance.

이때, 제1 경도는 제2 경도의 1.2 내지 2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7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312)은 센싱 영역(310)의 중심부에 집중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센싱 영역(310) 상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제2 영역(314)의 두께가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경도는, 예를 들어 Shore C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hardness may be 1.2 to 2 times, preferably 1.3 to 1.8 times, more preferably 1.4 to 1.7 times the second hardness. Accordingly, the first region 312 can withstand the pressur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31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314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on the sensing region 310. Here, the hardness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Shore C hardness meter.

또한, 제2 영역(314)의 면적은 제1 영역(312)의 면적의 2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312)은 센싱 영역(310)의 중심부에 집중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센싱 영역(310) 상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제2 영역(314)의 두께가 변형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second region 314 may be 2 to 8 times, preferably 3 to 7 times, more preferably 4 to 6 times the area of the first region 312. Accordingly, the first region 312 can withstand the pressur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31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314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on the sensing region 310.

한편, 도 3 내지 5에서는 센싱 영역(310)의 제1 영역(312) 및 제2 영역(314)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314)의 두께(d2)는 제1 영역(312)의 두께(d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314)의 하면 및 제1 영역(312)의 하면은 동일 높이 상에 있으나, 제2 영역(314)의 상면이 제1 영역(31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314)의 하면은 제1 영역(312)의 하면보다 낮게 돌출되고, 제2 영역(314)의 상면은 제1 영역(31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314)의 두께(d2)가 제1 영역(312)의 두께(d1)보다 크면, 제2 영역(314)의 두께 변화의 폭이 넓어지게 되므로, 가해진 압력에 따른 가변 저항의 폭도 넓어지게 된다. 3 to 5, the first region 312 and the second region 314 of the sensing region 310 have the same he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region 314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region 312 as shown in FIG. 6 (a),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31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312 are on the same height, bu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314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The upper surface of the region 312 can be protrud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6B,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314 protrudes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3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314 protrudes from the first region 312,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if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region 314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region 312, the width of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second region 314 is widen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resistance is also widen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기재(300)는 탄성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소재,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소재,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 등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upport substrate 30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elastic body, for example, a polyurethane material,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material, an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그리고, 지지기재(300)와 센싱 영역(31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바느질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ing substrate 300 and the sensing area 310 may be bonded together using an adhesive, or may be bonded by se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30)은 제1 전극층(110)과 제1 접착층(미도시)에 의하여 접착되고, 제2 전극층(120)과 제2 접착층(미도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은 센싱 영역(310)에는 적용되지 않고, 지지기재(300)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영역(310)과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게 되어, 센싱 영역(310)의 가변 저항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ayer 130 is bond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by a first adhesive layer (not shown) and bond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by a second adhesive layer (not shown) .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not applied to the sensing area 310 but can be applied only to the supporting substrate 300. [ Accordingly, the adhesive layer is not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region 3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so that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ing region 310 may not be affected.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econd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econd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 영역(314)은 탄성체(700) 및 탄성체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7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700)는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된 공극 영역(704)을 포함하는 폼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비공극 영역은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고무, 실리콘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입자(710)는 제1 도전성 입자(712), 그리고 제1 도전성 입자(712)와 이종인 제2 도전성 입자(7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도전성 입자(714)의 전기전도도는 제1 도전성 입자(712)의 전기전도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폼 내에 전기전도도가 상이한 이종의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는 경우, 압력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 값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할 수 있는 압력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으며, 압력 감지의 정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8, the second region 314 may include an elastic body 700 and conductive particles 710 dispersed in an elastic body. Here, the elastic body 700 may be in the form of a foam including a void region 704 dispersed in the non-voided region 702. [ At this time, the non-pored reg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olefin, rubber, silicone and elastomer.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may includ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nd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t this tim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may be higher tha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s described above, when different kinds of conductive particles having different electric conductivities are dispersed in the foam, the range of the resistance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ressure can be widened. Accordingly, the range of the pressure that can be sensed can be widened, and the precision of the pressure sensing can be enhanced.

예를 들어, 제1 도전성 입자(712)는 비결정성 카본이고, 제2 도전성 입자(714)는 결정성 카본일 수 있다. 결정성 카본은 비결정성 카본에 비하여 전기전도도가 높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성 입자(712)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고, 제2 도전성 입자(714)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may be amorphous carbo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may be crystalline carbon. Crystalline carbon has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amorphous carbon.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may include carbon black,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and graphite.

이와 같이, 중간층(130)에 포함되는 도전성 입자(710)가 비결정성 카본뿐만 아니라 결정성 카본을 포함하면 비결정성 카본에 의하여 가변하는 저항 값의 범위분만 아니라 결정성 카본에 의하여 가변하는 저항 값의 "牡㏊? 커버할 수 있으므로, 압력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 값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입자(710)는 폼의 1 내지 10wt%로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710)가 폼의 1wt% 미만으로 포함되면, 가압 시 압저항의 변화가 둔감하게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입자(710)가 폼의 10wt%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층(130)의 절연 특성을 보장하기 어려워지며, 도전성 입자(710)가 폼 내에서 분산되지 않고 뭉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layer 130 include not only amorphous carbon but also crystalline carbon, not only the range of the resistance value varying by the amorphous carbon but also the resistance value varying by the crystalline carbon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of the foam. [0251]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are foamed,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more than 10 wt% of the foam,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can be maintained at a value of less than 1 wt%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are aggregated without being dispersed in the foam.

이때, 제2 도전성 입자(714) 1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도전성 입자(712)는 2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2 도전성 입자(714) 1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도전성 입자(712)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가변하는 저항 값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도전성 입자가 폼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뭉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전성 입자(714)는 폼의 0.5 내지 2.5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도전성 입자(712)는 폼의 1 내지 7.5wt%,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5.4wt%로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is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30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or more than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the r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may not be wide, The particles can be aggregated without being evenly dispersed in the foam.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may comprise 0.5 to 2.5 wt%, preferably 1 to 2 wt%, and more preferably 1.2 to 1.8 wt% of the foam, and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may include 1 to 7.5 wt%, preferably 2 to 6 wt%, and more preferably 2.4 to 5.4 wt% of the foam.

이러한 도전성 입자(710)의 적어도 일부는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거나, 비공극 영역(702)과 공극 영역(704) 간의 경계면을 통과하도록 분산되거나, 비공극 영역(702)의 표면에 분산되거나, 공극 영역(704)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입자(710)의 적어도 일부가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거나, 비공극 영역(702)과 공극 영역(704) 간의 경계면을 통과하도록 분산되면, 도전성 입자(710)는 폼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감지 센서(100)의 장기간 반복된 사용에도 도전성 입자가 폼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se conductive particles 710 may be dispersed in the non-pored region 702 or dispersed to pas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non-pored region 702 and the pore region 704, Or may be dispersed within the void region 704. As such,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710 are dispersed within the non-voided region 702 or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non-voided region 702 and the voided region 704, Can be fix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foam even after long-term repeated use of the pressure-sensing sensor 100.

이때, 폼에 포함되는 전체 도전성 입자(710)에 대하여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거나, 비공극 영역(702)과 공극 영역(704) 간의 경계면을 통과하도록 분산되는 도전성 입자는 20wt%이상, 바람직하게는 30w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wt% 이상일 수 있다.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거나, 비공극 영역(702)과 공극 영역(704) 간의 경계면을 통과하도록 분산되는 도전성 입자가 20wt% 미만이면, 도전성 입자의 이탈로 인하여 오염이 발생하거나, 저항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particles dispersed in the non-voided region 702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nductive particles 710 contained in the foam or disper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non-voided region 702 and the voided region 704 are not less than 20 wt% Or more, preferably 30 w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0 wt% or more. If the amou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dispersed in the non-voided region 702 or disper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non-voided region 702 and the voided region 704 is less than 20 wt%, contamination may occur due to disengagem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sensitivity can be reduced.

이러한 제2 영역(310)은 폼, 제1 도전성 입자(712) 및 제2 도전성 입자(714)를 혼합한 후, 이를 발포 성형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310 may be formed by mixing the foam,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followed by foam molding.

또는, 제1 도전성 입자(712) 및 제2 도전성 입자(714) 중 하나를 폼과 혼합한 후 발포 성형하고, 발포 성형된 폼을 제1 도전성 입자(712) 및 제2 도전성 입자(714) 중 다른 하나가 포함된 용액에 침지 또는 함침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도 있다. 이에 따르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입자(712)는 비공극 영역(702)의 표면 또는 공극 영역(704) 내에 분산되고, 제2 도전성 입자(714)는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며 제2 도전성 입자(714)의 적어도 일부는 비공극 영역(702) 및 공극 영역(704) 간의 경계면을 통과할 수 있다. Alternativel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is mixed with a foam, followed by foam molding, and the foam-molded foam is mixed with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Or by immersing or impregn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ther one. 8,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re dispersed in the surface or void region 704 of the non-void region 70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are dispersed in the non-void region 70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may pas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non-voided region 702 and the voided region 704.

이에 따르면, 제1 도전성 입자(712) 및 제2 도전성 입자(714)를 모두 폼 재료와 혼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전성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뭉쳐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mix all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with the foam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dispersed evenly and clumped.

이때, 전기전도도가 높아 낮은 저항 값 범위를 커버하는 제2 도전성 입자(714)가 비공극 영역(702) 내에 분산되고,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높은 저항 값 범위를 커버하는 제1 도전성 입자(712)가 공극 영역(704) 내에 분산되면, 중간층에 대한 가압 횟수가 늘어나더라도 제2 도전성 입자(714)는 제1 도전성 입자(712)에 비하여 이탈될 확률이 낮다. 이에 따라, 반복된 사용에도 넓은 범위의 저항 값 변화를 유지하는 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covering the low resistance value range due to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re dispersed in the non-pore region 702, and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covering the high resistance value range Is dispersed in the void region 704, the probability of the second conductive particles 714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onductive particles 712 is low even if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layer is increased. Thus, the ability to maintain a wide range of resistance value changes even in repeated use can be maintain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과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8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를 참조하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제1 전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 제2 전도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전극층(120), 그리고 중간층(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10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region, a second electrode layer 120 including a second conductive region, and an intermediate layer 130.

제2 전극층(120)은 제1 전극층(110)과 수평면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간층(130)은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dis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이로써, 하나의 층에서 접지 연결이 가능하며, 추가 접지 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압력 감지 센서(100)의 재료비 및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압력 감지 센서(100)의 두께도 줄일 수 있다. Thereby, ground connection is possible in one layer,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additional grounding electrode, so that the material cos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can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can be reduced.

한편,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은 접착층(140)을 통하여 중간층(130)과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40)은 절연체를 포함하며, 제1 전극층(110)의 한 영역 및 제2 전극층(120)의 한 영역과 중간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bonded to the intermediate layer 13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40.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140 may include an insulator, and may be disposed between on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on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and the middle layer 130.

그리고, 접착층(140)은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과 같이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층(140)은 필름의 양면 상에 절연 접착제가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접착층(140)은 제1 전극층(110)의 일부 영역 및 제2 전극층(120)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40)은 제1 전극층(110)의 가장자리 및 제2 전극층(12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감지 센서 상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제1 전극층(110)의 가장자리는 중간층(130)에 직접 접촉하고, 제2 전극층(120)의 가장자리는 중간층(130)에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접착층(140)에 의한 오차 없이 중간층(130)을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Further,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n insulating adhesive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film.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disposed in only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an ed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an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Accordingly, when a pressure is applied on the pressure sensor,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directly contacts the middle layer 130, and the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can directly contact the middle layer 130 , The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intermediate layer 130 without any error caused by the adhesive layer 140. [

압력 감지 센서(100) 상에 압력(F)이 가해지면, 탄성이 있는 중간층(130)의 두께가 변화한다. 중간층(130)의 두께 변화로 인해, 이격 배치된 제1 전극층(110)과 제2 전극층(120) 사이가 연결되어 전기가 통하게 된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 신호로부터 압력의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중간층(130)은 도 1 내지 8을 통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When pressure F is applied on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intermediate layer 130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n, the degree of pressure is detected from the generated electric signal. Here,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have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압력 감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of a pressur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장치(200)는 압력 감지 센서(100), 신호 처리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130)의 두께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에 의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의 전기 신호는 신호 처리부(210)로 전달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과 신호 처리부(21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10, the pressur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pressure sensing sensor 100, a signal processing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due to a resistance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and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are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신호 처리부(210)는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20)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하며, 제어부(220)는 신호 처리부(210)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로, 제어부(22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압력 감지 장치(2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알람 신호 등을 생성할 수도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processe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20 and transmits the process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The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can control the on / off state of the pressure sensing device 200 by using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220 may generate diagnostic information using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220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for the user by using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그리고, 통신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20 to the external device.

이때, 압력 감지 센서(100)는 신호 처리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와 독립적인 공간에 배치되고, FPCB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압력 감지 센서(100)는 신호 처리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고, FPCB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is disposed in a space independen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FPCB. Alternatively,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space as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FPC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압력 감지 인솔, 압력 감지 장갑, 압력 감지 매트, 압력 감지 의자, 가정용 안전 장치 등 체압 분포를 이용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using pressure distribution such as a pressure sensing insole, a pressure sensing glove, a pressure sensing mat, a pressure sensing chair, a home safety device, and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가 적용되는 압력 감지 인솔의 한 예를 나타내며, 도 12는 런닝 시 분포되는 족압(kPa)을 나타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가 적용되는 압력 감지 인솔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FIG. 11 shows an example of a pressure sensing insole to which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2 shows the foot pressure (kPa) distributed during running, And another example of a pressure sensing insole to which a sensing sensor is applied.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센싱 영역(310)은 압력 감지 인솔(1100)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킹 또는 런닝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sensing areas 310 may be dispersed in the pressure sensing insole 1100.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s of the foot can be sensed when walking or running.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런닝 시 특정 영역, 예를 들어 발 뒤꿈치, 발 앞꿈치, 엄지 발가락 등에 압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감지 인솔(1300)을 복수의 영역(1310, 1320, 1330)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배치되는 센싱 영역의 경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한 영역(1310)에 배치되는 센싱 영역(310)의 제1 영역(312)의 제1 경도는 다른 영역(1320, 1330)에 배치되는 센싱 영역(310)의 제1 영역(312)의 제1 경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영역(1310)에 비하여 다른 영역(1320)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한 영역(1310)에 배치되는 센싱 영역(310)의 제1 영역(312)의 제1 경도는 다른 영역(1320)에 배치되는 센싱 영역(310)의 제1 영역(312)의 제1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감지 인솔(1300)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2, pressure may be concentrated on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a heel, a forefoot, a big toe, etc. during running. 13, the pressure sensing insole 1300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1310, 1320, and 1330, and the hardness of the sensing region disposed in each region can be made different. That is, the first hardness of the first region 312 of the sensing region 310 disposed in one region 1310 is greater than the first hardness of the first region 312 of the sensing region 310 disposed in the other regions 1320 and 1330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hardness. For example, when a relatively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region 1320 relative to one region 1310, the first hardness of the first region 312 of the sensing region 310, which is disposed in one region 1310,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hardness of the first region 312 of the sensing region 310 disposed in the other region 13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pressure sensing insole 13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폼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압력 감지 센서
110: 제1 전극층
120: 제2 전극층
130: 중간층
100: Pressure sensor
110: first electrode layer
120: second electrode layer
130: middle layer

Claims (8)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 그리고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지지기재 및 상기 지지기재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각 센싱 영역은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는 압력 감지 센서.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comprises a support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support substrate,
Each sensing region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first hardness and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econd hardness lower than the first hardness and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 영역인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a variable resistance region in which a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an applied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보다 큰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도는 상기 제2 경도의 1.2 내지 2배인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ardness is 1.2 to 2 times the second hard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의 2 내지 8배인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ea of the second region is 2 to 8 times an area of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지지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기재와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이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dhes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upporting substrat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substrat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중 일부의 제1 경도는 나머지 일부의 제1 경도와 상이한 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ardness of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is different from the first hardness of the remaining portion.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 그리고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지지기재 및 상기 지지기재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각 센싱 영역은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는 압력 감지 센서.
Pressure sensor,
A sign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for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 RTI >
The pressure sensor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comprises a support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support substrate,
Each sensing region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first hardness and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econd hardness lower than the first hardness and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econd region.
KR1020170051001A 2017-04-20 2017-04-20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3083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01A KR102308301B1 (en) 2017-04-20 2017-04-20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001A KR102308301B1 (en) 2017-04-20 2017-04-20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92A true KR20180117892A (en) 2018-10-30
KR102308301B1 KR102308301B1 (en) 2021-10-05

Family

ID=6410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01A KR102308301B1 (en) 2017-04-20 2017-04-20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3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296A1 (en) * 2021-02-18 2022-08-25 한국과학기술원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large-area pressure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7019A (en) 2007-01-24 2010-05-20 エスエムエム メディカル アーベー ELASTOMER PARTICLES HAVING CONDUCTIVE SURFACE, PRESSURE SENSOR INCLUDING THE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ENSOR AND SENSOR SYSTEM WITH THE SENSOR
KR20140074461A (en) 2012-12-10 2014-06-18 한국기계연구원 Highly Sensitive Tactile Sensor using Interlocking of Piezoelectric Element
KR20170029323A (en) 2015-09-07 2017-03-15 울산과학기술원 Artificial electronic skin based on ferroelectric composi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7019A (en) 2007-01-24 2010-05-20 エスエムエム メディカル アーベー ELASTOMER PARTICLES HAVING CONDUCTIVE SURFACE, PRESSURE SENSOR INCLUDING THE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ENSOR AND SENSOR SYSTEM WITH THE SENSOR
KR20140074461A (en) 2012-12-10 2014-06-18 한국기계연구원 Highly Sensitive Tactile Sensor using Interlocking of Piezoelectric Element
KR20170029323A (en) 2015-09-07 2017-03-15 울산과학기술원 Artificial electronic skin based on ferroelectric composi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296A1 (en) * 2021-02-18 2022-08-25 한국과학기술원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large-area pressure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301B1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247B1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296144B1 (en) A force and/or pressure sensor
KR102361874B1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0876907B2 (en) Pressure detection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with conductive paths and wiring portions
KR20180117893A (en) Pressure sensor
JP2014077662A (en) Distribution quantity sensor and distribution quantity measurement system
KR102342638B1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49677A (en) Insol of sensing pressure
KR101783413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insole of sensing pressure including the same
US20190024267A1 (en) Sensing fabric
KR20180117895A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635118B2 (en) Seating sensor and seat device using the same
KR20180117892A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1553753B2 (en) Pressure sensing insole
JP6829365B2 (en) Pressure sensors, pressure sensor manufacturing methods, bed devices and automotive seats
KR102304602B1 (en) Pressure sensing sensor and pressur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417498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insol of sensing pressure including the same
KR20170040985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20170074045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20170077514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102568540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20170081482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102467998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20170081470A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20180002302A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